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765Y1 -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765Y1
KR200450765Y1 KR2020100007420U KR20100007420U KR200450765Y1 KR 200450765 Y1 KR200450765 Y1 KR 200450765Y1 KR 2020100007420 U KR2020100007420 U KR 2020100007420U KR 20100007420 U KR20100007420 U KR 20100007420U KR 200450765 Y1 KR200450765 Y1 KR 2004507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or
frame
hydraulic
concrete foundation
foundation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경
김제환
Original Assignee
김제환
김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제환, 김제경 filed Critical 김제환
Priority to KR2020100007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7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7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7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8Removing obsta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버켓연결부에 결합되는 굴삭기장착부가 구비된 프레임의 상부에는 유압식 착암기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전ㆍ후방체인과 체인지지구를 개재하여 유압식 착암기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유압실린더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후단부에는 굴삭기로부터 공급된 유압을 유압식 착암기와 유압실린더에 공급하기 위한 감압밸브가 구비된 유압포트와 제어장치부가 고정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시 굴삭기의 버켓연결부에 장착하여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에 대한 착암작업을 더욱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Rock drill device for excavator attachmen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버켓연결부에 결합되는 굴삭기장착부가 구비된 프레임의 상부에는 유압식 착암기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전ㆍ후방체인과 체인지지구를 개재하여 유압식 착암기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유압실린더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후단부에는 굴삭기로부터 공급된 유압을 유압식 착암기와 유압실린더에 공급하기 위한 감압밸브가 구비된 유압포트와 제어장치부가 고정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시 굴삭기의 버켓연결부에 장착하여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에 대한 착암작업을 더욱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지층이 깊은 지반에 토목 및 건축구조물을 시공할 경우에는 구조물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기초파일을 지지층까지 근입시킨 후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상부에 콘크리트 바닥기초를 형성하고 그 위에 각종 구조물을 시공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콘크리트 기초파일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를 구조물의 바닥기초와 견고하게 연결해야만 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지지층까지 근입된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 중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 돌출된 부분을 파쇄기와 인력으로 파쇄해서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내부에 배근된 강선을 일정 길이만큼 노출시키고, 이렇게 노출된 강선을 기초철근과 연결한 후 바닥기초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 기초파일과 바닥기초를 일체화시켜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기초파일내부의 강선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기초파일에 종방향의 균열이 발생하게 될 경우, 이로 인해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기계적인 강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균열을 통해 침투한 수분에 의해 콘크리트 기초파일내부에 배근된 강선이 부식됨으로써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구조적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따라서, 종래의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은 콘크리트 기초파일에 종방향의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부분 착암기를 이용하여 인력으로 작업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됨에 따라 공사기간이 현저히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굴삭기의 버켓연결부에 결합되는 굴삭기장착부가 구비된 프레임의 상부에는 유압식 착암기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전ㆍ후방체인과 체인지지구를 개재하여 유압식 착암기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유압실린더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후단부에는 굴삭기로부터 공급된 유압을 유압식 착암기와 유압실린더에 공급하기 위한 감압밸브가 구비된 유압포트와 제어장치부가 고정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시 굴삭기의 버켓연결부에 장착하여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에 대한 착암작업을 더욱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하면이 개구된 사각함체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부에는 착암기로드지지대가 고정설치되고 후단부에는 굴삭기의 버켓연결부에 결합되는 굴삭기장착부가 고정설치된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면에 유압식 착암기가 안착되는 슬라이더가 프레임의 내부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봉에 결합된 상태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내측전후방에 전방체인 지지롤러와 후방체인 지지롤러가 장착되며 외부양측면에 프레임의 양측면에 형성된 안내용 장공에 결합되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체인지지구가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후단부내측에는 피스톤로드의 끝단부가 상기 체인지지구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하측에는 프레임의 전면부내측에 고정설치된 전방지지롤러와 상기 체인지지구의 전방체인 지지롤러를 거쳐 프레임의 전면부내측하부에 연결되는 전방체인이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하측에는 프레임의 후면부내측 상하부에 고정설치된 후방지지롤러와 상기 체인지지구의 후방체인 지지롤러를 거쳐 상기 유압실린더의 몸체전단부에 연결되는 후방체인이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의 후단부상면에는 굴삭기로부터 공급된 유압을 상기 유압식 착암기와 유압실린더에 공급하기 위한 감압밸브가 구비된 유압포트와 제어장치부가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프레임의 전단부양측면에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파단면모서리에 밀착되는 모서리홀더가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굴삭기장착부는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로 분할되어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굴삭기장착부는 고정부재와 회전부재로 분할되어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는 굴삭기의 버켓연결부에 결합되는 굴삭기장착부가 구비된 프레임의 상부에 유압식 착암기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전ㆍ후방체인과 체인지지구를 개재하여 유압식 착암기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유압실린더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후단부에는 굴삭기로부터 공급된 유압을 유압식 착암기와 유압실린더에 공급하기 위한 감압밸브가 구비된 유압포트와 제어장치부가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시 굴삭기의 버켓연결부에 장착하여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에 대한 착암작업을 더욱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의 (가)(나)는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본 고안의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에 구비된 굴삭기장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의 (가)(나)는 본 고안의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에 구비된 굴삭기장착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면이 개구된 사각함체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부에는 유압식 착암기(7)의 로드(7a)를 지지하는 착암기로드지지대(3)가 고정설치되고 후단부에는 굴삭기의 버켓연결부에 결합되는 굴삭기장착부(4)가 고정설치된 프레임(2)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프레임(2)의 전단부양측면에는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파단면모서리에 밀착되는 모서리홀더(18a)(18b)를 고정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2)의 전단부양측면에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파단면모서리에 밀착되는 모서리홀더(18a)(18b)를 고정설치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1)를 굴삭기(30)의 버켓연결부(31)에 장착하여 콘크리트 기초파일(40)의 두부에 대한 수평착암작업을 실시할 때, 프레임(2)의 전단부양측면에 고정설치된 모서리홀더(18a)(18b)를 콘크리트 기초파일(40)의 파단면모서리에 걸어 굴삭기(30)의 버켓연결부(31)에 장착된 상태로 공중에 매달려 있는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1)가 흔들리지 않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의 후단부에 고정설치되는 굴삭기장착부(4)는 굴삭기(30)의 버켓연결부(31)에 연결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몸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부재(19)와 하부부재(20)로 분할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굴삭기장착부(4)를 상부부재(19)와 하부부재(20)로 분할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게 되면, 굴삭기의 크기에 따라 상부부재(19)만 교체함으로써 본 고안에 의한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1)를 대형 굴삭기나 소형 굴삭기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굴삭기장착부(4)는 도 7의 (가)(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2)의 후단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21)와 고정부재(21)의 상부에 베어링(23)을 개재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22)로 분할형성하되, 상기 고정부재(21)와 회전부재(22)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핀(24)이 삽입되는 각도조절공(21a)(22a)이 관통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굴삭기장착부(4)를 고정부재(21)와 회전부재(22)로 분할형성하게 되면, 회전부재(22)의 각도조절공(22a)과 고정부재(21)의 각도조절공(21a)을 관통하도록 삽입된 결합핀(24)을 분리하여 굴삭기(30)의 버켓연결부(31)에 장착된 본 고안에 의한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1)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킨 후 다시 결합핀(24)을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조건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한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1)를 다양한 각도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2)의 상부에는 상면에 유압식 착암기(7)가 안착되는 슬라이더 (6)가 프레임(2)의 내부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봉(5a) (5b)에 결합된 상태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슬라이더(6)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후방 하면양측에 장착되는 가이드블록(6a)에 의해 프레임(2)의 내부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5a)(5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6)의 상면에 안착되는 유압식 착암기(7)로는 콘크리트나 암반 등의 천공작업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유압식 착암기가 사용되는데, 상기 유압식 착암기(7)는 슬라이더(6)의 상면전후방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슬라이더(6)의 상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2)의 내부에는 내측전후방에 전방체인 지지롤러(8a)와 후방체인 지지롤러(8b)가 장착되며 외부양측면에 프레임(2)의 양측면에 형성된 안내용 장공(2a)(2b)에 결합되는 가이드롤러(9a)(9b)가 구비된 체인지지구(8)가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체인지지구(8)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부양측면에 구비된 가이드롤러(9a)(9b)에 의해 프레임(2)의 양측면에 형성된 안내용 장공(2a)(2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2)의 후단부내측에는 피스톤로드(10a)의 끝단부가 상기 체인지지구(8)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10)가 고정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6)의 전방하측에는 프레임(2)의 전면부내측에 고정설치된 전방지지롤러(11)와 상기 체인지지구(8)의 전방체인 지지롤러(8a)를 거쳐 프레임(2)의 전면부내측하부에 연결되는 전방체인(12)이 결합되며, 슬라이더(6)의 후방하측에는 프레임(2)의 후면부내측 상하부에 고정설치된 후방지지롤러(13)(14)와 상기 체인지지구(8)의 후방체인 지지롤러(8b)를 거쳐 상기 유압실린더(10)의 몸체전단부에 연결되는 후방체인(15)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6)를 프레임(2)의 내부에 설치된 유입실린더(10)의 피스톤로드(10a)의 끝단부에 연결되는 체인지지구(8)와 체인지지구(8)에 권취되는 전ㆍ후방체인(12)(15)에 의해 전후진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슬라이더(6)를 유압실린더(10)의 피스톤로드(10a)의 끝단부에 직접 연결하여 전후진되도록 구성하는 것보다 행정거리가 짧은 유압실린더를 적용할 수 있게 되어 프레임(2)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장치를 더욱 더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취급성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2)의 후단부상면에는 굴삭기로부터 공급된 유압을 상기 유압식 착암기(7)와 유압실린더(10)에 공급하기 위한 감압밸브(16a)가 구비된 유압포트(16)와 제어장치부(17)가 고정설치된다.
이 때, 상기 유압포트(16)의 전면부에는 유압식 착암기(7)와 유압실린더(10)의 유압라인이 연결되고, 후면부에는 굴삭기의 유압라인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부(17)는 원격지에서 유압식 착암기(7)와 유압실린더(10)를 조작하기 위한 유선리모콘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의 사용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층까지 근입된 콘크리트 기초파일(40)의 두부 중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 돌출된 부분을 파쇄해서 콘크리트 기초파일(40)의 내부에 배근된 강선(41)을 일정 길이만큼 노출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기초파일(40)의 두부정리작업시 프레임(2)의 후단부에 고정설치된 굴삭기장착부(4)를 이용하여 굴삭기(30)의 버켓연결부(31)에 연결한 후, 상기 프레임(2)의 후단부상면에 고정설치된 유압포트(16)에 굴삭기(30)로부터 인출된 유압라인을 연결함으로써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1)를 굴삭기(30)의 버켓연결부(31)에 장착한 후 콘크리트 기초파일(40)의 두부에 대한 착암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2)의 후단부상면에 고정설치된 제어장치부(17)에 유선으로 연결된 리모콘을 조작하게 되면, 굴삭기(30)의 유압이 감압밸브(16a)가 구비된 유압포트(16)를 거쳐 유압식 착암기(7)와 유압실린더(10)로 공급되면서 유압식 착암기(7)와 유압실린더(10)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도 4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압식 착암기(7)가 프레임(2)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10)에 유압을 공급하여 피스톤로드(10a)를 후퇴시키게 되면, 체인지지구(8)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전방체인 지지롤러(8a)에 권취된 전방체인(12)이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상기 전방체인(12)이 후방으로 당겨짐에 따라 슬라이더(6)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슬라이더(6)의 상면에 안착된 유압식 착암기(7)가 전진하게 된다.
역으로, 도 4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압식 착암기(7)가 프레임(2)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10)에 유압을 공급하여 피스톤로드(10a)를 전진시키게 되면, 체인지지구(8)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후방체인 지지롤러(8b)에 권취된 후방체인(15)이 전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상기 후방체인(15)이 전방으로 당겨짐에 따라 슬라이더(6)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슬라이더(6)의 상면에 안착된 유압식 착암기(7)가 후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1)를 굴삭기(30)의 버켓연결부(31)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굴삭기(30)를 이용하여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1)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동시에 프레임(2)의 내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10)를 이용하여 유압식 착암기(7)를 자유롭게 전ㆍ후진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콘크리트 기초파일(40)의 두부에 대한 착암작업을 더욱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는 상기 프레임(2)의 전단부양측면에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파단면모서리에 밀착되는 모서리홀더(18a)(18b)를 고정설치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기초파일(40)의 두부에 대한 수평착암작업을 실시할 때, 프레임(2)의 전단부양측면에 고정설치된 모서리홀더(18a)(18b)를 콘크리트 기초파일(40)의 파단면모서리에 걸어 굴삭기(30)의 버켓연결부(31)에 장착된 상태로 공중에 매달려 있는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1)가 흔들리지 않게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착암작업을 더욱 더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2)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굴삭기장착부(4)를 상부부재(19)와 하부부재(20)로 분할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게 되면, 굴삭기의 크기에 따라 상부부재(19)만 교체함으로써 대형 굴삭기나 소형 굴삭기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실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는 도 7의 (가)(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2)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굴삭기장착부(4)를 고정부재(21)와 회전부재(22)로 분할형성하게 되면, 회전부재(22)의 각도조절공(22a)과 고정부재(21)의 각도조절공(21a)을 관통하도록 삽입된 결합핀(24)을 분리하여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킨 후 다시 결합핀(24)을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조건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각도에서 착암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성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 :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 2 : 프레임
2a, 2b : 안내용 장공 3 : 착암기로드지지대
4 : 굴삭기장착부 5a, 5b : 가이드봉
6 : 슬라이더 6a : 가이드블록
7 : 유압식 착암기 8 : 체인지지구
8a : 전방체인 지지롤러 8b : 후방체인 지지롤러
9a, 9b : 가이드롤러 10 : 유압실린더
10a : 피스톤로드 11 : 전방지지롤러
12 : 전방체인 13, 14 : 후방지지롤러
15 : 후방체인 16 : 유압포트
16a : 감압밸브 17 : 제어장치부
18a, 18b : 모서리홀더

Claims (4)

  1. 상하면이 개구된 사각함체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부에는 착암기로드지지대(3)가 고정설치되고 후단부에는 굴삭기의 버켓연결부에 결합되는 굴삭기장착부(4)가 고정설치된 프레임(2)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2)의 상부에는 상면에 유압식 착암기(7)가 안착되는 슬라이더(6)가 프레임(2)의 내부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봉(5a) (5b)에 결합된 상태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2)의 내부에는 내측전후방에 전방체인 지지롤러(8a)와 후방체인 지지롤러(8b)가 장착되며 외부양측면에 프레임(2)의 양측면에 형성된 안내용 장공(2a)(2b)에 결합되는 가이드롤러(9a)(9b)가 구비된 체인지지구(8)가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2)의 후단부내측에는 피스톤로드(10a)의 끝단부가 상기 체인지지구(8)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10)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6)의 전방하측에는 프레임(2)의 전면부내측에 고정설치된 전방지지롤러(11)와 상기 체인지지구(8)의 전방체인 지지롤러(8a)를 거쳐 프레임(2)의 전면부내측하부에 연결되는 전방체인(12)이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6)의 후방하측에는 프레임(2)의 후면부내측 상하부에 고정설치된 후방지지롤러(13)(14)와 상기 체인지지구(8)의 후방체인 지지롤러(8b)를 거쳐 상기 유압실린더(10)의 몸체전단부에 연결되는 후방체인(15)이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2)의 후단부상면에는 굴삭기로부터 공급된 유압을 상기 유압식 착암기(7)와 유압실린더(10)에 공급하기 위한 감압밸브(16a)가 구비된 유압포트(16)와 제어장치부(17)가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의 전단부양측면에는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파단면모서리에 밀착되는 모서리홀더(18a)(18b)가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굴삭기장착부(4)는 상부부재(19)와 하부부재(20)로 분할되어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굴삭기장착부(4)는 고정부재(21)와 회전부재(22)로 분할되어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
KR2020100007420U 2010-07-14 2010-07-14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 KR2004507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420U KR200450765Y1 (ko) 2010-07-14 2010-07-14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420U KR200450765Y1 (ko) 2010-07-14 2010-07-14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765Y1 true KR200450765Y1 (ko) 2010-10-29

Family

ID=44479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420U KR200450765Y1 (ko) 2010-07-14 2010-07-14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765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5748A1 (en) * 2011-10-11 2013-04-18 Caterpillar Inc. Remote variable adjustment of ripper shank depth
KR101540245B1 (ko) * 2015-03-17 2015-07-30 조현민 공압을 이용하는 굴삭기용 락 드릴 장치
KR101577217B1 (ko) * 2015-09-03 2015-12-14 유재철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
CN106854881A (zh) * 2017-01-23 2017-06-16 遂宁市长丰机械科技有限公司 带破碎锤的挖掘机上的钻机
KR101989534B1 (ko) * 2018-11-12 2019-06-14 (주)대우건설 굴삭기에 장착되어 자유로운 각도로 제어가 가능한 슬라이딩 패드 방식의 개량형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227835B1 (ko) * 2020-09-11 2021-03-15 이장준 암반 굴착용 다각도 수평 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평천공 시공공법
KR102294389B1 (ko) * 2021-03-02 2021-08-25 김영국 공사 현장용 천공 장치, 상기 공사 현장용 천공 장치에 의한 주열식 천공 작업 및 그에 적용되는 천공 가이드 유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533Y1 (ko) 2001-10-30 2002-04-10 주식회사 대석엔지니어링 포크레인에 장착되는 굴착기용 헤드
KR200397360Y1 (ko) 2005-07-02 2005-10-04 김정민 굴삭기용 암반천공장치
KR100963942B1 (ko) 2008-12-18 2010-06-17 (주)수호산업개발 암반천공장치용 천공비트 승강수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533Y1 (ko) 2001-10-30 2002-04-10 주식회사 대석엔지니어링 포크레인에 장착되는 굴착기용 헤드
KR200397360Y1 (ko) 2005-07-02 2005-10-04 김정민 굴삭기용 암반천공장치
KR100963942B1 (ko) 2008-12-18 2010-06-17 (주)수호산업개발 암반천공장치용 천공비트 승강수단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5748A1 (en) * 2011-10-11 2013-04-18 Caterpillar Inc. Remote variable adjustment of ripper shank depth
CN103857846A (zh) * 2011-10-11 2014-06-11 卡特彼勒公司 松土机柄部深度的远程可变调节
US8763718B2 (en) 2011-10-11 2014-07-01 Caterpillar Inc. Remote variable adjustment of ripper shank depth
CN103857846B (zh) * 2011-10-11 2016-03-23 卡特彼勒公司 松土机柄部深度的远程可变调节
KR101540245B1 (ko) * 2015-03-17 2015-07-30 조현민 공압을 이용하는 굴삭기용 락 드릴 장치
KR101577217B1 (ko) * 2015-09-03 2015-12-14 유재철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
WO2017039221A1 (ko) * 2015-09-03 2017-03-09 유재철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
CN106854881A (zh) * 2017-01-23 2017-06-16 遂宁市长丰机械科技有限公司 带破碎锤的挖掘机上的钻机
KR101989534B1 (ko) * 2018-11-12 2019-06-14 (주)대우건설 굴삭기에 장착되어 자유로운 각도로 제어가 가능한 슬라이딩 패드 방식의 개량형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227835B1 (ko) * 2020-09-11 2021-03-15 이장준 암반 굴착용 다각도 수평 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평천공 시공공법
KR102294389B1 (ko) * 2021-03-02 2021-08-25 김영국 공사 현장용 천공 장치, 상기 공사 현장용 천공 장치에 의한 주열식 천공 작업 및 그에 적용되는 천공 가이드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0765Y1 (ko)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두부정리작업용 굴삭기 장착형 착암장치
CN110206493B (zh) 一种全套管全回转钻孔灌注桩施工工艺
JP5373206B2 (ja) 穿孔装置用ロッド装着装置
CN204267093U (zh) 一种移动式矿山充填挡墙
KR102340894B1 (ko)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속 할암 방법
JP6103575B2 (ja) 場所打ち杭施工装置及び場所打ち杭施工方法
JP4747193B2 (ja) 低空頭型掘削装置
CN101892764B (zh) 一种围墙的建筑方法
KR20120109437A (ko) 시트파일용 가이드 롤러가 포함된 굴착장치
CN201007012Y (zh) 快换机构
KR101139708B1 (ko) 대구경 파일 시공을 위한 지반 굴착 가이드 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굴착공법
KR101666853B1 (ko) 시추로드 교체용 로드핸들러를 구비한 천공기
KR20130085354A (ko) 나선 말뚝의 파일링 장치
CN210217637U (zh) 一种土木工程用的打桩装置
JP6045038B2 (ja) ステップ取付孔の削孔装置
KR101882192B1 (ko)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
KR20130031624A (ko) 오거 드릴링 머신을 통한 사각 콘크리트 파일 시공방법
JP3839819B2 (ja) リバースサーキュレーションドリル
KR101094276B1 (ko) 오거 드릴링 머신을 통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KR200265467Y1 (ko) 접지극 타격장치
KR102156683B1 (ko) 개선된 직천공 천공 장치 및 시공 방법
CN217206322U (zh) 一种具有找平机构的桩基础施工用桩机
CN203515324U (zh) 一种处理不均匀地质的回旋钻钻头装置
JP6842105B2 (ja) 仮設作業設備及びそれに用いる固定具並びに仮設作業設備を用いた削孔方法
CN202064951U (zh) 掘探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