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691B1 -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활용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및 서버장치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활용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및 서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691B1
KR101568691B1 KR1020110024546A KR20110024546A KR101568691B1 KR 101568691 B1 KR101568691 B1 KR 101568691B1 KR 1020110024546 A KR1020110024546 A KR 1020110024546A KR 20110024546 A KR20110024546 A KR 20110024546A KR 101568691 B1 KR101568691 B1 KR 101568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image
image inform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servic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6438A (ko
Inventor
양정일
이문권
김건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4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691B1/ko
Publication of KR20120106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62Creating, deleting, cloning virtual machine in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상징하는 다양한 종류의 아이콘 이미지들을 활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제작하거나, 또는 다양한 종류의 아이콘 이미지들을 기존의 게임, 정보 다운로드 등 이미지객체 기반의 별도 서비스기능 제공 시 적용/활용함으로써, 기 존재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활용도를 높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및 서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저장하고, 기 정의된 객체이미지 기반 서비스기능 수행 시 상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수행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활용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및 서버장치 {PERFORMANCE METHOD OF DEVICE ANS SERVER APPARATUS FOR USING APPLICATION IMAGE}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활용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및 서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션을 상징하는 다양한 종류의 아이콘 이미지들을 어플리케이션 개발/제작 시 활용하거나, 또는 다양한 종류의 아이콘 이미지들을 기존의 게임, 정보 다운로드 등 이미지객체 기반의 별도 서비스기능 제공 시 적용/활용함으로써, 기 존재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활용도를 높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활용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및 서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에 힘입어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이 오픈 환경에서 개발되고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아이콘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저장된 단말에서 화면에 아이콘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을 유도한다. 즉, 사용자가 단말의 화면에서 아이콘을 선택하면 이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대표하는 얼굴이자 상징성을 띄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독창적인 아이콘 이미지들이 존재하고 있다.
헌데, 기존에는 이처럼 다양하고 독창적인 아이콘 이미지들을 오로지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에만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활용도가 전혀 고려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 존재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저장하고, 기 정의된 객체이미지 기반 서비스기능 수행 시 상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수행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기 존재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활용도를 높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객체이미지 기반의 특정 서비스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작 시 상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작 동작을 수행하는 서버장치를 제공하여, 기 존재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활용도를 높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정보 저장단계; 및 기 정의된 객체이미지 기반 서비스기능 수행 시, 상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수행하는 서비스기능 수행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속된 외부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정보 획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 내 기 다운로드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정보 획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정보 획득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로부터 상기 이미지정보 획득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실행내역 또는 어플리케이션 판매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판매내역에 근거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정보 획득단계는, 상기 기 다운로드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획득 시, 어플리케이션 실행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실행내역에 근거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정보 획득단계는, 상기 이미지정보 획득 시, 기 설정된 랜덤선택정책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기능 수행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수행되는 기 정의된 게임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게임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상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상기 게임 서비스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기능 수행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해당 객체이미지에 대응되는 정보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다운로드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상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서버장치는, 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정보저장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객체이미지 기반의 특정 서비스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작 시 상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작 동작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는, 접속되는 외부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이미지정보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로부터 상기 이미지정보 획득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실행내역 또는 어플리케이션 판매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판매내역에 근거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로부터의 상기 이미지정보 획득 시, 기 설정된 랜덤선택정책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게임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해당 객체이미지에 대응되는 정보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및 서버장치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을 상징하는 다양한 종류의 아이콘 이미지들을 어플리케이션 개발/제작 시 활용하거나, 또는 다양한 종류의 아이콘 이미지들을 기존의 게임, 정보 다운로드 등 이미지객체 기반의 별도 서비스기능 제공 시 적용/활용함으로써, 기 존재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활용도를 높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활용하는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기능 제공 방법의 제어 흐름을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활용하는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활용하는 서비스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보유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와,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기 정의된 객체이미지 기반 서비스기능을 수행하는 단말장치(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활용하는 서비스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활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제작하는 서버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보유하고 있는 장치이다.
즉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는, 보유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판매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장치와, 기 다운로드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있는 타 단말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에서 언급한 타 단말장치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장치로부터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저장장치(예 : USB메모리장치)로부터 복사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는 단말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와 통신 접속 가능한 장치일 것이다.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는, 개발자에 의해 개발/제작되어 판매를 위해 등록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보유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접속된 정당한 단말장치의 사용자에게 구매를 원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판매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장치일 수 있다.
더불어 어플리케이션서비스장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는, 보유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의 판매 횟수를 카운팅하여 어플리케이션 별로 판매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판매내역을 생성/관리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는, 전술과 같이 판매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장치 또는 그 밖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구매 또는 다운로드 또는 복사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는 타 단말장치일 수 있다.
더불어 타 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는, 저장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를 카운팅하여 어플리케이션 별로 실행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실행내역을 생성/관리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은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접속하고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이미지정보를 추출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획득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기 정의된 객체이미지 기반 서비스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획득한 이미지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 이미지를 포함하는 아이콘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획득한 아이콘정보에 따른 아이콘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기 정의된 객체이미지 기반 서비스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는, 아이콘 이미지를 블록 형태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한 테트리스 및/또는 퍼즐버블 등과 같은 게임 서비스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아이콘 이미지를 말 형태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한 바둑 및/또는 체스 및/또는 장기 등과 같은 게임 서비스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아이콘 이미지를 카드 형태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한 카드 게임 서비스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아이콘 이미지를 해당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식별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해당 정보 즉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를 유도/안내하는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이동전화단말, 스마트폰, PDA단말, 노트북, 데스크탑PC 등의 다양한 형태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장치(300)는, 전술과 같은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접속하고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장치(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객체이미지 기반의 특정 서비스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작 시, 획득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장치(300)는, 아이콘 이미지를 블록 형태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한 테트리스 및/또는 퍼즐버블 등과 같은 게임 서비스기능을 수행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고, 아이콘 이미지를 말 형태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한 바둑 및/또는 체스 및/또는 장기 등과 같은 게임 서비스기능을 수행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고, 아이콘 이미지를 카드 형태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한 카드 게임 서비스기능을 수행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장치(300)는, 아이콘 이미지를 해당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식별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해당 정보 즉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를 유도/안내하는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수행하는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도 있다.
이에, 서버장치(300)는, 전술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활용하여 제작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양한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해당 단말장치로 제공/서비스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전술의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 등 다양한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10)와, 기 정의된 객체이미지 기반 서비스기능 수행하는 서비스기능수행부(140)와, 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저장하고, 서비스기능수행부(140)에서 객체이미지 기반 서비스기능 수행 시 상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이미지적용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서비스기능수행부(140)는,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선택/실행 조작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이에 따른 서비스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미지적용제어부(130)는, 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저장한다.
즉, 이미지적용제어부(130)는, 단말장치(100) 내에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거나, 접속된 외부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장치(100) 예를 들어 서비스기능수행부(140)는, 전술과 같이 판매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로부터의 경로 또는 그 밖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구매 또는 다운로드 또는 복사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서비스기능수행부(140)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선택/실행 조작에 따라 저장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기능수행부(140)는, 저장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를 카운팅하여 어플리케이션 별로 실행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실행내역을 생성/관리할 수 있다.
이에, 이미지적용제어부(130)는, 서비스기능수행부(140)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장치(100) 내부 특히 서비스기능수행부(140)에 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과 같이 서비스기능수행부(140)로부터 이미지정보 획득 시, 이미지적용제어부(130)는, 서비스기능수행부(140)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실행내역에 근거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미지적용제어부(130)는, 서비스기능수행부(140)에 저장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예 : 20개)의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를 획득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실행내역에 근거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소정 개수(예 : 10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 만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전술과 같이 서비스기능수행부(140)로부터 이미지정보 획득 시, 이미지적용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랜덤선택정책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적용제어부(130)는, 서비스기능수행부(140)에 저장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예 : 20개)의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를 획득하지 않고, 랜덤선택정책에 근거하여 무작위로 선택된 소정 개수(예 : 8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 만을 획득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소정 개수(예 : 8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 만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다양한 경로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술과 같은 판매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장치로서의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접속하거나 또는 타 단말장치로서의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처럼 외부의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접속한 경우, 이미지적용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로부터 보유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과 같이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로부터 이미지정보 획득 시, 이미지적용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실행내역 또는 어플리케이션 판매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판매내역에 근거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서비스장치로서의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접속한 경우 이미지적용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보유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예 : 300개)의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를 획득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서 생성/관리되는 어플리케이션판매내역에 근거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소정 개수(예 : 10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 만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타 단말장치로서의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접속한 경우 이미지적용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보유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예 : 40개)의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를 획득하지 않고, 타 단말장치로서의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서 생성/관리되는 어플리케이션실행내역에 근거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소정 개수(예 : 10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 만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로부터 이미지정보 획득 시, 이미지적용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랜덤선택정책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적용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보유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예 : 40개)의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를 획득하지 않고, 랜덤선택정책에 근거하여 무작위로 선택된 소정 개수(예 : 8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 만을 획득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소정 개수(예 : 8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 만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적용제어부(130)는, 서비스기능수행부(140)에서 객체이미지 기반 서비스기능 수행 시, 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수행하도록 한다.
즉, 서비스기능수행부(140)는, 전술과 같이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선택/실행 조작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이에 따른 객체이미지 기반의 서비스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서비스기능수행부(140)에서 객체이미지 기반 서비스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이미지적용제어부(130)는, 서비스기능수행부(140)와의 연동을 통해 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수행하도록 서비스기능수행부(140)로 요청/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비스기능수행부(140)는, 기 정의된 게임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게임어플리케이션을 보유할 수 있고, 선택된 객체이미지에 대응되는 정보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다운로드어플리케이션을 보유할 수 있다.
이에, 서비스기능수행부(140)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수행되는 기 정의된 게임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게임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이미지적용제어부(130)는, 서비스기능수행부(140)와의 연동을 통해 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수행하도록 요청/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기능수행부(140)는, 블록 형태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수행되는 테트리스 및/또는 퍼즐버블 등과 같은 게임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게임어플리케이션, 또는 말 형태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수행되는 바둑 및/또는 체스 및/또는 장기 등과 같은 게임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게임어플리케이션, 또는 카드 형태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수행되는 카드 게임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게임어플리케이션을 보유할 수 있다.
이에 이미지적용제어부(130)는, 보유된 게임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기 저장된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에 따른 아이콘 이미지를 금번 실행된 게임어플리케이션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게임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해당 게임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도록 한다.
이에 단말장치(100)에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아이콘 이미지들을 블록 형태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한 테트리스 및/또는 퍼즐버블 등과 같은 게임 서비스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아이콘 이미지들을 말 형태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한 바둑 및/또는 체스 및/또는 장기 등과 같은 게임 서비스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아이콘 이미지들을 카드 형태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한 카드 게임 서비스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이미지로 표현되는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는, 서비스기능수행부(140)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해당 객체이미지에 대응되는 정보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다운로드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이미지적용제어부(130)는, 서비스기능수행부(140)와의 연동을 통해 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수행하도록 요청/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기능수행부(14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식별용의 객체이미지들을 나열하고 각 객체이미지에 대응되는 정보 즉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정보 및 다운로드 방법 및 다운로드 경로 등을 제시하여 다운로드를 유도/안내하는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다운로드어플리케이션을 보유할 수 있다.
이에 이미지적용제어부(130)는, 보유된 다운로드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기 저장된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에 따른 아이콘 이미지를 금번 실행된 다운로드어플리케이션의 식별용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다운로드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해당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도록 한다.
이에 단말장치(100)에서는, 아이콘 이미지를 해당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식별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해당 정보 즉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를 유도/안내하는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이미지로 표현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유도/안내 화면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전술에서는 서비스기능수행부(140)에서 게임 또는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을 보유하고 이에 따른 서비스기능에 아이콘 이미지를 적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이다. 즉, 이미지적용제어부(130)는 서비스기능수행부(140)와의 연동을 통해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서비스기능에서 아이콘 이미지를 적용/활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미지적용제어부(130)가 어플리케이션 형태로서 단말장치(100)에 내장되어,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이미지적용제어부(130)가 실행됨에 따라 전술과 같은 이미지정보 획득/저장, 이미지정보를 활용한 서비스기능 수행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활용한 서비스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을 상징하는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 이미지들을 다양한 경로를 통해 획득하고, 획득한 아이콘 이미지들을 다양한 게임 또는 정보 다운로드 등과 같은 별도의 객체이미지 기반 서비스기능에 적용하여 활용함으로써, 기 존재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활용도를 높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보유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 및 단말장치(100)가 상호 접속된다(S10).
여기서,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는, 보유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판매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장치와, 기 다운로드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타 단말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S10단계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서비스장치 또는 타 단말장치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접속하고,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0).
즉,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이미지정보를 추출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로부터 획득한 이미지정보를 저장할 것이다(S30).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객체이미지 기반의 특정 서비스기능이 실행되면(S40), 획득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S50).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획득한 이미지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 이미지를 포함하는 아이콘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획득한 아이콘정보에 따른 아이콘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기 정의된 객체이미지 기반 서비스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는, 아이콘 이미지를 블록 형태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한 테트리스 및/또는 퍼즐버블 등과 같은 게임 서비스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아이콘 이미지를 말 형태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한 바둑 및/또는 체스 및/또는 장기 등과 같은 게임 서비스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아이콘 이미지를 카드 형태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한 카드 게임 서비스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아이콘 이미지를 해당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식별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해당 정보 즉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를 유도/안내하는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저장한다(S110).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즉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아이콘 이미지를 포함하는 아이콘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10단계에 앞서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0). 이하에서 S100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접속된 외부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고(S100), 획득한 이미지정보를 S110단계에서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경로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술과 같은 판매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장치로서의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접속하거나 또는 타 단말장치로서의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처럼 외부의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접속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서 보유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과 같이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로부터 이미지정보 획득 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실행내역 또는 어플리케이션 판매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판매내역에 근거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서비스장치로서의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접속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보유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예 : 300개)의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를 획득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서 생성/관리되는 어플리케이션판매내역에 근거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소정 개수(예 : 10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 만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타 단말장치로서의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접속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보유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예 : 40개)의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를 획득하지 않고, 타 단말장치로서의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서 생성/관리되는 어플리케이션실행내역에 근거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소정 개수(예 : 10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 만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로부터 이미지정보 획득 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 설정된 랜덤선택정책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 내 기 다운로드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고(S100), 획득한 이미지정보를 S110단계에서 저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판매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장치로서의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 또는 그 밖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구매 또는 다운로드 또는 복사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저장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저장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를 카운팅하여 어플리케이션 별로 실행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실행내역을 생성/관리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 내부에 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서비스기능수행부(140)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장치(100) 내부에 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과 같이 서비스기능수행부(140)로부터 이미지정보 획득 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실행내역에 근거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 저장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예 : 20개)의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를 획득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실행내역에 근거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소정 개수(예 : 10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 만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기능수행부(140)로부터 이미지정보 획득 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 설정된 랜덤선택정책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 정의된 객체이미지 기반 서비스기능 수행 시,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수행한다(S120, S130).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선택/실행 조작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대응하는 특정 서비스기능 즉 객체이미지 기반의 서비스기능 실행되면(S120), S110단계에서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정보에 따른 아이콘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S13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 정의된 게임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게임어플리케이션을 보유할 수 있고, 선택된 객체이미지에 대응되는 정보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다운로드어플리케이션을 보유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수행되는 기 정의된 게임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게임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블록 형태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수행되는 테트리스 및/또는 퍼즐버블 등과 같은 게임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게임어플리케이션, 또는 말 형태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수행되는 바둑 및/또는 체스 및/또는 장기 등과 같은 게임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게임어플리케이션, 또는 카드 형태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수행되는 카드 게임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게임어플리케이션을 보유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보유된 게임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기 저장된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에 따른 아이콘 이미지를 금번 실행된 게임어플리케이션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게임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해당 게임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도록 한다.
따라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이미지로 표현되는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해당 객체이미지에 대응되는 정보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다운로드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수행하도록 요청/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식별용의 객체이미지들을 나열하고 각 객체이미지에 대응되는 정보 즉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정보 및 다운로드 방법 및 다운로드 경로 등을 제시하여 다운로드를 유도/안내하는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다운로드어플리케이션을 보유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보유된 다운로드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기 저장된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에 따른 아이콘 이미지를 금번 실행된 다운로드어플리케이션의 식별용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다운로드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해당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도록 한다.
따라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이미지로 표현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유도/안내 화면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단말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활용한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상징하는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 이미지들을 다양한 경로를 통해 획득하고, 획득한 아이콘 이미지들을 다양한 게임 또는 정보 다운로드 등과 같은 별도의 객체이미지 기반 서비스기능에 적용하여 활용함으로써, 기 존재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활용도를 높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장치 및 서버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활용하는 서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300)는, 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정보저장부(31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객체이미지 기반의 특정 서비스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작 시 상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작 동작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320)와, 제작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양한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해당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제공부(330)를 포함한다.
이미지정보저장부(310)는, 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저장한다.
다시 말해, 이미지정보저장부(310)는, 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즉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아이콘 이미지를 포함하는 아이콘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기능부이다.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320)는, 접속되는 외부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여 이미지정보저장부(310)에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320)는, 다양한 경로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술과 같은 판매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장치로서의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처럼 외부의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접속한 경우,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320)는,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로부터 보유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과 같이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로부터 이미지정보 획득 시,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320)는,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실행내역 또는 어플리케이션 판매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판매내역에 근거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서비스장치로서의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접속한 경우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320)는,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보유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예 : 300개)의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를 획득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서 생성/관리되는 어플리케이션판매내역에 근거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소정 개수(예 : 10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 만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로부터 이미지정보 획득 시,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320)는, 기 설정된 랜덤선택정책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320)는,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보유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예 : 40개)의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를 획득하지 않고, 랜덤선택정책에 근거하여 무작위로 선택된 소정 개수(예 : 8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 만을 획득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소정 개수(예 : 8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 만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3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객체이미지 기반의 특정 서비스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작 시 상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작 동작을 수행한다.
즉,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320)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제작을 위해 접속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객체이미지 기반의 특정 서비스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제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게임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해당 객체이미지에 대응되는 정보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제작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320)는, 이미지저장부(310)에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게임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 등을 제작할 것이다.
이에,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3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블록 형태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테트리스 및/또는 퍼즐버블, 말 형태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바둑 및/또는 체스 및/또는 장기, 카드 형태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카드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게임 어플리케이션 제작 시, 기 저장된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에 따른 아이콘 이미지를 제작 단계의 해당 게임어플리케이션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제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서버장치(300)에서는 기존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이미지로 표현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3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해당 객체이미지에 대응되는 정보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 제작 시, 기 저장된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에 따른 아이콘 이미지를 제작 단계의 해당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제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서버장치(300)에서는 기존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이미지로 표현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유도/안내 화면을 갖는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접속되는 외부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여(S200) 이미지정보저장부(310)에 저장한다(S21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경로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술과 같은 판매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장치로서의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처럼 외부의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접속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로부터 보유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과 같이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로부터 이미지정보 획득 시, 본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실행내역 또는 어플리케이션 판매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판매내역에 근거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서비스장치로서의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접속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보유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예 : 300개)의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를 획득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서 생성/관리되는 어플리케이션판매내역에 근거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소정 개수(예 : 10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 만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로부터 이미지정보 획득 시, 본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기 설정된 랜덤선택정책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200)에 보유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예 : 40개)의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를 획득하지 않고, 랜덤선택정책에 근거하여 무작위로 선택된 소정 개수(예 : 8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 만을 획득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소정 개수(예 : 8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 만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객체이미지 기반의 특정 서비스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작 시 상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작 동작을 수행한다(S220, S230).
즉, 본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개발/제작을 위해 접속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객체이미지 기반의 특정 서비스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작이 실행되면(S220),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 제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30).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게임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해당 객체이미지에 대응되는 정보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제작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S23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이미지저장부(310)에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게임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 등을 제작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블록 형태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테트리스 및/또는 퍼즐버블, 말 형태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바둑 및/또는 체스 및/또는 장기, 카드 형태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카드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게임 어플리케이션 제작 시, 기 저장된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에 따른 아이콘 이미지를 제작 단계의 해당 게임어플리케이션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제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서버장치(300)에서는 기존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이미지로 표현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해당 객체이미지에 대응되는 정보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 제작 시, 기 저장된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정보에 따른 아이콘 이미지를 제작 단계의 해당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제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서버장치(300)에서는 기존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이미지로 표현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유도/안내 화면을 갖는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활용하여 제작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양한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해당 단말장치로 제공/서비스할 수 있다(S24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버장치 및 서버장치의 동작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상징하는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정보 즉 아이콘 이미지들을 다양한 경로를 통해 획득하고, 획득한 아이콘 이미지들을 게임 또는 정보 다운로드 등과 같은 객체이미지 기반 서비스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제작에 활용함으로써, 기 존재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활용도를 높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단말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어플리케이션을 상징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징하는 다양한 종류의 아이콘 이미지들을 어플리케이션 개발/제작 시 활용하거나, 또는 다양한 종류의 아이콘 이미지들을 기존의 게임, 정보 다운로드 등 이미지객체 기반의 별도 서비스기능 제공 시 적용/활용함으로써, 기 존재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활용하는 단말장치의 방법 및 서버장치를 적용할 경우, 아이콘 이미지 활용도 및 가치 창출 측면, 사용자 UI 품질 향상 및 다양성 확보 측면에서 매우 큰 성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단말장치 및 이를 통한 서비스 솔루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다.
100 : 단말장치
200 :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
300 : 서버장치

Claims (14)

  1. 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정보 저장단계; 및
    기 정의된 객체이미지 기반 서비스기능 수행 시, 상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수행하는 서비스기능 수행단계; 및
    접속된 외부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정보 외부 획득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정보 외부 획득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로부터 상기 이미지정보 획득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실행내역 또는 어플리케이션 판매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판매내역에 근거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추천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단말장치 내 기 다운로드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정보 내부 획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정보 내부 획득단계는,
    상기 기 다운로드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획득 시, 어플리케이션 실행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실행내역에 근거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정보 획득 시, 기 설정된 랜덤선택정책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기능 수행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수행되는 기 정의된 게임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게임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상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상기 게임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기능 수행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해당 객체이미지에 대응되는 정보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다운로드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상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1 항, 제 3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0. 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정보저장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객체이미지 기반의 특정 서비스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작 시 상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작 동작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는,
    접속되는 외부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실행내역 또는 어플리케이션 판매 빈도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판매내역에 근거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추천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보유장치로부터의 상기 이미지정보 획득 시, 기 설정된 랜덤선택정책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제작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저장된 이미지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객체이미지로서 적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게임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이미지를 기반으로 해당 객체이미지에 대응되는 정보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기능을 제공하는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장치.
KR1020110024546A 2011-03-18 2011-03-18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활용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및 서버장치 KR101568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546A KR101568691B1 (ko) 2011-03-18 2011-03-18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활용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및 서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546A KR101568691B1 (ko) 2011-03-18 2011-03-18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활용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및 서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438A KR20120106438A (ko) 2012-09-26
KR101568691B1 true KR101568691B1 (ko) 2015-11-12

Family

ID=4711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546A KR101568691B1 (ko) 2011-03-18 2011-03-18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활용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및 서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6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187B1 (ko) * 2013-06-11 2015-12-21 주식회사 솔루윈 애플리케이션 편집 방법, 애플리케이션 편집 서비스 제공 서버, 애플리케이션 편집기 및 기록매체
US20160132780A1 (en) * 2014-11-12 2016-05-12 Google Inc. Automatic Selection of Images for an Applic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266B1 (en) 2001-09-17 2003-02-07 Digital Agent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elling character on intern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266B1 (en) 2001-09-17 2003-02-07 Digital Agent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elling character on inter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438A (ko)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7548B2 (en) Application recommendations based on application and lifestyle fingerprinting
CN107368410B (zh) 游戏引擎的性能测试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101503191B1 (ko)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확장 장치 및 방법
WO2014208147A1 (ja) 管理装置、管理方法、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67229A (ko)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4835056A (zh) 信息推送方法及信息推送系统
JP2014099147A (ja) モバイルアプリケーションによるデスクトップにショートカットインストール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5524398B1 (ja) オンラインゲームを提供するサーバ装置及びゲーム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EP354603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5658320B2 (ja) 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68691B1 (ko)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활용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및 서버장치
US20150280979A1 (en) Application configuring
US10269029B1 (en) Application monetization based on application and lifestyle fingerprinting
JP6434222B2 (ja) オンラインゲームを提供するサーバ装置及びゲーム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CN105208094A (zh) 一种消息通知方法及消息通知系统
US20180088930A1 (en) Updating code within an application
JP5005481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サーバ、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KR20130083077A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아이템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서버
CN112015507A (zh) 一种应用引导方法和装置
JP661626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5658322B2 (ja) 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58324B2 (ja) 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40141B1 (ko) 게임 스킬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5617324B (zh) 一种客户端网页的生成方法
JP2017104312A (ja) 情報処理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