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217B1 -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217B1
KR101577217B1 KR1020150124568A KR20150124568A KR101577217B1 KR 101577217 B1 KR101577217 B1 KR 101577217B1 KR 1020150124568 A KR1020150124568 A KR 1020150124568A KR 20150124568 A KR20150124568 A KR 20150124568A KR 101577217 B1 KR101577217 B1 KR 101577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procket
motor
seating plat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철
Original Assignee
유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철 filed Critical 유재철
Priority to KR1020150124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217B1/ko
Priority to PCT/KR2016/009406 priority patent/WO20170392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5Rock drills, i.e. jumbo dri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16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 E02F5/18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for horizontal holes or inclined 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06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with rotary cut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가 장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구동몸체와, 상기 모터구동몸체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모터와 일체로 회전되는 착암로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착암기와, 상기 모터구동몸체가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안착부와, 전후방향으로 피스톤이 왕복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안착부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피스톤이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안착플레이트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력제공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의 전후 구동력이 휴대용 착암기로 제공되도록 하여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터널 벽면을 기계식으로 타격되어, 소단면 터널을 굴착하기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Drilling apparatus using portable rock drill}
본 발명은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단면 터널을 굴착하기 위해 작업자가 휴대용 착암기를 파지하고 착암로드를 터널 벽면에 밀착되도록 밀면서 천공하는 방식을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기계식으로 착암될 수 있도록 휴대용 착암기가 안착되어 벽면을 기계식으로 천공할 수 있는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암기(rock drill)는 압축공기나 전기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해머를 전. 후진시키면서 삽입된 로드의 선단부인 샹크(shank)에 타력을 가하고 이 타력이 암반에 전달되어 파쇄. 천공하거나 또는 로드를 회전시켜 로드 끝 부분의 비트(bit)가 암반에 회전삭마작용을 주어 천공하는 기구로서 암반이나 광체를 발파에 의해 파쇄하고자 할 때 발파 장약공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과거에는 인력에 의한 착암작업으로 소형의 휴대용 착암기를 사용하였으나 광산개발의 대형화, 기계화 추세에 따라 대규격 굴진갱도에서의 점보드릴 등의 장공착암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고, 근래에는 공압식에서 비해 작업효율이 높은 유압식 착암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착암기는 천공기능에 따라 왕복식과 회전식으로, 사용동력에 따라 공압식과 유압식으로, 천공방향에 따라 드리프터(drifter, 수평천공용), 싱커(sinker, 하향천공용), 스토퍼(stopper, 상향천공용)로, 착암 용수 유무에 따라 습식, 건식 등 다양한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일반적으로 터널폭이 1~2미터 가량의 소단면 터널의 경우에는 공간이 너무 협소하여 암반을 천공하기 위한 대형장비를 설치할 수 없어, 작업자가 직접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형의 휴대용 착암기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착암기는 작업자가 착암기 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착암기를 벽면에 밀착시키고 작업자가 밀면서 벽면을 천공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인력에 의존하여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공사기간의 증가와 함께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장시간 작업에 의해 작업자가 호흡기질환, 청력저하 등의 각종 사고에 노출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작업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소단면 터널 암반굴착시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기계식 천공장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공개특허 제 1999-04816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착암기를 실린더가 장착된 몸체 상부에 안착시켜 실린더의 피스톤 왕복구동력을 휴대용 착암기에 제공하도록 하여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기계식으로 소단면 터널 벽면을 천공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모터가 장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구동몸체와, 상기 모터구동몸체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모터와 일체로 회전되는 착암로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착암기와, 상기 모터구동몸체가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안착부와, 전후방향으로 피스톤이 왕복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안착부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피스톤이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안착플레이트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력제공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력제공부는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안착플레이트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도록 일정길이를 가지며, 내부 일측에 상기 실린더가 수납되는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의 선단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동력전달축과, 상기 동력전달축상에 축결합되는 제1스프라켓과, 일측이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스프라켓의 톱니에 체결되는 제1체인벨트와, 상기 제1스프라켓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동력전달축상에 축결합되는 제2스프라켓과, 일측이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스프라켓의 톱니에 체결되는 제2체인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제2스프라켓은 상기 제1스프라켓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모터구동몸체의 양측면을 고정하는 클램핑몸체와, 상기 클램핑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모터구동몸체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력제공부의 일단부측 상면에 결합되되, 상기 착암로드의 선단부가 관통되는 유지공이 형성되는 가이드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착암로드가 상기 가이드몸체내로 삽입되고 상기 모터구동몸체가 안착플레이트에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하부 양측에는 전후방향으로 복수개의 회전롤러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력제공부의 양측면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상기 회전롤러가 결합되는 슬라이딩 레일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몸체가 결합되는 상기 구동력제공부의 일단부측에는 하방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지지면이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경사지지면과 동일한 각도로 연장되고, 선단부가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암쐐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착암쐐기의 선단부와 상기 착암로드의 선단부는 일정간격 이격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는 지면에 고정되는 접철식 지지부재가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는 터널벽면의 양측벽면에 견착되는 견착부재가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의 전후 구동력이 휴대용 착암기로 제공되도록 하여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터널 벽면을 기계식으로 타격되어, 소단면 터널을 굴착하기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의 휴대용 착암기가 전후로 구동되는 측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에서 안착플레이트에 동력이 전달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에서 안착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에 체인벨트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고정플레이트와 스프라켓에 체결되는 체인벨트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7은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에 접철식 지지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벽면 모서리 부분을 착암하기 위해 접철식 지지부재의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에 견착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는 휴대용 착암기(100)를 안착시키는 안착플레이트(220)를 포함하는 안착부(200)와, 안착부(2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안착플레이트(2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력제공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휴대용 착암기(100)는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착암대상 벽면에 힘을 가하여 착암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회전모터가 장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고 작업자가 손으로 들 수 있는 파지부(미도시)가 일측에 형성되는 모터구동몸체(110)와, 모터구동몸체(110)의 전방에 장착되어 회전모터와 일체로 회전되는 착암로드(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착암로드(120)를 착암대상 벽면에 밀착시켜 작업자가 착암로드(120)를 미는 힘으로 착암로드(120)가 회전되면서 터널 벽면의 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나, 본 발명에서는 인력이 아닌 구동력제공부(300)의 구동력에 의해 착암로드(120)가 벽면에 기계식으로 타격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동력제공부(300)는 안착플레이트(220)의 하부에 결합되고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하우징(310)과, 하우징(310)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피스톤(381)이 왕복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380)를 포함하여, 피스톤(381)이 안착플레이트(220)와 체인벨트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연결되며, 이에 따라 피스톤(381)의 구동에 의해 안착플레이트(2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안착플레이트(22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방식은 후술하는 하우징(310) 내부구조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안착부(200)는 모터구동몸체(110)의 양측면을 고정하도록 하는 클램핑몸체(210)와, 클램핑몸체(2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모터구동몸체(110)의 하부면이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하우징(310)의 전단부측 상면에 결합되어 착암로드(120)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몸체(230)를 포함하여 착암기가 안착되도록 한다.
클램핑몸체(210)는 U자형 몸체 내측에 모터구동몸체(110)의 외연이 밀착되도록 안착되며, 모터구동몸체(11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공에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가이드몸체(230)는 착암로드(120)가 관통되는 유지공(231)이 형성되어 착암로드(120)가 유지공(231) 내부에서만 유동되도록 하여 장척의 착암로드(120)를 가이드하도록 한다.
안착플레이트(220)의 상면에는 모터구동몸체(110)가 안착되는 안착홈(221)이 형성되며, 안착플레이트(220)의 하부 양측에는 하우징(310)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롤러(240)가 복수개 결합된다. 그리고 하우징(310)의 양측면에는 회전롤러(240)와 대응되는 위치에 슬라이딩 레일(370)이 설치되고, 안착플레이트(220)의 양측에 설치된 회전롤러(240)가 슬라이딩 레일(370)에 결착되어 슬라이딩 레일(370)상에서 안착플레이트(220)가 전후진 이동되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구동력제공부(300)의 구성 및 동력전달방식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의 휴대용 착암기가 전후로 구동되는 측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에서 안착플레이트에 동력이 전달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에서 안착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에 체인벨트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고정플레이트와 스프라켓에 체결되는 체인벨트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구동력제공부(300)는 하우징(310)의 전단부에 설치된 고정프레임(382) 내측에 실린더(380)가 고정되며, 실린더(380) 내의 피스톤(381)이 하우징(310)의 후단부로 전후진 왕복구동된다.
피스톤(381)의 선단에는 고정플레이트(320)가 결합되고, 고정플레이트(320)는 체인벨트와 일체로 직결되어 체인벨트를 통해 피스톤(381)의 전후 구동력이 안착플레이트(220)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310)의 후단부 일측에는 동력전달축(330)이 하우징(310)에 축결합되고, 동력전달축(330)상에는 외연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톱니가 형성되는 제1스프라켓(341)이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하우징(310)의 전방측으로 동력전달축(330)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외연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톱니가 형성되는 제1회전스프라켓(351)이 하우징(310)에 축결합된다.
고정플레이트(320)는 제1체인벨트(361)와 직결되어 고정플레이트(320)의 이동에 따라 제1체인벨트(361)도 함께 이동되도록 한다. 이에 제1체인벨트(361)는 일단부가 고정플레이트(320)의 일측에 직결되고 타측으로 연장되어 제1스프라켓(341)의 톱니에 체결되고, 제1스프라켓(341)의 외연을 따라 회전되면서 제1회전스프라켓(351)으로 연장되어 제1회전스프라켓(351)의 톱니에 체결되고, 제1회전스프라켓(351)의 외연을 따라 다시 회전되면서 타단부가 고정플레이트(320)의 다른 일측에 직결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체인벨트(361)가 이동되면서 제1체인벨트(361)와 맞물리는 제1스프라켓(341)의 톱니도 함께 회전되면서 동력전달축(330)이 일체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동력전달축(330)의 회전력을 안착플레이트(220)와 직결되는 제2체인벨트(362)를 통해 회전력을 안착플레이트(220)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동력전달축(330)상에는 제1스프라켓(341)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외연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톱니가 형성되는 제2스프라켓(342)이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하우징(310)의 전방측 일측에 제2회전스프라켓(352)이 축결합되어, 제1체인벨트(361)와 같이 제2체인벨트(362)의 일단부는 안착플레이트(220)의 일측면에 직결되고 타측으로 연장되어 제2스프라켓(342)의 톱니에 체결되고, 제2스프라켓(342)의 외연을 따라 회전되면서 제2회전스프라켓(352)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2회전스프라켓(352)의 톱니에 체결되고, 제2회전스프라켓(352)의 외연을 따라 다시 회전되면서 타단부가 안착플레이트(220)의 다른 일측에 직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피스톤(381)의 왕복 구동력이 제1,2체인벨트(361,362)를 통해 안착플레이트(220)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안착플레이트(220)가 슬라이딩 레일(370)상을 전후로 왕복이동되고, 안착플레이트(220) 상면에 안착된 휴대용 착암기(100)도 왕복되면서 착암로드(120)가 벽면을 타격하도록 한다.
아울러, 제2스프라켓(342)은 제1스프라켓(341)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직경에 비례하여 회전반경이 더 커지도록 한다. 즉, 제2스프라켓(342)의 직경이 제1스프라켓(341)의 2배로 형성된다면, 피스톤(381)이 10cm 이동될 경우 제2스프라켓(342)의 회전반경은 두 배로 늘어 안착플레이트(220)는 피스톤(381) 이동거리의 2배인 20cm로 이동된다.
도 7은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에 접철식 지지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벽면 모서리 부분을 착암하기 위해 접철식 지지부재의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하우징(310)의 하단부에 접철식 지지부재(410)가 결합되어, 휴대용 착암기(100)를 착암위치에 알맞게 위치조절하도록 한다. 이에, 접철식 지지부재(410)는 하단부가 지면에 고정되도록 쐐기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310)의 하단부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트라이포드 형상으로 3개의 다릿발이 각각 회동가능하며 접철식으로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착암위치에 알맞게 각도 및 길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그리고 가이드몸체(230)가 결합되는 하우징(310)의 전단부측에는 하방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진 경사지지면(311)이 형성되고, 가이드몸체(230)의 전단부측에는 경사지지면(311)과 동일한 각도로 연장되며 선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된 착암쐐기(232)가 결합된다.
이러한 경사지지면(311)은 도 8에서와 같이 바닥면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벽면의 모서리부분을 굴착할 경우 착암쐐기(232)가 모서리부분에 결착되고 경사지지면(311)이 바닥면에 접하도록 하여 모서리부분에서 정확하게 착암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하우징(310)의 전단부가 경사지지면(311)으로 형성되지 않고 일반적인 정육면체의 직각으로 형성된 경우 외형의 간섭으로 인해 모서리 부분에서 착암되지 않고 모서리 상부벽면의 다른 부분에서 과굴착되는 문제점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착암쐐기(232)의 뾰족한 선단부분이 벽면에 박혀 고정되도록 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착암로드(120)가 전후로 타격되도록 한다. 이때에 착암쐐기(232)의 선단부와 착암로드(120)의 선단부는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착암로드(120)가 전후 구동될 때에 어느 정도 유동될 수 있는 여유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착암위치에 맞추어 접철식 지지부재(410)를 설치한 다음, 하우징(310)의 후단부에 양측으로 펼쳐지도록 설치된 파지핸들(312)을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하우징(3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작동레버(313)를 작업자가 작동시켜 실리더의 피스톤(381)이 왕복구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안착플레이트(220)가 전후로 왕복구동되면서 착암로드(120)의 선단에 결합된 비트가 회전되면서 벽면을 타격하도록 한다. 이때, 하우징(310)의 후단 일측에는 조절다이얼(314)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조절다이얼(314)을 돌려 피스톤(381)의 구동속도 또는 구동거리 등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에 견착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도면을 참조하면 견착부재(420)는 터널벽면의 좌우양측면에 견착되는 견착돌기(421)가 형성되어 양측 벽면에 견착부재(420)를 고정시키고, 하우징(310)의 하단부가 견착부재(420) 상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시켜 지면의 상태와는 관계없이 벽면상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견착부재(420) 또한 양측으로 길이조절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터널의 폭에 알맞게 길이조절하도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휴대용 착암기 110 : 모터구동몸체
120 : 착암로드
200 : 안착부 210: 클램핑몸체
220 : 안착플레이트 221 : 안착홈
230 : 가이드몸체 231 : 유지공
232 : 착암쐐기 240 : 회전롤러
300 : 구동력제공부 310 : 하우징
311 : 경사지지면 312 : 파지핸들
313 : 작동레버 314 : 조절다이얼
320 : 고정플레이트 330 : 동력전달축
341 : 제1스프라켓 342 : 제2스프라켓
351 : 제1회전스프라켓 352 : 제2회전스프라켓
361 : 제1체인벨트 362 : 제2체인벨트
370 : 슬라이딩 레일 380 : 실린더
381 : 피스톤 382 : 고정프레임
410 : 접철식 지지부재
420 : 견착부재 421 : 견착돌기

Claims (9)

  1. 모터가 장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구동몸체와, 상기 모터구동몸체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모터와 일체로 회전되는 착암로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착암기와;
    상기 모터구동몸체가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안착부와;
    전후방향으로 피스톤이 왕복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안착부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피스톤이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안착플레이트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력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력제공부는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안착플레이트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도록 일정길이를 가지며, 내부 일측에 상기 실린더가 수납되는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의 선단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동력전달축과,
    상기 동력전달축상에 축결합되는 제1스프라켓과,
    일측이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스프라켓의 톱니에 체결되는 제1체인벨트와,
    상기 제1스프라켓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동력전달축상에 축결합되는 제2스프라켓과,
    일측이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스프라켓의 톱니에 체결되는 제2체인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프라켓은 상기 제1스프라켓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모터구동몸체의 양측면을 고정하는 클램핑몸체와,
    상기 클램핑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모터구동몸체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력제공부의 일단부측 상면에 결합되되, 상기 착암로드의 선단부가 관통되는 유지공이 형성되는 가이드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착암로드가 상기 가이드몸체내로 삽입되고 상기 모터구동몸체가 안착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하부 양측에는 전후방향으로 복수개의 회전롤러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력제공부의 양측면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상기 회전롤러가 결합되는 슬라이딩 레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가 결합되는 상기 구동력제공부의 일단부측에는 하방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경사지지면과 동일한 각도로 연장되고, 선단부가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암쐐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착암쐐기의 선단부와 상기 착암로드의 선단부는 일정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는 지면에 고정되는 접철식 지지부재가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는 터널벽면의 양측벽면에 견착되는 견착부재가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
KR1020150124568A 2015-09-03 2015-09-03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 KR101577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568A KR101577217B1 (ko) 2015-09-03 2015-09-03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
PCT/KR2016/009406 WO2017039221A1 (ko) 2015-09-03 2016-08-25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568A KR101577217B1 (ko) 2015-09-03 2015-09-03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217B1 true KR101577217B1 (ko) 2015-12-14

Family

ID=55021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568A KR101577217B1 (ko) 2015-09-03 2015-09-03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77217B1 (ko)
WO (1) WO201703922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100B1 (ko) 2018-05-24 2018-09-06 유재철 저소음 천공기 및 이를 이용한 다운타운 스므스 블라스팅 공법
KR200491226Y1 (ko) * 2019-08-08 2020-03-05 이승우 락 드릴 장착기
KR20200045994A (ko) 2020-04-06 2020-05-06 (주) 대동이엔지 저소음 착암기
KR20210052411A (ko) 2021-04-20 2021-05-10 (주) 대동이엔지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공드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49586B (zh) * 2016-06-22 2018-08-14 齐艳华 一种下水管道手持掘进机
CN107401408B (zh) * 2017-08-25 2023-09-26 双菱集团有限公司 多方位劈裂装置
CN110469263B (zh) * 2019-08-30 2024-01-23 中国水利水电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手持式气动凿岩机辅助作业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4405B2 (ja) * 1990-11-19 2000-09-04 積水ハウス株式会社 柱・梁の接合装置
KR200450765Y1 (ko) * 2010-07-14 2010-10-29 김제환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9659B2 (ja) * 1993-08-06 1996-07-31 政敏 内橋 油圧式ショベル系掘削機のア―ムに取付けて使用する削岩機及びそれを使用した削岩方法
JP3084405U (ja) * 2001-08-30 2002-03-22 鉱研工業株式会社 ポータブルドリル
KR100963942B1 (ko) * 2008-12-18 2010-06-17 (주)수호산업개발 암반천공장치용 천공비트 승강수단
KR101012115B1 (ko) * 2010-08-10 2011-02-07 (주)한일씨알에스 암반 천공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4405B2 (ja) * 1990-11-19 2000-09-04 積水ハウス株式会社 柱・梁の接合装置
KR200450765Y1 (ko) * 2010-07-14 2010-10-29 김제환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100B1 (ko) 2018-05-24 2018-09-06 유재철 저소음 천공기 및 이를 이용한 다운타운 스므스 블라스팅 공법
KR200491226Y1 (ko) * 2019-08-08 2020-03-05 이승우 락 드릴 장착기
KR20200045994A (ko) 2020-04-06 2020-05-06 (주) 대동이엔지 저소음 착암기
KR20210052411A (ko) 2021-04-20 2021-05-10 (주) 대동이엔지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공드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9221A1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217B1 (ko)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
CN105735983B (zh) 锯片式切缝装置和顶板围岩切缝方法
US20060162943A1 (en) Rotary hammer
WO2000052294A3 (en) Drill head for directional boring
CN101663461A (zh) 岩石取样设备
DE50313090D1 (de) Bohrvorsatzvorrichtung
CN107442799A (zh) 一种稳固固定的板材钻孔设备
JP5964196B2 (ja) パイプ打ち込み装置及びパイプ打ち込み方法
RU14328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урения шпуров
US3293778A (en) Maul impacting device for excavating buckets
US20040089473A1 (en) Backreaming tool
EP2700476A1 (en) Impact tool
CN209687409U (zh) 一种挖掘钻机防偏钻杆装置
KR20190027576A (ko) 군집 다축코어드릴이 구비된 보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 굴착을 위한 자유면 확보 방법
US1631693A (en) Broaching tool
RU2307910C1 (ru) Буровой станок
RU19490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урения шпуров
JP2006225925A (ja) 打撃式割岩機
CN208323273U (zh) 用于桥面或地面植筋钻孔的可移动式钻孔机
JP4892761B2 (ja) 穿孔装置
KR102235286B1 (ko) 굴삭기의 유압식 타격 파일드라이버
RU21683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урения шпуров
CN205200612U (zh) 一种钻孔设备
US1085344A (en) Drill-support.
JPH0530293U (ja) 削岩機の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