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762A - 펠릿 연소용 로스터 - Google Patents

펠릿 연소용 로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762A
KR20130101762A KR1020120022756A KR20120022756A KR20130101762A KR 20130101762 A KR20130101762 A KR 20130101762A KR 1020120022756 A KR1020120022756 A KR 1020120022756A KR 20120022756 A KR20120022756 A KR 20120022756A KR 20130101762 A KR20130101762 A KR 20130101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pellet
cylinder
loss
ro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수
Original Assignee
김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수 filed Critical 김문수
Priority to KR1020120022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1762A/ko
Publication of KR20130101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02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adapted for the use of two or more kinds of fuel or energy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펠릿연소용로스터의 가스버너의 연소불꽃이 연소통의 불꽃유입구멍을 통하여 펠릿이 공급되는 연소통에 불꽃 점화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이 후, 공기의 강제공급으로 연소통의 펠릿이 연소되며 그의 연소열이 연소통의 위쪽으로 발열되도록 하는 펠릿 연소용 로스터에 있어서의 연소통내의 연소불꽃을 위쪽으로 유도하는 연소불꽃유도통의 위쪽에 석쇠, 구이판 또는 용기(이하 로스용기라 함)를 얹을 수 있는 로스용기얹힘체가 형성되도록 하여, 로스용기의 바닥이 로스용기얹힘체에 얹혀져 연소통의 연소불꽃유도통의 연소열이 비산되는 일이없이 로스용기에 직접 전달됨에 따라서, 직접열에 의하여 로스용기에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연소불꽃유도통 위의 로스용기얹힘체에 로스용기가 얹혀져, 연소불꽃유도통의 위쪽을 폐쇄하기 때문에, 연소통의 연소부에서 연소된 연소재가 연소불꽃유도통의 밖으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한 실내분위를 유지할 수 있는 펠릿 연소용 로스터에 관한 것으로, 펠릿이 공급되어 연소되는 연소통의 불꽃이 연소불꽃유도통에 유도되어 연소통의 위쪽으로 발열되도록 하는 펠릿 연소용 로스터에 있어서, 연소통(100)의 연소불꽃유도통(180)에 유도되는 연소열이 연소통(100)의 위쪽에 얹히는 로스용기(400)의 바닥저면(41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연소통(100)의 연소불꽃유도통(180)의 위쪽에 로스용기(400)를 얹을 수 있는 로스용기얹힘체(300)가 형성되어, 연소통(100)의 연소부(130)에서 연소된 열이 연소불꽃유도통(180)에 유도되어 로스용기얹힘체(300)의 로스용기(400)의 바닥저면(41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로스용기얹힘체(300)는 연소통(100)의 연소불꽃유도통(180)의 개구부(190) 보다 높은 받침링(170)에 얹히는 환형플랜지(310)와, 중앙이 개구된 개구부(320)가 형성되어, 연소통(100)의 연소불꽃유도통(180)에 유도되어 방출되는 연소열이 상기 개구부(320)를 통하여 로스용기(400)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펠릿 연소용 로스터{Roaster for pellet combustion}
본 발명은 펠릿이 펠릿연료저장통으로부터 펠릿자동공급장치에 의하여 연소통으로 공급되어 연소되도록 하는 펠릿 연소용 로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펠릿연소용로스터의 가스버너의 연소불꽃이 연소통의 불꽃유입구멍을 통하여 펠릿이 공급되는 연소통에 불꽃 점화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이 후, 공기의 강제공급으로 연소통의 펠릿이 연소되며 그의 연소열이 연소통의 위쪽으로 발열되도록 하는 펠릿 연소용 로스터에 있어서의 연소통내의 연소불꽃을 위쪽으로 유도하는 연소불꽃유도통의 위쪽에 석쇠, 구이판 또는 용기(이하 로스용기라 함)를 얹을 수 있는 로스용기얹힘체가 형성되도록 하여, 로스용기의 바닥이 로스용기얹힘체에 얹혀져 연소통의 연소불꽃유도통의 연소열이 비산되는 일이없이 로스용기에 직접 전달됨에 따라서, 직접열에 의하여 로스용기에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연소불꽃유도통 위의 로스용기얹힘체에 로스용기가 얹혀져, 연소불꽃유도통의 위쪽을 폐쇄하기 때문에, 연소통의 연소부에서 연소된 연소재가 연소불꽃유도통의 밖으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한 실내분위를 유지할 수 있는 펠릿 연소용 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스터는 숯을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과, 또한 가스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또한 로스터는 실내에 장착하기 때문에 홴의 강제순환식으로 연소가스를 순환 및 필터링하는 것들이 알려져 있다.
가스를 원료로 하는 로스터는 상기와 같이 취급이 용이한 것에 비하여 고기맛이 없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반대로 숯은 원적외선의 방사로 고기의 맛이 좋다.
상기의 결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숯과 가스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로스터가 있으나, 숯을 사용하던가 또는 가스를 사용하던가 하는 선택의 폭은 넓은 반면에 상기의 결점들을 모두 해소할 수는 없다.
또한, 숯을 대신한 대체 연료로써 펠릿을 이용하고 있는데, 펠릿이 펠릿연료저장통으로부터 펠릿자동공급장치에 의하여 연소통에 공급되도록 되고, 또한 연소통의 아래에 가스버너가 장착되어 점화시 가스버너에 가스의 공급과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가스연소에 의하여 연소통의 펠릿이 연소되기 시작하면 가스의 공급을 중단하여 홴에 의하여 공기가 공급되어 펠릿이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일일이 연소통에 연료를 공급하는 일이없이 자동으로 펠릿이 공급, 연소되어 고기의 맛을 좋케하고 또한 취급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기 연소통의 펠릿은 가스버너에 가스의 점화와 연소에 의하여 연소불꽃이 펠릿에 전달되게 되는데, 통상 연소통의 저면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하여 절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특허 10-2010-0068766호에서는 연소통에 비산방지망을 형성하여 펠릿의 재가 가벼워서 연소통 밖으로 추출되어 로스터의 석쇠쪽으로 날려서 실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고, 또한 연소통의 위에 장착되는 발열커버에 원활한 산소의 공급으로 발열효율을 높이도록 하고 있으나, 연소통의 열이 발열커버에 부딪쳐서 강제로 저류하도록 되어 있으면서, 일부의 열이 발열구멍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발열효율을 높일 수 있으나, 발열커버에 저류되는 시간이 많아 석쇠 등에 전달되는 열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펠릿이 공급되어 연소되는 연소통의 불꽃이 연소불꽃유도통에 유도되어 연소통의 위쪽으로 발열되도록 하는 펠릿 연소용 로스터에 있어서의 연소불꽃유도통의 개구부쪽에 로스용기얹힘체를 형성하여 이 로스용기얹힘체에 로스용기의 바닥이 얹히도록 함으로써, 연소통의 연소불꽃이 바로 로스용기에 전달되어 발열효율을 높이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소통의 로스용기얹힘체에 로스용기의 바닥이 얹혀져 연소통의 개구부쪽을 막는 역할로 인하여 연소통의 연소부에서 연소되어 발생하는 연소재가 연소통의 위쪽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아 실내에 연소재가 날리는 일이없어 청결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펠릿이 공급되어 연소되는 연소통의 불꽃이 연소불꽃유도통에 유도되어 연소통의 위쪽으로 발열되도록 하는 펠릿 연소용 로스터에 있어서, 연소통의 연소불꽃유도통에 유도되는 연소열이 연소통의 위쪽에 얹히는 로스용기의 바닥저면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됨을 기본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소통의 연소불꽃유도통의 위쪽에 로스용기를 얹을 수 있는 로스용기얹힘체가 형성되어, 연소통의 연소부에서 연소된 열이 연소불꽃유도통에 유도되어 로스용기얹힘체의 로스용기의 바닥저면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스용기얹힘체는 연소통의 연소불꽃유도통의 개구부 보다 높은 받침링에 얹히는 환형플랜지와, 중앙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연소통의 연소불꽃유도통에 유도되어 방출되는 연소열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로스용기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펠릿연소용로스터의 가스버너의 연소불꽃이 연소통의 불꽃유입구멍을 통하여 펠릿이 공급되는 연소통에 불꽃 점화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이 후, 공기의 강제공급으로 연소통의 펠릿이 연소되며 그의 연소열이 연소통의 위쪽으로 발열되도록 하는 펠릿 연소용 로스터에 있어서의 연소통내의 연소불꽃을 위쪽으로 유도하는 연소불꽃유도통의 위쪽에 석쇠, 구이판 또는 용기(이하 로스용기라 함)를 얹을 수 있는 로스용기얹힘체가 형성되도록 하여, 로스용기의 바닥이 로스용기얹힘체에 얹혀져 연소통의 연소불꽃유도통의 연소열이 비산되는 일이없이 로스용기에 직접 전달됨에 따라서, 직접열에 의하여 로스용기에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연소불꽃유도통 위의 로스용기얹힘체에 로스용기가 얹혀져, 연소불꽃유도통의 위쪽을 폐쇄하기 때문에, 연소통의 연소부에서 연소된 연소재가 연소불꽃유도통의 밖으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한 실내분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펠릿 연소용 로스터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펠릿 연소용 로스터의 종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부 절결 종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분리 종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펠릿 연소용 로스터의 연소통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은 펠릿 연소용 로스터의 연소통의 분리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펠릿 연소용 로스터(1)는 박스형의 로스터케이스몸체(2)의 중앙에 통형상의 연소통(100)이 장착되고, 또한 연소통(100)의 위에 로스용기(400)를 얹을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또한 후술하는 펠릿자동공급장치(3)의 펠릿연료저장통(4)이 커버(8)로 개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펠릿자동공급장치(3)의 펠릿연료저장통(4)과 연결되는 펠릿공급통로(9)가 형성되고, 상기 펠릿공급통로(9)는 연소통(100)의 펠릿유입통로(110)와의 연결되어 통하도록 되어서, 펠릿자동공급장치(3)의 펠릿연료저장통(4)내의 펠릿(10)이 연소통(100)의 연소부(130)로의 일정량의 공급과 멈춤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펠릿연료저장통(4)내에 모터(5)와 감속기(6)들에 의하여 회전되는 스크류(7)가 가로질러 장착되어 회전 및 정지가능하게 셋팅된다.
펠릿(10)의 연소통(100)의 연소부(130)로의 일정량의 공급과 멈춤은, 상기 스크류(7)의 회전 및 정지작동에 의하여 행하게 되며, 그의 제어는 콘트롤러(도시생략)에서 한다.
상기 스크류(7)는 굵은 철사를 나선형상으로 성형하여 스크류(7)의 골 사이로 펠릿(10)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펠릿유입통로(110)는 연소통기초고정통로(111)와 펠릿공급연결통로(112)로 구성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펠릿 연소용 로스터(1)의 로스터케이스몸체(2)내의 중앙 아래쪽에는 가스공급장치(도시생략)와 연결되어 점화 및 소등할 수 있는 가스버너(20)와 불꽃점화용 열전대(30)가 장착되어 있다.
가스버너(20)의 원주 둘레면에 공기조절시트(200)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공기조절시트(200)에는 별도로 마련한 연소통이얹히는통(210)이 얹히게 된다.
상기 연소통이얹히는통(210)은 가스버너(20)의 불꽃과 공기가 연소통(100)의 연소부(130)의 불꽃 및 공기유입구멍(120)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불꽃 및 공기유입구멍(120)은 작은 직경으로 가스버너(20)의 불꽃이 작은 구멍을 통과하면서 홴(도시생략)의 바람에 의하여 노즐효과를 일으켜 불꽃의 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연소통(1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불꽃 및 공기유입구멍(120)들이 뚫려 있는 연소부(130)와 연소부(130)의 위에 연소부(130)의 연소열을 위쪽으로 유도하는 상협하광 형상의 연소불꽃유도통(18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소통(100)의 연소불꽃유도통(180)은 상기 연소통(100)의 연소부(130)의 위에 얹히도록 형성할 수 있고, 또는 연소불꽃유도통(180)의 기초부가 상기 연소부(130)에 용접 고정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소통(100)의 연소불꽃유도통(180)의 아래쪽에 펠릿유입구멍(140)이 뚫려있고, 상기 이 펠릿유입구멍(140)에 펠릿유입통로(110)의 연소통기초고정통로(111)이 용접 고정된다. 상기 연소통기초고정통로(111)는 대략 U자형상의 단면으로써, 상기 펠릿유입구멍(140)과 연결되어 통하여져 펠릿공급장치(3)의 펠릿(10)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연소통기초고정통로(111)의 끝단에 연소통기초고정통로(111)와의 표고차가 있고 턱(113)이져서 펠릿공급연결통로(112)가 고정된다.
연소통기초고정통로(111)의 끝단에 펠릿공급연결통로(112)가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그의 둘레면들이 서로 용접부위로 고정된다. 상기 펠릿공급연결통로(112) 역시 대략 U자형상의 단면이다.
따라서, 펠릿연료저장통(4)의 펠릿(10)은, 펠릿자동공급장치(3)의 펠릿공급통로(9)로부터 펠릿공급연결통로(112)에 미끄러져 이동하며, 또한 이어서 연소통기초고정통로(111)에서 다시 미끄러져 펠릿유입구멍(140)을 통하여 연소통(100)의 연소부(130)에 저감된 속도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소통(100)의 연소불꽃유도통(180)의 바깥쪽에는 일정높이의 받침기둥(150)들의 기초부가 기초둘레면(160)에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세워져 고정되고, 또한 받침기둥(150)들의 위쪽 끝단에 받침링(170)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받침링(170)의 높이는 상기 연소불꽃유도통(180)의 개구부(190)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해 있다. 상기 받침링(170)에는 로스용기얹힘체(300)가 얹히고, 또한 상기 로스용기얹힘체(300)위에는 로스용기(400)의 바닥저면(410)이 맞닿아 얹혀지게 된다.
연소통(100)의 연소부(130)에서 연소된 열이 연소불꽃유도통(180)에 유도되어 로스용기얹힘체(300)의 로스용기(400)의 바닥저면(41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로스용기얹힘체(300)는 링 형상체로서, 받침링(170)에 얹히는 환형플랜지(310)와, 중앙이 개구된 개구부(320)가 형성되고, 또한 한쪽에 펠릿유도커버(330)가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상기 로스용기얹힘체(300)의 환형플랜지(310)는 단면이 대략 자형상으로써, 연소통의 받침링(170)에 얹혀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이며, 또한 환형플랜지(310)의 위에 석쇠 등의 로스용기(400)가 얹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로스용기얹힘체(300)는 중앙이 개구된 개구부(320)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통(100)의 연소불꽃유도통(180)에 유도되는 연소열이 연소통(100)의 위쪽에 얹히는 로스용기(400)의 바닥저면(41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연소통(100)의 연소불꽃유도통(180)에 유도되어 방출되는 연소열이 상기 개구부(320)를 통하여 로스용기(400)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즉 로스용기(400)의 바닥저면(410)이 로스용기얹힘체(300)에 얹혀져 연소통(100)의 연소불꽃유도통(180)의 연소열이 비산되는 일이없이 로스용기(400)에 직접 전달됨에 따라서, 직접열에 의하여 로스용기(400)에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소불꽃유도통(180) 위의 로스용기얹힘체(300)의 개구부(320)에 로스용기(400)가 얹혀져, 연소불꽃유도통(180)의 위쪽을 폐쇄하기 때문에, 연소통(100)의 연소부(130)에서 연소된 연소재가 연소불꽃유도통(180)의 밖으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한 실내분위를 유지할 수 있다.
1 : 로스터 10 : 펠릿
100 : 연소통 110 : 펠릿유입통로
130 : 연소부 140 : 펠릿유입구멍
150 : 받침기둥 160 : 기초둘레면
170 : 받침링 180 : 연소불꽃유도통
190 : 개구부 200 : 공기조절시트
210 : 연소통이얹히는통 300 : 로스용기얹힘체
310 : 환형플랜지 320 : 개구부
330 : 펠릿유도커버 400 : 로스용기
410 : 바닥저면

Claims (3)

  1. 펠릿이 공급되어 연소되는 연소통의 불꽃이 연소불꽃유도통에 유도되어 연소통의 위쪽으로 발열되도록 하는 펠릿 연소용 로스터에 있어서,
    연소통(100)의 연소불꽃유도통(180)에 유도되는 연소열이 연소통(100)의 위쪽에 얹히는 로스용기(400)의 바닥저면(41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연소용 로스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소통(100)의 연소불꽃유도통(180)의 위쪽에 로스용기(400)를 얹을 수 있는 로스용기얹힘체(300)가 형성되어, 연소통(100)의 연소부(130)에서 연소된 열이 연소불꽃유도통(180)에 유도되어 로스용기얹힘체(300)의 로스용기(400)의 바닥저면(41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연소용 로스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로스용기얹힘체(300)는 연소통(100)의 연소불꽃유도통(180)의 개구부(190) 보다 높은 받침링(170)에 얹히는 환형플랜지(310)와, 중앙이 개구된 개구부(320)가 형성되어, 연소통(100)의 연소불꽃유도통(180)에 유도되어 방출되는 연소열이 상기 개구부(320)를 통하여 로스용기(400)에 전달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연소용 로스터.
KR1020120022756A 2012-03-06 2012-03-06 펠릿 연소용 로스터 KR20130101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756A KR20130101762A (ko) 2012-03-06 2012-03-06 펠릿 연소용 로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756A KR20130101762A (ko) 2012-03-06 2012-03-06 펠릿 연소용 로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762A true KR20130101762A (ko) 2013-09-16

Family

ID=4945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756A KR20130101762A (ko) 2012-03-06 2012-03-06 펠릿 연소용 로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17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213B1 (ko) * 2023-09-04 2024-04-12 박지훈 화기 확산 방지 불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213B1 (ko) * 2023-09-04 2024-04-12 박지훈 화기 확산 방지 불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60767A1 (en) Fire pit apparatus
KR101675992B1 (ko) 공기 순환식 난로
KR101847726B1 (ko)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KR101479579B1 (ko) 펠릿 난로
KR101392216B1 (ko)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가열장치
US11175047B2 (en) Pellet stove
KR101274326B1 (ko) 펠릿 연소용 로스터
KR101254447B1 (ko) 펠릿 연소용 로스터
US10408459B2 (en) Pellet stove with basket adjustment
KR101884137B1 (ko) 2단 연소통을 가지는 펠릿용 로스터
KR101634362B1 (ko) 하향 연소식 펠렛난로
KR20130101762A (ko) 펠릿 연소용 로스터
KR101395951B1 (ko) 펠릿 연소용 로스터
KR20120003415U (ko) 펠릿 연소용 로스터
KR20130001799A (ko) 펠렛연료용 무동력 난로
KR101891402B1 (ko) 펠릿 연소용 로스터
KR200481740Y1 (ko) 화목 및 펠릿 겸용 난로
KR101658017B1 (ko) 펠릿 공급기
KR200484682Y1 (ko) 고체연료 난로용 노즐
KR20150002292U (ko) 펠렛 및 화목 겸용 난로
KR101189049B1 (ko) 펠릿 연소용 로스터
KR200484683Y1 (ko) 로스톨이 구비되는 난로
KR20110088905A (ko)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
US10168053B2 (en) Combustion apparatus for both firewood and pellet fuel
KR200466626Y1 (ko) 펠릿형 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