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100B1 - 저소음 천공기 및 이를 이용한 다운타운 스므스 블라스팅 공법 - Google Patents
저소음 천공기 및 이를 이용한 다운타운 스므스 블라스팅 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6100B1 KR101896100B1 KR1020180058955A KR20180058955A KR101896100B1 KR 101896100 B1 KR101896100 B1 KR 101896100B1 KR 1020180058955 A KR1020180058955 A KR 1020180058955A KR 20180058955 A KR20180058955 A KR 20180058955A KR 101896100 B1 KR101896100 B1 KR 1018961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cover
- rod
- housing
- drifter
- nois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22 blas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3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02 propa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1878 Deaf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79 ab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66 destr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70 hearing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88 hearing los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6354 hearing los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65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504 respirato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5—Rock drills, i.e. jumbo drill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21B3/02—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7—Drills for drilling shallow holes, e.g. for taking soil samples or for drilling postho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F42D3/04—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for rock blasting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착암 로드(210)와, 지지 플레이트(700)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착암 로드(210)를 구동시키는 드리프터(220)를 구비한 로드 구동부재(200)와, 착암 로드(210)가 인출 가능하도록 로드 구동부재(200)를 내측에 수용하는 밀폐 하우징(100) 및 밀폐 하우징(100)의 선단에서 착암 로드(210)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분진 포집부재(400)를 포함하고, 밀폐 하우징(100)은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재(170) 및 흡음재(170)와 밀폐 하우징(100) 내면 사이에 접착되어 흡음재(170)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밀폐 하우징(100)을 통하여 전달되는 외부의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소음 천공기 및 이를 이용한 다운타운 스므스 블라스팅(DSB: Downtown Smooth Blasting)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암기(rock drill)는 압축공기나 전기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해머를 전. 후진시키면서 삽입된 로드의 선단부인 샹크(shank)에 타력을 가하고 이 타력이 암반에 전달되어 파쇄, 천공하거나 또는 로드를 회전시켜 로드 끝 부분의 비트(bit)가 암반에 회전 삭마 작용을 주어 천공하는 기구로서 암반이나 광체를 발파에 의해 파쇄하고자 할 때 발파 장약공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과거에는 인력에 의한 착암작업으로 소형의 탈부착용 착암기를 사용하였으나 광산개발의 대형화, 기계화 추세에 따라 대규격 굴진갱도에서의 점보드릴 등의 장공착암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고, 근래에는 공압식에서 비해 작업 효율이 높은 유압식 착암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착암기는 천공기능에 따라 왕복식과 회전식으로, 사용동력에 따라 공압식과 유압식으로, 천공방향에 따라 드리프터(drifter, 수평천공용), 싱커(sinker, 하향천공용), 스토퍼(stopper, 상향천공용)로, 착암 용수 유무에 따라 습식, 건식 등 다양한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인력착암의 경우는 작업효율이 현격히 떨어져 공사기간의 증가와 함께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장시간 작업에 의해 작업자가 호흡기 질환, 청력저하등의 각종 사고에 노출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전문 유압 착암기는 작업성 및 안전성은 극복한 반면 천공시 발생되는 소음과, 유해 석분 미세먼지가 다량으로 공기중에 방출되어 주변으로 비산됨에 따라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건강에 위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굴삭기등에 탈부착 가능한 천공기에 먼지 포집기능을 구비하여 작업중에 발생되는 먼지 문제를 개선하였으나, 여전히 소음이 심각하여 도심의 현장 주변의 거주민들로부터 민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의 탈부착용 천공기는 소음 발생에 따른 문제를 안고 있어 도심등 주변의 유동인구 및 거주민이 많은 도심의 현장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못함에 따라 이를 개선할 수 있는 탈부착용 천공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암반에 형성된 지반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발파 공법이 실행된다. 그러나 기존에 시공된 주변 건물이 많은 지역에서의 발파 공법은 주변 건물에 발파시 발생되는 충격파가 전달되지 않도록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일반적으로 주변에 폭발에 따른 충격파을 최소화하기 위한 발파 공법은 폭약과 발파공 내면 사이의 공기에 의한 충격파의 감쇄 효과를 얻기 위하여 폭약의 직경에 비하여 폭약의 내경 보다 천공된 발파공의 내경을 더욱 확장되도록 천공시킨다.
이와 같은 폭약과 발파공 사이의 내경 차이에 따라 폭약의 충격파가 주변에 전달되는 영향이 증감되고, 또한 암반의 파괴 효과가 크게 차이가 나기에 정밀한 콘트롤이 필요함에 따라 도심에서 작업 가능한 발파 공법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장비에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용 천공기의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저소음 천공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심 지역 내에서 저소음으로 발파공을 시공하고, 발파시 발생되는 지면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어 도심에서 발파공의 시공과 발파가 가능한 저소음 천공기를 이용한 다운타운 스므스 블라스팅 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착암 로드와, 지지 플레이트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착암 로드를 구동시키는 드리프터를 구비한 로드 구동부재와, 복 수개로 분할 및 체결되어 착암 로드가 인출 가능하도록 로드 구동부재를 내측에 수용하고, 내면에서 흡음재 및 단열재가 적층 되는 밀폐 하우징 및 밀폐 하우징의 선단에서 착암 로드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분진 포집부재를 포함하고, 밀폐 하우징은 양측 벽면 중, 어느 하나에서 드리프터에 동력을 전달하는 호스가 인출되는 개구와, 개구에서 내측의 소음을 차폐시키도록 상하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브러쉬를 포함하는 저소음 천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a)위 실시예 1의 천공기를 굴삭기에 조립하는 단계와, b)천공기를 이용하여 암반에 발파공을 시공하는 단계와, c)폭약의 외면에서 복 수개로 분할된 날개가 발파공의 내면을 지지하여 폭약과 발파공 내면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폭약을 삽입하는 단계 및 d)폭약이 삽입된 이후 골재를 발파공에 삽입하여 다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발파공 및 폭약은 디커플링 계수 1.5~2 이내가 산출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천공기를 이용한 다운타운 스므스 블라스팅 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서 도심 지역에서의 천공 작업시 소음 발생과 분진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어 시공 현장 주변의 환경 오염 및 소음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암 로드 및 폭약의 직경을 한정하여 설정된 디커플링 계수를 산출할 수 있어 도심 지역(Downtown) 내에서의 주변 건물에 영향을 주지 않고 스므스 블라스팅(Smooth Blasting) 공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천공기를 도시한 일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밀폐 하우징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메인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개구 차음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브러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선단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후단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인디케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분진 포집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측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천공기를 이용한 다운타운 스므스 블라스팅 공법(팅(DSB: Downtown Smooth Blasting)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8은 폭약과 날개 튜브 및 발파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밀폐 하우징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메인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개구 차음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브러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선단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후단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인디케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분진 포집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측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천공기를 이용한 다운타운 스므스 블라스팅 공법(팅(DSB: Downtown Smooth Blasting)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8은 폭약과 날개 튜브 및 발파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천공기를 도시한 일측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타측 사시도, 도 3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천공기는 복 수개로 분할되어 내측의 소음 차단 및 밀폐시키는 밀폐 하우징(100)과, 착암 로드(210) 및 드리프터(220)를 구비한 로드 구동부재(200)와, 입력된 명령에 따라 유압 또는 공압과 같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재(300)와, 착암 로드(210)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분진 포집부재(400)와, 중장비에 체결되는 고정 브라켓(500)과, 밀폐 하우징(100)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천공된 깊이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600)와, 착암 로드(210) 및 드리프터(220)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700)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7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에서 착암 로드(210)가 체결되는 드리프터(220)가 양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지지하고, 도면에 도시된 바를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분진 포집부재(400)와 동력부재(300) 및 고정 브라켓(500)이 연결 및 고정된다.
로드 구동부재(200)는 암반을 천공시키는 착암 로드(210)와 착암 로드(210)를 회전시키는 드리프터(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드리프터(220)는 지지 플레이트(700)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착암 로드(2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700) 에서 슬라이딩 레일과 같은 장치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드리프터(220) 및 착암 로드(210)의 구조 및 작용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을 적용함에 따라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드리프터(220)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됨에 따라 동력부재(3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유압 또는 공압 호스(230)(이하 호스(230)로 총칭함)가 연결된다. 여기서 호스(230)는 밀폐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밀폐 하우징(100)의 사이즈를 줄이고 전체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호스(230)는 밀폐 하우징(100)의 내측 밀폐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완전 밀폐형 구조는 다른 실시예로서 후술한다.
착암 로드(210)는 드리프터(220)에 체결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롯트와, 롯트의 선단에서 암반과 직접 접촉되는 천공 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밀폐 하우징(100)은 복 수개로 분할되어 내부 구성의 수리 및 정비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지지 플레이트(700)에 설치된 로드 구동부재(200)를 내측에 수용하여 드리프터(220)와 착암 로드(210)의 작동시에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전파됨을 차단한다.
이를 위하여 밀폐 하우징(100)은 지지 플레이트(700)의 상부와 일측을 밀페시키는 제1메인 커버(110)와, 타측을 밀폐시키는 제2메인 커버(120)와, 제1메인 커버(110)와 제2메인 커버(120)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체결되는 선단 커버(130)와 후단 커버(140)와, 단열재(160)와 흡음재(170), 개구 차음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 단열재(160) 및 흡음재(17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밀폐 하우징(100)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밀폐 하우징(100)은 내면에서 흡음 성능을 갖는 흡음재(170)와, 밀폐 하우징(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160)를 포함한다.
단열재(160)는 밀폐 하우징(100)의 벽면 내측에서 접착되어 밀폐 하우징(100)을 통하여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고, 흡음재(170)의 접착력을 강화시킨다. 예를 들면, 천공기는 주로 야외에서 작업을 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외면에서 전달되는 열의 전도도가 높다.
따라서 흡음재(170)는 액상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시에 외부에서 전달된 열에 의해 접착력이 약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밀폐 하우징(100)의 내면에 흡음재(170)를 접착하기 전에 단열재(160)(단열 시트)를 먼저 접착한 뒤에 흡음재(170)를 적층시킨다.
흡음재(170)는 드리프터(220) 및 착암 로드(210)의 작용시에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 또는 차단한다. 이를 위하여 흡음재(170)는 다수개의 기공으로 갖고 형성되는 섬유재질의 시트가 적용될 수 있고, 그 외 흡음 또는 차단 성능을 갖는 시트형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밀폐 하우징(100)은 자체 하중에 의한 형상의 변형 방지와, 착암 로드(210)의 교체나 정비를 위하여 제1메인 커버(110), 제2메인 커버(120), 선단 커버(130), 후단 커버(140)로서 분할 형성된다. 이중 제1메인 커버(110)와 제2메인 커버(120)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1메인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메인 커버(110)는 상면(111)과 일측 벽면(114)을 이루고, 선단과 후단 및 반대측(115)이 개방된다.
여기서 제1메인 커버(110)의 상면과 벽면은 모두 계단식으로 단턱(112, 112', 113)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메인 커버(110)는 길이 3m의 금속판을 사용할 경우에 그 하중에 의하여 형상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면(111)과 측면(114)에서 복 수개의 단턱(112, 112', 113)을 갖도록 성형된다.
아울러, 제1메인 커버(110)의 타측 벽면은 상면에서 1차 단턱(112')을 형성한 뒤에 하측에서 개방된 공간(115)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형상은 하측의 제2메인 커버(120)의 상단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여 그 사이로 드리프터(220)에서 인출된 호스(230)가 안내되고, 개구 차음부(180)가 설치되는 개구를 형성한다.
제2메인 커버(120) 및 개구 차음부(180)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7은 제2메인 커버(120) 및 개구 차음부(18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1의 배면 사시도 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2메인 커버(120)는 절곡 성형되어 지지 플레이트(700)의 측면에, 예를 들면, 볼트로 고정된다. 이때, 제2메인 커버(120)의 상단은 제1메인 커버(110)의 타측 끝단의 하측에서 이격되어 그 사이에 호스(230)가 안내되는 개구를 형성한다.
개구 차음부(180)는 제1메인 커버(110)와 제2메인 커버(1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설치되어 호스(230)가 안내되는 개구로 부터 소음을 차단한다.
이를 위하여 개구 차음부(180)는 제1메인 커버(110)에 고정되는 제1브러쉬 홀더(181)와, 제1브러쉬 홀더(181)에 고정되는 제1브러쉬(182)와, 제2메인 커버(120)에 고정되는 제2브러쉬 홀더(181')와, 제2브러쉬 홀더(181')에 고정되는 제2브러쉬(182')를 포함한다.
제1브러쉬 홀더(181)는 제1메인 커버(110)의 벽면에서 고정되는 제1직립판(181a)과, 제1직립판(181a)에서 고정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고정홈(181b)을 포함한다.
제1직립판(181a)은 제1메인 커버(110)의 타측 벽면에 밀착 고정되는 직립된 판으로 형성된다.
제1고정홈(181b)은 제1직립판(181a)의 일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제1고정홈(181b)은 브러쉬(182, 182')의 솔이 하향 인출되도록 하면이 개방되고, 선단과 후단이 모두 개방되어 제1브러쉬(182)의 상단이 측 방향으로 끼움될 수 있다.
제2브러쉬 홀더(181')는 제2메인 커버(120)의 벽면에 고정되는 제2직립판(181a')과, 제2직립판(181a')에서 고정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고정홈(181b')을 포함한다.
제2직립판(181a')은 제2메인 커버(120)의 벽면에 밀착되는 직립된 판으로, 예를 들면, 볼트로서 고정된다.
제2고정홈(181b')은 상면이 개방되고, 선단과 후단이 모두 개방되어 제2브러쉬(182')의 하단이 측방향으로 끼움된다.
제1브러쉬(182)와 제2브러쉬(182')는 제1고정홈(181b)과 제2고정홈(181b')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끝단이 밀착되어 드리프터(220) 및 착암 로드(210)의 작동에 따라 발생된 소음을 차단한다.
즉, 제1브러쉬(182)와 제2브러쉬(182')는 드리프터(220)에서 연장되는 호스(230)가 안내되는 제1메인 커버(110)와 제2메인 커버(1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차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1브러쉬(182)와 제2브러쉬(182')는 복 수개로서 분할되어 제1브러쉬 홀더(181)와 제2브러쉬 홀더(181')에 순차적으로 끼움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브러쉬(182)와, 제2브러쉬(182')는상호 접촉되는 끝단과 상단이 단차(182a. 182a')(도 9 참조) 형성되어 상호 맞물리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 커버(130)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선단 커버(13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선단 커버(130)는 제1메인 커버(110)와 제2메인 커버(120)의 선단에 끼움식으로 체결된 후 볼트로 고정되는 제1몸체(132)와, 제1몸체(132)의 상측에 고정되는 제1상판(131)와, 착암 로드(210)의 끝단이 인출되는 관통구(133a)가 형성되는 관통판(133)을 포함한다.
제1상판(131)은 상면과 양측 벽면을 구비하고, 전면(131c)이 개방된다. 여기서 제1상판(131)의 개방된 배면측 단면(131d)은 제1몸체(132)의 상면 개방부(132b)의 단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1상판(131)의 배면은 개방 형성되어 제1몸체(132)의 전면의 상단에 조립된다. 그러므로 제1상판(131)와 제1몸체(132)는 상호 연계되어 착암 로드(210)가 이동되는 관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1상판(131)은 상면에서 후방으로 인출되어 제1메인 커버(110)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판(13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판(131a')은 상면에서 연통된 볼트공(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을 포함하고 있어 제1메인 커버(110)의 상면에 밀착되어 체결된다.
제1몸체(132)는 제1메인 커버(110)와 제2메인 커버(120)의 선단에 체결되고, 착암 로드(21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전후방이 상호 연통되도록 개방되고, 제1상판(131)가 체결되는 상측 일부(132b)가 개방된다. 여기서 제1몸체(132)는 일측에서 제1메인 커버(110) 일측 벽면의 단턱(112)과 일치되도록 단턱(13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몸체(132)는 양측에서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어 그 사이가 개방되고, 제1몸체(132)가 설치되는 상단을 이루는 지지단(132c)을 형성한다. 지지단(132c)의 전면(132d)과 제1커버(131)의 전면(131c)은 관통판(133)과 밀착되도록 직립 단면을 이룬다.
관통판(133)은 직립된 형상의 판으로서 제1몸체(132) 및 제1상판(131)의 전면에 밀착 고정되어 착암 로드(210)의 안내 및 분진 포집부재(400)의 선단을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관통판(133)은 전면에서 착암 로드(210)가 인출되는 관통구(133a)와,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관통구(133a)를 통하여 인출된 착암 로드(210) 및 착암 로드(210)에 연결되는 분진 포집부재(400)의 선단을 보호 및 지지하는 가이드 블럭(133b)을 포함한다.
관통구(133a)는 관통판(133)에서 관통 형성되어 착암 로드(210)를 안내한다.
가이드 블럭(133b)은 관통구(133a) 하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가이드 블럭(133b)은 편평한 상면과, 경사진 하면으로 이루어져 착암 로드(210)의 착암 작업중 발생되는 파편들로부터 분진 포집부재(400)의 선단을 보호하거나, 분진 포집부재(400)의 하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후단 커버(140)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후단 커버(14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후단 커버(140)는 직립된 벽면으로서 후면과 양측 벽면을 구비하여 제1메인 커버(110) 및 제2메인 커버(120)의 후단의 외면에 끼움되는 제2몸체(142)와, 제2몸체(142)의 개방된 상부에 체결되는 제2상판(141)을 포함한다.
제2몸체(142)는 직립된 벽면(142a)과, 상호 이격된 양측 벽면(132b)으로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다. 여기서 제2몸체(142)의 양측 벽면(142b은 제1메인 커버(110) 및 제2메인 커버(120)의 후단측 외면에 각각 밀착된다. 아울러 제2몸체(142)는 양측 벽면에서 단턱(142c)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메인 커버(110)의 단턱(112)과 일치되는 형상을 이루기 위함이다.
제2상판(141)은 제2몸체(142)의 양측 벽면 상단에 설치되어 볼트로서 고정되어 제2몸체(142)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킨다. 즉, 제2상판(141)은 제2몸체(142)의 양측 벽면에 고정되면서 제2몸체(142)의 양측 벽면 사이로 인입된 제1메인 커버(110)와 제2메인 커버(1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인디케이터(600)는 도 1과 도 2, 도 6과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중에서 도 12는 인디케이터(6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의 도면들을 참조하면, 인디케이터(600)는 드리프터(220)로부터 연장되는 연결판(670, 도 8 참조)과, 일측 끝단이 연결판(670)에 체결되어 절곡 성형되는 절곡판(610)과, 절곡판(610)에 체결되어 제1메인 커버(110)의 외측에서 직립된 롤러 지지판(620)과, 롤러 지지판(62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 롤러(640)와, 제1메인 커버(110)의 상단에 고정되어 회전 롤러(640)를 가이드 하는 롤러 가이드(650)와, 롤러 지지판(620)의 외면에 고정되는 지시판(630)과, 깊이를 표시하는 수치나 단위, 기호, 표시중 하나 이상이 표시되는 표시판넬(660)을 포함한다.
연결판(670)은 드리프터(220) 본체 또는 드리프터(220)를 지지하는 구조물중 어느 하나로 부터 밀폐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연결판(670)은 드리프터(220)의 이동과 연계되어 브러쉬(182, 182')들 사이로 이동된다. 아울러 드리프터(220)를 지지하는 구조물(도 6의 단면도 참조)은 공지된 구성들중 어느 하나에 해당될 수 있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절곡판(610)은 일측에서 수평으로 절곡 형성된 결합단(611)을 포함하고, 결합단(611)에서 제1메인 커버(110)의 외측 형상에 따라 연장된다.
즉, 인디케이터(600)는 브러쉬(182, 182') 사이를 통하여 이동되는 연결판(670)에 연결되되, 브러쉬(182, 182')와 반대측에 위치된다. 이는 굴삭기등의 중장비 운전석의 위치를 고려한 것이다.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중장비 운전석은 천공기의 우측이 시야에 잡히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운전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인디케이터(600)를 운전석이 위치한 방향으로 설치하였다.
롤러 지지판(620)은 제1메인 커버(110)의 상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후 절곡되어 하향 연장되는 'ㄱ'형으로 성형되어 내면에 조립되는 회전 롤러(6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여기서 롤러 지지판(620)과 절곡판(610)은 제1메인 커버(110)의 상면에서 상호 조립된다.
회전 롤러(6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롤러 지지판(620)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제1메인 커버(110)의 일측 벽면에 형성된 단턱(113)의 상면을 따라 회전된다.
롤러 가이드(650)는 제1메인 커버(110)의 상면에 고정되어 하향 직립된 판재로서 회전 롤러(640)를 안내 및/또는 충돌에 의한 손상 방지, 이탈이 방지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로, 롤러 가이드(650)는 'ㄱ'자 형으로 절곡되어 제1메인 커버(110)의 상면(111) 또는 단턱(112)에 볼트로서 조립되고, 직립된 끝단이 회전 롤러(640)의 중심측에 위치되도록 하향 연장된다.
아울러, 롤러 가이드(650)와 회전 롤러(640)는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는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하여 롤러 가이드(650)와 회전 롤러(640)간의 충돌시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회전 롤러(6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시판(630)은 롤러 지지판(620)의 외면에서 체결되어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후 직립되어 표시판넬(660)을 지시한다. 즉, 지시판(630)은 드리프터(220)의 이동거리에 따라 이동되면서 표시판넬(660)에 표시된 깊이 수치를 지시함에 따라 운전자 또는 기타 관리자가 현재 드리프터(220)의 위치 및/또는 천공된 깊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표시판넬(660)은 깊이 및/또는 이동 거리를 표시(척도를 표시하는 숫자, 기호, 문양, 디자인중 적어도 하나) 한다.
이와 같이 인디케이터(600)는 기계식 구조를 통하여 천공 깊이를 표시하는 실시예로서 제안되었다.
또는 본 발명에서 인디케이터(600)는 상술한 실시예를 응용하여 디스플레이 또는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천공된 깊이를 표시하는 구조를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의 구조에서 지시판(630)(또는 연결판(670), 절곡판(610))에 자성체를 설치하고, 표시판넬(660)(또는 브러쉬 홀더(181, 181'), 제1메인 커버(110)의 상면)에 자성체를 감지하는 자성센서를 추가하고, 자성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지시판(630)의 위치를 설정된 깊이 단위 및/또는 수치로 환산하여 이를 운전석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함도 가능하다.
분진 포집부재(400)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분진 포집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분진 포집부재(400)는 분진을 포집하는 분진 포집관(410)과, 수집된 분진을 안내하는 분진 안내관(420), 분진 안내관(420)을 통하여 수집된 분진을 자동 배출하는 수집 하우징과, 지지 플레이트(700)의 하측에서 고정되어 수집 하우징(430)을 고정 및 지지하는 고정 프레임(440)을 포함한다.
분진 포집관(410)은 착암 로드(210)의 선단의 외측에서 관통판(133)에 체결된다. 여기서 분진 포집관(410)은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고, 측방향에서 분진 안내관(420)이 연결된다. 아울러 분진 포집관(410)은 선단이 외측으로 확장된 나팔관 형상을 이루고, 후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선단 커버(130)의 관통판(133)의 전면에 밀착 고정되는 포집 연결단(4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진 안내관(420)은 동력부재(300)에서 발생된 흡입력으로 분진 포집관(410)을 통하여 분진을 흡입하여 수집 하우징(430)으로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분진 안내관(420)은 분진 포집관(410)의 측방향에서 연통되는 제1연결관(421)과, 제1연결관의 반대쪽에서 수집 하우징(430)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관(42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분진 안내관(420)의 흡입력은 동력부재(300) 또는 수집 하우징(430) 또는 추가로 설치된 모터에 의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실시예들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수집 하우징(430)은, 예를 들면, 동력부재(300) 또는 별도 장치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분진 안내관(420)을 통하여 수집된 분진을 수용하는 하우징 본체(431)와, 하우징 본체(431)의 선단에서 분진의 무게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도어(4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본체(431)는, 예를 들면, 분진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선단에서 내측에 수집된 분진의 하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는 도어(432)를 구비할 수 있다.
도어(432)는 분진의 하중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우징 본체(431)의 선단 하측에서 상향 되도록 경사지도록 고정되고, 상측이 개방된다. 따라서 도어(432)는 경사진 형태로 고정됨에 따라 하우징 본체(431)으로 유입되는 분진이 쌓이게 되면 그 하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방되어 분진을 배출시킨다.
고정 프레임(44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지 플레이트(700)의 하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 프레임(440)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판(441)을 통하여 수집 하우징(430)과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판(441)은 수집 하우징(430)의 외면을 따라 둘러쌓은 고리형으로서 고정 프레임(440)의 본체 용접 또는 볼트로서 고정된다.
즉, 본 발명의 분진 포집부재(400)는 착암 로드(210)의 선단에서 분진을 포집하되, 수집된 분진의 하중에 따라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위와 같은 구조를 포함하여 드리프터(220) 및 착암 로드(210)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고, 분진 포집부재(400)를 통하여 작업중 발생된 먼지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어 도심이나 기타 유동 및 거주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의 작업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드리프터(220)에 연결되는 호스(230)를 외부로 인출하고, 이로 인한 소음의 유출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호스(230)를 포함하는 전체 구조를 하우징으로 밀페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하부터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측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타측 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복 수개로 분할되어 내측의 소음 차단 및 밀폐시키는 밀폐 하우징(100)과, 착암 로드(210) 및 드리프터(220)를 구비한 로드 구동부재(200)와, 입력된 명령에 따라 유압 또는 공압과 같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재(300)와, 착암 로드(210)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분진 포집부재(400)와, 중장비에 체결되는 고정 브라켓(500)과, 밀폐 하우징(100)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천공된 깊이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600)와, 착암 로드(210) 및 드리프터(220)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700)를 포함한다.
로드 구동부재(200)와, 동력부재(300), 분진 포집부재(400), 고정 브라켓(500)과 지지 플레이트(700)는 앞서 설명한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밀폐 하우징(100)은 선단과 후단이 개방되고, 지지 플레이트(700) 내지 드리프터(220)를 상부 및 일측을 밀폐시키는 제1하우징(100a)과, 제1하우징(100a)의 측면에서 고정되는 제2하우징(100b) 및 제1하우징(100a)의 선단과 후단을 밀폐시키는 선단 커버(100c)와 후단 커버(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를 각각 포함한다.
여기서 제1하우징(100a)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프레임(102)과, 하우징 프레임(102)에 착탈되는 하우징 커버(101)를 포함한다.
하우징 프레임(102)은 선단과 후단이 모두 개방되고, 상부와 양측으로 하향 연장되는 양측 벽면(104, 105)과, 드리프터(220)로부터 연장된 연결판(도시되지 않음)을 안내하도록 개구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 안내로(103a)가 형성된 가이드부(103)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 프레임(102)에서 타측 벽면(105)은 드리프터(220)에서 연장되는 호스(230)를 제2하우징(100b)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절개된 전달구(105a)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03)는 일측 벽면에서 돌출되어 내측에서 개구된 안내로(103a)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가이드부(103)은 드리프터(220)로부터 연장된 연결판(도시되지 않음)을 인출시키고, 드리프터(220)의 구동과 연계되어 연결판(도시되지 않음)과 이에 연결되는 인디케이터(600)의 지시판(630')을 안내한다. 이때, 연결판(도시되지 않음)은 상술한 일실시예의 인디케이터(60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리프터(220)에서 연결 및/또는 연장되어 일측 벽면의 안내로(103a)를 통하여 지시판(630')에 연결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가이드부(103)의 안내로(103a)는 틈새를 통한 소음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소음의 흡수가 가능한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브러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로는 다른 실시예의 지시판(630')은 도시된 바와 가이드부(103)의 외면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표시판넬(660)은 가이드부(103)의 안내로(103a)를 중심으로 상측 또는 하측에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하우징(100a)은 상기와 같은 분할 및 안내로(103a)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3m 이상의 길이로 연장되더라도 하중에 의한 형상의 변형이 방지된다.
제2하우징(100b)은 일측면이 개방되어 제1하우징(100a)의 타측 벽면(105)에 체결된다. 즉, 제2하우징(100b)은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면과 타측부 및 선단과 후단이 모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하우징(100b)은 제1하우징(100a)의 타측에서 드리프터(220)에서 연장된 호스(230)나 기타 구성들을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마련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구성을 내측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단 커버(100c) 및 후단 커버(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는 제1하우징(100a)의 선단과 후단을 각각 밀폐시킨다. 여기서 선단 커버(100c)는 일 실시예의 가이드 블럭(133b)이 구비된 관통판(133)으로 구성될 수 있고, 후단 커버(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는 직립된 판재로서 제1하우징(100a) 후단에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는 소음 차단을 위한 밀폐형 하우징 구조이며, 제1하우징(100a) 및 제2하우징(100b), 선단 커버(100c) 및 후단 커버(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의 내면에서 상술한 단열재(160)와 흡음재(170)가 설치되어 내측 소음을 차단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저소음 천공기의 구성을 이용한 다운타운 스므스 블라스팅(DSB: Downtown Smooth Blasting) 공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의 천공기를 이용한 발파공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폭약과 날개 튜브 및 발파공(a)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천공기를 굴삭기에 조립하는 S100 단계와, 천공기를 이용하여 암반에 발파공(a)을 시공하는 S200 단계와, 폭약(900)에 날개 튜브(800)를 조립하는 S300 단계와, 날개 튜브(800)가 조립된 폭약(900)을 발파공(a) 내에 삽입한 뒤에 골재를 이용하여 다짐하는 S400 단계를 포함한다.
S100 단계는 천공기를 굴삭기에 장착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천공기는 지지 플레이트(700)의 하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 프레임(440)으로부터 연장되는 고정 브라켓(500)에 굴삭기가 체결된다.
이와 같이 체결된 천공기는 밀폐 하우징(100)에 의하여 소음을 발생시키는 착암 로드(210) 및 드리프터(220)가 포함된 로드 구동부재(200)가 밀폐된다. 이때 천공기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천공기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일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S200 단계는 천공기에 의해 발파공(a)을 시공하는 단계이다. 천공기는 밀폐 하우징(100)의 일측에서 제1메인 커버(110)와 제2메인 커버(120) 사이의 이격된 개구를 통하여 드리프터(220)에서 연장되는 호스(230)와, 인디케이터(600)에 연결되는 연결판(670)이 각각 인출된다.
아울러, 제1메인 커버(110)와 제2메인 커버(120) 사이의 개구는 상술한 호스(230) 및 연결판(670)이 이동되도록 안내하되, 각각 브러쉬 홀더(181, 181')에 의해 고정된 한 쌍의 브러쉬(182, 182')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이룬다.
또한, 굴삭기에 장착된 천공기는 굴삭기의 운전석에서 인디케이터(600)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로 설치된다.
이후, 드리프터(220)가 구동되면서 착암 로드(210)가 암반에 접촉되면서 회전되어 발파공(a)을 천공한다. 이때 드리프터(220)는 발파공(a)의 깊이가 깊어질 수록 그 길이만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인디케이터(600)는 연결판(670)을 통하여 드리프터(220)와 연결됨에 따라 드리프터(220)와 동일한 길이만큼 이동된다.
따라서 운전석에서는 지시판(630)에서 가리키는 표시판넬(660)의 위치를 통하여 현재 발파공(a)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드리프터(220)와 착암 로드(210)가 구동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은 제1메인 커버(110)와 제2메인 커버(120)의 내측에 적층된 단열재(160)와 흡음재(170)와, 브러쉬(182, 182')에 의해 흡수됨에 따라 외부로 전파되지 않는다.
이후, 작업자 또는 굴삭기의 운전자는 인디케이터(600)를 통하여 발파공(a)의 깊이를 확인하여 목적했던 깊이만큼 시공되면, 천공기의 작동을 정지한다.
S300 단계는 날개 튜브(800)를 폭약(900) 외면에 조립하고, 발파공(a)에 폭약(900)을 삽입하는 단계이다. 이때 날개 튜브(8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외면에서 상호 분할된 복 수개의 날개가 형성된다. 날개 튜브(800)의 날개(810)는 발파공(a)의 내면에 지지되면서 폭약(900)과 발파공(a) 사이를 이격시킨다. 즉, 폭약(900)과 발파공(a) 사이에 공기층을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발파 공법은 스므스 블라스팅(Smooth Blasting) 공법으로서 일반적으로 도심에서 사용될 경우에 주변 건물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터널이나 산악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달리 도심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디커플링 계수를 한정하고, 한정된 디커플링 계수의 산출을 위하여 천공기의 착암 로드(210)의 직경을 한정할 수 있다.
즉, 디커플링 계수는 발파공 직경/폭약 직경으로 산출되며, 통상적으로 2.5가 넘을 경우 접선 응력이 감소됨에 따라 장약 길이로서 폭속과 폭압을 조절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는 공기중 전래하는 충격파 속도가 폭약 속도보다 느리므로 폭속과 폭압이 낮아지고, 장약 길이가 길게되면 발파공(a) 내에서 채널 효과(Channel effect)가 일어나 불폭되므로 폭속이 비교적 큰 폭약이 사용된다.
따라서 도심에서 스므스 블라스팅(Smooth Blasting) 공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디커플링 계수가 1.5~2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는 1.5~2의 디커플링 계수를 산출을 위하여 발파공(a)의 내경(공경)을 한정할 수 있도록 착암 로드(210)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착암 로드(210)는 드리프터(220)에 체결되는 로트와, 로트의 끝단에서 체결되는 천공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천공 비트는 복 수개의 돌출된 돌기를 이루어 암반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발파공(a)을 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1.5~2의 디커플링 계수를 얻기 위해서 천공 비트의 직경을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400 단계는 다짐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파공(a) 내에 폭약(900)이 설치된 이후 골재를 발파공(a)으로 삽입하고 지면을 다짐하는 단계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발파 현장에서 지면에 가해지는 충격파를 감쇄할 수 있어 주변 건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진동이 저감됨에 따라 도심내의 발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발파공(a)의 천공 작업중에서 발생된 소음이 주변으로 전파됨을 차단할 수 있어 현장 주변 주민들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심 지역에서의 천공 및 발파가 모두 가능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100 : 밀폐 하우징 100a : 제1하우징
100b; 제2하우징 110 : 제1메인 커버
120 : 제2메인 커버 130 : 선단 커버
131 : 제1상판 132 : 제1몸체
133 : 관통판 140 : 후단 커버
141 : 제2상판 142 : 제2몸체
150 : 단열재 160 : 흡음재
180 : 개구 차음부 181, 181' : 브러쉬 홀더
182, 182' : 브러쉬 200 : 로드 구동부재
210 : 착암 로드 220 : 드리프터
300 : 동력부재 400 : 분진 포집부재
410 : 분진 포집관 411 : 포집 연결단
420 : 분진 안내관 421 : 연결관
430 : 수집 하우징 431 : 수집 몸체
432 : 도어 610 : 절곡판
611 : 결합단 620 : 롤러 지지판
630 : 지시판 640 : 회전 롤러
650 : 롤러 가이드 660 : 표시판넬
670 : 연결판 700 : 지지 플레이트
800 : 날개 튜브 810 : 날개
900 : 폭약 a : 발파공
100b; 제2하우징 110 : 제1메인 커버
120 : 제2메인 커버 130 : 선단 커버
131 : 제1상판 132 : 제1몸체
133 : 관통판 140 : 후단 커버
141 : 제2상판 142 : 제2몸체
150 : 단열재 160 : 흡음재
180 : 개구 차음부 181, 181' : 브러쉬 홀더
182, 182' : 브러쉬 200 : 로드 구동부재
210 : 착암 로드 220 : 드리프터
300 : 동력부재 400 : 분진 포집부재
410 : 분진 포집관 411 : 포집 연결단
420 : 분진 안내관 421 : 연결관
430 : 수집 하우징 431 : 수집 몸체
432 : 도어 610 : 절곡판
611 : 결합단 620 : 롤러 지지판
630 : 지시판 640 : 회전 롤러
650 : 롤러 가이드 660 : 표시판넬
670 : 연결판 700 : 지지 플레이트
800 : 날개 튜브 810 : 날개
900 : 폭약 a : 발파공
Claims (11)
-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착암 로드(210)와, 지지 플레이트(700)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착암 로드(210)를 구동시키는 드리프터(220)를 구비한 로드 구동부재(200);
복 수개로 분할 및 체결되어 착암 로드(210)가 인출 가능하도록 로드 구동부재(200)를 내측에 수용하고, 내면에서 흡음재(170) 및 단열재(160)가 적층되는 밀폐 하우징(100); 및
밀폐 하우징(100)의 선단에서 착암 로드(210)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분진 포집부재(400); 를 포함하고,
밀폐 하우징(100)은
양측 벽면 중, 어느 하나에서 드리프터(220)에 동력을 전달하는 호스(230)가 인출되는 개구와, 개구에서 내측의 소음을 차폐시키도록 상하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브러쉬(182, 182')를 포함하는 저소음 천공기.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밀폐 하우징(100)은
착암 로드(210)를 안내하도록 관통구가 형성되어 선단을 밀폐시키는 선단 커버(130);
로드 부재의 후단을 밀폐시키는 후단 커버(140); 및
선단 커버(130)와 후단 커버(140) 사이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로드 구동부재(200)를 밀폐시키는 메인커버(110, 120);를 포함하는 저소음 천공기.
- 청구항 2항에 있어서, 메인커버(110, 120)는
상부와 일측 벽면을 이루는 제1메인 커버(110)와, 타측 벽면을 이루는 제2메인 커버(120)로 분할 형성되고,
제1메인 커버(110)와 제2메인 커버(120)는 상호 분할되어 그 사이에 브러쉬(182, 182')가 고정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천공기.
- 삭제
-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제1메인 커버(110)와 제2메인 커버(120)에 각각 고정되어 브러쉬(182, 182')를 고정하는 브러쉬 홀더(181, 181');를 더 포함하고,
브러쉬 홀더(181, 181')는
제1메인 커버(110) 또는 제2메인 커버(120)의 벽면에 밀착 고정되는 직립판; 및
직립판의 외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브러쉬(182, 182')의 상단 또는 하단이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저소음 천공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5항에 있어서, 드리프터(220)의 이동 거리 또는 착암 로드(210)의 천공 깊이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600);를 더 포함하는 저소음 천공기.
-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인디케이터(6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 플레이트(700) 또는 밀폐 하우징의 외면에 고정되어 깊이를 표시하는 복 수개의 수치, 문자, 문양, 기호, 단위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표시판넬(660); 및
드리프터(220)와 연동되어 밀폐 하우징(100)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표시판넬(660)을 지향하는 지시판(630);을 포함하는 저소음 천공기.
- 저소음 천공기를 이용한 다운타운 스므스 블라스팅(Downtown Smooth Blasting) 공법에 있어서,
a)청구항 1의 천공기를 굴삭기에 조립하는 단계;
b)천공기를 이용하여 암반에 발파공(a)을 시공하는 단계;
c)폭약의 외면에서 복 수개로 분할된 날개가 발파공(a)의 내면을 지지하여 폭약과 발파공(a) 내면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발파공(a)에 폭약을 삽입하는 단계; 및
d)폭약이 삽입된 이후 골재를 발파공(a)에 삽입하여 다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발파공(a) 및 폭약은 디커플링 계수 1.5~2 이내가 산출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천공기를 이용한 다운타운 스므스 블라스팅 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8955A KR101896100B1 (ko) | 2018-05-24 | 2018-05-24 | 저소음 천공기 및 이를 이용한 다운타운 스므스 블라스팅 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8955A KR101896100B1 (ko) | 2018-05-24 | 2018-05-24 | 저소음 천공기 및 이를 이용한 다운타운 스므스 블라스팅 공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6100B1 true KR101896100B1 (ko) | 2018-09-06 |
Family
ID=6359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8955A KR101896100B1 (ko) | 2018-05-24 | 2018-05-24 | 저소음 천공기 및 이를 이용한 다운타운 스므스 블라스팅 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6100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1226Y1 (ko) * | 2019-08-08 | 2020-03-05 | 이승우 | 락 드릴 장착기 |
KR20200045991A (ko) | 2020-03-17 | 2020-05-06 | (주) 대동이엔지 | 저소음 브레이커 |
KR20200045994A (ko) | 2020-04-06 | 2020-05-06 | (주) 대동이엔지 | 저소음 착암기 |
KR102172563B1 (ko) * | 2020-07-30 | 2020-11-02 | 차현남 | 협소부 천공 기능 및 미세먼지 포집기능을 향상시킨 코어 천공기 |
KR102197884B1 (ko) | 2020-07-07 | 2021-01-04 | 배기흥 | 저소음 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
KR20210052411A (ko) | 2021-04-20 | 2021-05-10 | (주) 대동이엔지 |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공드릴 |
WO2021187691A1 (ko) | 2020-03-17 | 2021-09-23 | (주)대동이엔지 | 진공 브레이커 |
KR102719478B1 (ko) * | 2024-01-09 | 2024-10-17 | 김영국 | 소음 저감 케이싱 일체형 착암기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79271A (ja) * | 1991-09-19 | 1993-03-30 | San Giken Kk | 削岩装置 |
JP2003267064A (ja) * | 2002-03-15 | 2003-09-25 | Komatsu Ltd | 熱源の放熱構造 |
KR20040105317A (ko) * | 2003-06-05 | 2004-12-16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스플릿튜브, 스플릿튜브와 공기층을 이용한 균열제어발파방법 |
US20150034393A1 (en) * | 2013-08-05 | 2015-02-05 | Heinz Otto Hutt | Hole-vac |
KR101577217B1 (ko) | 2015-09-03 | 2015-12-14 | 유재철 |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 |
-
2018
- 2018-05-24 KR KR1020180058955A patent/KR10189610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79271A (ja) * | 1991-09-19 | 1993-03-30 | San Giken Kk | 削岩装置 |
JP2003267064A (ja) * | 2002-03-15 | 2003-09-25 | Komatsu Ltd | 熱源の放熱構造 |
KR20040105317A (ko) * | 2003-06-05 | 2004-12-16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스플릿튜브, 스플릿튜브와 공기층을 이용한 균열제어발파방법 |
US20150034393A1 (en) * | 2013-08-05 | 2015-02-05 | Heinz Otto Hutt | Hole-vac |
KR101577217B1 (ko) | 2015-09-03 | 2015-12-14 | 유재철 |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1226Y1 (ko) * | 2019-08-08 | 2020-03-05 | 이승우 | 락 드릴 장착기 |
KR20200045991A (ko) | 2020-03-17 | 2020-05-06 | (주) 대동이엔지 | 저소음 브레이커 |
WO2021187691A1 (ko) | 2020-03-17 | 2021-09-23 | (주)대동이엔지 | 진공 브레이커 |
EP4116502A4 (en) * | 2020-03-17 | 2024-05-15 | Daedong Engineering Co. Ltd. | VACUUM SWITCH |
KR20200045994A (ko) | 2020-04-06 | 2020-05-06 | (주) 대동이엔지 | 저소음 착암기 |
KR102197884B1 (ko) | 2020-07-07 | 2021-01-04 | 배기흥 | 저소음 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
KR102172563B1 (ko) * | 2020-07-30 | 2020-11-02 | 차현남 | 협소부 천공 기능 및 미세먼지 포집기능을 향상시킨 코어 천공기 |
KR20210052411A (ko) | 2021-04-20 | 2021-05-10 | (주) 대동이엔지 |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공드릴 |
KR102719478B1 (ko) * | 2024-01-09 | 2024-10-17 | 김영국 | 소음 저감 케이싱 일체형 착암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6100B1 (ko) | 저소음 천공기 및 이를 이용한 다운타운 스므스 블라스팅 공법 | |
AU2005292689B2 (en) | Housing arrangement | |
CN104457460B (zh) | 巷道大空孔直眼掏槽快速爆破方法 | |
CN207111100U (zh) | 一种硬岩隧道施工设备 | |
CN104074461B (zh) | 悬挂式回旋震冲工程开槽机 | |
CN105735983B (zh) | 锯片式切缝装置和顶板围岩切缝方法 | |
CN104863496B (zh) | 旋挖桩机孔底液压高频潜孔破岩钻 | |
KR101652991B1 (ko) | 암분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dth 방식의 천공기 및, 이를 이용한 천공방법 | |
KR102352420B1 (ko) | 저소음 착암기 | |
CN110454085A (zh) | 一种极地钻进用铠装电缆式电动机械冲击回转钻具 | |
CN203271586U (zh) | 一种冲击旋挖钻机 | |
KR102211129B1 (ko) | 굴착면 내부의 지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스마트 선대구경 천공장치 | |
Verma et al. | Blast induced damage to surrounding rock mass in an underground excavation | |
KR101738629B1 (ko) | 에어해머를 이용한 천공장치 | |
JP2000345788A (ja) | 山岳トンネルの拡幅方法及び発破防護構造 | |
JPH06185055A (ja) | 防音装置 | |
CN205475395U (zh) | 挖掘机专用劈裂器 | |
KR101630089B1 (ko) | 굴삭기를 이용한 타격 드릴 장치 | |
JP2794329B2 (ja) | 防音装置 | |
CN109812262A (zh) | 一种钻机钻杆进尺在线测量装置 | |
KR200442128Y1 (ko) | 천공기용 방음 장치 | |
CN219158936U (zh) | 一种石灰岩溶洞爆破孔开挖装置 | |
CN115045628A (zh) | 一种煤矿地质钻探装置 | |
JP3052114B2 (ja) | 穿孔機 | |
JP5219859B2 (ja) | 覆工エレメントの地山への貫入方法及び地盤切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