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174B1 -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174B1
KR101663174B1 KR1020160023310A KR20160023310A KR101663174B1 KR 101663174 B1 KR101663174 B1 KR 101663174B1 KR 1020160023310 A KR1020160023310 A KR 1020160023310A KR 20160023310 A KR20160023310 A KR 20160023310A KR 101663174 B1 KR101663174 B1 KR 101663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oundation
pile
base end
end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욱
Original Assignee
(주)신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화 filed Critical (주)신화
Priority to KR1020160023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4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with enlarged footing or enlargements at the bottom of the pi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66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665Mould-pipes or other moulds for mak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2Pile s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0Placing by pressure or pulling p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의 선단지지력을 발휘하는 선단부와 마찰지지력을 발휘하는 기초 본체부를 분리하여 시공하는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초상부고정부(110)와 상기 기초상부고정부(110)에 의해 입구가 확장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거푸집(120)과 상기 기초상부고정부(110)와 거푸집(120)의 내측에 삽입되는 기초보강재(130)로 구성되는 기초본체부(100)와 상기 기초본체부(100)를 지지하는 기초선단장치(210)와 상기 기초선단장치(2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마찰캡(2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를 제공하고, 선단지지력을 담당하는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선단부(200)와 마찰지지력을 담당하는 기초본체부(100)를 분리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의 시공방법을 제안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A BASED PILE WITH BASED PILE TIP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기초의 선단지지력을 발휘하는 선단부와 마찰지지력을 발휘하는 기초 본체부를 분리하여 시공하는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초는 상부 구조물을 안전하게 유지하게 하기 위해 상부구조물로부터 전달된 하중을 지반에 전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기초는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지표면 근처의 지반에 하중을 직접 전달시켜 단지지력을 활용하는 직접기초와 말뚝과 같이 깊게 설치되어 하중을 전달시켜 선단부에서의 선단지지력과 말뚝 주면에서 나타나는 마찰지지력을 활용하는 깊은기초로 나눌 수 있다.
지표면 근처에 설치되는 얕은 기초는 주춧돌과 같은 설재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주로 이용하고 있는 것은 현장에서 소정의 깊이까지 굴착한 다음 거푸집을 대고 철근을 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의 기초이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기초공법은 거푸집을 대고 철근을 조립하여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가 응결 경화된 후 거푸집을 제거하고 되메우기를 하는 방식으로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소용되는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지지력은 단순히 단지지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지지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기초의 단면적을 크게 하여야 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점성토 지반에서는 단면적의 크기가 지지력에 별로 영향을 주지 못하기 때문에 효과적이지 못하며, 단면적의 확대는 결과적으로 침하가 크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기초를 설치하려는 지반이 약한 경우 부득이 보다 깊게 지반을 굴착하고 기초를 설치하게 되어 보다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소형 기초의 경우 굴착지반이 불규칙한 토질구성이 되어 있는 경우 인력 굴착이 곤란하고 현장에서 거푸집을 대고 철근을 배치하는 등의 작업과정을 수행하기가 어렵고 여러 숙련공이 필요함에 따라 인건비로 인한 비용 증대의 문제가 있다.
말뚝과 같은 깊은기초는 선단지지력과 마찰지지력의 합으로 지지력이 발휘되는 특징이 있지만 실제 깊은기초가 되기 위해서는 기초의 직경 대비 기초의 근입깊이가 어느정도 커야 가능하며, 기초의 깊이가 깊지 않은 경우 깊은 기초의 설치가 비경제적인 문제를 갖고 있다.
즉, Qu = Qp + Qs
여기서, Qu : 기초의 극한지지력, Qp : 기초의 선단지지력, Qs : 기초의 마찰지지력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기초의 선단지지력 Qp = qpㆍAs 이고 qp는 단위면적당 극한지지력이고 As는 선단면적이다. 또한 Qs = fㆍAs 이고 f는 단위주면마찰력이고 As 는 기초 기둥과 지반과의 접촉면이다.
한편, 깊은기초의 시공법으로 과거로부터 오래 사용된 항타공법은 말뚝두부에 타격에너지를 가하여 말뚝을 근입시키는 공법으로 공법이 간단하고 지지력 등 역학적인 면에서 유리하여 종래에 선호도가 높은 공법이었으나, 항타시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 등의 공해요인으로 인해 가축 폐사, 주변 거주인들의 일상적인 생활의 침해 등 공사 주변 지역에 심각한 정신적 물질적 피해를 줄 수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최근의 추세로 매입말뚝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매입말뚝공법은 오거 등의 천공장비로 소정의 깊이까지 굴착한 후 여기에 말뚝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소음이나 진동은 거의 없어 유리한 반면 직접 타격하여 설치하는 항타공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시공비, 낮은 지지력, 그리고 천공으로 발생하는 슬러지가 천공홀 바닥에 가라앉아 있어 실제 지지력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어 설계지지력을 발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08993호(헤드 확장형 파일의 보강부재, 2005년11월 17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1947호(강관헤드와 이중관 파커를 이용한 파일 헤드 강관 그라우팅 공법, 2010년 12월 10일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3113호(파일용 슈우 조립체, 2012년09월19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2400호(시공성이 향상되고 일부 재활용이 가능한 나선형 회전판 파일의 시공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2012년12월07일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기초시공시 선단지지력을 높일 수 있는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도록 하여 설치강도를 유지하며 시공이 용이하여 인건비의 절감 및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초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장소에 천공홀을 형성하고 기초를 시공하기 위한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에 있어서, 기초상부고정부(110)와 사이 기초상부고정부(110)에 의해 입구가 확장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거푸집(120)과 상기 기초상부고정부(110)와 거푸집(120)의 내측에 삽입되는 기초보강재(130)로 구성되는 기초본체부(100);와 상기 기초본체부(100)를 지지하는 기초선단장치(210)와 상기 기초선단장치(2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마찰캡(2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기초본체부(100)에는 선단부(200)를 압입하고 경타시켜 양질의 지반에 위치시켜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거나, 사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말뚝(14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기초상부고정부(110)는 설치장소의 지표면과 접하며, 외삽되는 거푸집(120)의 입구가 외압에 의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링(111)과 상기 고정링(111) 상에 배치되어 구비되는 복수개의 지지봉(112)과 상기 고정링(111)의 측면에 형성되는 체결홀(11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거푸집(120)은 주름관, 포대 및 비닐관으로 구성되며,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그라우팅홀(121)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투입시 기초본체부(100)와 천공홀 사이에 콘크리트가 인입되도록 하여 그라우팅 되도록 하며, 상기 기초보강재(130)는 거푸집(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보강심재(131)과 상기 보강심재(131) 복수개를 횡측방향으로 결속하여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결속강도를 높여주기 위한 보강바(132)로 구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선단부(200)의 기초선단장치(210)는 상측에 관형상의 보조말뚝결합관(211)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말뚝결합관(211)의 직겨보다 크게 형성되는 기초평판(212)이 형성되며, 상기 기초평판(212)의 하단부에 일측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는 말뚝(213)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초평판(212) 상에는 복수개의 그라우팅홀(214)가 더 형성되어, 천공홀에 투입되는 콘크리트가 기초평판(212)의 하단부의 공간에 인입되도록 하고,상기 마찰캡(220)은 기초선단장치(2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말뚝(213)이 인입될 수 있는 말뚝인입홀(221)이 중앙부에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말뚝인입홀(221)을 중심으로 깔데기 형상의 테이퍼부(222)가 형성되어, 기초선단장치(210)의 하단부에 마찰캡(220)이 결합되어 기초선단장치(210)의 하단부가 좁아지는 깔데기 형상이 되도록 하여 지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 하도록 하게 되며, 상기 마찰캡(220)에 기초선단장치(210)를 결합할 때, 기초선단장치(210)의 말뚝(213)은 마찰캡(220)의 말뚝인입홀(221)에 말뚝(213)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뾰족한 부분이 돌출되도록 하여 선단부(200)의 하측형상이 전체적으로는 깔데기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찰캡(220)의 테이퍼부(222)의 단부는 주름형상으로 형성하여, 기초선단장치(210)와 결합시 주름형상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으로 콘크리트가 인출되도록 하여 그라우팅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잘 달성하도록 한다.
아울러, 기초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장소에 천공홀을 형성하고 기초를 시공하기 위한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선단지지력을 담당하는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선단부(200)와 마찰지지력을 담당하는 기초본체부(100)를 분리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되, 기초선단장치와 마찰캡을 조립하여 기초선단장치를 제작하는 단계(S10); 기초 위치에 소정의 깊이로 천공하는 단계(S20); 천공홀 내부에 보조말뚝을 이용하여 기초선단장치를 압입하는 단계(S30); 보조말뚝을 경타하여 양질 지반에 기초선단장치 안착 단계(S40); 보조말뚝 제거단계(S50), 기초상부고정장치와 거푸집을 조립하는 단계(S60); 기초상부고정장치와 조립된 거푸집을 천공홀에 설치하는 단계(S70); 거푸집 내부에 기초보강재 투입 단계(S80);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및 다짐단계(S90); 기초상부에 외부 기둥 설치용 앵카 설치 단계(S100) 및 주변 정리 등 기초시공 완료 단계(S1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를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기초시공시 선단지지력을 높일 수 있는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도록 하여 설치강도를 유지하며 시공이 용이하여 인건비의 절감 및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방식으로 시공된 기초공사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초상부고정부(110)와 거푸집(120)의 결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초상부고정부(11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초보강재(13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보조말뚝(140)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선단부(200)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선단부(200)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의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는 마찰지지력을 발휘하는 기초본체부(100)와 기초의 선단지지력을 발휘하는 선단부(200)로 구성되고, 상기 기초본체부(100)와 선단부(200)를 분리하여 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선단부(200)는 설치장소에 소정의 깊이로 압입 또는 경타하여 천공홀을 형성하며 설치하게 되고, 설치된 선단부(200)의 상측에 기초본체부(100)를 시공하여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초본체부(100)는 기초상부고정부(110)와 상기 기초상부고정부(110)에 의해 입구가 확장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거푸집(120)과 상기 기초본체부(110)와 거푸집(120)의 내측에 삽입되는 기초보강재(130)로 구성되며, 하단부에 위치하는 선단부(200)를 경타시켜 양질의 지반에 위치시켜 견고한 기초하부를 구성시키거나, 상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말뚝(140)이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기초본체부(100)의 기초상부고정부(110)는 설치장소의 지표면과 접하며, 외삽되는 거푸집(120)의 입구가 외압에 의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링(111)과 상기 고정링(111)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구비되는 지지봉(112)과 상기 고정링(111)의 측면에 형성되는 체결홀(13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봉(112)은 거푸집(120)의 내측에 내삽되어 거푸집(120)이 토압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 내측으로 가압되어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홀(113)은 거푸집(120)을 고정링(111)에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부재인 볼트 등을 체결하기 위해 고정링(111) 상에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고정링(111)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예시도에서는 원형의 링형상으로 도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초상부고정부(110)에 외삽되는 거푸집(120)은 설치장소에 형성된 천공홀에 접하도록 하고 내측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기초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거푸집(120)은 통상의 주름관 또는 포대가 적용될 수 있으며, 현장 상황에 따라 비닐관 등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거푸집(12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그라이팅홀(121)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투입시 기초본체부(200)와 천공홀 사이에 콘크리트가 인입되도록 하여 그라우팅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기초상부고정부(110)와 거푸집(120)의 내측에 내삽되는 기초보강재(130)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철근 등의 심재를 대체할 수 있도록 구조체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기초보강재(130)는 거푸집(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보강심재(131)과 상기 보강심재(131) 복수개를 결속하여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결속강도를 높여주기 위한 보강바(13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보강바(132)는 복수개의 보강심재(131)간에 결속력을 유지하도록 하여 보강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체로 형성하도록 하여 거푸집(120)의 내측에 배치하도록 하여 투입되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강바(132)에 의해 결속되어 형성되는 구조체는 격자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현장 상황에 따라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초보강재(13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의 직경은 거푸집(120)에 내삽되는 보강말뚝(1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초보강재(13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내삽되어 기초본체부(100)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선단부(200)를 경타하기 위한 보조말뚝(140)은 말뚝지주(141)와 상기 말뚝지주(14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부(142)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142)는 말뚝지주(14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선단부(200)의 일측에 내삽되도록 하여 경타할 때, 압력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보조말뚝(140)은 현장 상황에 따라 선단부(200)를 경타 후 제거되기도 하지만, 상측에 설치되는 설치물을 지지하기 위해 유지되기도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초본체부(100)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기초본체부(100)를 지지하는 선단부(200)는 기초선단장치(210)와 상기 기초선단장치(210)에 결합되는 마찰캡(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초선단장치(210)는 상측에 관형상의 보조말뚝결합관(211)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말뚝결합관(2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기초평판(212)이 형성되며, 상기 기초평판(212)의 하단부에 일측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는 말뚝(2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초평판(212)은 기초본체부(100)의 직경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되며,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첨부된 도면에서는 원반형태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의 판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초평판(212) 상에는 복수개의 그라우팅홀(214)이 더 형성되는데, 이는 천공홀 등에 투입되는 콘크리트가 기초평판(212)의 하단부의 공간에 인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초선단장치(210)의 하단부에는 기초선단장치(210)가 설치장소에 타경될 때, 보다 용이하게 지반에 타경될 수 있도록 마찰캡(22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마찰캡(220)은 기초선단장치(2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말뚝(213)이 인입될 수 있는 말뚝인입홀(221)이 중앙부에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말뚝인입홀(221)을 중심으로 깔데기 형상의 테이퍼부(222)가 형성되어, 기초선단장치(210)의 하단부에 마찰캡(220)이 결합되어 기초선단장치(210)의 하단부가 좁아지는 깔데기 형상이 되도록 하여 지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마찰캡(220)은 하단부로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하고, 말뚝인입홀(221)에 기초선단장치(210)의 말뚝(213)이 내삽될 때, 말뚝(213)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뾰족한 부분이 돌출되도록 하여 선단부(200)의 하측형상이 전체적으로는 깔데기 형상을 유지하도록 것이다.
이때, 상기 테이퍼부(222)의 상단면은 주름형상으로 형성하여, 기초선단장치(210)와 결합시 주름형상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와 같은 공간으로 콘크리트 인출되도록 하여 그라우팅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선단부(200)를 설치장소에 압입 또는 경타하여 지반에 인접하도록 설치한 후, 상측에 기초본체부(100)를 위치하도록 한 후, 콘크리트 타설을 통하여 기초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기초본체부(100)의 거푸집(120) 및 선단부(200)의 기초선단장치(210)에 형성되는 그라우팅홀을 통하여 천공홀에도 콘크리트가 그라우팅 되어 기초의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기초본체부(100)의 내측으로 선단부(200)의 보조말뚝결합관(211)이 내삽되고, 상기 보조말뚝결합관(211)의 외측에 기초보강재(130)가 위치하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기초본체부(100)와 선단부(200)가 결속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의 시공방법은 도 10의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한 기초의 시공방법은 기초선단장치와 마찰캡을 조립하여 기초선단장치를 제작하는 단계(S10), 기초 위치에 소정의 깊이로 천공하는 단계(S20), 천공홀 내부에 보조말뚝을 이용하여 기초선단장치를 압입하는 단계(S30), 보조말뚝을 경타하여 양질 지반에 기초선단장치 안착 단계(S40), 보조말뚝 제거단계(S50), 기초상부고정장치와 거푸집을 조립하는 단계(S60), 기초상부고정장치와 조립된 거푸집을 천공홀에 설치하는 단계(S70), 거푸집 내부에 기초보강재 투입 단계(S80),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및 다짐단계(S90), 기초상부에 외부 기둥 설치용 앵카 설치 단계(S100) 및 주변 정리 등 기초시공 완료 단계(S110)로 구성된다
강기 기초선단장치와 마찰캡을 조립하여 기초선단장치를 제작하는 단계(S10)는 기초선단장치(2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말뚝(213)을 마찰캡(220) 말뚤인입홀(221)에 관통시켜 인입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말뚝(213)의 뾰족한 부분이 마찰캡(220)의 하단부로 돌출되도록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기초 위치에 소정의 깊이로 천공하는 단계(S20)는 기초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장소에 기초선단장치의 직경보다 크게 천공하게 되며, 선단부와 결합된 기초본체부의 높이보다 깊거나 같은 깊이로 천공하는 것이다.
천공홀 내부에 보조말뚝을 이용하여 기초선단장치를 압입하는 단계(S30)는 기초를 설치하기 위해 천공된 천공홀에 기초선단장치인 선단부(200)를 인입하고 상측에서 보조말뚝을 이용하여 압입하는 것이다.
상기 보조말뚝을 경타하여 양질 지반에 기초선단장치 안착 단계(S40)는 선단부(200)에 압입된 보조말뚝을 경타하여 천공홀의 내부에 쌓여 있는 슬러지나 천공으로 인한 이완층을 관통하여 양질의 기초지반에 선단지지력을 발휘하는 선단부(200)를 우선 정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말뚝 제거단계(S50)는 경타 후 선단부(200)를 양질의 기초지반에 정착시킨 후 보조말뚝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기초상부고정장치와 거푸집을 조립하는 단계(S60)는 기초본체부(100)를 구성하기 위해 기초상부고정장치와 거푸집을 조립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거푸집은 통상의 주름관 또는 포대 및 비닐관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거푸집의 높이는 지표면부터 선단부(200)의 기초평판(212)의 높이가 되도록 한다.
상기 기초상부고정장치와 조립된 거푸집을 천공홀에 설치하는 단계(S70)는 앞선 단계(S60)에서 기초상부고정장치에 조립된 거푸집을 천공홀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거푸집 내부에 기초보강재 투입 단계(S80)는 거푸집의 내부에 구조체 형상의 기초보강재를 인입하여 배치하는 것이다.
이때, 기초보강재의 내부에 형성된 내측공간에 보조말뚝결합관(211)이 위치하도록 하여 배치하게 된다.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및 다짐단계(S90)는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다짐하여 경화시키는 과정으로써, 기초본체부(100)와 선단부(200)에 형성되는 그라우팅홀을 통하여 천공홀과의 공간에도 콘크리트가 인입되도록 하여 결합력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기초상부에 외부 기둥 설치용 앵카 설치 단계(S100) 및 주변 정리 등 기초시공 완료 단계(S110)는 설치가 완료된 기초의 상부에 외부 기둥 등과 같은 외부시설을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앵카를 타설하는 등의 절차를 걸쳐 설치하게 되며, 설치가 완료된 후 주변 정리 등을 통하여 기초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100 : 기초본체부
110 : 기초상부고정부
120 : 거푸집
130 : 기초보강재
140 : 보조말뚝
200 : 선단부
210 : 기초선단장치
220 : 마찰캡

Claims (12)

  1. 기초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장소에 천공홀을 형성하고 기초를 시공하기 위한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에 있어서,
    기초상부고정부(110)와 사이 기초상부고정부(110)에 의해 입구가 확장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거푸집(120)과 상기 기초상부고정부(110)와 거푸집(120)의 내측에 삽입되는 기초보강재(130)로 구성되는 기초본체부(100);와
    상기 기초본체부(100)를 지지하도록 상측에 관형상의 보조말뚝결합관(211)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말뚝결합관(2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기초평판(212)이 형성되며, 상기 기초평판(212)의 하단부에 일측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는 말뚝(213)이 형성되고, 상기 기초평판(212) 상에는 천공홀에 투입되는 콘크리트가 기초평판(212)의 하단부의 공간에 인입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그라우팅홀(214)가 더 형성되는 기초선단장치(210)와 상기 기초선단장치(2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말뚝(213)이 인입될 수 있는 말뚝인입홀(221)이 중앙부에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말뚝인입홀(221)을 중심으로 깔데기 형상의 테이퍼부(222)가 형성되어, 기초선단장치(210)의 하단부에 마찰캡(220)이 결합되어 기초선단장치(210)의 하단부가 좁아지는 깔데기 형상이 되도록 하여 지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마찰캡(220)으로 이루어진 선단부(200)로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마찰캡(220)에 기초선단장치(210)를 결합할 때, 기초선단장치(210)의 말뚝(213)은 마찰캡(220)의 말뚝인입홀(221)에 말뚝(213)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뾰족한 부분이 돌출되도록 하여 선단부(200)의 하측형상이 전체적으로는 깔데기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본체부(100)에는 선단부(200)를 압입하고 경타시켜 양질의 지반에 위치시켜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거나, 사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말뚝(1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상부고정부(110)는 설치장소의 지표면과 접하며, 외삽되는 거푸집(120)의 입구가 외압에 의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링(111)과 상기 고정링(111) 상에 배치되어 구비되는 복수개의 지지봉(112)과 상기 고정링(111)의 측면에 형성되는 체결홀(1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120)은 주름관, 포대 및 비닐관으로 구성되며,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그라우팅홀(121)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투입시 기초본체부(100)와 천공홀 사이에 콘크리트가 인입되도록 하여 그라우팅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보강재(130)는 거푸집(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보강심재(131)과 상기 보강심재(131) 복수개를 횡측방향으로 결속하여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결속강도를 높여주기 위한 보강바(1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캡(220)의 테이퍼부(222)의 단부는 주름형상으로 형성하여, 기초선단장치(210)와 결합시 주름형상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으로 콘크리트가 인출되도록 하여 그라우팅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
  11. 기초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장소에 천공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1항의 기초를 시공하기 위한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선단지지력을 담당하는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선단부(200)와 마찰지지력을 담당하는 기초본체부(100)를 분리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의 시공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기초선단장치와 마찰캡을 조립하여 기초선단장치를 제작하는 단계(S10);
    기초 위치에 소정의 깊이로 천공하는 단계(S20);
    천공홀 내부에 보조말뚝을 이용하여 기초선단장치를 압입하는 단계(S30);
    보조말뚝을 경타하여 양질 지반에 기초선단장치 안착 단계(S40);
    보조말뚝 제거단계(S50), 기초상부고정장치와 거푸집을 조립하는 단계(S60);
    기초상부고정장치와 조립된 거푸집을 천공홀에 설치하는 단계(S70);
    거푸집 내부에 기초보강재 투입 단계(S80);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및 다짐단계(S90);
    기초상부에 외부 기둥 설치용 앵카 설치 단계(S100) 및 주변 정리 등 기초시공 완료 단계(S1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의 시공방법.
KR1020160023310A 2016-02-26 2016-02-26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63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310A KR101663174B1 (ko) 2016-02-26 2016-02-26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310A KR101663174B1 (ko) 2016-02-26 2016-02-26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174B1 true KR101663174B1 (ko) 2016-10-06

Family

ID=57165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310A KR101663174B1 (ko) 2016-02-26 2016-02-26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1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8956A (zh) * 2019-09-29 2019-12-03 国网河南省电力公司新密市供电公司 一种智能电杆基座、安装装置和施工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316A (ja) * 1994-05-23 1995-12-05 N S P:Kk コンクリート型枠
KR20050108993A (ko) 2004-05-14 2005-11-17 이엑스티 유한회사 헤드 확장형 파일의 보강부재
KR100923290B1 (ko) * 2009-04-10 2009-10-23 주식회사 에이스지오 교량의 교대구조
KR20090129138A (ko) * 2008-06-12 2009-12-16 하창완 지주용 기초콘크리트의 앵커볼트 스페이서
KR101001947B1 (ko) 2010-04-10 2010-12-17 토양건영 주식회사 강관헤드와 이중관 파커를 이용한 파일 헤드 강관 그라우팅 공법
KR20120103113A (ko) 2011-03-10 2012-09-19 주식회사 장평건설 파일용 슈우 조립체
KR101212400B1 (ko) 2011-10-28 2012-12-28 신효충 시공성이 향상되고 일부 재활용이 가능한 나선형 회전판 파일의 시공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316A (ja) * 1994-05-23 1995-12-05 N S P:Kk コンクリート型枠
KR20050108993A (ko) 2004-05-14 2005-11-17 이엑스티 유한회사 헤드 확장형 파일의 보강부재
KR20090129138A (ko) * 2008-06-12 2009-12-16 하창완 지주용 기초콘크리트의 앵커볼트 스페이서
KR100923290B1 (ko) * 2009-04-10 2009-10-23 주식회사 에이스지오 교량의 교대구조
KR101001947B1 (ko) 2010-04-10 2010-12-17 토양건영 주식회사 강관헤드와 이중관 파커를 이용한 파일 헤드 강관 그라우팅 공법
KR20120103113A (ko) 2011-03-10 2012-09-19 주식회사 장평건설 파일용 슈우 조립체
KR101212400B1 (ko) 2011-10-28 2012-12-28 신효충 시공성이 향상되고 일부 재활용이 가능한 나선형 회전판 파일의 시공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8956A (zh) * 2019-09-29 2019-12-03 国网河南省电力公司新密市供电公司 一种智能电杆基座、安装装置和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916B1 (ko) Phc 파일과 강관 파일을 혼용한 흙막이 겸 영구벽체의 시공 방법
JP5199166B2 (ja) 現場造成による基礎杭構造及び基礎杭の構築方法
KR101394235B1 (ko) 대심도 연약지반용 복합 파일 시공 방법
KR100923587B1 (ko) 마이크로 파일용 정착장치를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KR20160025180A (ko) 헬리컬 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10041391A (ko) 기초 공사용 지지력 보강 파일 구조체 형성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파일 구조체
JP2008231799A (ja) 免震構造
KR101236765B1 (ko) 말뚝이나 인장부재의 지지력 확대를 위해 천공확장부에 접합채움재를 타설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734026B1 (ko) Phc 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081566B1 (ko) 면진 장치를 이용하는 기초 공사용 강관 파일 및 그 시공 방법
KR101843379B1 (ko) 연약지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법
KR20140004436A (ko)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
KR101663174B1 (ko)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95720B1 (ko) 기초선단장치 결합형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33507B1 (ko) 지반에 고정된 전단보강프레임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
KR20190077888A (ko) 흙막이 벽체용 합성 phc 파일
KR20080059951A (ko) 가시설 겸용 파일기초와 지하옹벽 시공방법 및 그를 위한전단마찰 보강재
JP2001098542A (ja) ソイルセメント合成テーパー杭
KR101561592B1 (ko)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및 두부 보강 방법
KR20180112453A (ko) Phc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JP5684069B2 (ja) 杭構造
KR102060511B1 (ko) 흙막이 벽체용 고강도 phc 파일
KR102070912B1 (ko)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1398687B1 (ko) 선단지지력이 강화된 마이크로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57905B1 (ko) 매입말뚝을 이용한 기초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