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468U - 선박용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468U
KR20140003468U KR2020120011168U KR20120011168U KR20140003468U KR 20140003468 U KR20140003468 U KR 20140003468U KR 2020120011168 U KR2020120011168 U KR 2020120011168U KR 20120011168 U KR20120011168 U KR 20120011168U KR 20140003468 U KR20140003468 U KR 201400034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cover
deck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1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선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111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468U/ko
Publication of KR201400034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46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갑판의 오물이 유입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구를 덮도록 상기 배수관에 결합되는 배수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 커버는 상기 배수구를 덮는 커버부와, 상기 갑판 상의 오물이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선박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배수관 커버의 커버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의해 배수관 커버가 배수관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항상 갑판 상의 오물을 배수할 수 있어, 갑판의 배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배수장치{DRAIN APPARATUS FOR SHIP}
본 고안은 선박의 갑판 상의 오물을 배수시키는 선박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갑판은 구조적으로 선박의 종강도(縱强度)를 담당하는 것으로서, 최상측의 갑판을 상갑판이라 하고, 상갑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갑판은 차례로 제2갑판, 제3갑판이라고 한다. 상갑판은 선체의 상면을 수밀하여 선박 내부로의 침수를 방지하여 외판과 함께 선박의 부력을 확보해주며, 비와 바람을 막아 주고 햇볕을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갑판의 하층 갑판은 여객, 화물, 갑판 기계 등의 적재 장소를 제공해주며, 선원들의 선내 작업 공간을 제공해 준다.
갑판에는 빗물이나 파도 등에 의해 오물이 고일 수 있다. 또한, 선박의 제조 시에도 야외 도크에서 건조하는 때에는 날씨나 외부 환경에 따라 갑판에 오물이 고일 수 있다. 이러한 갑판에 오물이 오랫동안 괴어 있으면 작업 환경을 나쁘게 할 뿐 아니라 화물의 손상 위험도 높아지고, 더 나아가 선박의 복원성도 나쁘게 되어 문제가 된다. 따라서, 갑판에는 오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수장치가 마련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용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기술에 다른 선박용 배수장치는 갑판(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수관(10)과, 상기 배수관(10)을 덮도록 구성되는 배수관 커버(11)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관(10)은 상기 갑판(100)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갑판(100)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배수관(10)은 상기 갑판(100)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갑판(100)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갑판(100) 상의 오물은 상기 배수관(10)을 통해 갑판(100)에서 배수된다.
상기 배수관 커버(11)는 상기 배수관(10)의 상부를 덮어 상기 배수관(10)을 폐쇄한다. 상기 배수관(10)은 상기 갑판(100)의 오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나, 상기 갑판(100) 상에서는 구멍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상기 갑판(100) 위에 있는 선원 또는 작업자가 상기 갑판(100) 위를 이동하는 중에 상기 배수관(10)으로 빠질 염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갑판(100)의 배수가 필요 없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관(10)을 덮도록 상기 배수관 커버(11)가 마련된다.
손잡이부(12)는 상기 배수관 커버(11)의 상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배수관 커버(11)를 상기 배수관(10)에서 분리하거나, 상기 배수관 커버(11)를 상기 배수관(10)에 장착할 때, 선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부(12)를 파지하여 상기 배수관 커버(11)를 이동시킨다. 즉, 상기 손잡이부(12)는 상기 배수관 커버(11)를 이동해야 할 때 선원 또는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형성된다.
여기서,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배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배수장치에 의하면, 상기 배수관 커버(11)는 평상시에는 상기 배수관(10)을 덮고 있고, 배수작업을 수행할 때 선원 또는 작업자가 상기 배수관(10)에서 분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이 필요할 때 마다 상기 배수관(10)에서 상기 배수관 커버(11)를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배수 작업이 수행되기 전까지는 상기 배수관 커버(11)에 의해 상기 배수관(10)으로 배수가 되지 않아, 상기 배수관(10) 주위에 오물이 쌓여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배수관(10)이 상기 갑판(100)의 배수 기능을 충분히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배수장치에 의하면, 상기 배수관 커버(11)를 상기 배수관(10)에서 분리하여 배수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크기가 큰 오물 역시 상기 배수관(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크기가 큰 오물이 계속하여 상기 배수관(10)으로 유입되면 이러한 오물이 상기 배수관(10)의 내부에 쌓여 상기 배수관(10)이 배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배수관(10)을 교체하거나, 상기 배수관(10)에서 크기가 큰 오물을 제거해야 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배수관 커버를 배수관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갑판의 오물을 배수할 수 있는 선박용 배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배수장치 갑판의 오물이 유입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구를 덮도록 상기 배수관에 결합되는 배수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 커버는 상기 배수구를 덮는 커버부와, 상기 갑판 상의 오물이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 커버는 상기 커버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박용 배수장치는 상기 고정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갑판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갑판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배수관 커버의 커버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의해 배수관 커버가 배수관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항상 갑판 상의 오물을 배수할 수 있어, 갑판의 배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크기가 큰 오물이 배수관으로 유입되어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배수관의 배수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용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배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배수장치의 배수관 커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배수장치를 위에서 본 도면.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들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배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배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배수장치의 배수관 커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배수장치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배수장치(1)는 갑판(100)의 오물이 유입되는 배수구(21)를 포함하는 배수관(2) 및 상기 배수구(21)를 덮도록 상기 배수관(2)에 결합되는 배수관 커버(3)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관(2)은 상기 갑판(100)을 관통하도록 상기 갑판(100)에 설치된다. 상기 배수관(2)의 일단에는 상기 갑판(100) 상의 오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구(21)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관 커버(3)는 상기 배수구(21)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수관 커버(3)는 상기 배수구(21)를 덮는 커버부(31)와, 상기 커버부(3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33)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31)는 상기 배수관(2)의 배수구(2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21)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31)를 관통하여 상기 관통공(33)이 형성된다. 즉, 상기 관통공(33)을 상기 커버부(3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갑판(100)의 상부와 상기 배수관(2) 내부를 연통시킨다. 따라서, 상기 배수관 커버(3)가 상기 배수관(2)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갑판(100) 상의 오물이 상기 관통공(33)을 통해 상기 배수관(2)으로 배수된다. 상기 관통공(33)은 상기 커버부(31)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배수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배수장치(1)에 의하면 상기 배수관 커버(3)의 상기 커버부(31)를 관통하여 상기 관통공(3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관 커버(3)가 상기 배수관(2)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관통공(33)을 통해 상기 갑판(100)의 오물이 상기 배수관(2)으로 배수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배수관 커버(3)에 의하면 상시 상기 관통공(33)을 통해 배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와 배수시를 별도를 분리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배수가 될 때도 선원 또는 작업자가 일일이 상기 배수관 커버(3)를 상기 배수관(2)에서 분리시킬 필요도 없다. 이에 의해 상기 갑판(100)의 배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배수장치(1)에 의하면, 상기 관통공(33)은 상기 배수관(2)의 상기 배수구(21)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갑판(100) 상의 오물 중에서 크기가 큰 오물은 상기 관통공(33)을 관통할 수 없다. 이에 의해 크기가 큰 오물은 상기 관통공(33)에 의해 걸러지고 크기가 작은 오물만이 상기 배수관(2)을 통해 배수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관(2)이 크기가 큰 오물에 의해 막혀, 상기 배수관(2)을 별도로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결국, 상기 배수관(2)의 배수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상기 배수관(2)의 배수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배수관(2), 상기 배수관 커버(3), 상기 커버부(31), 및 상기 관통공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배수관(2)은 상기 갑판(100)에 설치된다. 상기 배수관(2)은 상기 갑판(100)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갑판(100)에 설치된다. 상기 배수관(2)은 상기 갑판(100)의 오물이 유입되는 배수구(21)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구(21)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구(21)는 상기 배수관(2)의 일단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배수관(2)은 상기 배수구(21)가 상기 갑판(100)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갑판(100)에 설치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배수관 커버(3)는 상기 배수구(21)를 덮도록 상기 배수관(2)에 결합된다. 상기 배수관 커버(3)는 상기 커버부(31)와, 상기 커버부(3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기 관통공(33)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31)는 상기 배수관(2)의 상기 배수구(21)를 덮을 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31)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구(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상기 커버부(31)가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커버부(31)는 원형 이외에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관통공(33)은 상기 커버부(3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3)은 상기 커버부(31)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33)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크기가 큰 오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배수구(21)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33)은 상기 커버부(31)에서 상기 배수구(21)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관통공(33)이 형성되어야 오물이 상기 관통공(33)을 통해 상기 배수구(21)로 배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배수관 커버(3)는 상기 배수관 커버(3)를 상기 배수관(2)에 고정시키는 고정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2)는 상기 커버부(31)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32)는 상기 커버부(31)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2)의 직경은 상기 배수관(2)의 외면의 직경과 대략 비슷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32)가 상기 배수관(2)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는, 상기 고정부(32)의 직경은 상기 배수관(2)의 외면의 직경보다 조금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고정부(32)가 형성되면, 상기 고정부(32)는 상기 배수관(2)의 외면에 억지 끼움을 통해 결합된다. 이렇게 상기 고정부(32)가 상기 배수관(2)에 결합되면 상기 배수관 커버(3)는 상기 배수관(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갑판(100)에 상기 배수관 커버(3)의 상기 고정부(32)를 수용하는 결합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10)은 상기 갑판(100)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홈(110)은 상기 갑판(100)보다 그 높이가 낮도록 단차가 지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10)에는 상기 배수관(2)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10)에서 돌출된 상기 배수관(2) 부분에 상기 고정부(3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2)와 상기 결합홈(110) 사이로 상기 갑판 상의 오물이 흘러 들어가지 않게 상기 결합홈(110)은 상기 고정부(3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배수관 커버(3)가 상기 배수관(2)에 장착되면, 상기 커버부(31)는 상기 갑판(10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31)는 상측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31)는 상측에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형성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배수관 커버에 의하면 상기 배수관 커버의 상측에 형성된 손잡이에 의해 상기 갑판(100) 위를 이동하는 선원 또는 작업자가 걸려 넘어져 안전문제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배수장치(1)에 의하면, 상기 배수관 커버(3)의 상기 커버부(31)는 상측에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평평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관 커버(3)가 상기 배수관(2)에 장착되면 상기 커버부(31)는 상기 갑판(100)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배수관 커버(3)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2)에 항상 장착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배수장치(1)에 의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손잡이와 같은 구성이 생략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배수장치(1)의 상기 배수관 커버(3)가 상기 배수관(2)에서 장착되어도, 상기 갑판(100)의 일부와 같이 보일 뿐 상기 갑판(100)에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배수장치(1)에 의하면 상기 갑판(100) 위를 이동하는 선원 또는 작업자가 선박용 배수장치(1)에 걸려 넘어질 염려가 없다. 이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배수장치(1)에 의하면 상기 갑판(100)에서 일어날 수 이는 안전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선박용 배수장치
2 : 배수관 21 : 배수구
3 : 배수관 커버 31 : 커버부
32 : 고정부 33 : 관통공
100 : 갑판 110 : 결합홈

Claims (4)

  1. 갑판의 오물이 유입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구를 덮도록 상기 배수관에 결합되는 배수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 커버는,
    상기 배수구를 덮는 커버부와, 상기 갑판 상의 오물이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선박용 배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 커버는 상기 커버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배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갑판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배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갑판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배수장치.
KR2020120011168U 2012-11-30 2012-11-30 선박용 배수장치 KR201400034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168U KR20140003468U (ko) 2012-11-30 2012-11-30 선박용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168U KR20140003468U (ko) 2012-11-30 2012-11-30 선박용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468U true KR20140003468U (ko) 2014-06-10

Family

ID=52444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168U KR20140003468U (ko) 2012-11-30 2012-11-30 선박용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46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322B1 (ko) * 2014-09-29 2016-01-04 삼성중공업(주) 배수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322B1 (ko) * 2014-09-29 2016-01-04 삼성중공업(주) 배수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6462A (ko)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
KR101616039B1 (ko) 문풀의 해치 커버 장치
KR20140003468U (ko) 선박용 배수장치
US20140319039A1 (en) Oil Spill Containment and Clean-Up Apparatus and Method
KR101788755B1 (ko) 선박용 브릿지 윙
KR20160139675A (ko) 헬리데크용 빗물 집수장치 및 그 빗물 집수장치를 이용한 재활용 방법
EP3261922B1 (en) Water intake system and floating vessel equipped with such a system
KR101304915B1 (ko) 선박의 핸드 레일
RU2328403C2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ибкого восходяще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KR20090103353A (ko) 부유기름 수거장치
KR101672442B1 (ko) 쓰레드 드레인 스커퍼
KR20140001786U (ko) 갑판 배수구용 배수장치
AU2013100757A4 (en) Filtration accessory
CN213388019U (zh) 一种船用集油槽
KR20160000879U (ko) 리듀서형 배수구에 적용 가능한 러버 플러그 및 이를 가지는 선박
JP4974915B2 (ja) 水域区画用フロート
KR20160002060U (ko) 선박 위성 안테나 고정용 포스트
KR101792478B1 (ko) 선체 외벽 유지보수장비
JP3133429U (ja) 自動ゴミ除去機能を備えたルーフドレン
KR101581322B1 (ko) 배수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KR101884755B1 (ko) 해양 구조물의 고압 드레인용 빌지 해트
FI20060128A (fi) Öljynkeruujärjestelmä
KR200497626Y1 (ko) 배수홀 막힘 인지 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연돌 갑판 구조물
KR101797616B1 (ko) 분출방지장치 테스트 장비를 보관하는 하부갑판을 갖는 시추선
KR101205380B1 (ko) 배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