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140B1 - 심 카드 접속용 단자 - Google Patents

심 카드 접속용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140B1
KR101580140B1 KR1020140068603A KR20140068603A KR101580140B1 KR 101580140 B1 KR101580140 B1 KR 101580140B1 KR 1020140068603 A KR1020140068603 A KR 1020140068603A KR 20140068603 A KR20140068603 A KR 20140068603A KR 101580140 B1 KR101580140 B1 KR 101580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 card
support
terminal
connection termina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0162A (ko
Inventor
박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팜스
Priority to KR1020140068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140B1/ko
Publication of KR20150140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심 카드를 장착하기 위해 설치되는 커넥터에서 접속용 단자의 구조를 변경하여 카드조립시 접속용 단자핀의 변형방지를 통한 접속용 단자의 텐션력을 균일하게 유지되게 함은 물론 심 카드의 상부를 가압하는 형태로 심 카드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용 단자를 커버에 더 구비하여 심 카드의 두께 변화에 상관없이 심 카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여 접속용 단자에 균일한 힘이 작용되게 한 심 카드 접속용 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심 카드 접속용 단자{SIM Card Connection Terminal}
본 발명은 심 카드 접속용 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입자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내장된 심 카드(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 SIM Card)를 장착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심 카드 접속용 단자의 구조를 변경하여 카드 조립시 발생되는 단자의 변형을 방지하고, 접속용 단자의 텐션력을 균일하게 유지되게 함과 아울러 심 카드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용 단자를 더 구비하여 심 카드의 두께 변화에 상관없이 심 카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 심 카드 접속용 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용방식은 유럽의 시분할 다중접속방식(GSM)과 북미의 시분할 다중화 방식(TDMA) 및 코드분할 다중화방식(CDMA)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중, 상기 유럽의 시분할 다중접속방식(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하 'GSM 방식'이라 함)은 다양한 네트워크 작동자간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한 국제규격으로서 유럽을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GSM 방식에 이용되는 심 카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거의 모든 정보들을 내장하고 있으며, 특히 암호 등 가입자의 개인정보뿐만 아니라 전화번호, 네트워크 번호 등의 관련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내장되어 있고, 또한 GSM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정위치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심 카드는 휴대폰의 적소에 장착하게 되는데, 통상 휴대폰의 배면 즉,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에 심 카드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심 카드를 휴대폰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심 카드 장착용 커넥터를 구비하게 되는데, 이러한 커넥터는 상기 심 카드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장착되는 심 카드를 메인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용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커버가 몸체의 상부로 설치된다.
종래의 심 카드 접속용 단자는, 통상 도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소정 텐션을 갖도록 소정 경사를 이루며 상부로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끝단에서 호 형상을 이루게 절곡 형성된 자유단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 심 카드 접속용 단자는, 심 카드를 장착시 상기 심 카드에 접촉되는 접속용 단자의 자유단이 하부로 눌린 후 다시 상부로 복원되면서 상기 심 카드의 접점과 접속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자유단의 끝단이 바닥면까지 눌려지게 됨에 의해, 상기 접속용 단자의 텐션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접속용 단자의 자유단이 충분한 텐션을 가질 수 있도록 눌려질 수 있는 공간(높이)을 마련해야 하는데, 상기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커넥터의 두께가 두꺼워져야 한다. 그러나 이는 최근 기기의 소형화로 제품의 두께를 얇게 하는 기술에 역행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심 카드 접속용 단자는, 심 카드를 장착시 상기 심 카드에 접촉되는 접속용 단자의 자유단이 심 카드에 의해 밀리면서 변형이 발생되고, 들림 현상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즉, 소정 텐션을 갖도록 소정 경사를 이루며 상부로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끝단에서 호 형상을 이루게 절곡 형성된 자유단이 장착되는 심 카드에 의해 밀리면서 변형되어 들림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특허 공개번호 제10-2004-0019548호, 휴대폰의 사용자 인증 카드의 고정장치.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0689188호, 아이씨카드용 소켓과 이를 위한 단자.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12540호, 콘넥터. 국내 실용시안 등록번호 제20-0407740호, SIM 카드용 컨택터를 구비한 USB 온라인 충전 카드.
본 발명의 목적은 심 카드를 장착하기 위해 설치되는 커넥터에서 접속용 단자의 구조를 변경하여 카드조립시 접속용 단자핀의 변형방지를 통한 접속용 단자의 텐션력을 균일하게 유지되게 함은 물론 심 카드의 상부를 가압하는 형태로 심 카드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용 단자를 더 구비하여 심 카드의 두께 변화에 상관없이 심 카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여 접속용 단자에 균일한 힘이 작용되게 한 심 카드 접속용 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심 카드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장착되는 심 카드의 접점에 접촉되어 상기 심 카드를 메인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접속용 단자; 및 상기 접속용 단자에 접속되는 심 카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로 설치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용 단자는: 도전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판상(板狀)부; 상기 판상부로부터 소정 경사부를 이루며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심 카드의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가 눌리는 것에 대한 지탱할 수 있는 텐션력을 유지함과 아울러 들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접속부가 하부로 눌리거나 들어올려 질 때에 접속용 단자가 균일한 텐션력을 갖도록 상하로 상호 겹쳐지도록 형성된 상부지지편과 하부지지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지지편과 하부지지편의 겹쳐지는 부위는, 상기 접속부의 일측에서 접속용 단자를 절단하고, 그 절단 부위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상을 변경시킴에 의해, 그 절단 부위가 늘어나게 하여 상기 상부지지편과 하부지지편이 상호 겹쳐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심 카드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용 단자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용 단자는 상기 커버로부터 소정 경사부를 이루며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접속용 단자의 접속부가 상기 심 카드의 접점에 균일한 힘을 유지하면서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상기 심 카드의 상면을 눌러주도록 지지하되, 상기 지지용 단자는: 소정 텐션을 갖도록 어느 일단에 자유단을 구비하고, 그 자유단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상호 인접하는 2개의 지지용 단자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한 쌍을 이루게 형성되고, 상기 커버가 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결합하기 위한 걸림편을 상기 커버의 측면에 형성하고, 상기 걸림편이 걸려 고정되는 걸림홈을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하여, 상기 커버와 몸체가 결합된 후에는 상기 걸림편과 걸림홈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가입자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내장된 심 카드를 장착하기 위해 설치되는 커넥터의 심 카드 접속용 단자에 대한 구조를 변경하여 카드 조립시 발생되는 단자의 변형을 방지하고, 접속용 단자의 텐션력을 균일하게 유지되게 함과 아울러 심 카드의 상부에서 심 카드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용 단자를 더 구비하여 심 카드의 두께 변화에 상관없이 심 카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여 품질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심 카드 접속용 단자가 설치되는 커넥터에 심 카드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심 카드 접속용 단자가 설치되는 커넥터에서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심 카드 접속용 단자가 설치되는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심 카드 접속용 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심 카드 접속용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심 카드 접속용 단자가 설치되는 커넥터에 구비되는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표시의 III-III선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표시의 IV-IV선 단면도이고,
도 12a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심 카드 접속용 단자에 심 카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심 카드 접속용 단자가 설치되는 커넥터에 심 카드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심 카드 접속용 단자가 설치되는 커넥터에서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심 카드 접속용 단자가 설치되는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1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심 카드를 휴대폰에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1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커넥터(100)는 휴대폰(미도시)의 소정 부위 즉, 배터리가 구비되는 휴대폰의 배면에 설치되어, 심 카드(12)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에 장착되는 심 카드(12)의 접점(12a)(도 12a ~도 12b참조)에 접촉되어 상기 심 카드(12)를 메인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접속용 단자(120) 및 상기 접속용 단자(120)에 접속되는 심 카드(12)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0)의 상부로 설치된 커버(1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커버(130)는 메탈(metal)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버(130)를 몸체(11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130)를 몸체(110)의 상부에서 끼우는 형태로 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커버(130)가 몸체(11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하기 위한 걸림편(132)을 상기 커버(130)의 측면에 형성하고, 상기 걸림편(132)이 걸려 고정되는 걸림홈(112)을 상기 몸체(110)의 측면에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130)와 몸체(110)가 결합된 후에는 상기 걸림편(132)과 걸림홈(112)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커넥터(100)에서 심 카드(12)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하는 몸체(110)의 바닥면에 상기 접속용 단자(120)들이 설치된다. 이 접속용 단자(120)들은 상기 몸체(110)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심 카드(12)에 구비되는 접점(12a)과 접속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심 카드 접속용 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심 카드 접속용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표시의 "A"부 확대도이다.
도 5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용 단자(12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접속용 단자(120)는 도전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판상(板狀)부(122)와 상기 판상부(122)로부터 소정 경사부를 이루며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심 카드(12)의 접점(12a)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속부(124) 및 상기 접속부(124)가 눌리는 것을 지탱할 수 있는 텐션력을 유지함과 아울러 들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부(12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부(126)는 접속부(124)의 일측에서 접속용 단자(120)를 절단하고, 그 절단 부위의 형상을 변경하여 상하로 겹쳐지는 상부지지편(126a)과 하부지지편(126b)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접속부(124)가 하부로 눌리거나 들어 올려 질 때에 상기 상부지지편(126a)과 하부지지편(126b)이 겹쳐지는 상태를 계속 유지하므로 카드 조립시 발생되는 단자의 변형을 방지하고, 균일한 텐션력이 작용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접속용 단자(120)의 절단 부위를 상부지지편(126a)과 하부지지편(126b)으로 상호 겹쳐지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단조 가공을 통하여 절단 부위에 의해 분리된 상부지지편(126a) 및 하부지지편(126b)을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상을 변형시킴으로서 그 절단 부위의 길이가 늘어나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절단 부위에서 상부지지편(126a)과 하부지지편(126b)이 상호 겹쳐지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심 카드(12)가 삽입될 때 접속용 단자(120)의 들림 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단조 가공을 통하여 절단 부위에서 상부지지편(126a) 및 하부지지편(126b)의 형상을 변경하여 상부지지편(126a)과 하부지지편(126b)이 상호 겹쳐지는 형태로 형성함으로서, 심 카드(12)의 접점(12a)에 접촉되면서 상기 접속부(124)가 하부로 눌릴 때 겹쳐진 상부지지편(126a)과 하부지지편(126b)에 상호 텐션력이 작용되어 균일한 텐션력이 유지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부(124)의 최고점은 호 형상을 이루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심 카드(12)의 접점(12a)과 용이하게 접촉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접속부(124)가 상기 심 카드(12)에 구비되는 접점(12a)과 직접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판상부(122)의 끝단은 연장하여 기판(미도시)에 용접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심 카드 접속용 단자가 설치되는 커넥터에 구비되는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표시의 III-III선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표시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9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130) 및 그 커버(130)에 형성되는 지지용 단자(14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지지용 단자(140)는 메탈(metal)로 이루어진 커버(130)에 형성되어 심 카드(12)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용 단자(140)는 커버(130)로부터 소정 경사부를 이루며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심 카드(12)의 접점(12a)이 상기 접속용 단자(120)의 접속부(124)에 균일한 힘을 유지하면서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상기 심 카드(12)의 상면을 눌러주도록 지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심 카드(12)의 상면을 눌러주도록 지지하는 지지용 단자(140)는 소정 텐션을 갖도록 어느 일단에 자유단을 구비하고, 그 자유단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상호 인접하는 2개의 지지용 단자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한 쌍을 이루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지지용 단자(140)에 의해 심 카드(12)의 상부면을 균일하게 가압하여 눌러줄 수 있게 하기 위함이고, 이를 위해 상기 지지용 단자(140)는 커버(130)의 상부 양측부에 균형이 맞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용 단자(140)에 의해 심 카드(12)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형태로 눌러줌으로서 심 카드(12)의 두께가 변하여도 심 카드(12)의 접점(12a)이 접속용 단자(120)의 접속부(124)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즉, 심 카드(12)의 두께 차이를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는 없으나, 실 제품에서는 심 카드의 두께 차이가 발생되고, 그 두께 차이로 인하여 접속용 단자와의 접속 불량이 발생된다.
예컨대, 심 카드의 두께 차이로 인하여 심 카드의 접점과 접속용 단자의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커버(130)에 지지용 단자(140)를 형성하여 심 카드(12)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형태로 지지하여 주게 되면 심 카드의 접점과 접속용 단자의 접촉 불량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2a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심 카드 접속용 단자에 심 카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에 구비되는 공간부에 심 카드(12)를 장착하게 되면, 상기 심 카드(12)는 접속용 단자(120)의 접속부(124)를 하부로 누르면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접속용 단자(120)에 구비된 지지부(126)에 의해 상기 접속부(124)가 눌리는 힘을 지탱하게 된다. 즉, 절단 부위가 적층되게 형성되어 접속부(124)가 눌릴 때 적층 상태를 유지하면서 눌리는 힘을 지탱하게 되고, 또 단자의 들림 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심 카드(12)를 장착할 때 소정 텐션을 받으면서 하부로 눌린 후 다시 상부로 복원 되면서 심 카드(12)의 접점(12a)과 접속되는데, 이때 상기 접속용 단자(120)는 절단 부위가 적층 상태를 유지하면서 눌린 상태에서 복원됨에 의해 확실한 상태로 상기 심 카드(12)의 접점(12a)에 접속용 단자(120)의 확실한 접속이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접속용 단자(120)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용 단자(140)로서 심 카드(12)의 상부를 가압하는 형태로 지지하여 줌으로서, 심 카드(12)의 접점(12a)에 접촉되는 접속용 단자(120)에 균일한 힘이 가해지게 하여 접속 불량을 방지함은 물론, 심 카드(12)의 두께 변화에도 상관없이 심 카드(12)의 접점(12a)에 접속용 단자(120)가 균일한 힘으로 접촉된다.
100 - 컨넥터 110 - 몸체
120 - 접속용 단자 122 - 판상부
124 - 접속부 126 - 지지부
130 - 커버 140 - 지지용 단자

Claims (2)

  1. 심 카드(12)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에 장착되는 심 카드(12)의 접점(12a)에 접촉되어 상기 심 카드(12)를 메인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접속용 단자(120); 및
    상기 접속용 단자(120)에 접속되는 심 카드(12)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0)의 상부로 설치된 커버(130);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용 단자(120)는:
    도전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판상(板狀)부(122);
    상기 판상부(122)로부터 소정 경사부를 이루며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심 카드(12)의 접점(12a)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속부(124); 및
    상기 접속부(124)가 눌리는 것에 대한 지탱할 수 있는 텐션력을 유지함과 아울러 들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부(126);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126)는:
    상기 접속부(124)가 하부로 눌리거나 들어올려 질 때에 접속용 단자(120)가 균일한 텐션력을 갖도록 상하로 상호 겹쳐지도록 형성된 상부지지편(126a)과 하부지지편(126b)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지지편(126a)과 하부지지편(126b)의 겹쳐지는 부위는, 상기 접속부(124)의 일측에서 접속용 단자(120)를 절단하고, 그 절단 부위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상을 변경시킴에 의해, 그 절단 부위가 늘어나게 하여 상기 상부지지편(126a)과 하부지지편(126b)이 상호 겹쳐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130)에는:
    상기 심 카드(12)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용 단자(140)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용 단자(140)는 상기 커버(130)로부터 소정 경사부를 이루며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접속용 단자(120)의 접속부(124)가 상기 심 카드(12)의 접점(12a)에 균일한 힘을 유지하면서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상기 심 카드(12)의 상면을 눌러주도록 지지하되,
    상기 지지용 단자(140)는:
    소정 텐션을 갖도록 어느 일단에 자유단을 구비하고, 그 자유단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상호 인접하는 2개의 지지용 단자(140)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한 쌍을 이루게 형성되고,
    상기 커버(130)가 몸체(11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결합하기 위한 걸림편(132)을 상기 커버(130)의 측면에 형성하고, 상기 걸림편(132)이 걸려 고정되는 걸림홈(112)을 상기 몸체(110)의 측면에 형성하여, 상기 커버(130)와 몸체(110)가 결합된 후에는 상기 걸림편(132)과 걸림홈(112)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 카드 접속용 단자.
  2. 삭제
KR1020140068603A 2014-06-05 2014-06-05 심 카드 접속용 단자 KR101580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603A KR101580140B1 (ko) 2014-06-05 2014-06-05 심 카드 접속용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603A KR101580140B1 (ko) 2014-06-05 2014-06-05 심 카드 접속용 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162A KR20150140162A (ko) 2015-12-15
KR101580140B1 true KR101580140B1 (ko) 2015-12-28

Family

ID=5502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603A KR101580140B1 (ko) 2014-06-05 2014-06-05 심 카드 접속용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1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6979A1 (ko) * 2021-03-17 2022-09-22 삼성전자 주식회사 트레이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1579A (zh) * 2018-03-28 2018-07-24 江苏和飞航天电子有限公司 一种防跪pin连接端子及其制作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2244B2 (ja) * 1993-12-27 2000-10-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太陽電池の出力制御装置
JP2008097947A (ja) 2006-10-11 2008-04-24 Yamaichi Electronics Co Ltd Icカード用コネクタ
CN202940353U (zh) * 2012-12-04 2013-05-15 张家港华捷电子有限公司 手机sim卡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2244A (ja) * 1990-09-12 1991-04-26 Hitachi Ltd 被検試料ホールダ
JP3060898B2 (ja) * 1995-05-30 2000-07-10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KR200212540Y1 (ko) 2000-08-22 2001-02-15 골든콘넥터산업주식회사 콘넥터
KR20040019548A (ko) 2002-08-28 2004-03-06 (주) 소담 휴대폰의 사용자 인증 카드의 고정장치
KR200407740Y1 (ko) 2005-11-09 2006-02-02 (주)지비피 Sim 카드용 컨택터를 구비한 usb 온라인 충전 카드.
KR100689188B1 (ko) 2006-11-02 2007-03-02 주식회사 씨티씨 아이씨카드용 소켓과 이를 위한 단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2244B2 (ja) * 1993-12-27 2000-10-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太陽電池の出力制御装置
JP2008097947A (ja) 2006-10-11 2008-04-24 Yamaichi Electronics Co Ltd Icカード用コネクタ
CN202940353U (zh) * 2012-12-04 2013-05-15 张家港华捷电子有限公司 手机sim卡连接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6979A1 (ko) * 2021-03-17 2022-09-22 삼성전자 주식회사 트레이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162A (ko) 201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66019B (zh) 电连接器组件
CN101978560B (zh) Sim卡的连接器
US7409225B2 (en) Dual connection device for memory medium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ith the same
CN103367949B (zh) 卡连接器
US10594348B2 (en) Card socket, card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001673B1 (ko) 안테나 접속장치
CN101212098B (zh) 电连接器端子
KR101580140B1 (ko) 심 카드 접속용 단자
CN103368035B (zh) 卡连接器的制造方法
CN109787049B (zh) 堆叠式二合一卡座及电子设备
KR101433217B1 (ko) Pcb 컷 타입 접속장치
KR100689188B1 (ko) 아이씨카드용 소켓과 이를 위한 단자
JP4571028B2 (ja) カードコネクタ
KR100949154B1 (ko) 휴대폰의 심 카드 접속용 단자
KR101295289B1 (ko) 양방향 삽입이 가능한 심커넥터 접속단자
KR101254188B1 (ko) 안테나 접촉단자
CN105490112A (zh) 同轴连接器
KR200366365Y1 (ko)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
KR10067733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심 카드 접속장치
CN109326904B (zh) 堆叠式二合一卡座及电子设备
CN219040781U (zh) 静端子及射频开关
CN212968156U (zh) 射频开关
KR1005873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
JP4386676B2 (ja) コネクタ
KR101402999B1 (ko) 심카드 커넥터용 컨택트 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