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737B1 -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737B1
KR102368737B1 KR1020210126315A KR20210126315A KR102368737B1 KR 102368737 B1 KR102368737 B1 KR 102368737B1 KR 1020210126315 A KR1020210126315 A KR 1020210126315A KR 20210126315 A KR20210126315 A KR 20210126315A KR 102368737 B1 KR102368737 B1 KR 102368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panel
driving
movable body
monitor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이연
Original Assignee
(주)한동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동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동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126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Abstract

본 발명은,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에 있어서, 송전선로 설치를 위한 대상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송전선로 설치를 위한 상기 대상지역에 송전선로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송전선로가 설치된 지상 주변부의 상황을 관리설비를 운용하여 파악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전선로 감시시스템은, 지중 송전선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지중 송전선로의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장치;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지중 송전선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상위 서버; 및 전력구 내 전력설비인 환풍설비 및 조명의 작동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MONITORING system FOR POWER TRANSFER LINE}
본 발명은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 송전선로의 전구간에 걸쳐 지중 송전선로의 부분방전, 분포온도, 변형 및 침수를 측정하고,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원격으로 지중 송전선로의 고장여부 및 송전용량을 판단하고, 전력구내 환경설비를 감시, 제어할 수 있는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중 송전선로는 초고압의 전압을 전송하는 전력 케이블로, 전력구에 포설되어 있다. 종래에는 지중 송전선로에 대한 사고 예방을 위한 점검을 위해서는 전력구에 점검자가 출입하여, 지중 송전선로를 육안 점검하거나 계측장비에 의한 측정의 형태로 수행된다. 그러나, 지하 관로의 특성상 점검자의 안전의 문제와 작업 신뢰성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고, 예방점검관리 업무를 상시적으로 시행해야 하는데 따른 인력 소모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력구내 환풍설비, 전등 등 전력설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직접 전력구에 출입하지 않으면 이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6534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중 송전선로 전 구간에 걸쳐 지중 송전선로를 감시 및 진단할 수 있는 원격의 점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지중 송전선로의 감시와 함께, 전력구내 설비의 작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전력구내 전력설비의 통합적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는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시스템의 시공과정 전후에 있어 각각의 다양한 시공파트가 다수의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이를 모두 관리하고 그 시공의 적정성을 사전적, 시공과정 도중 및 사후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시공의 적정성을 검증하기 위한 수단의 자체적인 운용과 설치구조 등을 보다 안전하게 구비하되, 다양한 외부요인에 충격과 내부요인에 충격들로부터 저항성능을 가짐으로, 설치관리 상의 효율성과 수리로 인한 비용소모를 억제할 수 있는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검증을 위한 수단의 운용에 있어 적절한 동작과 이상여부 판단을 실시간 즉각적으로 판단하고 검출하여 자체적인 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는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의 설치에 따른 각종 작업과정과 시공 관련 작업의 규정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 및 필요한 전반적 사항을 모니터 및 검증할 수 있는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이상발생에 따른 책임여부와 여러가지 분쟁, 원인파악 등의 문제를 보다 분명하게 할 수 있는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설치상의 품질을 높이고 그 이후의 모든 과정에서 안정적 관리를 통하여 즉각적인 유지보수관리 등이 가능하여 추가적인 이상발생과 파손 등으로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에 있어서, 송전선로 설치를 위한 대상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송전선로 설치를 위한 상기 대상지역에 송전선로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송전선로가 설치된 지상 주변부의 상황을 관리설비를 운용하여 파악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전선로 감시시스템은, 지중 송전선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지중 송전선로의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장치;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지중 송전선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상위 서버; 및 전력구 내 전력설비인 환풍설비 및 조명의 작동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은, 지중 송전선로 전 구간에 걸쳐 지중 송전선로를 감시 및 진단할 수 있는 원격의 점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중 송전선로의 감시와 함께, 전력구내 설비의 작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전력구내 전력설비의 통합적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는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 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의 시공과정 전후에 있어 각각의 다양한 시공파트가 다수의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이를 모두 관리하고 그 시공의 적정성을 사전적, 시공과정중 및 후천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공의 적정성을 검증하기 위한 수단의 자체적인 운용과 설치구조 등을 보다 안전하게 구비하되, 다양한 외부요인에 충격과 내부요인에 충격들로부터 저항성능을 가짐으로, 설치관리 상의 효율성과 수리로 인한 비용소모를 억제할 수 있는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검증을 위한 수단의 운용에 있어 적절한 동작과 이상여부 판단을 실시간 즉각적으로 판단하고 검출하여 자체적인 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는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의 설치에 따른 각종 작업과정과 시공 관련 작업의 규정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 및 필요한 전반적 사항을 모니터 및 검증할 수 있는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이상발생에 따른 책임여부와 여러가지 분쟁, 원인파악 등의 문제를 보다 분명하게 할 수 있는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설치상의 품질을 높이고 그 이후의 모든 과정에서 안정적 관리를 통하여 즉각적인 유지보수관리 등이 가능하여 추가적인 이상발생과 파손 등으로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위한 수단을 다양한 구도와 구조환경에서 설치제공하여 모니터와 검증을 보다 효과적으로 다양하게 운영할 수 있는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지중 송전선로 감시 진단 시스템,
도 2는 도 1에 따른 데이터 수집장치의 블럭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지중 송전선로 감시 방법의 흐름도,
도 4 내지 도 8은 도 1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지중 송전선로 감시 진단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초고압 지중 송전선로 감시 진단 시스템은, 센서부(100), 제어부(120), 데이터 수집장치(200) 및 상위서버(300)를 포함한다.
센서부(100)는 전력구에 포설된 지중 송전선로의 상태와 전력구의 환경을 감시한다. 센서부(100)는 지중 송전선로의 부분방전을 감지하는 부분방전 감지 센서(PDMS : Partial Discharge Monitoring Sensor), 지중 송전선로의 분포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Temperature Sensor), 지중 송전선로의 외부요인에 의한 변형을 감지하는 변형 센서(Strain Sensor), 지중 송전선로의 침수여부를 감지하는 침수 센서(Submersion Sensor)를 포함한다.
부분방전 감지 센서는 지중 송전선로에서 부분방전을 감지하는 것으로 지중 송전선로의 주도체(Conductor) 부위에 설치하고, 소정 간격을 두고 감시하고자 하는 지중 송전선로 곳곳에 배치한다. 종래에는 부분방전이 일어날가능성이 높은 지중 송전선로의 접속부에서만 부분방전을 감시하였지만, 부분방전 감시 센서를 지중 송전선로 전구간에 걸쳐 설치하여 감시함으로써, 부분방전 감시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온도 센서와 변형 센서는 지중 송전선로와 함께 포설되는 광케이블의 형태인 분산 변형 및 온도 센서(DSTS :Distributed Strain and Temperature Sensor)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온도와 변형에 관한 감지는 어느 지점에 관한 것이 아닌, 광케이블 전체에 걸쳐 연속적인 분포로 나타난다. 침수 센서와 수위 센서는 지중 송전선로의 침수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것으로, 침수 센서와 수위 센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침수 센서는 지중 송전선로의 표면에 부착되고, 수위 센서는 지중송전선로에 부착하거나 전력구의 지표지표면부터 소정의 높이에 부착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지하 전력구의 주요 설비인 환풍설비와 조명의 작동상태 및 출입문의 개폐 상황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동작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수집장치(2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각 설비의 작동을 제어할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0)는 센서부(100)의 센싱 정보와 제어부(12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상위서버(300)로 전송한다. 데이터 수집장치(200)는 센서부(100)의 각 위치와 측정한 센싱 정보를 송신하도록 전력구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 구비된다. 데이터 수집장치(200)와 센서부(100)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sleep & wake up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는 항상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데이터 수집장치(200)가 센서부(100)로 동기화 패킷을 전송하며, 동기화 패킷에 따라 센서부(100)에 포함된 센서가 동기화되어 동작하게 된다. Sleep 시간은 상위서버(300)를 통해 운영자가 설정할 수 있고, 센서부(100)는 wake up 후 동기화 패킷을 수신하고 센싱 정보를 데이터 수집장치(200)로 전송한다. 상위서버(300)는 데이터 수집장치(200)에서 수집한 센싱 정보와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지중 송전선로의 상태와 전력구 설비의 동작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위서버(300)는 센싱 정보와 동작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여 관리하고, 저장된 정보를 이용해 지중 송전선로의 감시 및 진단 환경을 제공한다.
예컨대, 지중 송전선로의 부분방전 여부를 감시하고, 부분방전에 대한 진단정보를 운영자에게 제공하며, 지중송전선로에 대한 온도 센싱 정보에 기반하여 지중 송전선로의 송전용량을 계산하여 운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침수 센서와 수위 센서를 활용하여 전력구 내부의 침수 발생 가능성을 감시하고 사전에 침수 피해를 조치할 수 있도록 활용할 수 있다. 즉, 운영자는 데이터 수집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지중 송전선로의 감시 진단 시스템을 활용하여, 지중 송전선로의 점검 및 설비보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로부터 수신한 전력구 설비의 동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설비의 작동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환풍설비의 경우 전력구의 CO, CO2, H2S, CH4 등의 농도(ppm)가 일정 수준이상인 경우, 또는 미리 지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작동하게 되는데, 환풍설비의 작동이 필요한 경우인데도 환풍설비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환풍설비를 원격으로 동작시키거나, 환풍설비의 점검 및 보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위서버(300)는 각 설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데이터 수집장치(200)를 통해 제어부(120)로전달하여, 각 설비의 작동여부를 결정한다.
상위 서버는 운영자가 전력설비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로서 작용하며, 지중 송전선로에 부분방전이 발생하거나, 송전용량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또는 지중 송전선로가 침수되거나, 전력구 설비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 신호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경고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운영자의 이메일 또는 휴대폰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데이터 수집장치의 블럭도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수집장치(200)는 데이터 수집부(210), 데이터 전송부(220), 중앙처리부(230) 및 전원공급부(240)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집부(210)는 센서부(100)와 제어부(120)에 연결되어 센싱 정보 및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위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제어부(120)에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데이터 수집부(210)와 센서부(100)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유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데이터 수집부(210)와 센서부(100)는 아날로그 신호선으로 연결되거나, RS232, RS422, RS485 방식의 시리얼 통신, 이더넷 통신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무선랜이나 지그비(Zigbee)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부(220)는 상위서버(300)와 연결되어 센싱 정보 및 동작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상위서버(3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데이터 전송부(220)와 상위서버(300)는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더넷(Ethernet) 기반의 TCP/IP 프로토콜일 수 있다. 또한, 변전설비 통신에 관한 표준규격인 IEC61850이 적용될 수 있다. 중앙처리부(230)는 센싱 정보와 동작 상태 정보를 저장부(도면 미도시)에 저장하고, 데이터 수집부(210)와 데이터 전송부(220)에서 송수신할 정보를 통신 규격에 맞게 데이터 처리한다. 중앙처리부(230)는 동기화 패킷을 생성하여 데이터 수집부(210)를 통해 센서로 전송하고, sleep & wake up 방식에 따라 센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전원공급부(240)는 데이터 수집장치(200)의 각 기능부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전원공급부(240)는 충방전이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인 것이 바람직하며, 전원공급부(240)를 충전하는 경우전지 부동충전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0)가 센서부(100), 제어부(120) 또는 상위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전력구의 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 있고, 특히 전원공급원의 충전 신호와 간섭현상으로 인한노이즈에 노출될 수 있다. 부동충전 방식의 경우 균등충전 방식보다 낮은 전압을 통해 전원공급원의 충전이 가능하므로, 균등충전 방식보다 통신 환경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발생량을 더 줄일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40)는 전지 전력저장 시스템(BESS :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을 통해 충전할 수 있다. 전지 전력저장 시스템(BESS :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은 야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주간의 전력부하를 평준화하기 위하여 전지를 이용하여 심야전력을 저장한 후 주간에 활용하기 위한 설비를 의미한다.
전지 전력저장 시스템은 전력이 필요한 지역에 바로 설치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전력구에 설치되어 데이터 수집장치(200)로 충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지중 송전선로의 감시 영역을 Node 개념에서 Line 영역으로 확장하여, 지중 송전선로 전구간에 걸쳐 부분방전 발생 여부, 지중 송전선로의 분포온도, 변형여부, 침수여부 등을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지중 송전선로의 감시와 함께, 전력구 설비를 제어할 수 있는 통합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전지 전력저장 시스템을 사용하여, 야간에 충전한 전원을 주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간과 야간의전력부하를 평준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지중 송전선로 감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지중 송전선로 센싱 단계(S310)는 센서부(100)가 지중 송전선로의 부분방전, 표면 온도, 변형, 침수여부 등 지중 송전선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전력구 설비 감지 단계(S320)는 제어부(120)가 전력구내 환풍설비와 조명의 작동 상태와 출입문의 개폐상태를 감시하고 이에 기반하여 동작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센싱 정보와 동작 상태 정보 수집 단계(S330)는 데이터 수집장치(200)가 센서부(100)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제어부(120)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센싱 정보와 제어 정보 전송 단계(S340)는 데이터 수집장치(200)가 센싱 정보와 동작 상태 정보를 상위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감시 진단 단계(S350)는 상위서버(300)가 센싱 정보와 동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지중 송전선로의 고장여부와 전력구내 전력설비의 고장여부를 파악하고, 전력설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1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전술한 내용에 근거하여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에 있어서, 송전선로 설치를 위한 대상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송전선로 설치를 위한 상기 대상지역에 송전선로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송전선로가 설치되는 과정 및 설치된 이후에 관리하도록 지상 주변부의 상황을 관리설비를 운용하여 파악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전선로 감시시스템은, 지중 송전선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지중 송전선로의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장치;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지중 송전선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상위 서버; 및 전력구 내 전력설비인 환풍설비 및 조명의 작동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설비는,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는 하부파츠와 상기 하부파츠에 장착되는 상부파츠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파츠는,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제1구동패널(311)과 상측의 제1연결바(331)와 하측의 제2연결바(341)를 통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연동되는 제2구동패널(321)과,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제1베이스패널(333)을 기반으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연동되는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상에 장착되는 제1촬영감시모듈(332)을 포함하는 제1유동체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가동체(313)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제2베이스패널(343)을 기반으로 상기 제3가동체(313)와 연동되는 제4가동체(323)와,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상에 장착되는 제2촬영감시모듈(342)을 포함하는 제2유동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은 상기 제1가동체(312)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된고,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은 상기 제3가동체(313)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화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된다.
한편 상기 상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상에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3가동체(313)사이로 구비되는 제1보조구동체(411)와, 상기 제1보조구동체(4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1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1분사구동체(412)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2구동패널(321)상에서 상기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4가동체(323)사이로 구비되는 제2보조구동체(511)와, 상기 제2보조구동체(5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2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2분사구동체(512)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하판패널부(421)와,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설치되고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둘레부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최하판패널부(4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판패널부(421)는, 중앙의 중앙하판패널부(4211)와,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의 일측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패널(311)이 삽입장착되는 일측하판패널부(4212)와,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의 타측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타측하판패널부(42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일측하판패널부(4212)와 상기 타측하판패널부(4213)는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상에서 상기 진퇴이동이 대응하여 유동되고, 상기 하부파츠는, 상기 일측하판패널부(4212)에 하방이 연동설치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접하되 내측으로 출몰되는 제1-1출몰돌기(5111)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장착되는 제1-1접촉몸체(511)와, 상기 제1-1접촉몸체(511)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1-1이동구(5112)와, 상기 제1-1이동구(5112)를 통해 상기 제1-1접촉몸체(511)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구동패널(311) 중간부에 접하는 제1-2접촉몸체(512)와, 상기 제1-2접촉몸체(512)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1-2이동구(5121)와 상기 제1-2이동구(5121)를 통해 상기 제1-2접촉몸체(512)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구동패널(311) 상단부에 접하되 제1-2출몰돌기(5131) 제1구동패널(311)에 장착되는 제1-3접촉몸체(513)를 포함하는 제1접촉고정모듈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타측하판패널부(4213)에 하방이 연동설치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접하되 내측으로 출몰되는 제2-1출몰돌기(5211)가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되는 제2-1접촉몸체(521)와, 상기 제2-1접촉몸체(521)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2-1이동구(5212)와, 상기 제2-1이동구(5212)를 통해 상기 제2-1접촉몸체(521)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2구동패널(321) 중간부에 접하는 제2-2접촉몸체(522)와, 상기 제2-2접촉몸체(522)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2-2이동구(5221)와 상기 제2-2이동구(5221)를 통해 상기 제2-2접촉몸체(522)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2구동패널(321) 상단부에 접하되 제2-2출몰돌기(5231)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되는 제2-3접촉몸체(523)를 포함하는 제2접촉고정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촉고정모듈은, 상기 제1-1접촉몸체(511)가 상기 제1-1이동구(5112)를 매개로 상기 제1-2접촉몸체(512)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1-1동작과 상기 제1-2접촉몸체(512)는 상기 제1-2이동구(5121)를 매개로 상기 제1-2출몰돌기(5131)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3접촉몸체(513)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1-2동작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제2접촉고정모듈은, 상기 제2-1접촉몸체(521)가 상기 제2-1이동구(5212)를 매개로 상기 제2-2접촉몸체(522)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1동작과 상기 제2-2접촉몸체(522)는 상기 제2-2이동구(5221)를 매개로 상기 제2-2출몰돌기(5231)가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3접촉몸체(523)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2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1접촉고정모듈과 상기 제2접촉고정모듈은, 상기 제1-1 내지 상기 제2-2동작을 기반으로 상기 제1구동패널(311), 상기 제2구동패널(321)을 상기 하판패널부(421) 및 상기 최하판패널부(422)와 연동고정시킨다.
상기 하부파츠는 인접영역 혹은 서로 상이한 별개의 영역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파츠는 상기 각 하부파츠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거나, 상기 각 하부파츠들에 대응하여 각각 장착된다.
상기 하부파츠는 상부설치면에 설치되어 상하반전형으로 위치되거나, 일측설치면에 설치되어 수평형으로 위치되거나 타측설치면에 설치되어 수평형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1-1출몰돌기(5111), 상기 제1-2출몰돌기(5131), 상기 제2-1출몰돌기(5211) 및 상기 제2-2출몰돌기(5231)는 각기 상기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된 상태에서 냉각 기능 또는 히팅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제1구동패널(311), 상기 제2구동패널(321) 및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의 주변부에 대한 온도조건이 설정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센서부 120 : 제어부
200 : 데이터 수집장치 210 : 데이터 수집부

Claims (2)

  1.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에 있어서,
    송전선로 설치를 위한 대상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송전선로 설치를 위한 상기 대상지역에 송전선로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송전선로가 설치된 지상 주변부의 상황을 상기 송전선로 설치시점과 송전선로 설치후의 시점에서 관리설비를 운용하여 파악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전선로 감시시스템은,
    지중 송전선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지중 송전선로의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장치;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상기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지중 송전선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상위 서버; 및 전력구 내 전력설비인 환풍설비 및 조명의 작동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설비는,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는 하부파츠와 상기 하부파츠에 장착되는 상부파츠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파츠는,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제1구동패널(311)과 상측의 제1연결바(331)와 하측의 제2연결바(341)를 통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연동되는 제2구동패널(321)과,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제1베이스패널(333)을 기반으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연동되는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상에 장착되는 제1촬영감시모듈(332)을 포함하는 제1유동체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가동체(313)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제2베이스패널(343)을 기반으로 상기 제3가동체(313)와 연동되는 제4가동체(323)와,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상에 장착되는 제2촬영감시모듈(342)을 포함하는 제2유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은 상기 제1가동체(312)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되며,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은 상기 제3가동체(313)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화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되며,
    상기 상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상에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3가동체(313)사이로 구비되는 제1보조구동체(411)와,
    상기 제1보조구동체(4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1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1분사구동체(412)와,
    상기 제2구동패널(321)상에서 상기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4가동체(323)사이로 구비되는 제2보조구동체(511)와,
    상기 제2보조구동체(5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2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2분사구동체(512)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하판패널부(421)와,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설치되고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둘레부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최하판패널부(422)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판패널부(421)는,
    중앙의 중앙하판패널부(4211)와,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의 일측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패널(311)이 삽입장착되는 일측하판패널부(4212)와,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의 타측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타측하판패널부(4213)를 포함하는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
  2. 삭제
KR1020210126315A 2021-09-24 2021-09-24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 KR102368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315A KR102368737B1 (ko) 2021-09-24 2021-09-24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315A KR102368737B1 (ko) 2021-09-24 2021-09-24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737B1 true KR102368737B1 (ko) 2022-03-03

Family

ID=8081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315A KR102368737B1 (ko) 2021-09-24 2021-09-24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7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168B1 (ko) * 2022-03-23 2023-01-04 (주)한승이엔씨 광대역 통합망 구성을 위한 기지국 접속라인의 커넥팅 소켓장치 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850A (ko) * 2010-12-23 2012-07-0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초고압 지중 송전선로 감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565349B1 (ko) 2015-03-30 2015-11-04 (주)세명이엔지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850A (ko) * 2010-12-23 2012-07-0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초고압 지중 송전선로 감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565349B1 (ko) 2015-03-30 2015-11-04 (주)세명이엔지 가공송전선로의 부식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168B1 (ko) * 2022-03-23 2023-01-04 (주)한승이엔씨 광대역 통합망 구성을 위한 기지국 접속라인의 커넥팅 소켓장치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399B1 (ko) 광복합 지중 송전, 배전 및 변전케이블 감시장치
KR101183587B1 (ko) 초고압 지중 송전선로 감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862143B1 (ko) 지중 배전선로의 고장 감시장치
KR101534067B1 (ko) 광복합 지중송전선로의 감시장치
CN109443440A (zh) 隧道综合监控系统
KR101773931B1 (ko) 광복합 지중 송전선로의 감시장치
CN106017560A (zh) 电缆井状态综合监测及预警系统
KR101932580B1 (ko) 초특고압 지중송전선로의 진단시스템
CN205892393U (zh) 一种施工电梯防护门闭合监控系统
KR102156212B1 (ko) 도심 지중 배전선로의 고장 감시시스템
KR101808752B1 (ko) 초고압 지중송전선로 진단시스템
CN108375962A (zh) 海上升压站巡控系统
CN213236990U (zh) 一种基于nb iot的管道监测平台
KR102368737B1 (ko) 변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설치방법
CN108155595A (zh) 变电站电缆沟智能巡视系统
KR101529563B1 (ko) 메쉬네트워크 스마트센서를 이용한 변전설비 및 지하공동구 전력설비 관재시스템
CN102562141A (zh) 地铁隧道环控巡检和消防救援方法
CN209055141U (zh) 隧道综合监控系统
CN110211339A (zh) 一种基于云平台的智慧型防灾预警监控系统和方法
CN113765218B (zh) 基于gis+bim的配电架空线路及电力设施巡检系统
KR102106387B1 (ko) 지중송전선로의 누전감시와 진단 시스템
CN211656391U (zh) 电缆沟监控系统
CN210324484U (zh) 一种窨井盖监控系统
KR102254007B1 (ko)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위치 감시 장치
CN112492539A (zh) 一种具有自学习能力的窨井盖实时监测的无线终端及其监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