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807B1 -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 - Google Patents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807B1
KR101561807B1 KR1020150038824A KR20150038824A KR101561807B1 KR 101561807 B1 KR101561807 B1 KR 101561807B1 KR 1020150038824 A KR1020150038824 A KR 1020150038824A KR 20150038824 A KR20150038824 A KR 20150038824A KR 101561807 B1 KR101561807 B1 KR 101561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ource
pipe
moving
present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준
Original Assignee
김철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준 filed Critical 김철준
Priority to KR1020150038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B40/02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fuel being fed by scattering over the fuel-support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16Over-feed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22Controlling thickness of fuel b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 화력 및 연소 시간을 설정 가능하게 열원(1)이 공급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난방용 난로에 있어서: 열원(1)을 산화시켜 화력이 발생되는 걸림망(12)을 갖는 연소실(11)과, 연소실(11)의 하부에 관통된 열원(1)으로부터 발생된 재를 수용하는 재받이(13)를 구비하는 난로(10); 상기 난로(10)의 연소실(11)과 연통되어 열원(1)의 공급하는 투입호퍼(21)와, 투입호퍼(21)와 연결되어 열원(1)을 공급한 보조파이프(22)와, 보조파이프(22)로부터 연통되면서 외주에 스토퍼(23)를 구비한 이동파이프(24)와, 이동파이프(24)를 수용하면서 연소실(11)의 내외부로 연통된 메인파이프(25)를 구비하는 공급부(20); 및 상기 공급부(20) 또는 걸림망(12)에 근접 형성되어 열원(1)의 공급양을 조절하여 연소 화력 및 연소 시간을 설정할 수 있게 높이조절수단(30);을 구비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30)은 난로(10)의 재받이(13) 하부에 위치하여 제2사선홈(36)을 갖는 고정부(37)와, 고정부(37)의 내부에 삽설되는 이동부(38)와, 제2사선홈(36)에 삽설되면서 이동부(38)에 체결 고정되어 제2사선홈(36)을 따라 이동부(38)가 회전하여 상, 하 이동하도록 제2가압스프링(39a)과 제2와셔(39b)를 갖는 조절대(39)를 구비하여 재받이(13)를 이동시키는 구성(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열원을 기반으로 사용하여 경제적 비용 절감되는 반면에 높은 화력을 얻을 수 있고, 열원의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비용 소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Automatic solid fuel feed stove for solid fuelstove}
본 발명은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원을 기반으로 사용하여 경제적 비용 절감되는 반면에 높은 화력을 얻을 수 있고, 열원의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비용 소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겨울철에는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천연 연료를 이용하여 난방연료로 사용하는 추세가 급증하고 있는 바, 간벌된 나무 등의 껍질이나 톱밥 등의 폐기물, 연탄이나 석탄 및 목재 등을 분쇄·압축하고 원통형상으로 성형한 펠렛(pellet)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펠렛의 열원은 국제유가 상승에 대해 비교적 저렴함에 따라 비용적 절감 효과가 크다.
일예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80715호에 따르면, ‘전후방에 개폐문(5)과 연도(6)를 가지며 내부에 설치되는 화격자(7)를 경계로 연소실(8)과 재수거실(9)로 구획되는 본체(4)가 기판(2)상에 지각(3)으로 설치된 난로(1)에 있어서, 내측으로 경사안내판(27)을 갖도록 본체(4)의 상부 일측에 형성한 통공(26)과; 하부 일측에 안내레일(15)로 안내되어 개구부(13)를 개폐토록 한 개폐판(16)을 갖는 외통(11)의 내부에 다수개의 격벽(20)으로 구획되어 수용실(21)이 형성된 내통(19)이 회전축(2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외통(11)의 상부 일측은 덮개(18)로 개폐되도록 형성되어 지지대(28)와 플랜지(12)로 통공(26)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공급장치(10)와; 기판(2)의 일측에 차단부재(36)로 격리 설치되어 콘트롤박스(29)로 제어되는 감속모우터(30)와; 내통(19)의 회전축(23)과 감속모우터(30)의 주축(31)에 축 결합된 프리휠(24)과 스프로킷(32)에 감아서 설치되는 체인(33)과; 체인(33)을 감싸 플랜지(35)로 본체(4)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보호커버로 구성된 고체연료 난로의 고체연료 자동 공급장치.’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고체연료 난로의 고체연료 자동 공급장치는 전기적 신호를 통한 자동 공급장치로 편의성이 증진되는 장점은 있지만, 공급장치(10)의 회전이 계속 이루어져야 함으로 많은 전기 소모를 통한 비용부담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또 다른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271748호에 따르면, ‘개폐문(81)을 갖는 난로 본체(80)의 내부에 펠릿연료(P)가 저장된 연료공급부(10)의 호퍼(11)로부터 상기 펠릿연료를 연료공급장치(20)를 통하여 연소부(30)의 화로(31)에 공급하고, 그 화로에 공급된 펠릿연료에 점화장치(40)를 이용하여 점화 후 연소 되면서 발생하는 열기는 실내공기공급수단(5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와 열 교환통로(60)에서 열 교환되어 열기배출구(82)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되며, 연기는 공기흡입수단(70)에 의해 흡입되어 연통(83)을 통하여 실외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펠렛난로에 있어서, 상기 화로(31)의 인접 위치에는 펠릿연료가 점화되면서 발생하는 화염을 감지하는 화염감지센서(S)가 설치되고, 그 화염감지센서는 상기 화로의 펠릿연료 점화가 완료되었을 때 상기 점화장치(4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신호를 보내는 제어부(C)와 연결설치되며, 상기 개폐문(81)에는 센서(81b)가 설치되고 그 센서는 개폐문이 열림과 동시에 화로에서 연소되는 펠릿연료의 소화를 유도하도록 상기 공기흡입수단의 작동정지 신호를 보내는 제어부(C)와 연결설치되며, 상기 화로(31)는 그 화로의 크기보다 크게 마련된 화로실(35)에 안착되고, 상기 화로실의 일측에는 화로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로(37)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흡입수단(70)은, 난로 본체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연소부과 상호 연통되는 공기흡입로(71)가 마련되고, 그 공기흡입로의 후단에는 모터(72)의 작동과 함께 연동되어 공기흡입로의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팬(73)이 설치되는 공기흡입실(74)이 설치되며, 상기 흡입 팬의 상부에는 상기 모터의 작동과 함께 연동되어 모터로의 열기전달을 방지하는 냉각 팬(75)이 설치되고, 그 흡입 팬과 냉각 팬의 사이에는 단열 판(76)이 설치되며, 상기 공기흡입실의 일측에는 연통을 연결설치하는 연통설치부(77)를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난로.’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펠렛난로 역시 호퍼와 연결되는 원통관(21)의 내부에 모터(23)의 작동과 함께 회전되는 스크루(22)를 통해 펠렛을 공급함에 따라 전기적 소모를 피할수 없어 비용 손실이 발생된다.
특허문헌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80715호 “고체연료 난로의 고체연료 자동 공급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271748호 “펠렛난로”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원을 기반으로 사용하여 경제적 비용 절감되는 반면에 높은 화력을 얻을 수 있고, 열원의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비용 소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소 화력 및 연소 시간을 설정 가능하게 열원이 공급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난방용 난로에 있어서: 열원을 산화시켜 화력이 발생되는 걸림망을 갖는 연소실과, 연소실의 하부에 관통된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재를 수용하는 재받이를 구비하는 난로; 상기 난로의 연소실과 연통되어 열원의 공급하는 투입호퍼와, 투입호퍼와 연결되어 열원을 공급한 보조파이프와, 보조파이프로부터 연통되면서 외주에 스토퍼를 구비한 이동파이프와, 이동파이프를 수용하면서 연소실의 내외부로 연통된 메인파이프를 구비하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 또는 걸림망에 근접 형성되어 열원의 공급양을 조절하여 연소 화력 및 연소 시간을 설정할 수 있게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난로의 재받이 하부에 위치하여 제2사선홈을 갖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내부에 삽설되는 이동부와, 제2사선홈에 삽설되면서 이동부에 체결 고정되어 제2사선홈을 따라 이동부가 회전하여 상, 하 이동하도록 제2가압스프링과 제2와셔를 갖는 조절대를 구비하여 재받이를 이동시키는 구성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열원을 기반으로 사용하여 경제적 비용 절감되는 반면에 높은 화력을 얻을 수 있고, 열원의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비용 소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의 높이조절수단에 대한 구성(A)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따른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의 높이조절수단에 대한 구성(B)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a 내지 7b는 본 발명에 따른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의 높이조절수단에 대한 구성(C)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의 높이조절수단에 대한 구성(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따른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의 높이조절수단에 대한 구성(B)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a 내지 7b는 본 발명에 따른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의 높이조절수단에 대한 구성(C)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연소 화력 및 연소 시간을 설정 가능하게 열원(1)이 공급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난방용 난로에 관련되며, 난로(10), 공급부(20), 높이조절수단(3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로(10)는 열원(1)을 산화시켜 화력이 발생되는 걸림망(12)을 갖는 연소실(11)과, 연소실(11)의 하부에 관통된 열원(1)으로부터 발생된 재를 수용하는 재받이(13)를 구비한다. 난로(10)는 내부에 공급되는 열원(1)이 산화될 수 있도록 연소실(11)을 구비하고, 상기 연소실(11)의 하부에 재받이(13)를 구비하게 된다. 연소실(11)의 상부에는 배기관(14)을 통해 연소가스의 배출이 자유롭도록 하고, 연소실(11)과 연통되는 구이부(15)를 통해 감자, 고구마 등을 구워 먹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난로(10)의 연소실(11)의 하측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걸림망(12)이 하부 재받이(13)와 연통되게 안착된다. 걸림망(12)에는 다수의 열원(1)이 안착되어 점화하게 되면 열원(1)이 산화하여 발생된 재가 재받이(13)로 낙하하여 모아져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20)는 상기 난로(10)의 연소실(11)과 연통되어 열원(1)의 공급하는 투입호퍼(21)와, 투입호퍼(21)와 연결되어 열원(1)을 공급한 보조파이프(22)와, 보조파이프(22)로부터 연통되면서 외주에 스토퍼(23)를 구비한 이동파이프(24)와, 이동파이프(24)를 수용하면서 연소실(11)의 내외부로 연통된 메인파이프(25)를 구비한다. 공급부(20)는 상기 난로(10)의 내부 연소실(11)과 연통하여 열원(1)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투입호퍼(21)로부터 열원(1)의 공급이 가능토록 한다.
이러한, 공급부(20)는 투입호퍼(21)에 다수 수용된 열원(1)이 난로(10)의 측면에 관통되어 보조파이프(22)를 통하여 이동하게 되는 바, 후술하는 열원(1)이 걸림망(12)에 안착할 수 있도록 다소 절곡된 형태로 일체 또는 분리로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파이프(22)와 연통되어 외주에 스토퍼(23)가 형성된 이동파이프(24)를 구비한다. 이동파이프(24)는 난로(10) 상에 고정된 메인파이프(25) 상에 삽설하여 끝단부가 걸림망(12)에 근접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이동파이프(24)는 후술하는 높이조절수단(30) 중 하나의 구성에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열원(1)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 높이조절수단(30)은 후술하여 설명토록 한다. 여기서, 이동파이프(24)에는 스토퍼(23)가 형성되어 이동파이프(24)의 이동거리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30)은 상기 공급부(20) 또는 걸림망(12)에 근접 형성되어 열원(1)의 공급양을 조절하여 연소 화력 및 연소 시간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높이조절수단(30)은 공급부(20) 또는 재받이(13)의 높이를 조절하여 열원(1)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걸림망(12)은 열원(1)이 산화공간(26a)으로 수용 가능하게 관통공(26)을 갖는 경사진 형태의 이중망(27)으로 형성되거나 이동파이프(24)와의 일정 공간을 확보하게 돌출 형성되는 돌부(28)를 구비하는 구성 중 어느 하나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림망(12)은 이중망(27)의 구조와 돌부(28)가 형성된 두가지의 구성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는 바, 먼저 이중망(27)의 구성은 상부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관통공(26)이 형성된 망과 하부에는 수평 상태의 망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산화공간(26a)이 형성된다. 이러한, 산화공간(26a)은 공급부(20)로부터 유입되는 열원(1)이 이중망(27)의 관통공(26)을 통해 삽설되고, 하부에 산화공간(26a)에서부터 공기를 통해 산화력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돌부(28)가 형성되는 구성은 걸림망(12)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돌부(28)는 상술한 이동파이프(24)로부터 낙하되는 열원(1)이 쌓일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30)은 공급부(20) 상에 보조파이프(22)와 이동파이프(24)를 서로 나사산(31)에 의해 체결하고 체결력에 의해 이동파이프(24)가 상, 하 이동하여 이동파이프(24)를 이동시키는 구성(A)를 구비한다. 구성(A)는 공급부(20)의 메인파이프(25) 상에 삽설되어 있는 이동파이프(24)가 상, 하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보조파이프(22)와 이동파이프(24)가 서로 나사산(31)에 의해 체결하여 상기 이동파이프(24)가 걸림망(12)으로부터 일정 공간(S)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보조파이프(22)와 이동파이프(24)의 체결력에 의해 이동파이프(24)가 상, 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30)은 공급부(20)의 메인파이프(25) 상에 형성된 제1사선홈(34)과 제1사선홈(34)에 삽설되면서 이동파이프(24)에 체결 고정되어 제1사선홈(34)을 따라 이동파이프(24)가 회전하여 상, 하 이동이 가능하면서 고정이 가능하게 제1가압스프링(35a)과 제1와셔(35b)를 갖는 고정볼트(35)를 구비하여 이동파이프(24)를 이동시키는 구성(B)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B)는 메인파이프(25) 상에 사선 방향의 제1사선홈(34) 상에 삽설되는 고정볼트(35)는 이동파이프(24)와 체결된 상태로 제1사선홈(34)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파이프(24)가 상, 하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동파이프(24)가 이동된 상태로 고정이 가능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정볼트(35)에 삽설되는 제1가압스프링(35a)과 제1와셔(35b)를 통해 고정볼트(35)를 지지하여 이동파이프(24)를 회전하여 높이를 조절과 고정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30)은 난로(10)의 재받이(13) 하부에 위치하여 제2사선홈(36)을 갖는 고정부(37)와, 고정부(37)의 내부에 삽설되는 이동부(38)와, 제2사선홈(36)에 삽설되면서 이동부(38)에 체결 고정되어 제2사선홈(36)을 따라 이동부(38)가 회전하여 상, 하 이동하도록 제2가압스프링(39a)과 제2와셔(39b)를 갖는 조절대(39)를 구비하여 재받이(13)를 이동시키는 구성(C)를 구비한다. 상술한 구성(A)(B)의 경우 공급부(20)의 이동파이프(24)를 조절하여 그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걸림망(12)과 이동파이프(24)와의 일정 공간(S)을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쌓여가는 열원(1)의 양을 조절하였지만, 구성(C)의 경우 상술한 구성(A)(B)와는 다르게 공급부(20)의 이동파이프(24)를 제거한 상태로 메인파이프(25)만을 사용하여 열원(1)을 공급하거나 이동파이프(24)가 고정된 상태로 걸림망(12)을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일정 공간(S)을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구성(C)는 걸림망(12)의 하부에 근접하여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37)의 내부에 이동부(38)가 삽설된 상태로 구성되고, 고정부(37)에는 제2사선홈(36)이 형성되고, 제2사선홈(36)에 삽설되어 이동부(38)에 체결 고정되는 조절대(39)를 통해 상기 제2사선홈(36)을 따라 이동부(38)가 이동하여 걸림망(12)의 하부를 지지함에 따라 상기 걸림망(12)을 상, 하로 조절하게 된다. 이때, 조절대(39)에 구성된 제2가압스프링(39a)과 제2와셔(39b)의 가압력을 통해 원하는 높이 이동 후,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높이조절수단(30)의 구성(A)(B)(C)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30)의 구성(A)은 메인파이프(25)로부터 이동파이프(24)의 회전을 방지하게 메인파이프(25)의 외주면에 수용홈(32a)을 구비하는 고정편(32)과, 고정편(32)의 수용홈(32a) 상에 삽설하여 이동파이프(24)에 체결되면서 가압력을 전달하게 제3가압스프링(33a)과 제3와셔(33b)를 갖는 체결볼트(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높이조절수단(30)의 구성(A)의 경우 이동파이프(24)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동파이프(24) 상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편(32)의 수용홈(32a)에 수용된 상태로 이동파이프(24)에 체결볼트(33)가 체결된다. 그리고, 그 체결볼트(33)의 외주에는 제3가압스프링(33a)과 제3와셔(33b)를 통하여 가압력을 전달함에 따라 체결볼트(33)는 수용홈(32a) 상에서 회전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체결볼트(33)만을 사용하여 이동파이프(24)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지만 상기 제3가압스프링(33a)과 제3와셔(33b)를 통한 강한 가압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8을 살펴보면 공급부(20)의 메인파이프(25) 상에 캡(29)을 씌워 펠렛 형태의 열원(1)을 사용하지 않고, 나무, 석탄 등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캡(29)은 상술한 공급부(20)로부터 화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고, 도 9에 도시된 미설명된 도면부호 5는 공급부(20)의 내부에 호퍼(21)로부터 낙하되는 열원(1)을 차단할 수 있도록 회전되는 구성의 차단부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에 있어서, 먼저 투입호퍼(21) 상에 다량의 열원(1)이 공급되면 공급부(20)를 통해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이렇게 낙하된 열원(1)은 난로(10)의 연소실(11)에 배치된 걸림망(12)으로 향하게 되고, 열원(1)은 걸림망(12)에 점점 쌓이게 된다. 이렇게 쌓인 열원(1) 상에 발화를 시키게 되면 연소실(11)에는 화염이 발생하게 되고, 그 후, 사용자는 높이조절수단(30)을 통해 이동파이프(23)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거나 걸림망(12)을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걸림망(12)과 이동파이프(23)의 끝단부와의 거리 즉 공간(S)을 통해 열원(1)의 쌓이는 양을 조절하여 연소실(11)의 온도 및 산화시간을 조절하게 되고, 연소된 열원(1)은 재로 변하여 하부에 형성된 재받이(13)로 낙하하면, 비워진 공간(S)은 다시 열원(1)이 자동으로 채워져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열원을 기반으로 사용하여 경제적 비용 절감되는 반면에 높은 화력을 얻을 수 있고, 열원의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비용 소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열원 10: 난로 11: 연소실
12: 걸림망 13: 재받이 14: 배기관
15: 구이부 20: 공급부 21: 투입호퍼
22: 보조파이프 23: 스토퍼 24: 이동파이프
25: 메인파이프 26: 관통공 26a: 산화 공간
27: 이중망 28: 돌부 29: 캡
30: 높이조절수단 31: 나사산 32: 고정편
32a: 수용홈 33: 체결볼트 33a: 제3가압스프링
33b: 제3와셔 34: 제1사선홈 35: 고정볼트
35a: 제1가압스프링 35b: 제1와셔 36: 제2사선홈
37: 고정부 38: 이동부 39: 조절대
39a: 제2가압스프링 39b:제2와셔

Claims (4)

  1. 연소 화력 및 연소 시간을 설정 가능하게 열원(1)이 공급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난방용 난로에 있어서:
    열원(1)을 산화시켜 화력이 발생되는 걸림망(12)을 갖는 연소실(11)과, 연소실(11)의 하부에 관통된 열원(1)으로부터 발생된 재를 수용하는 재받이(13)를 구비하는 난로(10);
    상기 난로(10)의 연소실(11)과 연통되어 열원(1)의 공급하는 투입호퍼(21)와, 투입호퍼(21)와 연결되어 열원(1)을 공급한 보조파이프(22)와, 보조파이프(22)로부터 연통되면서 외주에 스토퍼(23)를 구비한 이동파이프(24)와, 이동파이프(24)를 수용하면서 연소실(11)의 내외부로 연통된 메인파이프(25)를 구비하는 공급부(20); 및
    상기 공급부(20) 또는 걸림망(12)에 근접 형성되어 열원(1)의 공급양을 조절하여 연소 화력 및 연소 시간을 설정할 수 있게 높이조절수단(30);을 구비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30)은 난로(10)의 재받이(13) 하부에 위치하여 제2사선홈(36)을 갖는 고정부(37)와, 고정부(37)의 내부에 삽설되는 이동부(38)와, 제2사선홈(36)에 삽설되면서 이동부(38)에 체결 고정되어 제2사선홈(36)을 따라 이동부(38)가 회전하여 상, 하 이동하도록 제2가압스프링(39a)과 제2와셔(39b)를 갖는 조절대(39)를 구비하여 재받이(13)를 이동시키는 구성(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038824A 2015-03-20 2015-03-20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 KR101561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824A KR101561807B1 (ko) 2015-03-20 2015-03-20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824A KR101561807B1 (ko) 2015-03-20 2015-03-20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807B1 true KR101561807B1 (ko) 2015-10-20

Family

ID=54399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824A KR101561807B1 (ko) 2015-03-20 2015-03-20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8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402B1 (ko) * 2013-04-18 2013-07-30 이광구 무동력 펠릿 난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402B1 (ko) * 2013-04-18 2013-07-30 이광구 무동력 펠릿 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1993A (en) Stove for burning bio-mass pellets and grain
KR100916111B1 (ko) 펠릿 보일러
US11391464B2 (en) Enhanced pellet fueled cooking device
KR101675992B1 (ko) 공기 순환식 난로
EP2071238A2 (en) A heater being automatically fed with uniform geometry fuel units
KR101587377B1 (ko)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KR101565556B1 (ko) 펠릿용 연소장치
US11175047B2 (en) Pellet stove
EP1826483A2 (en) Combustion method and combustion device
US10408459B2 (en) Pellet stove with basket adjustment
KR101561807B1 (ko) 열원의 공급이 용이한 난로
KR200482766Y1 (ko) 나무 겸용 연탄 보일러
EP2762777A1 (en) Boiler
KR101542350B1 (ko) 축열식 화목 난방장치
KR101757026B1 (ko) 화목 및 펠렛 겸용 난로
KR20180014481A (ko) 펠릿 겸용 목재난로
KR200484682Y1 (ko) 고체연료 난로용 노즐
KR200481893Y1 (ko) 펠릿 난로
KR200476058Y1 (ko) 펠렛 버너
EP2083222A1 (en) Solid fuel heating device
KR101861205B1 (ko) 고형연료 난로
RU155426U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пеллет в горелку котла
KR20160114755A (ko) 펠릿을 이용한 난로
KR20110088905A (ko)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
KR20130101762A (ko) 펠릿 연소용 로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