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125B1 - 입도 분포조절이 가능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입도 분포조절이 가능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125B1
KR101563125B1 KR1020150070864A KR20150070864A KR101563125B1 KR 101563125 B1 KR101563125 B1 KR 101563125B1 KR 1020150070864 A KR1020150070864 A KR 1020150070864A KR 20150070864 A KR20150070864 A KR 20150070864A KR 101563125 B1 KR101563125 B1 KR 101563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screen
recycled aggregate
recycled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원
Original Assignee
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원 filed Critical 민원
Priority to KR1020150070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8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2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reinforce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도 분포조절이 가능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건설폐기물 입도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최상단(1단) 스크린의 상부에 승,하강 기능을 갖고 크러셔를 통해 파쇄된 후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건설폐기물 재생골재의 통과량 및 잔류분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을 평면상에서 볼 때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하며, 상기 최상단 스크린 이하의 스크린들 하단부에는 제어부에 의해 정해진 시간간격을 두고 정해진 시간당 각 스크린을 통해 서로 다른 입자로 선별되는 재생골재들의 중량을 산출하는 샘플링 계량수단들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정해진 시간간격을 두고 상기 샘플링 계량수단들을 통해 각 스크린을 통해 선별되는 재생골재의 정해진 시간당 중량들을 계량한 후, 이들의 중량 비율과 시방서에서 정해진 입도 분포를 상호 비교한 다음 그 결과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 중 현재 선별된 재생골재들의 비율 대비 시방서에서 정해진 입도 비율 차에 맞는 위치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만 하강시켜 최종적으로 선별되는 재생골재의 입도가 시방 허용치에 맞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최상단 스크린을 통과 또는 잔류하는 재생골재의 량을 조절하여 2단 및 3단 등의 스크린을 통해 최종적으로 선별되어 사용되는 재생골재의 입도가 해당 콘크리트 또는 도로 보조기층 등의 공사에 사용하고자 하는 시방 입도에 정확히 자동으로 맞출 수 있고,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 선별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생산된 재생골재는 물론 이를 이용하여 시공되는 콘크리트 또는 도로 보조기층 등의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입도 분포조절이 가능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djustable construction waste sorting equipment}
본 발명은 재생골재의 입도 분포조절이 가능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크기의 메쉬 망이나 서로 다른 크기의 선별공이 형성된 철판 등을 구비한 스크린들이 수직방향에 대해 정해진 높이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들은 진동 모터에 의해 진동되는 형태를 갖는 건설폐기물의 입도 선별장치에 있어서, 입도가 제일 큰 재생골재를 선별하는 최상단(1단이라고도 함) 스크린의 상부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승,하강 기능을 갖는 복수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최상단 스크린 이하의 스크린(즉, 2단 및 3단 등의 스크린) 단부에는 샘플링 계량수단들을 설치하여, 크러셔를 통해 파쇄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가 컨베이어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될 때 정해진 시간간격을 두고 2단 및 3단 등의 스크린을 통해 선별되는 재생골재의 중량을 샘플링 계량수단들을 통해 각각 계량한 후 이들의 비율을 상호 비교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 중 현재 선별된 재생골재들의 비율 대비 시방서에서 정해진 입도 비율 차에 맞는 위치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만 하강시켜 주는 방식을 통해 최상단 스크린을 통과 또는 잔류하는 재생골재의 량을 조절하여 2단 및 3단 등의 스크린을 통해 최종적으로 선별되어 사용되는 재생골재의 입도가 해당 콘크리트 또는 도로 보조기층 등의 공사에 사용하고자 하는 시방 입도에 자동으로 맞출 수 있도록 발명한 입도 분포조절이 가능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화 및 산업화의 진행과정에서 생겨난 많은 구조물, 즉 교량이나 도로 및 각종 건축물들은 세월이 지남에 따라 점차 노후되어 가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주거문화의 개선을 위해 많은 지역에서 재건축 및 재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노후 구조물의 해체나 재건축 및 재개발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많은 건설폐기물이 발생된다.
이러한 건설폐기물을 그대로 매립할 경우에는 매립지의 확보가 힘들 뿐만 아니라 매립비용이 많이 들며, 환경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므로 각국에서는 자연환경의 보호와 함께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건설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갖가지 대책들이 강구되어 왔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건설폐기물에 대한 많은 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종류에는 토분이나 폐콘크리트, 폐목재류와 같은 건설폐기물과, 폐유나 폐페인트와 같은 지정폐기물과 폐가전제품과 같은 사업장 일반폐기물이 있다.
건설폐기물은 다시, 토분을 비롯하여, 폐콘크리트, 폐아스팔트, 폐벽돌, 폐 타일, 폐석재, 폐블록 등이 포함되는 건설폐재류와, 폐목재류를 비롯하여, 폐합성수지류, 철근과 같은 금속류, 폐종이류, 폐유리류, 오니류, 폐섬유류, 소각 잔재물 등이 포함되는 혼합폐재류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폐재류가 혼재되어 있는 건설폐기물은 처리과정을 통해서 매립용, 소각용 및 재활용 용도로 분리처리하게 되며, 특히 폐기물량의 상당한 양을 차지하는 건설폐재류를 각종 구조물 또는 건축재의 골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재생함으로써 폐기물의 재활용도를 높이고자 하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한편, 건설폐기물에 의해 생성된 골재나 흙의 입도별 분리 또는 선별장치는 소정체적을 갖는 함체 내에 서로 다른 크기의 메쉬 망이나 서로 다른 크기의 선별공이 형성된 철판 등을 구비한 스크린들을 수직방향에 대해 정해진 높이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경사지게 설치하고, 상기 스크린들은 진동 모터를 통해 진동시켜 주며 크러셔에 의한 파쇄된 후 컨베이어 등을 통해 투입되는 재생골재들을 입도를 분리 또는 선별하는 형태를 갖는다.
이때, 각 스크린 위의 재생골재들은 하방부로 내려가면서 부채꼴 궤적을 그리며 분리된다. 즉, 스크린 상부에서부터 부채꼴로 잔류분이 운동하면서 스크린의 체눈 또는 선별공의 크기에 따라 통과분과 잔류분이 결정된다.
또한, 골재나 흙 등은 입도의 분포에 따라 물리적, 공학적 특성이 크게 달라지므로 이들의 입도 범위가 시방서에 규정되어 있음에 따라 원하는 입도 범위로 입도를 선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와 같은 건설폐기물을 이용하여 시멘트 콘크리트용 또는 도로 보조기층 등에 사용하고자 하는 순환 또는 재생골재를 생산할 경우의 실내 시험에서 얻어야 하는 시방 입도 범위를 예로 나타내면 [표 1]과 같다.
굵은 골재 최대 치수 각 체의 통과 중량 백분율(%)
40㎜ 25㎜ 20㎜ 15㎜ 10㎜ 5㎜ 2.5㎜
25㎜㎜ 100 95-10 - 25-60 - 0-10 0-5
20㎜ 100 90-100 - 20-55 0-10 0-5
상기 [표 1]은 각 스크린을 통과해야 하는 누적 통과 중량 백분율로써 20㎜ 굵은 골재 최대치수를 예로 들어 스크린에 잔류해야 할 중량 백분율을 계산하여 나타내면 [표 2]와 같다.
굵은 골재 최대 치수 각 체의 잔류 백분율(%)
20㎜ 10㎜ 5㎜ 2.5㎜ Pan
20㎜ 0-10 70-45 20-45 0-5 0-5 100
종래 선별장치에 대해 상기 [표 2]를 예로 들어 입도 조절방법을 나타내면, 1단 : 20㎜, 2단 : 10㎜, 3단 : 5㎜ 스크린과 최 하단부의 팬(Pan)을 갖는 3단 스크린을 이용하여 20㎜에 잔류하는 것은 다시 크러셔로 회송시켜 재파쇄하거나 폐기처분하고, 2단 및 3단 스크린에 잔류하는 것은 혼합하여 최종품으로 생산하며, Pan에 잔류하는 것은 폐기처분하거나 별도의 용도(예, 석분이나 모래)로 생산한다.
이와 같은 2단 및 3단 스크린에 잔류한 것을 혼합한 것이 시방 입도 범위에 맞지 않을 경우에는 불합격 처리하기도 하고, 다른 골재와 혼합하여 다시 입도를 맞추기도 하며, 스크린의 메쉬 또는 선별공 치수를 변경하여 생산하기도 한다.
따라서, 종래 건설폐기물의 입도 선별장치에 구비된 스크린들과, 이를 이용한 입도 조절방법은 입자의 크기별로 분리는 가능하나, 시방 입도로 조정하기 위한 정량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이 결여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75784호(2002년 05월 06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18919호(2005년 09월 27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68793호(2010년 07월 0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72744호(2008년 12월 09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크기의 메쉬 망이나 서로 다른 크기의 선별공이 형성된 철판 등을 구비한 스크린들이 수직방향에 대해 정해진 높이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들은 진동 모터에 의해 진동되는 형태를 갖는 건설폐기물의 입도 선별장치에 있어서, 입도가 제일 큰 재생골재를 선별하는 최상단 즉, 1단 스크린의 상부에 평면상에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승,하강 기능을 갖는 복수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최상단 스크린 이하의 스크린인 2단 및 3단 등의 스크린 등의 단부에는 샘플링 계량수단들을 각각 설치하여, 크러셔를 통해 파쇄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가 컨베이어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될 때 정해진 시간간격을 두고 2단 및 3단 등의 스크린을 통해 선별되는 재생골재의 중량을 샘플링 계량수단들을 통해 각각 계량한 후 이들의 비율을 상호 비교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 중 현재 선별된 재생골재들의 비율 대비 시방서에서 정해진 입도 비율 차에 맞는 위치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만 하강시켜 줌으로써 최상단 스크린을 통과 또는 잔류하는 재생골재의 량을 조절하여 2단 및 3단 등의 스크린을 통해 최종적으로 선별되어 사용되는 재생골재의 입도가 해당 콘크리트 또는 도로 보조기층 등의 공사에 사용하고자 하는 시방 입도에 정확히 자동으로 맞출 수 있어 건설폐기물의 입도 선별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된 재생골재는 물론 이를 이용하여 시공되는 콘크리트 또는 도로 보조기층 등의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입도 분포조절이 가능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장치는, 상,하면과 일측면이 개구된 직육방체를 형상을 갖고 바닥에는 재생골재로 사용이 불가능한 폐기물이 쌓이는 팬(Pan)이 구비되는 함체와; 서로 다른 크기의 메쉬 망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선별공이 형성된 철판을 구비하고, 상기 함체 내에서 수직방향에 대해 정해진 높이를 두고 다단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진동 모터의 구동에 대응하여 진동하며 크러셔에 의해 파쇄된 후 컨베이어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재생골재를 각각의 입도 크기에 대응하여 선별하는 복수의 스크린과; 제어부의 출력에 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복수의 스크린을 진동/작동시키는 진동 모터와; 상기 진동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건설폐기물 입도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최상단(1단) 스크린의 상부에 승,하강 기능을 갖고 크러셔를 통해 파쇄된 후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건설폐기물 재생골재의 통과량 및 잔류분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을 평면상에서 볼 때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하며, 상기 최상단 스크린 이하의 스크린들 하단부에는 제어부에 의해 정해진 시간간격을 두고 정해진 시간당 각 스크린을 통해 서로 다른 입자로 선별되는 재생골재들의 중량을 산출하는 샘플링 계량수단들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정해진 시간간격을 두고 상기 샘플링 계량수단들을 통해 각 스크린을 통해 선별되는 재생골재의 정해진 시간당 중량들을 계량한 후, 이들의 중량 비율과 시방서에서 정해진 입도 분포를 상호 비교한 다음 그 결과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 중 현재 선별된 재생골재들의 비율 대비 시방서에서 정해진 입도 비율 차에 맞는 위치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만 하강시켜 최종적으로 선별되는 재생골재의 입도가 시방 허용치에 맞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최상단 스크린의 일측부에는 상기 최상단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는 잔류 재생골재를 컨베이어를 통해 크러셔 측으로 회송시켜 재파쇄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폐기처리부 측으로 보내어 폐기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잔류분 배출로를 종단면이 "┗┛" 형상을 갖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은 잔류분 배출로 측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상기 최상단 스크린에 의해 선별되지 않고 스크린을 타고 내려오는 잔류 재생골재들이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의 경사면을 따라 잔류분 배출로 측으로 자동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은, 수평 바의 양단부에 각각 기둥이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기둥들의 내측에는 게이트 고정구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게이트 승,하강 안내홈이 각각 구비된 형태를 갖고 상기 함체를 평면에서 볼 때 정해진 거리를 두고 기둥들의 저단부는 바닥면에 고정된 형태를 갖는 복수의 터널형 게이트 지지틀과; 상기 터널형 게이트 지지틀들의 기둥 내측에 형성된 게이트 승,하강 안내홈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수 쌍의 게이트 고정구와; 사각 판체 형상을 갖고 양측 단부가 상기 각 쌍의 게이트 고정구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에어 실린더들의 구동방향에 대응하여 승,하강되는 형태를 갖고 최상단 스크린 중 제어부에 의해 정해진 위치의 것이 하강하여 해당 위치를 막아 주는 복수의 게이트와; 상기 각 터널형 게이트 지지틀의 수평 바 상면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로드의 단부가 상기 게이트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동되는 수 쌍의 게이트 구동용 에어 실린더;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의 하단부에는 진동 작동중인 최상단 스크린을 포함하여 재생골재들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흡수하여 게이트 및 최상단 스크린의 파손을 방지하는 우레탄 고무판을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게이트 중 상기 최상단 스크린에 형성된 잔류분 배출로와 접촉되는 부위에는 잔류분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잔류분 통과홈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샘플링 계량수단은 상면은 개구되고 하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호퍼를 구비한 사각 함체 형상의 샘플링 용기와; 상기 샘플링 용기의 상면 개구부와 호퍼의 배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재생골재의 투입 및 배출을 단속하는 제 1 및 제 2 단속판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 1 및 제 2 단속판을 개폐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단속판 구동용 제 1 및 제 2 실린더와; 상기 샘플링 용기의 호퍼 내에 설치되어 정해진 시간 간격을 두고 정해진 시간동안 투입되는 각 스크린 별 재생골재의 중량을 산출하는 중량센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도 분포조절이 가능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에 의하면, 서로 다른 크기의 메쉬 망이나 서로 다른 크기의 선별공이 형성된 철판 등을 구비한 스크린들이 수직방향에 대해 정해진 높이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들은 진동 모터에 의해 진동되는 형태를 갖는 건설폐기물의 입도 선별장치에 있어서, 입도가 제일 큰 재생골재를 선별하는 최상단 즉, 1단 스크린의 상부에 평면상에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승,하강 기능을 갖는 복수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최상단 스크린 이하의 스크린인 2단 및 3단 등의 스크린 등의 단부에는 샘플링 계량수단들을 각각 설치하여, 크러셔를 통해 파쇄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가 컨베이어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될 때 정해진 시간간격을 두고 2단 및 3단 등의 스크린을 통해 선별되는 재생골재의 중량을 샘플링 계량수단들을 통해 각각 계량한 후 이들의 비율을 상호 비교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 중 현재 선별된 재생골재들의 비율 대비 시방서에서 정해진 입도 비율 차에 맞는 위치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만 하강시켜 줌으로써 첫째 최상단 스크린을 통과 또는 잔류하는 재생골재의 량을 조절하여 2단 및 3단 등의 스크린을 통해 최종적으로 선별되어 사용되는 재생골재의 입도가 해당 콘크리트 또는 도로 보조기층 등의 공사에 사용하고자 하는 시방 입도에 정확히 자동으로 맞출 수 있고, 둘째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 선별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셋째 생산된 재생골재는 물론 이를 이용하여 시공되는 콘크리트 또는 도로 보조기층 등의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장치 중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의 게이트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를 보인 일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 중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 장치 중 샘플링 계량수단의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장치 중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의 게이트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를 보인 일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 장치 중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 장치 중 샘플링 계량수단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상,하면과 일측면이 개구된 직육방체를 형상을 갖고 바닥에는 재생골재로 사용이 불가능한 폐기물이 쌓이는 팬(11)이 구비되는 함체(1)와; 서로 다른 크기의 메쉬 망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선별공이 형성된 철판을 구비하고, 상기 함체(1) 내에서 수직방향에 대해 정해진 높이를 두고 다단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진동 모터(3)의 구동에 대응하여 진동하며 크러셔에 의해 파쇄된 후 컨베이어(4)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재생골재를 각각의 입도 크기에 대응하여 선별하는 복수의 스크린(2₁)~(2n)과; 제어부(5)의 출력에 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복수의 스크린(2₁)~(2n)을 진동/작동시키는 진동 모터(3)와; 상기 진동 모터(3)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로 구성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크린(2₁)~(2n) 중 최상단 스크린(2₁)의 상부에 승,하강 기능을 갖고 크러셔를 통해 파쇄된 후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건설폐기물 재생골재의 통과량 및 잔류분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6)을 평면상에서 볼 때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하며, 상기 최상단 스크린(2₁) 이하의 스크린(2₂)~(2n)들 하단부에는 제어부(5)에 의해 정해진 시간간격을 두고 정해진 시간당 각 스크린(2₂)~(2n)을 통해 서로 다른 입자로 선별되는 재생골재들의 중량을 산출하는 샘플링 계량수단(7)들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5)로 하여금 정해진 시간간격(t1)을 두고 상기 샘플링 계량수단(7)들을 통해 각 스크린(2₂)~(2n)을 통해 선별되는 재생골재의 정해진 시간(t2)당 중량들을 계량한 후, 이들의 중량 비율과 시방서에서 정해진 입도 분포를 상호 비교한 다음 그 결과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6) 중 현재 선별된 재생골재들의 비율 대비 시방서에서 정해진 입도 비율 차에 맞는 위치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만 하강시켜 최종적으로 선별되는 재생골재의 입도가 시방 허용치에 맞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최상단 스크린(2₁)의 일측부에는 상기 최상단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는 잔류 재생골재를 컨베이어(4)를 통해 크러셔 측으로 회송시켜 재파쇄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폐기처리부 측으로 보내어 폐기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잔류분 배출로(2₁-1)를 종단면이 "┗┛" 형상을 갖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6)은 잔류분 배출로(2₁-1) 측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상기 최상단 스크린(2₁)에 의해 선별되지 않고 스크린을 타고 내려오는 잔류 재생골재들이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6)의 경사면을 따라 잔류분 배출로(2₁-1) 측으로 자동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6)은,
수평 바(611)의 양단부에 각각 기둥(612)이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기둥(612)들의 내측에는 게이트 고정구(62)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게이트 승,하강 안내홈(612-1)이 각각 구비된 형태를 갖고 상기 함체(1)를 평면에서 볼 때 정해진 거리를 두고 기둥(612)들의 저단부는 바닥면에 고정된 형태를 갖는 복수의 터널형 게이트 지지틀(61)과;
상기 터널형 게이트 지지틀(61)들의 기둥(612) 내측에 형성된 게이트 승,하강 안내홈(612-1)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수 쌍의 게이트 고정구(62)와;
사각 판체 형상을 갖고 양측 단부가 상기 각 쌍의 게이트 고정구(62)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5)의 제어를 받는 에어 실린더(64)들의 구동방향에 대응하여 승,하강되는 형태를 갖고 최상단 스크린(2₁) 중 제어부(5)에 의해 정해진 위치의 것이 하강하여 해당 위치를 막아 주는 복수의 게이트(63)와;
상기 각 터널형 게이트 지지틀(61)의 수평 바(611) 상면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로드(641)의 단부가 상기 게이트(63)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제어부(5)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동되는 수 쌍의 게이트 구동용 에어 실린더(6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63)의 하단부에는 진동 작동중인 최상단 스크린(2₁)을 포함하여 재생골재들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흡수하여 게이트(63) 및 최상단 스크린(2₁)의 파손을 방지하는 우레탄 고무판(65)을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게이트(63) 중 상기 최상단 스크린(2₁)에 형성된 잔류분 배출로(2₁-1)와 접촉되는 부위에는 잔류분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잔류분 통과홈(631)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샘플링 계량수단(7)은,
상면은 재생골재 유입을 위해 개구되고 하부에는 배출구(712)가 형성된 호퍼(711)를 구비한 사각 함체 형상의 샘플링 용기(71)와;
상기 샘플링 용기(71)의 상면 개구부와 호퍼(711)의 배출구(712)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재생골재의 투입 및 배출을 단속하는 제 1 및 제 2 단속판(72)(73)과;
상기 제어부(5)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 1 및 제 2 단속판(72)(73)을 개폐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단속판 구동용 제 1 및 제 2 실린더(74)(75)와;
상기 샘플링 용기(71)의 호퍼(711) 내에 설치되어 정해진 시간(t1) 간격을 두고 정해진 시간(t2)동안 투입되는 각 스크린 별 재생골재의 중량을 산출하여 제어부(5)로 전달하는 중량센서(7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입도 분포조절이 가능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장치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6과 같이, 함체(1)의 내부에 복수의 스크린(2₁)~(2n)을 다단으로 설치하고, 제어부(5)의 제어를 받는 진동 모터(3)를 통해 상기 복수의 스크린(2₁)~(2n)을 진동시켜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를 입도별로 선별하는 공지의 건설폐기물 재생골재 선별장치에 있어서, 1단인 최상단 스크린(2₁)의 상부에 복수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6)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상기 최상단 스크린(2₁) 이하의 2단 및 3단 등의 각 스크린(2₂)~(2n) 단부에는 샘플링 계량수단(7)들을 각각 설치하여, 최상단 스크린(2₁)을 통과 또는 잔류하는 재생골재의 량을 조절하여 2단 및 3단 등의 각 스크린(2₂)~(2n)을 통해 최종적으로 선별되어 사용되는 재생골재의 입도를 시방 입도에 정확히 자동으로 맞출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공지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 선별장치의 구성요소 중 상기 함체(1)는 상,하면과 일측면이 개구된 직육방체를 형상을 갖고 바닥에는 재생골재로 사용이 불가능한 폐기물이 쌓이는 팬(11)이 구비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스크린(2₁)~(2n)은 기본적으로 서로 다른 크기의 메쉬 망을 구비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선별공이 형성된 철판을 구비한 것으로, 상기 함체(1) 내에서 수직방향에 대해 정해진 높이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경사지게 설치됨은 물론 진동 모터(3)와 연결된 형태를 갖고, 상기 진동 모터(3)의 구동에 대응하여 진동하며 도시 생략한 크러셔에 의해 파쇄된 후 컨베이어(4)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재생골재를 각각의 입도 크기(즉, 메쉬 망의 크기 또는 선별공의 크기)에 대응하여 연속적으로 선별하게 된다.
또, 상기 진동 모터(3)는 도시 생략하더나 도면 부호 기입을 생략한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체와 상기 복수의 스크린(2₁)~(2n) 일측이 링크 등을 통해 연결된 형태를 갖고 제어부(5)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복수의 스크린(2₁)~(2n)을 진동시켜 무작위로 유입되는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를 각 스크린(2₂)~(2n)의 입도에 맞게 자동 선별될 수 있도록 하는 동력 발생원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주요기술 구성요소 중 상기 복수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6)은, 도 5와 같이 복수의 터널형 게이트 지지틀(61)과 수 쌍의 게이트 고정구(62), 복수의 게이트(63) 및 수 쌍의 게이트 구동용 에어 실린더(64)로 이루어진 구성을 갖고, 상기 복수의 스크린(2₁)~(2n) 중 최상단 스크린(2₁)의 상부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크러셔를 통해 파쇄된 후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건설폐기물 재생골재가 상기 최상단 스크린(2₁)을 통과할 수 있는 량 및 잔류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6)의 구성요소 중 상기 복수의 터널형 게이트 지지틀(61)은, 상기 함체(1)의 상부에서 가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수평 바(611)와, 내측에 게이트 승,하강 안내홈(612-1)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수평 바(611)의 양단부 저면에 상단부가 고정되며 저단부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형태를 갖는 한 쌍의 기둥(612)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 형상을 갖고 함체(1)를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에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또, 상기 수 쌍의 게이트 고정구(62)는 평단면이 각각 "┣" 및 "┫" 형상을 갖고 상기 터널형 게이트 지지틀(61)들의 기둥(612) 내측에 형성된 게이트 승,하강 안내홈(612-1)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후술하는 게이트(63) 및 게이트 구동용 에어 실린더(64)의 로드(64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게이트(63)는 소정두께와 면적을 갖는 사각 판체 형상을 갖고 양측 단부가 볼트 등을 통해 상기 각 쌍의 게이트 고정구(62)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됨은 물론 상면 양측은 후술하는 게이트 구동용 에어 실린더(64)의 로드(64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5)의 제어를 받는 게이트 구동용 에어 실린더(64)들의 승,하강 구동방향에 대응하여 승강 또는 하강되며 최상단 스크린(2₁) 중 제어부(5)에 의해 정해진 위치를 막아 주거나 막는 것을 해제하게 된다.
또, 상기 수 쌍의 게이트 구동용 에어 실린더(64)는 상기 각 터널형 게이트 지지틀(61)의 수평 바(611) 상면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됨은 물론 상기 수평 바(611)를 통과하는 형태를 갖는 로드(641)의 단부는 각각 상기 게이트(63)의 상단부 양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5)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한 게이트(63)의 승,하강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6)은 최상단 스크린(2₁)에 대해 일측으로 경사지게 설치하고, 또한 상기 최상단 스크린(2₁)의 일측부에는 상기 최상단 스크린(2₁)의 전체 폭 대비 비교적 작은 폭을 가짐은 물론 그 높이도 낮은 잔류분 배출로(2₁-1)를 종단면이 "┗┛" 형상을 갖게 더 형성시켜 주었다.
따라서, 상기 최상단 스크린(2₁)을 통과하지 못하고 최상단 스크린(2₁)의 상면을 따라 부채꼴 형상을 갖고 흘러내리던 비교적 큰 입자의 잔류 재생골재가 최상단 스크린(2₁)의 상면으로 하강된 상태를 갖는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6)의 게이트(63)에 의해 걸려졌을 때, 소정각도로 경사진 형태를 갖는 상기 게이트(63)의 경사면을 따라 잔류분 배출로(2₁-1) 측으로 자동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최상단 스크린(2₁)에 대해 일측으로 소정각도만큼 경사지게 설치된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6)의 게이트(63)에 의해 상기 최상단 스크린(2₁)의 잔류분 배출로(2₁-1) 측으로 원활히 연속해서 포집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의 잔류분은 컨베이어(4)를 통해 도시 생략한 크러셔 측으로 계속해서 회송되어 재파쇄된 다음 또 다시 상기 최상단 스크린(2₁) 측으로 공급할 수도 있고, 또는 폐기처리부 측으로 보내어 폐기처리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게이트(63)의 하단부가 진동 작동중인 최상단 스크린(2₁)의 상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할 경우, 재생골재들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포함하여 게이트(63) 및 최상단 스크린(2₁)이 상호 부딪히어 게이트(63) 및 최상단 스크린(2₁)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게이트(63)의 하단부에 소정두께와 높이를 갖는 우레탄 고무판(65)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건설폐기물 재생골재 선별시 진동 모터(3)에 의해 진동 작동중인 상기 최상단 스크린(2₁)을 포함하여 재생골재들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원활히 흡수할 수 있어 게이트(63) 및 최상단 스크린(2₁)이 마찰력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게이트(63) 및 최상단 스크린(2₁)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우레탄 고무판(65)은 소모품으로 충격 완충기능에 문제가 있을 정도로 마모나 파손되었을 경우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주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게이트(63)의 중 상기 최상단 스크린(2₁)에 형성된 잔류분 배출로(2₁-1)의 직상방 부위에 터널형으로 잔류분 통과홈(631)을 더 형성하여 줌으로써 상기 최상단 스크린(2₁)의 상면으로 하강된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6)의 게이트(63)와 잔류분 배출로(2₁-1)를 통해 배출되고 있는 재생골재의 잔류분 사이의 접촉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어 잔류분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게이트의 손상 등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샘플링 계량수단(7)은 도 8과 같이 샘플링 용기(71)와 제 1 및 제 2 단속판(72)(73), 단속판 구동용 제 1 및 제 2 실린더(74)(75), 중량센서(76)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최상단 스크린(2₁) 이하의 스크린(2₂)~(2n)들 하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5)에 의해 정해진 시간간격(t1; 예를 들어 10~30분)을 두고 정해진 시간(t2; 예를 들어 2~5분)당 각각의 스크린(2₂)~(2n)을 통해 선별되는 서로 다른 입자를 갖는 재생골재들의 중량을 산출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샘플링 용기(71)는 상면은 개구되고 하부에는 배출구(712)가 형성된 호퍼(711)를 구비한 정해진 용적의 사각 함체 형상을 갖는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단속판(72)(73)은 상기 샘플링 용기(71)의 상면 개구부와 호퍼(711)의 배출구(712)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샘플링 용기(71)의 상면 개구부와 호퍼(711)의 배출구(712)를 개폐시키는 작동을 통해 상기 샘플링 용기(71) 내로의 재생골재의 투입 및 상기 샘플링 용기(71) 내에 담긴 재생골재의 배출을 단속하는 기능을 각각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실린더(74)(75)는 상기 제 1 및 제 2 단속판(72)(73) 구동용으로, 상기 제어부(5)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 1 및 제 2 단속판(72)(73)을 개폐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중량센서(76)는 재생골재의 중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샘플링 용기(71)의 호퍼(711) 내에 설치되어 정해진 시간(t1) 간격을 두고 정해진 시간(t2) 동안 투입되는 각 스크린 별 재생골재의 중량을 산출하여 제어부(5)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5)는 크러셔를 통해 파쇄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가 컨베이어(4)를 통해 연속적으로 상기 최상단 스크린(2₁)으로 공급될 때, 정해진 시간간격(t1)을 두고 상기 샘플링 계량수단(7)들의 제 1 실린더(74)를 작동시켜 샘플링 용기(71)의 상단 개구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단속판(72)을 개구시켜 각 스크린(2₂)~(2n)을 통해 선별되는 재생골재를 정해진 시간(t2) 동안 담은 후 다시 제 1 실린더(74)를 통해 제 1 단속판(72)을 작동시켜 샘플링 용기(71)의 상단 개구부를 폐쇄한 다음, 상기 중량센서(76)를 통해 각각의 샘플링 용기(71) 내에 담긴 정해진 시간(t2)당 재생골재의 중량들을 계량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5)에서는 상기 최상단 스크린(2₁) 이하의 스크린(2₂)~(2n)들 하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샘플링 계량수단(7)을 통해 검출되는 서로 다른 입자의 재생골재들의 중량 비율을 산출하여 시방서에서 정해진 입도 분포와 상호 비교한 다음, 그 결과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6) 중 현재 선별된 재생골재들의 비율 대비 시방서에서 정해진 입도 비율 차에 맞는 위치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6) 게이트(63)만 하강시켜 최종적으로 선별되는 재생골재의 입도가 시방 허용치에 맞도록 하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시방서에서 정해진 입도 비율 차에 맞는 위치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6) 게이트(63)를 하강시켜 최종적으로 선별되는 재생골재의 입도가 시방 허용치에 맞도록 한 상기 제어부(5)에서는 상기 제 2 실린더(75)를 작동시켜 상기 샘플링 용기(71)의 호퍼(711) 배출구(712)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단속판(73)을 개구시켜 샘플링 중량 검출에 사용한 재생골재를 배출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샘플링 계량수단(7)의 샘플링 용기(71)들을 비워주게 된다.
한편, 상기 진동 모터(3)에 의해 연속 진동중인 상기 최상단 스크린(2₁)으로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가 컨베이어를 통해 연속적으로 투입될 경우, 입자의 크기가 작은 것들이 최상단 스크린(2₁)의 초입 상면(즉, 경사지게 설치되는 최상단 스크린(2₁)의 상부 상면)에 먼저 낙하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비록 최상단 스크린(2₁)의 메쉬 또는 선별공들의 크기 그 이하의 스크린(2₂)~(2n)들에 형성된 메쉬 또는 선별공들의 크기보다는 큰 형태를 갖는다 하더라도 재생골재가 투입되는 초입의 메쉬 또는 선별공들을 통해 그 하단 스크린 측으로 빠져나가는 재생골재는 대부분 그 입도가 매우 작음은 물론 그 량도 많고, 또한 상기 최상단 스크린(2₁)의 상면을 따라 부채꼴 형상을 갖고 연속해서 흘려 내려가며 선별(즉, 최상단 스크린을 통과)되는 재생골재의 입도는 초입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초입 통과 입자 대비 차츰 더 그 크기는 커지고 량은 적어지는 형태를 가지나 최상단 스크린(2₁)을 통과하는 전체적인 량(즉, 입도가 매우 작은 재생골재를 포함하여 두번째 스크린에서 선별될 수 있는 재생골재까지 합친 량)은 더 많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최상단 스크린(2₁)의 상부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6) 중 어느 위치에 있는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의 게이트(63)를 하강시켜 최상단 스크린(2₁)의 상면 중 제어부(5)에서 정해주는 소정 위치(예를 들어 도 6 및 도 7과 같이 최상단 스크린(2₁) 전체 길이 대비 2/5, 3/5 및 4/5지점에 각각 3개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6)이 설치된 경우 중 어느 한 지점)를 차단해주느냐에 대응하여 건설폐기물 재생골재가 상기 최상단 스크린(2₁)을 통과하여 선별되는 량 및 잔류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 40㎜와 20㎜ 및 10㎜의 메쉬 망 또는 선별공이 구비된 스크린이 3단으로 설치되고, 3개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6)가 최상단 스크린(2₁) 전체 길이 대비 예를 들어 2/5, 3/5 및 4/5지점에 각각 설치된 선별장치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를 선별하여 20㎜ 및 10㎜의 메쉬 망 또는 선별공이 구비된 2단 및 3단 스크린에 의해 선별되는 재생골재만 적절한 비율(시방서에 기재된 비율로 예를 들어 6:4)로 혼합하여 사용하고자 한다고 가정할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 초기 투입시 최상단 스크린(2₁)의 상부에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6) 중 도 7의 가상선과 같이 3/5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의 게이트(63)를 하강시켜 최상단 스크린(2₁)의 3/5 지점을 경사지게 막아 놓은 상태에서, 크러셔에서 파쇄된 후 컨베이어(4)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를 다단에 걸쳐 선별하고 있는 도중 정해진 시간(t1; 예를 들어 10~30분)이 경과되어 2단 및 3단 스크린의 일단부에 각각 구비된 샘플링 계량수단(7)들을 작동시켜 정해진 시간(t2; 예를 들어 2~5분) 동안에 2단 및 3단 스크린을 통해 각각 선별되는 21~40㎜ 및 11~20㎜ 사이의 재생골재의 중량을 산출한 후 이들의 비율을 상호 비교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6) 중 현재 선별된 재생골재들의 비율 대비 시방서에서 정해진 입도 비율 차에 맞는 위치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만 하강시켜 주게 된다.
상기에서 산출된 21~40㎜ 사이의 재생골재 중량 대비 11~20㎜ 사이의 중량비율이 예를 들어 6:4 비율에 맞을 경우에는 제어부(5)에서 현재 하강 작동중인 최상단 스크린(2₁)의 3/5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의 게이트(63) 하강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그러나, 21~40㎜ 사이의 재생골재 중량 대비 11~20㎜ 사이의 중량비율이 예를 들어 5:5 비율일 경우에는 최상단 스크린(2₁)의 4/5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의 게이트(63)를 하강 작동시켜 동일 시간대에 2단 스크린을 통해 선별되는 21~40㎜ 사이의 재생골재가 3단 스크린을 통해 선별되는 11~20㎜ 사이의 재생골재보다 많아지도록 조절하고, 상기와 반대로 21~40㎜ 사이의 재생골재 중량 대비 11~20㎜ 사이의 중량비율이 예를 들어 7:3 비율일 경우에는 최상단 스크린(2₁)의 2/5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의 게이트(63)를 하강 작동시켜 동일 시간대에 2단 스크린을 통해 선별되는 21~40㎜ 사이의 재생골재가 3단 스크린을 통해 선별되는 11~20㎜ 사이의 재생골재보다 적어지도록 조절하여 줌으로써 2단 및 3단 등의 스크린을 통해 최종적으로 선별되는 재생골재의 입도가 해당 콘크리트 또는 도로 보조기층 등의 공사에 사용하고자 하는 시방 입도에 자동으로 맞춰지게 된다.
물론, 상기에서 2단 및 3단 등의 각 스크린 단부에 설치되어 각각의 스크린을 통해 선별되는 재생골재의 중량을 계측하는 각 샘플링 계량수단(7)에서 각각 검출되는 중량 비율은 정확히 정수대비가 될 수 없으므로 제어부(5)에서는 산출되는 중량에 ±10~20% 한계 비율을 더 주고 시방서에서 정해진 비율과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2단 및 3단 스크린을 통해 선별되는 21~40㎜ 및 11~20㎜ 사이의 재생골재만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는 10㎜의 메쉬 망 또는 선별공이 구비된 3단 등의 스크린을 통과한 후 함체(1)의 바닥부인 팬(11) 주위에 포집되는 10㎜ 미만의 재생골재도 시방서에서 정해진 비율만큼 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함체 11 : 팬
2₁~2n : 스크린 2₁-1 : 잔류분 배출
3 : 진동 모터
4 : 컨베이어
5 : 제어부
6 :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
61 : 터널형 게이트 지지틀 611 : 수평 바
612 : 기둥 612-1 : 게이트 승,하강 안내홈
62 : 게이트 고정구
63 : 게이트 631 : 잔류분 통과홈
64 : 게이트 구동용 에어 실린더 641 : 로드
65 : 우레탄 고무판
7 : 샘플링 계량수단
71 : 샘플링 용기
711 : 호퍼 712 : 배출구
72, 73 : 제 1 및 제 2 단속판
74, 75 : 단속판 구동용 제 1 및 제 2 실린더
76 : 중량센서

Claims (4)

  1. 직육방체를 형상을 갖고 바닥에는 재생골재로 사용이 불가능한 폐기물이 쌓이는 팬(Pan)이 구비되는 함체와; 서로 다른 크기의 메쉬 망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선별공이 형성된 철판을 구비하고, 상기 함체 내에서 수직방향에 대해 정해진 높이를 두고 다단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진동 모터의 구동에 대응하여 진동하며 크러셔에 의해 파쇄된 후 컨베이어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재생골재를 각각의 입도 크기에 대응하여 선별하는 복수의 스크린과; 제어부의 출력에 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복수의 스크린을 진동/작동시키는 진동 모터와; 상기 진동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최상단(1단) 스크린의 상부에 승,하강 기능을 갖고 크러셔를 통해 파쇄된 후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건설폐기물 재생골재의 통과량 및 잔류분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을 평면상에서 볼 때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하며,
    상기 최상단 스크린 이하의 스크린들 하단부에는 제어부에 의해 정해진 시간간격을 두고 정해진 시간당 각 스크린을 통해 서로 다른 입자로 선별되는 재생골재들의 중량을 산출하는 샘플링 계량수단들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정해진 시간간격을 두고 상기 샘플링 계량수단들을 통해 각 스크린을 통해 선별되는 재생골재의 정해진 시간당 중량들을 계량한 후, 이들의 중량 비율과 시방서에서 정해진 입도 분포를 상호 비교한 다음 그 결과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 중 현재 선별된 재생골재들의 비율 대비 시방서에서 정해진 입도 비율 차에 맞는 위치의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만 하강시켜 최종적으로 선별되는 재생골재의 입도가 시방 허용치에 맞도록 하되,
    상기 최상단 스크린의 일측부에는 상기 최상단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는 잔류 재생골재를 컨베이어를 통해 크러셔 측으로 회송시켜 재파쇄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폐기처리부 측으로 보내어 폐기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잔류분 배출로를 종단면이 "┗┛" 형상을 갖게 성형하고,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은,
    수평 바의 양단부에 각각 기둥이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기둥들의 내측에는 게이트 고정구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게이트 승,하강 안내홈이 각각 구비된 형태를 갖고 상기 함체를 평면에서 볼 때 정해진 거리를 두고 기둥들의 저단부는 바닥면에 고정된 형태를 갖는 복수의 터널형 게이트 지지틀과;
    상기 터널형 게이트 지지틀들의 기둥 내측에 형성된 게이트 승,하강 안내홈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수 쌍의 게이트 고정구와;
    사각 판체 형상을 갖고 양측 단부가 상기 각 쌍의 게이트 고정구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에어 실린더들의 구동방향에 대응하여 승,하강되는 형태를 갖고 최상단 스크린 중 제어부에 의해 정해진 위치의 것이 하강하여 해당 위치를 막아 주는 복수의 게이트와;
    상기 각 터널형 게이트 지지틀의 수평 바 상면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로드의 단부가 상기 게이트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동되는 수 쌍의 게이트 구동용 에어 실린더;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 분포조절이 가능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은,
    잔류분 배출로 측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상기 최상단 스크린에 의해 선별되지 않고 스크린을 타고 내려오는 잔류 재생골재들이 상기 골재 통과량 조절수단의 경사면을 따라 잔류분 배출로 측으로 자동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 분포조절이 가능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계량수단은,
    상면은 개구되고 하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호퍼를 구비한 사각 함체 형상의 샘플링 용기와;
    상기 샘플링 용기의 상면 개구부와 호퍼의 배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재생골재의 투입 및 배출을 단속하는 제 1 및 제 2 단속판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 1 및 제 2 단속판을 개폐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단속판 구동용 제 1 및 제 2 실린더와;
    상기 샘플링 용기의 호퍼 내에 설치되어 정해진 시간 간격을 두고 정해진 시간동안 투입되는 각 스크린 별 재생골재의 중량을 산출하는 중량센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 분포조절이 가능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1020150070864A 2015-05-21 2015-05-21 입도 분포조절이 가능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101563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864A KR101563125B1 (ko) 2015-05-21 2015-05-21 입도 분포조절이 가능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864A KR101563125B1 (ko) 2015-05-21 2015-05-21 입도 분포조절이 가능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125B1 true KR101563125B1 (ko) 2015-10-26

Family

ID=54428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864A KR101563125B1 (ko) 2015-05-21 2015-05-21 입도 분포조절이 가능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125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678B1 (ko) * 2016-01-06 2018-01-1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순환골재 생산용 폐콘크리트 분쇄장치 및 이를이용한 폐콘크리트 재생방법
CN107796505A (zh) * 2017-09-29 2018-03-13 广东拜登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联单磅秤及其垃圾分类系统
CN108579976A (zh) * 2018-04-13 2018-09-28 青海黄河上游水电开发有限责任公司光伏产业技术分公司 筛分装置及光伏组件粉碎混合物的筛分方法
CN110018031A (zh) * 2019-05-09 2019-07-16 深圳国技仪器有限公司 适于葡氏/樊氏试验仪用的样品重组系统及方法
CN110238043A (zh) * 2019-06-28 2019-09-17 青岛康尔健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筛网可叠加式球状药料预选装置
KR102346296B1 (ko) * 2021-05-28 2022-01-0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골재 입도 분석 장치 및 골재 입도 분석 방법
CN114192397A (zh) * 2021-12-17 2022-03-18 平耐新材料科技(山东)有限公司 实现超耐候涂料粒块状原料径分级振动的筛料装置
CN115739275A (zh) * 2022-11-01 2023-03-07 河北苹乐面粉机械集团有限公司 自动磨粉机
CN117225687A (zh) * 2023-09-05 2023-12-15 通州建总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骨料筛选装置及筛选方法
KR102625698B1 (ko) 2023-07-20 2024-01-16 주식회사 구성기업 크러셔 투입량 제어를 통한 골재입도 조정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골재 생산방법
CN118080525A (zh) * 2024-04-23 2024-05-28 内蒙古青格尔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餐厨垃圾加热过滤处理装置
CN118253396A (zh) * 2024-05-29 2024-06-28 济南富华瑞达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建筑垃圾破碎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842B1 (ko) 2006-09-28 2006-12-27 대길산업주식회사 골재 입도 분포 조절방법 및 장치
KR101427849B1 (ko) * 2013-12-10 2014-08-07 광일토건환경 주식회사 에어(air)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842B1 (ko) 2006-09-28 2006-12-27 대길산업주식회사 골재 입도 분포 조절방법 및 장치
KR101427849B1 (ko) * 2013-12-10 2014-08-07 광일토건환경 주식회사 에어(air)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처리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678B1 (ko) * 2016-01-06 2018-01-1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순환골재 생산용 폐콘크리트 분쇄장치 및 이를이용한 폐콘크리트 재생방법
CN107796505A (zh) * 2017-09-29 2018-03-13 广东拜登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联单磅秤及其垃圾分类系统
CN108579976A (zh) * 2018-04-13 2018-09-28 青海黄河上游水电开发有限责任公司光伏产业技术分公司 筛分装置及光伏组件粉碎混合物的筛分方法
CN108579976B (zh) * 2018-04-13 2023-10-27 青海黄河上游水电开发有限责任公司光伏产业技术分公司 筛分装置及光伏组件粉碎混合物的筛分方法
CN110018031B (zh) * 2019-05-09 2023-09-08 深圳国技仪器有限公司 适于葡氏/樊氏试验仪用的样品重组系统及方法
CN110018031A (zh) * 2019-05-09 2019-07-16 深圳国技仪器有限公司 适于葡氏/樊氏试验仪用的样品重组系统及方法
CN110238043A (zh) * 2019-06-28 2019-09-17 青岛康尔健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筛网可叠加式球状药料预选装置
KR102346296B1 (ko) * 2021-05-28 2022-01-0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골재 입도 분석 장치 및 골재 입도 분석 방법
CN114192397A (zh) * 2021-12-17 2022-03-18 平耐新材料科技(山东)有限公司 实现超耐候涂料粒块状原料径分级振动的筛料装置
CN114192397B (zh) * 2021-12-17 2024-03-22 平耐新材料科技(山东)有限公司 实现超耐候涂料粒块状原料径分级振动的筛料装置
CN115739275A (zh) * 2022-11-01 2023-03-07 河北苹乐面粉机械集团有限公司 自动磨粉机
CN115739275B (zh) * 2022-11-01 2024-01-26 河北苹乐面粉机械集团有限公司 自动磨粉机
KR102625698B1 (ko) 2023-07-20 2024-01-16 주식회사 구성기업 크러셔 투입량 제어를 통한 골재입도 조정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골재 생산방법
CN117225687A (zh) * 2023-09-05 2023-12-15 通州建总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骨料筛选装置及筛选方法
CN118080525A (zh) * 2024-04-23 2024-05-28 内蒙古青格尔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餐厨垃圾加热过滤处理装置
CN118253396A (zh) * 2024-05-29 2024-06-28 济南富华瑞达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建筑垃圾破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125B1 (ko) 입도 분포조절이 가능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CN101693238B (zh) 多种单一粒级石料的筛分装置及筛分方法
US6540089B2 (en) Large, stationary, modular aggregate processing pla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same
KR100872744B1 (ko) 다단형 골재 밀도 선별장치
EP0456666B1 (de) Anlage zur behandlung von wertstoffen aus baustellenabfällen oder gewerbemüll
KR101816278B1 (ko)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KR101969725B1 (ko) 골재의 단위용적질량과 생산량 동시 측정장치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CN107129173B (zh) 一种建筑垃圾再生骨料制造装置
KR102185882B1 (ko) 순환골재 생산 시스템
CN201223873Y (zh) 下沉式建筑垃圾再生处理系统
CN109696384B (zh) 橡胶沥青混合料前置质量精选分级系统
CN110078452B (zh) 一种利用建筑固废再生集料分类处理制作的无机结合料及其制备方法
KR101189999B1 (ko) 골재파쇄기의 골재공급용 호퍼
KR101391351B1 (ko) 크러셔의 구동속도 조절에 의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KR101830648B1 (ko) 건설폐기물 내 이물질 풍력 선별장치
KR102273902B1 (ko) 골재의 생산속도에 기초한 제어기능을 갖는 순환골재 생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KR100890580B1 (ko) 건설폐기물용 파쇄골재의 토사 선별장치
KR101043069B1 (ko) 순환골재 제조방법
KR101756174B1 (ko) 건설 폐토사의 현장 전단강도 측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단강도 선별방법
KR100467868B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102072635B1 (ko) 단위용적질량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CN210260391U (zh) 出料方便的石子储存仓
KR100937980B1 (ko) 순환골재의 송풍 선별장치
CN204583696U (zh) 一种多功能建筑垃圾筛分机
CN108655150A (zh) 一种废弃混凝土破碎回收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