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282B1 -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282B1
KR101558282B1 KR1020150070286A KR20150070286A KR101558282B1 KR 101558282 B1 KR101558282 B1 KR 101558282B1 KR 1020150070286 A KR1020150070286 A KR 1020150070286A KR 20150070286 A KR20150070286 A KR 20150070286A KR 101558282 B1 KR101558282 B1 KR 101558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fluid
buffer
idler
track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사현
Original Assignee
임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사현 filed Critical 임사현
Priority to KR1020150070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2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30Track-tensioning means
    • B62D55/305Track-tensioning means acting on pivotably mounted id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무한궤도의 트랙 내부에 배치된 아이들러 지지대와 지지프레임 사이에 연결되어 장력을 조절하는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에 있어서, 일단부 내부에 불활성기체가 충진되되 후단부가 내부피스톤에 의해 밀폐된 기체완충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의 내부에 제1작동유체가 충진되는 완충중공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기체완충부 및 상기 완충중공부는 연결유로에 의해 연통되는 2단 실린더 프레임; 전단부가 상기 완충중공부에 내삽되는 연결로드부; 및 상기 연결로드부의 후단부가 내삽되고 내부에 제2작동유체가 충진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부에는 제2작동유체 보충을 위한 체크밸브가 구비된 보조실린더부를 포함하는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apparatus for shock-absorbing and supporting idler of crawler track}
본 발명은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되 트랙의 장력을 조절하여 장치의 내구성과 주행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중장비는 무한궤도를 구동수단으로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무한궤도는 둥근 궤도를 형성하는 트랙의 내부에 바퀴를 넣어 전진시 앞으로 트랙을 뻗어서 바퀴가 계속 트랙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장비이다.
즉, 궤도를 형성하는 트랙이 지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내부의 바퀴가 트랙 위를 달리는 형태로 나아가게 되므로,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굴곡지형에서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으며, 단위면적당 작용되는 하중을 감소시켜 고하중의 장비도 지반이 무른 지형을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다.
도 1은 무한궤도가 적용된 중장비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무한궤도는 주행부, 지지프레임(3), 그리고 트랙(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행부는 구동롤러(1), 아이들러(2), 안내롤러(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지지프레임(3)에는 상기 주행부가 결합되며, 상기 트랙(5)은 상기 주행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롤러(1)는 회전동력원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형성하며, 아이들러(2)는 구동롤러(1)의 반대편에서 트랙(5)을 지지하며 회전되며, 상기 안내롤러(4)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트랙(5)이 일정한 궤도를 유지하도록 아이들러(2)와 구동롤러(1) 사이에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무한궤도는 트랙(5)의 장력이 중요한 동작변수로 작용하며, 장력이 약하면 트랙(5)이 각 주행부의 외주에서 벗어나게 되며, 장력이 세면 주행부와 지지프레임(3)을 연결하는 축이나 부시가 마모되고 주행 저항이 높아지는 등 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즉, 트랙(5)의 장력이 적절할 때 장비가 최적으로 운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트랙(5)의 장력을 조절하고 트랙을 통해 바퀴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도록 아이들러(2)와 지지프레임(3)을 연결하는 완충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완충장치는 아이들러(2)를 지지하는 지지대(6)와, 지지대(6)에 탄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 스프링(7)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어 트랙(5)의 장력을 조절하는 실린더(8)와, 실린더(8)에 삽입되는 피스톤(9)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8)의 전방에는 지지대(6)의 후방에 연결된 가이드바(6a)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실린더(8)의 후방에는 피스톤(9)이 삽입되되 내부에 그리스가 충진되는 장력조절홈(8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7)은 지지대(6)의 후방과 실린더(8)의 외주에 형성된 지지테두리(8b) 사이를 탄발지지하여 상기 아이들러(2)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9)의 일단은 상기 실린더(8)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은 지지프레임(3)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9)에 형성된 주입로를 통해 상기 장력조절홈(8a)에 그리스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그리스를 배출시킴으로써 지지대(6)와 지지프레임(3)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즉, 그리스를 주입하면 지지대(6)와 지지프레임(3) 사이의 간격이 커져 트랙(5)의 장력이 증가하고, 그리스를 배출시키면 지지대(6)와 지지프레임(3)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트랙(5)의 장력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완충장치는 외부실린더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실링부에 의한 팩킹 누유와 하중에 의한 쳐짐 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그리스밸브는 텐션 실린더 내부의 압력 조절을 위해 내부에 주입된 그리스를 일부 배출하도록 밸브하우징을 분리/재체결하게 된다. 이때, 외부 요소에 의해 상기 밸브하우징의 체결부 외측 내지 대상체에 형성된 체결공이 마모되거나 파손될 경우 상기 밸브하우징이 빈틈없이 체결되지 못하여 상기 그리스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압력조절을 위해 상기 밸브하우징을 분리/재체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정도의 미세한 압력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 제20-030925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트랙을 통해 아이들러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되 트랙의 장력을 조절하여 장치의 내구성과 주행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한궤도의 트랙 내부에 배치된 아이들러 지지대와 지지프레임 사이에 연결되어 장력을 조절하는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에 있어서, 일단부 내부에 불활성기체가 충진되되 후단부가 내부피스톤에 의해 밀폐된 기체완충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의 내부에 제1작동유체가 충진되는 완충중공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기체완충부 및 상기 완충중공부는 연결유로에 의해 연통되는 2단 실린더 프레임; 전단부가 상기 완충중공부에 내삽되는 연결로드부; 및 상기 연결로드부의 후단부가 내삽되고 내부에 제2작동유체가 충진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부에는 상기 제2작동유체 보충을 위한 체크밸브가 구비된 보조실린더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유로가 상기 기체완충부 및 상기 완충중공부와 접하는 부분에 각각 스토퍼 단턱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로드부의 전단부 외주에는 한쌍의 웨어링과 상기 웨어링의 사이에 구비되는 가변실링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가변실링은 가변실링 홈부의 내측에 내삽되어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인 변위폭을 증대시키는 탄성복원부와, 상기 탄성복원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중공부의 내주에 밀착되는 실링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작동유체는 액상의 작동유로 구비되며, 상기 제2작동유체는 유압용 그리스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2단 실린더 프레임의 단부에는 상기 기체완충부의 내부에 충진된 불활성 기체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충진밸브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완충중공부 및 충진부가 압력전달유로를 통해 연결되되 내부피스톤을 통해 구획되어 구획된 유체 간의 압력이 상호 전환되므로 작동유를 통한 압력 전달 및 기체의 압축/팽창이 연계된 2단 유체 완충구조를 제공하여 스프링을 통한 기계적인 충격 흡수와 달리 탄성력 저하나 이물질 유입에 따른 완충 성능 저하 없이 부드럽고 안정감 있는 완충효과를 제공하며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연결로드부의 전단부 외주에 형성된 복수개의 다단으로 이루어진 홈부에 한쌍의 웨어링과 상기 웨어링 사이에 형성된 가변실링을 복수개 삽입하여 상기 완충중공부의 내부에 충진된 제1작동유체의 누유를 방지하고, 완충지지장치의 처짐을 보강되게 하여 상기 완충지지장치의 휘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보조실린더부에 형성되어 제2작동유체가 내부에 충진된 가이드 홈부에는 상기 제2작동유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완충중공부 및 기체완충부의 압력 상호 전달을 위해 길이 방향으로 유동되는 상기 연결로드부와 상기 가이드 홈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상기 제2작동유체의 주입 및 배출에 효율적일 수 있다.
넷째, 상기 연결로드부가 상기 완충중공부 및 상기 가이드홈부에 일체형으로 내삽되어 컴팩트하고 간소한 구조로 설치됨에 따라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홈부에 내삽된 측에 상기 웨어링과 상기 가변실링이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2작동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무한궤도가 적용된 중장비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확대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a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도 3a의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무한궤도는 강판제의 판을 체인 모양으로 연결하고, 이것을 앞,뒤바퀴에 벨트처럼 걸어 동력으로 회전시켜서 주행하게 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무한궤도는 구동롤러와 아이들러 및 다수개의 안내롤러에 의해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구동롤러에서 부가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고, 아이들러는 상기 구동롤러와 반대편에 설치되어 상기 무한궤도가 항상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무한궤도가 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안내해 주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한궤도를 채택하고 있는 굴삭기 등의 중장비에서는, 상기 무한궤도가 주행 중에 이탈하지 않고 정확하게 궤도를 유지하게 하면서, 가벼운 외부충격에 의해 상기 무한궤도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트랙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무한궤도에서의 상기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는 상기 아이들러의 뒤에 설치되어, 상기 아이들러가 상기 무한궤도를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아이들러와 지지프레임 사이에 상기 완충지지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완충지지장치는 상기 트랙에 가해진 외부 압력을 흡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아이들러 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트랙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지지장치는 일단 및 타단이 지지대 및 지지프레임 간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아이들러를 상기 트랙 방향으로 밀어 지지하며, 상기 아이들러의 외주에서 상기 트랙과 접촉되는 부분의 반대방향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 발생시 상기 완충지지장치의 압축 및 팽창을 통하여 충격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대 및 상기 지지프레임 간에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비교적 큰 외부충격에 의한 아이들러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비교적 작은 충격 및 진동을 완화시켜 조작자의 승차감을 개선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되도록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a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3a의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는 무한궤도의 트랙 내부에 배치된 아이들러 지지대와 지지프레임 사이에 연결되어 장력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상세히, 상기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는 2단 실린더 프레임(20), 연결로드부(30), 그리고 보조실린더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2단 실린더 프레임(20)의 일단부 내부에는 기체완충부(21)가 형성되고, 타단부 내부에는 완충중공부(2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체완충부(21)와 상기 완충중공부(22)는 상기 2단 실린더 프레임(20) 내에서 서로 구획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또한,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시에 상기 완충중공부(22) 측으로 유동 되는 상기 연결로드부(30)에 의해 상기 완충중공부(22)에 충진된 제1작동유체(f)의 압력이 상기 기체완충부(21)에 전달되도록 연결유로(2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체완충부(21)는 내부에 불활성기체(g)가 충진되되, 후단부가 내부피스톤(23)에 의해 밀폐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불활성기체(g)가 상기 완충중공부(22) 내부의 상기 제1작동유체(f)와 구획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피스톤(23)은 일단의 중앙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완충중공부(22) 측으로의 가압이 더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피스톤(23)의 외주에는 복수개의 제1실링부재(26a,26b)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실링부재(26a,26b)는 상기 제1작동유체(f)가 누설되어 상기 불활성기체(g)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지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피스톤(23)은 상기 연결유로(25)를 통해 유동되는 상기 제1작동유체(f)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1작동유체(f)의 압력이 상기 기체완충부(21) 내의 상기 불활성기체(g)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압력변화에 따라 상기 내부피스톤(23)이 상기 기체완충부(21)의 내주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불활성기체(g)와 상기 제1작동유체(f)의 압력이 상호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불활성기체(g)는 질소가스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궤도의 이탈 및 연결부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불활성기체(g)는 트랙의 주행에 바람직한 장력이 유지될 수 있게 설정된 압력으로 충진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불활성기체(g)가 과소한 압력으로 충진된 경우에는 상기 불활성기체(g)의 압축율이 높아 충격시 내부피스톤(23)의 유동이 커져 트랙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지 못하고 궤도에서 벗어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불활성기체(g)가 과다한 압력으로 충진된 경우에는 상기 불활성기체(g)의 압축율이 낮고 상기 내부피스톤(23)의 유동이 작아 충분한 완충효과를 제공하지 못하고 상기 아이들러나 기타 연결부재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질소가스를 상기 기체완충부(21)에 선택적으로 충진시키도록 상기 기체완충부(21)의 전단부에 충진밸브(24)가 밀폐형 커버(29)에 내삽된 형태로 구비된다. 즉, 상기 충진밸브(24)를 통해 주입되거나 배출되는 상기 불활성기체(g)의 압력에 의해 상기 내부피스톤(23)이 유동될 수 있으며, 트랙의 장력이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일단이 상기 완충중공부(22)에 내삽된 연결로드부(30)가 상기 제1작동유체(f)를 가압하여 상기 내부피스톤(23)에 압력을 전달하며 이때, 상기 제1작동유체(f)가 연결유로(25)를 통해 상기 기체완충부(21)로 일부 주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체완충부(21)는 상기 충진밸브(24)를 통해 상기 불활성기체(g)를 주입시켜 상기 내부피스톤(23)을 가압함으로써 일부 주입된 제1작동유체(f)가 초기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진밸브(24)는 상기 기체완충부(21)의 내부에 충진된 상기 불활성기체(g)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완충중공부(22)는 상기 연결로드부(30)의 일단이 내삽된 형태이며, 전단부에는 상기 제1작동유체(f)가 충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작동유체(f)는 액상의 작동유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작동유체(f)의 압력 및 상기 불활성기체(g)의 압력은 상기 연결유로(25)를 통해 상호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유로(25)는 상기 기체완충부(21) 및 상기 완충중공부(22)에 연통되며, 상기 기체완충부(21) 및 상기 완충중공부(22)와 접하는 부분에 각각 스토퍼 단턱(27)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결유로(25)의 직경이 상기 기체완충부(21) 및 상기 완충중공부(22)의 내경보다 좁게 설치됨에 따라 각각 형성된 상기 스토퍼 단턱(27)에 의해 상기 내부피스톤(23)의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 단턱(27)의 형성은 상기 기체완충부(21)로 일부 유입된 상기 완충중공부(22) 내의 상기 제1작동유체(f)를 상기 연결유로(25)를 통해 복원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불활성기체(g)의 충진 압력을 상기 제1작동유체(f)의 충진 압력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으며, 외력의 완충을 위해 충분한 정도의 압력을 가진 상기 불활성기체(g)가 충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로드부(30)는 전단부가 상기 완충중공부(22) 내의 충진부(28)의 개구된 후방에 내삽되고 후단부는 상기 보조실린더부(40)의 가이드홈부(43)에 내삽된 일체형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충진부(28)는 상기 완충중공부(22)의 전단부에서 상기 제1작동유체(f)를 충진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로드부(30)는 상기 완충중공부(22)에 충진된 상기 제1작동유체(f)를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결유로(25)를 통해 상기 내부피스톤(23)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트랙에 충격이 가해지면, 가해진 충격은 상기 아이들러, 상기 지지대(10)를 거쳐 상기 완충지지장치(100)로 전달되며, 상기 완충지지장치(100)는 전달된 충격으로 상기 지지프레임 측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로드부(30)가 상기 제1작동유체(f)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제1작동유체(f)는 상기 연결유로(25)를 통해 상기 내부피스톤(23)을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작동유체(f)는 상기 불활성기체(g)에 비해 낮은 압축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내부피스톤(23)은 압축성이 높은 상기 불활성기체(g)를 압축시키며 상기 연결유로(2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격이 사라지면, 상기 기체완충부(21) 내에 압축된 높은 압력의 상기 불활성기체(g)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내부피스톤(23)을 후단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때, 상기 내부피스톤(23)이 상기 제1작동유체(f)를 상기 완충중공부(22)측으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보조실린더부(40)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불활성기체(g)의 압축 및 팽창을 통한 상기 연결로드부(30)의 유동으로 상기 트랙에서 상기 아이들러로 가해진 충격이 해소될 수 있다. 즉, 낮은 압축율을 가진 상기 제1작동유체(f) 및 높은 압축율을 가진 상기 불활성기체(g)를 상호 전환하여 외부 충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상기 완충지지장치(100)가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작동유체(f)는 외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미세하게 압축되어 외력이 완충되고, 상기 불활성기체(g)는 압축되어 외력의 저장과 팽창을 통한 외력을 방출함으로써 외력이 완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작동유체(f)를 통한 압력 전달 및 기체의 압축 또는 팽창이 연계된 상기 완충지지장치(10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스프링을 통한 기계적인 충격 흡수와 달리 탄성력 저하나 이물질 유입에 따른 완충 성능 저하 없이 한층 부드럽고 안정감 있는 완충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로드부(30)가 상기 완충중공부(22) 및 상기 가이드홈부(43)에 일체형으로 내삽되어 컴팩트하고 간소한 구조로 설치됨에 따라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아이들러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손상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로드부(30)의 전단부 외주에는 한쌍의 웨어링(31a,31b)과 상기 웨어링(31a,31b) 사이에 구비되는 가변실링(32a)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홈부가 다단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웨어링(31a,31b)과 상기 가변실링(32a)으로 구비된 실링구조는 상기 연결로드부(30)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상기 2단 실린더 프레임(20)과 상기 연결로드부(30) 사이로 상기 제1작동유체(f)가 유출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세히, 상기 웨어링(31a,31b)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일체형 링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변실링(32a)과는 교번되어 구비되되, 상기 가변실링(32a)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 재질에는 테프론, 실리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링(31a,31b)은 링 구조로 형성되어 구조가 간단하므로 생산성 및 조립성이 향상되고, 폭 방향의 링 두께가 두꺼울수록 압력이나 온도에 의한 변형이 적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웨어링(31a,31b)은 상기 완충중공부(22) 내에서 상기 연결로드부(30)의 전단부의 외주에 형성된 홈에 고정되어 유체의 압력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상기 2단 실린더 프레임(20)과의 마찰로 인한 마모나 스크래치가 최소화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가변실링(32a)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웨어링(31a,31b)의 구조는 상기 완충지지장치(100)의 처짐을 보강하여 상기 완충지지장치(100)의 휘어짐을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홈부는 상기 각 링의 내주직경에 대응되는 폭으로 함몰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중공부(22)에 내삽된 상기 연결로드부(30)의 후단측에는 상기 웨어링(31c)이 구비되어 상술한 실링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변실링(32a)은 가변실링 홈부의 내측에 내삽되어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인 변위폭을 증대시키는 탄성복원부(210a)와, 상기 탄성복원부(210a)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중공부(22)의 내주에 밀착되는 실링부(210b)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가변실링(32a)의 외주직경은 상기 완충중공부(22)의 내주면과 끼움 결합되는 직경으로 설정되되, 상기 가변실링(32a)의 내주직경이 상기 웨어링(31a,31b)의 내주직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변실링(32a)은 상기 제1작동유체(f)의 압력변화에 대응하여 가변하며 압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열해나 마모로 인한 실링의 손상을 자체적으로 보정해줌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설치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탄성복원부(210a)는 고강도수지재로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210b)는 폴리우레탄수지재로 형성되어 내충격성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가변실링(32a)은 상기 연결로드부(30)가 길이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누유현상을 막을 수 있다.
즉, 상기 완충중공부(22)에 충진된 상기 제1작동유체(f)의 누설 없이 상기 연결로드부(30)가 신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작동유체(f)의 압력이 상기 내부피스톤(23)을 통해 상기 불활성기체(g)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완충중공부(22)에 삽입된 상기 연결로드부(30)의 후단의 외측 및 상기 가이드홈부(43)에 내삽된 상기 연결로드부(30)의 타단 외측으로는 더스트씰(33a,33b)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더스트씰(33a,33b)은 충격이 가해질 시의 밀림이나 이탈을 방지하여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더스트씰(33a,33b)은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실린더부(40)는 상기 연결로드부(30)의 후단부가 내삽되고, 내부에 상기 가이드홈부(43)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부(43)에는 체크밸브(42)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연결로드부의 후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홈부(43)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로드부(30)의 후단부가 상기 가이드홈부(43)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보조실린더부(40)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실린더부(40)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는 설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보조실린더부(40)는 상기 지지대(10)에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충진밸브(24)의 개구된 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부(43)에는 제2작동유체(h)가 충진되며 이때, 상기 제2작동유체(h)는 유압용 그리스(grease)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그리스(grease)는 반고체 상태의 윤활유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운동중에는 액체 상태를 나타내고, 정지하면 유동성을 상실하여 반고체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그리스(grease)는 주로 하중이 큰 마찰 부분, 급유하기 어려운 부분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그리스(grease)와 같은 윤활유는 한 번 충전하면 장기간 윤활 역할을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42)로 상기 그리스(grease)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연결로드부(30)를 밀어주며 상기 트랙의 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42)를 열어 상기 제2작동유체(h)를 밖으로 배출하면 그에 따라 밀려나간 상기 연결로드부(30)가 배출된 상기 제2작동유체(h)의 양만큼 탄성복원되어 상기 트랙의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로드부(30)의 후단부와 상기 가이드홈부(43)의 결합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10) 및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아이들러에 의해 가압된 상기 트랙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42)는 내부에 상기 제2작동유체(h)가 주입되는 상기 가이드홈부(43)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공에 체결되며 상기 제2작동유체(h)를 상기 가이드홈부(43)의 내부에 주입하되, 주입된 상기 제2작동유체(h)가 역류되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42)는 밸브하우징(315), 포핏부(313), 가이드구속부(314), 스프링, 덮개부(211), 그리고 제2실링부재(311)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밸브하우징(315)은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니플부와 내부에 상기 관통공보다 직경이 큰 유체이동관부가 관동형성된 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과 상기 유체이동관부의 연결부분에는 단차진 단턱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작동유체(h)는 상기 관통공에서 상기 유체이동관부로 연결되어 주입되고, 상기 포핏부(313)가 상기 가이드구속부(314)에 구비되어 유체유로(3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며, 가이드연장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42)는 상기 밸브하우징(315)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니플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가압연장부의 단부를 단지 가압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상기 유체유로(312)를 개방하여 손쉽게 상기 제2작동유체(h)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니플부의 외측을 커버하는 상기 덮개부(211)가 상기 니플부를 커버하여 외부로부터 전해지는 충격 및 오염에 대하여 보호함으로써 상기 체크밸브(42)의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211) 내측에 상기 니플부 외면과 상기 덮개부(211)의 내주면에 형합되는 상기 제2실링부재(31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2작동유체(h)의 역류에 의한 누출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니플부의 외면을 보다 확실히 보호하여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실링부재(311)가 상기 덮개부(211)의 내측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2실링부재(311)의 마모 및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므로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밸브하우징(315)의 체결 및 분리시 상기 가이드홈부(43)에 형성된 체결공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작동유체(h)가 유입되는 상기 가이드홈부(43)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고장 등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내부에 주입되는 상기 제2작동유체(h)의 오염이 최소화되므로 재활용이 용이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42)는 상기 가이드홈부(43)의 후반부에 연통되는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부(43)에 내삽된 상기 연결로드부(30)의 후단부에는 상기 웨어링(31d)과 상기 가변실링(32b)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변실링(32b)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2작동유체(h)가 상기 가이드홈부(43)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변실링(32b)의 후측에 구비된 상기 웨어링(31d)은 상기 연결로드부(30)와 상기 가이드홈부(43) 간의 마모 및 스크래치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상기 보조실린더부(40)는 전단부에 단턱이 돌설되고 일면에 간격조절장치가 고정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2작동유체(h)를 주입 및 배출시키며 상기 지지대(10) 및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로드부(30)가 상기 완충중공부(22)와 상기 보조실린더부(40)의 상기 가이드홈부(43)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부(43)에 상기 제2작동유체(h)가 충진되어, 상기 연결로드부(30)와 상기 보조실린더부(40)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 10: 지지대
20: 2단 실린더 프레임 21: 기체완충부
22: 완충중공부 23: 내부피스톤
24: 충진밸브 25: 연결유로
27: 스토퍼 단턱 30: 연결로드부
31a,31b,31c,31d: 웨어링 32a,32b: 가변실링
40: 보조실린더부 42: 체크밸브
43: 가이드홈부

Claims (5)

  1. 무한궤도의 트랙 내부에 배치된 아이들러 지지대와 지지프레임 사이에 연결되어 장력을 조절하는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에 있어서,
    일단부 내부에 불활성기체가 충진되되 후단부가 내부피스톤에 의해 밀폐된 기체완충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의 내부에 제1작동유체가 충진되는 완충중공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기체완충부 및 상기 완충중공부는 연결유로에 의해 연통되는 2단 실린더 프레임;
    전단부가 상기 완충중공부에 내삽되는 연결로드부; 및
    상기 연결로드부의 후단부가 내삽되고 내부에 제2작동유체가 충진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부에는 상기 제2작동유체 보충을 위한 체크밸브가 구비된 보조실린더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가 상기 기체완충부 및 상기 완충중공부와 접하는 부분에 각각 스토퍼 단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부의 전단부 외주에는 한쌍의 웨어링과 상기 웨어링의 사이에 구비되는 가변실링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가변실링은 가변실링 홈부의 내측에 내삽되어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인 변위폭을 증대시키는 탄성복원부와, 상기 탄성복원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중공부의 내주에 밀착되는 실링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유체는 액상의 작동유로 구비되며, 상기 제2작동유체는 유압용 그리스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 실린더 프레임의 단부에는 상기 기체완충부의 내부에 충진된 불활성 기체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충진밸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
KR1020150070286A 2015-05-20 2015-05-20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 KR101558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286A KR101558282B1 (ko) 2015-05-20 2015-05-20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286A KR101558282B1 (ko) 2015-05-20 2015-05-20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282B1 true KR101558282B1 (ko) 2015-10-12

Family

ID=54347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286A KR101558282B1 (ko) 2015-05-20 2015-05-20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2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977B1 (ko) * 2016-10-12 2017-12-01 (주)삼우테크 무한궤도용 트랙 장력조절 및 충격흡수 장치
CN116750098A (zh) * 2023-08-22 2023-09-15 黑龙江省润昌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三角履带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1076A (ja) 2001-12-31 2003-09-16 Caterpillar Inc 履帯張力調整管理アクチュエータ
KR200442650Y1 (ko) 2007-07-31 2008-12-01 주식회사 드림엔지니어링 무한궤도 트랙의 장력조정장치
JP2011037301A (ja) 2009-08-06 2011-02-24 Hitachi Constr Mach Co Ltd 装軌式車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1076A (ja) 2001-12-31 2003-09-16 Caterpillar Inc 履帯張力調整管理アクチュエータ
KR200442650Y1 (ko) 2007-07-31 2008-12-01 주식회사 드림엔지니어링 무한궤도 트랙의 장력조정장치
JP2011037301A (ja) 2009-08-06 2011-02-24 Hitachi Constr Mach Co Ltd 装軌式車両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977B1 (ko) * 2016-10-12 2017-12-01 (주)삼우테크 무한궤도용 트랙 장력조절 및 충격흡수 장치
CN116750098A (zh) * 2023-08-22 2023-09-15 黑龙江省润昌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三角履带装置
CN116750098B (zh) * 2023-08-22 2023-11-17 黑龙江省润昌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三角履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12965B (zh) 自行車後變速器
JP5864970B2 (ja) 軌道装設装置
CN102015425B (zh) 模块化履带张紧系统
US8011307B2 (en) Retractable antifriction bearings device for a loading bed and loading bed equipped with such a device
CA2692879C (en) Automatic track tensioning system
KR101558282B1 (ko)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
KR101867699B1 (ko) 체인 텐셔너
US20070155554A1 (en) Auto-tensioner for engine accessory
US20110017559A1 (en) Pressure reservoir for shock absorber
US20110294616A1 (en) Seal chain
KR101160397B1 (ko) 롤러체인
CN101149088A (zh) 减振器
AU2007287811A1 (en) Chain tensioning device
CN105102859A (zh) 链条驱动张紧器弹簧力控制机构
US20130168194A1 (en) Dampers with thermal expansion compensation
CN104527827A (zh) 用于履带式车辆的履带张紧装置和履带式车辆
JP3854540B2 (ja) シリンダ装置および履帯式車両
CN102597535A (zh) 利用气压及液压的促动器
KR101558278B1 (ko) 벤트형 유체 주입 밸브
US7565956B2 (en) Shock absorber with a damping device
KR20160068393A (ko) 무한궤도의 아이들러 완충지지장치
KR20160077698A (ko) 윤활제 밸브 어셈블리
KR102061112B1 (ko) 다이아프렘이 구비된 무한궤도용 완충장치
EP4226051A1 (en) Arrangement in a pneumatic cylinder
CN110296175B (zh) 油气悬挂缸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