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113B1 - 2코팅 칼라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2코팅 칼라강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2113B1 KR101562113B1 KR1020130157779A KR20130157779A KR101562113B1 KR 101562113 B1 KR101562113 B1 KR 101562113B1 KR 1020130157779 A KR1020130157779 A KR 1020130157779A KR 20130157779 A KR20130157779 A KR 20130157779A KR 101562113 B1 KR101562113 B1 KR 1015621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resin
- layer
- solvent
- steel she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06—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 C23C22/24—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containing hexavalent chromium compounds
- C23C22/26—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containing hexavalent chromium compounds containing also organic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D123/12—Polyprop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06—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 C23C22/24—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containing hexavalent chromium compounds
- C23C22/33—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containing hexavalent chromium compounds containing also phosph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22/00—Aspects relating to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medium
- C23C2222/20—Use of solutions containing sil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전처리층 생략이 가능한 2코팅 칼라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2코팅 칼라강판 제조 방법은 베이스 강판 상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규산 수화물, 인산화합물, 소포제, 크롬계 내식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하도 도료를 코팅한 후, 소부 건조하여 하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도층 상에 안료를 포함하는 상도 도료를 코팅한 후, 소부 건조하여 상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2코팅 칼라강판 제조 방법은 베이스 강판 상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규산 수화물, 인산화합물, 소포제, 크롬계 내식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하도 도료를 코팅한 후, 소부 건조하여 하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도층 상에 안료를 포함하는 상도 도료를 코팅한 후, 소부 건조하여 상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전재 혹은 건재 등에 사용되는 칼라강판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처리층이 생략된 2코팅 칼라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칼라강판은 세탁기 외판, 냉장고 등의 가전재나 냉동시설, 식품가공시설 등 건재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칼라강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주로 건재용 칼라강판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2는 주로 가전용 칼라강판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재용 칼라강판(100)은 일반적으로 베이스 강판(101) 상에 전처리층(110), 하도층(120) 및 상도층(1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가전용 칼라강판은 일반적으로 베이스 강판(201) 상에 전처리층(210), 하도층(220), 상도층(230) 및 클리어층(240)으로 이루어진다.
즉, 건재용 칼라강판과 가전용 칼라강판은 전처리층, 하도층 및 상도층으로 이루어진 3개의 코팅층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배경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7-0025223호(2007.03.08. 공개)가 있다. 상기 문헌에는 소지 강판 상에, 아연 또는 아연합금 도금층, 논(non)-크롬산염 전처리층, 하도 도막층 및 상도 도막층으로 형성되는 가전용 칼라강판, 혹은 상기 상도 도막층 상에 클리어 도막층이 추가로 형성된 가전용 칼라강판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전처리층 생략이 가능한 하도 도료를 이용하여, 2코팅 칼라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처리층이 생략된 2코팅 칼라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코팅 칼라강판 제조 방법은 베이스 강판 상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규산 수화물, 인산화합물, 소포제, 크롬계 내식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하도 도료를 코팅한 후, 소부 건조하여 하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도층 상에 안료를 포함하는 상도 도료를 코팅한 후, 소부 건조하여 상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도 도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규산 수화물, 인산화합물, 소포제, 크롬계 내식제 및 용제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60~80중량%, 규산 수화물 5~10중량%, 인산화합물 1~5중량%, 소포제 0.5~1.0중량%, 크롬계 내식제 0.1~0.5중량% 및 잔량의 용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산화합물은 인산암모늄, 인산수소암모늄 및 인산수소망간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포제는 실리콘 소포제, 알코올계 소포제 및 폴리실록산계 소포제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롬계 내식제는 다이크로뮴산 암모늄, 다이크로뮴산 칼륨 및 다이크로뮴산 나트륨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도 도료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경화 수지, 안료, 용제 및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 1종 이상의 첨가 수지를 포함하고,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경화 수지, 안료, 첨가 수지 및 용제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40~50중량%, 경화 수지 2~10중량%, 안료 20~30중량%, 첨가 수지 10~20중량% 및 나머지 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코팅 칼라강판 제조 방법은 클리어 도료를 도포 및 건조하여, 상기 상도층 상에 클리어층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코팅 칼라강판은 베이스 강판; 상기 베이스 강판 상에 형성되는 하도층; 및 상기 하도층 상에 형성되며, 안료를 포함하는 상도층;을 포함하되, 상기 하도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규산 수화물, 인산화합물, 소포제, 크롬계 내식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하도 도료의 경화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도 도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규산 수화물, 인산화합물, 소포제, 크롬계 내식제 및 용제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60~80중량%, 규산 수화물 5~10중량%, 인산화합물 1~5중량%, 소포제 0.5~1.0중량%, 크롬계 내식제 0.1~0.5중량% 및 잔량의 용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도층은 1~3㎛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도층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경화 수지, 안료, 용제 및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 1종 이상의 첨가 수지를 포함하는 상도 도료의 경화물로 형성되고, 상기 상도 도료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경화 수지, 안료, 첨가 수지 및 용제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40~50중량%, 경화 수지 2~10중량%, 안료 20~30중량%, 첨가 수지 10~20중량% 및 나머지 용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2코팅 칼라강판 제조 방법은 전처리층의 생략이 가능하여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칼라강판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코팅 칼라강판은 2코팅 공정으로 제조되더라도, 칼라강판이 요구하는 우수한 광택, 내식성, 표면 경도 등의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재용 칼라강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일반적인 가전용 칼라강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코팅 칼라강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일반적인 가전용 칼라강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코팅 칼라강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코팅 칼라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2코팅 칼라강판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코팅 칼라강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2코팅 칼라강판(300)은 베이스 강판(301), 하도층(310) 및 상도층(32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코팅 칼라강판은 클리어층(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강판
베이스 강판(301)은 대략 0.2~1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강판이 이용될 수 있다.
베이스 강판(301)은 열연강판, 냉연강판 어느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으며, 표면에는 내식성 향상을 위하여 아연, 니켈 등을 포함하는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도층
하도층(310)은 베이스 강판(301) 상에 형성되며, 칼라강판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상도층(320)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처리층이 생략될 수 있는 바, 이를 위해서는 하도층(310)이 베이스 강판(301)과의 젖음성이 우수한 하도 도료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하도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규산 수화물, 인산화합물, 소포제, 크롬계 내식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하도 도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하, 하도 도료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역할 및 함량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하도층(310)의 주 바인더로서 작용하며, 또한 도막의 유연성및 내용제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다양한 것을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규산 수화물, 인산화합물, 소포제, 크롬계 내식제 및 용제 전체(이하, 하도 도료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60~8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60중량% 미만일 경우, 베이스 강판에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8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코팅 공정이 어려워질 수 있다.
규산 수화물(hydrate silica)은 하도층의 내식성, 방청성 및 소광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규산 수화물은 하도 도료 전체 중량의 5~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산 수화물 함량이 5중량% 미만일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규산 수화물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가공성 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인산화합물은 도막의 가공성 및 내식성 향상에 기여한다. 이러한 인산화합물은 인산암모늄, 인산수소암모늄 및 인산수소망간 중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인산화합물은 하도 도료 전체 중량의 1~5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산화합물의 첨가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인산화합물의 첨가량이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용액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소포제는 도막 내 기포를 제거하여, 도막 결함 발생 방지에 기여한다. 이러한 소포제는 실리콘 소포제, 알코올계 소포제 및 폴리실록산계 소포제 중에서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하도 도료 전체 중량의 0.5~1.0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포제의 함량이 0.5중량% 미만일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소포제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용액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크롬계 내식제는 도막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크롬계 내식제는 다이크로뮴산 암모늄, 다이크로뮴산 칼륨 및 다이크로뮴산 나트륨 중에서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크롬계 내식제는 하도 도료 전체 중량의 0.1~0.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롬계 내식제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크롬계 내식제의 함량이 0.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도막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용제는 물, 이소프로필알코올과 같은 알코올계 용제, 사이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계 용제 등을 1종 이상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하도 도료로부터 형성되는 하도층(310)은 1~3㎛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도층의 두께가 1㎛ 미만일 경우, 상도층의 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하도층의 두께가 3㎛를 초과하는 경우, 더 이상의 효과 없이 도료 사용량만 증가할 수 있다.
상도층
하도층(310) 상에 형성되는 상도층(320)은 상도 도료로부터 형성되며,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안료를 포함하여 정해진 색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도층은 대략 13~17㎛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도 도료는 공지된 것을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부착성 및 내식성 등의 측면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경화 수지, 안료, 용제 및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 1종 이상의 첨가 수지를 포함하고,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경화 수지, 안료, 첨가 수지 및 용제 전체(이하, 상도 도료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40~50중량%, 경화 수지 2~10중량%, 안료 20~30중량%, 첨가 수지 10~20중량% 및 나머지 용제로 이루어지는 상도 도료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상도층 구성을 위한 주성분에 해당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상도 도료 전체 중량의 40~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함량이 40중량% 미만일 경우, 상도 도료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 도포 및 건조 공정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함량이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경화 특성이 떨어지거나, 균일 도포성이 저하될 수 있다.
경화 수지는 대표적으로 멜라민 수지를 제시할 수 있으며, 그외 공지된 경화 수지를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 수지는 상도 도료 전체 중량의 2~10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 수지의 함량이 2중량% 미만일 경우, 경화가 충분치 않거나 경화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질 수 있다. 반대로, 경화 수지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미반응 경화 수지가 다량 잔존하여 도막 결함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안료는 원하는 색상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색 안료로는 이산화티타늄(TiO2)를 이용할 수 있고, 노란색 안료로는 크롬(Cr)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흑색 안료로는 카본 블랙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적색 안료로는 산화철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안료들을 단독으로 혹은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발휘할 수 있다.
안료는 상도 도료 전체 중량의 20~30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의 첨가량이 20중량% 미만일 경우, 원하는 컬러를 충분히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 반대로, 안료의 첨가량이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내식성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용제는 용제는 물, 이소프로필알코올과 같은 알코올계 용제, 사이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계 용제 등을 1종 이상 이용할 수 있다.
첨가 수지는 부착력 향상 및 강도 향상을 위하여 첨가되며,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첨가 수지는 상도 도료 전체 중량의 10~2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 수지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첨가 수지의 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용액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클리어층
클리어층(330)은 주로 가전용으로 활용될 때, 표면 광택 및 시안성을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클리어층(330)은 폴리에스테르계 클리어 도료 등 공지된 다양한 클리어 도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클리어층은 대략 5~15㎛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칼라강판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2코팅 칼라강판 제조 방법은 하도층 형성 단계 및 상도층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하도층 형성 단계에서는 아연도금강판, 합금화아연도금강판과 같은 베이스 강판 상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규산 수화물, 인산화합물, 소포제, 크롬계 내식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하도 도료를 코팅한 후, 대략 70~160℃에서 소부 건조하여 하도층을 형성한다.
상도층 형성 단계에서는 하도층 상에, 안료를 포함하는 상도 도료를 코팅한 후, 대략 220~230℃에서 소부 건조하여 상도층을 형성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클리어 도료를 도포 및 대략 70~100℃에서 건조하여, 상도층 상에, 클리어층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시편의 제조
실시예 1
하도층 형성을 위하여, 폴리프로필렌 7Kg, 규산 수화물 0.8Kg, 인산암모늄 0.3Kg, 실리콘계 소포제(피스코 제조) 0.07Kg, 다이크로뮴산 암모늄 0.03Kg 및 용제(중량비로, 이소프로필알콜과 사이클로헥사논 1:1)를 혼합하여 전체 10Kg의 하도 도료를 제조하였다.
상도층 형성을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4.5Kg, 멜라민 수지 0.5Kg, TiO2 분말 2Kg, 첨가 수지(중량비로, 우레탄 수지와 에폭시 수지 1:1) 1.5Kg 및 용제(중량비로, 이소프로필알콜과 사이클로헥사논 1:1)를 혼합하여 전체 10Kg의 상도 도료를 제조하였다.
전기아연도금강판 상에, 상기 하도 도료를 도포하고, 150℃에서 소부경화하여 두께 2㎛의 하도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하도층 상에 상기 상도 도료를 도포하고, 200℃에서 소부경화하여 두께 16㎛의 상도층을 형성하여, 칼라강판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프로필렌 6Kg, 규산 수화물 0.5Kg, 인산암모늄 0.3Kg, 실리콘계 소포제 0.08Kg, 다이크로뮴산 암모늄 0.05Kg 및 용제(중량비로, 이소프로필알콜과 사이클로헥사논 1:1)를 혼합하여 전체 10Kg의 하도 도료를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칼라강판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폴리프로필렌 7Kg, 규산 수화물 1Kg, 인산암모늄 0.3Kg, 실리콘계 소포제 0.08Kg, 다이크로뮴산 암모늄 0.01Kg 및 용제(중량비로, 이소프로필알콜과 사이클로헥사논 1:1)를 혼합하여 전체 10Kg의 하도 도료를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칼라강판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프로필렌 7Kg, 인산암모늄 0.3Kg, 실리콘계 소포제 0.08Kg, 다이크로뮴산 암모늄 0.1Kg 및 용제(중량비로, 이소프로필알콜과 사이클로헥사논 1:1)를 혼합하여 전체 10Kg의 하도 도료를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칼라강판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폴리프로필렌 7Kg, 규산 수화물 1.2Kg, 인산암모늄 0.3Kg, 실리콘계 소포제 0.08Kg 및 용제(중량비로, 이소프로필알콜과 사이클로헥사논 1:1)를 혼합하여 전체 10Kg의 하도 도료를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칼라강판 시편을 제조하였다.
2. 물성 평가 방법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 따라 제조된 칼라강판 시편의 물성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광택
광택 평가를 위하여, 광택도계(Tri-Microgloss-20-60-85, Sheen Instruments Ltd., England)를 이용하여 입사각 60°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칼라강판 시편의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2) 내식성
내식성 평가는 500시간 중성 염수분무시험을 실시한 후 도막 박리, 들뜸, 도금면의 부식, 녹발생 유무 등을 확인하였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양호(O) : 도막 박리, 들뜸, 도금면의 부식 및 녹발생 없음
불량(X) : 도막 박리, 들뜸, 도금면의 부식 또는 녹발생 있음
(3) 내충격성
내충격성은 1/2Φ x 1kg x 500mm 조건으로 추를 낙하하여 표면 충격 후, 크랙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로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양호(O) : 크랙 발생 없음
불량(X) : 크랙 발생
(4) 가공성
가공성은 T-bending 테스트를 실시하여 벤딩부위 반경이 시편 두께의 2배수에서 크랙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로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양호(O) : 크랙 발생 없음
불량(X) : 크랙 발생
(5) 도막경화도
도막경화도 평가는 가제에 MEK를 묻힌 후, 1kgf 힘으로 100회 rubbing 왕복한 후, 수지 박리 및 부풀음 발생 여부로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양호(O) : 수지 박리 및 부풀음 발생 여부 없음
불량(X) : 수지 박리 또는 부풀음 발생
(6) 연필경도
연필경도는 유니펜슬(일본 미쓰비시사 제품)을 이용하였다.
(7) 도막 부착성 (밀착성)
도막 부착성은 도료가 도장된 평면 샘플위에 가로x세로 각 1mm의 간격으로 10줄씩 Cross cutting하여 1mm2 의 면적을 가진 정사각형 100점을 만든 후, 추가로 6mm 높이로 Cross cutting 평판부에 구형의 가공(에릭슨 가공)을 하고, 마지막으로 접착 테이프를 붙였다 땔 때 100점의 도막입자에 대한 박리 여부로 다음과 같이 평가 하였다.
양호(O) : Cross cutting부 도막 입자의 박리 없음
불량(X) : Cross cutting부 도막 입자의 박리 발생
3. 물성 평가 결과
상기 평가기준에 의거한 물성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시한 조건을 만족하는 실시예 1~3에 따른 시편의 경우, 모든 테스트에서 합격점을 나타내었다. 반면, 규산 수화물이 첨가되지 않고 크롬계 내식제가 과다 첨가된 비교예 1에 따른 시편의 경우, 내식성 및 도막경화도가 좋지 못하였고, 크롬계 내식제가 포함되지 않고 규산 수화물이 과다 첨가된 비교예 2에 따른 시편의 경우, 도막경화도가 좋지 못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1, 201, 301 : 베이스 강판
110, 210 : 전처리층
120, 220, 310 : 하도층
130, 230, 320 : 상도층
240, 330 : 클리어층
110, 210 : 전처리층
120, 220, 310 : 하도층
130, 230, 320 : 상도층
240, 330 : 클리어층
Claims (11)
- 베이스 강판 상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규산 수화물, 인산화합물, 소포제, 크롬계 내식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하도 도료를 코팅한 후, 소부 건조하여 하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도층 상에 안료를 포함하는 상도 도료를 코팅한 후, 소부 건조하여 상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도 도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규산 수화물, 인산화합물, 소포제, 크롬계 내식제 및 용제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60~80중량%, 규산 수화물 5~10중량%, 인산화합물 1~5중량%, 소포제 0.5~1.0중량%, 크롬계 내식제 0.1~0.5중량% 및 잔량의 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코팅 칼라강판 제조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화합물은 인산암모늄, 인산수소암모늄 및 인산수소망간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코팅 칼라강판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는 실리콘 소포제, 알코올계 소포제 및 폴리실록산계 소포제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코팅 칼라강판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롬계 내식제는 다이크로뮴산 암모늄, 다이크로뮴산 칼륨 및 다이크로뮴산 나트륨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코팅 칼라강판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도 도료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경화 수지, 안료, 용제 및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 1종 이상의 첨가 수지를 포함하고,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경화 수지, 안료, 첨가 수지 및 용제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폴리에스테르계 수지 40~50중량%, 경화 수지 2~10중량%, 안료 20~30중량%, 첨가 수지 10~20중량% 및 나머지 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코팅 칼라강판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코팅 칼라강판 제조 방법은
클리어 도료를 도포 및 건조하여, 상기 상도층 상에 클리어층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코팅 칼라강판 제조 방법.
- 베이스 강판;
상기 베이스 강판 상에 형성되는 하도층; 및
상기 하도층 상에 형성되며, 안료를 포함하는 상도층;을 포함하되,
상기 하도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규산 수화물, 인산화합물, 소포제, 크롬계 내식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하도 도료의 경화물로 형성되고,
상기 하도 도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규산 수화물, 인산화합물, 소포제, 크롬계 내식제 및 용제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60~80중량%, 규산 수화물 5~10중량%, 인산화합물 1~5중량%, 소포제 0.5~1.0중량%, 크롬계 내식제 0.1~0.5중량% 및 잔량의 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코팅 칼라강판.
- 삭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층은 1~3㎛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코팅 칼라강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도층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경화 수지, 안료, 용제 및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 1종 이상의 첨가 수지를 포함하는 상도 도료의 경화물로 형성되고,
상기 상도 도료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경화 수지, 안료, 첨가 수지 및 용제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40~50중량%, 경화 수지 2~10중량%, 안료 20~30중량%, 첨가 수지 10~20중량% 및 나머지 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코팅 칼라강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7779A KR101562113B1 (ko) | 2013-12-18 | 2013-12-18 | 2코팅 칼라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7779A KR101562113B1 (ko) | 2013-12-18 | 2013-12-18 | 2코팅 칼라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1743A KR20150071743A (ko) | 2015-06-29 |
KR101562113B1 true KR101562113B1 (ko) | 2015-10-22 |
Family
ID=5351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7779A KR101562113B1 (ko) | 2013-12-18 | 2013-12-18 | 2코팅 칼라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2113B1 (ko) |
-
2013
- 2013-12-18 KR KR1020130157779A patent/KR101562113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1743A (ko) | 2015-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5188B1 (ko) | 크로메이트프리 흑색 도장 금속판 | |
KR101006033B1 (ko) | 절연 피막을 갖는 전자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
JP5702503B1 (ja) | 乾燥塗膜の形成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塗料 | |
CN101394998A (zh) | 涂层钢板及其制造方法、加工品和薄型电视机用面板 | |
KR101867252B1 (ko) | 방식 도료 조성물 및 건조 도막의 형성 방법 | |
CN105199496A (zh) | 涂料组合物 | |
CN103547446B (zh) | 面板 | |
JP6350768B1 (ja) | プレコート金属板 | |
KR101920688B1 (ko) | 마그네슘 합금강판을 소재로 한 에어컨 실외기용 pcm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pcm 도장강판 | |
KR101174584B1 (ko) | 내식성, 내화학성 및 도장밀착성이 우수한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 | |
KR101622853B1 (ko) | 칼라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00045338A (ko) | 다중가공부 가공성이 우수한 수지코팅 강판, 이에 사용되는수지코팅 조성물 및 밀착성 개선 조성물 | |
KR101775994B1 (ko) | 단면 내식성이 우수한 친환경 라미네이션 강판의 제조방법 | |
KR101586979B1 (ko) | 칼라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2140600B1 (ko) | 소재의 광택도가 발현되는 2-코트 2-베이크에 의한 피씨엠 강판 | |
JP2007119858A (ja) | クロムフリープレコート鋼板 | |
KR101562113B1 (ko) | 2코팅 칼라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
JP2007260541A (ja) | プレコート金属板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304042B1 (ko) | 전처리층 생략이 가능한 가전용 칼라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536916B1 (ko) | 드럼용 냉연칼라강판 및 이를 이용한 드럼 제조 방법 | |
KR101581556B1 (ko) | 칼라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50112516A (ko) | 칼라강판용 하도 도료 및 이를 이용한 칼라강판 제조 방법 | |
KR101467094B1 (ko) | 자기복원 칼라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50112515A (ko) | 칼라강판용 하도 도료 및 이를 이용한 칼라강판 제조 방법 | |
CN113151745A (zh) | 一种耐酸碱腐蚀的镀铝锌预涂层板及其制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