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389B1 -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389B1
KR101558389B1 KR1020140095817A KR20140095817A KR101558389B1 KR 101558389 B1 KR101558389 B1 KR 101558389B1 KR 1020140095817 A KR1020140095817 A KR 1020140095817A KR 20140095817 A KR20140095817 A KR 20140095817A KR 101558389 B1 KR101558389 B1 KR 101558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lider
base frame
actua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5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389B1/ko
Priority to DE102014224878.7A priority patent/DE102014224878A1/de
Priority to US14/560,434 priority patent/US9864360B2/en
Priority to CN201410853037.9A priority patent/CN105319073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2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control 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g. centring a tool relative to a hole in the workpiece, additional detection means to correct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2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the wheels of the vehicl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01M17/0074Details, e.g. roller construction, vehicle restraining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1Servomotor, servo controller till figures
    • G05B2219/41091Alignment, zeroing, nulling, set parallel to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는 검차 라인으로 진입되는 차량의 전륜 양측과, 후륜 양측에 각각 대응하도록 바닥에 설치되어 차량을 검사 위치에 정 위치시키기 위한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로서, 검차 라인으로 진입된 상기 차량의 전방 이동을 규제하고, 제1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전륜을 좌,우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의 전방 좌,우 위치를 설정된 위치로 정렬시키는 프론트 정렬 유닛; 제2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차량의 후륜을 좌,우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의 후방 좌,우 위치를 설정된 위치로 정렬시키는 리어 정렬 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INSPECTION VEHICLE CENTERING APPARATUS AND INSPECTION METHOD}
본 발명은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및 이을 이용한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검차 라인 상에 진입되는 검사 차량을 검사를 위한 정 위치에 정렬시키는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제조 공정은 프레스에 의해 성형된 차체 패널 등의 각종 구조물 부품을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하여 일체의 차체를 완성하고, 완성된 차체에 대해 도장 공정에서 각 부품의 표면에 걸쳐 도장 및 방청 작업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파워 트레인 계통의 부품과 현가, 조향 및 제동 계통 등의 부품을 조립하고, 이어 도어와 트렁크 리드, 후드 등을 조립하는 등의 의장공정을 실시한다.
이러한 제조 공정을 거친 완성된 차량은 각종 검사를 위하여 검차 라인으로 이송되고, 검차 라인 상에 설치되는 다양한 검사장비를 이용하여 완성된 차량의 검사를 진행한다.
특히, 상기한 의장공정을 통해 조립되는 도어와 트렁크 리드, 후드 등은 완성된 차량의 외관품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부분이며, 이에 대한 검사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완성된 차량의 검사는 차량을 작업자가 직접 운행을 하여 검차 라인 상의 검차위치 즉, 정 위치에 진입시킨 후, 각종 장비들을 이용하여 조립된 부품들의 조립상태, 외관, 갭단차 등의 검사를 실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차량의 검사를 실시함에 있어, 검차 라인 상에 진입된 차량의 위치가 각종 장비들과 세팅된 정 위치에 정렬 및 고정이 되지 않으면, 검사를 위한 장비들이 오작동 되고, 검사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이에 따라서, 작업자는 차량의 위치를 정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반복적으로 차량을 이동시키면서 검사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고자 검차 라인 상에 진입되는 차량이 검사를 위한 정 위치에 정렬 및 고정되도록 검차 라인 상에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에 의하면, 설치를 위해 검차 라인 상의 바닥을 일정 깊이로 파는 피트(PIT)작업을 필수적으로 수행하고, 그 파인 부분에 각종 부품들을 매립하여 설치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는 부품들의 매립을 위해 바닥을 파는 피트 작업 시, 작업기간이 최소 14일에서 최대 30일정도로 과도하게 소요된다.
또한, 매립하여 설치가 됨에 따라서, 그 설치되는 위치가 한정되고, 한번 설치가 되면 그 철거가 어려우며, 철거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검차 라인 상에 진입되는 차량을 검사를 위한 정 위치에 정렬시키고, 그 이동을 규제시키도록 된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검차 라인 상의 바닥면에 직접적으로 설치를 하여, 종래 기술에서 설치를 위해 수행하던 피트 작업을 삭제하도록 된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는 검차 라인으로 진입되는 차량의 전륜 양측과, 후륜 양측에 각각 대응하도록 바닥에 설치되어 차량을 검사 위치에 정 위치시키기 위한 차량의 위치 정렬 장치로서, 검차 라인으로 진입된 상기 차량의 전방 이동을 규제하고, 제1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전륜을 좌,우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의 전방 좌,우 위치를 설정된 위치로 정렬시키는 프론트 정렬 유닛; 제2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차량의 후륜을 좌,우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의 후방 좌,우 위치를 설정된 위치로 정렬시키는 리어 정렬 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정렬 유닛은 상기 검차 라인의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액추에이터와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전륜 내,외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의 전방 좌,우 위치를 정렬하는 슬라이드 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슬라이드 유닛의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유닛에 진입되는 상기 차량의 전륜과 접촉되는 미끄럼 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전륜이 진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륜의 내,외측을 상기 개구부의 일측과 타측이 선택적으로 가압하면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전,후방 하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따라 가이드 되는 가이드 레일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마주하는 한 쌍으로 설치되어 상기 전륜과 접촉되는 다수개의 제1 프리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프리롤러는 상기 개구부의 중심부를 향하면서 일측이 하향 경사지게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작동로드가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전동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어 정렬 유닛은 상기 검차 라인의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와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후륜 내,외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의 후방 좌,우 위치를 정렬하는 슬라이드 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슬라이드 유닛의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유닛에 진입되는 상기 차량의 후륜과 접촉되는 미끄럼 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후륜이 진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후륜의 내,외측을 상기 개구부의 일측과 타측이 선택적으로 가압하면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전,후방 하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따라 가이드 되는 가이드 레일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마주하는 한 쌍으로 설치되어 상기 후륜과 접촉되는 다수개의 제2 프리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작동로드가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전동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검사방법은, (a)검차 라인 상으로 검사 차량이 진입하는 과정; (b)상기 차량에 차량 정보장치를 연결하고, 차종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c)상기 정보 수신 과정에서 얻은 정보에 따라 검사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과정; (d)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에 따라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차량의 위치를 검사위치에 정 위치시키는 과정; (e)상기 차량이 정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검사 프로그램을 통해 검사하는 과정; (f)상기 검사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차량 정보장치를 분리시키고, 상기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의 작동을 해제하는 과정; 및 (g)상기 차량이 검차 라인의 외부로 진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 과정에서는 검차 라인으로 진입된 상기 차량의 전방 이동을 규제하고, 제1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전륜을 좌,우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의 좌,우 위치를 가변 시키는 프론트 정렬 유닛; 제2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차량의 후륜을 좌,우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의 좌,우 위치를 가변 시키는 리어 정렬 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차량의 위치 정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d) 과정에서는 상기 프론트 정렬 유닛의 슬라이더가 상기 차량의 전륜 내,외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의 전방, 좌,우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 과정에서는 상기 리어 정렬 유닛의 슬라이더가 상기 차량의 후륜 내,외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의 후방, 좌,우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검차 라인 상에 진입되는 차량을 검사를 위한 정 위치에 정렬시키고, 그 이동을 규제시켜 정확하고 원활한 검사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검차 라인의 바닥면에 직접적으로 설치가 됨에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의 바닥을 파는 피트 작업을 삭제할 수 있고, 제품의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피트 작업의 삭제를 통해, 설치되는 위치 및 장소가 유연적이며, 교체와 철거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의 개략적인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에 적용된 프론트 정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에 적용된 리어 정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의 작동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검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설명의 편의상 도 1의 차량을 기준으로 화살표 A방향을 전방, 화살표 B방향을 좌측, 화살표 C방향을 우측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1)는 검차라인 상의 바닥에 설치되어 검차라인 상에 진입되는 차량(V)을 검사를 위한 정 위치에 자동으로 정렬시키고, 그 이동을 규제시켜 정확하고 원활한 검사작업을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1)가 차량(V)의 전륜(FW) 양측 2개소에 설치되는 프론트 정렬 유닛(3)과, 후륜(RW) 양측 2개소에 설치되는 리어 정렬 유닛(5)으로 구분되는 구성을 갖는 것으로 설명을 하나,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정렬 유닛(3,5)은 상호 동일한 구성과 작동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1)는 상기한 프론트 정렬 유닛(3)과 리어 정렬 유닛(5)으로 구분되는 것과는 무관하게, 하나의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1)로 제작되어 검차라인 상에서 차량(V)의 차륜(FW,RW)과 대응하는 4개소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의 개략적인 설치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1)는 프론트 정렬 유닛(3), 리어 정렬 유닛(5), 및 제어기(7)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정렬 유닛(3)은 차량(V)의 전륜(FW) 양측에 대응하여 검차라인(9)의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며, 검차라인(9)으로 진입된 차량(V)의 전방(A) 이동을 규제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정렬 유닛(3)은 제1 액추에이터(11)의 작동에 따라 상기 차량(V)의 전륜(FW)을 좌,우측(B,C)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V)의 전방 및 좌,우를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리어 정렬 유닛(5)은 차량(V)의 후륜(RW) 양측에 대응하여 검차라인(9)의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며, 제2 액추에이터(13)의 작동에 따라 상기 차량(V)의 후륜(RW)을 좌,우측(B,C)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V)의 후방 좌,우를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설정된 위치는 검차라인(9) 상에 진입된 차량(V)을 각종 장비들이 정확한 검사를 위해 설정된 정 위치를 말하는 것이며, 이 설정된 위치는 상기 제어기(7)에 입력된 차량(V)의 정보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상기 제어기(7)는 상기 검차라인(9)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11,13)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기(7)는 PLC 제어기(Programmable Logic Controller: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LC 제어기(7)는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1)는 검차라인(9) 상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기 프론트 정렬 유닛(3) 및 리어 정렬 유닛(5)을 통해, 검차라인(9) 상에 차량(V)을 검사를 위한 설정된 정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1)는 세팅된 각종 장비들을 통해 차량(V)의 정확한 검사와 원활한 검사를 진행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한 프론트 정렬 유닛(3)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에 적용된 프론트 정렬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정렬 유닛(3)은 베이스 프레임(15), 슬라이드 유닛(17), 및 미끄럼 부재(19)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5)은 상기 검차라인(9) 상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유닛(17)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5) 상에서 상기 차량(V)의 좌,우 방향(B,C)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액추에이터(11)와 연결되어 상기 차량(V)의 전륜(FW) 내,외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면서 차량(V)의 전방 좌,우 위치를 정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드 유닛(17)은 슬라이더(21) 및 가이드 레일(23)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21)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5) 상에서 차량(V)의 전방 좌,우 측(B,C)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량(V)의 전륜(FW)이 진입되는 개구부(2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21)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11)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륜(FW)의 내,외측을 상기 개구부(25)의 일측(25a)과 타측(25b)이 선택적으로 가압하면서 이동시킨다.
상기 가이드 레일(23)은 상기 슬라이더(21)의 전,후방 하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5)에서 슬라이더(21)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27)을 따라 가이드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1)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5) 상에서 가이드 레일(23)이 가이드 홈(27)을 따라서 가이드 되면서 좌,우(B,C)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끄럼 부재(19)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5) 상에서 상기 슬라이드 유닛(17)의 좌,우(B,C)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유닛(17)에 진입되는 상기 차량(V)의 전륜(FW)과 접촉된다.
이때, 상기 미끄럼 부재(19)는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프리롤러(19a,19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프리롤러(19a,19b)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5) 상에서 상기 슬라이더(21)가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21)의 개구부(25)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프리롤러(19a,19b)는 상기 개구부(25)의 중심부를 향하면서 일측이 하향 경사지게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개구부(25)의 중심을 향하여 "V"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1 프리롤러(19a,19b)는 검차라인(9)으로 진입되는 차량(V)의 전륜(FW)이 프론트 정렬 유닛(3)에 진입 시, 상기 슬라이더(21)의 개구부(25)에 진입됨과 동시에 전륜(FW)의 외주면을 지지하면서 차량(V)의 전방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리롤러(19a,19b)는 상기 슬라이더(21)의 개구부(25) 일측(25a)과 타측(25b)이 상기 차량(V)의 전륜(FW) 일측과 타측을 가압할 때, 전륜(FW)의 좌,우(B,C)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액추에이터(11)는 전동 실린더(29)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5) 상에 상기 슬라이더(21)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작동로드(31)가 상기 슬라이더(21)와 연결단(33)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21)를 좌,우(B,C)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1 액추에이터(11)는 상기 제어기(7)와 연결되고, 제어기(7)의 명령에 의해 차량(V)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스트로크 량을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리어 정렬 유닛(5)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에 적용된 리어 정렬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리어 정렬 유닛(5)은 베이스 프레임(150), 슬라이드 유닛(170), 및 미끄럼 부재(19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50)은 상기 검차라인(9) 상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유닛(17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50) 상에서 상기 차량(V)의 좌,우 방향(B,C)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13)와 연결되어 상기 차량(V)의 전륜(RW) 내,외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면서 차량(V)의 후방 좌,우 위치를 정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드 유닛(170)은 슬라이더(210) 및 가이드 레일(230)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21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50) 상에서 차량(V)의 후방 좌,우 측(B,C)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량(V)의 후륜(RW)이 진입되는 개구부(2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13)의 작동에 따라 상기 후륜(RW)의 내,외측을 상기 개구부(250)의 일측(250a)과 타측(250b)이 선택적으로 가압하면서 이동시킨다.
상기 가이드 레일(230)은 상기 슬라이더(210)의 전,후방 하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50)에서 슬라이더(210)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270)을 따라 가이드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21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50) 상에서 가이드 레일(230)이 가이드 홈(270)을 따라서 가이드 되면서 좌,우(B,C)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끄럼 부재(19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50) 상에서 상기 슬라이드 유닛(170)의 좌,우(B,C)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유닛(170)에 진입되는 상기 차량(V)의 후륜(RW)과 접촉된다.
이때, 상기 미끄럼 부재(190)는 마주하는 한 쌍의 제2 프리롤러(190a,19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프리롤러(190a,190b)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50) 상에서 상기 슬라이더(210)가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210)의 개구부(250)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 프리롤러(190a,190b)는 상기 제1 프리롤러(19a,19b)와는 달리, 상기 개구부(250)의 중심부를 향하면서 일측이 서로 동축으로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2 프리롤러(190a,190b)는 검차라인(9)으로 진입되는 차량(V)의 후륜(RW)이 리어 정렬 유닛(5)에 진입 시, 상기 슬라이더(210)의 개구부(250)에 진입됨과 동시에 후륜(RW)의 외주면과 접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프리롤러(190a,190b)는 상기 슬라이더(210)의 개구부(250) 일측(250a)과 타측(250b)이 상기 차량(V)의 후륜(RW) 일측과 타측을 가압할 때, 후륜(RW)의 좌,우(B,C)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액추에이터(13)는 전동 실린더(290)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50) 상에 상기 슬라이더(210)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작동로드(310)가 상기 슬라이더(210)와 연결단(330)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210)를 좌,우(B,C)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2 액추에이터(13)는 상기 제어기(7)와 연결되고, 제어기(7)의 명령에 의해 차량(V)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스트로크 량을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1)의 작동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1)의 작동을 설명함에 있어, 상기 프론트 정렬 유닛(3)과 리어 정렬 유닛(5)은 그 구성과 작동이 동일한 것으로, 상기 프론트 정렬 유닛(3)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고, 리어 정렬 유닛(5)에 대한 설명은 간략하게 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정렬 유닛(3)에 차량(V)의 전륜(FW)이 진입되면, 상기 제어기(7)가 상기 제1 액추에이터(11)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기(7)는 차량(V)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스트로크 량을 조절하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11)를 작동시킨다.
이후,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액추에이터(11)의 작동에 따라 상기 작동로드(31)와 연결된 슬라이더(21)가 함께 직진하면서 상기 전륜(FW)의 일측을 개구부(25)의 일측(25a)을 통해 가압과 동시에 이동시킨다.
이때, 이동되는 상기 전륜(FW)은 제1 프리롤러(19a,19b)들과 미끄럼 접촉되면서 일측으로 원활하게 이동이 이루어지고, 차량(V)의 전방이 검사를 위한 정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리어 정렬 유닛(5)도 상기 프론트 정렬 유닛(3)과 함께 동일한 작동을 하면서 차량의 후륜(RW)을 이동시켜 검차라인(9) 상에 진입되는 차량(V)의 후방을 검사를 위한 정 위치에 정렬시킨다.
이에 따라서, 상기 검차라인(9) 상으로 진입된 차량(V)은 전,후방이 프론트 정렬 유닛(3)과 리어 정렬 유닛(5)에 의해 각각 이동되면서 검사를 위한 정 위치에 정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정확하고 원활한 검사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1)는 검차라인(9)의 바닥면에 직접적으로 설치가 됨에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의 바닥을 파는 피트 작업을 삭제할 수 있고, 제품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트 작업의 삭제를 통해, 설치되는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1)의 설치 위치와 장소가 유연적이며,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1)의 교체와 철거에 따른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1)를 이용한 차량의 검사방법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검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상기한 도 1내지 도 7과 함께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의장 공정 등을 거친 차량(V)이 검차를 위해 검차라인(9) 상으로 진입한다(S11 단계).
이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차량(V)에 차량의 종류 크기 등의 정보가 저장된 차량 정보장치를 작업자를 통해 연결하고, 차종 정보를 수신한다(S12 단계).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차량(V)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얻은 정보에 따라 사용될 검사 프로그램을 선택한다(S13 단계)
이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선택된 프로그램에 따라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차량(V)의 위치를 검사위치에 정 위치시킨다(S14 단계).
여기서, 상기 차량(V)을 정 위치시키는(S14 단계)에서는 검차라인(9)으로 진입된 상기 차량(V)의 전방 이동을 규제하고, 제1 액추에이터(11)의 작동에 따라 상기 차량(V)의 전륜(FW)을 좌,우측(B,C)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V)의 전방 좌,우 위치를 가변 시키는 프론트 정렬 유닛(3)을 포함하는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1)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1)는 제2 액추에이터(13)의 작동에 따라 상기 차량(V)의 후륜(RW)을 좌,우측(B,C)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V)의 후방 좌,우 위치를 가변 시키는 리어 정렬 유닛(5), 및 상기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11,1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7)를 포함한다.(도 1 내지 도 5참조)
이때, 상기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1)는 상기 프론트 정렬 유닛(3)의 슬라이더(21)가 상기 차량(V)의 전륜(FW) 내,외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V)의 전방, 좌,우 위치를 정렬한다.(도 6 및 도 7참조)
그리고 상기 리어 정렬 유닛(5)의 슬라이더(210)가 상기 차량(V)의 후륜 내,외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V)의 후방, 좌,우 위치를 정렬한다.
이에 따라서, 검차라인(9)으로 진입된 차량(V)은 검사를 위한 정 위치에 정렬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검사위치에 정 위치된 차량(V)을 검사 프로그램을 통해 조립상태, 외관, 갭단차 등의 검사를 진행한다(S15 단계).
이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검사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차량 정보장치를 분리시키고, 상기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1)의 작동을 해제한다.(S16 단계).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검사 과정이 종료되고, 상기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가 해제된 차량(V)이 작업자에 의해 검차라인(9)의 외부로 진출한다(S17 단계).
이러한 일련의 단계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검사방법에 의하면, 상기 검차라인(9) 상으로 진입된 차량(V)의 위치를 제어기(7)의 작동에 의해 프론트 정렬 유닛(3)과, 리어 정렬 유닛(5)이 설정된 정 위치로 이동시켜 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고 원활한 검사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3: 프론트 정렬 유닛
5: 리어 정렬 유닛 7: 제어기
9: 검차라인 11: 제1 액추에이터
13: 제2 액추에이터 15,150: 베이스 프레임
17,170: 슬라이드 유닛 19,190: 미끄럼 부재
19a,19b: 제1 프리롤러 190a,190b: 제2 프리롤러
21,210: 슬라이더 23,230: 가이드 레일
25,250: 개구부 25a,250a: 일측
25b,250b: 타측 27,270: 가이드 홈
29,290: 전동 실린더 31,310: 작동로드
33,330: 연결단

Claims (19)

  1. 검차 라인으로 진입되는 차량의 전륜 양측과, 후륜 양측에 각각 대응하도록 바닥에 설치되어 차량을 검사 위치에 정 위치시키기 위한 차량의 위치 정렬 장치(1)로서,
    검차 라인(9)으로 진입된 상기 차량의 전방 이동을 규제하고, 제1 액추에이터(11)의 작동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전륜을 좌,우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의 전방 좌,우 위치를 설정된 위치로 정렬시키는 프론트 정렬 유닛(3);
    제2 액추에이터(13)의 작동에 따라 상기 차량의 후륜을 좌,우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의 후방 좌,우 위치를 설정된 위치로 정렬시키는 리어 정렬 유닛(5); 및
    상기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11, 1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7);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정렬 유닛(3)은,
    상기 제1 액추에이터(11)와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전륜 내,외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의 전방 좌,우 위치를 정렬하는 슬라이드 유닛(17, 170); 및
    상기 슬라이드 유닛(17, 170)의 이동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유닛(17, 170)에 진입되는 상기 차량의 전륜과 접촉되는 미끄럼 부재(19, 190); 를 포함하는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차 라인의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및
    상기 미끄럼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다수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정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전륜이 진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륜의 내,외측을 상기 개구부의 일측과 타측이 선택적으로 가압하면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전,후방 하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따라 가이드 되는 가이드 레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마주하는 한 쌍으로 설치되어 상기 전륜과 접촉되는 다수개의 제1 프리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프리롤러는
    상기 개구부의 중심부를 향하면서 일측이 하향 경사지게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작동로드가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전동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정렬 유닛은
    상기 검차 라인의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와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후륜 내,외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의 후방 좌,우 위치를 정렬하는 슬라이드 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슬라이드 유닛의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유닛에 진입되는 상기 차량의 후륜과 접촉되는 미끄럼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후륜이 진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후륜의 내,외측을 상기 개구부의 일측과 타측이 선택적으로 가압하면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전,후방 하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따라 가이드 되는 가이드 레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마주하는 한 쌍으로 설치되어 상기 후륜과 접촉되는 다수개의 제2 프리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작동로드가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전동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11.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차륜 내,외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유닛;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슬라이드 유닛의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유닛에 진입되는 상기 차량의 차륜과 미끄럼 접촉하는 미끄럼 부재;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유닛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으로,
    검차 라인의 바닥에 진입되는 차량의 차륜과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로 설치되어 상기 차량을 검사 위치에 정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차륜이 진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차륜의 내,외측을 상기 개구부의 일측과 타측이 선택적으로 가압하면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전,후방 하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따라 가이드 되는 가이드 레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마주하는 한 쌍으로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차륜이 미끄럼 접촉하는 다수개의 프리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리롤러는
    상기 개구부의 중심부를 향하면서 일측이 하향 경사지게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작동로드가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전동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치정렬 장치.
  16. (a)검차 라인 상으로 검사 차량이 진입하는 과정;
    (b)상기 차량에 차량 정보장치를 연결하고, 차종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c)상기 정보 수신 과정에서 얻은 정보에 따라 검사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과정;
    (d)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에 따라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차량의 위치를 검사위치에 정 위치시키는 과정;
    (e)상기 차량이 정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검사 프로그램을 통해 검사하는 과정;
    (f)상기 검사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차량 정보장치를 분리시키고, 상기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의 작동을 해제하는 과정; 및
    (g)상기 차량이 검차 라인의 외부로 진출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d) 과정에서는
    검차 라인으로 진입된 상기 차량의 전방 이동을 규제하고, 제1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전륜을 좌,우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의 좌,우 위치를 가변 시키는 프론트 정렬 유닛;
    제2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차량의 후륜을 좌,우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의 좌,우 위치를 가변 시키는 리어 정렬 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정렬 유닛의 슬라이더가 상기 차량의 전륜 내,외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의 전방, 좌,우 위치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의 검사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d) 과정에서는
    상기 리어 정렬 유닛의 슬라이더가 상기 차량의 후륜 내,외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차량의 후방, 좌,우 위치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의 검사방법.
KR1020140095817A 2014-07-28 2014-07-28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KR101558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817A KR101558389B1 (ko) 2014-07-28 2014-07-28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DE102014224878.7A DE102014224878A1 (de) 2014-07-28 2014-12-04 Positionsausrich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Inspektionsverfahren verwendend selbige
US14/560,434 US9864360B2 (en) 2014-07-28 2014-12-04 Position aligning apparatus of vehicle and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201410853037.9A CN105319073B (zh) 2014-07-28 2014-12-31 车辆的位置对准装置和使用该装置的检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817A KR101558389B1 (ko) 2014-07-28 2014-07-28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389B1 true KR101558389B1 (ko) 2015-10-07

Family

ID=5434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817A KR101558389B1 (ko) 2014-07-28 2014-07-28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64360B2 (ko)
KR (1) KR101558389B1 (ko)
CN (1) CN105319073B (ko)
DE (1) DE1020142248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1639A1 (de) 2016-09-13 2018-03-15 Hyundai Motor Company Vorrichtung zum Untersuchen eines Fahrerassistenzsystems eines Fahrzeugs und Verfahen zum Steuern von dies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835B1 (ko) * 2016-07-20 2022-10-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휠 얼라인먼트 틀어짐 판단 장치 및 방법
DE202017101176U1 (de) * 2017-03-02 2017-03-20 Cartesy Gmbh Vorrichtung zum Prüfen und/oder Kalibrieren eines Prüfstands
CN110523454B (zh) * 2019-09-27 2024-03-19 洛阳合能电气有限公司 一种移动支撑装置和车辆性能试验平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3762A (ja) * 2005-04-12 2006-10-26 Fuji Heavy Ind Ltd 作業管理方法及び作業管理システム並びに該作業管理システムに用いる工具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16717B1 (fr) * 1987-06-18 1989-11-17 Purguette Edmond Dispositif de prise de force pour vehicules automobiles et sa regulation
US5461564A (en) * 1994-08-09 1995-10-24 Ford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alibrating vehicle ride height
JPH0920273A (ja) 1995-07-07 1997-01-21 Honda Motor Co Ltd 車両検査装置
KR100677918B1 (ko) * 2004-10-11 2007-02-06 이완영 무팔레트 가대식 주차시스템의 입출고용 적재대
US8240197B2 (en) * 2008-09-08 2012-08-14 Burke E. Porter Machinery Company Vehicle brake testing assembly
CN101451915B (zh) * 2008-12-30 2011-01-12 吉林大学 滚筒试验台用自动适应轮位和轮胎直径的防车偏摆挡轮
CA2750387A1 (en) * 2009-02-03 2010-08-12 Bruno Independent Living Aids, Inc. Transfer device
US8700252B2 (en) * 2010-07-27 2014-04-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for testing connected services in a vehicle
KR102113793B1 (ko) 2013-01-25 2020-05-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3762A (ja) * 2005-04-12 2006-10-26 Fuji Heavy Ind Ltd 作業管理方法及び作業管理システム並びに該作業管理システムに用いる工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1639A1 (de) 2016-09-13 2018-03-15 Hyundai Motor Company Vorrichtung zum Untersuchen eines Fahrerassistenzsystems eines Fahrzeugs und Verfahen zum Steuern von dies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19073B (zh) 2019-09-06
US9864360B2 (en) 2018-01-09
US20160025597A1 (en) 2016-01-28
DE102014224878A1 (de) 2016-01-28
CN105319073A (zh) 2016-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389B1 (ko)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KR101550611B1 (ko) 차량용 도어 힌지 로딩장치
CA2246201C (en) Device for assembling motor-vehicle bodies or sub-assemblies thereof, having an integrated deformation detection system, and assembling method making use of this device
KR101416371B1 (ko) 차량용 갭, 단차 측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07057B1 (ko) 스폿 용접용 지그 장치
CN203245574U (zh) 一种压力装配机
EP2216144B1 (de) Verfahren und System zur Kontrolle von Bauteilen und/oder Funktionseinheiten mit einer Prüfvorrichtung
CN110666410B (zh) 一种基于双目视觉的船舶小组立自动装配装置及实现方法
KR101331423B1 (ko)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JP2014102250A (ja) 車両用ドア検査システムおよびその検査方法
US20160068208A1 (en) Vehicle body manufacturing apparatus
KR101831338B1 (ko)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장착 구조체의 조립장치 및 방법
US8215624B2 (en) Jig pallet
JP2007190600A (ja) 治具装置
CN102357448B (zh) 一种可自动检测工件规格的工件固定装置
KR101835002B1 (ko) 홀 변위 측정 장치
KR20150071491A (ko) 도어 어셈블리 검사장치
KR20140087736A (ko) 내구시험장치
KR101126133B1 (ko) 다차종 파트 정렬 장치
US8794947B2 (en) Translating forming dies
CN111076661A (zh) 汽车尾门把手位置检测机及其操作方法
JP2014129024A (ja) 自動車車体の組立方法及び同組立装置
CN203621898U (zh) 一种汽车刹车、油门踏板的自动装配装置
CN107685209B (zh) 一种环保型行走三工位机器人焊接工作站
KR101427967B1 (ko) 차량용 측정 시스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