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951B1 - 세탁건조기 및 소취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건조기 및 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951B1
KR101573951B1 KR1020107014195A KR20107014195A KR101573951B1 KR 101573951 B1 KR101573951 B1 KR 101573951B1 KR 1020107014195 A KR1020107014195 A KR 1020107014195A KR 20107014195 A KR20107014195 A KR 20107014195A KR 101573951 B1 KR101573951 B1 KR 101573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washing
operation tim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5614A (ko
Inventor
유키오 도비
하루오 마미야
다카요시 아카기
Original Assignee
헤이어 그룹 코포레이션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이어 그룹 코포레이션,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헤이어 그룹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95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1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ozo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기는, 정화(淨化)용 공기에 의한 신변품의 소취(消臭)를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신변품을 정화용 공기에 의해서 소취하고 있을 때, 제어부(120)가 히터(100)에 의해서 세탁수조(3)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에 가열시킨다. 따라서, 세정용 공기가 가열에 의해서 분해되지 않을 정도로 정화용 공기에 의한 소취를 촉진할 수 있다. 그 결과, 타이머(122)에서 어떠한 운전시간이 설정되어도, 예를 들어, 정화용 공기에 의한 신변품의 소취를 단시간에 행하는 경우(최단 에어워쉬운전)라도 신변품을 충분히 소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건조기 및 소취장치{WASHING DRYER AND DEODORANT DEVICE}
본 발명은 세탁건조기 및 소취(消臭)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 내에 드럼(세탁수조에 상당한다.)을 가지고, 이 드럼에 세탁물을 수용하여 세탁을 행하는 세탁기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오존을 포함하는 공기(정화(淨化)용 공기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를 드럼 내에 공급하여, 정화용 공기로 드럼 내의 세탁물의 소취를 행하는 세탁기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세탁기에서는 통상의 세탁 및 건조와는 독립한 처리로서, 정화용 공기에 의한 세탁물의 정화운전(에어워쉬운전으로 불린다.)이 행해진다.
[특허문헌1]일본국특개2007-195896호공보
오존을 포함하는 정화용 공기는 유저에게 있어서 불쾌한 오존냄새를 발생시키므로, 정화용 공기가 하우징의 밖으로 새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 때문에, 에어워쉬운전에서는 정화용 공기를 드럼 내에 공급하기 전에 하우징 내에서 정화용 공기가 만연(蔓延)하는 영역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밀폐하는) 전(前)처리를 소정시간 실시할 필요가 있고, 정화용 공기의 공급 후에는 하우징 내의 정화용 공기에 포함되는 오존을 소멸시키는 후처리를 소정시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세탁기에서는 통상의 에어워쉬운전이, 예를 들어 30분간 행해지지만, 유저가 외출하기 직전에 서두르고 있는 경우나, 세탁물의 냄새가 경미한 경우에는 통상보다 단시간에 에어워쉬운전을 마치고자 한다.
그러나, 단시간의 에어워쉬운전을 행하는 경우라도 상술한 전처리 및 후처리는 반드시 소정시간 실시해야 하므로, 정화용 공기를 드럼 내에 공급하는 정미(正味)시간은 통상의 에어워쉬운전의 경우에 비해 대폭으로 짧게 된다. 그 때문에, 단시간의 에어워쉬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드럼 내로의 정화용 공기의 공급량이 부족하므로, 세탁물을 충분히 소취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 세탁물로서, 의류에 한정하지 않고, 구두, 모자 및 가방 등의 신변품을 소취할 수 있으면 사용하기 편리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정화용 공기에 의한 신변품의 소취를 단시간에 행하는 경우라도 신변품을 충분히 소취할 수 있는 세탁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화용 공기에 의한 신변품의 소취를 단시간에 행하는 경우라도 신변품을 충분히 소취할 수 있는 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화용 공기를 이용하여 신변품의 소취를 행하는 소취기능을 가지는 세탁건조기로서, 세탁수조와, 급수(給水)트랩(trap)부를 가지고, 상기 세탁수조로 급수하기 위한 급수로와, 배수(排水)트랩부를 가지고, 상기 세탁수조의 물을 배수구로부터 배수하기 위한 배수로와, 상기 세탁수조 내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상기 세탁수조에 정화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정화용 공기 공급수단과, 상기 세탁수조에 공급된 정화용 공기를 소멸시키기 위한 정화용 공기 소멸수단과, 소취운전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운전시간 설정수단과, 운전개시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급수트랩부 및 상기 배수트랩부에 각각 트랩을 형성하고, 트랩 형성 후에 상기 정화용 공기 공급수단에 정화용 공기를 공급시키며, 또한,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서 상기 세탁수조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에 가열시키고, 상기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할 때에 상기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소멸하도록 상기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하는 소정시간 전에 상기 정화용 공기 공급수단의 정화용 공기의 공급을 정지시키며, 상기 정화용 공기 소멸수단을 기능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가열수단은 강(强)구동 및 약(弱)구동으로 전환 가능한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운전시간이 미리 정하는 최단 운전시간 이외의 운전시간인 경우는 상기 히터를 약구동하여 상기 세탁수조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운전시간이 미리 정하는 최단 운전시간인 경우는 상기 히터를 강구동 또는 약구동하여, 상기 세탁수조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탁수조에는 상기 급수로와는 별도로 마련되고, 상기 세탁수조의 배수구에 직접 물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수로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급수로에 소정량의 물을 흘림으로써, 상기 급수트랩부에 물을 모아 급수트랩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별도수로로부터 상기 배수구에 직접 소정량의 물을 흘림으로써, 상기 배수트랩부에 물을 모아 배수트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세탁수조에 일단 및 타단이 접속된 순환풍로(循環風路)와, 상기 세탁수조 내의 공기를 상기 순환풍로를 이용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정화용 공기 소멸수단은 상기 송풍수단을 소정의 태양으로 구동시켜 상기 세탁수조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건조기이다.
본 발명은, 정화용 공기를 이용하여 신변품의 소취를 행하는 소취기능을 가지는 세탁건조기로서, 밀폐 가능한 세탁수조와, 상기 세탁수조 내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상기 세탁수조에 정화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정화용 공기 공급수단과, 상기 세탁수조에 공급된 정화용 공기를 소멸시키기 위한 정화용 공기 소멸수단과, 소취운전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운전시간 설정수단과, 운전개시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정화용 공기 공급수단에 정화용 공기를 공급시키고, 또한,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서 상기 세탁수조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에 가열시키며, 상기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할 때에 상기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소멸하도록 상기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하는 소정시간 전에 상기 정화용 공기 공급수단의 정화용 공기의 공급을 정지시키고, 상기 정화용 공기 소멸수단을 기능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열수단은 강구동 및 약구동으로 전환 가능한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운전시간이 미리 정하는 최단 운전시간 이외의 운전시간인 경우는 상기 히터를 약구동하여 상기 세탁수조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운전시간이 미리 정하는 최단 운전시간인 경우는 상기 히터를 강구동 또는 약구동하여, 상기 세탁수조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탁수조에 일단 및 타단이 접속된 순환풍로와, 상기 세탁수조 내의 공기를 상기 순환풍로를 이용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정화용 공기 소멸수단은 상기 송풍수단을 소정의 태양으로 구동시켜 상기 세탁수조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건조기이다.
또, 본 발명은, 정화용 공기를 이용하여 신변품의 소취를 행하는 소취장치로서, 밀폐 가능한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 내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상기 수용실에 정화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정화용 공기 공급수단과, 상기 수용실에 공급된 정화용 공기를 소멸시키기 위한 정화용 공기 소멸수단과, 운전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운전시간 설정수단과, 운전개시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정화용 공기 공급수단에 정화용 공기를 공급시키고, 또한,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서 상기 수용실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에 가열시키며, 상기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할 때에 상기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소멸하도록 상기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하는 소정시간 전에 상기 정화용 공기 공급수단의 정화용 공기의 공급을 정지시켜 상기 정화용 공기 소멸수단을 기능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열수단은 강구동 및 약구동으로 전환 가능한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운전시간이 미리 정하는 최단 운전시간 이외의 운전시간인 경우는 상기 히터를 약구동하여 상기 수용실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운전시간이 미리 정하는 최단 운전시간인 경우는 상기 히터를 강구동 또는 약구동하여, 상기 수용실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화용 공기 소멸수단은 상기 수용실 내의 공기를 교반(攪拌)하기 위한 송풍수단을 포함하는 소취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 세탁건조기에서는 소취기능에 의해 정화용 공기를 이용하여 의류, 구두, 모자 및 가방 등의 신변품의 소취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정화용 공기로서는, 예를 들어, 오존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수단이 신변품의 소취에 앞서, 운전개시신호에 근거하여 급수로의 급수트랩부 및 배수로의 배수트랩부에 각각 트랩을 형성하므로, 세탁수조가 밀폐된다. 그리고, 트랩 형성 후에, 세탁수조에 수납된 신변품은 정화용 공기 공급수단이 세탁수조에 공급하는 정화용 공기에 의해서 소취된다. 이 때, 세탁수조가 밀폐되어 있으므로, 세탁수조로부터 세탁건조기의 외부로 세정용 공기가 샐 걱정은 없다.
신변품을 정화용 공기에 의해서 소취하고 있을 때에, 제어수단이 가열수단에 의해서 세탁수조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에 가열시키므로, 세정용 공기가 가열에 의해서 분해되지 않는 정도에서 정화용 공기에 의한 소취를 촉진할 수 있다. 그 결과,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어떠한 운전시간이 설정되어도, 예를 들어, 정화용 공기에 의한 신변품의 소취를 단시간에 행하는 경우라도 신변품을 충분히 소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은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할 때에,
세탁수조에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소멸하도록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하는 소정시간 전에 정화용 공기 공급수단의 정화용 공기의 공급을 정지시키고, 또한 정화용 공기 소멸수단을 기능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정화용 공기에 의한 신변품의 소취를 단시간에 행하는 경우라도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했을 때에는 세탁수조에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소멸하고 있고, 세탁수조로부터 신변품을 꺼낼 때에, 유저가 정화용 공기의 냄새를 맡아 불쾌하게 될 일은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수단은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운전시간이 미리 정하는 최단 운전시간 이외의 운전시간인 경우는 강구동 및 약구동으로 전환 가능한 히터를 약구동하여 세탁수조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하므로, 히터를 쓸데없이 강구동하지 않음과 아울러, 세탁수조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수단은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운전시간이 미리 정하는 최단 운전시간인 경우는 히터를 강구동 또는 약구동하여, 세탁수조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하므로, 한정된 시간 안에서 효율적으로 세탁수조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수조에는 급수로와는 별도로 마련되고, 세탁수조의 배수구에 직접 물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수로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은 급수로에 소정량의 물을 흘림으로써, 급수트랩부에 물을 모아 급수트랩을 형성하고, 또한, 별도수로로부터 배수구에 직접 소정량의 물을 흘림으로써, 배수트랩부에 물을 모아 배수트랩을 형성한다. 즉, 배수트랩을 형성할 때에는 급수로가 아니고, 별도수로로부터 배수구에 직접 소정량의 물을 흘리므로, 세탁수조 내의 신변품을 적시는 일 없이, 배수트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정화용 공기 소멸수단은 송풍수단을 소정의 태양으로 구동시켜, 세탁수조 내의 정화용 공기를 순환풍로를 이용하여 순환시킨다. 이와 같은 단순한 처리에 의해, 세탁수조에 공급된 정화용 공기를 확실히 소멸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이 세탁건조기에서는 소취기능에 의해 정화용 공기를 이용하여 의류, 구두, 모자 및 가방 등의 신변품의 소취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정화용 공기로서는, 예를 들어, 오존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탁수조에 수납된 신변품이, 정화용 공기 공급수단이 세탁수조에 공급하는 정화용 공기에 의해서 소취된다. 이 때, 세탁수조가 밀폐되어 있으므로, 세탁수조로부터 세탁건조기의 외부로 세정용 공기가 샐 걱정은 없다.
신변품을 정화용 공기에 의해서 소취하고 있을 때에, 제어수단이 가열수단에 의해서 세탁수조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에 가열시키므로, 세정용 공기가 가열에 의해서 분해되지 않는 정도에서 정화용 공기에 의한 소취를 촉진할 수 있다. 그 결과,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어떠한 운전시간이 설정되어도, 예를 들어, 정화용 공기에 의한 신변품의 소취를 단시간에 행하는 경우라도 신변품을 충분히 소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은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할 때에,
세탁수조에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소멸하도록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하는 소정시간 전에 정화용 공기 공급수단의 정화용 공기의 공급을 정지시키고, 또한 정화용 공기 소멸수단을 기능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정화용 공기에 의한 신변품의 소취를 단시간에 행하는 경우라도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했을 때에는 세탁수조에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소멸하고 있고, 세탁수조로부터 신변품을 꺼낼 때에 유저가 정화용 공기의 냄새를 맡아 불쾌하게 될 일은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수단은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운전시간이 미리 정하는 최단 운전시간 이외의 운전시간인 경우는 강구동 및 약구동으로 전환 가능한 히터를 약구동하여 세탁수조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하므로, 히터를 쓸데없이 강구동하지 않음과 아울러, 세탁수조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수단은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운전시간이 미리 정하는 최단 운전시간인 경우는 히터를 강구동 또는 약구동하여, 세탁수조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하므로, 한정된 시간 안에서 효율적으로 세탁수조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화용 공기 소멸수단은 송풍수단을 소정의 태양으로 구동시켜, 세탁수조 내의 정화용 공기를 순환풍로를 이용하여 순환시킨다. 이와 같은 단순한 처리에 의해, 세탁수조에 공급된 정화용 공기를 확실히 소멸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이 소취장치에서는 정화용 공기를 이용하여 의류, 구두, 모자 및 가방 등의 신변품의 소취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정화용 공기로서는, 예를 들어, 오존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용실에 수납된 신변품이, 정화용 공기 공급수단이 수용실에 공급하는 정화용 공기에 의해서 소취된다. 이 때, 수용실이 밀폐되어 있으므로, 수용실로부터 소취장치의 외부로 세정용 공기가 샐 걱정은 없다.
신변품을 정화용 공기에 의해서 소취하고 있을 때에, 제어수단이 가열수단에 의해서 수용실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에 가열시키므로, 세정용 공기가 가열에 의해서 분해되지 않는 정도에서 정화용 공기에 의한 소취를 촉진할 수 있다. 그 결과,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어떠한 운전시간이 설정되어도, 예를 들어, 정화용 공기에 의한 신변품의 소취를 단시간에 행하는 경우라도 신변품을 충분히 소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은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할 때에,
수용실에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소멸하도록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하는 소정시간 전에 정화용 공기 공급수단의 정화용 공기의 공급을 정지시키고, 또한 정화용 공기 소멸수단을 기능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정화용 공기에 의한 신변품의 소취를 단시간에 행하는 경우라도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했을 때에는 수용실에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소멸하고 있고, 수용실에서 신변품을 꺼낼 때에 유저가 정화용 공기의 냄새를 맡아 불쾌하게 될 일은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수단은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운전시간이 미리 정하는 최단 운전시간 이외의 운전시간인 경우는 강구동 및 약구동으로 전환 가능한 히터를 약구동하여 수용실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하므로, 히터를 쓸데없이 강구동하지 않음과 아울러, 수용실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수단은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운전시간이 미리 정하는 최단 운전시간인 경우는 히터를 강구동 또는 약구동하여, 수용실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하므로, 한정된 시간 안에서 효율적으로 수용실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정화용 공기 소멸수단의 송풍수단이 수용실 내의 정화용 공기를 교반한다는 단순한 처리에 의해, 수용실에 공급된 정화용 공기를 확실히 소멸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세탁건조기(1)의 종단면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세탁건조기(1)를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케이스(2)가 떼어내진 내부 구조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3은 세탁건조기(1)를 경사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케이스(2)가 떼어내진 내부 구조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4는 세탁건조기(1)의 수로 및 풍로를 중심으로 하는 구성을 도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세탁건조기(1)의 에어워쉬운전에 관한 전기적인 제어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6은 에어워쉬운전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7은 세탁건조기(1)의 최단 에어워쉬운전에서의 제어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소취장치(90)의 모식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세탁건조기(1)(소취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세탁건조기의 구성 및 동작의 개요>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세탁건조기(1)의 종단면 우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탁건조기(1)는 케이스(2) 내에 비스듬하게 배치된 세탁수조(3)를 구비하고 있다. 세탁수조(3)에는 세탁시에 물을 모으기 위한 외조(外槽)(4)와, 외조(4)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드럼(5)이 포함되어 있다. 드럼(5)은 외조(4)의 후방에 구비된 DD모터(6)에 의해서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회전축(7)은 전방을 향하여 경사 위쪽으로 연장하고 있어, 이른바 경사드럼구조로 되어 있다. 드럼(5)의 출입구(8) 및 외조(4)의 출입구(9)는 케이스(2)에 장착된 도어(10)에 의해서 개폐된다. 도어(10)가 열려 출입구(8, 9)를 통과하여 드럼(5) 내부로의 의류(세탁물)의 출납이 이루어진다.
이 세탁건조기(1)에는 세탁수조(3)의 아래쪽에 이미 사용한 물(리사이클수)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11)가 구비되어 있다. 이 탱크(11)는 약 8.5리터의 내부용적을 가지며, 헹굼에 사용된 물이 고이고, 그 물이 건조공정에서 열교환용 물 및 순환풍로 내를 흐르는 린트(lint) 등의 세정수로서 활용된다.
또, 케이스(2)의 정면(正面) 상부(도어(10)의 위쪽)에는 조작·표시부(13)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표시부(13)에는 복수의 조작키(도시하지 않음) 및 표시기(도시하지 않음)가 배열되어 있고, 조작키(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함으로써 세탁건조기(1)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으며, 표시기(도시하지 않음)에는 세탁건조기(1)의 운전상황이 표시된다.
케이스(2) 내의 위쪽에는, 또한, 후술하는 건조공정에서 회전구동되는 블로어(21)(정화용 공기 소멸수단 및 송풍수단) 및 블로어(21)에 의해 세탁수조(3) 내로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하기(환언하면 세탁수조(3) 내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00)(가열수단)가 배치되어 있다. 히터(100)는 건조히터A(124) 및 건조히터B(125)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세탁건조기(1)를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로서, 케이스(2)가 떼어내진 내부 구조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 도 3은 세탁건조기(1)를 경사 후방에서 본 사시도로서, 케이스(2)가 떼어내진 내부 구조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3은 세탁수조이고, 세탁수조(3)에는 외조(4) 및 드럼(5)이 포함되어 있다. 세탁수조(3)는 코일스프링 및 덤퍼를 포함하는 탄성지지부재(14)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세탁수조(3)의 아래쪽에 탱크(11)가 배치되어 있다. 탱크(11)의 전방 우측에는 필터유니트(15)가 배치되어 있고, 필터유니트(15)는 소정의 호스나 파이프에 의해 세탁수조(3) 및 탱크(11)와 접속되어 있다.
세탁수조(3)의 상부에는 수도꼭지(16)와, 수도꼭지(16)로부터 들어온 물을 수로에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급수밸브(17)와, 물주입구 유니트(18)와, 오존(정화용 공기)을 발생하는 오존발생기(19)와, 건조공정에서 건조풍로(20)(순환풍로) 내에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블로어(21)와, 블로어(21)에 의해 건조풍로(20)를 순환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린트 등의 이물을 포획하기 위한 건조용 필터유니트(22)가 구비되어 있다.
세탁공정(세탁공정 또는 헹굼공정)에서는 급수밸브(17)가 제어되어 수도꼭지(16)로부터 공급되는 수도물이 세탁수조(3) 내에 고인다. 그 때, 물이 물주입구 유니트(18) 내의 세제용기(29)(도 4 참조)를 통과하여 세탁수조(3)에 이르도록 하면, 세제가 풀린 물을 세탁수조(3)에 모을 수 있다. 세탁공정에서는 DD모터(6)에 의해 드럼(5)이 회전된다. 또, 순환펌프(25)에 의해서 세탁수조(3) 내의 물이 필터유니트(15)를 경유하여 길어내지고, 길어낸 물은 순환수로(제2 순환수로(57))를 통과하여 외조(4)의 후면 위쪽으로 유도되며, 그 후, 위에서 아래로 낙하하도록 흘러서, 세탁수조(3)(외조(4))의 후면 아래쪽로부터 세탁수조(3) 내로 돌아오도록 순환된다. 순환수로의 도중에는 기액(氣液)혼합기(27)가 개재되어 있고, 기액혼합기(27)에서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물에 오존발생기(19)에서 발생하는 오존이 혼입된다. 물에 오존이 혼입되면, 오존의 강력한 산화, 살균작용에 의해 물이 정화된다. 즉, 세탁수조(3) 내의 물은 세탁공정에서 순환되고, 순환수 중에 오존이 혼입되는 것에 의해서 정화되면서, 세탁에 이용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액혼합기(27)의 근방에는 외조(4)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기(82)가 형성되어 있고, 외조(4)가 흔들려 케이스(2)(도 1 참조)와 부딪힌 경우 등에 외조(4)의 후면에 장착된 기액혼합기(27)를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건조공정에서는 세탁수조(3) 내의 후면 아래쪽로부터 공기가 빨아내어져 건조풍로(20)를 통과하여 위쪽으로 유도되고, 건조용 필터유니트(22)에서 이물이 여과되어 세탁수조(3)의 상부 전면(前面) 측으로부터 세탁수조(3) 내로 유입하도록 순환된다. 건조풍로(20) 내를 공기가 순환할 때에 고온다습한 공기는 물과 열교환됨으로써 냉각제습된다. 그 때문에, 건조풍로(20) 내에는 물이 공급된다. 즉, 탱크(11) 내의 물이 건조용 펌프(23)에 의해 길어내지고, 예를 들어 호스로 구성된 풍로수 공급로(24)를 통하여 건조풍로(20)의 소정위치(제1 위치)에 공급되는 구성이 구비되어 있다. 또,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급수밸브(17)에 의해 수도꼭지(16)로부터 공급되는 수도물을 필요에 따라서 건조풍로(20)에 공급하는 수로도 구비되어 있다.
이상이 세탁건조기(1)의 구성 및 동작의 개요이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세탁건조기(1)의 수로 및 풍로를 중심으로 하는 전체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세탁건조기의 수로 및 풍로의 구성>
도 4는 세탁건조기(1)의 수로 및 풍로를 중심으로 하는 구성을 도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도꼭지(16)는 급수밸브(17)의 유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급수밸브(17)에는 4개의 출구가 있고, 어느 출구로부터 물을 나오게 할지를 전환할 수 있다. 급수밸브(17)의 제1 출구(28)는 물주입구 유니트(18)에 접속되어 있다. 물주입구 유니트(18) 내에는, 도시를 생략했지만, 제1 출구(28)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급수로(32)로 유도하는 수로와, 마중물(priming water)수로(33)로 유도하는 수로로 나누는 2분기 수로가 포함되어 있다. 제1 출구(28)로부터 물주입구 유니트(18)에 공급되는 물은 주로 마중물수로(33)를 통과하여 목욕물펌프(34)를 경유하고, 수로(37)를 통과하여 세제용기(29)로 흐른다. 그리고 세제용기(29) 내에 구획된 세제수용실을 경유하여 급수로(30)로부터 세탁수조(3)로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 분기되어 급수로(32)로 흐르는 일부의 물은 세탁수조(3)의 전면(前面)에 구비된 도어(10)(도 1 참조)의 상부로부터 도어(10)의 내면을 지나 세탁수조(3) 내로 흘러들도록 되어 있다. 급수밸브(17)의 제2 출구(31)도 물주입구 유니트(18)에 접속되어 있고, 제2 출구(31)를 열었을 때에 제2 출구(31)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세제용기(29) 내에 구획된 유연제수용실을 통과하여 급수로(30)로부터 세탁수조(3)로 흘러들도록 되어 있다.
한편, 목욕물펌프(34)가 구동되면, 욕조(35)의 남은 목욕물이 목욕물호스(36)를 통하여 길어 올려져 수로(37)로부터 물주입구 유니트(18)로 유입하고, 세제용기(29)의 세제수용실을 통과해 급수로(30)로부터 세탁수조(3)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급수로(30)에 의해서 세탁수조(3)로의 급수가 행해진다.
급수밸브(17)의 제3 출구(38)는 수로(39)에 의해서 건조풍로(20)의 소정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또, 급수밸브(17)의 제4 출구(40)는 수로(41)에 의해서 건조풍로(20)의 소정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제3 출구(38)는 상대적으로 소경(小徑)의 출구이며, 제4 출구(40)는 상대적으로 대경(大徑)의 출구이다. 이 때문에, 제3 출구(38)가 열리면, 상대적으로 소량의 물이 수로(39)를 경유하여 건조풍로(20)에 공급된다. 이 물은 건조풍로(20) 내에서 고온다습의 순환공기와 접촉되어 열교환에 기여한다. 제4 출구(40)가 열리면, 수로(41)를 통하여 건조풍로(20)에 상대적으로 다량의 물이 공급된다. 이 물은 건조풍로(20) 내를 상승해 오는 순환공기에 포함되는 린트 외의 이물이나, 건조풍로(20)의 내벽에 부착된 린트 외의 이물을 씻어 흘리는데 기여한다.
세탁공정(세탁공정 또는 헹굼공정)에서 세탁수조(3)에 물이 고인다. 세탁수조(3)의 바닥면 최하부(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조(4)의 바닥면 최하부)에는 배수구(42)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구(42)에는 수로(43)를 통하여 제1 배수밸브(44)의 유입구가 접속되어 있고, 제1 배수밸브(44)의 유출구는 수로(45)를 통하여 필터유니트(15)의 유입구(151)와 접속되어 있다. 제1 배수밸브(44)가 닫힘으로써, 세탁수조(3)(외조(4)) 내에 물을 모을 수 있다. 세탁수조(3) 내의 수위는, 수로(43)로부터 분기하여, 위쪽으로 연장한 에어호스(46) 내의 압력변화에 근거하여 수위센서(47)에 의해 검지된다.
필터유니트(15)는 케이스(150)를 가지고 있고, 케이스(150) 내에 이물을 포획하기 위한 필터본체(83)가 구비되어 있다. 케이스(150)에는 상술한 유입구(151)에 더하여 배수구(152), 제1 유출구(153) 및 제2 유출구(154)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구(152)에는 제2 배수밸브(48)의 유입구가 접속되어 있고, 제2 배수밸브(48)의 유출구는 배수로(49)를 통하여 외부배수호스(50) 및 배수트랩(51)과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배수밸브(44) 및 제2 배수밸브(48)가 열리면, 세탁수조(3) 내의 물은 배수구(42), 수로(43), 제1 배수밸브(44), 수로(45), 필터유니트(15), 배수구(152), 제2 배수밸브(48), 배수로(49), 외부배수호스(50)를 통과하여 배수트랩(51)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수로(49) 등에 의해서 세탁수조(3)의 물이 배수구(42)로부터 배수된다.
배수로(49)에는 일수(溢水, overflow stream)용 수로(52)의 일단(하단)이 합류하고 있다. 일수용 수로(52)의 타단(상단)은 외조(4)에 형성된 일수구(53)와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세탁수조(3)에 물이 너무 고여서 그 수위가 소정수위 이상이 되었을 경우는 일수구(53)로부터 물이 넘쳐흘러 제2 배수밸브(48)의 개폐의 여하에 관계없이, 그 물은 일수용 수로(52)로부터 배수로(49) 및 외부배수호스(50)를 통과하여 배수트랩(51)으로 배출된다.
또한, 일수용 수로(52)의 상하방향 도중부와, 필터유니트(15)의 유입구(151)와의 사이에는 기압조정용 호스(54)가 접속되어 있다. 이 호스(54)를 마련함으로써, 세탁수조(3) 내의 기압과 필터유니트(15)의 유입구(151) 측의 기압이 동일하게 되어, 필터유니트(15) 내에서 물이 역류하는 등의 문제점이 방지되고 있다.
필터유니트(15)의 제1 유출구(153)에는 제1 순환수로(55)의 일단이 접속되고, 제1 순환수로(55)의 타단은 순환펌프(25)의 흡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순환펌프(25)의 토출구에는 제2 순환수로(57)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제2 순환수로(57)의 타단 측은 세탁수조(3) 내에 고이는 물의 통상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까지 위쪽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그에 앞서, 위로부터 아래로 향하여 U턴한 U턴부(26)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U턴부(26)에는 기액혼합기(27)로서의 벤츄리(venturi)관(58)의 상단이 접속되어 있다. 벤츄리관(58)의 하단에는 제3 순환수로(59)의 일단(상단)이 접속되고, 제3 순환수로(59)의 타단(하단)은 세탁수조(3)(외조(4))의 배면 아래쪽에 접속되어 있다.
상술의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탁공정 및/또는 헹굼공정에서 세탁수조(3)에 일정량의 물이 고이며, 제1 배수밸브(44)가 열리고, 제2 배수밸브(48)가 닫힌 상태에서 순환펌프(25)가 구동됨으로써, 세탁수조(3) 내에 고인 물은 배수구(42) → 수로(43) → 제1 배수밸브(44) → 수로(45) → 유입구(151) → 케이스(150) → 제1 유출구(153) → 제1 순환수로(55) → 순환펌프(25) → 제2 순환수로(57) → U턴부(26) → 벤츄리관(58) → 제3 순환수로(59) → 세탁수조(3)로 순환된다.
여기서, 벤츄리관(58)에는 공기유입구(60)가 구비되어 있고, 공기유입구(60)에는 에어튜브(61)을 통하여 오존발생기(19)가 접속되어 있다. 벤츄리관(58)에 물이 흐를 때에 오존발생기(19)가 작동되면, 오존발생기(19)에서 생성되는 오존을 포함하는 공기(정화용 공기)는 에어튜브(61)을 통하여 공기유입구(60)로부터 벤츄리관(58) 내로 유입된다. 유입원리는 벤츄리관(58) 내를 흐르는 물에 의해 생기는 압력차(부압(負壓)) 때문이다. 순환되는 물에 오존이 혼입되면, 오존의 강한 산화력 및 살균력에 의해서 순환수가 정화되고, 정화된 물을 이용하여 세탁수조(3) 내에서의 세탁을 행할 수 있다.
필터유니트(15)의 제2 유출구(154)에는 저수(貯水)용 수로(62)의 일단(상단)이 접속되어 있고, 저수용 수로(62)의 타단(하단)은 저수밸브(63)의 유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저수밸브(63)의 유출구는 탱크(11)에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헹굼공정 종료 후, 제1 배수밸브(44)가 열리고, 제2 배수밸브(48)가 닫혀져, 순환펌프(25)가 정지한 상태에서 저수밸브(63)가 열리면, 세탁수조(3) 내에 고여 있는 헹굼에 사용된 물은 중력(자연낙하)에 의해 배수구(42) → 수로(43) → 제1 배수밸브(44) → 수로(45) → 유입구(151) → 케이스(150) → 제2 유출구(154) → 저수용 수로(62) → 저수밸브(63) → 탱크(11)로 흐른다. 이것에 의해, 탱크(11) 내에 헹굼에 사용한 이미 사용한 물을 리사이클수로서 저장할 수 있다.
탱크(11)의 위쪽에는 일수구(64)가 구비되어 있고, 일수구(64)에는 수로(65)의 일단이 접속되며, 수로(65)의 타단은 일수용 수로(52)의 도중에 합류되어 있다. 따라서, 탱크(11) 내에 소정량 이상으로 물이 고이려고 하는 경우에는, 그 물은 일수구(64) → 수로(65) → 일수용 수로(52) → 배수로(49) → 외부배수호스(50) → 배수트랩(51)으로 흘러 배출된다.
이 세탁건조기(1)에서는 탱크(11)에 고인 이미 사용한 물이 리사이클수로서 건조공정에서 재이용된다.
세탁건조기(1)에는 건조기능을 행하기 위해서, 상술한 건조풍로(20)가 구비되어 있다.
건조풍로(20)는 세탁수조(3)(외조(4))의 외측에 배치되고, 외조(4)의 배면 아래쪽 부분으로부터 세탁수조(3) 내의 공기를 빨아내고, 그 공기를 외조(4)의 전방 측 위쪽 부분으로부터 세탁수조(3) 내로 유입시키도록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풍로이다. 건조풍로(20)에는, 접속파이프(66), 필터블로어 유니트(70)(블로어(21) 및 건조용 필터유니트(22)가 포함됨) 및 접속파이프(67)가 포함되어 있다. 즉, 건조풍로(20)의 일단(하단)이 세탁수조(3)의 하부에 접속되고, 건조풍로(20)의 타단(접속파이프(67))이 세탁수조(3)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블로어(21)가 회전구동되면, 세탁수조(3) 내의 공기가 건조풍로(20)와 세탁수조(3)와의 사이에서 순환한다. 환언하면, 블로어(21)가 세탁수조(3) 내의 공기를 건조풍로(20)를 이용하여 순환시킨다.
건조풍로(20)에서 필터블로어 유니트(70)로부터 접속파이프(67)에 연결되는 풍로 내에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히터(100), 즉, 건조히터A(124) 및 건조히터B(125)(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어 순환되는 공기가 가열된다. 건조히터는, 예를 들어 반도체히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건조풍로(20) 내에서는 세탁수조(3)로부터 빨아 내어진 공기가 제습된다. 또, 건조풍로(20) 내를 순환하는 공기에 포함되는 린트 등의 이물 및 건조풍로(20)의 내벽에 부착한 이물이 씻어 내려보내진다. 그 때문에, 탱크(11)에 고인 리사이클수가 건조풍로(20) 내를 통과하도록 순환된다.
탱크(11)에는 건조용 펌프(23)의 흡입구가 접속되어 있다. 건조용 펌프(23)의 토출구에는 풍로수 공급로(24)의 일단이 접속되고, 풍로수 공급로(24)의 타단은 건조풍로(20)의 상술한 제1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건조공정에서 건조용 펌프(23)가 구동되면, 풍로수 공급로(24)를 통하여 건조풍로(20)의 제1 위치로부터 건조풍로(20) 내로 물이 공급된다. 공급되는 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풍로(20) 내를 아래쪽에서부터 위쪽으로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함과 아울러, 공기 중의 린트 등의 이물을 씻어 흘러내리며, 또한, 건조풍로(20) 내의 내벽에 부착하려고 하는 이물도 씻어 흘러내린다. 그리고, 건조풍로(20) 내를 아래쪽으로 흘러 떨어진 물은 린트 등의 이물을 수반하여 외조(4)의 아래쪽에서부터 배수구(42)를 통과하여, 수로(43) → 제1 배수밸브(44) → 수로(45) → 필터유니트(15)로 흐른다. 그리고 필터유니트(15)에서 린트 등의 이물은 포획되어 제거되고, 이물이 제거된 후의 물은 제2 유출구(154)로부터 저수용 수로(62) 및 저수밸브(63)을 통과하여 탱크(11) 내로 돌아온다.
또한, 건조풍로(20) 내를 흘러내린 물이 외조(4)로 유입하지 않고, 예를 들어 건조풍로(20) 내의 제2 위치로서의 예를 들어 하단으로부터 배출되어 탱크(11) 내로 돌아오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건조공정에서는 건조풍로(20) 내에서 행하는 열교환 및 건조풍로(20)의 내벽에 부착하는 린트 등의 이물의 세정을 위해서 다량의 물이 필요하게 된다. 이 세탁건조기(1)에 의하면, 열교환 및 이물의 세정에 필요한 물은 탱크(11)에 고인 이미 사용한 물을 리사이클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지극히 대폭적인 절수(節水)를 실현할 수 있다. 또, 탱크(11)의 물을 순환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탱크(11)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어, 탱크(11)를 마련해도 세탁건조기의 외관은 커지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필터블로어 유니트(70)에는 에어튜브(71)를 통하여 오존발생기(19)가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건조공정에서 오존발생기(19)가 작동되면, 오존발생기(19)가 발생하는 오존을 포함하는 정화용 공기는 필터블로어 유니트(70) 내로 흡입되어 세탁수조(3)로 순환되는 공기에 오존을 포함하는 공기를 혼입할 수 있다. 또한, 오존 및 오존을 포함하는 공기의 모두가 정화용 공기가 된다. 이 정화용 공기에 의해서, 건조할 의류의 소취나 제균(에어워쉬)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에어워쉬에 관해서, 정화용 공기(에어)에 의해서, 의류가 마치 에어로 씻어져 제균·소취가 이루어지는 것처럼 되기 때문에, 본원 출원인은 정화용 공기를 이용하여 행하는 의류의 제균·소취를 에어워쉬라고 칭하고 있다. 그리고, 필터블로어 유니트(70), 에어튜브(71) 및 오존발생기(19)는 세탁수조(3)에 정화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정화용 공기 공급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 이와 같은 에어워쉬 기능(소취기능)을 가지는 세탁건조기(1)에서는 상술한 건조공정에 수반하여 에어워쉬를 행하는 것과 별도로 세탁공정 및 건조공정으로부터 독립하여 에어워쉬만을 행하는 운전(에어워쉬운전)이 실행된다. 또한, 에어워쉬운전에서는 세탁수조(3) 내에서 상술한 의류에 한정하지 않고 구두, 모자 및 가방 등의 신변품 전반의 소취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의류가 에어워쉬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여기서, 에어워쉬에 관하여, 급수로(30)의 도중에는 급수트랩부(68)가 마련되고, 배수로(49)의 도중에는 배수트랩부(69)가 마련되어 있다. 에어워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미리 급수로(30)에 소정량의 물이 흐름으로써 급수트랩부(68)에 물이 고여 급수트랩이 형성되고, 또한, 배수로(49)에 소정량의 물이 흐르는 것에 의해서 배수트랩부(69)에 물이 고여 배수트랩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세탁수조(3)의 내부가 밀폐되어 에어워쉬 중에 세탁수조(3) 내의 정화용 공기가 세탁건조기(1)의 외부에 새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급수로(30)는 외부와 연통하는 세제용기(29)에 접속되어 있고, 또, 배수로(49)는 외부배수호스(50)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하고 있다. 그 때문에, 급수로(30) 및 배수로(49)는 세탁수조(3) 내의 세정용 공기의 누설이 가장 염려되는 개소이며, 이들 개소에서는 에어워쉬에 앞서 트랩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한편, 급수로(30) 및 배수로(49) 이외의 개소, 예를 들어, 급수로(32), 마중물 수로(33) 및 수로(37)에는 역지(逆止)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또, 급수밸브(17)의 유입구 및 출구가 닫히면, 세탁수조(3) 내의 세정용 공기가 수도꼭지(16) 측으로 새는 일은 없다. 즉, 급수로(30) 및 배수로(49) 이외의 개소에서 세탁수조(3) 내의 세정용 공기가 외부로의 새는 것은 거의 없다.
급수트랩부(68) 및 배수트랩부(69)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에어워쉬운전에 관한 제어회로의 구성>
도 5는 세탁건조기(1)의 에어워쉬운전에 관한 전기적인 제어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5의 블럭도는 세탁건조기(1)가 에어워쉬운전을 실행하는 경우에 필요한 요소만이 나타내어져 있다.
제어부(120)(제어수단)은 세탁건조기(1)의 제어 중추로서,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케이스(2)의 정면 아래쪽에 배치된 전장(電裝)부품(12)(도 1 참조)에 포함되어 있다. 또, 제어부(120)에는 타이머(122)(운전시간 설정수단)가 내장되어 있다.
제어부(120)에는 조작·표시부(13), 온도센서(123), 수위센서(47), 급수밸브(17), 제1 배수밸브(44), 제2 배수밸브(48), 오존발생기(19), 블로어(21), 히터(100)(건조히터A(124) 및 건조히터B(125)) 및 DD모터(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온도센서(123)는 세탁수조(3) 내의 공기의 온도를 검출한다.
조작·표시부(13)(도 1 참조)에서 유저가 에어워쉬운전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키(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면, 그 조작(운전개시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부(120)는 제어부(120)에 접속되어 있는 각 부품의 작동 또는 구동을 제어하여 에어워쉬운전을 실행한다. 이 때, 타이머(122)가 시간설정하거나 경과시간을 측정하거나 한다.
<에어워쉬운전의 제어동작>
도 6은 에어워쉬운전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7은 세탁건조기(1)의 최단 에어워쉬운전에서의 제어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세탁건조기(1)에서는 운전시간에 따라 6패턴의 에어워쉬운전이 행해지고, 또한, 각 운전시간에서의 에어워쉬운전에서는 드럼(5)을 회전시키는 경우와 드럼(5)을 회전시키지 않는 경우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합계 12패턴의 에어워쉬운전이 행해진다. 이들 패턴선택은 유저가 조작·표시부(13)(도 1 참조)의 조작키(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패턴선택이 행해지면, 상술한 타이머(122)가 선택된 패턴에 따라 에어워쉬의 운전시간(소취운전시간이라고도 한다.)을 설정한다. 또한, 구두나 가방 등을 에어워쉬하는 경우에는, 이들이 산란(散亂)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드럼(5)은 회전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의 왼쪽 난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시간(소취운전시간)에 따라, 에어워쉬운전이, 10분 설정, 20분 설정, 30분 설정, 40분 설정, 50분 설정, 60분 설정으로 패턴이 나눠져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왼쪽 난에서의 10분 설정이란, 타이머(122)(도 5 참조)에 의해서 설정된 에어워쉬의 운전시간(소취운전시간)이 10분간인 것을 나타낸다(20분 설정 ~ 60분 설정에서도 마찬가지). 그리고, 도 6의 오른쪽 난에서는 운전시간에 따른 6패턴의 에어워쉬운전의 각각에서의 오존발생기(19) 및 히터(100)(건조히터A(124) 및 건조히터B(125))의 작동상태 및 구동상태가 경시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각 패턴의 에어워쉬운전에서는 굵은 선 X로 오존발생기(19)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고, 가는 선 Y로 히터(100)의 구동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10분 설정의 에어워쉬운전을 최단 에어워쉬운전이라고 칭하여, 20분 설정 ~ 60분 설정의 다른 에어워쉬운전과 구별한다. 최단 에어워쉬운전에서의 10분의 소취운전시간은 이 세탁건조기(1)에서 미리 정해진 최단 운전시간이다. 최단 에어워쉬운전은 유저가 외출하기 직전에 서두르고 있는 경우나, 의류의 냄새가 경미한 경우에 실시된다. 그리고, 최단 에어워쉬운전 이외의 에어워쉬운전에서의 20분 ~ 60분의 소취운전시간은 최단 운전시간 이외의 운전시간이다. 또한, 20분 설정의 에어워쉬운전이 통상 에어워쉬운전이 되고, 60분 설정의 에어워쉬운전이 최장 에어워쉬운전이 된다. 최장 에어워쉬운전에서는 정화용 공기가 의류에 비교적 장시간 쐬게 되므로, 의류의 소취에 더하여 얼룩빼기도 가능하다.
여기서, 어느 에어워쉬운전(상기한 12패턴의 에어워쉬운전)에서도 각각의 운전시간(소취운전시간)에서 최초부터 순서대로 전처리, 정화처리, 후처리가 행해진다.
전처리는 정화용 공기를 세탁수조(3) 내에 공급하기 전에, 세탁수조(3) 내부를 밀폐하는 처리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4를 참조하여, 제어부(120)(도 5 참조)가 상술한 운전개시신호에 근거하여 도어(10)(도 1 참조)가 완전하게 닫혀 있는지를 판단하고, 도어(10)가 완전하게 닫히지 않은 경우에는 도어(10) 주변에서 세탁수조(3) 내가 밀폐되지 않기 때문에, 조작·표시부(13)(도 5 참조)의 표시기(도시하지 않음)에 경고를 표시하여 유저에게 도어(10)을 닫도록 재촉한다.
그리고, 도어(10)가 완전하게 닫혀 있는 것이 확인되면, 제어부(120)는 급수밸브(17)를 제어하여 급수밸브(17)의 제2 출구(31)를 간헐적으로 연다. 여기서, 제어부(120)는, 예를 들어, 제2 출구(31)를 0.5초간 연 후에 20초간 닫는다고 하는 1세트의 개폐를 2세트 행한다. 이것에 의해, 수도꼭지(16)로부터 소정량의 물이 제2 출구(31) 및 세제용기(29)를 경유하여 급수로(30)로 흐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적당량의 물이 급수트랩부(68)에 고여 급수트랩이 형성된다. 급수트랩(급수트랩부(68)에 고인 물)에 의해서, 세탁수조(3)의 내부가 급수로(30)에서 밀폐된다.
급수트랩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어부(120)는 급수밸브(17)를 제어하여, 급수밸브(17)의 제3 출구(38) 또는 제4 출구(40)를 연속적으로 연다. 이것에 의해, 수도꼭지(16)로부터의 물이, 상술한 바와 같이, 수로(39) 또는 수로(41)를 통하여 건조풍로(20)를 흘러내려 세탁수조(3)(상세하게는 외조(4))의 바닥에 고인다. 세탁수조(3)에 고이는 물의 수위는 수위센서(47)에 의해서 검출되고 있다. 세탁수조(3)의 수위가 드럼(5)의 하단보다 아래의 소정수위(리셋수위)까지 상승하면, 수위센서(47)에 의한 리셋수위검출에 따라 제어부(120)가 제3 출구(38) 또는 제4 출구(40)를 닫고, 또한, 제1 배수밸브(44) 및 제2 배수밸브(48)을 연다. 이것에 의해, 리셋수위까지 고인 세탁수조(3) 내의 물이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구(42)로부터 배수로(49)로 흐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트랩부(69)에 물이 고여 배수트랩이 형성된다. 환언하면, 제어부(120)는 수로(39) 또는 수로(41)와 건조풍로(20)로부터 배수구(42)로 직접 소정량의 물을 흘림으로써 배수트랩을 형성한다. 배수트랩(배수트랩부(69)에 고인 물)에 의해서, 세탁수조(3)의 내부가 배수로(49)에서 밀폐된다. 여기서, 수로(39), 수로(41) 및 건조풍로(20)는 별도수로가 되며, 세탁수조(3)에 대해서 급수로(32)와는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급수로(30)로 소정량의 물을 흘림으로써, 급수트랩부(68)에 물을 모아 급수트랩을 형성하고, 또한, 이 별도수로로부터 배수구(42)로 직접 소정량의 물을 흘림으로써, 배수트랩부(69)에 물을 모아 배수트랩을 형성한다. 즉, 배수트랩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급수로(30)가 아니고 이 별도수로로부터 배수구(42)로 직접 소정량의 물을 흘리므로, 세탁수조(3)(상세하게는 드럼(5)) 내의 신변품을 적시는 일 없이 배수트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가 제3 출구(38) 및 제4 출구(40)의 양쪽 모두를 열면, 세탁수조(3)에서는 리셋수위까지 빨리 물을 모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처리에서는 제어부(120)가 급수트랩부(68) 및 배수트랩부(69)에 각각 트랩을 형성하여 세탁수조(3)의 내부를 밀폐한다. 그리고, 전처리에서는 제어부(120)(도 5 참조)가 블로어(21)를 비교적 저속(예를 들어 2000rpm)으로 연속 회전시키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트랩부(69)에 물을 모으기 위해서 급수밸브(17)의 제3 출구(38) 및 제4 출구(40)를 여는 것에 의해서, 수도꼭지(16)가 고장나 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즉, 제3 출구(38) 및/또는 제4 출구(40)를 열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해도 수위센서(47)가 리셋수위를 검출하지 않으면, 수도꼭지(16)가 고장나 있는 것으로 판명된다.
그리고, 전처리(트랩 형성)의 후에 정화처리가 행해진다. 정화처리에서는 블로어(21)가 전처리에 이어서 비교적 저속으로 연속 회전하고 있다.
정화처리에서는 제어부(120)(도 5 참조)가 블로어(21)의 회전중에 오존발생기(19)를 작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오존발생기(19)가 발생하는 오존(정화용 공기)이, 건조공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튜브(71)로부터 필터블로어 유니트(70) 내로 흡입되어 세탁수조(3)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세탁수조(3)(상세하게는 드럼(5)) 내의 의류가 정화용 공기에 의해서 에어워쉬(소취)된다. 또한, 세탁수조(3)에 공급된 정화용 공기는 세탁수조(3) 및 건조풍로(20)의 사이에서 순환된다.
또한, 유저가 에어워쉬운전에서 드럼(5)을 회전시키는 것을 선택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도 5 참조)가 정화처리에서 DD모터(6)를 구동하여 드럼(5)을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의류가 드럼(5)의 배플(baffle)(73)(도 1 참조)에 의해서 교반되므로, 정화용 공기를 의류에 양호하게 쐴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화처리에서 의류가 정화용 공기에 의해서 정화된다. 또한, 의류의 소취에 기여한 오존은 분해된다. 또, 상술한 전처리에 의해서 세탁수조(3)의 내부가 밀폐되어 있으므로, 세탁수조(3)에 공급된 정화용 공기(특히 오존)가 세탁수조(3)로부터 외부로 새는 일은 없다. 그리고, 정화처리의 종료시에, 제어부(120)는 오존발생기(19)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정화처리에 이어서 후처리가 행해진다.
후처리에서는 제어부(120)가 정화처리로부터 이어서 회전하고 있는 블로어(21)의 회전속도를, 예를 들어 2000rpm에서 2500rpm으로 올린다. 이것에 의해, 건조풍로(20) 및 세탁수조(3)에서의 공기의 순환속도가 상승한다. 그 때문에, 정화용 공기의 오존이 비교적 고속으로 순환하게 되며, 그 결과, 산화반응하여 분해된다. 즉, 이와 같이 블로어(21)가 기능하는(블로어(21)를 이와 같은 소정의 태양으로 구동시킴) 것에 의해서, 세탁수조(3) 내의 정화용 공기가 순환하여 세탁수조(3)에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소멸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정화용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이 정화용 공기 소멸수단에 의한 정화용 공기의 소멸처리의 일례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블로어(21)를 소정의 태양으로 구동시켜 건조풍로(20)를 이용하여 세탁수조(3) 내의 정화용 공기를 순환시킨다는 단순한 처리에 의해, 세탁수조(3)에 공급된 정화용 공기를 확실히 소멸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후처리는 정화처리 후에 세탁건조기(1)(상세하게는, 세탁수조(3) 및 건조풍로(20))에 잔존하는 오존을 소멸하는 처리이다. 후처리를 실시하므로, 상술한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할 때에는 세탁수조(3)에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소멸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할 때에는 세탁수조(3)에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소멸하도록 제어부(120)가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하는 소정시간 전(즉, 정화처리의 종료시)에 오존발생기(19)를 정지시켜 세탁수조(3)로의 정화용 공기의 공급을 정지시키고, 후처리에서 정화용 공기가 소멸하도록 블로어(21)를 기능시킨다(블로어(21)의 회전속도를 올린다).
이상이 어느 에어워쉬운전에서도 행해지는 전처리, 정화처리 및 후처리이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여, 제어부(120)가 전처리, 정화처리 및 후처리에 걸쳐 히터(100)(건조히터A(124) 및 건조히터B(125))를 적절히 구동하여, 히터(100)에 의해서 세탁수조(3)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에 가열시키고 있다. 상세하게는 히터(100)에서 건조히터A(124) 및 건조히터B(125)의 어느 한쪽을 구동한다고 하는 것은 히터(100)는 약구동된다고 하는 것이고, 건조히터A(124) 및 건조히터B(125)의 양쪽 모두를 구동한다는 것은 히터(100)가 강구동된다고 하는 것이다. 즉, 히터(100)는 건조히터A(124) 및 건조히터B(125)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구동함으로써, 강구동 및 약구동으로 전환 가능하다.
그리고, 히터(100)의 구동에 수반하여, 온도센서(123)가 에어워쉬운전에서의 세탁수조(3) 내의 공기온도를 감시하고 있다.
여기서, 오존의 성질상, 히터(100)를 구동하여 세탁수조(3) 내의 정화용 공기를 어느 정도 따뜻하게 함으로써, 세탁수조(3) 내의 습도가 예를 들어 80%의 습도로 최적화되면, 오존에 의한 의류의 소취작용을 촉진할 수 있다. 이 경우, 의류로부터 냄새 성분이 증발하여 오존으로 분해된다. 그 한편, 세탁수조(3) 내의 공기온도(정화용 공기의 온도)가 소정의 상한온도(예를 들어 50℃)를 넘으면 오존이 가열에 의해서 분해되어 버려, 오존에 의한 의류의 소취작용이 반대로 방해되어 버린다. 그래서, 에어워쉬운전에서는 효율이 좋은 에어워쉬를 실현하기 위해서, 46℃를 문턱값으로 하여 드럼(5) 내의 온도가 46℃에 도달하면, 제어부(120)가 히터(100)를 강구동으로부터 약구동으로 전환하거나, 히터(100)의 구동을 정지시키거나 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운전시간에 따른 6패턴의 에어워쉬운전을 각각 설명한다. 또한, 도 6에서 T0는 최단 에어워쉬운전의 개시 타이밍을 나타내고, T1, T2 및 T3는 최단 에어워쉬운전 중의 소정의 타이밍을 나타낸다. 또, 오존발생기(19)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굵은 선 X에서 전처리의 기간에 상당하는 부분을 파선으로 나타내며, 정화처리의 기간에 상당하는 부분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후처리의 기간에 상당하는 부분을 1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6에서의 오존발생기(19)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굵은 선 X에서 위쪽으로 볼록하게 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오존발생기(19)가 작동하고 있고, 그 이외의 부분에서는 오존발생기(19)가 정지하고 있다. 또, 도 6에서의 히터(1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가는 선 Y에서 위쪽으로 볼록하게 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히터(100)가 강구동되어 있고, 그 이외의 부분에서는 히터(100)가 약구동되어 있거나 정지하고 있다.
우선, 10분 설정의 최단 운전시간에 의한 에어워쉬운전(최단 에어워쉬운전)에서는 운전개시부터 30초간(도 6에서의 타이밍 T0로부터 타이밍 T1까지의 사이), 히터(100)가 약구동된다. 이것은 이 후에 히터(100)를 강구동하는 경우에 급격한 전류변동(이른바 돌입(突入)전류)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운전 개시부터 30초 경과후(타이밍 T1)에 히터(100)의 구동이 약구동으로부터 강구동으로 전환된다. 또, 히터(100)의 구동과는 별도로 전처리가 운전개시부터 1분간(도 6에서의 타이밍 T0로부터 타이밍 T2까지의 사이) 실시된 후, 정화처리가 6분간(도 6에서의 T2로부터 T3까지의 사이) 실시된다. 즉, 타이밍 T2로부터 타이밍 T3까지의 사이에서 오존발생기(19)가 작동한다.
그리고, 정화처리에서는 세탁수조(3) 내의 공기온도가 46℃에 도달하지 않도록 히터(100)가 적절히 구동된다. 즉, 운전개시(타이밍 T0)부터 30초 경과후(타이밍 T1)에 히터(100)의 구동이 약구동으로부터 강구동으로 전환되고 나서, 세탁수조(3) 내의 공기온도가 46℃에 도달하면, 히터(100)의 구동이 강구동으로부터 약구동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세탁수조(3) 내의 공기온도가 46℃보다 낮은 소정의 하한온도(예를 들어 43℃)까지 저하하면, 히터(100)의 구동이 약구동으로부터 강구동으로 다시 전환된다. 최단 에어워쉬운전의 정화처리에서는 제어부(120)가 이와 같이 히터(100)의 구동을 적절히 전환(즉 히터(100)를 적당강구동 또는 약구동하여), 세탁수조(3) 내의 공기온도를 43℃에서 46℃까지의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한다. 그 때문에, 한정된 6분간의 시간 안에서 효율 좋게 세탁수조(3)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에어워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히터(100)를 강구동으로부터 약구동으로 전환하여도 세탁수조(3) 내의 온도가 46℃를 밑돌지 않으면, 히터(100)를 정지시켜도 된다.
그리고, 정화처리가 종료하면(도 6의 타이밍 T3), 오존발생기(19)는 정지되어 후처리가 개시된다. 그리고, 후처리가 개시됨과 동시에 히터(100)의 구동이 강구동으로부터 약구동으로 전환된다. 최단 에어워쉬운전에서는 후처리는 3분간 실시된다.
다음으로,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최단 에어워쉬운전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최단 에어워쉬운전이 개시되면, 전처리가 실시된다(스텝 S1).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급수트랩부(68) 및 배수트랩(51)에 물이 고여 급수트랩 및 배수트랩이 형성되어 세탁수조(3)의 내부가 밀폐된다. 또한, 급수트랩 및 배수트랩이 형성되면, 세탁수조(3)의 내부를 한층 완전하게 밀폐하기 위해서, 급수밸브(17), 제1 배수밸브(44) 및 제2 배수밸브(48)(도 4 참조)가 닫힌다.
그리고, 최단 에어워쉬운전이 개시되고 나서 30초 이내에서는(스텝 S2의 예) 히터(100)가 약구동된다(스텝 S3). 그 한편으로, 최단 에어워쉬운전이 개시되고 나서 30초 경과한 경우에는(스텝 S2의 아니오), 히터(100)의 구동이 약구동으로부터 강구동으로 전환된다(스텝 S4). 즉, 스텝 S3은 도 6에서의 타이밍 T0로부터 타이밍 T1까지의 기간의 처리에 상당하며, 스텝 S4는 타이밍 T1에서의 처리에 상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최단 에어워쉬운전이 개시되고 나서 1분이 경과하여 전처리가 완료되면(S5의 예), 정화처리가 실시된다(스텝 S6). 즉, 스텝 S6은 도 6에서의 타이밍 T2의 처리에 상당한다. 여기서는, 오존발생기(19)가 작동되어 히터(100)가 강구동된다.
정화처리에서 세탁수조(3) 내의 공기온도가 상술한 문턱값(46℃)에 도달하고 있지 않으면(스텝 S7의 아니오), 스텝 S7로부터 이어서 오존발생기(19)가 작동하여 히터(100)가 강구동된다. 그러나, 세탁수조(3) 내의 공기온도가 문턱값(46℃)에 도달하면(스텝 S7의 예), 상술한 바와 같이, 히터(100)의 구동이 강구동으로부터 약구동으로 전환된다(스텝 S8). 또한, 히터(100)의 구동의 전환에 수반하여, 오존발생기(19)를 정지시켜도 된다. 이것에 의해, 쓸데없이 오존발생기(19)를 작동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정화처리가 개시되고 나서, 즉, 오존발생기(19)가 작동하고 나서 6분 경과하면(스텝 S9의 예), 정화처리가 종료되고, 후처리가 실시된다(스텝 S10 참조). 또한, 스텝 S10은 도 6에서의 타이밍 T3의 처리에 상당한다. 한편, 오존발생기(19)가 작동하고 나서 6분 경과하고 있지 않으면(스텝 S9의 아니오), 스텝 S6으로부터의 처리가 반복된다. 여기서, 스텝 S8에서 히터(100)의 구동이 강구동으로부터 약구동으로 전환되어 오존발생기(19)가 정지된 경우에는 세탁수조(3) 내의 공기온도가 상술한 하한온도(43℃)를 밑돌고 있다면, 스텝 S6에서 히터(100)의 구동이 약구동으로부터 강구동으로 전환되어 오존발생기(19)가 다시 작동된다.
그리고, 후처리를 실시하고 나서 3분 경과하면(스텝 S11의 예), 최단 에어워쉬운전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10분간의 최단 에어워쉬운전에서는 전처리가 1분간 실시되고, 정화처리가 6분간 실시되며, 후처리가 3분간 실시된다.
도 6을 참조하여, 20분 설정의 통상 에어워쉬운전에서는 전처리가 4분간 실시되고, 정화처리가 10분간 실시되며, 후처리가 6분간 실시된다. 상세하게는, 정화처리에서는 오존발생기(19)가 3.5분간 작동한 후에, 3분간 정지하고, 그 후 다시 3.5분간 작동한다. 즉, 오존발생기(19)는 합계로 7분간 작동하도록 간헐적으로 작동된다. 또, 히터(100)는 전처리, 정화처리 및 후처리를 거쳐 연속적으로 약구동된다.
30분 설정의 에어워쉬운전에서는 전처리가 4분간 실시되고, 정화처리가 20분간 실시되며, 후처리가 6분간 실시된다. 상세하게는, 정화처리에서는 오존발생기(19)가 3.5분간 작동한 후에 3분간 정지하는 동작을 1세트로 하면, 이 동작이 3세트 실시된 후에 오존발생기(19)가 30초간 작동한다. 즉, 오존발생기(19)는 합계로 11분간 작동하도록 간헐적으로 작동된다. 또, 히터(100)는 전처리, 정화처리 및 후처리를 거쳐 연속적으로 약구동된다.
40분 설정의 에어워쉬운전에서는 전처리가 4분간 실시되고, 정화처리가 30분간 실시되며, 후처리가 6분간 실시된다. 상세하게는, 정화처리에서는 오존발생기(19)가 3.5분간 작동한 후에 3분간 정지하는 동작을 1세트로 하면, 이 동작이 4세트 실시된 후에 오존발생기(19)가 4분간 작동한다. 즉, 오존발생기(19)는 합계로 18분간 작동하도록 간헐적으로 작동된다. 또, 히터(100)는 전처리, 정화처리 및 후처리를 거쳐 연속적으로 약구동된다.
50분 설정의 에어워쉬운전에서는 전처리가 4분간 실시되고, 정화처리가 40분간 실시되며, 후처리가 6분간 실시된다. 상세하게는, 정화처리에서는 오존발생기(19)가 3.5분간 작동한 후에 3분간 정지하는 동작을 1세트로 하면, 이 동작이 6세트 실시된 후에 오존발생기(19)가 1분간 작동한다. 즉, 오존발생기(19)는 합계로 22분간 작동하도록 간헐적으로 작동된다. 또, 히터(100)는 전처리, 정화처리 및 후처리를 거쳐 연속적으로 약구동된다.
60분 설정의 최장 에어워쉬운전에서는 전처리가 4분간 실시되고, 정화처리가 49분간 실시되며, 후처리가 7분간 실시된다. 상세하게는, 정화처리에서는 오존발생기(19)가 5분간 작동한 후에 5분간 정지하는 동작을 1세트로 하면, 이 동작이 4세트 실시된 후에 오존발생기(19)가 9분간 작동한다. 즉, 오존발생기(19)는 합계로 29분간 작동하도록 간헐적으로 작동된다. 또, 히터(100)는 전처리, 정화처리 및 후처리를 거쳐 연속적으로 약구동된다.
이와 같이 각 에어워쉬운전을 참조하여, 에어워쉬운전의 운전시간이 길어지면, 오존(정화용 공기)의 공급시간이 증가하므로 세탁수조(3) 내에의 오존의 공급량이 증가하게 되어, 의류로부터 보다 완고(頑固)한 오염(냄새 및 잡균)을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오존의 공급량이 증가하므로, 최단 에어워쉬운전에 비해 후처리의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또, 최단 에어워쉬운전 이외의 에어워쉬운전(즉 최단 운전시간 이외의 운전시간인 경우)에서는 제어부(120)(도 5 참조)가 히터(100)를 항상 약구동하여, 세탁수조(3) 내의 공기온도를 상술한 43℃에서 46℃까지의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히터(100)를 쓸데없이 강구동하지 않음과 아울러, 세탁수조(3)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에어워쉬운전에 있어서, 후처리에서는 히터(100)가 약구동되고 있으므로 의류가 과열되지 않고, 후처리 후, 즉, 에어워쉬운전 후에 유저는 에어워쉬된 의류를 세탁수조(3)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세탁건조기(1)에서는 제어부(120)(도 5 참조)가 의류의 소취(에어워쉬)에 앞서, 상술한 운전개시신호에 근거하여 급수로(30)의 급수트랩부(68) 및 배수로(49)의 배수트랩부(69)에 각각 트랩을 형성하므로, 세탁수조(3)가 밀폐된다(도 4 참조). 그리고, 트랩 형성 후에, 세탁수조(3)에 수납된 의류는 세탁수조(3)에 공급되는 정화용 공기에 의해서 소취된다. 이 때, 세탁수조(3)가 밀폐되어 있으므로, 세탁수조(3)로부터 세탁건조기(1)의 외부로 세정용 공기가 샐 걱정은 없다.
의류를 정화용 공기에 의해서 소취하고 있을 때, 제어부(120)가 히터(100)에 의해서 세탁수조(3)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에 가열시키므로(도 5 및 도 6 참조), 세정용 공기가 가열에 의해서 분해되지 않는 정도로 정화용 공기에 의한 소취를 촉진할 수 있다. 그 결과, 타이머(122)(도 5 참조)에서 어떠한 운전시간이 설정되어도, 예를 들어, 정화용 공기에 의한 의류의 소취를 단시간에 행하는 경우(최단 에어워쉬운전)라도 의류를 충분히 소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타이머(122)에서 설정된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할 때에 세탁수조(3)에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소멸하도록 타이머(122)에서 설정된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하는 소정시간 전에 세탁수조(3)로의 정화용 공기의 공급을 정지시키고(도 7의 스텝 S8),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로어(21)를 기능시킨다(블로어(21)의 회전속도를 올림). 이것에 의해, 상술한 최단 에어워쉬운전이라도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했을 때에는 세탁수조(3)에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소멸하고 있어, 세탁수조(3)로부터 의류를 꺼낼 때에 유저가 정화용 공기의 냄새를 맡아 불쾌하게 될 일은 없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 기재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정화용 공기로서 오존을 예시했지만, 오존에 한정하지 않고, 소취, 제균이라고 하는 정화작용을 가지는 모든 기체는 정화용 공기에 포함된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소취장치(90)의 모식도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세탁건조기(1)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을 세탁건조기능이 없는 장치에 적용하는 것보다, 도 8에 나타내는 소취장치(90)을 구성해도 된다. 소취장치(90)에서는 밀폐 가능한 수용실(91)을 가지고, 수용실(91)의 내부에 의류(95) 등의 신변품이 수용된다. 그리고, 소취장치(90)는 히터(92), 팬(94)(송풍수단) 및 오존공급장치(93)를 가지고 있다. 히터(92)는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히터(100)(가열수단)에 상당하며, 팬(94)은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블로어(21)(정화용 공기 소멸수단)에 상당하고, 오존공급장치(93)는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오존발생기(19) 및 에어튜브(71)(정화용 공기 공급수단)에 상당한다(도 4 참조).
소취장치(90)에서는 오존공급장치(93)가 수용실(91) 내에 공급한 오존(정화용 공기. 도시한 파선화살표 참조)에 의해서,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의류(95)의 에어워쉬운전이 실행된다. 또한, 수용실(91)이 밀폐되어 있으므로, 에어워쉬운전 중에 수용실(91)로부터 외부로 정화용 공기가 새는 일은 없다. 또, 소취장치(90)에서의 에어워쉬운전은 상기한 세탁건조기(1)에서의 에어워쉬운전과 동일하므로, 소취장치(90)에서는 세탁건조기(1)에서의 에어워쉬운전에서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워쉬운전의 종반에는 상술한 후처리가 실시되고, 여기서, 팬(94)이 회전구동되어 수용실(91) 내의 공기를 교반하고, 수용실(91) 내의 정화 공기가 교반에 수반하여 산화반응하여 분해한다. 즉, 이와 같이 팬(94)이 수용실(91) 내의 정화용 공기를 교반한다는 단순한 처리에 의해, 수용실(91)에 공급된 정화용 공기를 확실히 소멸시킬 수 있다.
1 세탁건조기 3 세탁수조
19 오존발생기 20 건조풍로
21 블로어 30 급수로
39 수로 41 수로
42 배수구 49 배수로
68 급수트랩부 69 배수트랩부
70 필터블로어 유니트 71 에어튜브
90 소취장치 91 수용실
92 히터 93 오존공급장치
94 팬 100 히터
120 제어부 122 타이머

Claims (13)

  1. 정화(淨化)용 공기를 이용하여 신변품의 소취(消臭)를 행하는 소취기능을 가지는 세탁건조기로서,
    세탁수조와,
    급수(給水)트랩(trap)부를 가지고, 상기 세탁수조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로와,
    배수트랩부를 가지고, 상기 세탁수조의 물을 배수구로부터 배수하기 위한 배수로와,
    상기 세탁수조 내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상기 세탁수조에 정화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정화용 공기 공급수단과,
    상기 세탁수조에 공급된 정화용 공기를 소멸시키기 위한 정화용 공기 소멸수단과,
    소취운전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운전시간 설정수단과,
    운전개시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급수트랩부 및 상기 배수트랩부에 각각 트랩을 형성하고, 트랩 형성 후에 상기 정화용 공기 공급수단에 정화용 공기를 공급시키며, 또한,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서 상기 세탁수조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에 가열시키고, 상기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할 때에 상기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소멸하도록 상기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소취운전시간이 경과하는 소정시간 전에 상기 정화용 공기 공급수단의 정화용 공기의 공급을 정지시켜 상기 정화용 공기 소멸수단을 기능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세탁수조에는 상기 급수로와는 별도로 마련되고, 상기 세탁수조의 배수구에 직접 물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수로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급수로에 소정량의 물을 흘림으로써, 상기 급수트랩부에 물을 모아 급수트랩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별도수로로부터 상기 배수구에 직접 소정량의 물을 흘림으로써, 상기 배수트랩부에 물을 모아 배수트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강(强)구동 및 약(弱)구동으로 전환 가능한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운전시간이 미리 정하는 최단 운전시간 이외의 운전시간인 경우는 상기 히터를 약구동하여 상기 세탁수조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운전시간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운전시간이 미리 정하는 최단 운전시간인 경우는 상기 히터를 강구동 또는 약구동하여, 상기 세탁수조 내의 공기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조에 일단 및 타단이 접속된 순환풍로(循環風路)와, 상기 세탁수조 내의 공기를 상기 순환풍로를 이용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정화용 공기 소멸수단은 상기 송풍수단을 소정의 태양으로 구동시켜 상기 세탁수조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건조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07014195A 2007-12-28 2008-09-04 세탁건조기 및 소취장치 KR101573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39393A JP5001827B2 (ja) 2007-12-28 2007-12-28 洗濯乾燥機および消臭装置
JPJP-P-2007-339393 2007-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614A KR20100095614A (ko) 2010-08-31
KR101573951B1 true KR101573951B1 (ko) 2015-12-02

Family

ID=4082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195A KR101573951B1 (ko) 2007-12-28 2008-09-04 세탁건조기 및 소취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39576B2 (ko)
EP (1) EP2228480B1 (ko)
JP (1) JP5001827B2 (ko)
KR (1) KR101573951B1 (ko)
CN (1) CN101910497A (ko)
TW (1) TW200928040A (ko)
WO (1) WO20090842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503B1 (ko) * 2002-11-26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건조 시간제어 방법
US7941936B2 (en) * 2007-05-24 2011-05-17 Ingenious Designs Llc Garment drying apparatus
KR20120080947A (ko) * 2011-01-10 2012-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운전방법
JP5887487B2 (ja) * 2011-12-05 2016-03-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乾燥機
DE102011089116A1 (de) * 2011-12-20 2013-06-2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m Speicherbehälter und einem Oxidationsmittelgenerator sowie Verfahren zu seinem Betrieb
US20130174434A1 (en) * 2012-01-11 2013-07-11 General Electric Company Drying rack for use with a dryer appliance
DE102012209211A1 (de) * 2012-05-31 2013-12-0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mit einem Behandlungsgasgenerator und einer Einspülanordnung
DE102012209823A1 (de) * 2012-06-12 2013-12-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m Generator, insbesondere einem Ozongenerator, und einer Filtereinrichtung
KR20140028406A (ko) * 2012-08-28 201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장치와 이를 갖춘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DE102014214343B4 (de) * 2014-07-23 2020-01-16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JP6460915B2 (ja) * 2015-05-27 2019-01-30 アクア株式会社 衣類処理装置
USD854766S1 (en) * 2017-04-25 201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ddle lighter for washing machine
WO2019137210A1 (zh) * 2018-01-15 2019-07-18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设备的衣物处理方法及衣物处理设备
CN108914478A (zh) * 2018-08-24 2018-11-30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具有空气洗功能的衣物处理设备
CN110079973B (zh) * 2019-05-24 2020-05-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衣机及洗衣机的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8021A (ja) * 2005-10-07 2007-04-19 Sanyo Electric Co Ltd 衣類乾燥機、洗濯機および衣類乾燥機能付き洗濯機
JP2007313231A (ja) * 2006-05-29 2007-12-06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およびトラップ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423996U (de) * 1977-09-22 Sueddeutsche Metallwerke Gmbh, 6909 Walldorf Gerät zur Pflege von Kleidungsstücken
KR101022217B1 (ko) * 2004-05-27 2011-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탈취수단을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90255299A1 (en) 2005-10-07 2009-10-15 Sanyo Electric Co., Ltd. Clothes Drie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with Clothes Drying Function
JP4711839B2 (ja) 2006-01-30 2011-06-29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JP4592640B2 (ja) * 2006-05-18 2010-12-01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JP4637056B2 (ja) 2006-05-25 2011-02-23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8021A (ja) * 2005-10-07 2007-04-19 Sanyo Electric Co Ltd 衣類乾燥機、洗濯機および衣類乾燥機能付き洗濯機
JP2007313231A (ja) * 2006-05-29 2007-12-06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およびトラ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614A (ko) 2010-08-31
US8739576B2 (en) 2014-06-03
EP2228480A4 (en) 2015-03-25
US20100281924A1 (en) 2010-11-11
TW200928040A (en) 2009-07-01
EP2228480B1 (en) 2018-11-21
WO2009084281A1 (ja) 2009-07-09
JP5001827B2 (ja) 2012-08-15
JP2009160021A (ja) 2009-07-23
EP2228480A1 (en) 2010-09-15
CN101910497A (zh)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3951B1 (ko) 세탁건조기 및 소취장치
JP4711839B2 (ja) 洗濯機
KR101364547B1 (ko)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
US9238884B2 (en) Washing machine
KR101554756B1 (ko) 세탁 건조기
EP2025794B1 (en) Washing machine
JP5242153B2 (ja) 洗濯機
JP2007307145A (ja) 洗濯機
JP4869058B2 (ja) 電気洗濯機
JP4619258B2 (ja) 洗濯機
JP5087663B2 (ja) 洗濯機
JP2011019963A (ja) 洗濯機
JP4610463B2 (ja) 洗濯機
JP4679381B2 (ja) 洗濯機
JP5997886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