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261B1 -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261B1
KR101574261B1 KR1020140027610A KR20140027610A KR101574261B1 KR 101574261 B1 KR101574261 B1 KR 101574261B1 KR 1020140027610 A KR1020140027610 A KR 1020140027610A KR 20140027610 A KR20140027610 A KR 20140027610A KR 101574261 B1 KR101574261 B1 KR 101574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shaft
mobile device
camera module
driving uni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5716A (ko
Inventor
정준진
김영호
Original Assignee
㈜드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림텍 filed Critical ㈜드림텍
Priority to KR1020140027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261B1/ko
Publication of KR20150105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단일의 고화질 카메라 모듈만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의 전, 후방 촬영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기기의 하우징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되며, 외부와 노출된 전, 후면 윈도우가 상호 대면하는 위치 상에 구비되는 설치공간부와, 설치공간부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회전이 가능한 작동 축과, 작동 축에 고정되며, 작동 축의 회전에 따라 전, 후면 윈도우 중 선택된 하나를 향해 촬영방향이 정해지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모바일 기기의 하우징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되며, 외부와 노출된 전, 후면 윈도우가 상호 대면하는 위치 상에 구비되는 설치공간부와, 설치공간부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회전 및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한 작동 축과, 작동 축에 고정되며, 작동 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 후면 윈도우 중 선택된 하나를 향해 촬영방향이 정해지며, 작동 축의 전후 방향 이동에 따라 전, 후면 윈도우 중 선택된 하나를 향해 근접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CARMERA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방일 기기의 하우징에 내장되며 전, 후방으로 회전이 가능하거나, 또는 회전과 함께 전, 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한 단일의 카메라 장치를 탑재한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의 기술 개발이 급속도로 이루어짐에 따라,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각종 모바일 기기에 대한 대중적인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모바일 기기 내에는 다양한 전자부품이 이용되는데, 그 중 하나로서 카메라 모듈이 있다.
특히 상기 카메라 모듈은 모바일 기기 내에 하나 이상이 탑재된다. 이를 통해, 사진 촬영은 물론 영상 통화 등이 가능해질 수 있다.
그런데 최근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모바일 기기에는 후방 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용도의 카메라 모듈과, 사용자가 스스로의 모습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하면서 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용도의 카메라 모듈이 구비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전면 및 후면 카메라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1)의 경우, 대부분 전면 중앙에 디스플레이 창(3)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하단 중앙에 홈키 등의 버튼(5)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창(3)의 상단에 전방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10)가 탑재되어 있다.
이와 함께, 도 1의 (b)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1)의 후면을 통해 또 하나의 카메라(20)가 탑재되어 있는데, 이는 후방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20)에 해당된다. 그리고 주로 후방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20)의 경우 전방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10)에 비해 고해상도 카메라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단일의 모바일 기기 내에 전, 후방 촬영을 위한 2개의 카메라 모듈이 내장될 경우, 기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기기의 슬림화 추세에 반하며, 나아가 원가 상승의 악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단일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의 전, 후방 촬영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1282호(2007.10.29. 공고)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모바일용 카메라 모듈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의 하우징 내부에 단일의 카메라 모듈만을 탑재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전, 후방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모방일 기기의 하우징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이 전, 후방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회전과 함께 전,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단일의 고화질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전, 후방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의 하우징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되며, 외부와 노출된 전, 후면 윈도우가 상호 대면하는 위치 상에 구비되는 설치공간부; 상기 설치공간부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회전이 가능한 작동 축; 및 상기 작동 축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 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 후면 윈도우 중 선택된 하나를 향해 촬영방향이 정해지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작동 축을 설정된 방향 및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작동 축의 일단 또는 양단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사용자의 지령을 전달하는 입력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터의 출력 축과 상기 작동 축 사이에는 커플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공간부의 전, 후면 윈도우는 강화 유리 또는 사파이어 글라스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의 하우징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되며, 외부와 노출된 전, 후면 윈도우가 상호 대면하는 위치 상에 구비되는 설치공간부; 상기 설치공간부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회전 및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한 작동 축; 및 상기 작동 축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 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 후면 윈도우 중 선택된 하나를 향해 촬영방향이 정해지며, 상기 작동 축의 전후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전, 후면 윈도우 중 선택된 하나를 향해 근접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작동 축을 설정된 방향 및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작동 축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병진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작동 축의 일단 또는 양단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의 출력 축과 상기 작동 축 사이에는 커플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병진구동부는, 전후 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 레일; 상기 작동 축의 일단 또는 양단을 고정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블록; 및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이동 블록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와 상기 병진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사용자의 지령을 전달하는 입력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공간부의 전, 후면 윈도우는 강화 유리 또는 사파이어 글라스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인 모바일 기기의 하우징 내부에 단일의 카메라 모듈만을 탑재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전, 후방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모방일 기기의 하우징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을 전, 후방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회전과 함께 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하나의 고해상도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의 전, 후방 촬영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모바일 기기의 구조가 간단해지며, 경량화 및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후방 촬영을 실시하는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후방 촬영을 실시하는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동작 상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는, 모바일 기기의 하우징 내에 구비된 설치공간부(110)와, 상기 설치공간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작동 축(120)과, 상기 작동 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카메라 모듈(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모바일 기기라 함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이동 중에 사용이 가능한 장치를 통칭한다.
종래의 경우, 모바일 기기에는 전, 후방 촬영을 위한 2개의 카메라 모듈이 주로 내장되는데, 이 경우 기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기기의 슬림화 추세에 반하며, 2개의 모듈을 이용함에 따라 원가 상승으로 인한 비용 증가 등의 문제가 있었다.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는 단일의 카메라 모듈만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의 전, 후방 촬영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한다.
상기 설치공간부(110)는 상기 작동 축(120)과 카메라 모듈(130)이 내장 설치되는 공간을 말한다. 또한, 상기 작동 축(120)과 카메라 모듈(130)이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공간으로서도 이용된다.
상기 작동 축(120)은 상기 설치공간부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30)은 상기 작동 축(130)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 축(1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설치공간부(110)의 전, 후면 중 어느 한 면을 향하도록 회전한다.
모바일 기기(100)의 하우징(101) 내에서 미 설명된 도면부호 300은 디스플레이 창을 지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는 설치공간부(110), 작동 축(120) 및 카메라 모듈(130)을 포함한다.
설치공간부(110)는 상기 하우징(101)을 두께 방향(즉,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공간부(110)는 모바일 기기의 전, 후면을 통해 외부와 노출될 수 있는데, 각각의 노출되는 부위로 투명한 창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전, 후면 윈도우(112a, 112b)라 한다.
상기 전, 후면 윈도우(112a, 112b)는 외부의 이물질 또는 먼지가 설치공간부(110)의 내부 공간(111)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카메라 모듈(130) 및 렌즈(131)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전, 후면 윈도우(112a, 112b)는 습기 등의 유입을 막아 카메라 모듈(130)을 비롯한 기타 전자 부품들이 훼손되거나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 후면 윈도우(112a, 112b)는 사용자의 손이 렌즈에 직접적으로 닿아 렌즈의 광학 면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 후면 윈도우(112a, 112b)의 재질은 투명하면서 스크래치 등의 물리적인 손상에 강해야 하며,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구조적인 강성이 어느 정도 확보된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전, 후면 윈도우(112a, 112b)는 강화 유리 또는 사파이어 글라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합성수지(예: 강화 플라스틱) 또는 투명한 복합소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 후면 윈도우(112a, 112b)는 상호 대면하는 위치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작동 축(120)은 상기 설치공간부(110)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작동 축(120)의 길이, 직경 등을 특별히 제한될 필요가 없으며, 모바일 기기(100)의 종류 및 크기 사양에 따라 조금씩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축(120)의 재질은 고강도의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 축(120)의 사이즈를 크게 하기에는 소형의 모바일 기기 내에 탑재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만일 직경이 작은 작동 축(120)의 길이 중앙에 카메라 모듈(130)을 장착하고, 상기 작동 축(120)을 설정된 방향(또는 반대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길이 중앙 부위에서 휨 변형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작동 축(120)은 경량의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식에 강한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나아가, 상기 작동 축(120)을 설정된 방향 및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150)는 상기 작동 축(120)의 양단(또는 일단)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구동부(150)는 토크 출력이 클 필요가 없으며, 회전 각도의 정밀도가 좋으며 소음이 적은 관용의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회전구동부(150), 즉 모터의 출력 축과 상기 작동 축 사이의 연결 부위에는 커플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150)의 효과적인 제어를 위하여 제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지령을 입력 받아 상기 제어부(170)로 지령을 전달해주는 입력 스위치(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30)은 상기 작동 축(120)에 고정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작동 축(120)이 상기 카메라 모듈(130)의 몸통 중심을 관통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30)은 상기 작동 축(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 후면 윈도우(112a, 112b) 중 선택된 하나를 향해 촬영방향이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작동 축(120)이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게 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130)의 전방에 탑재된 렌즈(131) 역시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130)의 렌즈(131)는 후면 윈도우(112b)를 향하게 되고, 촬영방향은 모바일 기기의 후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모습은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후방 촬영을 실시하는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동작 상태도 이다.
이와 같이, 모바일 기기(100) 내에 단일의 카메라 모듈(130)만을 탑재하면서도, 모바일 기기의 전, 후방 촬영이 선택적으로 모두 이루어질 수 있어, 모바일 기기의 경량화 및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나 작동 축(120) 및 카메라 모듈(130)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회전함은 물론 전후 방향으로 병진 이동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작동 축(120)은 상기 설치공간부(110)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회전 및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130)은 상기 작동 축(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 후면 윈도우(112a, 112b) 중 선택된 하나를 향해 회전하여, 모바일 기기의 전, 후방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촬영방향 선택이 가능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카메라 모듈(130)은 상기 작동 축(120)의 전후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전, 후면 윈도우 중 선택된 하나를 향해 근접(또는 후퇴)하는 기능을 갖출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 모듈(130)이 상기 전, 후면 윈도우 중 선택된 하나를 향해 근접하거나 후퇴하게 되면 피사체와 상기 카메라 모듈(130) 간의 거리 조절이 가능해져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맞추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작동 축(120)을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150)와 함께, 상기 작동 축(120)을 하우징(101)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병진구동부(160)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작동 축(120)은 상기 회전구동부(150)에 의해 회전된 다음 상기 병진구동부(16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으며, 다른 예로서 상기 작동 축(120)은 상기 회전구동부(150)에 의해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병진구동부(16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와 상기 입력스위치(180)는 상기 회전구동부(150)를 제어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해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과 함께, 상기 병진구동부(160)를 제어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해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도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모식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작동 축(120)의 길이 중앙에 카메라 모듈(130)이 내장되고, 이 카메라 모듈(130)에는 렌즈(131)가 구비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축(120)의 양단은 회전구동부(150)(예: 모터(M))의 출력 축(151)이 연결되며, 더 구체적으로는 작동 축과 출력 축 사이에는 커플링(15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병진구동부(160)는 가이드 레일(161)과 이동 블록(1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61)은 모바일 기기의 하우징의 전후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미 도시된 설치공간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블록(163)은 상기 작동 축의 일단 또는 양단을 고정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161)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를 말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161) 및 이동 블록(163)을 포함하는 관용의 리니어 모션 가이드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이동 블록 사이에는 베어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후방 촬영을 실시하는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동작 상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30)은 상기 작동 축(120)에 고정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작동 축(120)이 상기 카메라 모듈(130)의 몸통 중심을 관통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작동 축(120)이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게 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130)의 전방에 탑재된 렌즈(131) 역시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130)의 렌즈(131)는 후면 윈도우(112b)를 향하게 되고, 촬영방향은 모바일 기기의 후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축(120)이 후방으로 직선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30)의 렌즈(131)를 후면 윈도우(112b) 쪽으로 근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기기(100) 내에 단일의 카메라 모듈(130)만을 탑재하면서도, 전, 후방 촬영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2개의 카메라 모듈이 탑재된 경우에 비해 기기의 경량화,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의 하우징 내부에 단일의 카메라 모듈만을 탑재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전, 후방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모방일 기기의 하우징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을 전, 후방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회전과 함께 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하나의 고해상도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의 전, 후방 촬영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모바일 기기의 구조가 간단해지며, 경량화 및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인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모바일 기기
101: 하우징
110: 설치공간부
111: 공간
112a: 전면 윈도우
112b: 후면 윈도우
120: 작동 축
130: 카메라 모듈
131: 렌즈
150: 회전구동부
151: 출력 축
153: 커플링
160: 병진구동부
161: 레일
163: 이동블록
170: 제어부
180: 입력스위치
300: 디스플레이 창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모바일 기기의 하우징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되며, 외부와 노출된 전, 후면 윈도우가 상호 대면하는 위치 상에 구비되는 설치공간부;
    상기 설치공간부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회전 및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한 작동 축;
    상기 작동 축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 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 후면 윈도우 중 선택된 하나를 향해 촬영방향이 정해지며, 상기 작동 축의 전후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전, 후면 윈도우 중 선택된 하나를 향해 근접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작동 축을 설정된 방향 및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작동 축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병진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작동 축의 일단 또는 양단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터의 출력 축과 상기 작동 축 사이에는 커플링이 구비되고,
    상기 병진구동부는, 전후 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작동 축의 일단 또는 양단을 고정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블록과,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이동 블록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와 상기 병진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사용자의 지령을 전달하는 입력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
  12. 제6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부의 전, 후면 윈도우는 강화 유리 또는 사파이어 글라스 소재로 이루어지는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
KR1020140027610A 2014-03-10 2014-03-10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 KR101574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610A KR101574261B1 (ko) 2014-03-10 2014-03-10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610A KR101574261B1 (ko) 2014-03-10 2014-03-10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716A KR20150105716A (ko) 2015-09-18
KR101574261B1 true KR101574261B1 (ko) 2015-12-03

Family

ID=5424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610A KR101574261B1 (ko) 2014-03-10 2014-03-10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2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716A (ko) 201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30584B (zh) 显示屏幕和终端设备
US8319839B2 (en) Optical image system
WO2019029412A1 (zh) 移动终端
WO2019157858A1 (zh) 电子设备及摄像头模组的控制方法
CN109327572B (zh) 成像模组、摄像头组件及电子装置
US8412265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photographing functions
US20080266443A1 (en) Camera Module
CN110471496B (zh) 一种终端设备
CN113194216B (zh) 音圈马达、镜头模组及电子设备
WO2019157859A1 (zh) 电子设备及摄像头模组的控制方法
CN110392141A (zh) 电子设备
CN1881065A (zh) 用于便携式终端的照相机镜头组件
KR101806542B1 (ko) 카메라 모듈
CN109286707A (zh) 摄像头组件和电子装置
CN1797167B (zh) 相机镜头的快门机构
JP3709995B2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CN104698568A (zh) 镜头装置和摄像设备
CN101090612B (zh) 手持电子设备
KR101574261B1 (ko)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장치
KR100752607B1 (ko) 회전가능한 카메라
WO2004038475A1 (ja) 光学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CN110278361B (zh) 移动终端
CN111314506B (zh) 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TWI554800B (zh) 相機模組
CN110324056B (zh) 电子装置及电子装置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