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365Y1 -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365Y1
KR200366365Y1 KR20-2004-0021714U KR20040021714U KR200366365Y1 KR 200366365 Y1 KR200366365 Y1 KR 200366365Y1 KR 20040021714 U KR20040021714 U KR 20040021714U KR 200366365 Y1 KR200366365 Y1 KR 2003663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authentication card
subscriber authentication
contacts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7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걸훈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티
Priority to KR20-2004-00217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3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3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3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9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multiple contact p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가입자인증카드(SIM Card)를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몰드몸체; 상기 몰드몸체의 상단면에 설치되며 몰드몸체 상단으로 삽입된 가입자인증카드를 지지하는 지지브리지; 및 상기 몰드몸체의 양측면에 가입자인증카드의 단자들과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가입자인증카드의 단자별로 복수의 접점이 접촉되도록 형성된 접점체;를 구비하여, 가입자인증카드의 단자와 접촉되는 커넥터의 접점을 복수개로 분리하여 가입자인증카드의 단일 단자와 접촉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접촉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커넥터의 접점을 복수개로 분리하되 분리된 복수의 접점의 진동량을 다르게 하기 위해 접점의 폭을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둘 중 하나의 접점은 가입자인증카드의 단자와 상호 접촉되게 되므로 접촉불량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통화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CONNECTER FOR HOLDING A SIM-CARD}
본 고안은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입자인증카드(SIM Card)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GSM 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가입자인증카드를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의 접점 구조에 대한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과는 호환성이 없고,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과의 연동성을 중시한 범유럽 이동전화 시스템을 위한 표준이며, 유럽내의 모든 국가들이 자유롭게 통신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이동전화 서비스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리고, 상기 GSM는 TDMA(시분할다중접속) 방식으로 그 기술적 규격으로는, 기지국의 송신주파수가 935∼960MHz이고, 기지국의 수신주파수가 890∼915MHz이며, RF듀플렉스(Radio Frequency Duplex)의 채널수는 124채널이고, 셀반경은 0.5∼35Km정도이며, 전송속도는 270.833Kbps이다.
상기와 같은 GSM 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본체의 뒷면에 가입자인증모듈인 SIM카드(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 이하 '가입자인증카드'라 칭함)를 끼워넣는 커넥터(Connector 또는 Slot)가 있고, GSM 방식에서는 가입자인증카드 방식이 표준으로 쓰이고 있고, 전화번호와 이용자 인적사항 등이 내장된 IC 칩이 들어있는 가입자인증카드를 커넥터에 장착하지 않으면 통화가 불가능하지만, 장점으로는 가입자인증카드만 있으면 어느 단말기에나 꽂기만 하면 자기 단말기로 쓸수 있다.
즉, 국내의 CDMA 방식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 각자에 고유번호를 가지고 있어서 단말기를 바꿀 수 없지만, 가입자인증카드는 이 안에 가입자 정보를 가지고 있어서 이 카드만 커넥터에 꽂으면 자기 단말기처럼 쓸 수가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가입자인증카드를 꽂는 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몰드몸체(1)와, 상기 몰드몸체(1)의 상단면에 설치되며 몰드몸체(1) 상단으로 삽입된 가입자인증카드(10)를 지지하는 지지브리지(3), 및 상기 몰드몸체(1)의 상단 양측면에 가입자인증카드(10)의 단자들(미 도시)과 대응되도록 설치된 접점체(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커넥터의 몰드몸체(1)와 지지브리지(3) 사이에 가입자인증카드(10)를 삽입하되 가입자인증카드(10)의 단자와 접점체(5)가 상호 접촉되도록 가입자인증카드(10)를 삽입 장착한다. 이와 같이 가입자인증카드(10)를 커넥터에 장착한 상태에서 통화를 개시하게 되는데, 사용 중 일정량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커넥터의 접점체(5)에 진동이 전해져 순간적인 단락 현상이 발생하며, 이와 같은 경우에 통화가 끊어지게 된다.
즉, 종래의 커넥터의 접점체(5)는 충격이나 진동에 상당히 취약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어 통화 중 접점의 신뢰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가입자인증카드(SubscriberIdentification Module Card)를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가입자인증카드를 커넥터에 장착시 가입자인증카드의 단자와 커넥터의 접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접촉불량을 최소화한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입자인증카드를 커넥터에 장착시 가입자인증카드의 단자와 커넥터의 접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접촉불량 및 순간단락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커넥터의 접점을 복수개로 분리하여 가입자인증카드의 단일 단자와 접촉되도록 형성하여 접촉불량 및 순간단락을 최소화한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커넥터의 접점을 복수개로 분리하여 가입자인증카드의 단일 단자와 접촉되도록 형성하되 분리된 복수의 접점의 고유진동수가 다르게 하기 위해 폭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접촉불량을 최소화한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입자인증카드를 꽂는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가입자인증카드를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를 도시한 요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접점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접점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복수의 접점에 대한 각 진동주파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가입자인증카드(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
100: 커넥터 110: 몰드몸체
130: 지지브리지 150: 접점체
151: 하단부 153: 절곡부
155: 상단접점부 156,157: 접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수단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가입자인증카드(10; SIM Card)를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몰드몸체(110); 상기 몰드몸체(110)의 상단면에 설치되며 몰드몸체(110) 상단으로 삽입된 가입자인증카드(10)를 지지하는 지지브리지(130); 및 상기 몰드몸체(110)의 양측면에 가입자인증카드(10)의 단자들과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가입자인증카드(10)의 단자별로 복수의 접점(156, 157)이 접촉되도록 형성된 접점체(1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접점체(15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와 접촉되는 하단부(151); 및 상기 하단부(151)의 일측에서 하단부(151)와 마주하도록 절곡(153) 연장되되 가입자인증카드(10)의 단자와 접촉되는 부위가 복수의 접점(156, 157)으로 분리된 상단접점부(155);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단접점부(155)의 복수의 접점(156, 157)은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접점(156, 157)은 진동주파수가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가입자인증카드를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몰드몸체(110), 지지브리지(130) 및 접점체(1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몰드몸체(110)는 플라스틱 절연체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뒷면 일측에 설치되며, 지지브리지(130)는 몰드몸체(110)의 상단면에 설치되되 몰드몸체(110)의 측면에 고정되는 브리지로 몰드몸체(110) 상단으로 삽입된 가입자인증카드(10; SIM Card)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접점체(150)는 몰드몸체(110)의 양측면에 가입자인증카드(10)의 단자들과 대응되도록 설치되되 가입자인증카드(10)의 단자별로 복수의 접점(156, 157)이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가입자인증카드(10)를 커넥터(100)의 몰드몸체(110)와 지지브리지(130) 사이에 삽입하되 가입자인증카드(10)의 단자(미 도시)와 접점체(150)가 상호 접촉되도록 가입자인증카드(10)를 삽입 장착한다. 이와 같이 가입자인증카드(10)를커넥터(100)에 장착한 상태에서 통화를 개시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접점체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접점체(15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와 접촉되는 하단부(151)와, 상기 하단부(151)의 일측에서 하단부(151)와 마주하도록 절곡(153) 연장되되 가입자인증카드(10)의 단자(미 도시)와 접촉되는 부위가 복수의 접점(156, 157)으로 분리된 상단접점부(155)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상기 가입자인증카드(10)의 단자와 접촉되는 상단접점부(155)의 복수 접점(156, 157)은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가입자인증카드(10)의 단자와 접촉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151)와 상단접점부(155)는 절곡부(153)에 의해 서로 탄성이 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상단접점부(155)를 복수로 분리할 경우 외부로부터 커넥터(100)에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될 때 둘 중 어느 하나의 접점(156 또는 157)만 가입자인증카드(10)의 단자와 접촉되면 되므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접속이 끊어질 경우는 극히 줄어들게 된다.
물론, 둘 중 어느 하나의 접점이 탄성력이 훼손될 경우라도 나머지 한 접점(156 또는 157)이 가입자인증카드(10)의 단자와 접촉되면 되므로 신뢰성이 훨씬 증대된다.
도 4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접점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각 접점에 대한 진동주파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접점체(150)는 도 3과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와 접촉되는 하단부(151)와, 상기 하단부(151)의 일측에서 하단부(151)와 마주하도록 절곡(153) 연장되되 가입자인증카드(10)의 단자와 접촉되는 부위가 복수의 접점(156, 157)으로 분리된 상단접점부(155)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상기 가입자인증카드(10)의 단자와 접촉되는 상단접점부(155)의 복수 접점(156, 157)은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가입자인증카드(10)의 단자와 접촉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접점(156, 157)은 고유진동수가 상이하도록 접점의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상단접점부(155)를 복수의 접점(156, 157)으로 분리하되 그 폭을 서로 다르게 할 경우 외부로부터 커넥터(100)에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될 때 두 접점(156, 157)의 진동주파수가 도 4b와 같이 달라 둘 중 어느 하나의 접점(156 또는 157)만 가입자인증카드(10)의 단자와 접촉되게 된다.
상기 폭이 넓은 제 1 접점(156)은 폭이 좁은 제 2 접점(157)보다 진동주파수가 낮으며, 상기 제 1 접점(156)의 진동주파수 대비 제 2 접점(157)의 진동주파수가 2배가 되도록 접점(156, 157)의 폭을 설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접점체(155)의 진동시 접점이 1㎲ 정도만 가입자인증카드(10)와 떨어져도 단락 현상이 발생하며, 이와 같은 단락 현상은 회로적으로 해결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기구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
상기 두 접점(156, 157)의 진동주파수를 달리하기 위해 폭을 다르게 할 수도 있지만, 두 접점(156, 157)간의 진동량을 달리하기 위해 두 접점의 두께를 달리한다던지 또는 두 접점(156, 157)의 재질을 달리하거나 두 접점(156, 157)의 길이를달리하는 등의 방법도 가능하며, 그 중 접점의 폭을 조정하는 것이 가장 용이한 방법이다.
상기 복수의 접점(156, 157)의 폭을 달리할 경우 제 1 접점(156)의 폭 대비 제 2 접점(157)의 폭은 대략 60% 내지 75%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실시예에서는 제 1 접점(156)의 폭은 대략 0.75mm이고, 제 2 접점(157)의 폭은 대략 0.5mm정도로서 제 1 접점(156)의 폭 대비 제 2 접점(157)의 폭은 65% 내지 70% 정도로 설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접점체의 접점 구조를 제외한 접점체의 형상이나 몰드몸체와 지지브리지의 구조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가입자인증카드의 단자와 접촉되는 커넥터의 접점을 복수개로 분리하여 가입자인증카드의 단일 단자와 접촉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접촉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커넥터의 접점을 복수개로 분리하되 분리된 복수의 접점의 진동량을 다르게 하기 위해 접점의 폭을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둘 중 하나의 접점은 가입자인증카드의 단자와 상호 접촉되게 되므로 접촉불량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통화시의 신뢰성을 높일 수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가입자인증카드(SIM Card)를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몰드몸체;
    상기 몰드몸체의 상단면에 설치되며 몰드몸체 상단으로 삽입된 가입자인증카드를 지지하는 지지브리지; 및
    상기 몰드몸체의 양측면에 가입자인증카드의 단자들과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가입자인증카드의 단자별로 복수의 접점이 접촉되도록 형성된 접점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점체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와 접촉되는 하단부; 및 상기 하단부의 일측에서 하단부와 마주하도록 절곡 연장되되 가입자인증카드의 단자와 접촉되는 부위가 복수의 접점으로 분리된 상단접점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인증카드의 단자와 접촉되는 복수의 접점은 아치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점은 진동주파수가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점은 접점의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점은 제 1 접점 대비 제 2 접점의 폭은 대략 65% 내지 70% 정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
KR20-2004-0021714U 2004-07-29 2004-07-29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 KR2003663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714U KR200366365Y1 (ko) 2004-07-29 2004-07-29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714U KR200366365Y1 (ko) 2004-07-29 2004-07-29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365Y1 true KR200366365Y1 (ko) 2004-11-08

Family

ID=49440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714U KR200366365Y1 (ko) 2004-07-29 2004-07-29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36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188B1 (ko) 2006-11-02 2007-03-02 주식회사 씨티씨 아이씨카드용 소켓과 이를 위한 단자
KR101146838B1 (ko) * 2011-05-04 2012-05-18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무선단말기용 심카드 소켓
KR101265583B1 (ko) 2006-09-18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팩 컨넥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583B1 (ko) 2006-09-18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팩 컨넥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KR100689188B1 (ko) 2006-11-02 2007-03-02 주식회사 씨티씨 아이씨카드용 소켓과 이를 위한 단자
KR101146838B1 (ko) * 2011-05-04 2012-05-18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무선단말기용 심카드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9552B2 (ja) Simカード用コネクタ
US8061609B2 (en) Space efficient card readers and electronic devices incorporating same
KR100965854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접속단자
US20090137136A1 (en) Housing,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Housing and Terminal
KR10140085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심카드 커넥터 장치
KR200366365Y1 (ko)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
KR101580140B1 (ko) 심 카드 접속용 단자
CN114094397A (zh) 卡连接器及具有其的移动终端
KR200367469Y1 (ko)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
JP3138751U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100689188B1 (ko) 아이씨카드용 소켓과 이를 위한 단자
KR101254188B1 (ko) 안테나 접촉단자
KR101424229B1 (ko) 슬림형 마이크로심 커넥터
KR10067733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심 카드 접속장치
CN100452547C (zh) 移动通信终端的用户识别模块卡插槽
KR100949154B1 (ko) 휴대폰의 심 카드 접속용 단자
JP3113412U (ja) デジタルカードコネクタ
CN217387585U (zh) 卡托、sim卡的固定装置及终端设备
CN215072505U (zh) 一种防手机卡座损坏的手机
CN113346921B (zh) 多功能卡、卡座和移动终端
KR101044095B1 (ko) 카드 커넥터를 통해 접지된 하부 케이스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CN218783254U (zh) 一种sim卡卡座及包含其的智能手表、定位器、通讯设备、无线4g连接设备
CN213072735U (zh) 电子设备
CN207664311U (zh) 一种开关式sim卡座
CN212061217U (zh) 一种二合一电子卡、电子卡座弹片以及电子卡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