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349B1 -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349B1
KR101565349B1 KR1020150044423A KR20150044423A KR101565349B1 KR 101565349 B1 KR101565349 B1 KR 101565349B1 KR 1020150044423 A KR1020150044423 A KR 1020150044423A KR 20150044423 A KR20150044423 A KR 20150044423A KR 101565349 B1 KR101565349 B1 KR 101565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osion
liquid
transmission line
storage body
liqui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장원
Original Assignee
(주)세명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명이엔지 filed Critical (주)세명이엔지
Priority to KR1020150044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탑에 설치된 송전선로 상부를 이동하며, 이동시에 부식방지액을 송전선로 외면에 도포하여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송전탑에 설치된 송전선로의 부식방지를 필요로 하는 경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과 연결된 구동기어가 돌출핀과 치 결합하여 가이드를 따라 전/후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이동에 의해 이동하는 액상저장체에 저장된 부식방지액이 노즐부재를 통해 송전선로에 도포되도록 한다.

Description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Corrosion protection of high-voltage lines}
본 발명은 송전선로의 부식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탑에 설치된 송전선로 상부를 이동하며, 이동시에 부식방지액을 송전선로 외면에 도포하여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선로는 지면에 소정 간격을 갖도록 다수 설치되며, 철재구조물로 이루어진 송전탑들 간에 서로 연결되도록 고공 상에 노출되어 설치되는 고압의 전선을 의미한다.
이러한 송전선로는 내부에 구비된 전도체를 통해 고압의 전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비 전도체인 피복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러한 피복은 고무재질이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장시간 외부에 노출되면 날씨 등과 같은 자연환경에 의해 부식의 과정이 발생하게 되어 일일이 송전선로를 작업자가 교체하여야 한다.
특히, 이러한 송전선로의 교체작업은 작업자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주택가나 산업단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 이후에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교체작업을 최소한으로 해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으며, 근래에는 이러한 부식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방법이 도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예로, 도 1에 도시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00438호인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방법'이나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32203호인 '부식방지용 코팅조성물'를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구성들은 송전선로 자체가 아닌, 철재구조물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시공방법이나 송전선로의 피복을 이루는 피복에 도포하여 부식을 방지하는 코팅조성물을 설명하고 있을 뿐, 송전탑 자체에 기설치된 송전선로의 부식을 방지하는 방법이나 장치에 관한 기술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00438호(2011.12.22)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방법' 2.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32203호(2015.03.25) '부식방지용 코팅조성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기술로 송전탑에 기 설치된 송전선로의 피복에 부식방지를 위한 조성물을 도포하여 송전선로의 파손이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는 송전선로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송전탑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게 구비되며, 이동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홈부가 형성되도록 횡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는 가이드와, 한 쌍의 상기 가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등 간격을 갖도록 돌출형성된 돌출핀과, 상부에 형성된 구동축이 상기 이동공간부에 관통되게 구비되도록 상기 가이드 하부에 위치하며, 정방향(시계방향) 또는 역방향(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돌출핀과 서로 치(齒) 결합하여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가 전/후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이동공간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관통삽입되며, 양측이 각각 상기 홈부의 바닥면과 면 접촉하는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가 상기 가이드에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지지체와, 상기 구동모터와 함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주입공이 천공형성된 액상저장체와, 상기 송전탑에 설치되며, 상기 액상저장체에 부식방지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대용량의 상기 부식방지액이 저장되는 공급탱크와, 상기 공급탱크와 이웃하게 설치되며, 펌핑에 의해 상기 액상저장체에 상기 부식방지액을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수용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부식방지액을 상기 액상저장체 외부로 인출하는 펌프와, 상기 수용공간부와 연통되게 상기 액상저장체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도록 한 쌍으로 설치되며, 각각이 상기 펌프와 관 연결되는 연결구와, 상기 주입공과 관 연결되도록 상기 액상저장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이동시에 상기 송전선로 외면에 상기 부식방지액을 분무시키는 노즐부재 및 상기 구동모터, 상기 펌프 및 상기 노즐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송전탑에 설치된 송전선로의 부식방지를 필요로 하는 경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과 연결된 구동기어가 돌출핀과 치 결합하여 가이드를 따라 전/후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이동에 의해 이동하는 액상저장체에 저장된 부식방지액이 노즐부재를 통해 송전선로에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송전선로의 파손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의 액상저장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의 가이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의 가이드와 지지체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를 통해 송전선로에 부식방지액을 도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가 송정탑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이하, 간략하게 '부식방지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의 액상저장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의 가이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의 가이드와 지지체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를 통해 송전선로에 부식방지액을 도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가 송정탑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식방지장치(100)는 크게 가이드(110), 돌출핀(111), 구동모터(120), 구동기어(121), 지지체(123), 액상저장체(130), 공급탱크(140), 펌프(141), 연결구(131), 노즐부재(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110)는 구동모터(1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2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가이드(110)는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게 즉, 송전탑(10)에 설치된 송전선로(20)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일측 끝단이 각각의 송전탑(10)에 각각 고정설치되거나 일측 끝단이 송전탑(10)에 고정설치되며, 구동모터(12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의 역할을 하는 이동공간부(113)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설치된다. 이때 한 쌍으로 설치되는 가이드(110)는 후술하는 지지체(123)가 구비되는 홈부(115)가 형성될 수 있도록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가이드(110)에 형성된 홈부(115)는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가이드(110)의 전체길이는 양측이 각각 지면에 일정간격을 갖도록 설치된 송전탑(10)에 고정설치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어 송전선로(20) 전체에 부식방지액(I)을 도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원가절감 또는 송전탑(10)에 설치된 송전선로(20)의 이도(Dip:전선의 늘어진 정도)에 따라 일측이 송전탑(10)에 고정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즉, 송전탑(10)에 설치된 송전선로(20)는 환경적인 영향(날씨 등)을 이유로 송전탑(10) 간에 팽팽하게 설치되지 않고, 이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여, 노즐부재(150)가 송전선로(20) 일단에 부식방지액(I)을 도포하게 되면 그 부식방지액(I)은 송전선로(20)의 경사각에 의해 송전선로(20)의 길이 폭 중앙까지 도포 가능하게 되며, 나머지 부분 역시, 다른 송전탑(10)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부식방지장치(100)를 통해 부식방지액(I)을 송전선로(20)에 도포하게 함으로써, 송전선로(20) 전체에 부식방지액(I)이 도포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돌출핀(111)은 구동모터(120)가 가이드(1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돌출핀(111)은 가이드(110)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가 기둥형상으로 돌출형성되며, 구동기어(121)와 치(齒) 결합하여 구동모터(120)에 의해 액상저장체(130)가 가이드(1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다수의 돌출핀(111)들 간의 간격은 치 결합하는 구동기어(121)의 간격과 대응되는 간격을 갖도록 돌출형성되어 구동기어(121)의 회전에 의해 액상저장체(1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돌출핀(111)은 한 쌍의 가이드(110) 상면에 각각 돌출형성되어 구동기어(121)와 치 결합할 수 있으나 구동기어(121)와 돌출핀(111) 간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구동모터(120)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가이드(110) 중 어느 하나의 상면에만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구동모터(12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회전되어 가이드(110)를 따라 액상저장체(130)가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구동모터(120)는 구동축(125)이 이동공간부(113)를 관통할 수 있도록 가이드(110) 하부에 위치하며, 후술하는 지지체(123)를 통해 가이드(110)에 지지되어 회전에 의해 하부에 구비된 액상저장체(1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구동모터(120)는 가이드(110)를 따라 전/후진하여 노즐부재(150)에 의해 송전선로(20) 표면에 부식방지액(I)이 전체적으로 도포될 수 있도록 정방향(시계방향) 또는 역방향(반 시계방향) 모두 회전할 수 있는 감속모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동기어(121)는 돌출핀(111)과 치(齒)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동공간부(113)에 관통삽입된 구동축(125) 상부에 고정결합되어 구동축(125)의 회전을 통해 각각의 돌출핀(111)과 치 결합하여 구동모터(120)가 가이드(1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체(123)는 양측이 각각 가이드(110)에 지지되도록 구동축(125)에 관통삽입되어 구동모터(120)가 가이드(110)에서 이탈되지 않게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몸체(123a) 및 롤러(123b)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123a)는 전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동축(125)이 관통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상면에서 하면까지 이어지도록 관통공이 천공형성된다. 이때 몸체(123a)는 한 쌍의 가이드(110)를 통해 형성된 이동공간부(113)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이동시에 각각의 가이드(110)와 접촉되어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지름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롤러(123b)는 몸체(123a)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하면에 가이드(110)에 형성된 홈부(115)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구동기어(121)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회전된다.
그리고, 액상저장체(130)는 공급탱크(140)를 통해 부식방지액(I)을 공급받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부식방지액(I)을 노즐부재(150)에 공급하여 송전선로(2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액상저장체(130)는 펌프(141)를 통해 공급탱크(140)에 저장된 부식방지액(I)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노즐부재(150)로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급하는 수용공간부(133)가 형성된 함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는 구동모터(120)의 하부와 고정설치되어 구동모터(120)의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액상저장체(130)는 외면에 펌프(141)와 관 연결되는 연결구(131)가 다수 설치되어 수용공간부(133)로 부식방지액(I)을 공급 또는 상기 수용공간부(133)에 수용된 부식방지액(I)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면에는 수용공간부(133) 내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한 감시창(135)이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수용공간부(133)와 노즐부재(150)가 서로 연통되어 수용공간부(133)에 수용된 부식방지액(I)이 노즐부재(15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주입공(137)이 천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공급탱크(140)는 송전선로(20)의 부식을 방지를 위한 대용량의 부식방지액(I)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공급탱크(140)는 일반인들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송전탑(10)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펌프(141)를 통해 연결구(131)와 관 연결되어 액상저장체(130)의 수용공간부(133)에 부식방지액(I)을 공급하거나 상기 연결구(131)를 통해 수용공간부(133)에서 배출되는 부식방지액(I)을 다시 저장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부식방지액(I)은 송전선로(20)의 외면을 감싸는 절연재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벤조트리아졸, 벤지이마다졸 및 벤조트리아졸 카르복실산 계열의 부식방지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펌프(141)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공급탱크(140)에 저장된 대용량의 부식방지액(I)을 압력에 의해 액상저장체(130)에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액상저장체(130)에 수용된 부식방지액(I)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펌프(141)는 일단이 공급탱크(140)와 관 연결되며, 타단이 액상저장체(130)에 구비된 다수의 연결구(131)와 관 연결되어 상기 공급탱크(140)에 저장된 부식방지액(I)을 연결구(131)에 의해 수용공간부(133)로 공급하고, 본 발명에 따른 부식방지장치(100)의 유지보수가 필요시에 상기 수용공간부(133)에 수용된 부식방지액(I)을 다시 공급탱크(140) 또는 폐기할 수 있도록 연결구(131)를 통해 배출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펌프(141)를 통해 부식방지액(I)을 공급 또는 배출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에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공급용과 배출용으로 각각 사용가능하도록 다수의 펌프(14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구(131)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부식방지액(I)이 액상저장체(130) 내부 또는 상기 액상저장체(130) 내부에 구비된 부식방지액(I)을 외부로 배출시에 사용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연결구(131)는 수용공간부(133)와 연통되게 액상저장체(130) 외면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어느 하나는 공급탱크(140)에 저장된 부식방지액(I)이 펌프(141)에 의해 수용공간부(133)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펌프(141)에 의해 수용공간부(133)에 저장된 부식방지액(I)을 액상저장체(13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때, 수용공간부(133)에 저장된 부식방지액(I)을 액상저장체(130) 외부로 배출하는 연결구(131)는 상기 액상저장체(130) 하부 즉, 수용공간부(133) 바닥면과 인접하게 구비되어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결구(131)는 액상저장체(130)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하나의 연결구(131)를 통해 부식방지액(I)의 공급 및 배출 모두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노즐부재(150)는 액상저장체(130)에 저장된 부식방지액(I)을 공급받아 송전선로(20)에 도포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우징(151), 분사압력기(153) 및 노즐(155)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151)은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다수의 노즐(155)이 관 연결될 수 있도록 중공부(151a)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분사압력기(153)와 관 연결되는 노즐(155)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구비될 수 있도록 삽입공(151b)이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151)은 액상저장체(130)의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가 주입공(137)과 연통되게 액상저장체(13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사압력기(153)는 주입공(137)과 중공부(151a)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51)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하부에는 다수의 노즐(155)과 관 연결되어 주입공(137)을 통해 공급받은 부식방지액(I)이 상기 노즐(155)을 통해 송전선로(20)로 분사될 수 있도록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개폐된다. 이때, 분사압력기(153)는 노즐(155)을 통해 분사되는 부식방지액(I)이 분무형식으로 송전선로(20)에 도포될 수 있도록 소정의 압력으로 노즐(155)에 부식방지액(I)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노즐(155)은 하우징(151) 하부에 다수 형성된 삽입공(151b)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분사압력기(153)를 통해 공급받은 부식방지액(I)을 송전선로(20) 표면에 도포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구동모터(120), 펌프(141) 및 분사압력기(153)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어몸체(161), 수위센서(163) 및 이동감지센서(16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몸체(161)는 일반인들의 조작이 불가능하게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송전탑(10)에 고정설치되며, 다수의 조작스위치(미도시)를 통해 구동모터(120)의 이동이나 펌프(141)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몸체(161)는 공급탱크(140) 또는 액상저장체(130) 내부에 저장된 부식방지액(I)의 저장량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숫자 등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위센서(163)는 공급탱크(140) 또는 액상저장체(13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탱크(140) 또는 상기 액상저장체(130)에 저장된 부식방지액(I)의 수위를 감지하여 제어몸체(161)에 그 감지값을 제공한다. 이때 수위센서(163)는 일 예로, 고수위센서(163a)와 저수위센서(163b)로 구성되며, 상기 고수위센서(163a)는 공급탱크(140) 또는 액상저장체(130) 상부 내벽에 설치되어 부식방지액(I)의 수위를 감지하고, 저수위센서(163b)는 공급탱크(140) 또는 액상저장체(130) 하부 내벽에 설치되어 부식방지액(I)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저장된 부식방지액(I)의 양을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감지센서(165)는 구동모터(12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모터(120) 또는 액상저장체(130) 외면과 접하도록 가이드(110)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액상저장체(13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부식방지장치(100)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송전탑(10)에 설치된 송전선로(20)의 부식방지를 필요로 하는 경우, 구동모터(120)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125)과 연결된 구동기어(121)가 돌출핀(111)과 치 결합하여 가이드(110)를 따라 전/후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며, 상기 구동모터(120)의 이동에 의해 이동하는 액상저장체(130)에 저장된 부식방지액(I)이 노즐(155)을 통해 송전선로(20)에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송전선로(20)의 파손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
110: 가이드 111: 돌출핀
113: 이동공간부 115: 홈부
120: 구동모터 121: 구동기어
123: 지지체 123a: 몸체
123b: 롤러 125: 구동축
130: 액상저장체 131: 연결구
133: 수용공간부 135: 감시창
137: 주입공 140: 공급탱크
141: 펌프 150: 노즐부재
151: 하우징 151a: 중공부
151b: 삽입공 153: 분사압력기
155: 노즐 160: 제어부
161: 제어몸체 163: 수위센서
163a: 고수위센서 163b: 저수위센서
165: 이동감지센서 I: 부식방지액
10: 송전탑 20: 송전선로

Claims (1)

  1.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서로 이웃하게 다수 구비되는 송전탑들 간에 이도(Dip)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며, 고압의 전압이 흐르는 송전선로에 있어서,
    상기 송전선로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송전탑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게 구비되며, 이동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홈부가 형성되도록 횡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는 가이드;
    한 쌍의 상기 가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등 간격을 갖도록 돌출형성된 돌출핀;
    상부에 형성된 구동축이 상기 이동공간부에 관통되게 구비되도록 상기 가이드 하부에 위치하며, 정방향(시계방향) 또는 역방향(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돌출핀과 서로 치(齒) 결합하여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가 전/후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동기어;
    상기 이동공간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관통삽입되며, 양측이 각각 상기 홈부의 바닥면과 면 접촉하는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가 상기 가이드에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지지체;
    상기 구동모터와 함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주입공이 천공형성된 액상저장체;
    상기 송전탑에 설치되며, 상기 액상저장체에 부식방지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대용량의 상기 부식방지액이 저장되는 공급탱크;
    상기 공급탱크와 이웃하게 설치되며, 펌핑에 의해 상기 액상저장체에 상기 부식방지액을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수용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부식방지액을 상기 액상저장체 외부로 인출하는 펌프;
    상기 수용공간부와 연통되게 상기 액상저장체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도록 한 쌍으로 설치되며, 각각이 상기 펌프와 관 연결되는 연결구;
    상기 주입공과 관 연결되도록 상기 액상저장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이동시에 상기 송전선로 외면에 상기 부식방지액을 분무시키는 노즐부재; 및
    상기 구동모터, 상기 펌프 및 상기 노즐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
KR1020150044423A 2015-03-30 2015-03-30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 KR101565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423A KR101565349B1 (ko) 2015-03-30 2015-03-30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423A KR101565349B1 (ko) 2015-03-30 2015-03-30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349B1 true KR101565349B1 (ko) 2015-11-04

Family

ID=54600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423A KR101565349B1 (ko) 2015-03-30 2015-03-30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3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737B1 (ko) 2021-09-24 2022-03-03 (주)한동엔지니어링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5119A (ja) 1999-09-21 2001-04-06 Hitachi Cable Ltd 架空送電線防食剤塗布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5119A (ja) 1999-09-21 2001-04-06 Hitachi Cable Ltd 架空送電線防食剤塗布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737B1 (ko) 2021-09-24 2022-03-03 (주)한동엔지니어링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532B1 (ko) 연속 도금 장치
KR101565349B1 (ko)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
CN202933905U (zh) 罐内清洗装置
KR101330478B1 (ko) 표면 처리 장치
KR100938701B1 (ko) 건물용 자동세척장치
CN103201164B (zh) 移动设备及其操作方法
WO2012072843A1 (es) Dispositivo robotizado de limpieza de estructuras metalicas ferricas
CN103118826B (zh) 细孔放电加工装置
KR101659438B1 (ko) 정전기 제거부스
US20170268129A1 (en) Nozzle head and electrospinning apparatus
TWI612570B (zh) 基板清潔設備
JP2018204346A (ja) トンネル工事用散水装置
CN102211068B (zh) 涂敷装置
KR101913408B1 (ko) 유해화학물 저장탱크의 누출 차단장치 및 그 차단방법
CN104416243B (zh) 具有旋转轴的放电加工机
KR20120124276A (ko) 이동식 교량 점검대
KR102135156B1 (ko) 롤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CN213887239U (zh) 一种安全工程用警示装置
KR101403565B1 (ko) 블라스팅 장치
JP5511239B2 (ja) はつり装置
KR102250362B1 (ko) 예비 토출 유닛, 이를 가지는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90030620A (ko) 산세 설비의 스트립 리프팅 장치
CN220132822U (zh) 一种养护用喷洒机构
KR20190086894A (ko) 반자동 블라스팅 장치
JP2014104576A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による薄型はつ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