KR101799872B1 - 항만 시설용 친환경 모서리 보호공 - Google Patents

항만 시설용 친환경 모서리 보호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872B1
KR101799872B1 KR1020170061681A KR20170061681A KR101799872B1 KR 101799872 B1 KR101799872 B1 KR 101799872B1 KR 1020170061681 A KR1020170061681 A KR 1020170061681A KR 20170061681 A KR20170061681 A KR 20170061681A KR 101799872 B1 KR101799872 B1 KR 101799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acility
curved plate
pipe
harb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중
오재원
이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신
Priority to KR1020170061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17Means for protecting offshore constructions
    • E02B17/003Fe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만 시설물의 안부(岸部) 모서리에 설치되는 모서리 보호공에 관한 것으로, 호형(弧形) 단면의 곡판(10)을 항만 시설의 안부(岸部) 모서리에 설치하되, 곡판(10) 상부 판체에 다수의 집수공(25)이 천공된 요홈(20)을 형성하고, 곡판(10) 하부에 매설되는 집수관(32)과 집수공(25)을 연결함으로써, 항만 시설 표면의 오수(汚水)가 요홈(20)으로 유입된 후 집수공(25)으로 집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항만 시설 안부 오염물의 해양 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써 항만 인근 해역의 오염을 방지하여, 해양 수질을 개선하고 해양 생태계를 보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항만 시설용 친환경 모서리 보호공{ECO FRIENDLY EDGE PROTECTOR FOR HARBOR FACILITY}
본 발명은 항만 시설물의 안부(岸部) 모서리에 설치되는 모서리 보호공에 관한 것으로, 호형(弧形) 단면의 곡판(10)을 항만 시설의 안부(岸部) 모서리에 설치하되, 곡판(10) 상부 판체에 다수의 집수공(25)이 천공된 요홈(20)을 형성하고, 곡판(10) 하부에 매설되는 집수관(32)과 집수공(25)을 연결함으로써, 항만 시설 표면의 오수(汚水)가 요홈(20)으로 유입된 후 집수공(25)으로 집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선박 접안시설 등 항만 시설의 안부에는 금속 또는 복합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된 판체(板體) 형태의 모서리 보호공이 설치되어, 해당 시설물 모서리의 파손을 억제하는데, 이러한 항만 시설용 모서리 보호공 관련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2001-97141호를 들 수 있다.
공개특허 제2001-97141호를 비롯한 종래의 항만 시설용 모서리 보호공은 그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해당 시설물의 모서리를 외부의 충격이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재료의 열화(劣化)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에 충실한 것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사실상 모서리를 피복하는 단순 피복체에 불과한 실정이다.
따라서, 통상 콘크리트로 구축되는 항만 시설의 균열 또는 취성 파괴를 억제하는 기능 외에 추가 기능을 전혀 기대할 수 없었으며, 이는 해양 유입 오염물의 관리 측면에서 문제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즉, 다양한 선박이 수시로 접안할 뿐 아니라 육상에서는 차량 및 인원의 통행이 빈번한 항만 시설의 특성상, 안부의 육상측 지면에는 다양한 오염물이 침적될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안부 지면 오염물은 강우시 초기 유출로서 막대한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을 생성하게 되고, 이들 비점오염원이 전량 일시에 해양으로 유입되어, 심각한 해양 오염을 유발하는 것이다.
특히, 어항(漁港)의 경우, 어획물의 하역 뿐 아니라 선별, 세척 및 전처리 등 대량의 오염물이 발생되는 작업이 안부에서 진행됨에도 불구하고, 발생된 오염물은 일체의 정화처리 없이 해양으로 유입되는 심각한 문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항만 시설 안부 오염물의 해양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창안된 것으로, 항만 시설용 모서리 보호공에 있어서, 호형 단면의 곡판(10)이 항만 시설의 안부 모서리에 설치되되, 곡판(10)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가 각각 항만 시설 안부의 육상측 지면 및 해양측 벽면에 일치하도록 부착되고, 곡판(10) 상부의 육상측 판체에는 하측으로 요입된 요홈(20)이 형성되되, 요홈(20) 내부에는 집수공(25)이 형성되며, 요홈(20) 판체의 저면에는 집수관(32)과 연결된 연결관(31)이 접합되되, 연결관(31) 하부에는 평면상 곡판(10)과 평행한 방향의 집수관(32)이 연결되어, 항만 시설 안부의 육상측 지면을 따라 유하하던 오수가 요홈(20)으로 유입된 후 집수공(25) 및 연결관(31)을 경유하여 집수관(32)으로 집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시설용 친환경 모서리 보호공이다.
또한, 상기 요홈(20)의 해양측 내부면에는 직립 벽부(21)가 형성되고, 요홈(20)의 육상측 내부면에는 경사부(2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시설용 친환경 모서리 보호공이다.
또한, 상기 곡판(10)의 해양측 벽면 부착부의 배면과 집수관(32) 외주면은 연결봉(42)으로 연결되고, 집수관(32) 외주면에는 육상측으로 돌출된 앵커(41)가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시설용 친환경 모서리 보호공이다.
또한, 상기 요홈(20)의 집수공(25) 주변부에는 하측으로 요입된 확공부(26)가 형성되고, 확공부(26)에는 확공부(26)와 일치하는 형상의 여과기(27)가 결합되어, 요홈(20)에 유입된 오수를 여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시설용 친환경 모서리 보호공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항만 시설 안부 오염물의 해양 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써 항만 인근 해역의 오염을 방지하여, 해양 수질을 개선하고 해양 생태계를 보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모서리 보호공을 구성하는 곡판(10) 내측의 집수관(32) 및 연결관(31)이 항만 시설의 모서리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매입됨으로써, 모서리 보호공의 긴밀하고 안정적인 부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항만 시설용 모서리 보호공 대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대표 단면도
도 6은 여과기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배면 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외관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호형(弧形)의 판체인 곡판(10)과 곡판(10) 내부에 평면상 곡판(10)과 평행하게 구성되는 집수관(32)과, 곡판(10)과 집수관(32)을 연결하는 연결관(31) 등으로 구성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호형 단면의 곡판(10)이 항만 시설의 안부(岸部) 모서리에 설치되되, 곡판(10)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가 각각 항만 시설 안부의 육상측 지면 및 해양측 벽면에 일치하도록 부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곡판(10)의 상단 표면은 항만 시설 안부 지면과 일치하여 평탄면을 이루고, 곡판(10)의 하단 표면은 항만 시설 안부의 벽면과 일치하여 수직벽을 이루는 것으로, 곡판(10)의 상단면과 곡판(10)의 하단면은 상호 직각을 이루게 된다.
또한, 곡판(10) 상부의 육상측 판체에는 하측으로 요입된 요홈(20)이 형성되되, 요홈(20) 내부에는 집수공(25)이 형성되는데,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곡판(10) 상면에 형성되는 요홈(20)은 평면상 곡판(10)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집수공(25)이 요홈(20)의 평면상 중심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20) 판체의 저면에는 집수관(32)과 연결된 연결관(31)이 접합되되, 연결관(31) 하부에는 평면상 곡판(10)과 평행한 방향의 집수관(32)이 연결되어, 도 5에서와 같이, 항만 시설 안부의 육상측 지면을 따라 유하(流下)하던 오수(汚水)가 요홈(20)으로 유입된 후 집수공(25) 및 연결관(31)을 경유하여 집수관(32)으로 집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모서리 보호공은 다수의 곡판(10)이 항만 시설 안부 모서리를 따라 배열되어 설치됨과 동시에, 곡판(10) 하부의 집수관(32) 역시 인접 곡판(10)의 집수관(32)과 상호 연결되며, 연결된 다수의 집수관(32)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배수관(39)이 간헐적으로 연결되어, 집수관(32)으로 집수된 오수는 배수관(39)을 통하여 내륙의 하수도로 배출됨으로써, 항만 시설 안부 오염물의 해양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도 2,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요홈(20)의 해양측 내부면에는 직립(直立) 벽부(21)가 형성되고, 요홈(20)의 육상측 내부면에는 완만한 경사부(22)가 형성되는데, 이는 항만 시설 안부 지면을 따라 유하하던 오수가 요홈(20)의 해양측 상단부를 월류(越流)하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경사부(22)를 따라 유입된 오수는 벽부(21)에 충돌한 후, 요홈(20)에 일시 저류된 상태에서 집수공(25)으로 유입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곡판(10)의 해양측 벽면 부착부의 배면과 집수관(32) 외주면은 연결봉(42)으로 연결되고, 집수관(32) 외주면에는 육상측으로 돌출된 앵커(41)가 접합되어, 곡판(10)과 집수관(32)의 견고한 결속을 도모함과 동시에, 직각 방사상으로 배치된 이들 연결봉(42), 연결관(31) 및 앵커(41)가 해당 항만 시설 모서리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매입됨으로써, 전체 모서리 보호공의 견고하고 안정적인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여과기(濾過器)(27)가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20)의 집수공(25) 주변부에는 하측으로 요입된 확공부(26)를 형성하고, 확공부(26)에는 확공부(26)와 일치하는 형상의 여과기(27)를 결합하여, 요홈(20)에 유입된 오수내 협잡물 및 과대(過大) 고형물을 여과함으로써, 집수공(25)과 연결된 연결관(31) 및 집수관(32)의 폐색을 방지한 것이다.
이러한 여과기(27)는 확공부(26)에 결합되는 일종의 용기로서, 주기적으로 분리하여 적재된 협잡물 및 고형물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간편한 유지관리가 가능하다.
10 : 곡판
20 : 요홈
21 : 벽부
22 : 경사부
25 : 집수공
26 : 확공부
27 : 여과기
31 : 연결관
32 : 집수관
39 : 배수관
41 : 앵커
42 : 연결봉

Claims (4)

  1. 호형 단면의 곡판(10)이 항만 시설의 안부 모서리에 설치되되, 곡판(10)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가 각각 항만 시설 안부의 육상측 지면 및 해양측 벽면에 일치하도록 부착되는 항만 시설용 모서리 보호공에 있어서,
    곡판(10) 상부의 육상측 판체에는 하측으로 요입된 요홈(20)이 형성되되, 요홈(20)은 평면상 곡판(10)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요홈(20) 내부에는 집수공(25)이 형성되며;
    요홈(20) 판체의 저면에는 집수관(32)과 연결된 연결관(31)이 접합되되, 연결관(31) 하부에는 평면상 곡판(10)과 평행한 방향의 집수관(32)이 연결되고, 요홈(20)의 해양측 내부면에는 직립 벽부(21)가 형성되며, 요홈(20)의 육상측 내부면에는 경사부(22)가 형성되어, 항만 시설 안부의 육상측 지면을 따라 유하하던 오수가 요홈(20)의 경사부(22)를 따라 유입되어 벽부(21)에 충돌한 후, 요홈(20)에 일시 저류되어 요홈(20)의 해양측 상단부 월류가 억제되고, 이후 집수공(25) 및 연결관(31)을 경유하여 집수관(32)으로 집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시설용 친환경 모서리 보호공.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곡판(10)의 해양측 벽면 부착부의 배면과 집수관(32) 외주면은 연결봉(42)으로 연결되고, 집수관(32) 외주면에는 육상측으로 돌출된 앵커(41)가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시설용 친환경 모서리 보호공.
  4. 삭제
KR1020170061681A 2017-05-18 2017-05-18 항만 시설용 친환경 모서리 보호공 KR101799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681A KR101799872B1 (ko) 2017-05-18 2017-05-18 항만 시설용 친환경 모서리 보호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681A KR101799872B1 (ko) 2017-05-18 2017-05-18 항만 시설용 친환경 모서리 보호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872B1 true KR101799872B1 (ko) 2017-11-22

Family

ID=60810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681A KR101799872B1 (ko) 2017-05-18 2017-05-18 항만 시설용 친환경 모서리 보호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8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212B1 (ko) * 2021-05-04 2021-09-09 울산항만공사 항만 탈착식 모서리 보호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4236A (ja) * 1998-09-30 2000-04-11 Sumitomo Rubber Ind Ltd 角部保護材
KR100593258B1 (ko) * 2005-10-25 2006-06-28 (주)종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배수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한 보차도용 경계블록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4236A (ja) * 1998-09-30 2000-04-11 Sumitomo Rubber Ind Ltd 角部保護材
KR100593258B1 (ko) * 2005-10-25 2006-06-28 (주)종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배수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한 보차도용 경계블록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212B1 (ko) * 2021-05-04 2021-09-09 울산항만공사 항만 탈착식 모서리 보호장치
WO2022234927A1 (ko) * 2021-05-04 2022-11-10 울산항만공사 항만 탈착식 모서리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8874B2 (en) Waste for a washbasin of a washstand with a slot-shaped runout
KR101799872B1 (ko) 항만 시설용 친환경 모서리 보호공
JP5025364B2 (ja) 雨水貯留浸透施設用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浸透施設
KR101013733B1 (ko) 개선된 보강구조를 갖는 저수조
JP5386206B2 (ja) 雨水ます
JP6153122B2 (ja) 雨水貯溜配管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排水桝
CN210216674U (zh) 一种海绵城市防堵雨水井
CN208183913U (zh) 一种环境工程用便于清淤的污水排水管
JP5840194B2 (ja) 浮体構造物の係留装置
JP5404488B2 (ja) フィルタ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施設
JP2779113B2 (ja) 雨水桝
KR101332728B1 (ko) 토사 유출 방지형 항만공사용 결속식 피복블럭
KR200204121Y1 (ko) 선박용 맨홀
CN218027178U (zh) 一种可侧向排水的桥梁泄水管
JP2008106513A (ja) 雨水貯留浸透施設
KR20110058239A (ko) 갑판의 배수구 구조
JP6198446B2 (ja) 雨水貯留浸透システム
KR200239951Y1 (ko) 우수받이뚜껑및받침틀
JP2014009484A (ja) 貯留利水施設
JP6577776B2 (ja) 雨水浸透桝
KR200405377Y1 (ko) 맨홀
KR200458187Y1 (ko) 개폐식 집수구 커버
KR101291154B1 (ko) 선박용 배수 가이드 장치
KR20230166470A (ko) 수생태계 저영향개발(lid)을 위한 경사배수공 빗물받이 덮개 수로관 시스템
KR200333762Y1 (ko) 맨홀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