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983B1 - 블록 턴오버 장치 및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 턴오버 장치 및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983B1
KR101580983B1 KR1020130127408A KR20130127408A KR101580983B1 KR 101580983 B1 KR101580983 B1 KR 101580983B1 KR 1020130127408 A KR1020130127408 A KR 1020130127408A KR 20130127408 A KR20130127408 A KR 20130127408A KR 101580983 B1 KR101580983 B1 KR 101580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tructure
plate
block
crane
turn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7389A (ko
Inventor
우범석
윤두오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7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983B1/ko
Publication of KR20150047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4Slings with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블록 턴오버 장치 및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이 제공된다. 블록 턴오버 장치는, 블록구조물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견인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크레인의 하방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주행레일, 및 주행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주행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견인부에 매달린 블록구조물의 일단부가 접하는 접촉면이 크레인을 향해 형성된 주행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 턴오버 장치 및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Turnover apparatus for block structure and Turnover method for block structure}
본 발명은 블록 형상의 구조물을 뒤집는 턴오버작업을 수행하는 블록 턴오버 장치 및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블록구조물의 턴오버작업을 수행 가능한 블록 턴오버 장치 및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상에서 운항하는 대형 선박이나, 그 밖에 해저면의 탐사 등을 위해 건조되는 해상구조물 등은 육상에 건설되는 빌딩에 준하거나 이를 상회하는 크기로 제작된다. 대형선박이나 해상구조물 등은 도크나 야드 상에서 제작되어, 완성단계에서 해상에 진수될 수 있다.
이러한 초거대 구조물은 건물과 같이 지면에 기초를 세워 한번에 제작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육상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제작방식이 바람직하지도 않다. 따라서, 종래 이를 서로 다른 야드나 도크 상에서 수 개의 블록 단위로 구획하여 제작하고, 제작된 블록구조물들을 조립하여 완성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한편, 이와 같이 블록형태의 구조물로 나누어 제작하면, 각종 설비나 배관, 부품 등을 설치하는 작업이 좀 더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블록구조물을 정규상태에서 비정규상태로 또는 비정규상태에서 정규상태로 뒤집는 턴오버(Turnover) 작업을 통해 블록구조물을 적절히 정렬하고, 정렬된 상태의 블록구조물에 작업자가 진입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턴오버작업은 오버헤드 크레인과 같은 대형크레인의 와이어 장비에만 의존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었다. 따라서, 작업간에 블록구조물이 균형을 잃거나 한쪽으로 치우치는 등 작업이 효율적으로, 빠르게 완료되기 어려웠으며, 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지기 쉬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10-0988106호 등에 지상에서 프레임을 회전시켜 구조물을 뒤집는 장치 등이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대상구조물의 형태나 크기, 중량 등에 관계하여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 밖에 없는 바, 이를 이용하여 중량이 큰 대형 구조물이나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구조물을 턴오버시키는 데는 무리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8106호, (2010.10.18)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작업을 수행 가능한 블록 턴오버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며, 또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블록구조물을 턴오버시킬 수 있는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 턴오버 장치는, 블록구조물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견인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상기 크레인의 하방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주행레일; 및 상기 주행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견인부에 매달린 상기 블록구조물의 일단부가 접하는 접촉면이 상기 크레인을 향해 형성된 주행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주행플레이트는 상기 견인부와 중첩되는 직하방 영역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주행레일에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행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롤러 상단에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주행플레이트는, 상기 블록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판 형상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면에 적층되어 상기 블록구조물과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충격을 완충하는 탄성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상면인 상기 접촉면에 상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레일 또는 상기 주행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주행플레이트를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은, 블록구조물을 견인하여 상방으로 상승시키는 (a) 단계; 상기 블록구조물의 하방에 주행플레이트를 위치시키고, 일단부가 상기 주행플레이트에 접하도록 상기 블록구조물을 하강시키는 (b) 단계; 상기 주행플레이트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블록구조물을 회전이동시키는 (c) 단계; 및 상기 주행플레이트에 접한 상기 블록구조물의 일단부를 견인하여 상방으로 상승시키는(d)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블록구조물을 견인하는 견인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상기 견인와이어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 턴오버 장치로, 각종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작업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선박이나 해상구조물 등의 제작 효율을 높이고,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으로, 고중량의 대형 블록구조물이나 그밖의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작업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이나 해상구조물 등의 제작 효율을 높이고,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 턴오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턴오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행플레이트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턴오버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구조물 턴오버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 턴오버 장치,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에 대해 차례로 설명하되,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 턴오버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 후, 이를 토대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 턴오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턴오버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 상의 블록구조물은 선박이나 해양구조물 등의 선체를 구성하는 블록 형태의 구조물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며, 따라서 블록구조물이 반드시 선체를 구성하는 것일 필요는 없다. 즉, 적어도 일단부가 주행플레이트에 접하고, 타단부가 견인되어 회전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구조물이 블록구조물이 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 턴오버 장치(1)는 블록구조물(A)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견인부(110)를 포함하는 크레인(10)과, 크레인(10) 하방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주행레일(20), 및 주행레일(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주행레일(2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주행플레이트(30)를 포함한다. 이 때, 주행플레이트(30) 상단에는 크레인(10)을 향하는 접촉면(310a)이 형성되고, 블록구조물(A)은 크레인(10)의 견인부(110)에 매달려 일단부가 주행플레이트(30)에 접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구조물(A)의 일단부는 주행플레이트(30)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면서 주행플레이트(3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수평이동이 가능하다. 이로써 블록구조물(A)은 견인부(110)의 연결고리(111) 등에 매달린 타단부를 중심으로 손쉽게 회전하여 정렬상태가 반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블록구조물(A)의 일단부가 주행플레이트(30)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블록구조물(A)의 크기나 중량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도 무리 없이 적용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블록구조물(A)의 형상에도 특별히 제약을 받지 않아 다양한 종류의 블록구조물(A) 턴오버 작업시에 블록 턴오버 장치(1)가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이러한 장점을 갖는 블록 턴오버 장치(1)의 각 구성부와 특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크레인(10)은 가이드바(120)를 따라 움직이는 연결바(100)와 연결바(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견인부(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견인부(110)는 체인 또는 와이어 등의 연결체 끝단부에 연결고리(111) 등이 형성된 호이스트(Hoist)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견인부(110)는 블록구조물(A) 표면에 형성된 연결러그(Aa)에 상기 연결고리(111)를 체결하여 블록구조물(A)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크레인(10)은 블록구조물(A)이 건조되는 작업장이나 야드(Yard) 상부를 따라 연장되고 일 측이 지지대(121)에 지지되는 가이드바(120)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크레인(Overhead crane), 또는 겐트리 크레인(Gantry cran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크레인(10)이 이로써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회동 가능한 아암(Arm) 등을 포함하는 또 다른 형태의 크레인(10)을 선택적,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크레인(10)을 구성할 수도 있다.
주행레일(20)은 이러한 크레인(10)의 하방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때, 수평방향이라 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드나 작업장의 바닥면인 지면(B)과 평행한 방향을 말하는 것일 수 있다. 주행레일(20)은 지면(B)을 따라 적어도 한 쌍이 서로 이격된 채 평행하게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주행레일(20)은 크레인(10)의 가이드바(120)와 적어도 일부가 교차 또는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주행레일(20)의 사이에는 서로 병렬로 나란히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롤러(210)가 설치된다. 지지롤러(210)는 강성이 높은 금속재가 원통형으로 가공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행레일(20) 사이에 축결합 되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지지롤러(210)에 벨트와 같은 동력전달장치를 결합하여 지지롤러(210)의 회전을 보조하도록 할 수도 있다.
주행플레이트(30)는 주행레일(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주행레일(2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주행플레이트(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10)의 견인부(110)와 중첩되는 직하방 영역 내에 위치하고, 이러한 영역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견인부(110)와 중첩되는 직하방 영역은 견인부(110)를 기준으로 주행플레이트(30)의 길이만큼 도면상의 좌우로 확장된 영역일 수 있다. 견인부(110)의 위치가 변화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부(110)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견인부(110)와 중첩되는 직하방 영역 역시 그에 대응하여 변동되고, 확장될 수 있다.
주행플레이트(30)는 예를 들어, 주행레일(20) 일 측에 형성되는 셔틀부(330)를 통해 주행레일(20)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주행플레이트(30)는 주행레일(20) 사이에 연결된 지지롤러(210) 상단에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주행플레이트(30)에 가해진 하중은 병렬 배치된 지지롤러(210)에 분산되어 적절히 해소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블록 턴오버 장치(1)는 주행레일(20)을 따라 주행플레이트(30)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피스톤장치와 같은 리니어 액츄에이터나, 모터장치와 같은 로터리식 액츄에이터 등이 체인, 기어, 벨트, 또는 그 밖의 견인장치와 같은 각종 동력전달장치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구동부는 예를 들어, 주행레일(20) 또는 주행플레이트(30)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주행플레이트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턴오버 장치의 작동도이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주행플레이트(30)는 블록구조물(A)을 좀 더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플레이트(30)는 판 형상의 지지플레이트(320)로 블록구조물(A)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형성하되, 지지플레이트(320) 상면에는 탄성플레이트(310)를 적층 형성하여 블록구조물(A)과 지지플레이트(320) 사이에 전달, 생성, 전파되는 각종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320)는 예를 들어, 강성이 높은 판상의 금속재가 중첩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탄성플레이트(310)는 우레탄계 합성물질이나 탄성 및 인장력이 큰 고강도의 합성섬유재 등이 서로 적층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320)와 탄성플레이트(310) 상호간의 두께는 대상 블록구조물(A)의 크기, 하중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탄성플레이트(310)의 상면 즉, 크레인(도 2의 10 참조)을 향하는 주행플레이트(30)의 접촉면(310a)에는 상부를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311)는 블록구조물(A)의 단부와 접하여 이를 주행플레이트(30)의 이동방향으로 가압하거나, 탄성플레이트(310)와 함께 블록구조물(A)에 밀착되어 블록구조물(A)이 접촉면(310a)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기부(311)가 쐐기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로써 한정될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다양한 형태의 돌기부(311)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블록 턴오버 장치(1)는 블록구조물(A)을 회전시켜 정렬상태를 용이하게 반전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구조물(A)은 일단부가 주행플레이트(30)의 접촉면(310a)에 접촉되고, 반대편 타단부는 견인부(110)에 의해 견인되어 하중이 분산된 상태로 주행플레이트(30) 위에 비스듬히 놓인다. 이 때, 블록구조물(A)의 타단부에 형성된 연결러그(Ab)와 견인부(110)의 연결고리(111)가 체결되어 견인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행플레이트(30)가 일 측으로 수평 이동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구조물(A)의 일단부가 함께 이동하고, 블록구조물(A)이 견인된 타단부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블록구조물(A)은 최초에 주행플레이트(30)를 향하던 저면이 상방에 위치한 크레인(10)을 향하도록 반전되어 턴오버(Turnover)되는 것이다. 턴오버 작업은 블록구조물(A)의 일단부에 형성된 또 다른 연결러그(Aa)를 견인하는 등의 방법으로, 블록구조물(A)을 상승 및 이동시킴으로써 완료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 턴오버 장치(1)는 대상 블록구조물(A)의 크기나 중량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도 용이하게 턴오버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방식으로 블록구조물(A)의 형상에 따른 제약 없이 다양한 종류의 블록구조물(A)을 턴오버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은 전술한 블록 턴오버 장치(도 1의 1 참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 구성부에 대한 사항은 별도의 설명 없이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은, 블록구조물(A)을 견인하여 상방으로 상승시키는 단계와, 블록구조물(A)의 하방에 주행플레이트(30)를 위치시키고 일단부가 주행플레이트(30)에 접하도록 블록구조물(A)을 하강시키는 단계, 주행플레이트(3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블록구조물(A)을 회전 이동시키는 단계, 및 주행플레이트(30)에 접한 블록구조물(A)의 일단부를 견인하여 상방으로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블록구조물(A)의 정렬상태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최초에, 블록구조물(A)을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부(110)로 견인하여, 일정 높이로 상승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 때, 가이드바(120)를 따라 이동 가능한 서로 다른 연결바(100)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연결바(100)에 형성된 복수의 견인부(110)로부터 서로 다른 연결고리(111)를 연장하고, 이를 블록구조물(A)의 일단부에 형성된 연결러그(Aa)와 반대편 타단부에 형성된 연결러그(Ab)에 각각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구조물(A) 하방에 주행플레이트(30)를 위치시킨 후,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주행플레이트(30)에 접하도록 블록구조물(A)을 하강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상으로는 블록구조물(A)이 주행플레이트(30)의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도 5의 (b) 참조) 반드시 이와 같이 진행할 필요는 없다. 즉, 블록구조물(A) 및 주행플레이트(3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를 향해 각각 또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블록구조물(A) 하방에 주행플레이트(30)가 위치할 수 있다.
블록구조물(A)은 블록구조물(A) 일단부에 형성된 연결러그(Aa)와 연결된 견인부(110)를 신장시킴으로써, 비대칭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구조물(A)의 일단부가 주행플레이트(30)에 접하여 블록구조물(A)이 안정적으로 회전을 준비하게 된다. 이 때, 탄성플레이트(도 3의 310 참조)를 포함하는 접촉면(310a)이 충격에 의한 블록구조물(A)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플레이트(3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블록구조물(A) 전체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 때, 블록구조물(A)의 일단부에 형성된 연결러그(Aa)는 견인부(110)와 분리되어 자유단으로 놓이며, 블록구조물(A)의 타단부는 블록구조물(A)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승하여 견인와이어(견인부와 연결고리 사이에 연결된 체인 또는 와이어 등의 연결부재를 말한다)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블록구조물(A)은 주행플레이트(30)를 주행레일(20)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턴오버되는 것이다. 이는 블록구조물(A)의 하중을 주행플레이트(30)와 견인부(110)로 분산시켜 유지함으로써 획득되는 장점이며, 견인부(110)를 구동하여 견인와이어(견인부와 연결고리 사이에 연결된 체인 또는 와이어 등의 연결부재)를 적절히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이를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블록구조물(A)의 하중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병렬 배치된 지지롤러(210)로 분산되어 적절히 해소된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을 유기적으로 이용하여 중량이 큰 대형 블록구조물(A)도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턴오버시킬 수 있다.
블록구조물(A)의 정렬상태가 반전되면,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플레이트(30)에 접한 블록구조물(A)의 일단부를 다시 견인하여 상방으로 상승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로써, 턴오버 작업이 종료하고, 블록구조물(A)은 최초에 주행플레이트(30)를 향하던 저면이 크레인(10)을 향하도록 정렬상태가 완전히 반전된다.
블록구조물(A)의 일단부에 형성된 연결러그(Aa)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연결바(1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또 다른 견인부(110)와 연결되어 견인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구조물(A)은 반전된 상태로 다시 일정 높이로 상승한다. 이를 지면(B)에 안착하거나 별도의 작업프레임 등에 이송하여, 블록구조물(A)에 각종 설비나 부품 등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블록구조물(A)이 상승되면, 주행플레이트(30)는 다시 수평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으로, 이미 한번 턴오버가 끝난 블록구조물(A)을 다시 원상태로 복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부품 등의 설비가 완료된 후, 블록구조물(A)을 서로 조립할 때에도 역시 이러한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이 요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은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블록 턴오버 장치 10: 크레인
20: 주행레일 30: 주행플레이트
100: 연결바 110: 견인부
111: 연결고리 120: 가이드바
121: 지지대 210: 지지롤러
310: 탄성플레이트 310a: 접촉면
311: 돌기부 320: 지지플레이트
330: 셔틀부
A: 블록구조물 Aa, Ab: 연결러그

Claims (8)

  1. 블록구조물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견인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상기 크레인의 하방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한 쌍의 주행레일;
    상기 주행레일의 사이에 서로 병렬로 나란히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견인부에 매달린 상기 블록구조물의 일단부가 접하는 접촉면이 상기 크레인을 향해 형성되고, 상기 블록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판 형상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 적층되어 상기 블록구조물과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충격을 완충하는 탄성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주행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블록 턴오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플레이트는 상기 견인부와 중첩되는 직하방 영역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블록 턴오버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상면에 상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 턴오버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레일 또는 상기 주행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주행플레이트를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 턴오버 장치.
  7. 블록구조물을 견인하여 상방으로 상승시키는 (a) 단계;
    상기 블록구조물의 하방에 상기 블록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판 형상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 적층되어 상기 블록구조물과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는 탄성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주행플레이트를 위치시키고, 일단부가 상기 주행플레이트에 접하도록 상기 블록구조물을 하강시키는 (b) 단계;
    상기 주행플레이트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블록구조물을 회전이동시키는 (c) 단계; 및
    상기 주행플레이트에 접한 상기 블록구조물의 일단부를 견인하여 상방으로 상승시키는(d)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행플레이트는 적어도 한 쌍의 주행레일 사이에 병렬 연결된 지지롤러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블록구조물을 견인하는 견인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상기 견인와이어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
KR1020130127408A 2013-10-24 2013-10-24 블록 턴오버 장치 및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 KR101580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408A KR101580983B1 (ko) 2013-10-24 2013-10-24 블록 턴오버 장치 및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408A KR101580983B1 (ko) 2013-10-24 2013-10-24 블록 턴오버 장치 및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389A KR20150047389A (ko) 2015-05-04
KR101580983B1 true KR101580983B1 (ko) 2015-12-30

Family

ID=53386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408A KR101580983B1 (ko) 2013-10-24 2013-10-24 블록 턴오버 장치 및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9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8495A (ja) * 2005-08-02 2007-02-15 Mitsuru Seiko:Kk 金型反転フック並びに金型反転基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5227B2 (ja) * 1994-05-17 2002-06-24 株式会社コーハン ワーク反転装置
JPH08218641A (ja) * 1995-02-20 1996-08-27 Penta Ocean Constr Co Ltd 柱材の空中建て起こし方法及び装置
KR100988106B1 (ko) 2008-11-04 2010-10-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턴오버 장치
KR101143321B1 (ko) * 2009-10-28 2012-05-09 (주)엠피기술산업 슬라이딩 운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8495A (ja) * 2005-08-02 2007-02-15 Mitsuru Seiko:Kk 金型反転フック並びに金型反転基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389A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6300C (zh) 货物集装箱装卸门式起重机的钢索缠绕支撑系统和方法
KR20060017558A (ko) 선박이송장치
CN110525578B (zh) 一种吊舱安装装置及安装方法
US20200010289A1 (en) Method for operating multi-bar linkage mechanism based conveyor
WO2011122961A2 (en) Lifting frame device
KR200414344Y1 (ko) 선박이송장치
KR101856988B1 (ko) 요트 인양장치
US5765981A (en) Wire rope tensioning and reeving system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s
KR101580983B1 (ko) 블록 턴오버 장치 및 블록구조물의 턴오버 방법
CN102311049A (zh) 一种港口起重机械及其锚定防风机构
WO2016013635A1 (ja) 門型クレーンの固定方法、及び、門型クレーンの固定構造
KR101835052B1 (ko) 붐의 이동이 가능한 해상 크레인
CN210031511U (zh) 海上吊装防砰击快速脱空装置
KR101955386B1 (ko) 바지선을 이용한 해상 크레인
CN110536857B (zh) 船对岸起重机
KR101721706B1 (ko) 부유형 또는 고정형 구조물상에서 해상작업을 위한 해양석유굴착장치의 브릿지 운반배치장치
CN109552984A (zh) 导向定位装置及岸边集装箱起重机
CN108071101B (zh) 导管架起吊装置及利用该装置起吊导管架的方法
KR102248179B1 (ko) 스키드 장치
CN217100422U (zh) 一种船舶下水用滑车的载荷检测装置
US11383804B2 (en) Shiplift platform elevation
KR200402249Y1 (ko) 크레인용 인양물의 무게중심 조정장치
KR101166717B1 (ko) 컨테이너 크레인을 구비하는 이동항구
KR101485658B1 (ko) 천정 크레인 견인 장치
RU2505645C1 (ru) Копровая установ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