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655B1 - 의류 건조기 및 컴프레서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및 컴프레서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655B1
KR101579655B1 KR1020130153885A KR20130153885A KR101579655B1 KR 101579655 B1 KR101579655 B1 KR 101579655B1 KR 1020130153885 A KR1020130153885 A KR 1020130153885A KR 20130153885 A KR20130153885 A KR 20130153885A KR 101579655 B1 KR101579655 B1 KR 101579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frequency
phase
voltage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4434A (ko
Inventor
히로카즈 이자와
고지 가시마
츠요시 호소이토
신이치로 가와바타
요시노리 가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08346A external-priority patent/JP62934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35735A external-priority patent/JP617371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40094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의류건조기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스로틀 장치로 구성된 냉동사이클과, 건조용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내로 공기를 순환 공급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가 설치된 통풍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의 구동모터를 교류모터로 구성하고 또한 상기 교류모터를 가변속 운전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의류 건조기 및 컴프레서 구동장치{CLOTHES DRYER AND COMPRESSOR DRIVER}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 및 컴프레서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히트펌프식 건조기능을 구비한 의류건조기의 일례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이 알려져 있다. 즉, 증발기(evaporator), 컴프레서, 응축기(condenser), 캐필러리 튜브(capillary tube) 및 이들을 접속하는 냉매관 등으로 구성된 히트펌프(냉동사이클)가 설치된 구성의 의류건조기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10457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57216호
상기 종래 구성의 경우, 컴프레서(compressor)의 구동원이 되는 컴프레서 모터는 DC 브러시리스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DC 브러시리스 모터로 구성된 컴프레서 모터를 사용하는 이유는 컴프레서 모터의 회전속도를 가변 제어함으로써, 히트펌프의 제습성능(건조성능)을 미세하게 제어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 DC 브러시리스 모터가 고가이므로 컴프레서 더 나아가서는 의류건조기의 제품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부터 컴프레서 모터로서 저가격의 교류모터(단상 유도 모터)를 사용한 AC 컴프레서를 편성한 히트펌프를 사용한 의류건조기가 알려져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품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AC 컴프레서는 교류전원의 주파수 50㎐ 또는 60㎐에서 효율이 가장 좋아지도록 매칭하면, 다른 주파수에서는 효율이 저하되는 특성이 있다. 이 때문에, 인버터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AC 컴프레서를 가변속 운전하기는 곤란하므로, AC 컴프레서를 사용한 구성에서는 히트펌프의 제습 성능(건조성능)을 미세하게 제어할 수 없었다.
본 실시형태의 의류건조기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스로틀 장치로 구성된 냉동사이클과, 건조용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 내로 공기를 순환 공급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가 설치된 통풍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의 구동모터를 교류 모터로 구성하고, 또한 상기 교류 모터를 가변속 운전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품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고 건조성능을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의류건조기 및 컴프레서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드럼식 세탁건조기의 기내 구조의 사시도,
도 2는 기내 구조의 개략도,
도 3은 통풍로와 합친 히트펌프의 개략도,
도 4는 드럼식 세탁건조기의 전기적 구성도,
도 5는 유도 모터 및 인버터 장치의 전기적 구성도,
도 6은 유도 모터의 운전 효율과 전원주파수의 관계를 도시한 특성도,
도 7은 건조 운전 코스와 압축기의 유도 모터의 전원주파수의 설정예를 표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건조운전의 제어를 도시한 흐름도,
도 9은 건조운전의 제어를 도시한 다른 흐름도,
도 10은 건조운전의 제어를 도시한 또 다른 흐름도,
도 11은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7 상당도,
도 12는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3 상당도,
도 13은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한, 컴프레서 구동장치의 전기적 구성도,
도 14는 저속영역에서의 인버터 회로의 각 상(相) 출력의 전압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저속영역에서의 인버터 회로의 각 상 출력의 전압 파형을 도시한 다른 도면,
도 16은 고속영역에서의 인버터 회로의 각 상 출력의 전압 파형을 도시한 또 다른 도면,
도 17은 모터의 권선에 인가되는 전압의 실효값과 구동주파수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모터의 회전속도와 출력토크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종래 기술을 도시한 도 18 상당도,
도 20은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16 상당도이다.
이하, 복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이하,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히트펌프식 건조기능을 구비한 드럼식 세탁건조기(의류건조기에 상당)의 기대(基臺)(1)로부터 기내 구조(2)를 도시하고 있다. 기대(1)에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상자가 결합되고, 그 외부상자와 기대(1)로 기내구조(2)를 덮도록 이루어져 있다. 기내 구조(2)는 수조(3)를 주체로 하고 있다. 수조(3)는 축방향이 전후인 횡축 원통 형상을 이루는 것이고, 좌우 한 쌍의 서스펜션(4)에 의해 전방으로 올라가는 경사상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수조(3)는 전부(前部)가 높고, 후부(後部)가 낮아지고 있다.
수조(3)의 배부에는 모터(4)가 부착되어 있다. 모터(5)는 예를 들어 직류의 브러시리스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5)는 후술하는 제어장치(34)에 의해 회전수 제어(피드백 제어)됨으로써 가변속 운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터(5)는 아우터로터형이고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이 수조(3)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수조(3)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드럼(6)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드럼(6)도 축방향이 전후인 횡축 원통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이를 후부의 중심부에서 상기 모터(5)의 회전축의 선단부에 부착함으로써, 수조(3)와 동축의 전방으로 올라가는 경사상으로 지지되어 있다. 그 결과, 드럼(6)은 모터(5)에 의해 직접 회전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드럼(6)은 회전조이고, 수조(3)는 드럼(6)을 수용한 외부조이며, 모터(5)는 드럼(6)을 회전시키는 드럼 구동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드럼(6)의 둘레측부(몸통부)에는 탈수 및 통풍용 소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전역에 걸쳐 다수 형성되고 또한 의류 긁어올림용 배플이 복수(도시하지 않음) 설치되어 있다.
이 밖에, 수조(3)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수조(3)의 내부로부터 드럼(6)의 내부에 급수되는 급수밸브를 비롯한 급수장치와, 드럼(6)으로부터 수조(3)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밸스를 비롯한 배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수조(3)의 후방인 외부상자 내의 후방 하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히트펌프유닛(9)이 송풍팬(10)과 함께 배치되어 있다. 히트펌프유닛(9)은 유닛케이스(11)의 내부에 도 3에 도시한 어큐물레이터(12)를 병설한 압축기(13), 응축기(condenser)(14), 스로틀 장치(감압수단)인 캐필러리(15), 및 증발기(evaporator)(14)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히트펌프유닛(9)의 상기 각 부품을 도 3에 도시한 순서로 냉매유로(7)를 통하여 접속함으로써 히트펌프(냉동사이클)(17) 가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축기(13)의 구동모터는 교류모터 예를 들어 유도모터(50)(도 5 참조)로 구성되어 있고, 압축기(13)는 소위 AC 컴프레서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압축기(13)의 유도 모터(50)는 후술하는 제어장치(34)(제어수단에 상당)에 의해 주파수 제어(피드백 제어)됨으로써 가변속 운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히트펌프(17)에는 냉매(및 윤활용 오일)가 봉입되어 있다. 또한, 유닛케이스(11) 내에는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지만 증발기(16) 및 응축기(14)를 바람(風) 상측으로부터 차례로 통과하는 풍로와, 압축기(13) 및 캐필러리(15)를 배치한 공간이 간막이벽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유닛 케이스(11)의 도 2 중의 좌측단부의 상부에는 상기 증발기(16) 및 응축기(14)를 통과하는 풍로에 연결되는 입기구(入氣口)(1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기구(18)에는 수조(3)에 대한 배기 덕트(19)가 접속되어 있다. 배기덕트(19)는 제1 배기덕트인 상부 배기덕트(19a)와, 제2 배기덕트인 후부 배기덕트(19b)로 이루어진 것이다. 후부 배기덕트(19b)는 수조(3)의 배부에 상하 방향을 지향시켜 설치되어 있고, 그 하단부가 상기 유닛케이스(11)의 입기구(18)에 접속되어 있다.
상부 배기덕트(19a)는 수조(3)의 외주부 중의 상부에 전후의 축방향을 지향시켜 설치되어 있고, 그 후단부에 상기 후부 배기덕트(19b)의 상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상부 배기덕트(19a)의 중간부에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필터 수납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 수납부(20)내에는 필터(21)가 수납되고, 상기 필터(21)에 의해 오로지 의류로부터 흩어져 나오는 실찌꺼기가 포획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부 배기덕트(19a)의 전단부는 도 1에 도시한 자바라 형상의 덕트 이음매(22)를 통하여 수조(3)의 상부의 전부(前部)에 형성된 배기구(23)에 접속되어 있다.
송풍팬(10)은 케이싱(10a)의 내부에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송풍날개(10b)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날개(10b)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10c)가 도 3에 도시한 케이싱(10a) 외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송풍팬(10)의 모터(10c)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류의 브러시리스 모터로 구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제어장치(34)에 의해 회전수 제어(피드백 제어)됨으로써 가변속 운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팬(10)의 케이싱(10a)을 유닛케이스(11)의 도 2 중의 우측부에 배치하고, 상기 케이싱(10a)의 입구부(도시하지 않음)를 유닛 케이스(11)의 상기 증발기(16) 및 응축기(14)를 통과하는 풍로의 출구부(도시하지 않음)와 연통시키고 있다. 또한, 케이싱(10a)은 출구부(10d)를 상부에 갖고 있고, 그 출구부(10d)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바라 형상의 덕트 이음매(24)를 통하여 급기 덕트(25)의 하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급기 덕트(25)는 수조(3)의 배부에 설치되어 있고, 하방의 기단부가 상기 케이싱(10a)의 출구부(10d)에 자바라 형상의 덕트 이음매(24)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수조(3)의 후부, 그 중에서도 후단판부의 상부에는 급기구(2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급기구(26)에 급기 덕트(25)의 상단부를 연통 접속시키고 있다.
이상의, 덕트 이음매(22), 배기덕트(19)(상부 배기덕트(19a), 후부 배기덕트(19b), 유닛케이스(11)의 증발기(16) 및 응축기(14)를 통과하는 풍로, 송풍팬(10)(케이싱(10a)), 덕트 이음매(24), 및 급기 덕트(25)에 의해 수조(3)의 배기구(23)와 급기구(26)를 접속하는 통풍로(27)가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통풍로(27)를 상기 히트펌프(17)와 함께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통풍로(27) 내에서의 증발기(16) 근방의 드럼(6)측의 부위(드럼(6) 출구측 부위)에는 드럼출구 공기온도를 검출하는 드럼 출구 공기온도센서(28)가 설치되어 있다. 급기덕트(25)내에는 드럼 입구 공기온도를 검출하는 드럼 입구 공기온도센서(29)가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16)의 입구에 접속된 냉매유로(7)에는 증발기(16)의 입구냉매온도를 검출하는 증발기 입구 냉매온도센서(30)가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16)의 출구에 접속된 냉매유로(7)에는 증발기(16)의 출구 냉매온도를 검출하는 증발기 출구 냉매온도센서(31)가 설치되어 있다. 압축기(13)의 토출구에 접속된 냉매유로(7)에는 압축기(13)의 출구냉매온도를 검출하는 압축기 출구 냉매온도센서(32)가 설치되어 있다. 응축기(14)에는 응축기(14)의 냉매온도를 검출하는 응축기 냉매온도센서(3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이상의 기내 구조(2)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드럼식 세탁건조기의 건조운전에 있어서는 히트펌프유닛(9)에서 압축기(13)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압축기(13)로부터 토출된 기체냉매가 응축기(14)에서 응축되어 액체 냉매가 된다. 상기 액체 냉매가 캐필러리(15)에 의해 팽창되어 미스트상이 되고, 상기 미스트상의 냉매가 증발기(16)에서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기화되어, 기체 냉매가 압축기(13)에 의해 압축되어 고온, 고압이 되어 토출되는 순환이 실시된다. 이 경우, 송풍팬(10)의 송풍작용에 따른 공기의 순환에 의해 수조(3)(드럼(4)) 내의 의류로부터 습기를 빼앗아 다량의 증기를 포함하는 공기가, 통풍로(27) 내의 증발기(16) 부분을 통과하여 냉각됨으로써, 증기가 응축(또는 승화)되어 제습된다. 상기 제습공기가 응축기(14)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가열되어 건조된 온풍이 되고, 다시 드럼(4) 내에 공급되어 의류의 건조에 제공된다.
도 4는 상기한 드럼식 세탁건조기의 전기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어장치(34)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체로 구성되어 있고, 드럼(4) 내의 의류의 세탁~건조를 실시하는 세탁행정~건조행정을 포함하는 세탁건조기(1)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장치(34)에는 사용자가 운전코스 등의 설정이나 지시 등을 실시하기 위한 조작부(35), 수조(3) 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센서(36), 외부상자의 저부에 설치된 외기온 검출부(37), 드럼 출구 공기온도센서(28), 드럼 입구 공기온도센서(29), 증발기 입구 냉매온도센서(30), 증발기 출구 냉매온도센서(31), 압축기 출구 냉매온도센서(32), 응축기 냉매온도센서(33)가 접속되고, 그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제어장치(34)에는 모터(5) 등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회전센서(38), 모터(5) 등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센서(39), 수조(3)의 진동을 검출하도록 설치한 진동센서(40)가 접속되고, 그 신호도 입력된다. 제어장치(34)는 진동센서(40)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진폭(진동값)을 산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어장치(34)에는 상기 진폭에 대한 임계값이나, 후술하는 예상 수요 시간 테이블, 모터(5), 압축기(13) 및 송풍팬(10)의 회전수에 관한 데이터 테이블 등이 기억된 불휘발성 기억수단(EEPROM이나 플래시 메모리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34)는 입력된 각종의 신호나, 미리 기억되어 있는 운전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나머지 운전시간 등을 알리는 표시부(41), 필요한 알림을 실시하는 부저(42), 급수밸브(43), 배수밸브(44), 모터(5), 팬모터(10c), 압축기(유도모터)(13) 등을 구동 제어한다. 이렇게 하여, 제어장치(34)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운전코스에 따라서 세탁, 헹굼, 탈수 등을 포함하는 세탁행정, 및 건조행정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건조행정 전에 드럼(6)을 고속회전(탈수운전)시키고, 그 후에 드럼(6)을 저속으로 정역 회전시키면서 히트펌프유닛(9)의 압축기(13) 및 송풍팬(10)의 운전을 개시하고 드럼(6) 내의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행정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히트펌프유닛(9)의 운전개시 전에 실시되는 드럼(6)의 고속회전은 그 소정의 속도영역에 도달할 때까지의 속도상승과정이고, 수조(3)의 진폭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예를 들어 1000rpm으로 설정되며, 상기 진폭이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예를 들어 1400rpm으로 설정된다. 이렇게 하여 드럼(6)의 회전속도 1400rpm 또는 상기 회전속도보다 저속인 1000rpm에 도달하면, 그 회전속도가 유지된다. 상기 고속회전 중에는 1000rpm이어도 드럼(6) 내의 의류가 원심력으로 드럼(6)의 둘레벽에 들러붙도록 하여 의류에 잔류하는 물이 원심력에 의해 휘둘러져 배출된다. 여기에서, 「고속회전에서의 소정의 속도영역」이라는 것은 드럼(6)내의 의류의 수분을 원심력에 의해 제거하는 드럼(6)(모터(5))의 속도 영역이고, 상기의 구체적인 값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탈수운전이 완료되면 건조행정을 개시한다. 즉, 드럼(6)의 회전속도를 저속 예를 들어 50rpm정도로 설정하여 정역회전시키고, 압축기(13)를 기동하여 히트펌프유닛(9)의 운전을 개시하게 하며, 송풍팬(10)의 운전을 개시하게 한다. 이 경우, 제어장치(34)는 압축기(13)의 유도 모터(50)의 회전수(주파수)를 인버터 제어에 의해 가변속 운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유도 모터(50)를 인버터 제어하는 인버터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57216호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 유도 모터(50)의 인버터 장치(51)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기 인버터 장치(51)는 제어장치(34)에 내장되어 있다.
유도 모터(50)의 인버터 장치(51)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도 5에서, 직류전원(52)는 교류 전원(52a), 도시하지 않은 리액터와 정류 다이오드(52b), 컨덴서(52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직류전원(52)에는 예를 들어 저항소자로 이루어진 전류검출소자(54)(원션트 전류검출)을 부측을 통하여, 예를 들어 IGBT나 MOSFET 등의 6개의 스위칭 소자를 3상 브리지 접속한 3암의 인버터 회로(53)가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 회로(53)의 출력단자 중, 단자 U는 유도 모터(50)의 보조권선(50a)에(A상), 단자 V는 주권선(50b)에(B상), 단자 W는 보조권선(50a)과 주권선(50b)의 중점(中點)에 (N상)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유도 모터(50)는 통상은 보조권선에 컨덴서를 배치하여 단상 교류전원으로 동작하는 컨덴서런형의 단상 유도 모터로부터 컨덴서를 배제한 것(2상 유도 모터)이고, 보조권선(50a)과 주권선(50b)은 감은 수나 선 직경이 다른, 소위 불평형의 상태의 것이다.
전류검출부(55)(전류검출수단)은 전류검출소자(54)와, 그 양단 전압을 증폭하고, AD 변환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마이컴)(58)을 취급할 수 있는 전류데이터(Idc)로 하는 전류검출부(62), 및 마이컴(58) 내에서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제1 전류변환부(63)로 이루어져 있다.
벡터 제어 연산부(56)(벡터 제어 연산수단)은 마이컴(58)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이고, 제2 전류변환부(64)(전류 평형화 수단), dq축으로 변환하는 제3 전류변환부(65), 회전각을 결정하는 유기 전압 연산부(66), 주파수 추정부(67), 적분부(68), dq축 전압을 결정하는 가산기(78 및 79), PI연산기(71 및 73), 자속지령부(72), 출력전압을 결정하는 제1 전압변환부(74), 제2 전압변환부(75)(전압 불평형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PWM신호 형성부(57)(PWM 신호형성수단)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제3 전압변환부(76)(지령전압 연산수단), PWM부(77)로 구성된다.
또한, 마이컴(58)에는 직류 전원(52)이 출력하는 DC전압에 대한 인버터 회로(53)의 출력전압의 비를 구하는 전압률 연산부(69), 그 결과에 기초하는 주파수 지령부(70)가 설치되어 있다. 인버터 회로(53)의 직류모선간에는 예를 들어 분압저항으로 구성되는 직류전압 검출부(80)(직류전압 검출수단)이 배치되어 있고, 검출된 전압(Vdc)은 전압률 연산부(69) 및 전압변환부(76)에 부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인버터 장치(51)는 전원주파수를 가변 제어한 2상의 교류전원, 예를 들어 30㎐ 내지 80㎐까지의 범위의 예를 들어 90도 위상을 어긋나게 한 2상의 교류전원을 생성하여 유도 모터(50)의 2상의 권선(50a, 50b)에 공급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인버터 장치(51)는 상기 범위의 2상의 교류전원을 압축기(13)의 유도 모터(50)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유도 모터(50)의 회전수(주파수)를 30㎐ 내지 80㎐까지의 범위에서 가변속 제어(가변속 운전)할 수 있다. 이 구성의 경우, 유도 모터(50)는 유도 모터용 진상(進相) 컨덴서가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 모터(5) 및 상기 팬모터(10c)(모두 직류 브러시리스 모터)를 인버터 제어에 의해 가변속 운전하는 인버터 장치로서는 주지의 구성(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273505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압축기(13)의 유도 모터(50)의 주파수 특성을 도 6에 나타낸다.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13)의 유도 모터(50)는 전원주파수가 예를 들어 50㎐ 또는 60㎐일 때 운전 효율이 가장 좋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으로부터 상기 유도 모터(50)의 운전의 효율이 비교적 좋은 하한 주파수 및 상한 주파수는 예를 들어 40㎐ 및 70㎐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유도 모터(50)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원주파수를 40㎐ 내지 70㎐까지 동안의 범위내에서 가변시키도록 제어하면, 유도 모터(50)의 운전의 효율이 비교적 좋은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도 6으로부터 상기 유도 모터(50)의 운전의 효율을 허용할 수 있는 최소인 경우의 하한 주파수 및 상한 주파수는, 예를 들어 30㎐ 및 80㎐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유도 모터(50)에 공급하는 교류전원의 전원주파수를, 30㎐ 내지 80㎐까지 동안의 범위내에서 가변시키도록 제어하면, 유도 모터(50)의 운전의 효율이 허용할 수 있는 최소의 상태가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드럼식 세탁건조기의 건조운전에서는 에너지 절감 코스, 표준 코스, 급속(스피드) 코스의 3개의 건조운전코스가 준비되어 있고, 각 코스에 의해 압축기(13)의 유도 모터(50)의 회전수(운전주파수, 전원주파수)의 가변 제어를 변경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각 코스마다의 운전주파수의 설정의 일례를 도 7에 나타낸다.
즉, 건조운전의 기동시(초기)에는 압축기(13)의 유도 모터(50)의 전원주파수를, 에너지절감 코스에서는 예를 들어 40㎐으로 하고, 표준 코스에서는 예를 들어50㎐으로 하며, 급속 코스에서는 예를 들어 60㎐로 한다. 그리고, 건조운전의 안정기에서는 압축기(13)의 유도 모터(50)의 전원주파수를, 에너지절감 코스에서는 예를 들어 30~60㎐의 범위내에서 가변시키고, 표준코스에서는 예를 들어 40~70㎐의 범위내에서 가변시키며, 급속코스에서는 예를 들어 50~80㎐의 범위내에서 가변시킨다. 또한, 건조운전의 안정기 종료후에서는 압축기(13)의 유도 모터(50)의 전원주파수를, 에너지절감 코스에서는 예를 들어 30㎐로 하고, 표준 코스에서는 예를 들어 40㎐로 하며, 급속 코스에서는 전원주파수를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한, 건조운전의 안정기 종료의 판정, 및 건조 종료의 판정은 예를 들어 드럼 출구 공기온도로 판정한다.
또한, 건조운전의 기동시에서는 송풍팬(10)의 풍량을, 상기 3개 코스 모두 동일한 풍량으로 비교적 고풍량, 즉 송풍팬(10)의 팬모터(10a)의 회전속도를 예를 들어 5000rpm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건조 운전의 안정기에서는 증발기(16)의 입구냉매온도와 출구냉매온도의 온도차(Δte), 즉, 냉매의 과열도(수퍼히트)(Δte)가 거의 일정해지도록, 구체적으로는 상기 과열도(Δte)가 예를 들어 0℃~10℃의 범위내에 정리되도록 안정화시키는 제어를 실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선 압축기(13)의 유도 모터(50)의 전원주파수를 초기값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송풍팬(10)의 팬모터(10a)의 회전수를 가변 제어한다. 상기 송풍팬(10)의 회전수의 가변 제어를 실시해도, 상기 과열도(Δte)가 0℃ 이하인 경우에는 압축기(13)의 유도 모터(50)의 전원주파수를, 운전의 효율이 좋은 하한의 전원주파수(에너지절감 코스에서는 30㎐, 표준 코스에서는 40㎐, 급속코스에서는 50㎐)까지 조금씩 하강시키는 제어를 실시한다. 반대로, 상기 과열도가 10℃ 이상인 경우에는 압축기(13)의 유도 모터(50)의 전원주파수를, 운전의 효율이 좋은 상한의 전원주파수(에너지절감 코스에서는 60㎐, 표준 코스에서는 70㎐, 급속코스에서는 80㎐)까지 조금씩 상승시키는 제어를 실시한다.
이 후, 안정기 건조가 종료된 경우, 압축기(13)의 유도 모터(50)의 전원 주파수를 하한주파수(에너지절감 코스에서는 30㎐, 표준 코스에서는 40㎐, 급속 코스에서는 변경하지 않음)로 저하시키고 효율이 약간 나빠지지만, 입력을 감소시키는 제어를 실시한다. 이하, 상술한 운전제어에 대해서 도 8 내지 도 1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8의 단계 S10에서는 드럼출구 공기온도가 제1 판정온도(td1)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드럼출구 공기온도가 제1 판정온도(td1) 이상이 아니면, 즉 건조안정기가 종료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아니오」로 나아가고, 단계 S20으로 진행한다.
단계 S20에서는 상기 과열도(Δte)가 0℃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과열도(Δte)가 0℃보다 크지 않을 때(Δte가 0℃ 이하일 때)에는 「아니오」로 나아가 단계 S30으로 진행한다. 단계 S30에서는 송풍팬(10)의 풍량(회전수)이 최대(맥스 예를 들어 5500rpm)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풍량팬(10)의 풍량이 최대가 아니면 「아니오」로 나아가 단계 S40으로 진행하며, 송풍팬(10)의 풍량을 상승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팬모터(10c)의 회전수를 예를 들어 100rpm 상승시킨다. 그리고, 단계 S10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상기 단계 S10에서 드럼 출구 공기온도가 제1 판정온도(td1) 이상이 아닐 때, 즉 건조안정기가 종료되었을 때에는 「예」로 나아가, 단계 S50으로 진행한다. 단계 S50에서는 드럼 출구 공기온도가 제2 판정온도(td2)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드럼 출구 공기온도가 제2 판정 온도(td2) 이상이 아니면 즉, 건조가 종료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아니오」로 진행하고 단계 S60으로 진행한다. 단계 S60에서는 급속 코스(스피드 모드) 이외에는 하한 주파수를 설정하고(에너지절감 코스에서는 30㎐, 표준 코스에서는 40㎐로 설정하고), 급속 코스는 주파수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하여 단계 S5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50에서 드럼 출구 공기온도가 제2 판정온도(td2) 이상이면 「예」로 나아가 건조운전을 종료한다.
또한, 상기 단계 S20에서 과열도(Δte)가 0℃보다 클 때에는 「예」로 진행하고, 도 9의 단계 S1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10에서는 압축기 출구 냉매온도 또는 응축기 냉매온도가 미리 설정한 압축기 출구 냉매온도 또는 응축기 냉매온도의 각 설정 상한온도로부터 각각 5℃를 뺀 온도보다 낮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압축기 출구 냉매온도 또는 응축기 냉매온도가 상기 각 설정상한온도로부터 각각 5℃를 뺀 온도보다 낮을 때에는 「예」로 진행하고, 단계 S120으로 진행한다. 또한, 압축기 출구 냉매온도 또는 응축기 냉매 온도가 상기 각 설정 상한온도로부터 각각 5℃를 뺀 온도 이상일 때에는 「아니오」로 진행하며, 도 8의 단계 S10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단계 S120에서는 상기 과열도(Δte)가 10℃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여기에서 과열도(Δte)가 10℃보다 높을 때에는 「예」로 나아가 단계 S130으로 진행한다. 또한, 과열도(Δte)가 10℃ 이하일 때에는 「아니오」로 나아가 도 8의 단계 S10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단계 S130에서는 압축기(13)의 유도 모터(40)에 공급하고 있는 교류전원의 전원주파수(Fa)가 안정 상한값(F1) 보다도 작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안정 상한값(F1)은 에너지절감에서는 예를 들어 60㎐이고, 표준코스에서는 예를 들어 70㎐이며, 급속코스(스피드 모드에서는 예를 들어 상한주파수인 80㎐이다. 여기에서, 전원주파수(Fa)가 안정 상한값(F1)보다 작을 때에는 「예」로 나아가 단계 S140으로 진행한다. 또한, 전원주파수(Fa)가 안정 상한값(F1)이상일 때에는 「아니오」로 나아가 도 8의 단계 S10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단계 S140에서는 전원 주파수(Fa)가 (안정 상한값(F1)-5㎐)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전원주파수(Fa)가 (안정 상한값(F1)-5㎐)보다 작을 때에는 「예」로 나아가 단계 S150으로 진행하여, 전원주파수(Fa)를 예를 들어 5㎐ 상승시키고, 도 8의 단계 S10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전원주파수(Fa)가 (안정 상한값(F1)-5㎐) 이상일 때에는 「아니오」로 나아가 단계 S160으로 진행하여 전원주파수(Fa)를 안정 상한값(F1)으로 하고 도 8의 단계 S10으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도 8의 단계 S30에서 송풍팬(10)의 풍량이 최대일 때에는 「예」로 나아가 도 10의 단계 S2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210에서는 압축기(13)의 유도모터(50)에 공급되어 있는 교류전원의 전원주파수(Fa)가 안정 하한값(F2)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안정하한값(F2)은 에너지절감에서는 예를 들어 30㎐이고, 표준 코스에서는 예를 들어 40㎐이며, 급속 코스에서는 예를 들어 50㎐이다. 여기에서, 전원주파수(Fa)가 안정하한값(F2) 이상일 때에는 「예」로 나아가 단계 S220으로 진행한다. 또한, 전원주파수(Fa)가 안정 하한값(F2)보다 작을 때에는 「아니오」로 나아가 도 8의 단계 S10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단계 S220에서는 전원주파수(Fa)가 (안정 하한값(F2)+5㎐)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전원주파수(Fa)가 (안정 하한값(F2)+5㎐) 이상일 때에는 「예」로 나아가 단계 S230으로 진행하며, 전원주파수(Fa)를 예를 들어 5㎐ 다운시키고, 도 8의 단계 S10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전원주파수(Fa)가 (안정하한값(F2)+5㎐)보다 작을 때에는 「아니오」로 나아가 단계 S240으로 진행하고, 전원주파수(Fa)를 안정 하한값(F2)으로 하고 도 8의 단계 S10으로 되돌아간다.
상기한 구성의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압축기(13)의 구동모터를 유도 모터(50)로 구성하고 또한 그 유도 모터(50)를 가변속 운전하는 제어장치(34)를 구비하였으므로, 제품가격을 낮출 수 있고, 또한 건조성능을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34)는 유도모터(50)에 공급하는 교류전원의 주파수로서, 유도 모터(50)의 운전 효율이 허용할 수 있는 최소가 되는 하한 주파수(예를 들어 30㎐) 및 상한 주파수(예를 들어 80㎐)를 설정하고, 유도 모터(50)를 가변속 운전할 때에는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상기 하한 주파수와 상기 상한 주파수 사이의 범위에서 가변시키도록 구성했으므로, 유도모터(50)의 운전의 효율이 악화되었다고 해도 허용할 수 있는 최소가 되는 상태로 그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도 모터(50)의 운전효율이 비교적 좋은 하한 주파수 및 상한 주파수로 하고, 하한 주파수(예를 들어 40㎐) 및 상한 주파수(예를 들어, 70㎐)를 설정하며, 유도 모터(50)를 가변속 운전할 때에는 교류 전원의 전원주파수를, 하한 주파수부터 상한 주파수까지의 사이의 범위내에서 가변시키도록 구성했으므로, 유도 모터(50)의 운전효율이 악화되었다고 해도 유도 모터(50)의 운전효율을 비교적 좋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건조운전코스로서 에너지 절감, 표준 코스, 급속(스피드) 코스의 3개의 건조운전코스를 준비하고, 각 코스에 의해 압축기(13)의 유도 모터(50)의 회전수(운전주파수, 전원주파수)의 가변제어를 변경 설정하도록 구성했으므로, 건조운전 코스에 대응한 최적의 운전 효율로 유도 모터(50)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90도 위상을 어긋나게 한 2상의 교류전원을 생성하여 유도 모터(50)의 2상의 권선(50a, 50b)에 공급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유도 모터(50)에는 유도 모터용 진상(進相) 컨덴서가 불필요해져 유도 모터(50)의 제조비용을 한층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히트펌프유닛(9)(냉동사이클)에서 전자팽창밸브를 대신하여 캐필러리(15)를 사용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인버터 장치(51)는 유도 모터(50)에 공급하는 2상의 교류전원의 전압값을 가변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전원주파수 및 전원전압값을 가변 제어함으로써 V(전압)/F(주파수)비를 일정하게 제어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 11에서 「Δ」마크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도 모터(50)의 운전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마크는 제1 실시형태(V/F 일정제어를 하지 않는 구성, 즉 전원전압값을 일정하게 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V/F 일정하게 하면서 전원주파수를 가변시키는 제어의 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유도 모터(50)에 공급하는 교류 전원의 주파수가 60㎐일 때, 정격전압이 110V이었다고 하면, V/F비는 1.83이 된다. 상기 유도 모터(50)에 대해서 주파수를 예를 들어 5㎐ 낮추어 55㎐의 주파수로 운전하는 경우에는, 전압을 55㎐*1.83=101V로 저하시켜 운전한다. 이와 같이 운전 제어함으로써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만 변화시키는 구성에 비하여 운전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고, 또한 고효율적인 운전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가격이 저렴한 압축기(13)(AC 컴프레서) 및 캐필러리(15)를 사용하여 제조비용을 저하시키면서 운전의 효율이 좋은, 에너지 절감성이 높은 건조운전을 실현할 수 있다.
상술한 이외의 제2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도 모터(50)를 가변속 제어할 때 V/F 일정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유도 모터(50)의 운전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이하,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압축기(13)의 케이스(81)가 방음성이 높은 단열재로 이루어진 커버(82)로 덮여 있다.
본 실시형태의 드럼식 세탁건조기에서 건조 운전을 실시하는 경우에, 실내가 저온 예를 들어 5℃ 정도였을 때에는, 건조운전의 기동시에 드럼출구 공기온도가 5℃ 플러스 알파 정도까지 내려가므로 증발기(16)의 온도가 0℃보다 낮은 마이너스 온도가 되고, 증발기(16)의 핀에 성에가 부착될 가능성이 발생한다. 이에 비하여,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압축기(13)를 운전하면 손실이 열이 되어 압축기(13)의 케이스(81)를 따뜻하게 하는데, 이 때 단열성을 갖는 커버(82)로 상기 케이스(81)가 덮여 있으므로, 케이스(81)로부터 주위로의 열누출이 억제되어 케이스(81) 자체의 온도가 상승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제3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압축기(13) 출구의 냉매가스의 온도가 상승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드럼 출구 공기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압축기(13)의 케이스(81)의 온도의 상승이 빨라지면, 상기 케이스(81) 내의 오일의 온도상승도 빨라지므로, 오일 중에 녹아들어 있는 냉매의 증발이 활발해지고, 냉매가 빠르게 가스화되어 사이클 내를 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압축기(13)의 작업량이 빠르게 증가하여, 고속 건조의 안정상태가 되기 쉽다. 따라서, 드럼출구 공기온도가 상승하므로, 압축기(13)의 온도가 마이너스이어도, 증발기(16)의 핀부는 가열되어 핀부에 성에가 발생하지 않고 결로되는 현상을 빠르게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핀부의 성에 부착에 의해 풍량이 저하되고 건조 속도가 악화되어 최악의 경우 건조할 수 없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이외의 제3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3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열성을 갖는 커버(82)로 압축기(13)의 케이스(81)를 덮었으므로, 실내가 저온시에서의 건조운전 초기의 증발기(16)의 핀부에 성에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이하, 제4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3~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13)의 구동원이 되는 모터(139)(교류모터에 상당)는 단상 유도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압축기(13)는 인버터 제어에 의해 그 회전속도(모터의 구동주파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가변속 운전).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139) 및 인버터 장치(151)에 의해 압축기(13)를 구동하는 컴프레서 구동장치(152)가 구성된다.
직류전원(153)은 상용전원(AC100V 50/60㎐)인 교류전원(154)으로부터 부여되는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한다. 직류전원(153)은 리액터(도시 생략), 다이오드를 브리지 형상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진 정류회로(155) 및 평활용 컨덴서(156)를 구비하고 있다. 직류전원(153)에는 전류검출회로(157)를 부(負)측을 통하여, 예를 들어 IGBT나 MOSFET 등의 6개의 스위칭 소자를 3상 브리지 접속한 3암의(3상의) 인버터 회로(158)가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 회로(158)는 직류전원(153)으로부터 부여되는 직류전압을 3상의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전류검출회로(157)는 하나 또는 복수의 션트저항을 구비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전류검출회로(157)로서는 3개의 암에 흐르는 전류를 개별적으로 검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임의의 2개의 암에 흐르는 전류를 개별적으로 검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으며, 3개의 암에 흐르는 전류를 합쳐 검출하는 구성(원션트 전류검출)이어도 좋다.
모터(139)는 보조권선에 컨덴서가 배치된 단상교류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통상의 컨덴서런형의 단상(單相) 유도 모터로부터, 컨덴서를 배제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139)의 주권선(159m) 및 보조권선(159a)은 감은 수나 선 직경이 다른, 소위 불평형의 상태이다. 주권선(159m) 및 보조권선(159a)의 각 한쪽의 단자는 각각 모터(139)의 주권선 단자(M) 및 보조권선 단자(A)로 되어 있다. 주권선(159m) 및 보조권선(159a)은 직렬 접속되어 있고, 그 상호접속노드(중성점), 즉 주권선(159m) 및 보조권선(159a)의 각 다른쪽 단자는 모터(139)의 공통단자(C)가 되어 있다.
인버터 회로(158)의 3상의 출력단자 중, U상의 출력단자(U)는 모터(139)의 단자(C)에, V상의 출력단자(V)는 모터(139)의 단자(M)에, W상의 출력단자(W)는 모터(139)의 단자(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버터 회로(158)의 각 상 중 U상이 제1 상에 상당하고, V상이 제2 상에 상당하며, W상이 제3 상에 상당한다.
인버터 제어회로(160)(제어수단에 상당)은 전류검출회로(157)로부터 부여되는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인버터 회로(158)의 각 암에 흐르는 전류(각 상 전류)를 검출한다. 인버터 제어회로(160)는 각 상 전류의 검출결과, 제어장치(34)로부터 부여되는 회전속도지령 등에 기초하여 모터(139)로의 인가전압을 지령하기 위한 펄스폭 변조된 구동신호(PWM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구동신호의 생성은 그 때마다 연산 또는 미리 메모리 등에 기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생성된 구동신호는 구동회로(161)를 통하여 인버터 회로(158)의 각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부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모터(139)의 단자(M, A 및 C)에, 인버터 회로(158)의 각 상의 출력전압이 공급되어 모터(139)가 구동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 인버터 제어회로(160)는 모터(139)(압축기(13))의 회전속도(회전수)에 따라서 인버터 회로(158)의 각 상 출력의 전압파형을 전환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139)의 회전속도가 구동주파수에 추종하여 변화되는 점을 고려하여, 인버터 제어회로(160)는 모터(139)의 회전속도를 대신하여 구동주파수를 사용하고 상기 전압파형의 전환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인버터 제어회로(160)는 각 상 출력의 전압파형을, 구동주파수가 비교적 낮은 저속영역에서는 제1 패턴으로 설정하고, 구동주파수가 비교적 높은 고속영역에서는 제2 패턴으로 설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139)의 구동주파수로서 4개의 설정값 F1, F2, F3, F4(단, F1<F2<F3<F4)이 설정되어 있다(도 17~도 19 참조). 상기한 저속영 역이라는 것은 모터(139)의 기동시(구동주파수가 제로일 때)부터 구동주파수가 설정값(F2) 이하일 때이다. 또한, 고속영역이라는 것은 구동주파수가 설정값(F3) 이상일 때이다.
계속해서 인버터 회로(158)의 각 상 출력의 전압파형 및 모터(139)로의 인가전압 파형의 각종 패턴에 대해서 도 14~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4~도 16에 도시한 각 파형은 인버터 회로(158)에 부여되는 전류전압의 피크값(주회로 전압)이「1」로서 정규화되어 있다. 또한, 도 14~도 16에 도시한 각 상 출력의 전압파형은 실제로는 PWM 제어된 펄스상의 파형(방형파)이지만, 연속적인(아날로그적인) 파형으로서 표현하고 있다.
모터(139)의 구동주파수가 저속영역일 때에는 인버터 회로(158)의 각 상의 단자(U~W)로부터 도 14 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제1 패턴)의 전압이 출력된다. 또한, 인버터 회로(158)에서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도 14, 도 15 및 후술하는 도 1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을 생성하는 방법은 주지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4~도 16에서는 U상 출력을 실선, V상 출력을 1점 쇄선, W상 출력을 폭넓은 파선, 주권선 159m로의 인가전압을 2점 쇄선, 보조권선(159a)으로의 인가전압을 폭이 좁은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4의 경우, 모터(139)의 단자(M) 및 단자(C)의 사이(주권선(159m)의 단자간)에 주회로 전압과 동등한 p-p값(정(正)의 최대값부터 부(負)의 최대값까지의 값)의 정현파상의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모터(139)의 단자(A) 및 단자(C) 사이(보조권선(159a)의 단자 사이)에는 주권선(159m)의 단자간에 인가되는 전압과 동일한 정현파상이고 위상이 90도(전기각) 다른 전압이 인가된다. 이 경우, 모터(139)의 주권선(159m) 및 보조권선(159a)의 각 단자간에 인가되는 전압의 최대값(파고값)은「0.5」이며 실효값은 약「0.35」가 된다.
또한, 도 15의 경우, 모터(139)의 주권선(159m)의 단자간에 주회로 전압의 √2배의 p-p값의 정현파상의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모터(139)의 보조권선(159a)의 단자간에는 주권선(159m)의 단자간에 인가되는 전압과 동일한 정현파상이고 위상이 90도 다른 전압이 인가된다. 이 경우, 모터(139)의 주권선(159m) 및 보조권선(159a)의 각 단자간에 인가되는 전압의 최대값은 약「0.7」이고 실효값은「0.5」가 된다. 이와 같이, 모터(139)의 구동주파수가 저속영역일 때에는 모터(139)의 주권선(159m) 및 보조권선(159a)에 대하여 2상의 교류전압이 인가된다. 도 16은 모터(139)의 구동주파수가 고속영역일 때의 도 14 상당도이다. 모터(139)의 구동주파수가 고속영역일 때에는 인버터 회로(158)의 각 상의 단자 U~W로부터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제2 패턴)의 전압이 출력된다. 즉, 이 때, 단자 U 및 단자 V로부터 주회로 전압과 동등한 p-p값이고 서로 역위상의 정현파 형상의 전압이 출력된다. 또한, 단자(W)는 개방상태(스위칭 소자가 상하 모두 오프된 상태)이고, 단자(W)로부터 전압은 출력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모터(139)의 주권선(159m)의 단자간에 주회로 전압의 2배의 p-p값의 정현파상의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모터(139)의 보조권선(159a)의 단자간에는 전압은 인가되지 않는다. 이 경우, 모터(139)의 주권선(159m)의 단자간에 인가되는 전압의 최대값(파고값)은「1」이고 실효값은 약 「0.7」이 된다. 이와 같은 모터(139)의 구동주파수가 고속영역일 때에는 모터(139)의 주권선(159m)에 대하여 단상의 교류전압이 인가된다.
인버터 제어회로(160)는 구동주파수가 설정값(F2 및 F3) 사이를 천이(遷移)할 때 즉 구동주파수가 설정값(F2)보다 높고 또한 설정값(F3) 미만일 때의 임의의 타이밍에 상기 전압파형의 전환을 실시한다. 이에 의해, 모터(139)의 주권선(159m)에는 그 기동시부터 구동주파수가 설정값(F2) 이하로 설정되어 있을 때 2상의 교류전압(도 14 또는 도 15 참조)이 인가되고, 구동주파수가 설정값(F3)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단상의 교류전압(도 16 참조)이 인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임의의 타이밍은 주권선(159m)에 흐르는 전류가 제로가 될 때로 하고 있다. 주권선(159m)에 흐르는 전류는, 예를 들어 전류검출회로(157)로부터 부여되는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39)의 주권선(159m)에 인가되는 전압의 실효값(코일전압이라고도 부름)은 구동주파수에 따라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이한다. 도 17에서는 주회로 전압을 2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또한 2상 및 단상을 전환하는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의 코일전압을 실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7에서는 항상 2상의 교류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의 코일전압을 파선으로 도시하고 또한 항상 단상의 교류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의 코일전압을 1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종래, DC 브러시리스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 장치에 의해, 주권선 및 보조권선을 구비한 단상유도모터(교류모터)를 구동하는 구성이 고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인버터 장치의 출력에 의해 주권선 및 보조권선에 대하여 2상의 교류전압이 인가되므로, 단상유도모터를 안정적으로 기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인버터 장치에 공급되는 직류전압(주회로 전압)에 의한 제약으로부터, 주권선 및 보조권선에 인가되는 전압을 충분히 높이기 어렵다. 그 때문에, 단상유도모터로부터 충분한 토크가 얻어지지 않고, 컴프레서의 운전주파수를 높게 설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컴프레서의 안정적인 기동의 실현 및 고속운전이 가능해진다.
인버터 제어회로(160)는 모터(139)의 기동시로부터 구동주파수가 설정값(F2) 이하로 설정되어 있을 때(저속영역)에는 2상의 교류전압이 모터(139)의 주권선(159m) 및 보조권선(159a)에 인가되도록, 인버터 회로(158)의 각 상 출력의 전압파형을 설정한다. 이에 의해,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단상유도모터인 모터(139)를 원하는 회전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도록 안정적으로 기동할 수 있다.
모터(139)가 어느 정도의 회전속도로 회전을 하고 있는 경우, 보조권선(159a)으로의 전압인가를 정지해도 그 회전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버터 제어회로(160)는 구동주파수가 설정값(F3)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고속영역)에는 단상의 교류전압이 모터(139)의 주권선(159m)에 인가되도록, 인버터 회로(158)의 각 상 출력의 전압파형을 설정한다(전환). 이와 같이 하면, 모터(139)가 고속으로 회전될 때, 2상의 교류전압보다 최대값이 큰 단상의 교류전압이 주권선(159m)에 인가되고, 항상 2상의 교류전압을 인가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주권선(159m)에 인가되는 전압의 실효값이 높아진다.
이하,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의해, 모터(139)를 고속영역에서 구동하는 경우에 얻어지는 효과에 대해서, 항상 2상의 교류전압을 인가하는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설명한다. 도 18 및 도 19는 모터의 회전속도 및 출력토크의 개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경우 모터의 제어는 구동주파수 및 인가전압을 비례시키는(V/F를 일정하게 함) V-F 제어를 채용하고 있다.
종래 기술의 구성에 의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부하곡선(특성)을 갖는 압축기(컴프레서)의 모터를 구동하는 경우, 구동주파수의 설정값이 F3로부터 F4로 전환되어도(높아져도), 모터의 회전속도가 상승하지 않는다(변화되지 않는다). 종래 기술과 같이 항상 2상의 교류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모터의 주권선에 인가되는 전압의 실효값이 「0.35」 또는 「0.5」로 낮아지므로, 모터는 고속으로 운전할 때 충분한 출력토크가 얻어지지 않고,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해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우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 압축기(13)의 모터(139)를 구동하는 경우, 구동주파수의 설정값이 F2로부터 F3으로 이행할 때 전압파형이 단상으로 전환된다. 그 때문에, 구동주파수의 설정값이 F3 및 F4일 때에는 단상의 교류전압에 의해 주권선(159m)에 인가되는 전압의 실효값이 「0.7」로 높아져, 모터(139)를 고속으로 운전할 때 충분한 출력토크가 얻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따르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주파수의 설정값이 F3으로부터 F4로 전환되면, 그에 따라서 모터(139)(압축기(13))의 회전속도가 상승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따르면 압축기(13)의 모터(139)로서 단상 유도 모터를 채용하고, 또한 그 모터(139)를 3상의 인버터 회로(158)에 의해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다음과 같은 제어가 실시된다. 즉, 인버터 제어회로(160)는 모터(139)의 회전속도(구동주파수)가 저속영역일 때에는 2상의 교류전압이 주권선(159m) 및 보조권선(159a)에 인가되고 고속영역일 때에는 단상의 교류전압이 주권선(159m)에 인가되도록 인버터 회로(158)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압축기(13) 더 나아가서는 세탁건조기의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압축기(13)의 안정된 기동의 실현 및 고속운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모터(139)의 구동주파수가 고속영역일 때에는 보조권선(159a)으로의 전압인가가 실시되지 않으므로, 보조권선(159a)은 모터(139)의 출력토크에 기여하지 않는다. 그러나, 보조권선(159a)는 원래 모터(139)의 안정된 기동을 실현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고, 그에 의해 얻어지는 출력토크는 주권선(159m)에 비하여 작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따르면 고속영역에서 보조권선(159a)으로부터 얻어지는 토크가 없다는 점을 제외해도, 종래 기술에 비하면 고속영역에서의 출력토크를 높게 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인버터 제어회로(160)는 모터(139)의 주권선(159m)에 흐르는 전류가 제로인 타이밍에, 인버터 회로(158)의 각 상 출력의 전압파형의 전환을 실시한다. 모터(139)의 주권선(159m)에 흐르는 전류는 모터(139)의 출력토크에 가장 기여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주권선(159m)에 흐르는 전류가 제로일 때 전압파형의 전환이 실시되면, 파형 전환시에서의 출력토크의 변동이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인버터 회로(158)의 각 상 출력의 전압파형을 전환하는 구성이어도, 그 전환시에서의 모터(139)의 회전속도의 변동을 매우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5 실시형태)
인버터 제어회로(160)는 모터(139)의 구동주파수가 고속영역일 때 주권선(159m)에 대하여 단상의 교류전압이 인가되도록 인버터 회로(158)의 동작을 제어하면 좋고, 그 때의 인버터 회로(158)의 각 상 출력의 전압파형은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모터(139)의 구동주파수가 고속영역일 때의 인버터 회로(158)의 각 상 출력의 전압파형을 변경한 제5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139)의 구동주파수가 고속영역일 때에는 인버터 회로(158)의 각 상의 단자(U~W)로부터,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제2 패턴)의 전압이 출력된다. 즉, 이 때, 단자(U)로부터 주회로 전압과 동등한 p-p값의 방형파형의 전압이 출력된다. 또한, 단자(V)로부터, 주회로 전압의 2배의 p-p값을 갖는 정현파상의 파형을 다음과 같이 변형한 파형의 전압이 출력된다. 즉, 단자(V)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상기 정현파상의 파형 중 정측 부분은 그대로 하고, 부측의 부분을 최대값(=주회로 전압)만큼만 정방향으로 시프트한 파형이다. 또한, 단자(W)는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개방상태이고 단자(W)로부터 전압은 출력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각 상 출력의 전압파형을 변경한 경우에도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모터(139)의 주권선(159m)의 단자간에, 주회로 전압의 2배의 p-p값의 정현파상의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도 얻어진다. 즉, 이 경우, 단자(U)로부터는 방형파형의 전압이 출력된다. 그 때문에, U상의 스위칭 소자는 대부분의 기간에서 온 고정 또는 오프 고정 상태가 된다. 이에 대하여, 제4 실시형태에서는 U상의 스위칭 소자는 PWM제어에 의해 정현파상의 전압을 출력하기 위해 항상 스위칭 동작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4 실시형태에 비하여, U상의 스위칭 소자에서의 스위칭 손실이 감소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 밖의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서는 건조운전코스로서 에너지절감 코스, 표준 코스, 급속 코스의 3개를 준비하고 각 코스에 따라 압축기(13)의 유도 모터(50)의 회전수(운전주파수, 전원주파수)의 가변제어를 변경설정(도 7 참조)하도록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건조운전코스를 2종류 이하 또는 4종류 이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코스마다의 구체적인 운전주파수의 설정에 대해서는 도 7에 도시한 설정값은 일례이고, 각 설정값은 여러가지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압축기(13)의 유도모터(50)의 회전수(운전주파수, 전원주파수)를 가변 제어할 때, 인버터 장치(51)에 의해 피드백 제어(예를 들어 벡터 제어)하도록 구성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오픈루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인버터 장치(51)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세탁건조기는 수조(3) 및 드럼(6)이 종축형상으로 배치되는 소위 종축형이어도 좋다.
스로틀 장치는 예를 들어 제어장치(34)의 제어를 받아 스로틀 개방도가 조정 가능한 소위 전동팽창밸브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컴프레서 구동장치(152)는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건조기에 한정되지 않고, 히트펌프식의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건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인버터 제어회로(160)는 홀센서 등의 회전속도 검출기를 사용하여 검출되는 모터(139)의 회전속도의 검출값, 벡터제어연산 등에 의해 추정되는 모터(139)의 회전속도의 추정값 등에 따라서 각 상 출력의 전압파형을 전환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인버터 제어회로(160)는 주권선(159m)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 전류 미만일 때에 전압파형의 전환을 실시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해도, 주권선(159m)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 전류 미만으로 억제되는 분량만큼, 전압파형의 전환시에서의 모터(139)의 회전속도의 변동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실시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6: 드럼 13: 압축기(컴프레서)
14: 응축기 15: 캐필러리(스로틀 장치)
16: 증발기 17: 히트펌프(냉동사이클)
27: 통풍로 34: 제어장치(제어수단)
50: 유도 모터(교류 모터) 53: 인버터 회로
139: 모터(교류 모터, 단상 유도 모터)
152: 컴프레서 구동장치 158: 인버터 회로
159m: 주권선 159a: 보조권선
160: 인버터 제어회로(제어수단)

Claims (20)

  1.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스로틀 장치로 구성된 냉동사이클과, 건조용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내로 공기를 순환 공급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가 설치된 통풍로를 구비한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모터를 주권선 및 보조권선을 구비하는 교류모터로 구성하고,
    상기 교류모터를 가변속 운전하는 제어수단, 및
    직류전압을 복수 상의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되, 그 복수 상의 출력을 상기 주권선 및 상기 보조권선의 각 단자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교류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인버터 회로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교류모터의 구동을 가변속 제어하고, 상기 교류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상기 인버터 회로의 복수 상의 출력의 파형 패턴을 전환하는 의류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교류모터의 구동주파수로 복수의 설정값을 설정하고,
    상기 교류모터의 구동주파수가 제 1 설정값 이하의 저속영역일 때에는 상기 파형 패턴을 제1 패턴으로 설정하고,
    상기 교류모터의 구동주파수가 상기 제 1 설정값보다 큰 제 2 설정값 이상의 고속영역일 때에는 상기 파형 패턴을 제2 패턴으로 설정하는 의류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은 상기 주권선의 단자간 및 상기 보조권선의 단자간에 2상의 교류전압이 인가되는 파형 패턴이고,
    상기 제2 패턴은 상기 주권선의 단자간에 단상의 교류전압이 인가되는 파형패턴인 의류건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회로는 제1 상, 제2 상 및 제3 상으로 이루어진 3상 구성이고,
    상기 제1 상의 출력은 상기 주권선의 한쪽의 단자에 공급되고,
    상기 제2 상의 출력은 상기 주권선 및 상기 보조권선의 공통 접속된 각 타방의 단자에 공급되며,
    상기 제3 상의 출력은 상기 보조권선의 한쪽 단자에 공급되고,
    상기 파형 패턴이 제2 패턴으로 설정되면,
    상기 제1 상 및 제2 상으로부터 상기 직류전압과 동등한 p-p값이고, 또한 서로 역위상의 정현파상의 전압이 출력되고 또한 상기 제3 상의 출력이 개방상태가 되는 의류건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회로는 제1 상, 제2 상 및 제3 상으로 이루어진 3상 구성이고,
    상기 제1 상의 출력은 상기 주권선의 한쪽 단자에 공급되고,
    상기 제2 상의 출력은 상기 주권선 및 상기 보조권선의 공통 접속된 각 타방의 단자에 공급되며,
    상기 제3 상의 출력은 상기 보조권선의 한쪽 단자에 공급되고,
    상기 파형 패턴이 제2 패턴으로 설정되면,
    상기 제1 상으로부터 상기 직류전압과 동등한 p-p값의 방형파상의 전압이 출력되며, 상기 제2 상으로부터 상기 직류전압의 2배 정도의 p-p값을 갖는 정현파상의 전압의 부측 부분을 최대값 분량만큼 정방향으로 시프트시킨 파형의 전압이 출력되고 또한 상기 제3 상의 출력이 개방상태가 되는 의류건조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교류모터의 기동시, 상기 파형 패턴을 상기 제1 패턴으로 설정하는 의류건조기.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주권선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 전류 미만일 때 상기 파형 패턴의 전환을 실시하는 의류건조기.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주권선에 흐르는 전류가 제로일 때 상기 파형 패턴의 전환을 실시하는 의류건조기.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교류모터에 공급하는 교류전원의 주파수로서, 상기 교류모터의 운전 효율을 허용할 수 있는 최소가 되는 하한 주파수 및 상한 주파수를 설정하고, 상기 교류모터를 가변속 운전할 때에는 상기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상기 하한 주파수와 상기 상한 주파수 사이의 범위에서 가변시키는 의류건조기.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건조운전코스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복수의 건조운전코스마다 상기 교류모터에 공급하는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의류건조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복수의 건조운전코스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복수의 건조운전코스마다 상기 교류모터에 공급하는 교류전원의 주파수의 가변 범위가 설정되는 의류건조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건조운전의 안정기가 종료되면, 상기 교류모터에 공급하는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상기 하한 주파수까지 저하시키는 제어를 실시하는 의류건조기.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교류모터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압값 및 주파수를 가변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압값과 상기 주파수의 비인 V/F 비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의류건조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교류모터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압값 및 주파수를 가변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압값과 상기 주파수의 비인 V/F 비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의류건조기.
  15.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류건조기에 설치되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를 구동하는 컴프레서 구동장치.
  16.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스로틀 장치로 구성된 냉동사이클과, 건조용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내로 공기를 순환 공급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가 설치된 통풍로를 구비한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모터를 교류모터로 구성하고,
    상기 교류모터를 가변속 운전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교류모터에 공급하는 교류전원의 주파수로서, 상기 교류모터의 운전 효율을 허용할 수 있는 최소가 되는 하한 주파수 및 상한 주파수를 설정하고, 상기 교류모터를 가변속 운전할 때에는 상기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상기 하한 주파수와 상기 상한 주파수 사이의 범위에서 가변시키는 의류건조기.
  17.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스로틀 장치로 구성된 냉동사이클과, 건조용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내로 공기를 순환 공급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가 설치된 통풍로를 구비한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모터를 교류모터로 구성하고,
    상기 교류모터를 가변속 운전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복수의 건조운전코스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복수의 건조운전코스마다 상기 교류모터에 공급하는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의류건조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복수의 건조운전코스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복수의 건조운전코스마다 상기 교류모터에 공급하는 교류전원의 주파수의 가변 범위가 설정되는 의류건조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건조운전의 안정기가 종료되면, 상기 교류모터에 공급하는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상기 하한 주파수까지 저하시키는 제어를 실시하는 의류건조기.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교류모터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압값 및 주파수를 가변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압값과 상기 주파수의 비인 V/F 비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의류건조기.
KR1020130153885A 2013-01-21 2013-12-11 의류 건조기 및 컴프레서 구동장치 KR101579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08346 2013-01-21
JP2013008346A JP6293411B2 (ja) 2013-01-21 2013-01-21 衣類乾燥機
JPJP-P-2013-035735 2013-02-26
JP2013035735A JP6173716B2 (ja) 2013-02-26 2013-02-26 衣類乾燥機のコンプレッサ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434A KR20140094434A (ko) 2014-07-30
KR101579655B1 true KR101579655B1 (ko) 2015-12-22

Family

ID=51740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885A KR101579655B1 (ko) 2013-01-21 2013-12-11 의류 건조기 및 컴프레서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6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6042B2 (en) 2017-10-26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516B1 (ko) * 2017-11-20 2022-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1717B2 (ja) * 1991-02-20 2002-03-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インバータ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2008264165A (ja) * 2007-04-19 2008-11-06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JP5259303B2 (ja) 2008-08-26 2013-08-07 株式会社東芝 インバータ装置
JP2010104579A (ja) 2008-10-30 2010-05-13 Toshiba Corp 洗濯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6042B2 (en) 2017-10-26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434A (ko)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8400B2 (ja) 洗濯乾燥機
KR100659423B1 (ko) 모터 구동 장치
US7330011B2 (en) Motor driving apparatus
KR101197900B1 (ko) 세탁기의 모터 구동 장치
JP4786163B2 (ja) ヒートポンプ式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
CN112074637A (zh) 衣物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JP2008264165A (ja) 洗濯乾燥機
KR101579655B1 (ko) 의류 건조기 및 컴프레서 구동장치
JP4969924B2 (ja) 洗濯乾燥機
AU2019334749B2 (en) Drain pump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processing machine comprising same
JP4679848B2 (ja) モータ駆動装置
JP6173716B2 (ja) 衣類乾燥機のコンプレッサ駆動装置
KR10252230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27421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1952698B2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JP5275408B2 (ja) ヒートポンプ式乾燥機
US11905637B2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JP6293411B2 (ja) 衣類乾燥機
KR20190127416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12006616B2 (en) Drain pump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20190127439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20210234494A1 (en) Drain pump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JP2024027825A (ja) 乾燥機、および制御方法
KR20190127419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1004450A (ja) インバ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