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972B1 - 건축폐기물 파쇄기 - Google Patents

건축폐기물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972B1
KR101576972B1 KR1020080103077A KR20080103077A KR101576972B1 KR 101576972 B1 KR101576972 B1 KR 101576972B1 KR 1020080103077 A KR1020080103077 A KR 1020080103077A KR 20080103077 A KR20080103077 A KR 20080103077A KR 101576972 B1 KR101576972 B1 KR 101576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waste
rotator
outlet
mesh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3855A (ko
Inventor
구대환
Original Assignee
대흥에코 주식회사
구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흥에코 주식회사, 구대환 filed Critical 대흥에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3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972B1/ko
Publication of KR20100043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30Mincing machines with perforated discs and feeding worms
    • B02C18/32Mincing machines with perforated discs and feeding worms with sharpe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폐기물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배출구를 적용하여 단위시간당 더 많은 파쇄물을 배출할 수 있고, 회전통 내부공간에 삿갓 모양의 보호대를 배치하여, 상기 배출구로 낙하하는 강구의 충격에 의한 배출구의 손상을 방지하여 배출구의 내구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폐기물 파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파쇄기는 원통형으로서 상기 원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동작이 가능한 회전통(10); 상기 회전통(10) 내부에 마련되어 파쇄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강철 조각; 건축폐기물을 상기 회전통 (10) 내부로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통(10)의 일면에 형성된 투입구(30); 상기 회전통(10)의 끝단부의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격자무늬가 관통하도록 성형된 망사 배출구(20); 및 상기 투입구(30)가 형성된 회전통(10)의 일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에 이르기까지의 구간은 그 직경이 점차 증가되는 확대관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삿갓 모양으로 구성된 보호대(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건축폐기물, 파쇄

Description

건축폐기물 파쇄기{Ball Mill for Construction Waste}
본 발명은 건축폐기물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파쇄기 내부에 마련된 다수의 강구를 통하여 파쇄된 건축폐기물이 파이프 배출구와 망사 배출구로 구성된 2 개의 배출구를 통하여 동시에 배출되도록 하여, 파쇄물의 단위시간당 배출양을 증대시키고, 또한, 상기 망사 배출구를 상기 강구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파쇄기의 내구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폐기물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콘크리트와 같은 건축폐기물로부터 재활용 가능한 골재를 확보하기 위하여, 폐콘크리트 덩어리를 잘게 파쇄하는 파쇄작업이 이루어진다.
도 1 은 종래 건축폐기물 파쇄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콘크리트와 같은 건축폐기물를 잘게 파쇄하기 위한 종래 파쇄기는, 원통형인 회전통(1) 속에 강구(9)나 강봉을 넣고, 건축폐기물 덩어리와 혼합해서 미세하게 파쇄한다.
상기 회전통의 일면에는 건축폐기물을 투입하기 위한 파이프 형태의 투입 구(3)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3)에 대향하는 타측면에는 파쇄된 골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파이프 형태의 배출구(5)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회전통의 일면에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파쇄된 골재를 외부로 배출해 주는 종래 파쇄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회전통의 일면에 형성되는 상기 배출구의 단면적은 통상, 상기 회전통 내부의 단면적보다 좁게 형성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파쇄된 건축폐기물이 상기 회전통(1)으로부터 상기 배출구(5)로 유입되는 경계면(7)에서는, 크고 작은 파쇄물들과 제대로 파쇄되지 못한 폐콘크리트 덩어리 등이 몰리게 되어 병목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파쇄된 건축폐기물의 외부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그 배출 속도가 저하되어, 건축폐기물 파쇄공정이 비효율적으로 진행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쇄된 건축폐기물의 배출에 있어서, 파쇄기 회전통의 일면에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배출구에만 의존하였던 종래 파쇄기를 개선하여, 상기 파이프 형태의 배출구뿐만 아니라, 회전통의 끝단부 둘레면에 형성된 망사 배출구를 통하여 동시에 배출시켜줌으로써, 종래 파쇄기에 발생하였던 병목현상을 제거할 수 있고, 단위시간당 더 많은 파쇄물을 배출할 수 있는 건축폐기물 파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망사 배출구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되는 회전통 내부공간에 삿갓 모양의 보호대를 배치하여, 상기 망사 배출구로 낙하하는 강구의 충격에 의한 망사 배출구의 손상을 방지하여 망사 배출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폐기물 파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파쇄기는, 원기둥 형태로서 상기 원기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동작이 가능하고, 그 내부는 건축폐기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빈공간으로 구성된 회전통(10); 상기 회전통(10) 내부에 마련되어 파쇄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강철 조각; 건축폐기물을 상기 회전통 (10) 내부로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통(10)의 일면에 형성된 투입구(30); 상기 회전통(10)의 끝단부의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격자무늬가 관통하도록 성형되어 회 전통(10)의 내부와 외부가 격자무늬마다 연통되고, 전체적으로 그물망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통(10) 내부에서 파쇄된 건축폐기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망사 배출구(20); 및 상기 회전통(10)의 내부 영역 중 상기 망사 배출구(20)가 형성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30)가 형성된 회전통(10)의 일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에 이르기까지의 구간은 그 직경이 점차 증가되는 확대관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삿갓 모양으로 구성된 보호대(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파쇄기에 의하면, 파쇄기 회전통의 일면에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배출구에만 의존하였던 종래 파쇄기를 개선하여, 상기 파이프 형태의 배출구뿐만 아니라, 회전통의 끝단부 둘레면에 형성된 망사 배출구를 통하여 동시에 배출시켜줌으로써, 종래 파쇄기에 발생하였던 병목현상을 제거할 수 있고, 단위시간당 더 많은 파쇄물을 배출할 수 있어 배출공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망사 배출구 영역에 위치한 강구가 상측으로 끌어올려진 후 중력에 의하여 낙하될 때 그 낙하 경로를 차단하여 상기 강구가 망사 배출구의 그물망에 떨어지지 않고 다시 투입구 쪽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강구의 낙하시 충격으로 인한 망사 배출구의 손상을 방지해줌으로써 건축폐기물 파쇄기의 수명 연장 및 내구성 향상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경사지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보호대를 통하여, 파쇄물에 섞여 배출구 쪽으로 이동되어진 강구가 투입구 쪽으로 다시 이동되어지도록 유도하여 건축폐기물 파쇄공정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파쇄공정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파쇄기는 회전통(10) 내부에 구비된 다수의 강구(60)를 통하여 파쇄된 건축폐기물이 2 개의 배출구를 통하여 동시에 배출되도록 하였다. 즉, 파쇄기 회전통(10)의 일면에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배출구(이하, 파이프 배출구(40)라 칭하기로 함.)뿐만 아니라, 회전통(10)의 끝단부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망사 배출구(20)를 통하여 동시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단위시간당 배출양을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 또한, 상기 망사 배출구(20)를 상기 강구(60)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파쇄기의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폐기물 파쇄기를 제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파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파쇄기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파쇄기는 건축폐기물이 투입되어 잘게 파쇄되는 작업이 실행되는 회전통(10); 상기 회전통(10) 내부에 마련되어 실질적인 파쇄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강철 조각; 건축폐기물을 상기 회전통(10)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30); 파쇄가 완료된 건축폐기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 1 배출구, 제 2 배출구 및 상기 강철구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상기 제 2 배출구를 보호해주기 위한 보호대(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회전통(10)은 스틸(steel) 소재의 원기둥 형태로서 상기 원기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그 내부는 건축폐기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빈공간을 이루며, 상기 내부 빈공간은 강철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조각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강철 조각은 구형상으로 이루어진 강구(60) 또는 막대 형상의 강봉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강철 조각은 강구(60)로 특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통(10)의 일면에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투입구(30)가 상기 회전통(10) 내부로 관통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투입구(30)로 투입되는 건축폐기물은 상기 투입구(30)를 경유하여 상기 회전통(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배출구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배출구로서, 상기 투입구(30)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통(10)의 일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에, 상기 회전통(10)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회전통(10)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통(10) 내부에서 파쇄된 건축폐기물은 상기 파이프 배출구(40)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진다.
회전통(10) 내부에서 임의로 움직이는 강구(60)를 이용하여, 투입된 건축폐기물을 잘게 파쇄하는 파쇄기의 특성상 상기 파이프 배출구(40)의 단면적 크기는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이는, 만약 파쇄기의 배출속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파이프 배출구(40)의 단면적을 무리하게 크게 제작할 경우, 상기 강구(60)도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회전통(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파이프 배출구(40)의 직경은 상기 강구(60)의 직경보다 작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파이프 배출구(40) 단면적 설계의 제한 및 이로인한, 배출속도 증가의 한계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파쇄장치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기 회전통(10)의 둘레면에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진 제 2 배출구(이하, 망사 배출구(20))를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파이프 배출구(40)의 한계를 극복하도록 하였다.
상기 망사 배출구(20)는 스틸 소재로 이루어진 상기 회전통(10)의 끝단부(파이프 배출구(40)가 형성된 영역)의 둘레면을 따라을 따라 다수의 격자무늬가 관통하도록 성형되어 회전통(10)의 내부와 외부가 격자무늬마다 연통되고, 전체적으로 그물망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격자무늬는 원형 또는 사각형 등과 같은 일반적인 도형 무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망사 배출구(20)를 너무 크게 형성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강구(60)의 충격으로 인한 그물망 손상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최적의 배출효율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 비율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격자무늬 그물망이 성형되지 않은 회전통(10)의 둘레면과 상기 격자무늬 그물망이 성형이 이루어진 망사 배출구(20)의 둘레면이 8:2 의 면적 비율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망사 배출구(20)의 격자무늬의 크기는 적어도 상기 강구(60)가 상기 격자무늬를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의 크기로 구성되어야함은 물론이다.
이는, 상기 강구(60)가 파쇄물에 섞여 상기 망사 배출구(20) 영역으로 이동될 경우, 파쇄물만 상기 망사 배출구(20)의 그물망 사이로 빠져나가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강구(60)는 빠져나가지 못하고 다시 상기 투입구(30) 쪽(즉, 회전통(10) 내의 그물망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파쇄 공정에 반복적으로 다시 사용되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회전통(10)에 투입된 건축폐기물은 회전통(10)의 회전에 의한 강구(60)의 이동과 이로 인해 건축폐기물에 가해지는 충격과 마찰에 의하여 파쇄가 이루어진다.
상기 파쇄물과 섞여 상기 망사 배출구(20) 영역으로 밀려온 강구(60)의 움직임을 살펴보면, 상기 회전통(10)의 회전 동작에 의하여 상기 회전통(10)의 상부(중력방향의 반대 방향)로 이동된 후, 중력에 의해 다시 지면방향으로 낙하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파쇄기의 회전통(10)의 끝단부에 형성된 상기 망사 배출구(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격자무늬 그물망 형태로 상기 회전통(10)의 두께부를 관통하며 형성됨에 따라 구조적으로 외부충격에 취약하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강구(60)의 낙하 과정에서 상기 망사 배출구(20)에 가해지는 반복적인 충격은 상기 망사 배출구(20)의 그물망의 찌그러짐, 절단 등과 같은 손상을 유발하여 망사 배출구(20)의 수명 및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대(50)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호대(50)는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된 다음과 같은 구조적 특징을 통하여, 상기와 같이 망사 배출구(20) 영역에 위치한 강구(60)가 상측으로 끌어올려진 후 중력에 의하여 낙하될 때 그 낙하 경로를 차단하여 상기 강구(60)가 망사 배출구(20)의 그물망에 떨어지지 않고 다시 투입구(30) 쪽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강구(60)의 낙하시 충격으로 인한 망사 배출구(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투입된 건축폐기물의 파쇄공정에 다시 사용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보호대(50)는, 상기 회전통(10) 내부 중 망사 배출구(20)가 형성된 영역에 삽입 배치되고, 구체적인 형상은 상기 회전통(10) 내의 경계면 즉, 그물망이 형성되지 않은 둘레면과 그물망이 형성된 영역의 경계면 부근으로부터 상기 파이프 배출구(40)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통(10)의 일면에 이르기까지의 구간은 그 직경이 점차 증가되는 확대관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삿갓 모양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삿갓 모양의 보호대(50)의 중심부에는 그 중심축을 따라 상기 파이프 배출구(40)가 연장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파이프 배출구(40)는 상기 보호대(50)의 최소직경으로 구성된 영역으로부터 뻗어나가, 상기 투입구(30)가 형성된 회전통(10)의 일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 배출구(40)에 있어서, 상기 회전통(10) 내부에 삽입 배치되어 있는 상기 파이프 배출구(40) 영역은 상기 보호대(50)의 경사진 둘레면에 의하여 감싸지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호대(50)의 둘레면은 상기 타측면으로 부터 상기 투입구(30)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된 경사면을 갖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망사 배출구(20)가 형성된 영역에 상기 보호대(50)가 삽입 배치됨에 따라, 상기 망사 배출구(20)의 상측으로 이끌려 올라간 후 하측으로 낙하되는 강구(60)는 상기 망사 배출구(20)의 하측면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보호대(50)의 둘레면에 의하여 낙하가 멈춰짐으로써, 낙하되는 강구(60)에 의해 망사 배출구(20)에 가해지던 충격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파쇄과정을 마치고 상기 파이프 배출구(40) 쪽으로 밀려온 강구(60)는 상기 보호대(50)의 경사면의 안내를 통하여 상기 회전통(10)의 투입구(30) 방향 즉, 그물망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이동되어져 파쇄과정에 다시 참여하도록 유도해 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투입구(30), 회전통(10), 망사 배출구(20), 파이프 배출구(40) 및 보호대(50)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파쇄기의 작동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투입구(30)를 통하여 회전통(10) 내부로 투입된 건축폐기물은 상기 회전통(10) 내부에서 마련된 다수의 강철구와 섞이게 되고, 상기 회전통(10) 내부에 마련된 다수의 강구(60)는 상기 회전통(10)의 회전 작동에 따라 임의적으로 움직이며 상기 회전통(10) 내부에 투입된 건축폐기물과 충돌 및 마찰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충돌/마찰 과정에서 압축·전단 충격과 같은 기계적인 힘이 상기 건축 폐기물 덩어리에 반복 지속적으로 가해짐에 따라 상기 건축폐기물 덩어리는 잘게 파쇄되어 상기 망사 배출구(20) 및 파이프 배출구(40) 쪽으로 밀려오게 된다.
상기 파쇄 공정을 거쳐 상기 배출구 쪽으로 이동된 파쇄물은 먼저, 상기 망사 배출구(20)를 통하여 최초 배출이 이루어지다가, 밀려오는 파쇄물이 많아져 상기 망사 배출구(20)의 배출 능력을 초과하여 쌓이게 되면, 이후, 상기 파이프 배출구(40)를 통한 파쇄물의 배출이 시작된다.
또한, 상기 파쇄물과 섞여 상기 망사 배출구(20)로 밀려온 강구(60)는 상기 회전통(10)의 회전 동작에 의하여 상기 회전통(10)의 상부로 이동된 후 다시 지면방향으로 낙하가 되고, 이때 상기 강구(60)는 상기 보호대(50)의 둘레면에 의하여 낙하가 멈춰짐과 동시에, 경사진 상기 둘레면의 안내를 통하여 상기 회전통(10)의 투입구(30) 방향 즉, 그물망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이동되어져 건축폐기물 파쇄과정에 다시 참여하게 된다.
상기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상기와 같은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컨데,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이프 배출구(40)와 망사 배출구(20)를 한 개의 회전통(10)에 모두 형성함으로써, 2 개의 배출구를 통하여 건축폐기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상기 파이프 배출 구(40)를 배제한 채 상기 망사 배출구(20)만을 형성하고, 상기 보호대(50)를 삽입 배치하는 구성을 통하여서도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도 1 은 종래 건축폐기물 파쇄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파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파쇄기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회전통 20 : 망사 배출구
30 : 투입구 40 : 파이프 배출구
50 : 보호대 60 : 강구

Claims (4)

  1. 삭제
  2. 건축폐기물 파쇄기로서,
    원기둥 형태로서 상기 원기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동작이 가능하고, 그 내부는 건축폐기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빈공간으로 구성된 회전통(10);
    상기 회전통(10) 내부에 마련되어 파쇄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강철 조각;
    건축폐기물을 상기 회전통(10) 내부로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통(10)의 일면에 형성된 투입구(30);
    상기 회전통(10)의 끝단부의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격자무늬로 관통하도록 성형되어 회전통(10)의 내부와 외부가 격자무늬마다 연통되는 그물망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통(10) 내부에서 파쇄된 건축폐기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망사 배출구(20); 및
    상기 회전통(10)의 내부 영역 중 상기 망사 배출구(20)가 형성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30)가 형성된 회전통(10)의 일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에 이르기까지의 구간은 그 직경이 점차 증가되는 확대관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삿갓 모양으로 구성된 보호대(50)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폐기물 파쇄기는,
    상기 투입구(30)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통(10)의 일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에, 상기 회전통(10)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회전통(10)의 외부로 돌출 형성된 파이프 배출구(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배출구(40)는 상기 보호대(50) 내부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회전통(10) 내부로 연장 배치되어 상기 회전통(10) 내부에서 파쇄된 건축폐기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 파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통(10)은,
    상기 망사 배출구(20)가 형성되지 않은 둘레면과 상기 망사 배출구(20)가 형성된 둘레면이 8:2 의 비율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 파쇄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철 조각은 구형상의 강구(60) 또는 막대 형상의 강봉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 파쇄기.
KR1020080103077A 2008-10-21 2008-10-21 건축폐기물 파쇄기 KR101576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077A KR101576972B1 (ko) 2008-10-21 2008-10-21 건축폐기물 파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077A KR101576972B1 (ko) 2008-10-21 2008-10-21 건축폐기물 파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855A KR20100043855A (ko) 2010-04-29
KR101576972B1 true KR101576972B1 (ko) 2015-12-16

Family

ID=42218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077A KR101576972B1 (ko) 2008-10-21 2008-10-21 건축폐기물 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9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631A (ko) 2018-12-14 2020-06-24 김태민 와이어 기반 파쇄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032B1 (ko) * 2004-12-29 2005-12-08 신잔토개발 주식회사 방열수단이 구비된 건설폐기물 처리용 트럼멜
JP2008136939A (ja) 2006-12-01 2008-06-19 Ito Kogyo:Kk ロッドミ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4741B2 (ja) * 1993-05-18 1997-09-17 一利 伊佐地 ロッドミル
JP3230462B2 (ja) * 1996-09-10 2001-11-19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すりも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032B1 (ko) * 2004-12-29 2005-12-08 신잔토개발 주식회사 방열수단이 구비된 건설폐기물 처리용 트럼멜
JP2008136939A (ja) 2006-12-01 2008-06-19 Ito Kogyo:Kk ロッドミ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631A (ko) 2018-12-14 2020-06-24 김태민 와이어 기반 파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855A (ko)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307B1 (ko) 다단 맨틀 구조를 갖는 임팩트형 콘 크러셔
KR101682952B1 (ko) 다중의 수평 임펠러 회전파쇄장치에 경사각을 가진 다단 캔틸레버 타격 바와 시멘트모르타르 박리용 팽이 마쇄수단을 이용하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방법 및 그 장치
KR101048071B1 (ko) 다중 파쇄 구조를 갖는 순환골재의 페이스트 박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생산방법
JP2007090323A (ja) 粉砕装置及び方法
CN210207052U (zh) 防堵塞破碎机
CN206631670U (zh) 锤击式动态循环筛分破碎机
KR101147303B1 (ko) 건설폐기물의 분쇄 및 미립분 제거장치
KR20130123728A (ko) 순환골재 선별 파쇄장치
KR101576972B1 (ko) 건축폐기물 파쇄기
KR101549692B1 (ko) 건설 폐기물 파쇄 박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 방법
KR101897560B1 (ko)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골재획득방법
CN206881820U (zh) 一种快速破碎的反击式破碎机
CN106944194B (zh) 烟丝回收系统及其螺旋式废烟破碎装置
KR100993940B1 (ko) 샌드 크라샤
CN106732953A (zh) 整机排料可逆锤式破碎制砂机
KR102089849B1 (ko) 폐숏크리트 재생장치
CN214974428U (zh) 建筑固废回收用破碎制砂机
KR100870986B1 (ko) 건설폐기물의 중간 처리물로부터 몰타르 및 페이스트를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분리방법 및 그 장치
CN203329769U (zh) 一种多级矿石破碎机
JP6921623B2 (ja) 破砕機
CN103285972B (zh) 一种多级矿石破碎机
CN209501815U (zh) 一种电厂锅炉干渣的碎渣装置
CN115283061A (zh) 碳化硅超细粉制备设备
CN211303254U (zh) 一种用于机制砂立磨生产的跨越式挡料及排料装置
KR100623455B1 (ko) 토질개량기의 혼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