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824B1 - 공기조화기 및 이의 운전용량 인식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이의 운전용량 인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824B1
KR101579824B1 KR1020080128350A KR20080128350A KR101579824B1 KR 101579824 B1 KR101579824 B1 KR 101579824B1 KR 1020080128350 A KR1020080128350 A KR 1020080128350A KR 20080128350 A KR20080128350 A KR 20080128350A KR 101579824 B1 KR101579824 B1 KR 101579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utdoor
control unit
indoor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9817A (ko
Inventor
김신호
주정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8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824B1/ko
Publication of KR20100069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50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핸들링 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내제어부의 설정용량의 변경없이 실외제어부가 실외기가 운전해야할 실외기의 운전용량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가 실내기와 통신하여 실외기의 운전용량을 산출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운전용량과 상기 실내기의 실제 운전용량의 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주소정보를 설정하는 주소설정부를 포함한다.
에어 핸들링 유닛, 공기조화기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이의 운전용량 인식방법{Air conditioner and driving capacity recognition method for the same 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제어부의 설정용량의 변경없이 실외제어부가 실외기가 운전해야 할 실외기의 운전용량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및 이의 운전용량 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장치로서, 실내기 및 실외기 상호간에 냉매를 순환시켜 냉매가 기화할 때에 주위의 열을 흡수하며 액화할 때에 그 열을 방출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한다.
통상의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하나의 실내기를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근래에는 실외기에 복수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학교나 고층아파트와 같이 복수의 독립된 공간을 가진 건물에서 각각의 공간에 대한 냉방 또는 난방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근래에는 건물의 일측 또는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되어 건물내부의 공조공간에 기 설치된 덕트에 공기조화를 위한 공기를 제공하는 대운전용량을 가지는 에어 핸들링 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기가 출시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종래의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복수의 실내기를 종래의 에어 핸들링 유닛으로 대체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제어부는 통신이 이루어진 운전용량의 설정에 한계가 있는 실내제어부의 개수를 기초로 하여 총운전용량을 산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실외기를 제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운전용량설정의 한계가 있는 실내제어부를 하나만 구비하는 에어 핸들링 유닛이 복수의 실내기를 대체하게 되면, 종래의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제어부는 통신이 이루어진 실내제어부의 개수가 1개 밖에 안되어, 실제 에어 핸들링 유닛의 운전용량을 산출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에어 핸들링 유닛에 구비되는 실내제어부의 설정할 수 있는 운전용량을 크게 하는 경우에는 실외제어부에 탑재되는 프로그램 등을 대폭 변경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실내제어부의 설정용량의 변경없이 실외제어부가 실외기가 운전해야할 실외기의 운전용량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및 이의 운전용량인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가 실내기와 통신하여 실외기의 운전용량을 산출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운전용량과 상기 실내기의 실제 운전용량의 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주소의 개수를 설정하는 주소설정부; 상기 주소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개수의 주소 각각을 통하여 주소확인 신호에 대해 응답을 하는 실내제어부; 및 상기 실내제어부로 상기 주소확인 신호를 보내고, 상기 실내제어부가 상기 주소확인 신호에 응답하는 데 이용한 상기 설정된 개수의 주소들의 개수와 상기 실내제어부의 운전용량을 곱하여 실외기의 운전용량을 산출하는 실외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기조화기는 냉매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실내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를 상기 주소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개수의 주소 각각을 통하여 상기 실외제어부에 보낸다.
또한, 주소설정부는 로터리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운전용량인식 방법은 실내제어부의 주소의 개수가 설정되는 단계; 상기 실내제어부로 주소확인 신호를 보내는 단계; 및 상기 실내제어부가 상기 주소확인 신호에 대해 응답하는 데 이용한 상기 주소들의 개수와 상기 실내제어부의 운전용량을 곱하여 실외기 운전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이의 운전용량 인식방법에 의해 실내제어부의 설정용량의 변경없이 실외제어부가 실외기가 운전해야할 실외기의 운전용량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100)와 에어 핸들링 유닛(300)과 에어 핸들링 유닛(200)과 통신하며 실외기(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실외제어부(210)와 실외기제어부(210)와 통신하며 에어 핸들링 유닛(300)을 제어하는 실내제어부(410) 및 에어 핸들링 유닛(300)의 공기를 실내로 급기 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에어 핸들링 유닛(300)로 급기 하는 덕트(500)를 포함한다.
실외기(100)는 실외제어부(210)에 의해 제어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0)와, 압축기(110)의 흡입측에 제공되는 어큐뮬레이터(120)와,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거나 증발시키는 실외 열교환기(130)와, 실외 열교환기(130)의 일측 설치되며 실외제어부(210)에 의해 제어되어 실외열교환기(130)에서 흐르는 냉매가 신속하게 응축 또는 증발하도록 하는 실외팬(140), 및 실내제어부(410)와 통신하여 에어 핸들링 유닛(300)의 운전용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운전용량을 기초로 하여 실외기(100)의 압축기(110)와 실외팬(140)을 제어하는 실외제어부(2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압축기(110)와 실외열교환기(130)와 후술되는 전자팽창밸브(340) 및 후술되는 실내열교환기(320)가 냉방사이클 또는 난방사이클 회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사방밸브(150)을 더 포함한다. 즉, 압축기(110)의 출구와 사방밸브(150)의 제1 포트(151)는 제1 냉매관(161)에 의해 연결되고, 실외열교환기(130)의 입구와 사방밸브(150)의 제2 포트(152)는 제2 냉매관(162)에 의해 연결되고, 사방밸브(150)의 제3 포트(153)과 압축기(110)의 입구측은 제3 냉매관(163)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사방밸브(150)의 제4 포트(154)와 에어 핸들링 유닛(300)의 실내 열교환기(320)의 출구는 제4 냉매관(164)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제3 냉매관(163)에는 어큐뮬레이터(120)가 설치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130)의 출구와 실내열교환기(130)의 입구측에 연결되며 바이패스관(350)와 병렬배치 되는 전자팽창밸브(340)는 제5 냉매관(165)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실외제어부(210)에 제어되는 사방밸브(150)는 제1 포트(151)와 제2 포트(152)를 연결하고 제3 포트(153)과 제4 포트(154)가 연결하여 냉매가 압축기(110)->실외열교환기(130)->전자팽창밸브(340)->실내열교환기(320)->어큐뮬레이터(120)->압축기(110)를 순환 하도록 하는 냉방 사이클이 형성하거나, 제1 포트(151)과 제4 포트(154)를 연결하고 제2 포트(152)와 제3 포트(153)을 연결하여 냉매가 압축기(110)->실내열교환기(320)->바 이패스관(350)->실외열교환기(130)->어큐뮬레이터(120)->압축기(110)를 순환하도록 하는 난방사이클을 형성한다.
실외제어부(210)의 출력 측에는 압축기(110)와 실외팬(120)이 제공된다. 이러한 실외제어부(210)은 실내제어부(410)와 통신하여 에어 핸들링 유닛(300)의 운전용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운전용량에 근거하여 실외기(100)의 압축기(110) 및 실외팬(140)을 제어한다.
에어 핸들링 유닛(300)은 에어 핸들링 유닛(300)의 외형을 이루는 본체(310)와, 본체(310)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열교환기(320)와, 실내열교환기(3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실내열교환기(320)로 송풍하는 실내팬(320)와, 실내열교환기(320)의 입구측에 제공되는 전자팽창밸브(320)와, 전자팽창밸브(320)와 병렬로 배치되는 바이패스관(350)를 포함한다.
실내제어부(410)는 실내제어부(410)가 가지는 주소의 개수를 설정하는 주소개수설정부(4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실내제어부(410)의 입력 측에는 실내열교환기(320)에 흐르는 냉매온도 등을 감지하는 온도센서(440)가 제공되고, 출력 측에는 실내팬(330)이 제공된다. 이러한 실내제어부(410)는 주소개수설정부(430)에 의해 설정된 개수의 주소들 각각을 통해 실외제어부(210)과 통신한다. 예컨데, 실내제어부(410)는 온도센서(440)에서 감지된 온도를 주소설정부(420)에 의해 설정된 개수의 주소 모두를 통해 실외제어부(210)로 보낸다.
주소설정부(420)는 설치자에 의해 실내제어부(410)가 가지는 주소의 개수를 설정한다. 이러한 주소설정부(42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로터리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실내제어부(410)는 실외제어부(210)로부터 수신되는 주소확인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개수의 주소 각각을 통하여 실외제어부(300)에 응답한다. 이에 따라, 실외제어부(210)는 주소설정부(420)에 의해 설정된 개수에 대응하는 실내제어부(410)의 개수를 인식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실외기(100)이 운전해야할 운전용량을 산출하여 실외기(100)를 제어한다.
덕트(500)는 에어 핸들링 유닛(300)의 배기구에 연결되어 건물의 실내로 공기조화 공기를 제공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급기덕트(510)와 건물의 실내 공기가 에어 핸들링 유닛(300)의 흡기구로 유입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흡기덕트(52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와 에어핸들링 유닛의 통신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실내기제어부(400)는 에어 핸들링 유닛 설치자에 의해 조작되는 주소설정부(420)에 의해 주소의 개수가 설정된다(510). 이에 따라, 실내제어부(410)는 설정된 개수의 주소를 갖게 되고, 설정된 개수의 주소 각각을 통하여 실외제어부(210)와 통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실내제어부(410)가 n개의 주소가 설정된 상태에서 실외제어부(210)가 주소확인을 시작하면(511), 실외제어부(210)는 실내제어부(410)로 첫 번째 주소확인 신호를 보낸다(512). 이에 따라, 실내제어부(410)은 첫 번째 주소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첫 번째 주소를 통하여 실외제어부(210)에 응답하여(513), 실외제어 부(210)는 첫 번째 주소에 대응하는 실내제어부(410)가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514).
이어서, 실외제어부(210)는 실내제어부(410)로 두 번째 주소확인 신호를 보낸다(515). 이에 따라, 실내제어부(410)는 두 번째 주소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두 번째 주소를 통하여 실외제어부(210)에 응답하여(516), 실외제어부(210)는 두 번째 주소에 대응하는 실내제어부(410)가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517).
한편, 실외제어부(210)는 511단계 내지 519단계와 같이 주소확인 신호를 모두 보내어 n 번째 주소를 가지는 실내기제어부(410)를 모두 인식 하였으면, 통신이 이루어진 실내기제어부(410)의 인식을 완료한다(520).
그 다음, 실외제어부(210)는 통신이 이루어지는 주소를 가지는 실내제어부(410)의 개수에 실내제어부(410)의 운전용량을 곱하여 실외기(100)가 운전해야 할 실외기 운전용량을 산출하고, 이를 기초하여 실외기(100)를 제어한다(521). 즉, 실내제어부(410)의 운전용량이 5HP이고 통신이 이루어진 주소를 가지는 실내제어부(410)의 개수가 10이면, 실외기(100)가 운전해야할 실외기 운전용량은 50HP인 것으로 인식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실외기(100)를 제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개략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와 에어 핸들링 유닛간의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의 운전용량 인식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실외기 210: 실외제어부
300: 에어 핸들링 유닛 410: 실내제어부
420: 주소설정부 500: 덕트

Claims (6)

  1. 실외기가 실내기와 통신하여 실외기의 운전용량을 산출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운전용량과 상기 실내기의 실제 운전용량의 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주소의 개수를 설정하는 주소설정부;
    상기 주소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개수의 주소 각각을 통하여 주소확인 신호에 대해 응답을 하는 실내제어부; 및
    상기 실내제어부로 상기 주소확인 신호를 보내고, 상기 실내제어부가 상기 주소확인 신호에 응답하는 데 이용한 상기 설정된 개수의 주소들의 개수와 상기 실내제어부의 운전용량을 곱하여 실외기의 운전용량을 산출하는 실외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냉매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실내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를 상기 주소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개수의 주소 각각을 통하여 상기 실외제어부에 보내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설정부는 로터리스위치로 구현된 공기조화기.
  4. 삭제
  5. 실내제어부의 주소 개수가 설정되는 단계;
    상기 실내제어부로 주소확인 신호를 보내는 단계; 및
    상기 실내제어부가 상기 주소확인 신호에 대해 응답하는 데 이용한 상기 주소들의 개수와 상기 실내제어부의 운전용량을 곱하여 실외기 운전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용량 인식방법.
  6. 삭제
KR1020080128350A 2008-12-17 2008-12-17 공기조화기 및 이의 운전용량 인식방법 KR101579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350A KR101579824B1 (ko) 2008-12-17 2008-12-17 공기조화기 및 이의 운전용량 인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350A KR101579824B1 (ko) 2008-12-17 2008-12-17 공기조화기 및 이의 운전용량 인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817A KR20100069817A (ko) 2010-06-25
KR101579824B1 true KR101579824B1 (ko) 2015-12-28

Family

ID=42367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350A KR101579824B1 (ko) 2008-12-17 2008-12-17 공기조화기 및 이의 운전용량 인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8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5491A (ja) 1999-12-10 2001-06-22 Sharp Corp マルチエアコンの制御方法
JP2008249269A (ja) 2007-03-30 2008-10-16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5491A (ja) 1999-12-10 2001-06-22 Sharp Corp マルチエアコンの制御方法
JP2008249269A (ja) 2007-03-30 2008-10-16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817A (ko) 201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3642A (zh) 空调系统
KR10226224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60035B1 (ko)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741723B1 (ja) 換気装置
JP7026781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6156245B2 (ja) 換気装置及び換気空調システム
JP2016138666A (ja) 空気調和機
KR100437806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1579827B1 (ko) 가전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579824B1 (ko) 공기조화기 및 이의 운전용량 인식방법
JP7374633B2 (ja)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JP6856154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271588B1 (ko) 공기열 멀티 항온항습기
JP4391188B2 (ja) 空気調和装置
JP2018112356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2021081185A (ja) 装置評価システム及び装置評価方法
JPH10267358A (ja) 集合ダクト型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70027164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US20220107109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47036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2019011950A (ja) 空気調和機
KR102493156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3444360B2 (ja) 恒温恒室装置
JP2019128085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7277839B1 (ja) 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