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217B1 - 초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217B1
KR101571217B1 KR1020130135104A KR20130135104A KR101571217B1 KR 101571217 B1 KR101571217 B1 KR 101571217B1 KR 1020130135104 A KR1020130135104 A KR 1020130135104A KR 20130135104 A KR20130135104 A KR 20130135104A KR 101571217 B1 KR101571217 B1 KR 101571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film
diffusion film
airtight adhesive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3329A (ko
Inventor
황찬연
Original Assignee
황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찬연 filed Critical 황찬연
Priority to KR1020130135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217B1/ko
Publication of KR20150053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12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having translucent writing surfaces producing visual impressions by co-operation with back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8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using foamed adhesiv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사막을 갖는 확산필름과 붙투명판유리의 테두리를 기밀성접착층으로 기밀 접합하고 상기 기밀성접착층이 미형성된 상기 확산필름과 불투명판유리의 테두리 안쪽 부분에 나노비드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급격한 투사각도에서도 상하좌우의 편차 없이 고르고 밝은 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며, 종래 무반사 유리스크린의 좌우사각을 줄인 넓은 시야각을 구현하여 초근거리에서도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초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초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 및 그 제조방법{ANTI-REFLECTIVE GLASS SCREEN COMBINATION CHALKBOARD FOR VERY SHORT DISTANCE IMAGE PROJE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초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사막을 갖는 확산필름과 붙투명판유리의 테두리를 기밀성접착층으로 기밀 접합하고 상기 기밀성접착층이 미형성된 상기 확산필름과 불투명판유리의 테두리 안쪽 부분에 나노비드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급격한 투사각도에서도 상하좌우의 편차 없이 고르고 밝은 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며, 종래 무반사 유리스크린의 좌우사각을 줄인 넓은 시야각을 구현하여 초근거리에서도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초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은 필기를 통한 강의는 물론 필요시 정지화면 또는 동영상을 투사하여 이렇게 구현된 영상을 보면서 필기를 동시에 행하며 강의 및 프레젠테이션을 행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기구이다.
이러한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은 영상구현에 필요한 영사막 스크린을 별도로 구매하지 않고 칠판 하나로 동시에 활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은 전면에서 프로젝터를 가동하며 영상을 스크린에 조사하여 강의를 하는 경우 강사의 그림자가 스크린을 가리게 되어 강의 내용이 청중에게 가려지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학교 교실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의 근거리 동영상 구현 및 판서시 좌우사각이 크고 시야각이 상대적으로 좁아서 원활한 동영상 구현 및 판서내역 확인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국내공개특허 10-2012-0028947호에 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칠판겸용 무반사 유리스크린과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창과 칠판의 판서부에 직접 필기를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투사 칠판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따르면, 판서기능과 함께 동영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칠판시스템에 있어서, 근거리 영상 투사시에도 상하편차 없이 고르고 밝은 화면을 구현하고 좌우측면에서 청중이 시청시 시인성이 떨어지는 기존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 제품의 좌우사각을 줄여 좌우 최대 75° 각도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의 유리스크린 제품은 좌우 최대 75° 각도의 시인성까지만 확보가 가능하여 단초점 프로젝터 사양까지만 청중이 원활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단초점 프로젝터에서도 스크린으로 투사된 빛에 직접적으로 강의자가 노출이 되거나 강의자에 의해 투사된 빛의 그림자가 여전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보다 넓은 좌우 시야각을 확보하면서 단초점 프로젝터 뿐만 아니라 극단초점 프로젝터 사양까지 선명하고 밝은 화면으로 영상투사가 가능한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급격한 투사각도에서도 상하좌우의 편차 없이 고르고 밝은 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며, 초근거리에서도 종래 무반사 유리스크린의 좌우사각을 줄인 넓은 시야각을 구현하여 좌우 75° 이상에서도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초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초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은, 후판; 영사막을 가지며, 상기 후판의 전면에 형성된 확산필름; 전면이 무반사 처리되며, 상기 확산필름의 전면에 접합된 불투명판유리; 상기 확산필름과 상기 불투명판유리의 테두리를 접합하는 기밀성접착층; 상기 기밀성접착층이 미형성된 상기 확산필름과 상기 불투명판유리의 테두리 안쪽 부분에 형성된 나노비드층; 을 포함하며, 상기 기밀성접착층은, 상기 확산필름의 테두리에 형성된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필름과, 상기 불투명판유리의 테두리와 상기 EVA필름 사이에 형성된 PE(폴리에틸렌)폼 양면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후판은 GI함석판(아연도금강판) 또는 강화플라스틱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확산필름에는 특정 컬러 및 디자인된 도안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초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의 제조방법은, 전면이 무반사 처리된 불투명판유리의 후면 테두리에 PE(폴리에틸렌)폼 양면테이프와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필름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기밀성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밀성접착층이 미형성된 상기 불투명판유리의 후면 테두리 안쪽 부분에 나노비드 페이스트를 코팅하여 나노비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GI함석판(아연도금강판) 또는 강화플라스틱판으로 이루어진 후판의 전면에 영사막을 갖는 확산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밀성접착층 위에 상기 확산필름의 전면이 마주보도록 적층하고 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사막을 갖는 확산필름과 붙투명판유리의 테두리를 기밀성접착층으로 기밀 접합하고 상기 기밀성접착층이 미형성된 상기 확산필름과 불투명판유리의 테두리 안쪽 부분에 나노비드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초근거리 영상투사의 급격한 투사각도에서도 상하좌우의 편차 없이 고르고 밝은 화면을 구현할 수 있어 단초점 뿐만 아니라 극단초점 프로젝터 사양까지 선명하고 밝은 화면으로 영상투사가 가능하며, 종래 무반사 유리스크린의 좌우사각을 줄인 넓은 시야각을 구현하여 초근거리에서도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을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을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판이 배치된 방향을 후방으로, 불투명판유리가 적층된 방향을 전방으로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은, 필기구를 이용한 판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시 극단초점 프로젝터를 이용한 선명한 화질의 영상투사가 가능한 스크린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후방에서부터 순서대로 적층된 후판(10), 확산필름(20), 불투명판유리(50), 기밀성접착층(30), 나노비드층(40) 및 불투명판유리(50)을 포함한다.
후판(10)은 후면에 자석 등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며 무게를 줄여 불투명판유리(50)의 휨응력과 일치하여 휨응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GI함석판(아연도금강판) 또는 강화플라스틱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후판이 이러한 재료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후판은 필요시 유리, 나무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확산필름(20)은 후판(10)의 전면에 부착 형성되며, 전면에는 영사막을 가진다. 이때, 확산필름(20)의 영사막은 특정 컬러 및 디자인된 도안이 표시되게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학교나 학원, 회사 등에 사용하는 경우 해당 학교나 학원, 회사의 마크나 로고와 같은 컬러 및 도안을 표시할 수 있으며, 필요시 월중 계획표와 같은 스케쥴표를 디자인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컬러 및 도안은 영상투사시 불투명판유리(50)를 통해 칠판 전체에 표시되면서 해당하는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교육이나 회의 때의 프레젠테이션 등도 가능하다.
또한, 확산필름(20)의 후면에 필요시 실버반사지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실버반사지는 빛의 밝기를 최대화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영사막에 보다 고르고 밝은 화면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구성요소이다. 실버반사지는 표면에 은성분이 코팅되어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필름을 말한다.
불투명판유리(50)는 전면이 화이트 보드마카나 수성마카 등의 필기구를 이용하여 기록할 수 있는 판서면이 되는 것으로서, 이 판서면은 미세가공처리에 의해 무반사 처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불투명판유리(50)를 1장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시 불투명판유리는 2장 이상을 적층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불투명판유리(50)의 후면은 확산필름(20)의 전면에 접합된다. 이러한 불투명판유리(50)는 일반유리는 물론 표면이 강화처리된 강화유리나 Ag 글라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러한 유리의 재질을 특정 재료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중에서 상기 Ag 글라스는 유리 표면에 적당한 두께로 특수 물질을 가공하여 무반사 특수처리함으로써 유리에서 반사되는 빛을 다시 역반사시켜 빛반사율을 현저하게 줄인 제품으로서 장시간 사용하여도 눈이 피로하지 않아 시력보호 효과가 뛰어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Ag 글라스는 내부에 인장력이 표면에는 압축력이 작용하므로 강도는 보통 유리의 2 내지 5 배 이상을 가지며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스크래치 및 외부충격에 강하고 평활도가 높아 판서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파손시에도 비산되지 않아 안전성이 높은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Ag 글라스는 내부식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알코올 및 산성 유기용제로 닦아도 표면이 상하지 않는 친환경 소재이다.
기밀성접착층(30)은 서로 대면하는 확산필름(20)의 전면과 불투명판유리(50)의 후면의 테두리를 기밀 접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기밀성접착층(30)의 두께는 확산필름(20)과 불투명판유리(50)의 접합성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최소한의 두께를 가지도록 하여 영상투사시 빛이 회절되는 길이를 최소화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기밀성접착층(30)에는 바람직하게 용융한 후 냉각하면 쉽게 떨어지지 않게 열가소성 투명재 접합 필름이 이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에 적용되는 불투명판유리는 크기가 굉장히 크다. 이렇게 큰 사이즈를 갖는 유리는 일정이상의 휨응력을 갖게 되는데, 종래에는 실링효과가 좋고 내한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여 계절 변화에 따른 접착성의 큰 변화가 없으며 인체에 무해한 특징을 갖는 친환경소재인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필름만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EVA필름(31)만으로 기밀성접착층을 형성하여 확산필름(20)과 불투명판유리(50)를 접합하게 되면 그 접착력이 큰 사이즈의 불투명유리를 지지하는데 부족하여 확산필름(20)과 불투명판유리(50)가 예기치 않게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밀성접착층(30)이 확산필름(20)의 테두리에 형성된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필름(31)과, 불투명판유리(50)의 테두리와 EVA필름(31) 사이에 형성된 PE(폴리에틸렌)폼 양면테이프(32)의 2중 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EVA 필름(31)은 PE 폼 양면테이프(32)와 쉽게 부착이 되는 성질이 있어 확산필름(20)과 불투명판유리(50)를 접합한 이후에 쉽게 분리가 되지 않아 제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는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필름(31)의 폭이 PE(폴리에틸렌)폼 양면테이프(32)의 폭보다 넓게 하여서 그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켰다.
이렇게 기밀성접착층(30)이 필름과 양면 테이프의 2중 층 구조로 형성되면 기존의 기밀성접착층에 비해 접착효과를 현저히 향상시켜 기밀성접착층(30)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확산필름(20)과 불투명판유리(50)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체 접착효과 중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EVA필름(31)은 기밀성접착층(30)의 메인 재료이므로 PE폼 양면 테이프(32)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밀성접착층(30)의 두께가 얇게 되면 이로 인하여, 확산필름(20)과 불투명판유리(50) 사이의 간격이 얇게 되어서 빛이 굴절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나노비드층(40)은 기밀성접착층(30)이 미형성된 확산필름(20)과 불투명판유리(50)의 테두리 안쪽 부분에 빈틈 없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나노비드층(40)은 바람직하게 불투명판유리(50)의 후면에 코팅되며, 확산필름(20) 접합시 기밀성접착층(30)과는 별도로 일정부분의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나노비드층(40)을 구성하는 나노비드는 예컨대 실리카, 폴리스티렌, 카르복실-폴리스티렌, 아미노-폴리스티렌, 에폭시-폴리스티렌, 디메틸아미노-폴리스티렌, 술폰에이트-폴리스틸렌 및 하이드록시-폴리스틸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분산액은 탈염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기밀성접착층(30)이 미형성된 확산필름(20)과 불투명판유리(50)의 테두리 안쪽 부분에 나노비드층(40)이 빈틈 없이 전체 접합으로 형성되면 외부에서 강한 충격이 발생하여 불투명판유리(50)가 파손되더라도 유리의 비산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불투명판유리(50)의 강도를 높여 나노비드층(40)이 없는 경우 불투명판유리를 파손시키기 위한 충격을 1로 볼 때, 적어도 이 보다 2배 이상의 충격이 전달되어야만 불투명판유리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또한, 나노비드층(40)의 두께는 최대한 얇게 하되, 기밀성접착층(30)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시켜서 그 경계부에서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만약 경계부에서 단차가 발생하게 되면 이로 인하여 이 부분에서는 빛의 굴절이 생기게 되어 스크린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
이하 종래의 공극을 갖는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과 본 실시예의 나노비드층을 갖는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의 작용에 대해 비교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불투명판유리는 그 두께로 인해 투사되는 영상이 굴절되며 사람이 보는 시야각에 따라 미세한 굴절현상을 갖게 된다. 이러한 굴절현상은 영상이나 글자가 이중의 상을 띄도록 하여 마치 입체감이 있는 듯한 영상이나 글자로 보게 된다.
본 실시예의 나노비드층(40)은 불투명판유리(40)의 후면에 빈틈 없이 전체 접합됨으로 투사되는 영상의 왜곡되는 각도와 사람이 보는 시야각에 따른 미세한 굴절 현상을 최소화시켜 상기의 영상이나 글자의 이중 상 현상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종래의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에서 좌우 최대 시야각의 확보가 어려운 이유는 위와 같이 확산필름과 불투명판유리가 접합되어 있어 빛이 유리 내부에서 회절되기 때문이다. 특히 기밀성접착층의 두께에 의해 발생된 공극에서 이러한 빛의 회절 및 반사가 심해져 결과적으로 영상이 뿌옇게 보이거나 흐릿하게 보이는 문제점을 유발하는 것이었다.
본 실시예의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은, 확산필름과 불투명판유리 사이의 공극을 최소화하며, 이 공극에 나노비드층(40)을 형성함으로써, 초근거리 영상투사의 급격한 투사각도에서도 상하좌우의 편차 없이 고르고 밝은 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며, 무반사 유리스크린의 좌우사각을 줄여 종래 75° 정도의 시인성만 확보되던 것을 최대 165°의 넓은 시야각을 구현하도록 하여 영상이나 글자가 이중의 상으로 보이는 것을 방지하며 초근거리에서도 보다 선명한 영상 및 넓은 시인성을 얻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나노비드층(40)은 입자가 매우 작은 나노비드 구조물이 일정한 형태로 정렬되어 있는 것으로서 광소자의 표면에서 급격한 굴절율의 변화로 발생하는 빛의 가시광선의 굴절 및 반사 정도를 줄여 투과되는 가시광선의 양을 증가시키고 최대한 직선으로 방출되게 하는 일명 "무반사"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반사"는 외부 빛의 반사에 대한 눈부심 현상을 줄이고, 확산필름(20)의 영사막에서 나오는 빛의 양은 감소시켜 보다 선명하고 밝은 화질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은 근거리 또는 초근거리 투사에 적합화한 것이므로, 설치공간이 짧아 유리스크린과 프로젝터를 결합한 장치세트로 제품화할 수 있다.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의 제조방법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전면이 무반사 처리된 불투명판유리(50)의 후면 테두리에 PE(폴리에틸렌)폼 양면테이프(32)와 EVA필름(31)을 순서대로 2중 층 구조로 적층하여 기밀성접착층(3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불투명판유리(50)의 후면에서 기밀성접착층(30)이 미형성된 테두리 안쪽 부분에 나노비드 페이스트를 코팅하여 나노비드층(40)을 형성한다. 나노비드 페이스트는 평활도가 높아 코팅시 불투명판유리의 후면 전체에 고르게 펼쳐지게 된다. 이때, 불투명판유리(50)는 전면을 무반사 처리하는 선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GI함석판(아연도금강판) 또는 강화플라스틱판으로 이루어진 후판(10)을 마련한다. 그리고, 후판(10)의 전면에 영사막을 갖는 확산필름(20)을 형성한다. 이때, 확산필름(20)의 영사막은 특정 컬러 및 디자인된 도안이 표시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영상투사시 상기 영사막에 표시된 컬러 및 도안이 칠판 전체에 표시되면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챔버에서 기밀성접착층(30) 위에 확산필름(20)의 전면이 마주보도록 적층하고, 확산필름(20), 기밀성접착층(30)의 용융온도 이상, 예컨대 1차 용융온도 80℃에서 40분 가열 후 2차 용융온도 100℃까지 가열된 후 대략 20분 정도 더 가열하여 후판(10)과 확산필름(20), 확산필름(20)과 불투명판유리(50)를 서로 접합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융온도 및 가열시간은 EVA 필름의 초산비닐 함량 및 계절 특성상 온도 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확산필름(20)과 불투명판유리(50)의 접합시에는 그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후, 가열로의 전원을 오프시켜 접합물이 공기 중에서 서서히 자연 냉각되도록 하여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을 완성한다. 이때, 접합물을 냉각기 등 인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급격히 냉각을 시키게 되면 접합물이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해 서로 접합된 부위는 물론 각 구성요소에서 갈라짐 등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후판 20 ; 확산필름
30 ; 기밀성접착층 31 ; EVA필름
32 ; PE폼 양면테이프 40 ; 나노비드층
50 ; 불투명판유리

Claims (5)

  1. 후판;
    영사막을 가지며, 상기 후판의 전면에 형성된 확산필름;
    상기 확산필름의 전면 테두리에 형성된 기밀성접착층;
    상기 확산필름의 전면에서 상기 기밀성접착층의 안쪽 부분에 빈틈없이 형성되며, 상기 기밀성접착층과 하나의 층을 이루는 나노비드층; 및
    전면이 무반사 처리되며, 상기 기밀성접착층 및 상기 나노비드층의 전면에 접합된 불투명판유리; 를 포함하며,
    상기 기밀성접착층은, 상기 확산필름의 전면 테두리에 형성된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필름과, 상기 불투명판유리의 후면 테두리와 상기 EVA필름 사이에 형성된 PE(폴리에틸렌)폼 양면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판은 GI함석판(아연도금강판) 또는 강화플라스틱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필름에 특정 컬러 및 디자인된 도안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
  4. 전면이 무반사 처리된 불투명판유리의 후면 테두리에 PE(폴리에틸렌)폼 양면테이프와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필름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기밀성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밀성접착층이 미형성된 상기 불투명판유리의 후면 테두리 안쪽 부분에 나노비드 페이스트를 빈틈없이 코팅하여 상기 기밀성접착층과 하나의 층을 이루도록 나노비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GI함석판(아연도금강판) 또는 강화플라스틱판으로 이루어진 후판의 전면에 영사막을 갖는 확산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밀성접착층의 후면과 상기 확산필름의 전면이 마주보도록 적층하고 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성접착층 위에 상기 확산필름의 전면이 마주보도록 적층하고 접합하는 단계는 기밀성접착층 위에 상기 확산필름의 전면이 마주보도록 적층하고, 1차 용융온도 80℃에서 40분 가열 후 2차 용융온도 100℃까지 가열된 후 20분 더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의 제조방법.
KR1020130135104A 2013-11-08 2013-11-08 초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71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104A KR101571217B1 (ko) 2013-11-08 2013-11-08 초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104A KR101571217B1 (ko) 2013-11-08 2013-11-08 초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329A KR20150053329A (ko) 2015-05-18
KR101571217B1 true KR101571217B1 (ko) 2015-11-24

Family

ID=53389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104A KR101571217B1 (ko) 2013-11-08 2013-11-08 초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12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908B1 (ko) * 2018-02-08 2018-09-04 (주)딥스원에듀 색상이 가변되는 변색칠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314B1 (ko) * 2010-01-26 2013-02-28 서상일 스크린 및 판서용 다기능 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314B1 (ko) * 2010-01-26 2013-02-28 서상일 스크린 및 판서용 다기능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329A (ko) 201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52292B (zh) 反射屏、反射屏的制造方法和影像显示系统
KR101539248B1 (ko) 프로젝터 영상 투사가 가능한 판서겸용 스크린 글래스보드
KR101170009B1 (ko) 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칠판 겸용 무반사 유리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EP1291709A4 (en) REFLECTION PROJECTION SCREEN
CN108333752A (zh) 光学系统以及头戴式显示装置
JP5872206B2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JP2006195475A (ja) 両面スクリーン
TW201426687A (zh) 電視牆及其黑框消除結構
CN104298061B (zh) 一种高辉度增益、广视角的投影幕布
JP2014186249A (ja) スクリーンユニット、マルチスクリーン、背面投射型表示装置
KR20100059220A (ko) 배면영사막 겸용 유리칠판
US11320730B2 (en) Dark-coloured or black projection screen
KR101571217B1 (ko) 초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무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 및 그 제조방법
CN211478810U (zh) 一种大尺寸无缝拼接显示系统
CN108333657A (zh) 防迭影的反射装置及其显示系统
KR101613085B1 (ko) 양면 난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 및 그 제조방법
JP2013213883A (ja) 透過型スクリーン、背面投射型表示装置
JP2013195914A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WO2022257819A1 (zh) 一种菲涅尔结构的透明投影屏及应用其的投影系统
CN208207500U (zh) 智能投影书写白板
JP6164000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07072146A (ja) 両面視認性透過型スクリーン
JP2016151685A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CN104267571A (zh) 投影幕布及具有其的投影系统
CN211577653U (zh) 超短焦硬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