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449B1 -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및 패드 컨디셔너 - Google Patents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및 패드 컨디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449B1
KR101558449B1 KR1020140034834A KR20140034834A KR101558449B1 KR 101558449 B1 KR101558449 B1 KR 101558449B1 KR 1020140034834 A KR1020140034834 A KR 1020140034834A KR 20140034834 A KR20140034834 A KR 20140034834A KR 101558449 B1 KR101558449 B1 KR 101558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brasive grains
photosensitive film
plating layer
p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1202A (ko
Inventor
권완재
권영필
김태경
양정현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새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새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4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449B1/ko
Priority to MYPI2016702816A priority patent/MY187700A/en
Priority to PCT/KR2014/010798 priority patent/WO2015147401A1/ko
Priority to CN201480074561.4A priority patent/CN105940484B/zh
Priority to SG11201606279YA priority patent/SG11201606279YA/en
Publication of KR20150111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3/00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 B24B53/017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cleaning or otherwise conditioning lapping to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8/00Manufacture of grinding tools or other grinding devices, e.g.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및 패드 컨디셔너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기판(21)에 감광성 필름(23)을 적층하고, 에칭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감광성 필름(23)에 복수의 안착홀(25)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안착홀(25)에 연마입자(27)를 삽입하고 그 상부에 상기 감광성 필름(23)과 상기 연마입자(27)의 상부면을 덮는 도금층(31)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 기판(21)을 제거하고 상기 감광성 필름(23)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도금층(31)을 일부 녹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금층에 연마입자가 균일하게 돌출될 뿐 아니라 도금층의 상부로 돌출된 연마입자의 최상단부의 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및 패드 컨디셔너{MANUFACTURING METHOD OF PAD CONDITIONER}
본 발명은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웨이퍼의 평탄화 작업에 사용되는 CMP 장치용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및 패드 컨디셔너에 관한 것이다.
CMP 장치는 반도체 웨이퍼의 평탄도를 얻게 하기 위한 연마 가공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MP 장치는 회전되는 정반(1) 위에 연마 패드(2)를 부착하고 캐리어가 연마대상 물질인 웨이퍼를 잡고 그 패드 위에 연마액을 공급하면서 웨이퍼(4)를 잡고 있는 캐리어(3)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정반(1)과 캐리어(3)를 상대 운동시켜 연마하는 것을 기본 원리로 한다.
반도체 웨이퍼의 평탄도를 얻기 위한 CMP 장치 기술에서 웨이퍼의 연마 균일성은 중요한 특성이다. 그리고, 웨이퍼의 연마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요소 중 패드의 표면 상태는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패드의 연마 중에 압력과 속도가 부가되므로 가공시간이 지남에 따라 패드의 표면은 불균일하게 변형되고, 패드 상의 미공은 연마 잔류물들로 막히게 되어 패드가 재역할을 잃게 된다.
따라서, 패드의 표면 상태가 변형되었을 경우에는 컨디셔너(10)를 이용하여 변형된 패드의 표면을 미세하게 연마해줌으로써 새로운 마이크로 기공이 나오도록 해주는 컨디셔닝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디셔너(10)는 컨디셔너 기판(11)과 컨디셔너 기판(11)상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연마입자(7) 및 이 연마입자(7)들을 컨디셔너 기판(7)상에 고정시켜 주는 도금층(8)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컨디셔너의 제조방법은 연마입자를 고정시키는 방식에 따라 전착, 융착 또는 소결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연마입자로는 다이아몬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전착, 융착, 소결 등의 방식은 몰드를 이용하거나 연마입자들을 도포하는 방식이므로 연마입자들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어렵고, 연마입자의 돌출높이와 부위를 균일하게 형성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0046471호(공개일자:2002년06월21일, 명칭:화학적-기계적 연마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역전착 방식을 이용하여 하나의 평면상에 연마입자의 돌출높이와 부위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 패드 컨디셔닝에 사용되는 CMP 장치용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 기판에 감광성 필름을 적층하고, 에칭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감광성 필름에 복수의 안착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안착홀에 연마입자를 삽입하고 그 상부에 상기 감광성 필름과 상기 연마입자의 상부면을 덮는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 기판을 제거하고 상기 감광성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도금층을 일부 녹여 상기 연마입자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도금층의 상부면에 내부식성 코팅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마입자의 일부가 노출된 상기 도금층은 컨디셔너 기판의 가공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안착홀은 상기 연마입자의 최대 직경 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한다.
상기 도금층은 상부면이 상기 베이스 기판의 표면과 평행한 평면이 되게 형성한다.
패드 컨디셔너는 도금층에 복수의 연마입자가 균일하게 돌출되며, 상기 도금층의 상부면은 상기 연마입자와 접하는 부분에서 볼록부가 형성된다.
베이스 기판에 감광성 필름을 적층하고, 에칭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감광성 필름에 복수의 안착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안착홀에 연마입자를 삽입하고 1차 도금하여 상기 안착홀을 채우는 채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2차 도금하여 상기 감광성 필름과 상기 채움층과 상기 연마입자의 상부면을 덮는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 기판을 제거하고 상기 감광성 필름을 제거한 후, 상기 채움층을 제거하여 상기 연마입자의 일부가 노출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마입자의 일부가 노출된 상기 도금층은 컨디셔너 기판의 가공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채움층과 상기 도금층은 이종 물질이다.
패드 컨디셔너는 도금층에 복수의 연마입자가 균일하게 돌출되며, 도금층의 상부면은 상기 연마입자와 접하는 부분에서 볼록부가 형성된다.
베이스 기판에 감광성 필름을 적층하고, 에칭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감광성 필름에 복수의 안착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안착홀에 연마입자를 삽입하고 1차 도금하여 상기 안착홀을 채우는 채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광성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와, 2차 도금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면과 상기 연마입자의 측면 일부를 덮는 지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3차 도금하여 상기 지지층과 상기 연마입자의 상부면을 덮는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 기판을 제거하고 상기 지지층과 상기 채움층을 제거하여 상기 연마입자의 일부가 노출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마입자의 일부가 노출된 상기 도금층은 컨디셔너 기판의 가공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지지층과 상기 채움층은 동일 물질이다.
상기 도금층은 상기 지지층 및 채움층과 이종 물질이다.
패드 컨디셔너는 도금층에 복수의 연마입자가 균일하게 돌출되며, 상기 도금층의 상부면은 상기 연마입자와 접하는 부분에 요입부가 형성된다.
상기 요입부는 상기 도금층의 상부면에 수행되는 추가적인 표면도금에 의해 제거된다.
본 발명은 역전착 방식을 이용하여 연마입자를 고정하는 도금층을 형성하므로 도금층에 연마입자가 균일하게 돌출될 뿐 아니라 도금층의 상부로 돌출된 연마입자의 최상단부의 높이가 일정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감광성 필름을 적용하여 연마입자가 도금층의 상부로 돌출된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감광성 필름을 이용하므로 몰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연마입자들이 다양한 패턴으로 배치된 패드 컨디셔너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몰드 방식보다 빠른 제조가 가능하여 제조시간 단축의 효과가 있고, 도금층에 고정되어 있는 연마입자의 최상단부의 높이가 일정하므로 컨디셔닝 작업시 패드의 컨디셔닝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CMP 공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CMP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의 패드 컨디셔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은 감광성 필름을 사용한 역전착 방식을 이용하여 연마입자를 고정하는 도금층을 형성하는데 특징이 있으며, 그 방법에 따라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 또 다른 실시예의 3가지 방법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일 실시예]
본 발명의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기판(21)에 감광성 필름(23)을 적층하고, 에칭 공정을 수행하여 감광성 필름(23)에 복수의 안착홀(25)을 형성하는 단계(S11)와, 안착홀(25)에 연마입자(27)를 삽입하고 그 상부에 감광성 필름(23)과 연마입자(27)의 상부면을 덮는 도금층(31)을 형성하는 단계(S12)와, 베이스 기판(21)을 제거하고 감광성 필름(23)을 제거하는 단계(S13)와, 도금층(31)을 일부 녹이는 단계(S14)를 포함하여 연마입자(27)를 고정하는 도금층(31)을 형성한다.
패드 컨디셔너(10)는 컨디셔너 기판(11)을 포함하며, 도금층(31)에 의해 연마입자(27)가 컨디셔너 기판(11)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컨디셔너 기판(11)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부재로서, 기판의 중심부는 별도의 회전유닛과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되는 컨디셔너 기판(11)에 의해 패드의 표면을 컨디셔닝하며, 이에 따라, 패드가 최대한 초기와 같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S11)단계에서는, 베이스 기판(21)에 감광성 필름(23)을 적층한다.
감광성 필름(23)은 베이스 기판(21)에 점착필름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21)과 감광성 필름(23)의 사이에 점착필름를 삽입하고 가열 가압에 의해 녹여 베이스 기판(21)에 감광성 필름(23)을 적층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21)의 상부면에 형성된 감광성 필름(23) 중에서 연마입자(27)를 삽입할 공간에 해당하는 부분의 감광성 필름(23)을 에칭한다.
감광성 필름(23)의 에칭은 포토마스크를 씌워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포토에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포토마스크를 복수의 정육각형, 원형 또는 사각형 모양의 구멍이 뚫린 형상으로 제작하고, 감광성 필름 중 포토마스크의 구멍이 뚫린 부분을 통하여 조사된 자외선이 해당 감광성 필름을 노광하면, 에칭하여 노광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한다.
따라서 감광성 필름(23)이 에칭되고 형성된 공간은 정육각형,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감광성 필름(23)에 복수의 안착홀(25)이 형성된다.
안착홀(25)은 규칙적으로 배열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홀(25)은 연마입자(27)의 최대 직경 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홀(25)과 연마입자(27)의 크기가 같게 형성되면 연마입자(27)가 안착홀(25)에 삽입된 상태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용이하다.
안착홀(25)의 홀 크기를 줄이면 연마입자(27)를 선/점 방식으로 노출시킨다.
즉, 도금층(31)에 고정되는 연마입자(27)의 최상단부가 점 또는 선이 되게 함으로써 컨디셔닝 작업시 연마입자(27)의 마모가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이는 연마입자(27)의 작업 수명을 연장시킨다.
반면, 안착홀(25)의 홀 크기를 늘려 연마입자(27)의 최대 폭 보다 크게 형성하면 면 방식으로 노출되는 연마입자(27)의 수량이 늘어난다.
감광성 필름(23)에 형성되는 안착홀(25)들은 포토마스크에 형성되는 구멍의 패턴을 제어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패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21)은 스테인레스 스틸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은 스테인레스 스틸 기판 외에도 금속, 합금, 또는 세라믹과 같은 물질로부터 제조된 기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베이스 기판(21)은 컨디셔너 기판(11)과 동일한 재질이고 연마입자(27)를 고정하기 위한 도금층(31) 형성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감광성 필름(23)은 두께를 조절하여 연마입자(27)가 도금층(31)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S12)단계에서는, 안착홀(25)에 연마입자(27)를 삽입한다. 하나의 안착홀(25)에 하나의 연마입자(27)를 삽입한다.
안착홀(25)의 두께는 연마입자(27)의 높이보다 낮다. 따라서, 안착홀(25)에 삽입된 연마입자(27)는 감광성 필름(23)보다 상대적으로 상부로 더 돌출된다.
연마입자(27)의 삽입 후에는 1차 도금처리하여 감광성 필름(23)과 연마입자(27)의 상부면을 덮는 도금층(31)을 형성한다.
도금층(31)은 니켈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니켈 도금은 금속적 감촉을 발휘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두께 가감이 용이하고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있으며, 두께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금층(31)에 의하여 연마입자(27)가 고정된다. 연마입자(27)는 다이아몬드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마입자는 다이아몬드 입자 외에도 입방 질화붕소, 다결정 입장 질화붕소, 초경화 결정 입자 등 다양한 종류가 적용될 수 있다.
(S13)단계에서는, 베이스 기판(21)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S11)단계에서 남아 있던 감광성 필름(23)을 모두 에칭한다. 즉, 도금층(31)과 도금층(31) 사이에 구비된 감광성 필름(23)을 모두 에칭하여 제거한다.
감광성 필름(23)의 에칭 후에는 도금층(31)이 하부로 위치되고 연마입자(27)가 상부로 위치되게 상하 뒤집는다.
(S13)단계를 거침으로써 도금층(31)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부(33)가 형성되고 돌출부(33)가 형성된 부분에 연마입자(27)가 박혀있다.
돌출부(33)에 박혀있는 연마입자(27)는 높이가 균일하고 일정하다.
(S14)단계에서는, 도금층(31)을 일부 녹여 돌출부를 제거함으로써 연마입자(27)의 상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할 수 있다. 즉, 불필요한 부분의 도금층(31)을 에칭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연마입자(27)의 상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S14)단계를 거침으로써 제조된 도금층(31)에 고정된 연마입자(27)는 베이스 기판(21)에 의해 단부가 지지되는 방식으로 제조됨에 의해 베이스 기판(21)의 제거 후 외부로 노출된 돌출높이와 부위가 균일하다. 따라서, 컨디셔닝 작업시 패드의 컨디셔닝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금층(31)은 하부면이 평평하므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컨디셔너 기판(11)에 일체로 고정시킨다. 도금층(31)의 하부면이 평평하지 않은 경우 평탄한 면을 얻기 위해 평면 연마 가공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연마입자(27)를 고정한 도금층(31)의 하부면과 컨디셔너 기판(11)의 상부면을 접착제로 부착하여 연마입자(27)를 컨디셔너 기판(11)에 고정한다.
도금층(31)을 컨디셔너 기판(11)에 접착제로 고정한 후에는 내부식성 향상을 위해 마무리 도금할 수 있다. 마무리 도금은 내부식성 향상 차원에서 크롬(Cr) 도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금층(31)은 컨디셔너 기판(11)에 도금층(31)과 이종 재질인 금속결합재층을 매개로 부착될 수도 있다.
상술한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드 컨디셔너(10)는, (S15)단계에서 확인되듯이, 컨디셔너 기판(11)의 상부면에 도금층(31)이 형성되고, 도금층(31)에 복수의 연마입자가 하나 이상의 패턴으로 균일하게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금층(31)의 상부로 돌출된 연마입자(27)의 최상단부의 높이가 일정하다.
도금층(31)의 상부면은 연마입자와 접하는 경계 부분에 볼록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34)는 도금층(31)을 일부 녹여 돌출부(33)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연마입자(27)는 다이아몬드 입자이며, 도금층(31)은 니켈 도금층이고, 컨디셔너 기판(11)은 스테인레스 스틸 기판이다.
일 실시예에 의한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은 단일 금속으로만 작업하여 도금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작업 공간과 공정의 간소화가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기판(21)에 감광성 필름(23)을 적층하고, 에칭 공정을 수행하여 감광성 필름(23)에 복수의 안착홀(25)을 형성하는 단계(S21)와, 안착홀(25)에 연마입자(27)를 삽입하고 1차 도금하여 안착홀(25)을 채우는 채움층(28)을 형성하는 단계(S22)와, 2차 도금하여 감광성 필름(23)과 채움층(28)과 연마입자(27)의 상부면을 덮는 도금층(31)을 형성하는 단계(S23)와, 베이스 기판(21)을 제거하고 감광성 필름(23)을 제거하는 단계(S24)를 포함하여 연마입자(27)를 고정하는 도금층(31)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 비교시 도금층(31)을 일부 녹이는 단계(S14)가 포함되지 않고, 채움층(28)을 형성하고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도금층(31)의 상부면으로 연마입자(27)가 균일하게 돌출되게 하는 차이점이 있다.
(S21)단계에서는, 베이스 기판(21)에 감광성 필름(23)을 적층한다. 베이스 기판(21)의 상부면에 형성된 감광성 필름(23) 중에서 연마입자(27)를 삽입할 공간에 해당하는 부분의 감광성 필름(23)을 에칭한다.
감광성 필름(23)의 에칭은 포토마스크를 씌워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포토에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포토마스크를 복수의 정육각형, 원형 또는 사각형 모양의 구멍이 뚫린 형상으로 제작하고, 감광성 필름(23) 중 포토마스크의 구멍이 뚫린 부분을 통하여 조사된 자외선이 해당 감광성 필름(23)을 노광하면, 에칭하여 노광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한다.
따라서 감광성 필름(23)이 에칭되고 형성된 공간은 정육각형,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감광성 필름(23)에 복수의 안착홀(25)이 형성된다.
안착홀(25)은 연마입자(27)의 최대 직경 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홀(25)과 연마입자(27)의 크기가 같게 형성되면 연마입자(27)가 안착홀(25)에 삽입된 상태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용이하다.
또한, 안착홀(25)의 홀 크기를 줄이면 연마입자(27)를 선/점 방식으로 노출시킨다.
즉, 도금층(31)에 고정되는 연마입자(27)의 최상단부가 점 또는 선이 되게 함으로써 컨디셔닝 작업시 연마입자(27)의 마모가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이는 연마입자(27)의 작업 수명을 연장시킨다.
반면, 안착홀(25)의 홀 크기를 늘려 연마입자(27)의 최대 폭 보다 크게 형성하면 면 방식으로 노출되는 연마입자(27)의 수량이 늘어난다.
감광성 필름(23)에 형성되는 안착홀(25)들은 포토마스크에 형성되는 구멍의 패턴을 제어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패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21)은 스테인레스 스틸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스테인레스 스틸 기판은 컨디셔너 기판(11)과 동일한 재질로 연마입자(27)를 고정하기 위한 도금층(31) 형성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감광성 필름(23)은 두께를 조절하여 도금층(31)에서 연마입자가 돌출되는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S22)단계에서는, 안착홀(25)에 연마입자(27)를 삽입한다. 연마입자(27)의 삽입 후에는 1차 도금처리하여 안착홀(25)을 채우는 채움층(28)을 형성한다.
채움층(28)은 연마입자(27)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채움층(28)의 두께는 안착홀(25)의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움층(28)은 구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구리 도금은 후술할 도금층(31)과 이종 물질로서 채용된 것이므로 반드시 채움층(28)이 구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채움층(28)에 의하여 연마입자(27)의 위치가 고정된다. 연마입자(27)는 다이아몬드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S23)단계에서는, 2차 도금처리하여 감광성 필름(23)과 채움층(28)과 연마입자(27)의 상부면을 덮는 도금층(31)을 형성한다.
도금층(31)은 니켈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니켈 도금은 금속적 감촉을 발휘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두께 가감이 용이하고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있으며, 두께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S24)단계에서는, 베이스 기판(21)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S21)단계에서 남아 있던 감광성 필름(23)을 모두 에칭한다. 다음으로 채움층(28)을 에칭하여 제거한다.
즉, 베이스 기판(21), 감광성 필름(23), 채움층(28) 순서로 제거한다.
채움층(28)을 제거한 후에는 도금층(31)이 하부로 위치되고 연마입자(27)가 상부로 위치되게 상하 뒤집는다.
(S24)단계를 거침으로써 도금층(31)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게 연마입자(27)가 고정된다. 도금층(31)에 고정된 연마입자(27)는 돌출 높이가 균일하고 일정하다.
도금층(31)의 상부면은 연마입자(27)와 접하는 경계 부분에 볼록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31a)는 안착홀(25)에 도금층(31)이 일부 채워져 형성된다.
도금층(31)은 하부면이 평평하므로 접착제에 의해 컨디셔너 기판(11)에 일체로 부착시킨다. 도금층(31)의 하부면이 평평하지 않은 경우 평탄한 면을 얻기 위해 평면 연마 가공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연마입자(27)를 고정한 도금층(31)의 하부면과 컨디셔너 기판(11)의 상부면을 접착제로 부착하여 연마입자(27)를 컨디셔너 기판(11)에 고정한다.
도금층(31)을 컨디셔너 기판(11)에 접착제로 고정한 후에는 내부식성 향상을 위해 마무리 도금할 수 있다. 마무리 도금은 내부식성 향상 차원에서 크롬(Cr) 도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드 컨디셔너(10)는 컨디셔너 기판(11)의 상부면에 도금층(31)이 형성되고, 도금층(31)에 복수의 연마입자(27)가 하나 이상의 패턴으로 균일하게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금층(31)의 상부로 돌출된 연마입자(27)의 최상단부의 높이가 일정하다.
[또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기판(21)에 감광성 필름(23)을 적층하고, 에칭 공정을 수행하여 감광성 필름(23)에 복수의 안착홀(25)을 형성하는 단계(S31)와, 안착홀(25)에 연마입자(27)를 삽입하고 1차 도금하여 안착홀(25)을 채우는 채움층(28)을 형성하는 단계(S32)와, 감광성 필름(23)을 제거하는 단계(S33)와, 2차 도금하여 베이스 기판(21)의 상부면과 연마입자(27)의 측면 일부를 덮는 지지층(29)을 형성하는 단계(S34)와, 3차 도금하여 지지층(29)과 연마입자(27)의 상부면을 덮는 도금층(31)을 형성하는 단계(S35)와, 베이스 기판(21)을 제거하는 단계(S36)와, 지지층(29)과 채움층(28)을 제거하는 단계(S37)를 포함하여 연마입자(27)를 고정하는 도금층(31)을 형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와 비교시 감광성 필름(23)을 도금층(31) 형성에 앞서 제거한 후, 채움층(28)을 확장하는 지지층(29)을 더 형성하고 연마입자(27)를 고정하는 도금층(31)을 형성하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S31)단계에서는, 베이스 기판(21)에 감광성 필름(23)을 적층한다. 베이스 기판(21)의 상부면에 형성된 감광성 필름(23) 중에서 연마입자(27)를 삽입할 공간에 해당하는 부분의 감광성 필름(23)을 에칭한다.
감광성 필름(23)의 에칭은 포토마스크를 씌워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포토에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포토마스크를 복수의 정육각형 원형 또는 사각형 모양의 구멍이 뚫린 형상으로 제작하고, 감광성 필름(23) 중 포토마스크의 구멍이 뚫린 부분을 통하여 조사된 자외선이 해당 감광성 필름(23)을 노광하면, 에칭하여 노광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한다.
따라서 감광성 필름(23)이 에칭되고 형성된 공간은 정육각형,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감광성 필름(23)에 복수의 안착홀(25)이 형성된다.
안착홀(25)은 연마입자(27)의 최대 직경 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홀(25)과 연마입자(27)의 크기가 같게 형성되면 연마입자(27)가 안착홀(25)에 삽입된 상태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용이하다.
안착홀(25)의 홀 크기를 줄이면 연마입자(27)를 선/점 방식으로 노출시킨다.
즉, 도금층(31)에 고정되는 연마입자(27)의 최상단부가 점 또는 선이 되게 함으로써 컨디셔닝 작업시 연마입자(27)의 마모가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이는 연마입자(27)의 작업 수명을 연장시킨다.
반면, 안착홀(25)의 홀 크기를 늘려 연마입자(27)의 최대 폭 보다 크게 형성하면 면 방식으로 노출되는 연마입자(27)의 수량이 늘어난다.
감광성 필름(23)에 형성되는 안착홀(25)들은 포토마스크에 형성되는 구멍의 패턴을 제어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패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21)은 스테인레스 스틸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스테인레스 스틸 기판은 컨디셔너 기판(11)과 동일한 재질로 연마입자(27)를 고정하기 위한 도금층(31) 형성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감광성 필름(23)은 두께를 조절하여 도금층(31)에서 고정된 연마입자(27)의 돌출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S32)단계에서는, 안착홀(25)에 연마입자(27)를 삽입한다. 연마입자(27)의 삽입 후에는 1차 도금처리하여 안착홀(25)을 채우는 채움층(28)을 형성한다.
채움층(28)은 구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구리 도금은 후술할 도금층(31)과 이종 물질으로서 채용된 것이므로 반드시 채움층(28)이 구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채움층(28)에 의하여 연마입자(27)가 고정된다. 연마입자(27)는 다이아몬드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S33)단계에서는, 감광성 필름(23)을 에칭하여 제거한다.
(S34)단계에서는, 2차 도금처리하여 베이스 기판(21)의 상부면과 연마입자(27)의 측면 일부를 덮는 지지층(29)을 형성한다.
지지층(29)은 채움층(28)을 더 확장한 것이다. 지지층(29)은 채움층(28)과 동일 물질인 구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채움층(28) 및 지지층(29)의 두께는 도금층(31)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연마입자(27)의 돌출높이를 조절한다. 지지층(29)은 연마입자(27)의 돌출 목표만큼 형성한다.
연마입자(27)와 지지층(29)의 경계 부위는 채움층(28)에 지지층(29)이 중첩된 2층 구조이므로 다른 부위의 지지층(29)의 두께에 비해 더 두껍다. 두꺼운 경계 부위는 후술할 도금층(31)의 상부면에 요입부(35)를 형성한다.
(S35)단계에서는, 3차 도금처리하여 지지층(29)과 연마입자(27)의 상부면을 덮는 도금층(31)을 형성한다.
도금층(31)은 지지층(29)과 이종 물질이다.
도금층(31)은 니켈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니켈 도금은 금속적 감촉을 발휘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두께 가감이 용이하고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있으며, 두께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S36)단계에서는, 베이스 기판(21)을 제거한다.
베이스 기판(21)을 제거한 후에는 도금층(31)이 하부로 위치되고 지지층(29)과 채움층(28)이 상부로 위치되게 상하 뒤집는다.
(S37)단계에서는, 지지층(29)과 채움층(28)을 에칭하여 제거한다. 지지층(29)과 채움층(28)은 동일 물질이므로 한 번의 에칭으로 제거 가능하다.
(S37)단계를 거침으로써 도금층(31)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게 연마입자(27)가 고정된다. 도금층(31)에 고정된 연마입자(27)는 돌출 높이가 균일하고 일정하다.
도금층(31)은 하부면 상태와 도금층(31)에 고정된 연마입자(27)의 돌출 정도에 따라 도금층(31)을 확장하는 추가 도금을 실시할 수 있다. 추가 도금은 도금층(31)과 동일 물질로 수행할 수도 있고 내구성 향상을 위해 이종 물질로 수행할 수도 있다.
도금층(31)은 하부면이 평평하므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컨디셔너 기판(11)에 일체로 연결시킨다. 도금층(31)의 하부면이 평평하지 않은 경우 평탄한 면을 얻기 위해 평면 연마 가공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연마입자(27)를 고정한 도금층(31)의 하부면과 컨디셔너 기판(11)의 상부면을 접착제로 부착하여 연마입자(27)를 컨디셔너 기판(11)에 고정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은 채움층(28) 및 지지층(29)의 두께 조절로 연마입자(27)가 도금층(31)의 상부로 돌출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드 컨디셔너(10)는 컨디셔너 기판(11)의 상부면에 도금층(31)이 형성되고, 도금층(31)에 복수의 연마입자가 하나 이상의 패턴으로 균일하게 돌출되어 있다. 도금층(31)의 상부면은 연마입자(27)와 접하는 경계 부분에 요입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요입부(35)는 도금층(31)의 상부면에 수행되는 추가적인 표면도금에 의해 요입된 부분이 채워져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도금층(31)의 상부로 돌출된 연마입자(27)의 최상단부의 높이가 일정하다.
상술한 일 실시예, 다른 실시예, 또 다른 실시예의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은 감광성 필름(23) 두께 또는 채움층(28), 지지층(29)의 두께를 조절하여 연마입자(27)가 도금층(31) 상부로 돌출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포토마스크에 형성되는 구멍의 패턴을 제어함으로써 감광성 필름(23)에 형성되는 안착홀(25)들의 패턴을 제어하여 도금층(31)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연마입자(27)들이 하나 이상의 패턴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도금층(31)에 고정되어 있는 연마입자(27)의 돌출 높이가 일정하다.
또한, 도금층(31)의 상부로 돌출된 연마입자(27)의 최상단부의 높이가 일정하다.
또한, 각각의 도금층(31)에 고정되어 있는 연마입자(27)들은 크기가 일정하고 배치된 간격이 일정하다.
그에 따라 패드를 컨디셔닝하는 작업 수행시 패드의 표면을 균일하게 컨디셔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패드 컨디셔너 11: 컨디셔너 기판
21: 베이스 기판 23: 감광성 필름
25: 안착홀 27: 연마입자
28: 채움층 29: 지지층
31: 도금층 33: 돌출부
34: 볼록부 35: 요입부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베이스 기판에 감광성 필름을 적층하고, 에칭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감광성 필름에 복수의 안착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안착홀에 연마입자를 삽입하고 1차 도금하여 상기 안착홀을 채우는 채움층을 형성하는 단계;
    2차 도금하여 상기 감광성 필름과 상기 채움층과 상기 연마입자의 상부면을 덮는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기판을 제거하고 상기 감광성 필름을 제거한 후, 상기 채움층을 제거하여 상기 연마입자의 일부가 노출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마입자의 일부가 노출된 상기 도금층은 컨디셔너 기판의 가공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채움층과 상기 도금층은 이종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10. 삭제
  11. 베이스 기판에 감광성 필름을 적층하고, 에칭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감광성 필름에 복수의 안착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안착홀에 연마입자를 삽입하고 1차 도금하여 상기 안착홀을 채우는 채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감광성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2차 도금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면과 상기 연마입자의 측면 일부를 덮는 지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3차 도금하여 상기 지지층과 상기 연마입자의 상부면을 덮는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기판을 제거하고 상기 지지층과 상기 채움층을 제거하여 상기 연마입자의 일부가 노출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연마입자의 일부가 노출된 상기 도금층은 컨디셔너 기판의 가공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과 상기 채움층은 동일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은 상기 지지층 및 채움층과 이종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15. 삭제
  16. 삭제
KR1020140034834A 2014-03-25 2014-03-25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및 패드 컨디셔너 KR101558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834A KR101558449B1 (ko) 2014-03-25 2014-03-25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및 패드 컨디셔너
MYPI2016702816A MY187700A (en) 2014-03-25 2014-11-11 Method for manufacturing pad conditioner and pad conditioner
PCT/KR2014/010798 WO2015147401A1 (ko) 2014-03-25 2014-11-11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및 패드 컨디셔너
CN201480074561.4A CN105940484B (zh) 2014-03-25 2014-11-11 衬垫调节器制造方法及衬垫调节器
SG11201606279YA SG11201606279YA (en) 2014-03-25 2014-11-11 Method for manufacturing pad conditioner and pad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834A KR101558449B1 (ko) 2014-03-25 2014-03-25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및 패드 컨디셔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202A KR20150111202A (ko) 2015-10-05
KR101558449B1 true KR101558449B1 (ko) 2015-10-07

Family

ID=54195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834A KR101558449B1 (ko) 2014-03-25 2014-03-25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및 패드 컨디셔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1558449B1 (ko)
CN (1) CN105940484B (ko)
MY (1) MY187700A (ko)
SG (1) SG11201606279YA (ko)
WO (1) WO20151474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6150A (zh) * 2017-08-01 2017-11-10 华侨大学 一种沉积制备磨粒图案分布磨盘的方法
CN107336148A (zh) * 2017-08-01 2017-11-10 华侨大学 一种快速制备磨粒图案分布磨盘的方法
KR102013386B1 (ko) * 2018-01-29 2019-08-22 새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역도금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및 패드 컨디셔너
DE112019002603T5 (de) * 2018-05-22 2021-03-18 Teikoku Ion Co., Ltd. Verschleißbeständiger Beschichtungsfilm, verschleißbeständiges Elemen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schleißbeständigem Beschichtungsfilm und Gleitmechanism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0886A (ja) * 2006-03-30 2007-10-11 Mitsubishi Materials Corp Cmpコンディショナ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300B1 (ko) * 2003-05-06 2005-08-17 (주)디디다이아 세라믹 물질을 사용하여 화학기계적 연마 패드 콘디셔너를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학기계적 연마 패드콘디셔너
KR20090078647A (ko) * 2008-01-15 2009-07-20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Cmp 패드용 컨디셔너
KR20110124988A (ko) * 2010-05-12 2011-11-18 신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Cmp 패드 컨디셔너 및 그 제조방법
KR101178849B1 (ko) * 2010-07-30 2012-08-31 신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Cmp 패드 컨디셔너 및 그 제조방법
JP6014835B2 (ja) * 2011-12-14 2016-10-26 帝国イオン株式会社 Cmpパッドコンディショナおよび当該cmpパッドコンディショナ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0886A (ja) * 2006-03-30 2007-10-11 Mitsubishi Materials Corp Cmpコンディショナ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202A (ko) 2015-10-05
WO2015147401A1 (ko) 2015-10-01
CN105940484A (zh) 2016-09-14
MY187700A (en) 2021-10-12
CN105940484B (zh) 2018-10-16
SG11201606279YA (en)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449B1 (ko)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및 패드 컨디셔너
TWI729578B (zh) 製造研磨墊之研磨層的設備及用於形成化學機械研磨墊之研磨層之方法
KR101484706B1 (ko)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및 패드 컨디셔너
CN203390712U (zh) 化学机械研磨修整器
JP5170716B2 (ja) 半導体ウェーハの研磨方法及び研磨パッド整形治具
US20100273402A1 (en) CMP conditio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M465659U (zh) 化學機械硏磨修整器
TWI511841B (zh) 貼合式化學機械硏磨修整器及其製法
US1166072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d conditioner by reverse plating and pad conditioner manufactured thereby
US20150290768A1 (e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onditioner capable of controlling polishing depth
JP5914712B2 (ja) 高性能化学機械研磨調整器
KR101178849B1 (ko) Cmp 패드 컨디셔너 및 그 제조방법
TW201434584A (zh) 化學機械研磨修整器及其製法
KR20200090013A (ko) 융착 드레서 제작 방법 및 융착 드레서
US10183378B2 (en) Grinding tool
KR102013383B1 (ko)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및 패드 컨디셔너
TW201434583A (zh) 藍寶石拋光墊修整器及其製造方法
KR101131495B1 (ko) Cmp 패드 컨디셔너 및 그 제조방법
KR101555874B1 (ko) 도트부를 구비한 cmp 패드 컨디셔너 및 그 제조방법
JP5528520B2 (ja) 圧力分布調整機能を有する研磨装置
TW201711804A (zh) 化學機械研磨修整器及其製作方法
JP5154704B1 (ja) 研磨パッド成形金型の製造方法、その方法で製造される研磨パッド成形金型、及びその金型で製造した研磨パッド
JP5300234B2 (ja) 圧力分布調整機能を有する研磨装置
WO2015050642A1 (en) Cmp equipment using magnet responsive composites
JP2000202767A (ja) 平坦化装置及び平坦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