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017B1 -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017B1
KR101575017B1 KR1020140073559A KR20140073559A KR101575017B1 KR 101575017 B1 KR101575017 B1 KR 101575017B1 KR 1020140073559 A KR1020140073559 A KR 1020140073559A KR 20140073559 A KR20140073559 A KR 20140073559A KR 101575017 B1 KR101575017 B1 KR 101575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body
support unit
support portion
spring
suppor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섭
Original Assignee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3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체(1)와 스프링몸체(2)의 결합으로 되고, 하부체(1)에 스프링몸체(2)를 수납하는 수납관체(10)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납관체(10)가 상부지지부(11)와 중간지지부(12) 및 하부지지부(13)로 되는 불완전 관체로 구성되고, 상부지지부(11)와 하부지지부(13)는 수납관체(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동일 방향에 위치하며, 중간지지부(12)는 상부지지부(11)와 하부지지부(13)의 반대측에 설치되고, 중간지지부(12)의 상단은 상부지지부(11)의 하단 이하에 위치하고, 중간지지부(12)의 하단은 하부지지부(13)의 상단 이상에 위치하게 하여, 스프링몸체(2)를 구부리면서 돌림으로서 수납관체에 형성된 통과구멍으로 꿰듯이 통과시켜 결합되게 한 것임.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Concrete placing leveler}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근 받침대를 겸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가 철근받침대 부위와 스프링 몸체의 결합으로 된 것에 있어서 철근받침대 부위와 스프링 몸체 부위의 결합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는 배근된 철근에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배근된 철근 위를 밟고 지나가기도 하고 수레가 지나가면서 바퀴에 치이기도 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자는 철근받침대로 되는 하부와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의 기능을 하는 상단부로 구성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에 있어서, 상단부는 이를 스프링 몸체로 형성시켜서 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제공하여, 이를 밟고 지나간다던지 수레가 지나가면서 바퀴로 충격을 가하더라도 파손이 되지 아니하는 특허공개 제1020100136650호 발명을 제공한 바 있으며, 이러한 발명은 역시 본 발명자의 특허 제10-1273721호 발명에서도 실시되어 왔다.
그런데 이와 같이 상부를 스프링몸체로 형성시켜서 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이하 “기준기”라 한다)는 하부의 철근받침대와 상부의 스프링 몸체의 결합 작업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자는 상기 선 발명들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몸체를 수납하는 관체의 측벽 일부를 개방하고 측벽의 개방부를 통하여 스프링을 강제로 밀어 넣어서 되는 기준기를 제공하여 왔다. 그런데 이러한 기준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밟고 지나가더라도 스프링 몸체가 하부의 철근받침대로부터 이탈되지 않아야 하니 측벽에 개방부를 형성시키더라도 스프링 몸체가 이탈되지 아니할 정도로 수납 관체의 두께가 두꺼워야 한다. 이와 같이 수납관체가 두꺼운 기준기는 그 결합 작업을 동절기와 같이 낮은 온도에서 작업을 할 경우 측벽 개방부의 벌어짐이 용이치 아니하여 결합작업이 심히 곤란하며 심지어 수납 관체가 파손되는 일마저 있게 되는 결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가 철근받침대부위와 스프링 몸체의 결합으로 된 것에 있어서, 철근받침대부위와 스프링 몸체 부위의 결합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동절기에 결합 작업을 하더라도 수납관체가 파손되지 아니하게 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제공하여야 한다는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가 철근받침대부위로 구성되는 하부체와 스프링 몸체의 결합으로 되고 하부체에 스프링 몸체를 수납하는 수납관체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납관체가 상부지지부와 중간지지부 및 하부지지부로 되는 불완전 관체로 구성되고, 상부지지부와 하부지지부는 수납관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동일 방향에 위치하며, 중간지지부는 상부지지부와 하부지지부의 반대측에 설치되고, 중간지지부의 상단은 상부지지부의 하단 이하에 위치하고 중간지지부의 하단은 하부지지부의 상단 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타설높이기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에서 나아가 중간지지부가 두 개로 분할되고 내측 선단부가 탄력날개로 된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력날개가 내측 선단에 걸림턱을 가진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제공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스프링 몸체의 하단을 상부지지부와 중간지지부 사이로 밀어 넣은 후 스ㄹ프링몸체를 약간 구부리면서 다시 중간지지부와 하부지지부 사이로 밀어 넣고 스프링몸체를 회전시키면 스프링몸체가 수납관체에 용이하게 결합된다.
즉, 종래에 있어서는 수납관체의 탄력성을 이용하여 수납관체를 벌려서 스프링몸체를 수납관체에 결합하였으나, 본 발명은 스프링몸체의 굴신 가능성에 주목하고 스프링몸체를 구부려 중간지지부와 상하부지지부 사이를 꿰듯이 통과시켜 결합하게 함으로서 수납관체의 벌어짐을 적게 하여 동절기에서의 낮은 기온에도 수납관체 부위가 파손되지 아니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상태에 있어서 일부 절취 단면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정면도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가, 철근받침대부위로 구성되는 하부체(1)와 스프링몸체(2)의 결합으로 되고, 하부체(1)에 스프링몸체(2)를 수납하는 수납관체(10)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납관체(10)가 상부지지부(11)와 중간지지부(12) 및 하부지지부(13)로 되는 불완전 관체로 구성되고, 상부지지부(11)와 하부지지부(13)는 수납관체(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동일 방향에 위치하며, 중간지지부(12)는 상부지지부(11)와 하부지지부(13)의 반대측에 설치되고, 중간지지부(12)의 상단은 상부지지부(11)의 하단 이하에 위치하고, 중간지지부(12)의 하단은 하부지지부(13)의 상단 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제공한다.
하부체(1)는 철근받침대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철근받침대의 기능을 가지지 아니하고 단순히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의 지지체 기능만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프링몸체(2)를 수납관체(10)에 결합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특허공개 제1020100136650호 발명이나 특허 제10-1273721호 발명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납관체의 탄력성을 이용하여 수납관체를 벌려서 스프링몸체를 수납관체에 결합하여 왔으므로, 작업자가 밟아도 스프링몸체가 빠지지 아니하도록 수납관체를 두껍게 형성시킴으로서, 동절기에는 낮은 기온으로 인하여 두꺼운 수납관체의 탄력성이 적어져 수납관체를 강제로 벌리고 스프링 몸체를 삽입할 경우 수납관체가 파손될 염려가 있었으며, 그 외에, 결합곤란성, 원재료 과다 사용으로 인한 비경제성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수납관체의 탄력성 보다는 스프링몸체(2)의 굴신 가능성에 주목하고, 수납관체의 벽면에 통과구멍을 형성시키고 스프링몸체(2)를 구부리면서 돌림으로서 수납관체에 형성된 통과구멍으로 꿰듯이 통과시켜 결합하게 한 것으로, 위와 같은 통과구멍을 상부지지부(11)와 중간지지부(12) 사이 및 중간지지부(12)와 하부지지부(13) 사이의 공간이 되게 하고, 상하부지지부(11, 13)와 중간지지부(12)가 스프링몸체(2)의 외향 이탈을 저지하도록 하여서 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납관체(10)가 지나치게 두꺼워야 할 이유가 없으며 또한 수납관체(10)가 크게 벌어져야 할 이유가 없으므로 동절기에도 결합작업으로 인한 파손의 염려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에서 나아가 중간지지부(12)가 세로 방향으로 긴 두 개의 분할된 탄력날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제공한다. 탄력날개로 되는 중간지지부(12)는 굴신이 용이하여 스프링몸체(2)를 탄력적으로 파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력날개로 된 중간지지부(12)가 내측 선단부에 걸림턱(3)이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제공한다. 걸림턱(3)은 스프링몸체(2)의 스프링이 걸리게 하여 스프링몸체(2)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여 기준기의 높이 지시를 일정하게 한다.
상기 걸림턱(3)은 스프링몸체(2)의 스프링 피치에 대응하도록 형성시켜 스프링이 끼워지는 나사홈을 이루게 형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1. 하부체
10. 수납관체
11. 상부지지부
12. 중간지지부
13. 하부지지부
2. 스프링몸체
3. 걸림턱

Claims (3)

  1. 하부체(1)와 스프링몸체(2)의 결합으로 되고, 하부체(1)에 스프링몸체(2)를 수납하는 수납관체(10)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납관체(10)가 상부지지부(11)와 중간지지부(12) 및 하부지지부(13)로 되는 불완전 관체로 구성되고, 상부지지부(11)와 하부지지부(13)는 수납관체(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동일 방향에 위치하며, 중간지지부(12)는 상부지지부(11)와 하부지지부(13)의 반대측에 설치되고, 중간지지부(12)의 상단은 상부지지부(11)의 하단 이하에 위치하고, 중간지지부(12)의 하단은 하부지지부(13)의 상단 이상에 위치하며,
    상기 중간지지부(12)는 세로 방향으로 긴 두 개의 탄력날개로 형성되고,
    상기 탄력날개로 된 중간지지부(12)는 내측 선단부에 걸림턱(3)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3)은 스프링몸체(2)의 스프링 피치에 대응하도록 형성시켜 스프링이 끼워지는 나사홈을 이루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2. 삭제
  3. 삭제
KR1020140073559A 2014-06-17 2014-06-17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KR101575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559A KR101575017B1 (ko) 2014-06-17 2014-06-17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559A KR101575017B1 (ko) 2014-06-17 2014-06-17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017B1 true KR101575017B1 (ko) 2015-12-08

Family

ID=54872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559A KR101575017B1 (ko) 2014-06-17 2014-06-17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0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563A (ko) *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KR20210155703A (ko) 2020-06-16 2021-12-23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철근의 거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7504A (ja) * 2002-12-20 2004-07-15 Tadatoshi Mannouji 天端出し方法及び天端出し補助具、並びに鉄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7504A (ja) * 2002-12-20 2004-07-15 Tadatoshi Mannouji 天端出し方法及び天端出し補助具、並びに鉄筋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563A (ko) *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KR102179652B1 (ko) * 2019-02-27 2020-11-17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KR20210155703A (ko) 2020-06-16 2021-12-23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철근의 거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KR102389402B1 (ko) * 2020-06-16 2022-04-22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철근의 거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017B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RU2013155533A (ru) Узел разливочного стакана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KR20150128728A (ko) 지지 채널 조립체용 플랜지
KR102210482B1 (ko) 프레타이 절단 장치 및 절단 방법
KR200469569Y1 (ko) 굴삭기용 집게 장치
JP2008202322A (ja) 足場用手すり枠
US2433934A (en) Tie device for wall forms
CN208702000U (zh) 一种支撑圈梁配筋
JP2015071877A (ja) 溝蓋構造体及び溝蓋構造体の設置方法
US2449864A (en) Tie device for wall forms
JP2013036263A (ja) 可撓性伸縮継手の仮固定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仮固定用治具
CN210258960U (zh) 一种地梁钢筋钢管支撑架
CN204959759U (zh) 混凝土养护自动洒水装置
CN109869388A (zh) 一种连接插杆、连接接头装置及预应力预制件
US662342A (en) Pipe-hook.
KR101543961B1 (ko) 복합파일
JP2013124502A (ja) 天端ポインター
KR20180002093U (ko) 구조물 점검용 기구봉
KR200490066Y1 (ko) 팽이파일
CN205777460U (zh) 一种可拆卸脚手架连接件
CN205869936U (zh) 一种自动送钉器加长螺丝扶正装置
TW202130431A (zh) 鍛造用切割裝置
CN205388187U (zh) 一种建筑预埋管推进装置
CN203847834U (zh) 一种管道连接座
KR101551130B1 (ko) 복합말뚝의 연결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