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082Y1 - 개선된 구조의 팽이파일 - Google Patents

개선된 구조의 팽이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082Y1
KR200414082Y1 KR2020060001442U KR20060001442U KR200414082Y1 KR 200414082 Y1 KR200414082 Y1 KR 200414082Y1 KR 2020060001442 U KR2020060001442 U KR 2020060001442U KR 20060001442 U KR20060001442 U KR 20060001442U KR 200414082 Y1 KR200414082 Y1 KR 200414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ground
mold
top portio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효권
박윤진
Original Assignee
한국팽이파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팽이파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팽이파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14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0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0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02D27/14Pile framings, i.e. piles assembled to form the sub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약한 지반을 보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팽이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지반의 상부에 부양될 수 있도록 그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삼각뿔 형상의 팽이부와; 팽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지반에 삽입되는 파일부;로 구성되며, 팽이부의 하부에는 지반과의 접촉면적을 높임으로써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2 개 이상의 메인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구조의 팽이파일{A TOP BASE FIL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팽이파일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팽이파일에 있어서 팽이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팽이파일에 있어서, 파일부의 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팽이파일에 있어서, 파일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팽이파일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팽이파일에 있어서 팽이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의 팽이파일에 있어서, 팽이부몰드에 베이스파일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 및 9는 본 고안에 따른 팽이파일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팽이부 10a ... 경사면
11, 11' ... 메인오목부 12 ... 테두리
20 ... 파일부 21 ... 고리
22 ... 서브오목부 23 ... 날개
110 ... 팽이부몰드 110a ... 경사면
111, 111' ... 메인오목부 112 ... 테두리
113, 113' ... 구멍 120 ... 베이스파일
121 ... 고리 122 ... 베이스
123, 123', 123" ... 파일부
본 고안은 연약지반을 보강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건축물의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선된 구조의 팽이파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한 지반을 보강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팽이파일은 역삼각뿔형상의 팽이부와, 팽이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파일부로 구성되어 있다.
연약한 지반을 보강하고자 할 경우에, 다수개의 팽이파일의 파일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지반에 매설함으로써 상호 맞닿는 팽이부의 상부가 평면을 이루도록 하고, 이후에 자갈등의 골재를 이용하여 팽이파일과 다른 팽이파일 사이의 공간을 메우게 됨으로써 연약한 지반이 보강된다.
그런데, 연약한 지반은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유동성을 가지므로, 팽이파일이 지반에 의하여 유동될 때 지반을 보강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지반을 보강할 수 있는 개선된 팽이파일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팽이파일의 팽이부에 유동방지날개를 설치하였으나, 이 유동방지날개는 부피를 증가시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고, 또한 타설시에 파손되는 일이 종종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반영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지반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부양력을 증대할 수 있고, 부등침하를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기초지반을 형성시킬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팽 이파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구조의 팽이파일의 제1실시예는, 연약한 지반을 보강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지반의 상부에 부양될 수 있도록 그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으로서 상부에서 보았을 때 원형 형상이고 측부에서 보았을 때 역삼각뿔 형상의 팽이부와; 상기 팽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반에 삽입되는 파일부;로 구성되며, 상기 팽이부의 하부에는 상기 지반과의 접촉면적을 높임으로써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2 개 이상의 메인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파일부의 측부에는 상기 지반과의 접촉면적을 높임으로써 지지력과 접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오목부가 형성되거나, 그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날개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팽이부와 파일부는 상기 팽이부가 중앙 하단에 구멍(113)이 형성된 팽이부몰드(110)로서, 타설현장에서, 상부가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삼각뿔 형상의 베이스(122)와, 상기 베이스(12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파일부(123)와, 상기 파일부(12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122)의 상부로 돌출되는 고리(121)로 이루어진 베이스파일(120)를 상기 팽이부몰드(110)의 구멍(113)에 삽입 안치된 후, 상기 베이스파일(120)의 상부에 충진재를 충진하여 형성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팽이부와 파일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팽이부몰드 및 파일부몰드로서, 타설현장에서 상기 팽이부몰드(110) 및 파일부몰드(123')(123")에 충진재를 충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구조의 팽이파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팽이파일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팽이파일에 있어서 팽이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팽이파일에 있어서, 파일부의 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팽이파일에 있어서, 파일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구조의 팽이파일의 제1실시예는, 연약한 지반을 보강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지반의 상부에 부양될 수 있도록 그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삼각뿔 형상의 팽이부(10)와, 팽이부(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지반에 삽입되는 파일부(20)로 구성된다. 이때, 팽이부(10)의 상부측으로는 파일부(20) 내부로부터 연장되는 고리(21)가 설치되며, 고리(21)에 의하여 팽이파일이 운반된다.
팽이부(10)의 하부에는 법선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대략 45°정도의 경사면(10a)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면(10a)은 실질적으로 지반에 부양되는 부분이다.
팽이부(10)의 하부에는 지반과의 접촉면적을 높임으로써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2 개 이상의 메인오목부(11)가 형성된다.
메인오목부(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이부(10)의 가장자리에서 파 일부(20)까지 길게 연장되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된다. 이러한 메인오목부(11)는 팽이부(10)의 가장자리에서 움푹 함몰된 형상을 함으로써 그 표면적인 넓어지고, 이에 따라 지반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진다.
한편, 팽이부(10)에 형성된 메인오목부(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이부(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테두리(12)의 하부로부터 파일부(20)까지 길게 연장되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파일부(20)는 지반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과의 접촉면적을 높이기 위하여 측부에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서브오목부(22)가 형성된다. 도 3에서는, 도 1에 도시된 팽이부(10)의 파일부(20)에 서브오목부(22)가 형성된 것을 예로써 설명하고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팽이부(10)의 파일부(20)에 서브오목부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파일부(2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과의 접촉면적을 높이기 위하여 측부에는 그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날개(23)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에서도, 도 1에 도시된 팽이부(10)의 파일부(20)에 날개(23)가 형성된 것을 예로써 설명하고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팽이부(10)의 파일부(20)에 날개(23)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파일부(20)는, 지반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를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구조의 팽이파일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팽이파일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팽이파일에 있어서 팽이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5의 팽이파일에 있어서, 팽이부몰드에 베이스파일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팽이파일을 제2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역삼각뿔 형상을 가지며 중앙 하단에 구멍(113)이 형성된 팽이부몰드(110)와, 팽이부몰드(110)의 구멍(113)에 끼어져 결합되는 베이스파일(120)을 포함한다.
팽이부몰드(110)의 하부에는 법선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대략 45°정도의 경사면(110a)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면(110a)은 실질적으로 지반에 부양되는 부분이다.
팽이부몰드(110)의 하부에는 지반과의 접촉면적을 높임으로써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2 개 이상의 메인오목부(111)가 형성된다.
메인오목부(1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이부몰드(110)의 가장자리에서 구멍(113)까지 연장되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된다. 이러한 메인오목부(111)는 팽이부몰드(110)의 가장자리에서 움푹 함몰된 형상을 함으로써 그 표면적인 넓어지고, 이에 따라 지반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진다.
한편, 팽이부몰드(110)에 형성된 메인오목부(1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이부몰드(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테두리(112)의 하부로부터 구멍(113')까지 길게 연장되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베이스파일(120)은 그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삼각뿔 형상의 베이스(122)와, 베이스(12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파일부(123)와, 파일부(123)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122)의 상부로 돌출되는 고리(121)를 포함한다.
상기한 팽이부몰드(110)의 구멍(111)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파일(120)의 파일부(123)가 관통되는 한편 베이스(122)가 걸어지고, 이 상태에서 팽이부몰드(110) 내부에는 충진재가 채워진다. 이러한 팽이부몰드(110)는 그 재질이 콘크리트, PE, PS, ABS 수지. EPS 제, 알루미늄, 철판, 비금속류 및 목재류중 어느 하나 또는 그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체적으로 유동성을 가지는 지반에서 팽이파일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파일(120)의 파일부(123)의 측부에도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2 개 이상의 서브오목부(22)가 형성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2 개 이상의 날개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파일부(123)는, 지반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를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구조의 팽이파일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 및 9는 본 고안에 따른 팽이파일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로서, 팽이부와 파일부가 팽이부몰드와 파일부몰드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팽이파일의 제3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역삼각뿔 형상을 가진 팽이부몰드(110)와 일체로 형성된 팽이부몰드(123')(123")를 포함한다.
팽이부몰드(110)의 하부에는 법선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대략 45°정도의 경사면(110a)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면(110a)은 실질적으로 지반에 부양되는 부분이다.
팽이부몰드(110)의 하부에는 지반과의 접촉면적을 높임으로써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2 개 이상의 메인오목부(111)(111')가 형성된다.
메인오목부(11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이부몰드(110)의 가장자리에서 구멍까지 연장되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된다. 이러한 메인오목부(111)는 팽이부몰드(110)의 가장자리에서 움푹 함몰된 형상을 함으로써 그 표면적인 넓어지고, 이에 따라 지반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진다.
한편, 팽이부몰드(110)에 형성된 메인오목부(1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이부몰드(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테두리(112)의 하부로부터 구멍까지 길게 연장되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한 팽이부몰드(110) 및 파일부몰드(123')(123") 내부에는 충진재가 채워진다. 상기 충진재는 콘크리트 등이다. 또한, 팽이부몰드(110) 및 파일부몰드(123')(123")는 그 재질이 콘크리트, PE, PS, ABS 수지. EPS 제, 알루미늄, 철판, 비금속류 및 목재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체적으로 유동성을 가지는 지반에서 팽이파일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파일(120)의 파일부(123)의 측부에도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2 개 이상의 서브오목부(22)가 형성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2 개 이상의 날개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파일부(123')(123")는, 지반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를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팽이파일은, 팽이부에 메인오목부가 형성되고, 파일부에 서브오목부 또는 날개가 형성됨으로써, 유동방지날개가 파손되는 일이 없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유동성을 가지는 지반을 보다 효과적으로 부양 및 보강할 수 있고, 부등침하를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기초지반을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연약한 지반을 보강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지반의 상부에 부양될 수 있도록 그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으로서 상부에서 보았을 때 원형 형상이고 측부에서 보았을 때 역삼각뿔 형상의 팽이부와; 상기 팽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반에 삽입되는 파일부;로 구성되며,
    상기 팽이부의 하부에는 상기 지반과의 접촉면적을 높임으로써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2 개 이상의 메인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의 팽이파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부의 측부에는 상기 지반과의 접촉면적을 높임으로써 지지력과 접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의 팽이파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부의 측부에는 상기 지반과의 접촉면적을 높임으로써 지지력과 접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의 팽이파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부와 파일부는 상기 팽이부가 중앙 하단에 구멍(113)이 형성된 팽이부몰드(110)로서, 타설현장에서, 상부가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삼각뿔 형상의 베이스(122)와, 상기 베이스(12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파일부(123)와, 상기 파일부(12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122)의 상부로 돌출되는 고리(121)로 이루어진 베이스파일(120)를 상기 팽이부몰드(110)의 구멍(113)에 삽입 안치된 후, 상기 베이스파일(120)의 상부에 충진재를 충진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의 팽이파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부와 파일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팽이부몰드 및 파일부몰드로서, 타설현장에서 상기 팽이부몰드(110) 및 파일부몰드(123')(123")에 충진재를 충진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의 팽이파일.
KR2020060001442U 2006-01-17 2006-01-17 개선된 구조의 팽이파일 KR200414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442U KR200414082Y1 (ko) 2006-01-17 2006-01-17 개선된 구조의 팽이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442U KR200414082Y1 (ko) 2006-01-17 2006-01-17 개선된 구조의 팽이파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6059 Division 2005-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082Y1 true KR200414082Y1 (ko) 2006-04-14

Family

ID=49296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442U KR200414082Y1 (ko) 2006-01-17 2006-01-17 개선된 구조의 팽이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0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932B1 (ko) * 2006-09-26 2007-06-14 박노환 연약지반의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KR101028288B1 (ko) * 2010-04-20 2011-04-11 전동중 연약지반 안정화를 위한 팽이말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932B1 (ko) * 2006-09-26 2007-06-14 박노환 연약지반의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KR101028288B1 (ko) * 2010-04-20 2011-04-11 전동중 연약지반 안정화를 위한 팽이말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8592A (ko) 아스팔트로 커버된 콘크리트 기반 강화형 도로 구조물
KR101700830B1 (ko) 보강토 옹벽블록과 그리드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200414082Y1 (ko) 개선된 구조의 팽이파일
US6394700B1 (en) Highway underdrain plastic apron endwall with anti-floatation wings
KR101401730B1 (ko)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
KR100799848B1 (ko) 결합구조를 보강한 현장 타설형 팽이파일
KR200366898Y1 (ko) 콘크리트 팽이파일
KR20060031586A (ko) 식생블럭 조립체
KR101021466B1 (ko) 기초공사용 파일캡
FR2461064A1 (fr) Structure a forte pesanteur comportant des organes de friction
KR100680979B1 (ko) 개선된 구조의 팽이파일
KR101148228B1 (ko) 강성그리드가 구비된 옹벽블럭의 장착구조
KR102127192B1 (ko) 하중 저항력이 강화된 부벽형 옹벽 및 이의 제작방법
JP4713277B2 (ja) 杭基礎補強構造
KR102059470B1 (ko) 기초 보강용 다각 팽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 구조물
JP3930544B2 (ja) 軽量盛土
KR200348780Y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낙석 방지 터널
KR200366897Y1 (ko) 콘크리트 팽이파일
KR101192357B1 (ko)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16504B1 (ko) 절곡 저판 옹벽
KR200398018Y1 (ko) 옹벽격자블록
US20140010599A1 (en) Retaining Module
JP4966758B2 (ja) 傾斜地用べた基礎
KR100500599B1 (ko) 부양기초판
KR20190000725U (ko) 팽이파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