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520B1 - 자동차용 스트럿 바 체결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트럿 바 체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520B1
KR101580520B1 KR1020140179120A KR20140179120A KR101580520B1 KR 101580520 B1 KR101580520 B1 KR 101580520B1 KR 1020140179120 A KR1020140179120 A KR 1020140179120A KR 20140179120 A KR20140179120 A KR 20140179120A KR 101580520 B1 KR101580520 B1 KR 101580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bar
engine room
vehicle body
p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국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9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정비성 저하, 잦은 탈부착으로 인한 스터드 나사산 마모, 엔진 룸 레이아웃 불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동차용 스트럿 바의 체결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자동차용 스트럿 바 체결 구조는 자동차의 엔진 룸 전방 차체에 형성된 삽입 홀에 이탈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엔진 룸 전방 차체와 엔진 룸 후방 차체를 연결하는 스트럿 바의 일단을 상기 엔진 룸 전방 차체에 고정하는 삽입 핀; 상기 엔진 룸 전방 차체의 벽에 설치되는 고정 핀; 일단이 상기 스트럿 바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핀에 고정되거나 회동하여 상기 고정 핀으로부터 해제되는 고정 후크; 및 상기 스트럿 바가 상기 엔진 룸 후방 차체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스트럿 바의 타단에 연결되는 힌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스트럿 바 체결 구조{Structure for locking strut bar for vehicle}
본 발명은 스트럿 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단부 본체(엔진룸을 구성하는 구조를 총칭함) 강성 보강용 스트럿 바 장착 구조에 있어서, 스트럿 바 하단 부품 정비 시 스트럿 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스트럿 바의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트럿바는 크게 다음 2가지로 분류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쇽 압소버 마운트를 나타낸 예시도들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좌우 쇽 압소버 마운트(Shock Absorber Mount ; 일명 Shock Tower)를 연결한다. 출고 시 장착 또는 튜닝용품으로 구성, 프론트 및 리어에 장착한다. 상기의 도 1의 경우는 엔진 룸 유지보수 및 정비 시 브레이크 오일 주입, 브레이크 부스터, 연료필터 교체 등의 작업에 영향이 있으나 상시 정비 항목이 아니다.
한편, 쇽 압소버 마운트와 차량 전방 차체(Front End Body)를 연결하는 종래 기술에 의하면, 주로 프론트 엔드 본체(대개의 경우 래치 다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프론트 상부 부재)와 쇽 압소버 마운트의 거리가 먼 대형 세단에 장착된다. 최근 SUV 등에서 보행자 머리 상해치 감소를 위해 헤드 램프 상부 브라켓(헤드 램프를 장착, 지지하기 위한 헤드 램프 상단의 부재)을 삭제한 결과 프론트 상부 부재 및 휀더 에이프런이 분리되어 프론트에 체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대형 승용 차량의 경우 쇽 압소버 마운트와 차량 전방 자체를 연결한다. 에어 클리너 필터교환 시 마다 스트럿 바 분리가 필요하여 정비성을 저하하고 볼트 체결 방식으로 나사산 마모 시 수리비를 과다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대형 승용 차량의 경우 쇽 압소바 마운트와 차량 전방 자체를 연결한다. 반면 도 2 및 도 3의 경우는 상시 정비 항목인 에어클리너 및 필터, 냉각수 탱크, 배터리 등의 작업 시 스트럿 바를 제거해야 하므로 정비성 저하 요인이 된다. 특히 나사 체결 방식인 종래의 스트럿 바의 경우 스터드의 나사산 마모 시 스터드 제거 및 용접 등의 작업을 필요로 하므로 수리비 상승, 품질 문제 우려가 있다.
또한 상시 점검 부품을 스트럿 바를 회피하여 설계하는 경우 엔진 룸 레이아웃에 불리하게 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81860 호에는 스트럿 서포트 바 부재에 의해서 비부의 전연부에 소망 각도가 주어지고 차량 위쪽에의 변형 이동이 억제되어 보강 커버 부재의 비부가 차폭 방향 중앙의 전연부를 위쪽에 이동시키면서 후방에 기울도록 구르는 우려가 없어져 카울 통 패널에 소망 강성을 발휘할 수 있는 보강 커버 부재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81860 호는 스트럿 바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정비성 저하, 잦은 탈부착으로 인한 스터드 나사산 마모, 엔진 룸 레이아웃 불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동차용 스트럿 바의 체결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트럿 바 체결 구조는 자동차의 엔진 룸 전방 차체에 형성된 삽입 홀에 이탈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엔진 룸 전방 차체와 엔진 룸 후방 차체를 연결하는 스트럿 바의 일단을 상기 엔진 룸 전방 차체에 고정하는 삽입 핀; 상기 엔진 룸 전방 차체의 벽에 설치되는 고정 핀; 일단이 상기 스트럿 바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핀에 고정되거나 회동하여 상기 고정 핀으로부터 해제되는 고정 후크; 및 상기 스트럿 바가 상기 엔진 룸 후방 차체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스트럿 바의 타단에 연결되는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후크를 회동하여 해제한 후, 상기 스트럿 바를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 상기 삽입 핀이 상기 엔진 룸 전방 차체의 삽입 홀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스트럿 바가 상기 엔진 룸 전방 차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스트럿 바의 나사 체결 방식(스터드 볼트 + 너트 or 웰드 너트 + 볼트) 대신, 핀과 후크를 이용한 고정 방식을 제공하므로 다음의 효과가 있다.
나사 체결 방식의 경우 보다 후크만 해제하면 바로 스트럿 바를 분리 가능하여 정비성을 향상시킨다. 반복 체결/해제로 인한 나사산 마모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품질 향상을 이룬다. 정비성 저하를 지양해야 할 경우 엔진 룸 레이아웃이 불리해지나, 본 발명에 의해 정비성 저하 문제를 개선하므로 스트럿 바 구성시 엔진 룸 레이아웃이 유리해진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쇽 압소버 마운트를 나타낸 예시도들이다.
도 4는 자동차의 엔진 룸 전방 차체와 엔진 룸 후방 자체를 연결하여 강성을 보강하는 스트럿 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트럿 바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자동차용 스트럿 바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후크의 고정 및 해제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삽입 핀의 삽입 및 이탈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힌지에 의한 스트럿 바의 회동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트럿 바의 체결 구조가 차체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4는 자동차의 엔진 룸 전방 차체와 엔진 룸 후방 자체를 연결하여 강성을를 보강하는 스트럿 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트럿 바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자동차용 스트럿 바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후크의 고정 및 해제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삽입 핀의 삽입 및 이탈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힌지에 의한 스트럿 바의 회동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트럿 바의 체결 구조가 차체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트럿 바의 체결 구조는 삽입 핀(11), 고정 핀(22), 고정 후크(12), 및 힌지(13)를 포함한다.
삽입 핀(11)은 자동차의 엔진 룸 전방 차체(20)에 형성된 삽입 홀(21)에 이탈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엔진 룸 전방 차체(20)와 엔진 룸 후방 차체(30)를 연결하는 스트럿 바(10)의 일단을 상기 엔진 룸 전방 차체(20)에 고정한다.
상기 고정 핀(22)은 상기 엔진 룸 전방 차체(20)의 벽(202)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 후크(12)는 일단이 상기 스트럿 바(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핀(22)에 고정되거나 회동하여 상기 고정 핀(22)으로부터 해제된다. 힌지(13)는 상기 스트럿 바(10)가 상기 엔진 룸 후방 차체(3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스트럿 바(10)의 타단에 연결된다.
상기 고정 후크(12)를 회동하여 해제한 후, 상기 스트럿 바(10)를 상기 힌지(13)를 중심으로 회동하면 상기 삽입 핀(11)이 상기 엔진 룸 전방 차체(20)의 삽입 홀(21)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스트럿 바(10)가 상기 엔진 룸 전방 차체(20)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에어 클리너, 배터리 등의 정비 시 상기 스트럿 바(1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후크(12)를 회동하여 해제한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럿 바(10)를 상기 힌지(13)를 중심으로 회동하면 상기 삽입 핀(11)이 상기 엔진 룸 전방 차체(20)의 삽입 홀(21)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스트럿 바(10)가 상기 엔진 룸 전방 차체(20)로부터 분리되므로 에어 클리너 배터리 등의 정비 작업이 가능하다.
이 때 후드 판넬에 상기 고정 후크(12)를 거치할 수 있는 홀을 구성하면 작업 시 영향을 주지 않으며, 이를 응용하면 상기 스트럿 바(10)를 후드 스테이(후드 오픈 시 지지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스트럿 바
11: 삽입 핀
12: 고정 후크
13: 힌지
20: 엔진 룸 전방 차체
21: 삽입 홀
22: 고정 핀
30: 엔진 룸 후방 차체
202: 벽

Claims (2)

  1. 자동차의 엔진 룸 전방 차체에 형성된 삽입 홀에 이탈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엔진 룸 전방 차체와 엔진 룸 후방 차체를 연결하는 스트럿 바의 일단을 상기 엔진 룸 전방 차체에 고정하는 삽입 핀;
    상기 엔진 룸 전방 차체의 벽에 설치되는 고정 핀;
    일단이 상기 스트럿 바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핀에 고정되거나 회동하여 상기 고정 핀으로부터 해제되는 고정 후크; 및
    상기 스트럿 바가 상기 엔진 룸 후방 차체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스트럿 바의 타단에 연결되는 힌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스트럿 바 체결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후크를 회동하여 해제한 후, 상기 스트럿 바를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 상기 삽입 핀이 상기 엔진 룸 전방 차체의 삽입 홀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스트럿 바가 상기 엔진 룸 전방 차체로부터 분리되는 자동차용 스트럿 바 체결 구조.
KR1020140179120A 2014-12-12 2014-12-12 자동차용 스트럿 바 체결 구조 KR101580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120A KR101580520B1 (ko) 2014-12-12 2014-12-12 자동차용 스트럿 바 체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120A KR101580520B1 (ko) 2014-12-12 2014-12-12 자동차용 스트럿 바 체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520B1 true KR101580520B1 (ko) 2016-01-11

Family

ID=55169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120A KR101580520B1 (ko) 2014-12-12 2014-12-12 자동차용 스트럿 바 체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5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0437A (ja) * 1992-03-24 1993-10-19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100438346B1 (ko) * 1997-07-25 2004-07-02 가부시키가이샤 오츠까 세이야꾸 고죠 환원당이 첨가된 지방유제, 그의 멸균방법 및 그의 포장체
JP2006182137A (ja) * 2004-12-27 2006-07-13 Fuji Heavy Ind Ltd 車体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0437A (ja) * 1992-03-24 1993-10-19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100438346B1 (ko) * 1997-07-25 2004-07-02 가부시키가이샤 오츠까 세이야꾸 고죠 환원당이 첨가된 지방유제, 그의 멸균방법 및 그의 포장체
JP2006182137A (ja) * 2004-12-27 2006-07-13 Fuji Heavy Ind Ltd 車体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6783B2 (en) Positioning and reinforcement structure for a vehicle
US8979180B2 (en) Detachable positioning and reinforcement structure and method of disassembling a front end assembly for a vehicle
US20140062141A1 (en) Hood assembly for a vehicle and method of aligning front end assembly components for a vehicle
US9422008B2 (en) Front cover assembly of utility vehicle
US9157720B2 (en) Dimensional centering structure for a vehicle and method of establishing a dimensional reference datum
KR101580520B1 (ko) 자동차용 스트럿 바 체결 구조
KR101617163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20140054925A (ko) 차량의 헤드 램프 워셔
JP2017030462A (ja) ヘッドランプ取付構造
US8998306B2 (en) Front-end module for a motor vehicle
US7770932B2 (en) Tank holding frame
JP2008100600A (ja) 自動車のフェンダ取付構造
JP7159885B2 (ja) バッテリブラケット取付構造
KR20090062175A (ko) 자동차 칵핏 모듈 투입용 가이드 구조
RU2719076C2 (ru) Крепежный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панели приборов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KR101559052B1 (ko) 도어 가니쉬 어셈블리
KR101894801B1 (ko) 자동차용 데크 조립 가이드 구조
KR102335348B1 (ko) 엔진룸 보강유닛
JP2005219545A (ja) 自動車用灯具
JP5038767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取付部構造
GB2560929A (en) A bracket for mounting a lamp housing to a motor vehicle
JP7295607B2 (ja) 車両構造
KR101359984B1 (ko) 차량용 범퍼의 브래킷 장치
KR100398126B1 (ko) 도장 파손 방지용 펜더 마운팅 구조
KR100838187B1 (ko) 자동차용 언더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