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306B1 - 표시 제어장치, 및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장치, 및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306B1
KR101581306B1 KR1020120120181A KR20120120181A KR101581306B1 KR 101581306 B1 KR101581306 B1 KR 101581306B1 KR 1020120120181 A KR1020120120181 A KR 1020120120181A KR 20120120181 A KR20120120181 A KR 20120120181A KR 101581306 B1 KR101581306 B1 KR 101581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specific
display
unit
displa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7638A (ko
Inventor
코이치 오카다
코이치 나카가와
소이치로 시게에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37501A external-priority patent/JP590122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37500A external-priority patent/JP5893341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7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쇼트컷 키를 눌러서 메뉴를 닫는 처리와, 같은 쇼트컷 키를 눌러서 특정의 메뉴에 이행하는 처리를 양립시킨다. 표시 제어장치에 관한 설정 또는 동작 지시를 행하기 위한, 복수의 메뉴로 구성되는 계층 메뉴 중 특정의 메뉴는, 특정의 조작부에 할당된다. 상기 특정의 메뉴를 표시할 때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그 메뉴의 표시를 해제한다. 상기 특정의 메뉴 및 상기 특정의 메뉴보다 1계층상의 메뉴와는 다른 메뉴를 표시할 때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특정의 메뉴를 표시한다.

Description

표시 제어장치, 및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제어장치,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카메라 및 휴대전화등의 기기는, 고기능화 및 다기능화되고 있다. 그 기능이 언제나 비대화되고 있다. 그 기능의 비대화에 따라, 유저가 사용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도 비대화된다. 예를 들면,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계층 메뉴에서는, 계층이 심화하고, 메뉴 항목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유저는, 원하는 메뉴 항목에 도착하기 전에, 많은 계층을 내려가고 많은 화면을 스크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원하는 메뉴 항목에 도착하는데 조작이 많아서,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8-203910호에는, 유저의 기호에 따라 자유롭게 기능을 할당할 수 있는 외장 키를 구비한 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외장 키에 특정한 메뉴 화면을 직접 열기 위한 쇼트컷 기능을 할당하여도 되고, 이 경우에 하나의 키 조작으로 반복 사용되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어, 편리함을 개선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8-203910호에는, 메뉴 화면을 여는 경우의 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의 조작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지만, 그 후의 조작에 관해서는 개시되지 않고 있다. 예를 들면, 쇼트컷 키를 사용해서 메뉴를 열어, 설정의 확인이나 변경을 행한 후에, 같은 쇼트컷 키를 사용해서 메뉴를 닫을 수 있으면, 상기 편리함이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메뉴가 열려 있고 유저가 쇼트컷 키를 조작해서 원하는 메뉴를 열고 싶을 때, 그 원한 메뉴가 열릴 수 있는 경우 편리함이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상기와 같이, 조작 상황에 따라 동일한 키의 다른 동작이 기대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조작이 양립할 수 있으면 편리함이 향상한다.
본 발명은, 조작성을 향상시킨 쇼트컷 키를 구비한 표시 제어장치를 대상으로 삼는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서는, 메뉴가 열려 있을 때에, 쇼트컷 키를 눌러서 메뉴를 닫는 처리와, 같은 쇼트컷 키를 눌러서 특정한 메뉴를 여는 처리를 양립시킬 수 있는 표시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표시 제어장치는, 상기 표시 제어장치에 관한 설정 또는 동작 지시를 행하기 위한, 복수의 메뉴로 구성되는 계층 메뉴 중, 특정의 메뉴를 표시시키는 특정의 조작부; 및 상기 특정의 메뉴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있을 때에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메뉴의 표시를 해제하고, 또한 상기 특정의 메뉴 및 상기 특정의 메뉴보다 1계층상의 메뉴의 양쪽과 다른 메뉴를 표시하고 있을 때에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특정의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및 국면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나타내고, 이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일례일 뿐이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들의 개개의 구성과 각종 조건에 따라 적당하게 수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는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표시 제어장치의 외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표시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3a, 3b 및 3c는, 메뉴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5는, 제2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6은, 제3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7은, 메뉴 화면의 표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4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하, 본 발명의 각종 예시적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표시 제어장치는, 디지털 비디오카메라를 일례로서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제1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카메라는 쇼트컷 키의 압하에 따라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를 표시하고, 그 메뉴를 표시하고 있을 때에 쇼트컷 키의 압하에 따라 그 표시된 메뉴를 닫는(표시를 해제하는) 동작을 행한다. 도 1은,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의 외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는, 표시부(101), 촬영 버튼(102), 모드 전환 스위치(103), 조작부(104), 전원 스위치(105), 기록 매체(106), 기록 매체 슬롯(107) 및 뚜껑(108)을 구비한다.
표시부(101)는, 화상이나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촬영 버튼(102)은, 유저가 촬영 지시를 행하기 위한 버튼이다. 모드 전환 스위치(103)는, 유저가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의 동작 모드를 바꾸기 위한 스위치다. 그 모드 전환 스위치(103)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조작부(104)는, 각종 스위치, 버튼 및 터치패널 등의 각종 유저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재를 포함한다. 전원 스위치(105)는,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의 전원을 온/오프하는데 사용된다. 기록 매체(106)의 예들로는, 반도체 메모리, 메모리 카드, 자기디스크 및 하드디스크가 있다. 기록 매체 슬롯(107)은, 기록 매체(106)가 삽입되기 위한 슬롯이다. 기록 매체 슬롯(107)에 삽입된 기록 매체(106)는,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와 통신이 가능하고,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로 촬영한 영상을 기록한다. 뚜껑(108)은, 기록 매체 슬롯(107)을 폐쇄한다.
도 2는,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또한,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낼 것이다. 그에 대한 설명은 적당한 곳에서 생략한다.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는, 촬영 렌즈(201), 촬상부(202), 아날로그 대 디지털(A/D) 변환기(203), 배리어(204), 화상처리부(205), 메모리 제어부(206), 시스템 제어부(207), 메모리(208) 및 디지털 대 아날로그(D/A) 변환기(209)를 구비한다.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는, 불휘발성메모리(210), 백업 메모리(211), 시스템 메모리(212), 시스템 타이머(213), 전원제어부(214), 전원부(215) 및 기록 매체 인터페이스(I/F)(216)를 더 구비한다.
촬영 렌즈(201)는, 줌렌즈 및 포커스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다. 촬상부(202)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전하결합소자(CCD)나 상보적 금속산화물 반도체(CMOS)센서로 구성된 촬상소자다. A/D변환기(203)는, 촬상부(202)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배리어(204)는,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의 촬영 렌즈(201)를 포함한 촬상광학계를 덮는 것에 의해, 촬영 렌즈(201) 및 촬상부(202)를 포함하는 촬상광학계가 더러워지고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화상처리부(205)는, A/D변환기(203)로부터의 화상 데이터 또는 메모리 제어부(206)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소보간 및 축소등의 소정의 리사이즈 처리나, 색 변환처리를 행한다. 화상처리부(205)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더욱 행한다. 연산처리의 결과에 의거하여 시스템 제어부(207)는 노광 제어 및 측거 제어를 행한다. 또한, 화상처리부(205)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고, 상기 연산처리의 결과에 의거하여 오토 화이트 밸런스(AWB) 처리를 행한다.
A/D변환기(203)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는, 화상처리부(205) 및 메모리 제어부(206)를 통해서 또는 직접 메모리 제어부(206)를 통해 메모리(208)에 기록된다. 메모리(208)는, 촬상부(202)에 의해 취득되어 A/D변환기(203)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화상 데이터와, 표시부(101)에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다. 메모리(208)는, 소정매수의 정지화상과 소정시간의 동화상 및 음성을 격납하는데 충분한 기억 용량을 갖는다. 메모리(208)는, 화상표시용의 메모리(비디오 메모리)도 겸한다. D/A변환기(209)는, 메모리(208)에 격납된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표시부(101)에 공급한다. 메모리(208)에 기록된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는, D/A변환기(209)를 통해 표시부(101)에 표시된다.
표시부(101)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등의 모니터 위에 D/A변환기(209)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한다. A/D변환기(203)에 의해 일단 A/D변환되어 메모리(208)에 기억된 디지털 신호를 D/A변환기(209)에서 아날로그 변환하고, 표시부(101)에 순차로 전송해서 표시한다. 이렇게 하여, 표시부(101)는, 전자 뷰파인더로서 기능하고, 스루 더 렌즈(through-the-lens)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210)는, 전기적으로 소거 및 기록 가능한 메모리이다. 예는, 전기적 소거형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전용 메모리(EEPROM)가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210)에는, 시스템 제어부(207)의 동작용의 정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이 프로그램은, 본 예시적 실시예의 후술하는 각종 흐름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백업 메모리(211)는, 전기적으로 소거 및 기록 가능한 메모리다. 예는, EEPROM 및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가 있다. 백업 메모리(211)에는, 유저 설정 정보가 기록된다.
시스템 제어부(207)는,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 전체를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부(207)는, 전술한 불휘발성 메모리(210)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후술하는 본 예시적 실시예의 각 처리를 실현한다. 시스템 메모리(212)의 일례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다. 시스템 메모리(212)에는, 시스템 제어부(207)의 동작용의 정수, 변수, 불휘발성 메모리(210)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이 로딩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207)는, 메모리(208), D/A변환기(209) 및 표시부(101)를 제어하여 표시 제어를 행한다.
시스템 타이머(213)는, 각종 제어에 사용된 시간이나 내장된 시계의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 측정부다. 촬영 버튼(102), 모드 전환 스위치(103) 및 조작부(104)는, 시스템 제어부(207)에 각종의 동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촬영 버튼(102) 및 모드 전환 스위치(103)는, 조작부(104)의 일부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모드 전환 스위치(103)는, 시스템 제어부(207)의 동작 모드를, 촬영 모드(정지 화상 촬영 모드 및 동화상 촬영 모드)와 재생 모드로 이루어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바꾸기 위한 스위치다. 정지 화상 촬영 모드는, 오토 촬영 모드, 오토 씬(scene) 판별 모드, 메뉴얼 모드, 각종 씬 모드, 프로그램 자동노출(AE)모드 및 커스텀 모드를 포함한다. 각종 씬 모드는, 각각의 촬영 씬에 대한 촬영 설정을 포함한다. 모드 전환 스위치(103)를 사용하여 정지 화상 촬영 모드에 포함된 전술한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직접 전환할 수 있다. 모드 전환 스위치(103)에 의해 정지 화상 촬영 모드로 상기 동작 모드를 일단 전환하면, 정지 화상 촬영 모드에 포함된 모드들 중 어느 하나로, 다른 조작부재를 사용해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동화상 촬영 모드는 복수의 모드를 포함하기도 한다.
촬영 버튼(102)이 눌릴 때, 시스템 제어부(207)는, 촬상부(202)로부터의 신호 판독으로부터 기록 매체(106)에 화상 데이터의 기록까지의 일련의 촬영 처리의 동작을 시작한다. 조작부(104)의 각 조작부재에는, 표시부(101)에 표시된 여러 가지의 기능 아이콘을 선택 및 조작하는 경우에, 장면 특유의 다른 기능이 할당된다. 이에 따라, 그 조작부재는, 각종 기능키로서 기능한다. 기능 키의 예들은, 종료 키, 복귀 키, 화상이송 키, 점프 키, 범위를 서서히 좁히는 키, 속성 변경 키, 쇼트컷 키 및 메뉴 키가 있다. 예를 들면, 메뉴 키가 눌리면 각종의 설정 가능한 메뉴가 표시부(101)에 표시된다. 유저는, 표시부(101)에 표시된 메뉴와 상, 하, 좌, 우의 화살표 키나, 세트 키를 사용해서 직감적으로 각종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쇼트컷 키는,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계층구조를 가지는 메뉴 중, 특정한 메뉴를 열기 위한 조작부재다. 쇼트컷 키는 하나보다 많이 구비되어도 된다. 복수의 쇼트컷 키에 각각 다른 메뉴를 할당할 수 있다. 메뉴 키는, 계층구조를 가지는 메뉴 중 톱 메뉴(최상위 계층의 메뉴)나, 전회에 닫힌 것과 같은 메뉴를 열기 위한 조작부재다. 여기에서 이용한 것처럼, 각종 키는,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의 외장에 배치된 조작부재로서 설명되어 있다. 터치패널 상의 소프트 키를 조작하여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원제어부(214)는, 전지검출 회로, 직류 대 직류(DC-DC)변환기, 통전하는 블록을 바꾸는 스위치회로로 구성된다. 전원제어부(214)는, 전지의 장착의 유무, 전지의 종류, 및 전지잔량의 검출을 행한다. 전원제어부(214)는, 그 검출 결과 및 시스템 제어부(207)의 지시에 의거하여, DC-DC변환기를 제어하여, 필요한 전압을 필요한 기간에 기록 매체(106)를 포함하는 각 구성요소에 공급한다. 전원부(215)는, 알칼리 전지나 리튬 전지등의 일차전지와, 니켈 카드뮴(NiCd)전지나 니켈 수소 금속(NiMH)전지, 리튬(Li)전지등의 이차전지, 및/또는 교류(AC)어댑터로 이루어진다. 기록 매체I/F(216)는, 기록 매체(106)와의 인터페이스다.
다음에,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사용된,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에 관한 각종 설정과 동작 지시를 행하기 위한 메뉴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사용된 메뉴는, 계층형의 메뉴(계층 메뉴)이며, 설정 가능한 항목이 그 기능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어 있다. 계층형의 메뉴는, 그룹화된 하위계층 메뉴와, 그 하위계층 메뉴에 이행하기 위한 입구가 되는 메뉴 항목으로 이루어진 상위계층 메뉴로 구성된다. 최상위계층(제1계층) 메뉴, 즉 톱 메뉴는, 예를 들면, "카메라 셋업", "오디오 셋업", "비디오 셋업", "기타의 기능", 및 "커스텀 메뉴"의 메뉴 항목으로 구성된다.
유저가 톱 메뉴에서 "기타의 기능"의 메뉴 항목을 선택했을 경우, 톱 메뉴의 1계층아래인 "기타의 기능"의 메뉴(제2계층 메뉴)가 표시된다. "기타의 기능"의 메뉴는, 예를 들면, "리세트", "타임 구역", "클록 세트", "WFM", "언어", 및 "무선 콘트롤러"의 메뉴 항목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타의 기능"의 메뉴는, "탈리 램프", "미디어 액세스 LED", "NTSC/PAL", "비트 레이트(rate)/분해능", 및 "프레임 레이트"의 메뉴 항목으로 구성된다.
유저가 제2계층 메뉴에 포함된 "리세트"의 메뉴 항목을 선택했을 경우, 더욱 1계층하의 "리세트"의 메뉴(제3계층 메뉴)가 표시된다. "리세트"의 메뉴는, 예를 들면, "CF-A", "CF-B" 및 "SD-CARD"의 메뉴 항목으로 구성된다. 즉, "리세트"의 메뉴는, 초기화하는 기록 매체를 콤팩트 플래시(CF)카드A, CF카드B, 보안 디지털(SD)카드로부터 선택하기 위한 메뉴다. 유저가 제3계층 메뉴에 포함되는 "SD-CARD"의 메뉴 항목을 선택했을 경우, 더욱 1계층하의 "SD-CARD"의 메뉴(제4계층 메뉴)가 표시된다. "SD-CARD"의 메뉴는, 예를 들면, 설정치 후보로서 "실행", "캔슬"의 메뉴 항목으로 구성된다. 유저는 설정치 후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결정하고, 그 설정치 후보가 나타내는 동작 혹은 설정이 실행된다. 예를 들면, 유저가 "SD-CARD"의 메뉴에 "실행"이 지시되면,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에 장착된 복수의 기록 매체(106) 중 SD카드가 초기화(포맷)된다. "SD-CARD"의 메뉴보다 아래의 계층은 없고, "SD-CARD"의 메뉴가 최하위계층의 메뉴가 된다.
도 3a 내지 3c는, 표시부(101)에 표시된 메뉴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하위계층의 메뉴를 표시할 경우에 하위계층의 메뉴에 이르기까지의 상위계층의 메뉴 항목을 표시하는 표시 예다. 도 3a에 있어서, 각 계층의 메뉴 항목(301)과, 제3계층 메뉴D에서 설정가능한 설정치 후보(302)가 표시된다. 도 3a에 있어서, 일부의 항목은 사선으로 표시된다. 그 사선은, 제1계층 메뉴D, 제2계층 메뉴C 및 제3계층 메뉴D가 이 순서로 선택되어, 제3계층 메뉴D를 구성하는 설정치 후보 1∼3 중 설정치 후보 3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 메뉴 화면은, 설정치 후보 1∼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즉 최하위계층의 제3계층 메뉴D다.
도 3은, 메뉴 화면의 다른 표시 예이며, 최하위계층의 메뉴 이름과, 메뉴 항목으로서의 설정치 후보(303)의 일람을 표시하는 표시 예다. 도 3b에 있어서, 제3계층 메뉴D에서 설정가능한 설정치 후보(303)와, 상기 선택된 설정치 후보(303)를 나타내기 위한 커서(304)가 표시된다. 메뉴 이름은, 1개상의 계층의 메뉴이며, 최하위계층의 메뉴를 열기 위한 메뉴 항목(301)의 명칭과 일치하고 있다. 도 3a와 달리, 도 3b는 하위계층의 메뉴에 이르기까지의 상위계층의 메뉴 항목(301)을 표시하지 않은 표시 예를 나타낸다.
도 3c는, 메뉴 화면의 다른 표시 예이며, 제3계층 메뉴D의 1계층상의 제2계층 메뉴C의 메뉴 항목(305)을 표시하는 표시 예다. 도 3c에 있어서, 제2계층 메뉴C의 메뉴 항목(305)은, 제3계층 메뉴D와 동일계층의 제3계층 메뉴A∼D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사항이다. 도 3a에 나타낸 제3계층 메뉴D에 있어서의 처리를 실행 또는 캔슬(cancel)해서 1계층상의 메뉴에 이행했을 경우, 조작되었던 제3계층 메뉴D의 메뉴 항목(305)이 선택된 상태에서 1계층상의 제2계층 메뉴C가 표시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에서는, 복수의 쇼트컷 키의 각각에, 최하위계층의 메뉴 중 임의의 메뉴를 할당할 수 있다. 유저가 최하위계층의 메뉴가 할당된 쇼트컷 키를 누를 경우, 그 할당된 메뉴를 금방 열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제3계층 메뉴D가 할당된 쇼트컷 키를 누를 경우, 도 3a 또는 도 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이 때문에, 톱 메뉴로부터 계층을 내려가서 제3계층 메뉴D를 열 때까지의 조작을 생략할 수 있어, 재빠르게 원하는 메뉴를 열 수 있다.
다음에, 쇼트컷 키에 메뉴를 할당하는 방법(등록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유저는, 조작부(104)를 조작하여 어느 하나의 메뉴에 포함된 메뉴 항목 "할당"을 선택한다. 시스템 제어부(207)는, 어느 쇼트컷 키에 메뉴를 할당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설정치 후보로서의 선택사항을 표시한다. 상기 선택사항으로서, 예를 들면, "쇼트컷 키A", "쇼트컷 키B" 및 "쇼트컷 키C"가 표시된다. 다음에, 유저는 화살표 키를 사용해서 메뉴를 할당하고 싶은 쇼트컷 키를 선택하고, 세트 키를 누른다. 시스템 제어부(207)는, 선택된 쇼트컷 키에 어느 메뉴를 할당할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한다. 그 표시된 메뉴는, 전술한 톱 메뉴와 대체로 같다.
유저는 조작부(104)를 조작하여, 표시된 메뉴로부터 하위계층의 메뉴나 메뉴들로 이행하여, 원하는 최하위계층의 메뉴를 선택한 상태에서 세트 키를 누른다. 시스템 제어부(207)는, 쇼트컷 키에 선택된 메뉴를 할당하고, 메뉴와 쇼트컷 키 사이의 관계를 쇼트컷 기능 정보로서 백업 메모리(211)에 기록한다. 백업 메모리(211)에 기록된 쇼트컷 기능 정보는, 시스템 제어부(207)가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의 전원을 오프하기 전에 불휘발성 메모리(210)에 기록된다. 따라서, 다음번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가 다시 전원을 온 했을 경우라도 같은 할당이 재현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메뉴가 할당된 쇼트컷 키를 사용해서 메뉴 조작의 편리함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1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흐름도에 있어서의 각 처리는, 시스템 제어부(207)가 불휘발성 메모리(210)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212)에 로딩해서 실행함에 의해 실현된다.
우선, 단계S4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유저가 조작부(104)의 쇼트컷 키를 눌렀는가 아닌가를 검출한다. 시스템 제어부(207)는 복수의 쇼트컷 키 중 어느 하나의 쇼트컷 키가 눌려진 것을 검출하면(단계S401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402에 진행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207)는 쇼트컷 키가 눌려진 것을 검출하지 않고, 쇼트컷 키이외의 조작을 검출하면(단계S401에서 NO),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408에 진행된다. 이때, 단계S401 앞에 이미 어떠한 메뉴가 열려 있는 경우도 있다.
단계S4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백업 메모리(211)에 기억되어 있는 쇼트컷 기능 정보로부터, 단계S401에서 눌려진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다. 그 후,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403에 진행된다. 단계S4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메뉴가 열려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검출한다. 어떠한 메뉴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단계S403에서 YES), 단계S404에 진행된다. 메뉴를 열지 않은 경우에는(단계S403에서 NO),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406에 진행된다.
단계S4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402에서 취득한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와, 현재 표시된 메뉴와를 비교해서 그 2개의 메뉴가 일치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 2개의 메뉴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는(단계S404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405에 진행된다.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S404에서 NO),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406에 진행된다.
단계S4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현재 표시된 메뉴를 닫고, 그 밖의 표시를 행하고, 쇼트컷 키에 의거한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에서 이용된 것처럼, 그 밖의 표시란, 예를 들면, 메뉴를 열기 전의 표시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말한다. 단계S4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402에서 취득한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 눌려진 쇼트컷 키에 제3계층 메뉴D를 할당하는 경우, 표시부(101)에는, 도 3a 또는 도 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단계S4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유저에 의한 조작부(104)를 통한 조작(메뉴 조작)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저가 화살표 키를 상하로 조작해서 메뉴 항목을 선택하고, 세트 키를 누르면, 시스템 제어부(207)는 그 선택된 메뉴 항목을 실행한다. 시스템 제어부(207)는, 선택된 메뉴 항목이 최하위계층의 메뉴이면, 그 설정치를 반영하거나, 혹은 메뉴 항목이 나타내는 동작 지시를 실행하거나 한다. 시스템 제어부(207)는 선택된 메뉴 항목이 최하위계층의 메뉴가 아니면, 그 선택된 메뉴 항목인 하위계층의 메뉴를 연다. 시스템 제어부(207)는, 선택된 메뉴 항목이 복귀 (return) 버튼일 경우에는, 상위계층의 메뉴를 연다.
단계S4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유저가 조작부(104) 중 메뉴 키를 눌렀는가 아닌가를 검출한다. 시스템 제어부(207)가 메뉴 키가 눌려진 것을 검출하면(단계S408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409에 진행된다. 시스템 제어부(207)가 메뉴 키가 눌려진 것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단계S408에서 NO),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413에 진행되어, 그 밖의 처리를 행한다.
단계S4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메뉴가 이미 열려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메뉴가 이미 열려 있는 경우에는(단계S409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410에 진행된다. 메뉴가 열려 있지 않은 경우에는(단계S409에서 NO),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411에 진행된다.
단계S4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메뉴를 닫는다. 시스템 제어부(207)는, 메뉴를 닫는 처리를, 어느 계층 또는 어느 메뉴이어도 행한다. 즉, 시스템 제어부(207)는, 메뉴 키가 눌려지면, 상기 표시된 메뉴의 계층에 상관없이 메뉴를 닫는 처리를 행한다. 단계S4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톱 메뉴 또는, 전회 메뉴를 닫았을 때의 직전에 표시하고 있었던 메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유저가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의 전원이 온 된 후에 처음으로 메뉴 키를 누른 경우, 톱 메뉴를 연다. 그렇지 않은 경우, 시스템 제어부(207)는, 전회 메뉴를 닫았을 때의 직전에 표시하고 있었던 메뉴를 연다. 시스템 제어부(207)는, 이러한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메뉴를 닫을 때에, 직전에 표시하고 있었던 메뉴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 메모리(212)에 기록한다. 그 후에, 단계S4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메뉴 조작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제1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백업 메모리(211)에 기록된 쇼트컷 기능 정보가 나타내는 메뉴와 현재 표시된 메뉴가 일치한 것인가 아닌가에 따라, 쇼트컷 키를 눌렀을 때 행해진 동작을 바꾼다. 이에 따라 동일한 쇼트컷 키에 의해 메뉴를 여는 동작과 메뉴를 닫는 동작과의 양립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는, 소정의 쇼트컷 키를 눌러서 원하는 메뉴를 열고, 어떤 설정치 후보가 선택되어 있는지를 간단히 확인, 즉 현재의 설정을 확인할 뿐이고, 이외에 조작을 하지 않고 쇼트컷 키를 다시 눌러서 메뉴를 닫을 수 있다. 이 조작에 의해서, 유저는 쇼트컷 키로부터 손가락을 이동시키지 않고, 자주 사용된 설정에 관한 메뉴를 열고, 그 설정을 확인하고, 그 메뉴를 닫는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빠르게 간단한 조작이 가능해진다. 유저가 쇼트컷 키로부터 손가락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저는 조작부(104)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고, 그 조작동안 표시부(101)를 계속 주시할 수 있다. 유저가 쇼트컷 키를 눌러서 메뉴를 열고, 다른 계층으로 이동해서, 다른 메뉴를 열은 경우, 유저는, 쇼트컷 키를 눌러 그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에 재빠르게 들어갈 수 있다.
쇼트컷 키가 눌렸을 때에, 그 눌려진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에서의 각종 설정이 즉시 행할 수 없는 경우(무효일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시스템 제어부(207)는,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보다도 1계층상의 메뉴를 열고,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를 열기 위한 메뉴 항목이 무효인 것을 유저가 인식 가능하게 표시한다. 여기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무효로 된 메뉴 항목을 그레이아웃(grayout)과 같은 다른 표시 형태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쇼트컷 키가 상기의 "SD-CARD"에 할당되고, SD카드가 삽입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SD-CARD" 메뉴에 관한 설정은 행할 수 없다. 따라서, 시스템 제어부(207)는 "SD-CARD"의 메뉴보다도 1계층상의 "리세트"의 메뉴를 연다. 다음에, 시스템 제어부(207)는, 표시된 "CF-A", "CF-B", 및 "SD-CARD"의 메뉴 항목 중, "SD-CARD"를 그레이아웃하고, 선택된 것처럼 "SD-CARD"의 메뉴 항목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가 "SD-CARD"인 것을 인식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 "SD-CARD"의 메뉴가 현재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SD-CARD"의 메뉴가 열릴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제2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제1예시적 실시예에 나타낸 조건에 더해서,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의 1계층상의 메뉴가 열려 있는 경우에, 쇼트컷 키를 눌렀을 때에, 시스템 제어부(207)는 메뉴를 닫는 동작을 행한다. 시스템 제어부(207)는, 또한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의 동작 상태가 촬영 모드(정지 화상 촬영 모드 또는 동화상 촬영 모드)인지 촬영 모드이외(예를 들면, 재생 모드)인지에 따라 다른 동작을 행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는, 제1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1로부터 도 3a 내지 3c까지의 설명과 같다. 이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제2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흐름도에 있어서의 처리들은, 시스템 제어부(207)가 불휘발성 메모리(210)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212)에 로딩해서 실행함에 의해 실현된다.
도 5에 나타낸 단계S501∼S505의 처리는, 전술한 도 4에 나타낸 단계S401∼S405와 각각 같은 처리이다. 이에 따라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S5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의 현재의 동작 모드가 촬영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현재의 동작 모드가 촬영 모드의 경우에는(단계S506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508에 진행한다. 현재의 동작 모드가 촬영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단계S506에서 NO),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507에 진행한다. 촬영 모드이외의 상기 동작 모드의 예들로는, 재생 모드가 있다.
단계S5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502에서 취득한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와 현재 표시된 메뉴와를 비교한다. 우선, 시스템 제어부(207)는 현재 표시된 메뉴가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의 1계층상의 메뉴 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207)는, 현재 표시된 메뉴가, 복수의 메뉴 항목 중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를 열기 위한 메뉴 항목을 선택한 상태인지의 여부를 추가로 판정한다.
예를 들면,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가 전술한 "SD-CARD"일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207)는 "SD-CARD"의 메뉴 자체가 아니고, 그것보다 1계층상의 "리세트"의 메뉴가 열려 있는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207)는 "리세트"의 메뉴가 열려 있다고 판정하고, 그 표시된 "CF-A", "CF-B", 및 "SD-CARD"의 메뉴 항목 중 "SD-CARD"가 선택된 것인지의 여부를 추가로 판정한다. "SD-CARD"의 메뉴 항목이 선택된 가능한 상태는, 유저가 "SD-CARD"의 메뉴에서의 조작을 지금 막 종료한 경우와, 유저가 세트 키를 눌러서 상기 "SD-CARD"의 메뉴에서의 조작을 지금 막 하려고 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유저는 일부러 쇼트컷 키로 "SD-CARD"의 메뉴를 열 필요는 없다. 이에 따라, 유저가 쇼트컷 키를 누르는 조작은, "SD-CARD"의 메뉴를 열 목적과는 다른 목적으로 눌렸다고 생각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경우의 쇼트컷 키의 압하는, 쇼트컷처를 호출하는 것이 아닌, 메뉴를 닫을 목적으로 조작된 것으로 생각한다. 그 후, 시스템 제어부(207)는 메뉴를 닫도록 제어를 행한다. 이때, 이 제어는 촬영 모드가 아닐 때만 실행된다.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507에서 YES라고 판정하면, 단계S505에 진행하고, 그 메뉴를 닫는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507에서 NO라고 판정하면, 단계S508에 진행한다. 단계S5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를 연다.
단계S509의 처리는, 도 4에 나타낸 상술한 단계S407과 같다. 단계S510∼S515의 처리는 도 4에 나타낸 단계S408∼S413과 각각 같다. 이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제2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쇼트컷 키가 눌려지면 메뉴를 닫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는 촬영 모드에 있지 않고, 상기 표시된 메뉴는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의 1계층상이며, 또한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를 열기 위한 메뉴 항목이 선택된다. 따라서, 시스템 제어부(207)는,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에서의 조작을 마친 직후나, 쇼트컷 키를 누르지 않고서 1조작으로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를 열 수 있는 경우에, 유저가 쇼트컷 키를 누를 때 메뉴를 닫는다. 이러한 제어는, 유저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촬영을 행하는 것은,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와 같은 촬상장치에 최우선 사항이다. 촬영간의 간격동안에 메뉴의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메뉴로 재빠르게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촬영 모드시에는, 메뉴를 여는 것의 우선도가 보다 높다. 그 후, 유저가 쇼트컷 키를 누른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207)는,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의 1계층상의 메뉴를 표시한 경우에도, 메뉴를 닫지 않고, 그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를 열도록 제어를 행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의 도 5에 나타낸 단계S506의 판정을 생략하여, 단계S504에서 NO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507에 진행한다. 도 5에 나타낸 단계S507의 판정을 생략하고, 단계S506에서 NO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508에 진행되도록 해도 좋다.
제3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한다. 유저가 메뉴 항목을 선택해서 기기의 설정이나 동작 지시를 행한다고 가정한다.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그 설정이나 동작 지시가 유효하거나 무효하기도 한다. 그 선택된 설정이나 동작 지시가 무효일 경우,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메뉴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되어 있다. 따라서, 쇼트컷 기능이 할당된 쇼트컷 키를 유저가 조작해도, 그 할당된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다. 즉, 유저가 쇼트컷 키를 조작하고 쇼트컷 기능이 동작하지 않으므로, 유저는 상기 선택된 설정이나 동작 지시가 무효인지 혹은 쇼트컷 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유저가 외장 키를 조작해서 기기의 설정 상태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에도, 그 설정이나 동작 지시가 무효이면 쇼트컷 키를 사용하여 그 설정 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고 하는 다른 문제가 있다.
제3예시적 실시예 및 후술하는 제4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에 의한 설정이나 동작 지시가 무효인 것을 유저에 인식시켜서, 쇼트컷 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하는 오인을 막는 구성을 다룰 것이다.
제3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의 설정이나 동작 지시가 무효일 경우에 쇼트컷 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고 하는 오인을 막을 수 있는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의 동작에 관하여 다룰 것이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 및 메뉴의 표시 예는, 도 1∼도 3a 내지 3c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예시적 실시예의 것과 같다. 이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제3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흐름도의 처리들은, 시스템 제어부(207)가 불휘발성 메모리(210)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212)에 로딩해서 실행함에 의해 실현된다.
단계S6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유저에 의해 조작부(104) 중 쇼트컷 키가 눌려진 것인가 아닌가를 검출한다. 시스템 제어부(207)는, 복수의 쇼트컷 키 중 어느 하나의 쇼트컷 키가 눌려진 것을 검출하면(단계S601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602에 진행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207)는 쇼트컷 키가 눌려진 것을 검출하지 않고, 쇼트컷 키이외의 조작을 검출하면(단계S601에서 NO),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606에 진행된다.
단계S6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백업 메모리(211)에 기록된 쇼트컷 기능 정보로부터, 단계S601에서 눌려진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의 정보를 취득한다. 시스템 제어부(207)는, 할당된 메뉴의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불가가 되는 조건(이하, 설정 불가의 조건이라고 한다)을 추가로 취득하고, 단계S603에 진행된다.
단계S6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602에서 취득한 설정 불가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 즉 단계S602에서 취득한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의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가능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가능한 경우에는(단계S603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604에 진행된다.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불가능한 경우에는(단계S603에서 NO),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605에 진행된다. 단계S6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602에서 취득한 메뉴의 정보에 대응하는 메뉴를 표시부(101)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101)에는, 도 3a 또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단계S6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602에서 취득한 메뉴의 정보에 대응하는 메뉴의 1계층상의 메뉴를 표시부(101)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시스템 제어부(207)는 1계층상의 메뉴에 표시된 메뉴 항목 중, 단계S602에서 취득한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에 이행하기 위한 메뉴 항목을 선택한 상태에서 표시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207)는, 선택한 메뉴 항목이 현재, 설정 불가능한 것을 유저에게 인식 가능하게 표시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207)는, 메뉴 항목을 그레이아웃과 같은 다른 표시 형태로 메뉴 항목을 표시한다.
도 7은,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가 "제3계층 메뉴D"이며, "제3계층 메뉴D"의 메뉴에서의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불가능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의 표시 예다. 도 7에서는, "제3계층 메뉴D"의 메뉴의 1계층상의 "제2계층 메뉴C"의 메뉴가 표시되어 있다. 메뉴 항목인 "제3계층 메뉴A"∼"제3계층 메뉴D" 중, "제3계층 메뉴D"에 이행하기 위한 메뉴 항목인 "제3계층 메뉴D"를 그레이아웃시켜서 무효상태를 인식 가능하게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유저가 세트 키를 누르는 경우에도, 시스템 제어부(207)는 "제3계층 메뉴D"의 메뉴에 이행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쇼트컷 키에 상기의 "SD-CARD" 메뉴를 할당하고, SD카드가 삽입되지 않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SD-CARD" 메뉴에 관한 설정은 행할 수 없다. 따라서, 시스템 제어부(207)는 "SD-CARD"의 메뉴보다도 1계층상의 "리세트"의 메뉴를 연다. 그 후, 시스템 제어부(207)는, 표시된 "CF-A", "CF-B" 및 "SD-CARD"의 메뉴 항목 중, "SD-CARD"의 메뉴 항목을 그레이아웃하고나서, 선택된 것처럼 "SD-CARD"의 메뉴 항목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가 "SD-CARD"인 것을 인식할 수 있고, "SD-CARD"의 메뉴가 현재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SD-CARD"의 메뉴가 열릴 수 없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단계S6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유저에 의해 조작부(104)의 메뉴 키가 눌려진 것인가 아닌가를 검출한다. 메뉴 키가 눌린 경우에는(단계S606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607에 진행된다. 메뉴 키가 눌리지 않은 경우에는(단계S606에서 NO),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601에 되돌아간다. 단계S6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톱 메뉴 또는 전회 닫았을 때 이전에 표시되었던 메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00)의 전원이 온 된 후에 처음으로 유저에 의해 메뉴 키가 눌린 경우에는, 톱 메뉴를 연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207)는, 전회 닫았을 때 이전에 표시되었던 메뉴를 연다. 시스템 제어부(207)는, 이러한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메뉴를 닫을 때에, 이전에 표시된 메뉴의 정보를 시스템 메모리(212)에 기록한다.
단계S6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유저에 의한 조작부(104)를 통한 조작(메뉴 조작)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유저가 상하 화살표 키를 조작해서 메뉴 항목을 선택하고 세트 키를 누르면, 시스템 제어부(207)는 상기 선택된 메뉴 항목을 실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선택된 메뉴 항목이 최하위계층의 메뉴이면, 그 설정치를 반영하거나, 혹은 메뉴 항목이 나타낸 동작 지시를 실행하거나 한다. 시스템 제어부(207)는, 선택된 메뉴 항목이 최하위계층의 메뉴가 아니면,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한 하위계층의 메뉴를 연다. 시스템 제어부(207)는, 선택된 메뉴 항목이 복귀 버튼의 경우에는, 상위계층의 메뉴를 연다.
단계S6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유저에 의해 조작부(104) 중 메뉴 키가 눌려진 것인가 아닌가를 검출한다. 메뉴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단계S609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610에 진행된다. 메뉴 키가 눌리지 않은 경우에는(단계S609에서 NO),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608에 되돌아간다. 단계S6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그 표시된 메뉴를 닫아 숨기고(표시를 해제), 메뉴가 표시되기 전의 표시 상태로 되돌아가서, 그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제3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쇼트컷 키가 눌리는 경우,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의 설정이나 동작 지시가 가능한지 불가능한지에 상관없이 메뉴를 표시한다. 달리 말하면,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의 설정이나 동작 지시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메뉴를 열 수 있다. 여기서,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에서의 설정이나 동작 지시가 불가능한 것을 인식할 수 있게 표시하고, 유저에 인식시킬 수 있다. 이것은, 쇼트컷 키에 메뉴가 적절하게 등록되지 않거나, 쇼트컷 키가 고장나 있는 등의 쇼트컷 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하는 유저의 오인을 막을 수 있다.
제4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4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의 설정이나 동작 지시가 불가능하고, 그 메뉴의 1계층상의 메뉴의 설정이나 동작 지시가 불가능한 경우에, 더욱 상위계층의 메뉴를 표시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카메라는, 도 1∼도 3a 내지 3c를 참조하여 제1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제4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흐름도의 단계들은, 시스템 제어부(207)가 불휘발성 메모리(210)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212)에 로딩해서 실행함에 의해 실현된다.
도 8에 나타낸 단계S801∼S804, S806, S807의 처리는, 제1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6에 나타내는 단계S601∼단계S604, 단계S606, 단계S607과 각각 같은 처리다. 이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S8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802에서 취득한 메뉴의 N(초기값 N=1)계층상의 메뉴의 정보와 설정 불가의 조건을 취득한다. 단계S8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808에서 취득한 설정 불가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 즉 단계S802에서 취득한 메뉴의 N계층상의 메뉴에서의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가능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가능한 경우에는(단계S809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810에 진행된다.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불가능한 경우에는(단계S809에서 NO),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814에 진행된다.
단계S8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802에서 취득한 메뉴의 N계층상의 메뉴를 표시부(101)에 표시한다.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811에 진행된다. 단계S811∼S813의 처리는, 제1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6에 나타내는 단계S608∼단계S610과 각각 같은 처리다. 이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S8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808에서 취득한 메뉴가 최상위계층의 메뉴, 즉 톱 메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메뉴가 최상위계층일 경우에는(단계S814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816에 진행된다. 그 메뉴가 최상위계층이 아닐 경우에는(단계S814에서 NO),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815에 진행된다.
단계S81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하나의 계층씩 계층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N에 1을 가산한다. 그 후,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808에 진행된다. 단계S81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쇼트컷 기능은 이용 가능하지 않다"등,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가능한 메뉴 항목을 가지는 메뉴가 없다는 경고 표시를 표시부(101)에 표시한다. 단계S81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816에서 표시한 경고 표시의 표시 시간을 카운트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소정시간이 경과했을 경우에는(단계S817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819에 진행된다.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S817에서 NO),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818에 진행된다.
단계S81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유저에 의해 조작부(104)의 쇼트컷 키가 눌려진 것인가 아닌가를 검출한다. 시스템 제어부(207)가 쇼트컷 키가 눌려진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는(단계S818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819에 진행된다. 시스템 제어부(207)는 쇼트컷 키가 눌려진 것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S818에서 NO), 시스템 제어부(207)는 단계S817에 되돌아간다. 단계S818에서, 시스템 제어부(207)는 유저가 단계S801에서 눌려진 쇼트컷 키와 같은 쇼트컷 키가 눌려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여도 된다. 단계S81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7)는 표시부(101)에 경고 표시를 숨겨서(표시를 해제해서), 메뉴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제4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의 설정이나 동작 지시가 무효인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207)는 상위계층 메뉴를 표시한다. 여기서, 시스템 제어부(207)는, 설정이나 동작 지시가 유효한 메뉴까지 계층을 상승시킨다. 달리 말하면,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의 설정이나 동작 지시가 무효일 경우, 시스템 제어부(207)는, 쇼트컷 키에 할당된 메뉴보다도 상위계층의 메뉴 중, 설정이나 동작 지시가 가능한 메뉴 항목을 가지는 최하위계층의 메뉴를 표시한다. 따라서, 유저는 설정이나 동작 지시가 가능한 메뉴 항목을 가지는 메뉴를 열 때까지의 조작을 생략할 수 있고, 재빠르게 그 메뉴로 이행할 수 있다. 이것은, 유저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쇼트컷 기능을 특정 키인 쇼트컷 키에 할당해서 사용하는 경우를 다루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메뉴의 할당의 변경을 할 수 없는 쇼트컷 키를 본 예시적 실시예에 적용하는 경우 전술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시스템 제어부(207)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어는, 1개의 하드웨어로 행해도 된다. 이와는 달리, 복수의 하드웨어가 처리를 분담하여서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해도 된다. 본 발명을 그 적합한 예시적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여러 가지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전술한 예시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 실시예들에 지나지 않는다. 그 예시적 실시예들은, 적당하게 조합되어도 된다.
전술한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디지털 비디오카메라에 사용했을 경우를 예로서 사용하여 설명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메뉴로 구성되는 계층 메뉴 중 특정한 메뉴를 특정한 조작부에 의한 조작으로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장치에 적용되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는, 퍼스널 컴퓨터, 휴대정보 단말기(PDA), 휴대전화단말, 휴대형 화상 뷰어,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프린터 장치, 디지털 포토 프레임, 음악 플레이어, 게임기, 전자 북 리더(reader) 및 타블렛 단말에 적용되어도 된다.
<기타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국면들은,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 등의 디바이스들)의 컴퓨터에 의해서, 또한,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단계들,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기록매체(예를 들면,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와, 상기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록매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아주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30)

  1. 표시 제어장치로서,
    상기 표시 제어장치에 관한 설정 또는 동작 지시를 행하기 위한, 복수의 메뉴로 구성되는 계층 메뉴 중, 특정의 메뉴를 표시시키는 특정의 조작부; 및
    상기 특정의 메뉴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있을 때에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메뉴의 표시를 해제하고, 또한 상기 특정의 메뉴 및 상기 특정의 메뉴보다 1계층상의 메뉴의 양쪽과 다른 메뉴를 표시하고 있을 때에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특정의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 표시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특정의 메뉴보다 1계층상의 메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또 상기 특정의 메뉴에 이행하기 위한 메뉴 항목이 선택되어 있을 때에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메뉴의 표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특정의 메뉴보다 1계층상의 메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또 상기 특정의 메뉴에 이행하기 위한 메뉴 항목이 선택되지 않고 있을 때에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특정의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촬상부; 및
    상기 촬상부가 촬상을 행하는 촬영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설정부에 의해 상기 촬영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와, 상기 특정의 메뉴보다도 1계층상의 메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고, 또 상기 특정의 메뉴에 이행하기 위한 상기 메뉴 항목이 선택되어 있을 때에도,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의 메뉴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특정의 메뉴와 다른 메뉴를 표시하고 있을 때에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의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메뉴를 해제할 때, 상기 표시부의 표시 상태를, 상기 계층 메뉴를 열기 전의 표시 상태에 복원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유저의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의 조작부에 상기 복수의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특정의 메뉴로서 할당하는 할당부를 더 구비한, 표시 제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조작부를 복수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특정의 조작부에는 다른 메뉴가 할당되어 있는, 표시 제어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어, 상기 특정의 메뉴를 표시부에 표시할 때, 상기 특정의 메뉴가 무효일 경우에는, 상기 특정의 메뉴보다도 1계층상의 메뉴를 표시하고, 또 상기 특정의 메뉴에 이행하기 위한 메뉴 항목이 무효인 것을 인식 가능하게 표시하는, 표시 제어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메뉴 중 상기 특정의 메뉴와 다른 메뉴를 표시시키는 메뉴 조작부를 더 구비한, 표시 제어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메뉴 조작부가 조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메뉴 중, 최상위계층의 메뉴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메뉴 조작부가 조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메뉴 중, 전회 상기 메뉴의 표시를 해제했을 때 이전에 표시된 메뉴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장치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촬상부를 가지는 촬상장치로서 기능하는, 표시 제어장치.
  14.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 제어장치에 관한 설정 또는 동작 지시를 행하기 위한, 복수의 메뉴로 구성되는 계층 메뉴 중, 특정의 메뉴를 특정의 조작부에 의한 조작으로 표시시키는 단계; 및
    상기 특정의 메뉴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있을 때에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메뉴의 표시를 해제하고, 또한 상기 특정의 메뉴 및 상기 특정의 메뉴보다 1계층상의 메뉴의 양쪽과 다른 메뉴를 표시하고 있을 때에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특정의 메뉴를 표시하도록, 표시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한,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15. 표시 제어장치에 관한 설정 또는 동작 지시를 행하기 위한, 복수의 메뉴로 구성되는 계층 메뉴 중, 특정의 메뉴를 특정의 조작부에 의한 조작으로 표시시키는 단계; 및
    상기 특정의 메뉴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있을 때에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메뉴의 표시를 해제하고, 또한 상기 특정의 메뉴 및 상기 특정의 메뉴보다 1계층상의 메뉴의 양쪽과 다른 메뉴를 표시하고 있을 때에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특정의 메뉴를 표시하도록, 표시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한 동작을, 컴퓨터에게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6. 표시 제어장치로서,
    상기 표시 제어장치에 관한 설정 또는 동작 지시를 행하기 위한, 복수의 메뉴로 구성되는 계층 메뉴 중, 특정의 메뉴를 표시시키는 특정의 조작부; 및
    상기 특정의 메뉴에 의한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가능할 때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특정의 메뉴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또한 상기 특정의 메뉴에 의한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불가능할 때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특정의 메뉴보다도 상위계층의 메뉴를, 상기 특정의 메뉴에 이행하기 위한 메뉴 항목이 무효로 인식 가능하게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 표시 제어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유저의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의 조작부에 상기 복수의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특정의 메뉴로서 할당하는 할당부를 더 구비한, 표시 제어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조작부를 복수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특정의 조작부에는, 다른 메뉴가 할당되어 있는, 표시 제어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메뉴 항목을 그레이아웃으로 표시하여서 상기 특정의 메뉴에 이행하기 위한 상기 메뉴 항목이 무효인 것을 인식 가능하게 표시하는, 표시 제어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특정의 메뉴에 의한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불가능할 때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특정의 메뉴보다도 1계층상의 메뉴를,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불가능한 메뉴 항목이 무효인 것을 인식 가능하게 표시되도록 표시하는, 표시 제어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특정의 메뉴에 의한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불가능할 때와, 상기 특정의 메뉴보다도 1계층상의 메뉴가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가능한 메뉴 항목이 없을 때에,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 상기 특정의 메뉴보다도 2계층상의 메뉴를,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불가능한 메뉴 항목이 무효인 것을 인식 가능하게 표시되도록 표시하는, 표시 제어장치.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특정의 메뉴에 의한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불가능할 때에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특정의 메뉴보다도 상위계층의 메뉴 중,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가능한 메뉴 항목을 가지는 최하위계층의 메뉴를,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불가능한 메뉴 항목이 무효인 것을 인식 가능하게 표시되도록 표시하는, 표시 제어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특정의 메뉴보다도 상위계층의 메뉴 중 최상위계층의 메뉴가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가능한 메뉴 항목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가능한 메뉴 항목을 가지는 메뉴가 없다는 경고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경고의 표시를 해제하는, 표시 제어장치.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뉴로 구성되는 계층 메뉴 중, 상기 특정의 메뉴와 다른 메뉴를 표시시키는 메뉴 조작부를 더 구비한, 표시 제어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메뉴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최상위계층의 메뉴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메뉴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전회, 메뉴의 표시를 해제했을 때 이전에 표시된 메뉴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장치.
  2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장치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촬상부를 가지는 촬상장치로서 기능하는, 표시 제어장치.
  29. 표시 제어장치에 관한 설정 또는 동작 지시를 행하기 위한 복수의 메뉴로 구성되는 계층 메뉴 중, 특정의 메뉴를 표시시키기 위한 특정의 조작부를 구비한 상기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특정의 메뉴에 의한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가능할 때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특정의 메뉴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또한 상기 특정의 메뉴에 의한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불가능할 때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특정의 메뉴보다도 상위계층의 메뉴를, 상기 특정의 메뉴에 이행하기 위한 메뉴 항목이 무효인 것을 인식 가능하게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한,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30. 표시 제어장치에 관한 설정 또는 동작 지시를 행하기 위한 복수의 메뉴로 구성되는 계층 메뉴 중, 특정의 메뉴를 표시시키기 위한 특정의 조작부를 구비한 상기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게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특정의 메뉴에 의한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가능할 때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특정의 메뉴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또한 상기 특정의 메뉴에 의한 설정 또는 동작 지시가 불가능할 때 상기 특정의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특정의 메뉴보다도 상위계층의 메뉴를, 상기 특정의 메뉴에 이행하기 위한 메뉴 항목이 무효인 것을 인식 가능하게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120181A 2011-10-28 2012-10-29 표시 제어장치, 및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KR101581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37500 2011-10-28
JP2011237501A JP5901228B2 (ja) 2011-10-28 2011-10-28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237500A JP5893341B2 (ja) 2011-10-28 2011-10-28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11-237501 2011-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638A KR20130047638A (ko) 2013-05-08
KR101581306B1 true KR101581306B1 (ko) 2015-12-31

Family

ID=4735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181A KR101581306B1 (ko) 2011-10-28 2012-10-29 표시 제어장치, 및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85411B2 (ko)
EP (2) EP2587791B1 (ko)
KR (1) KR101581306B1 (ko)
CN (1) CN1030959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81880A (en) * 2013-02-20 2021-01-12 Panasonic Ip Corp America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pparatus and program
SG2014010086A (en) 2013-02-20 2015-02-27 Panasonic Ip Corp America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apparatus and program
US9235407B1 (en) * 2013-03-15 2016-01-12 The Mathworks, Inc. Scoped settings for a programming environment
JP2015158753A (ja) * 2014-02-21 2015-09-03 ソニー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機器および制御装置
JP6365093B2 (ja) * 2014-08-06 2018-08-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4219385B (zh) * 2014-08-27 2017-08-25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按键功能控制方法
CN104216633B (zh) * 2014-08-27 2018-05-15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
US10254922B2 (en) 2014-09-12 2019-04-09 Canon Kabushiki Kaisha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menus
CN105573593B (zh) * 2014-10-09 2019-01-18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快捷菜单的显示方法及装置
JP6494376B2 (ja) * 2015-03-31 2019-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7015046A1 (en) 2015-07-17 2017-01-26 Crown Equipment Corporation Processing device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dustrial vehicle
JP6564684B2 (ja) * 2015-10-27 2019-08-21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423202B2 (en) * 2016-04-07 2019-09-24 Intel Corporation System power management
WO2018098026A1 (en) 2016-11-22 2018-05-31 Crown Equipment Corporation User interface device for industrial vehicle
US10739842B2 (en) 2017-04-01 2020-08-11 Intel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and protection
JP2019040426A (ja) * 2017-08-25 2019-03-1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885289B2 (ja) * 2017-09-29 2021-06-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US10790682B2 (en) 2018-03-30 2020-09-29 Intel Corporation Hybrid power boost charging with peak power protection
GB201908996D0 (en) * 2018-06-29 2019-08-07 Canon Kk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20004283A (ja) * 2018-06-29 2020-01-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20004285A (ja) * 2018-06-29 2020-01-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JP7204434B2 (ja) 2018-11-15 2023-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WO2021019777A1 (ja) * 2019-08-01 2021-02-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JP7467229B2 (ja) * 2020-05-15 2024-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3342486B (zh) * 2021-05-20 2023-03-10 深圳市鸿合创新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控制系统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5549A1 (en) * 2001-02-05 2002-08-08 Tatsuo Yokota Function executing apparatus and menu item displaying method therefor
JP2008203910A (ja) * 2007-02-16 2008-09-04 Funai Electric Co Ltd 情報記録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8910A (en) * 1990-04-19 1993-05-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Menu driven and method system for informing which past selections have caused disabled actions
JPH04207694A (ja) 1990-11-30 1992-07-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隔操作システム
US5760776A (en) * 1995-12-13 1998-06-02 Oracle Corporation Menu editor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3346333B2 (ja) 1999-04-16 2002-11-18 村田機械株式会社 操作装置
US6959422B2 (en) * 2001-11-09 2005-10-25 Corel Corporation Shortcut key manager and method for managing shortcut key assignment
US7191411B2 (en) * 2002-06-06 2007-03-13 Moehrle Armin E Active path menu navigation system
US7827508B2 (en) * 2002-09-13 2010-11-02 Eastman Kodak Company Hotkey function in digital camera user interface
JP3700031B2 (ja) 2003-03-10 2005-09-28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US20050054381A1 (en) 2003-09-05 200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active user interface
JP2005221771A (ja) 2004-02-05 2005-08-18 Canon Inc 撮像装置及び機能表示方法
US20060123360A1 (en) 2004-12-03 2006-06-08 Picsel Research Limited User interfaces for data processing devices and systems
KR101156685B1 (ko) 2005-08-24 2012-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이미지의 설정변경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이미지 처리장치
US8959476B2 (en) * 2006-01-11 2015-02-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entralized context menus and tooltips
US20070240073A1 (en) 2006-04-07 2007-10-11 Mccarthy Kev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101373B2 (ja) * 2007-04-10 2012-12-19 古野電気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US8862252B2 (en) 2009-01-30 2014-10-14 Apple Inc. Audio user interface for displayless electronic device
US9213466B2 (en) 2009-07-20 2015-12-15 Apple Inc. Displaying recently used functions in context sensitive menu
US20110119626A1 (en) 2009-11-19 2011-05-19 Robert Bosch Gmbh Entertainment system smart keys
US8631350B2 (en) 2010-04-23 2014-01-14 Blackberry Limited Graphical context short menu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5549A1 (en) * 2001-02-05 2002-08-08 Tatsuo Yokota Function executing apparatus and menu item displaying method therefor
JP2008203910A (ja) * 2007-02-16 2008-09-04 Funai Electric Co Ltd 情報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06912B1 (en) 2020-04-22
KR20130047638A (ko) 2013-05-08
EP2587791A2 (en) 2013-05-01
EP2587791B1 (en) 2017-12-13
EP3306912A1 (en) 2018-04-11
US20130111410A1 (en) 2013-05-02
EP2587791A3 (en) 2013-06-26
CN103095986B (zh) 2016-06-29
CN103095986A (zh) 2013-05-08
US9485411B2 (en)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306B1 (ko) 표시 제어장치, 및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KR101653602B1 (ko)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16517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819857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KR101966077B1 (ko)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792372B2 (ja)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486191B2 (ja) 撮像ユニット、通信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6312423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5602524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15022339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70230578A1 (en) Image captur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893341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59094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40365973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4653939B2 (ja) 画像再生装置
JP6418901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6188484B2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6444350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6092543A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48766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23025414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210795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0204955A (ja) 電子機器、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19132873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