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066Y1 - 팽이파일 - Google Patents

팽이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066Y1
KR200490066Y1 KR2020170004834U KR20170004834U KR200490066Y1 KR 200490066 Y1 KR200490066 Y1 KR 200490066Y1 KR 2020170004834 U KR2020170004834 U KR 2020170004834U KR 20170004834 U KR20170004834 U KR 20170004834U KR 200490066 Y1 KR200490066 Y1 KR 2004900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body portion
hollow portion
ground
reinforcing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725U (ko
Inventor
박상호
Original Assignee
박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호 filed Critical 박상호
Priority to KR2020170004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066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7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7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0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0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02D27/14Pile framings, i.e. piles assembled to form the sub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팽이파일에 관한 것으로, 지반에 삽입되고 내부에 하부중공부를 형성한 파일부, 파일부에서 연장되고 파일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지반에 지지되며 내부에 상부중공부를 형성한 몸체부, 하부중공부와 상부중공부에 충진되어 보강하는 보강충진재, 몸체부의 하측면에 원주 궤적을 따라 복수 개가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지반에 대한 몸체부의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돌출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이웃한 몸체부를 결속부로써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과 달리 돌출지지부재를 통해 하측보다 상측이 큰 팽이파일이 연약 지반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덧살보강부재와 서포트빔을 통해 복수개가 배치된 팽이파일에 상부에서 힘을 가할 경우에도 팽이파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부에 보강충진재의 충진량을 줄여 설치비를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팽이파일{FLOATING PILE-PLATE}
본 고안은 팽이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돌출지지부재를 통해 하측보다 상측이 큰 팽이파일이 연약 지반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덧살보강부재와 서포트빔을 통해 복수개가 배치된 팽이파일에 상부에서 힘을 가할 경우에도 팽이파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부에 보강충진재의 충진량을 줄여 설치비를 저감하기 위한 팽이파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한 지반을 보강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팽이파일은 역삼각뿔형상의 몸체부와, 몸체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파일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몸체부는 파일부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45ㅀ각도의 경사면을 가진다.
연약한 지반을 보강하고자 할 경우에, 다수개의 팽이파일의 파일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지반에 매설함으로써 상호 맞닿는 몸체부가 평면을 이루도록 하고, 이후에 자갈 등의 골재를 이용하여 팽이파일과 다른 팽이파일 사이의 공간을 메우게 됨으로써 연약한 지반이 보강된다.
팽이파일에 대해서는 국내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366897호(등록일:2004.10.28.)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팽이파일은 연약한 지반에 의하여 유동됨으로써 지반을 보강 하는데 한계가 있고, 상광하협 형상임에 따라 흔들림이 심하게 발생되어 연약지반에 설치시 작업자가 밟고 작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몸체부의 하측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돌출지지부재를 통해 하측보다 상측이 큰 팽이파일이 연약 지반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팽이파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돌출지지부재끼리를 연결하는 덧살보강부재와, 몸체부 내측에서 돌출되는 서포트빔을 통해 복수개가 배치된 팽이파일에 상부에서 힘을 가할 경우에도 팽이파일의 변형을 방지하고자 하는 팽이파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내부에 코어부재를 형성하여 보강충진재의 충진량을 줄여 설치비를 저감하고, 저중심 설계를 통한 팽이파일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팽이파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팽이파일은: 지반에 삽입되고, 내부에 하부중공부를 형성한 파일부; 상기 파일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파일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지반에 지지되며, 내부에 상부중공부를 형성한 몸체부; 상기 하부중공부와 상기 상부중공부에 충진되어 보강하는 보강충진재; 상기 몸체부의 하측면에 원주 궤적을 따라 복수 개가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지반에 대한 상기 몸체부의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돌출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이웃한 상기 몸체부는 결속부에 의해 상호 결속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보강충진재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돌출지지부재에 대응되는 내측면에 함몰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이웃한 상기 돌출지지부재를 잇는 덧살보강부재를 복수 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하부중공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닥에 서포트빔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서포트빔은 유동성의 상기 보강충진재가 상기 상부중공부의 바닥면을 따라 상기 하부중공부로 이동되도록 연결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파일부는 상기 하부중공부 내부에 코어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몸체부 각각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기 파일부의 축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속편; 및 상기 몸체부 각각의 대응되게 면접되는 결속편을 상호 결속시키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팽이파일은 종래 기술과 달리 몸체부의 하측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돌출지지부재를 통해 하측보다 상측이 큰 팽이파일이 연약 지반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돌출지지부재끼리를 연결하는 덧살보강부재와, 몸체부 내측에서 돌출되는 서포트빔을 통해 복수개가 배치된 팽이파일에 상부에서 힘을 가할 경우에도 팽이파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내부에 코어부재를 형성하여 보강충진재의 충진량을 줄여 설치비를 저감할 수 있고, 저중심 설계를 통한 팽이파일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팽이파일을 결속하여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을 결속한 상태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끼리를 결속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을 설치 후 보강충진재를 충진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팽이파일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팽이파일을 결속하여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을 결속한 상태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끼리를 결속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을 설치 후 보강충진재를 충진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100)은 연약한 지반(10)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일부(110)와 몸체부(120) 및 보강충진재(130)를 포함한다.
파일부(110)는 연약한 지반(10)에 삽입되어 몸체부(120)의 위치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몸체부(120)는 파일부(1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지반(10)의 상부에 부양한 채 지반(10) 내부로 침하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파일부(110)는 지반(10)에 일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파일부(110)의 직경은 동일할 수도 있고, 축 방향을 따라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줄어들 수도 있다.
그리고, 파일부(110)는 최초 지반(10)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측 단부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파일부(110)는 축 방향을 따라 내부에 하부중공부(112)를 형성한다. 하부중공부(112)는 파일부(110)의 상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물론, 하부중공부(112)의 직경은 축 방향을 따라 일정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몸체부(120)는 파일부(110)에서 연장되고, 파일부(1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지반(10)에 지지됨에 따라, 팽이파일(100)이 지반(10) 내부로 매립되거나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몸체부(120)는 지반(10)과 접하는 하측면이 중심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상승되는 경사면(122)을 형성한다. 이는, 몸체부(120)가 경사면(122)을 통해 지반(10)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지반(10)에 대한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물론, 경사면(122)의 각도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20)는 평면상 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편의상, 몸체부(120)는 설치시의 방향성 설정이 불필요하도록 평면상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몸체부(120)는 내부에 상부중공부(124)를 형성한다. 상부중공부(124)는 하부중공부(112)와 연결되게 형성되고, 파일부(110)의 축 방향을 따라 동일 직경 또는 상이한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파일부(110)와 몸체부(120)는 제작의 편의성을 위해 일체가 된 상태로 제작된다.
한편, 보강충진재(130)는 파일부(110)와 몸체부(120)가 연약한 지반(10)을 충분히 보강할 수 있도록 하부중공부(112)와 상부중공부(124)에 충진되어 보강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모래, 자갈 또는 이들의 조합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파일부(110)가 지반(10)에 삽입되고, 몸체부(120)가 지반(10) 상측에 접한 상태에서, 하부중공부(112)와 상부중공부(124)는 내부에 보강충진재(130)로 충진됨에 따라, 팽이파일(100)은 연약한 지반(10)을 보강하게 된다.
특히, 팽이파일(100)은 돌출지지부재(140)를 포함한다.
돌출지지부재(140)는 몸체부(120)의 하측면에 원주 궤적을 따라 복수 개가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즉, 돌출지지부재(140)는 몸체부(120)의 하측면에서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그래서, 돌출지지부재(140)는 지반(10)에 대한 몸체부(120)의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지반(10)에 접하는 몸체부(120)는 돌출지지부재(140)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회전이 방지되고, 지반(10)과의 접촉 면적을 더욱 증대시킴에 따라 지지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돌출지지부재(140)는 몸체부(120)의 바닥면에서 높아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 즉, 상광하협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반(10)에 대한 지지력을 더욱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물론, 돌출지지부재(140)의 개수 및 크기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몸체부(120)는 내부에 충진되어 응집된 보강충진재(13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이 방지되도록 돌출지지부재(140)에 대응되는 내측면에 함몰홈부(126)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콘크리트 타설된 보강충진재(130)가 함몰홈부(126)와 상부중공부(124) 및 하부중공부(112) 전체에 걸쳐 충진 후 서로 응집된 상태로 경화됨에 따라, 보강충진재(130)가 몸체부(120) 내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이 방지된다.
이때, 함몰홈부(126)의 깊이나 너비는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몸체부(120)는 보강충진재(130)의 충진으로 인한 자중 또는, 작업자가 위에서 밟는 등 상부에서 누르는 힘이 발생시에 발생될 수 있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면에서 이웃한 돌출지지부재(140)를 잇는 덧살보강부재(128)를 복수 개 형성할 수 있다.
덧살보강부재(128)는 몸체부(120)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이웃한 돌출지지부재(140)를 잇도록 구성된다. 물론, 덧살보강부재(128)의 형상, 크기 및 개수 등은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몸체부(120)는 하부중공부(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닥에 서포트빔(150)을 연장 형성한다. 이때, 서포트빔(150)은 몸체부(120)의 상측 높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길이로 이루어진고, 상측에 평판 형상인 상측확장부(154)를 형성한다.
그래서, 몸체부(120)와 파일부(110)에 보강충진재(130)를 충진하는 작업자가 상측확장부(154)를 밟게 됨으로써, 몸체부(120)의 가장자리를 밟는 것보다 몸체부(120)의 변형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20)의 내부에 서포트빔(150)이 구비됨에 따라, 작업자가 상부중공부(124)에 빠지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상부중공부(124)에 충진되는 보강충진재(130)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팽이파일(100)의 설치비가 줄어들 수 있다.
특히, 상부중공부(124)에 충진되는 보강충진재(130)가 하부중공부(112)로 이동되어야 함에 따라, 서포트빔(150)은 유동성의 보강충진재(130)가 상부중공부(124)의 바닥면을 따라 하부중공부(112)로 이동되도록 연결구(152)를 형성한다.
이때, 서포트빔(150)이 원주 궤적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바(bar) 형상이라면, 연결구(152)는 서포트빔(150) 사이를 의미하는 것다. 그리고, 서포트빔(150)이 원통관 형상이라면, 연결구(152)는 원통관의 하측에 형성되는 홀을 의미한다.
물론, 서포트빔(150)과 연결구(15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상측확장부(154)의 크기와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파일부(110)는 하부중공부(112) 내부에 코어부재(114)를 형성할 수 있다. 코어부재(114)가 하부중공부(112) 내측에 형성됨에 따라, 팽이파일(100)은 저중심 설계가 되어 지반(10)에 일부 삽입된 후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충진되는 보강충진재(130)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물론, 코어부재(11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이웃한 몸체부(120)는 결속부(160)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결속부(160)는 결속편(162) 및 클램프(164)를 포함한다.
결속편(162)은 몸체부(120) 각각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파일부(110)의 축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이웃한 몸체부(120) 각각에 형성되는 결속편(162)이 상호 면접된다. 이에 따라, 이웃한 팽이파일(100)의 면접 면적이 증가되어, 상호 흔들림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된다.
물론, 결속편(162)의 형상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클램프(164)는 몸체부(120) 각각의 대응되게 면접되는 결속편(162)을 상호 결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클램프(164)는 클립이나, 볼트와 너트 또는 케이블 타이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팽이파일(100)은 코어부재(114)와 서포트빔(150)을 통해 내부를 보강하고, 보강충진재(130)의 충진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팽이파일(100)은 몸체부(120)의 하측면에 돌출지지부재(140)와 덧살보강부재(128)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보강충진재(130)의 충진을 위해 상부를 밟을 경우에도 변형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된다.
아울러, 이웃한 팽이파일(100)이 결속편(162)을 통해 상호 접촉 면적을 증가시킨 채 결속함으로써 결속력이 증가되고, 개별적 팽이파일(100)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물론, 이웃한 팽이파일(100)은 다양한 위치에서 결속 가능하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팽이파일 110: 파일부
112: 하부중공부 114: 코어부재
120: 몸체부 122: 경사면
124: 상부중공부 126: 함몰홈부
128: 덧살보강부재 130: 보강충진재
140: 돌출지지부재 150: 서포트빔
152: 연결구 154: 상측확장부
160: 결속부 162: 결속편
164: 클램프

Claims (6)

  1. 지반에 삽입되고, 내부에 하부중공부를 형성한 파일부; 상기 파일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파일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지반에 지지되며, 내부에 상부중공부를 형성한 몸체부; 상기 하부중공부와 상기 상부중공부에 충진되어 보강하는 보강충진재; 및 상기 몸체부의 하측면에 원주 궤적을 따라 복수 개가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지반에 대한 상기 몸체부의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돌출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이웃한 상기 몸체부는 결속부에 의해 상호 결속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하부중공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닥에 서포트빔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서포트빔은 유동성의 상기 보강충진재가 상기 상부중공부의 바닥면을 따라 상기 하부중공부로 이동되도록 연결구를 형성하며,
    상기 서포트빔은 상측 둘레면에 상측확장부를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와 상기 파일부에 상기 보강충진재를 충진하는 작업자에 의한 누름력 발생시, 상기 몸체부의 내구성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파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보강충진재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돌출지지부재에 대응되는 내측면에 함몰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파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이웃한 상기 돌출지지부재를 잇는 덧살보강부재를 복수 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파일.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부는 상기 하부중공부 내부에 코어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파일.
  6. 제 1항 내지 제 3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몸체부 각각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기 파일부의 축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속편; 및
    상기 몸체부 각각의 대응되게 면접되는 결속편을 상호 결속시키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파일.
KR2020170004834U 2017-09-12 2017-09-12 팽이파일 KR2004900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834U KR200490066Y1 (ko) 2017-09-12 2017-09-12 팽이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834U KR200490066Y1 (ko) 2017-09-12 2017-09-12 팽이파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725U KR20190000725U (ko) 2019-03-20
KR200490066Y1 true KR200490066Y1 (ko) 2019-09-18

Family

ID=65891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834U KR200490066Y1 (ko) 2017-09-12 2017-09-12 팽이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06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153B1 (ko) * 2005-12-06 2008-06-11 김미숙 눈부심방지 등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156Y1 (ko) * 2003-05-22 2003-09-02 이경옥 이중 파일링이 가능한 파일
KR200366899Y1 (ko) * 2004-07-08 2004-11-09 한국팽이파일 주식회사 콘크리트 팽이파일용 거푸집
KR101370102B1 (ko) * 2013-03-18 2014-03-06 팽이파일산업 주식회사 현장타설형 팽이파일 및 그 시공방법
JP2015175193A (ja) * 2014-03-17 2015-10-05 新日鐵住金株式会社 両端テーパー杭、接続テーパー杭、接続テーパー杭の施工方法および液状化対策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8527A (ko) * 2011-12-15 2013-06-26 시지엔지니어링(주) 연결부를 갖는 현장타설 팽이파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156Y1 (ko) * 2003-05-22 2003-09-02 이경옥 이중 파일링이 가능한 파일
KR200366899Y1 (ko) * 2004-07-08 2004-11-09 한국팽이파일 주식회사 콘크리트 팽이파일용 거푸집
KR101370102B1 (ko) * 2013-03-18 2014-03-06 팽이파일산업 주식회사 현장타설형 팽이파일 및 그 시공방법
JP2015175193A (ja) * 2014-03-17 2015-10-05 新日鐵住金株式会社 両端テーパー杭、接続テーパー杭、接続テーパー杭の施工方法および液状化対策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725U (ko)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31914C (en) Filling tube for producing a column of filling material in the ground as well as device and method related thereto
KR200490066Y1 (ko) 팽이파일
KR101082519B1 (ko) 콘크리트 파일
KR20140017381A (ko)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기초 구조물의 보강공법
KR100792161B1 (ko) 현장타설용 팽이파일
CN105696548A (zh) 基础桩的桩头加强装置
KR20090117440A (ko)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철근 캡 조립체
CN204898653U (zh) 基础桩的桩头加强装置
KR101021466B1 (ko) 기초공사용 파일캡
KR102059470B1 (ko) 기초 보강용 다각 팽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 구조물
KR200439946Y1 (ko) 팽이파일의 하부 캡
KR101441055B1 (ko) 외주면에 나선형의 강철 부재 및 저항 보강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3174B1 (ko)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01502B1 (ko) 상호결합을 위한 고정구를 구비한 좌굴 방지형 블록조립체
JP5924785B2 (ja) バラスト止め付きケーブルトラフ
KR200414082Y1 (ko) 개선된 구조의 팽이파일
KR200366899Y1 (ko) 콘크리트 팽이파일용 거푸집
KR200369384Y1 (ko) 철근 연결고리를 가진 팽이형 파일
CN212427166U (zh) 一种建筑桩基
KR20130068527A (ko) 연결부를 갖는 현장타설 팽이파일
KR20180106437A (ko) Phc 파일용 기구 구조물 및 이에 사용되는 pc 너트
KR102514909B1 (ko) 그리드형 지반 보강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84480B1 (ko) 하부보강파일 구조를 갖는 지지파일
CN211113610U (zh) 一种灌注摩擦桩
KR101438306B1 (ko) 상부 덮개를 포함한 팽이형 파일 및 이를 이용한 연약 지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