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086B1 - 뚜르비옹 - Google Patents

뚜르비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086B1
KR101558086B1 KR1020140045912A KR20140045912A KR101558086B1 KR 101558086 B1 KR101558086 B1 KR 101558086B1 KR 1020140045912 A KR1020140045912 A KR 1020140045912A KR 20140045912 A KR20140045912 A KR 20140045912A KR 101558086 B1 KR101558086 B1 KR 101558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brake element
tourbillon
axially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5315A (ko
Inventor
외른 하이제
Original Assignee
글라스휘터 우런베트리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라스휘터 우런베트리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글라스휘터 우런베트리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25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7/00Mechanisms for stabilising frequency
    • G04B17/20Compensation of mechanisms for stabilising frequency
    • G04B17/28Compensation of mechanisms for stabilising frequency for the effect of imbalance of the weights, e.g. tourbillon
    • G04B17/285Tourbillons or carrouse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5/00Escapements
    • G04B15/14Component parts or constructional details, e.g. construction of the lever or the escape wheel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7/00Mechanisms for stabilising frequency
    • G04B17/04Oscillators acting by spring tension
    • G04B17/06Oscillators with hairsprings, e.g. balance
    • GPHYSICS
    • G04HOROLOGY
    • G04FTIME-INTERVAL MEASURING
    • G04F7/00Apparatus for measuring unknown time intervals by non-electric means
    • G04F7/04Apparatus for measuring unknown time intervals by non-electric means using a mechanical oscillator
    • G04F7/08Watches or clocks with stop devices, e.g. chronograph
    • G04F7/0842Watches or clocks with stop devices, e.g. chronograph with start-stop control mechanis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브먼트의 뚜르비옹에 관한 것이고,
상기 무브먼트의 뚜르비옹은:
- 제 2 피니언(46)에 연결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캐리지(6),
- 밸런스 샤프트(28)에 대해 회전 캐리지(6) 상에 장착된 밸런스(12) 및 회전 캐리지(6) 상에 장착되고 레버를 통해 밸런스(12)에 작동 연결된 방탈 휠(16),
- 밸런스(12)와 맞물림될 수 있고 밸런스 샤프트(28)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회전 캐리지(6) 상에 배열된 브레이크 요소(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뚜르비옹{TOURBILLON}
본 발명은 기계식 와치의 무브먼트 (movement) 의 뚜르비옹에 관한 것이고 또한 이러한 종류의 뚜르비옹과 끼워 맞춤되는 무브먼트 또는 상응하게 구비된 기계식 시계에 관한 것이다.
기계식 시계들 및 무브먼트들을 위한 뚜르비옹들은 이전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것들에서 무브먼트의 방탈 휠, 레버 및 소위 밸런스는 회전 캐리지 상에 배열되고 상기 회전 캐리지는 제 2 휠, 결국 제 2 피니언의 아버 (arbor) 와 커플링되거나 또는 그에 각각 확고히 연결된다. 전형적으로 밸런스 또는 밸런스 샤프트는 이 경우에 제 2 피니언의 가상의 축선 연장부와 일치한다. 방탈 휠에 연결된 기어 휠은 결국 밸런스 샤프트에 동축으로 배치된 고정된 기어 휠과 치합하여, 뚜르비옹 및 따라서 그 회전 캐리지는 매분 마다 완전한 회전을 실행 (pass through) 시킨다.
기계식 시계의 정확한 세팅은 제 2 디스플레이가 정지될 것을 요구한다. 종래의 기존 무브먼트들에서, 이는 예를 들면 크라운을 당김으로써 동작될 수 있는 소위 밸런스 정지에 의해 일반적으로 달성되고, 크라운을 밀음으로써 다시 비동작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가 뚜르비옹의 회전 캐리지에 의해 직접 달성되는 매우 작은 뚜르비옹을 갖는 와치들에서, 이러한 종류의 밸런스 정지의 실현은 극히 어렵고 복잡하다는 것이 증명된다.
DE 101 60 287 A1 에는 예를 들면 뚜르비옹 캐리지의 필라들의 무브먼트의 회전하는 경로 외측에서 방사상으로 기저 위치로부터 블록킹 위치 내로 이동될 수 있는 대략 V-형상의 더블-아암 스프링을 갖는 뚜르비옹용 정지 디바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블록킹 위치에서, 밸런스 윤곽의 회전 방향에 대해 대향하는 방향으로 지향된 스프링 아암들을 갖는 더블-아암 스프링은 밸런스의 방사상으로 회전하는 윤곽에 대항하여 탄성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밸런스와의 이러한 종류의 방사상 맞물림은 한편으로 뚜르비옹의 극도로 민감한 장착에 대해 해로울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밸런스의 방사상으로 회전하고 방사상 외향으로 지향된 윤곽을 갖는 더블-아암 스프링의 베어링 위치는 밸런스 가장자리 상에 배열되고 그 위치 또는 정렬의 견지에서 밸런스를 조절하거나 설정하도록 제공되는 웨이트들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여기서 위험성은 더블-아암 스프링이 밸런스의 캘리브레이션 (calibration) 또는 매우 민감한 세팅에 영향을 주고 따라서 시계의 정확성, 특히 그 속도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추가로, 밸런스 가장자리와 방사상으로 상호 작용하는 DE 101 60 287 A1 에 따라 설명된 밸런스 정지는, 일측에서 방사상으로 뚜르비옹 상에 작용하는 더블-아암 스프링이 그러한 민감하게 장착된 뚜르비옹의 장착에 대해 심각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사실상 (probably) 플라잉 (flying) 뚜르비옹들에 거의 적절하지 않다.
또한 CN 201 402 376 U 는 플라잉 뚜르비옹을 위한 정지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 두개의 콜릿들은 밸런스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제 2 피니언의 중심 아버와 방사상으로 맞물림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간접적인 작동식 연결만이 시계 밸런스에 있어서 달성될 수 있다. 방탈 휠은 잠금이 레버를 통해 진동식으로 장착된 밸런스로 전달될 수 있는 경우에 콜릿들에 의해 정지되고 잠금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상기 정지 메카니즘은 동작될 때 밸런스의 차후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이 주목하는 과제는 기계식 시계의 뚜르비옹을 위한 개선된 밸런스 정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예를 들면 기존의 뚜르비옹 구성 내에서 가능한 간단하게 통합되거나, 가능하다면 뚜르비옹의 위치적 안정성 및 장착에 대해 아주 작은 영향만을 주어야 한다.
이러한 과제는 특허 청구항 1 항에 따른 무브먼트의 뚜르비옹과 또한 특허 청구항 15 항에 따른 상응하는 시계에 의해 해결되고, 유리한 실시형태들은 종속 특허 청구항의 주제물이다.
따라서, 무브먼트의 뚜르비옹은 무브먼트의 제 2 피니언에 연결되거나 또는 무브먼트의 제 2 피니언과 커플링될 수 있는 회전 캐리지를 갖도록 제공되고, 상기 회전 캐리지는 무브먼트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캐리지 상에 그리고 따라서 회전 캐리지 상에, 밸런스 스태프에 대해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밸런스 및 또한 방탈 휠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에 방탈 휠은 밸런스에 작동 연결된 레버 상에 위치된다. 밸런스, 레버 및 방탈 휠은 이 경우에 기계식 무브먼트의 방탈부를 형성한다.
이 경우에 뚜르비옹은 밸런스와 맞물림될 수 있고 밸런스 축선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회전 캐리지 상에 배열된 브레이크 요소를 추가로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류의 브레이크 요소에 의해, 밸런스 정지는 뚜르비옹의 밸런스 또는 회전 캐리지 상에 어떠한 방사상으로의 비대칭력들도 가하지 않도록 달성될 수 있다. 밸런스와 축방향으로 맞물림될 수 있는 브레이크 요소에 의해, 밸런스는 브레이크 요소로써 직접적으로 추가로 제동되고, 특히 정지될 수 있고, 상기 결과로서 뚜르비옹의 회전 무브먼트, 환언하면 회전 캐리지의 회전 무브먼트는 정지될 수 있다.
브레이크 요소의 축방향 이동성으로 인해, 그것은 밸런스에 확고히 연결된 부분 또는 축방향으로 정렬된 밸런스의 단부 면과 가능하게 제동 방식으로 맞물림될 수 있다. 따라서 밸런스는 직접 제동되고 정지될 수 있어서, 밸런스 정지의 동작시에 밸런스의 차후의 진동의 위험이 존재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뚜르비옹의 방사상 대칭성 및 그 회전 캐리지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브레이크 요소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게 유지될 수 있어서, 브레이크 요소는 플라잉 뚜르비옹의 경우에 밸런스의 정지를 실현하는 데 특히 적절하다.
뿐만 아니라, 밸런스 정지는 이를 위해 방사상 방향으로 교차해야만 하는 뚜르비옹의 회전 캐리지 없이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브레이크 요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브레이크 요소는 밸런스와 직접 작동식 접촉만 하고 뚜르비옹의 회전 캐리지와는 직접 작동식 접촉을 하지 않기 때문에, 본원에서 구현되는 브레이크 요소로써 매우 작은 뚜르비옹의 정지가 추가로 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경우에 뚜르비옹의 회전 캐리지는 또한 밸런스가 정지될 때 선회 (turning) 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브레이크 요소는 예를 들면 크로노그래프 디스플레이들에 대해 또는 짧은 시간 간격 측정들을 담당하기 위한 뚜르비옹의 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개발에 따르면, 브레이크 요소는 밸런스를 정지하도록 마찰 방식으로 밸런스와 맞물림될 수 있다. 브레이크 요소에 의해 밸런스 상에 가해지는 마찰력은 브레이크 요소의 동작 중에 갑작스럽거나 또는 일정하게 증가할 수 있어서 밸런스의 댐핑된 정지는 이러한 결과로 달성될 수 있다.
브레이크 요소와 밸런스 사이의 마찰 작동식 연결에 의해, 밸런스는 그 현재 조건에 관계없이 임의의 위치 또는 구성에서 정지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브레이크 요소는 방사상 내향으로 돌출하는 제 1 부분 상에서 축방향으로 정렬된 제 2 마찰 표면을 갖고, 상기 제 2 마찰 표면은 밸런스의 상응하는, 축방향으로 정렬된 제 1 마찰 표면과 맞물림될 수 있다. 브레이크 요소는 밸런스 샤프트의 방향에서 특히 방사상 내향으로 연장된다. 그것은 예를 들면 축방향으로 밸런스를 향해 지향된 무브먼트 또는 변형을 통해 제동 또는 지연 방식으로 밸런스와 맞물림할 수 있는 밸런스 샤프트 또는 그 가상의 연장부까지 사실상 연장된다.
밸런스의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정렬된 제 1 및 제 2 마찰 표면들 및 브레이크 요소의 제 1 부분은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환언하면 밸런스 샤프트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표면 법선 벡터를 특징으로 한다. 브레이크 요소의 무브먼트 또는 하우징에 따라, 또한 축방향으로부터 약간 벗어난 정렬은 브레이크 요소의 제 1 부분 상에 제공된 제 2 마찰 표면에 대해, 즉 브레이크 요소가 예를 들면 밸런스를 향해 적어도 단면에서 피봇하거나 또는 브레이크 요소가 축방향으로 다른 곳에서 변형되어야만 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특히 브레이크 요소는 디스크 또는 더블 롤러와 축방향으로 맞물림될 수 있다. 특히 브레이크 요소는 밸런스 또는 밸런스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디스크 또는 더블 롤러 단부 면과 맞물림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브레이크 요소와 맞물림하는 밸런스의 제 1 마찰 표면은 브레이크 요소를 마주보는 롤러 또는 더블 디스크의 단부 면 상에 위치된다.
밸런스의 제 1 및 제 2 마찰 표면들 및 서로에 대해 상응하는 브레이크 요소는 마찰-증가 표면 상태 (surface quality), 즉 사전 규정된 거칠기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인가될 브레이크 요소의 브레이크력에 따라, 두개의 마찰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표면 처리 (surface finish) 가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런스 샤프트에 대해 방사상으로 정렬된 브레이크 요소의 제 1 부분은 밸런스 샤프트의 적어도 부분적인 포위 (sectional enclosure) 를 위한 포크-형상의 또는 원형 세그먼트-형상의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안적으로 베어링 위치 내로 도입되는 밸런스 및 브레이크 요소의 제 1 및 제 2 마찰 표면들은 특히 제동 또는 정지 기능을 최대화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브레이크 요소의 포크-형상의, 방사상 내향으로 돌출하는 자유 단부의 기하학적 형태의 실시형태는 예를 들면, 뚜르비옹의 회전 캐리지 상에서, 특히 밸런스가 회전 캐리지 상에 이미 장착되어 있을 때 브레이크 요소의 차후의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로, 브레이크 요소의 방사상 내향으로 돌출하는, 포크-형상의 또는 원형-세그먼트-형의 단부는 밸런스의 제 1 마찰 표면의 상응하는 외부 윤곽에 맞춰질 수 있어서, 가능한 가장 큰 표면 비율의 밸런스 측 상의 제 1 마찰 표면이 브레이크 요소와 마찰 맞물림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브레이크 요소가 방탈 휠에 방사상으로 그리고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회전 캐리지의 측 상에 배열될 수 있도록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회전 캐리지의 중력의 중심은 추가로 중심 집중될 수 있다.
브레이크 요소의 포크-형상의 실시형태에 대안적으로, 브레이크 요소의 링과 유사한 실시형태가 가능하고, 이때 브레이크 요소는 밸런스 샤프트를 완전히 둘러싸고 밸런스 샤프트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또한 완전히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브레이크 요소의 링과 유사한 실시형태에 의해, 밸런스 및 따라서 디스크 또는 더블 롤러의 방사상으로 대칭적인 제동 및 정지가 발생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브레이크 요소는 제 1 부분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제 2 부분을 갖는다. 이러한 제 2 부분을 사용하여, 브레이크 요소는 뚜르비옹의 회전 캐리지에 확고히 연결된다. 결국, 회전 캐리지에 있어서 브레이크 요소는 또한 회전 캐리지의 회전 축선과 전형적으로 일치하는 밸런스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전형적으로, 앞에서 언급된 브레이크 요소의 제 1 및 제 2 부분들은 브레이크 요소의 자유 단부 부분들이다. 브레이크 요소가 제 2 단부를 형성하는 그 제 2 부분에 의해 회전 캐리지에 확고히 연결되므로, 대향하여 놓이는 단부 부분은 예를 들면, 회전 캐리지에 대해 따라서 또한 밸런스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회전 캐리지에 대한 확고한 연결은 예를 들면 나사 연결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달성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레이크 요소에 대한 재료의 적절한 선택 및 그 가요성으로 인해, 제 1 부분은 적어도 축방향으로 회전 캐리지와 관련하여 이동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브레이크 요소는 복원력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특히 브레이크 요소가 유연하게 변형 가능한 방식으로 구성되도록 구현된다. 브레이크 요소가 축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는 복원력은 이 경우에 브레이크 요소의 탄성 특성에 의해 인가된다.
이러한 결과로 브레이크 요소는 일단부, 즉 회전 캐리지 상에 그 제 2 부분에 있어서만 배열되고 그곳에서 회전 캐리지에 확고히 연결된 유연하게 변형 가능한 리프 (leaf) 또는 대략 리프 스프링과 유사한 유연하게 변형 가능한 스프링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대향하는 단부 부분, 따라서 브레이크 요소의 제 2 마찰 표면이 제공된 제 1 부분은 밸런스와 특히 축방향으로 제동 맞물림하도록 축방향으로 휘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뚜르비옹의 회전 캐리지는 전형적으로 휠과 유사한 또는 원형 기하학적 형상을 갖고, 외부 가장자리 또는 링과 유사한 에지는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스포크들을 통해 허브에 연결된다. 허브는 이 경우에 회전적으로 고정되는 방식으로 제 2 피니언에 연결되고 또한 그 회전 축선과 관련하여 밸런스 샤프트 또는 그 연장부와 일치할 수 있다.
회전 캐리지의 스포크에의 브레이크 요소의 체결에 의해, 허브 또는 밸런스의 디스크 또는 더블 롤러에의 브레이크 요소의 방사상으로 이격된 체결이 발생될 수 있어서, 방사상 내향으로 그리고 따라서 허브의 영역 내로 돌출하는 제 2 마찰 표면이 제공된 브레이크 요소의 제 1 부분은 회전 캐리지와 관련하여 축방향으로 유연하게 변형 가능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브레이크 요소는 회전 캐리지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동작 요소에 의해 해제 위치로부터 제동 또는 잠금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동작 요소는 브레이크 요소의 제 1 부분이 회전 캐리지로부터 제거되고 밸런스를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밸런스와, 특히 그 디스크 또는 더블 롤러와 맞물림되는 방식으로 축방향으로 브레이크 요소에 대항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에 동작 요소는 방사상 방향으로 볼 때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또는 다르게 브레이크 요소의 대향하는 단부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브레이크 요소의 유연한 변형은 제 2 마찰 표면이 제공된 브레이크 요소의 제 1 부분이 밸런스와 직접 맞물림될 수 있는 동작 요소의 축방향 변위에 의해 초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브레이크 요소의 탄성 변형성은 동작이 약해질 때에 또는 비동작 중에 브레이크 요소의 복원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동작 요소가 최초 위치로 복귀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의미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또한 동작 요소는 회전 캐리지에 연결된 안내부에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유지된다. 안내부는 이 경우에 회전 캐리지의 허브의 영역에 배열되거나 또는 상기 허브에 직접 통합될 수 있다. 안내부 및 또한 축방향으로 그에 안내되는 동작 요소 및 또한 브레이크 요소는 결국 뚜르비옹의 회전 캐리지 상에 배열되고 무브먼트의 작동 중에 회전 캐리지와 회전한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동작 요소는 안내부와 관련하여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링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링은 이 경우에 밸런스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영역에서 안내부를 둘러싼다. 밸런스의 방향으로 안내부와 관련한 링의 변위를 통해, 링 상에 축방향으로 지지된 동작 요소는 마찬가지로 밸런스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브레이크 요소는 또한 밸런스를 향해 지향된 변위 또는 변형을 받는다.
마지막으로, 동작 요소는 밸런스를 향해 지향된 링의 리프팅에 의해 상승될 수 있고 이로써 브레이크 요소는 밸런스에 대항하여, 특히 그 디스크 또는 더블 롤러에 대항하여 상향으로 밀려질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상기 또는 하기에 사용된 것과 같은 명칭들은 예시적인 목적들을 위한 단순한 의미를 나타낸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본원을 위해 제공된 실시형태에서, 밸런스는 예를 들면 브레이크 요소 상에 그리고 따라서 또한 동작 요소 및 안내부 상에 위치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들 또는 대안적인 실시형태들은 반대의 구성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밸런스의 방향에서의 변위 또는 무브먼트는 상향의 변위 또는 무브먼트와 동일하고 그 반대도 동일하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술된 링은 본 경우에서 상향으로 밸런스의 방향으로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력은 링과 안내부 또는 다르게는 회전 캐리지의 허브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된 예를 들면 확장 또는 플레이트 스프링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링은 밸런스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최초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밸런스 정지가 동작할 때에, 다른 한편으로, 상기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링의 축방향 변위가 예상되고, 그 결과로서 브레이크 요소는 최종적으로 축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다.
개발에 따르면, 링은, 안내부의 주변 전체에 걸쳐 또는 상응하는 안내부 수용 수단에서 허브의 주변 전체에 걸쳐, 예를 들면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는 복수의 동작 요소들에 특히 작동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략 방사상으로 대칭적인 링의 리프팅이 달성될 수 있어서, 안내부와 관련한 또는 허브와 관련한 축방향 무브먼트 진행 중에, 링은 당연히 그리고 가능한 매끄럽게 안내되고 경사져 틸팅되지 않는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링은 밸런스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그 외부 주변 상에서, 따라서 그 하부 방사상 외면 에지 상에, 예를 들면 시작 경사부를 갖고, 상기 시작 경사부는 링과의 베어링 위치 내로 도입될 수 있는 방사상으로 이동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시작 경사부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액츄에이터는, 예를 들면 방사상으로 피봇 가능한 클릭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 요소의 방사상 내향으로 지향된 무브먼트의 결과로서, 링은 이러한 방식으로 밸런스의 방향에서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상승될 수 있다. 유리하게 이 경우에, 링 상에서 대략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고 베어링 위치 내로 도입될 수 있는 적어도 두개의 액츄에이터들이 제공되어, 링은 가능한 균일하고 틸팅이 없는 방식으로 정지 (rest) 위치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레버 메카니즘을 통해 푸시 피스 또는 세팅 레버와 추가로 커플링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액츄에이터는 푸시 피스에 의해 또는 무브먼트의 권취 크라운을 통해 방사상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클릭과 같은 유형으로 구성된 동작 요소의 시작 경사부들은 수직 크로노그래프 커플링과 유사하게 링을 리프팅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액츄에이터들 요소들은 추가로 스프링 인장 하일 수 있고 마찬가지로 하나 또는 복수의 스프링 요소들과 커플링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뚜르비옹은 특히 플라잉 뚜르비옹으로서 구성된다. 이 경우에 축방향에서 작용하는 브레이크 요소는 특히 아주 작은 구성 비용으로 기존의 플라잉 뚜르비옹 구성들과 통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메카니즘은 다이얼 측으로부터 거의 볼 수 없다. 특히, 여기서 설명된 브레이크 시스템은 시계가 가동하는 동안 뚜르비옹 및 그 회전 캐리지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최종적으로, 추가의 독립적인 양상에 따르면, 손목 와치, 포켓 와치 또는 벽 시계와 같은 기계식 시계가 앞서 설명된 뚜르비옹에 있어서 무브먼트를 나타내도록 제공된다.
추가의 목적들, 특징들 및 또한 유리한 가능성 있는 적용예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다음의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뚜르비옹의 부분적인 단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 는 서로와 맞물림될 수 있는 뚜르비옹 허브 및 두개의 액츄에이터들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 은 브레이크 요소가 비작동되는 뚜르비옹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 는 브레이크 요소가 작동되고 밸런스가 정지되는 뚜르비옹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경우에서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기계식 무브먼트의 뚜르비옹(10)은 도 1, 도 3 및 도 4 에서 도시된다. 뚜르비옹(10)은 다양한 방사상으로 정렬된 스포크들(61)을 갖는 하부 캐리지(60)를 나타내는 회전 캐리지(6)를 갖고, 하부 캐리지(60)의 외부 링 상에 하부 캐리지(60)의 주변 전체에 걸쳐 분포된 세개의 필라들(62)이 제공되고, 상기 필라들에서는 상부 캐리지(64)가 고정된다. 캐리지들(60, 64)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피니언(46)과 비회전 방식으로 커플링된 플랜지-형상의 허브(40)에 비회전 방식으로 추가로 연결된다.
허브(40), 및 따라서 전체 회전 캐리지(6)는 하부 블록(50)으로 또한 칭해질 수 있는 고정된 휠(50)과 관련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휠(50)은 그 상부 단부 부분 상에 제 1 외면 치형부(54)를 구비한 플랜지-형의 기어 휠 부분(52)을 갖는다. 방탈 휠(16)에 연결되는 기어 휠(15)은 상기 제 1 외면 치형부(54)와 치합한다. 기어 휠(15) 및 방탈 휠(16) 은 이러한 경우에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되고 모두 제 1 베어링(17)을 통해 회전 캐리지(6)상에 장착된다. 방탈 휠(16)의 회전은 하부 고정된 휠(50)과 관련하여 이러한 결과로 전체 회전 캐리지(6)의 상응하는 회전을 발생시킨다.
또한 방탈부(11)의 밸런스 스프링(14)을 갖는 밸런스(12)가 도 1,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다. 이 경우에 밸런스(12)는 밸런스 샤프트(28)를 규정하는 밸런스 베어링(18)을 통해 회전 캐리지(6)상에 장착된다. 이 경우에 밸런스 베어링(18)은 캐리지 측 상에 상응하는 마찰 주얼들(20)과 상호 작용하는 베어링 부싱들(22)을 특징으로 한다. 방탈부(11)의 레버는 본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로 방탈부(11)는 도 1 내지 도 4 에 부분적으로만 도시된다.
밸런스 베어링(18)상에는, 단부 면 상에서 하향으로 돌출하는 제 1 마찰 표면(26)을 갖는 더블 롤러(24)가 밸런스 휠 아래에 제공된다. 하부 베어링 부싱(22) 및 상응하는 마찰 주얼(20)상의 그 축방향 지지부에 의해, 축방향 갭이 제 1 마찰 표면(26)과 허브(40)사이에 형성된다. 축방향으로 실행되는 브레이크 요소(30)는 상기 갭 내로 돌출하고, 상기 요소는 도 1 및 도 3 에 따른 도면에서 하부 캐리지(60)의 상부 측 상에서 평평하게 놓인다.
따라서 브레이크 요소(30)는 회전 캐리지(6) 아래에 배열되고 회전 캐리지(6)와 고정된 휠(50) 사이에 축방향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제동 메카니즘은 다이얼 측으로부터 봤을 때 거의 볼 수 없다. 이는 메인 플레이트의 또 다른 요소로써 부분적으로 은폐하지 않고, 브릿지를 갖지 않고 따라서 전체 회전 캐리지의 완전한 시야를 제공하는 플라잉 (flying) 뚜르비옹에 대해 심미학적 이유로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종류의 배열체에 대해, 한편으로 브레이크 메카니즘의 통합은 플라잉 뚜르비옹의 기존의 실시형태를 갖는 구조적 인터페이스가 작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간단하다. 다른 한편으로, 종래의 뚜르비옹과 비교되는 바와 같이 플라잉 뚜르비옹의 심미학적 이점들은 여전히 보장된다.
이 경우에 브레이크 요소(3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부터 더블 롤러(24)의 제 1 마찰 표면(26)에 대항하여 밀 수 있는 밸런스(12)를 향해 상향으로 지향된 축방향 제 2 마찰 표면(32)이 제공되는 제 1 부분(30a)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동 및 잠금 기능은 브레이크 요소(30)에 의해 더블 롤러(24)상에 그리고 따라서 그에 강성으로 연결된 밸런스(12) 상에 직접 가해질 수 있다.
본 경우에 브레이크 요소(30)는 브레이크 스프링의 종류로서 구성된다. 또한 그것은 브레이크 요소(30)가 하부 캐리지(60)에 연결되는 제 1 부분(30a)에 대향하는 제 2 부분(30b)을 갖는다. 도 1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요소(30)의 제 2 부분(30b)은 하부 캐리지(60)의 스포크(6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허브(40)에서 원통형 리세스 또는 상응하는 안내 구멍, 즉 안내부는 제 1 부분(30a)과 제 2 부분(30b) 사이에 방사상으로 위치된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세스에서, 동작 요소(34)는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 동작 요소(34)의 하부 단부 부분은 동작 요소 헤드(36)와 관련하여 방사상으로 테이퍼지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허브(40)를 둘러싸는 링(42) 상의 방사상 단차를 통해 지지된다.
스프링 요소(48)는 플랜지와 유사한 방식으로 확대되는 허브(40)의 하부 부분과 링(42)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스프링 요소는 예를 들면 확장 스프링으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링(42)은 스프링 요소(48)의 동작에 대항하여 밸런스(12)에 대해 상향으로 그리고 따라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링(42)의 상기 축방향 변위 무브먼트는 본 경우에 조정 볼트로서 구성되는 동작 요소(34)의 상응하는 축방향 변위를 발생시킨다.
축방향 변위의 결과로서, 동작 요소(34)의 상부 헤드(36)는 브레이크 요소(30)의 방사상 내향으로 돌출하는 자유 단부를 리프팅시키고 따라서 자유 단부에 상응하는 더블 롤러(24)의 제 1 마찰 표면(26)에 대항하여 그 제 2 마찰 표면(32)을 미는 방식으로 브레이크 요소(30)의 하부측 상에 맞닿게 된다. 제 2 마찰 표면(32)과 제 1 마찰 표면(26) 사이의 상호간의 마찰로 인해, 브레이크 요소(30)는 밸런스(12) 상에서 제동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42)은 허브(40) 상에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복수의 볼트들(34, 38)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제 2 볼트(38)는 실질적으로 브레이크 디바이스의 작동과 관련한 기능을 갖지 않는다. 그러나, 제 2 볼트(38)를 통해, 허브(40)에 대한 링(42)의 특히 매끄러운, 틸팅없는 축방향 변위가 달성될 수 있다.
제동 또는 잠금 기능을 동작시키도록,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도 4 에서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링(42) 상에 가해져야만 한다. 이러한 종류의 동작 디바이스는 도 2 에 따른 사시도에서 예로써 도시된다. 이 경우에, 제 2 치형부(71)를 통해 서로 직접 커플링된, 서로 대칭적으로 배열된 두개의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들(70, 70a)이 제공되고, 상기 액츄에이터들은 예를 들면 무브먼트의 메인-플레이트에 대해 각각의 경우에 피봇 가능하게 제 2 베어링(76)에 의해 그리고 제 3 베어링(76a)에 의해 고정된다.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들(70, 70a)의 자유 단부들은 클릭(72)으로서 구성되고, 각각에는 링(42)의 하부 외부 에지 상에 제공된 제 1 시작 경사부(44)에 상응하도록 구성된 제 2 시작 경사부(74)가 제공된다. 링(42)과 관련하여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70, 70a)의 방사상 내향으로 지향된 틸팅에 의해, 링(42)은 서로 상응하는 링(42)의 제 1 및 제 2 시작 경사부들(44, 74)의 상호 작용을 통해 스프링 요소(48)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리프팅될 수 있다.
따라서, 동작 요소(34)는 또한 상응하는 축방향 무브먼트를 받고, 이는 궁극적으로 브레이크 요소(30)의 방사상 내향으로 지향된 자유 단부 부분들(30a)을 리프팅시키는 제동을 발생시킨다.
또한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들(70, 70a), 특히 링(42)과 직접 맞닿게 되는 그 클릭(72)은 두개의 스프링 아암들(84, 84a), 즉 제 1 스프링 아암(84) 및 제 2 스프링 아암(84a)을 나타내는 추가의 스프링 요소(80)와 함께 작용할 수 있고 각각의 제 1 스프링 아암(84) 및 제 2 스프링 아암(84a)은 클릭들(72)을 방사상 내향으로 미는 것이 목적이다. 여기서 도시된 더블-아암 스프링들(80)은 이 경우에 무브먼트의 메인-플레이트에 대해 마찬가지로 제 4 베어링(82)의 영역에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된 밸런스 정지의 동작은 클릭 아암의 동작 단부(78) 상에 힘 또는 토크의 효과들을 통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권취 크라운을 조임으로써 또는 푸쉬 피스 (push-piece) 를 동작시킴으로써, 그렇지 않다면 동작 단부(78)상에 영구적으로 가하는 힘은 제 1 및 제 2 동작 요소(70 및 70a)가 더블-아암 스프링(80)의 영향 하에서 링(42)을 리프팅시키고 따라서 밸런스(12) 상에서 축방향으로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는 방식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특허 청구항들에서 규정된 본 발명의 실제적인 실시에 대한 가능성만을 입증한다는 것을 아래에서 추가로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지만, 다음의 특허 청구항 및 그 조합에 의해 입증된 방식으로 복수의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6 회전 캐리지
10 뚜르비옹
11 방탈
12 밸런스
14 밸런스 스프링
15 기어 휠
16 방탈 휠
17 제 1 베어링
18 밸런스 베어링
20 마찰 주얼
22 베어링 부싱
24 더블 롤러
26 제 1 마찰 표면
28 밸런스 샤프트
30 브레이크 요소
30a 제 1 부분
30b 제 2 부분
32 제 2 마찰 표면
34 동작 요소
36 헤드
38 볼트
40 허브
42 링
44 제 1 시작 경사부
46 제 2 피니언
48 스프링 요소
50 고정된 휠
52 기어 휠 부분
54 제 1 치형부
60 하부 캐리지
61 스포크
62 필라
64 상부 캐리지
70 제 1 액츄에이터
70a 제 2 액츄에이터
71 제 2 치형부
72 클릭
74 제 2 시작 경사부
76 제 2 베어링
76a 제 3 베어링
78 동작 단부
80 스프링
82 제 4 베어링
84 제 1 스프링 아암
84a 제 2 스프링 아암

Claims (15)

  1. 무브먼트의 뚜르비옹 (Tourbillon) 으로서:
    - 제 2 피니언(46)에 연결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캐리지(6),
    - 밸런스 샤프트(28)에 대해 상기 회전 캐리지(6) 상에 장착된 밸런스(12) 및 상기 회전 캐리지(6) 상에 장착되고 레버를 통해 상기 밸런스(12)에 작동 연결된 방탈 휠(16),
    - 상기 밸런스(12)와 맞물림될 수 있고 상기 밸런스 샤프트(28)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기 회전 캐리지(6) 상에 배열된 브레이크 요소(30)를 갖는, 무브먼트의 뚜르비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요소(30)는 상기 밸런스(12)를 정지시키도록 마찰 방식으로 상기 밸런스(12)와 맞물림될 수 있는, 무브먼트의 뚜르비옹.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요소(30)는 방사상 내향으로 돌출하는 제 1 부분(30a) 상에서 축방향으로 정렬된 제 2 마찰 표면(32)을 갖고, 상기 제 2 마찰 표면(32)은 축방향으로 정렬된 제 1 마찰 표면(26)과 맞물림될 수 있는, 무브먼트의 뚜르비옹.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요소(30)는 상기 밸런스(12)의 디스크 또는 더블 롤러(24)와 축방향으로 맞물림될 수 있는, 무브먼트의 뚜르비옹.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샤프트(28)에 대해 방사상으로 정렬된 상기 브레이크 요소(30) 의 상기 제 1 부분(30a)은 상기 밸런스 샤프트(28)의 적어도 부분적인 포위 (sectional enclosure) 를 위해 포크-형상의 구성을 갖는, 무브먼트의 뚜르비옹.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요소(30)는 방사상으로 상기 제 1 부분(30a)으로부터 이격된 제 2 부분(30b)에 의해 상기 회전 캐리지(6)에 확고히 연결되는, 무브먼트의 뚜르비옹.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요소(30)는 복원력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는, 무브먼트의 뚜르비옹.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요소(30)는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회전 캐리지(6)의 스포크(61)에 체결되는, 무브먼트의 뚜르비옹.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요소(30)는 상기 회전 캐리지(6)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동작 요소(34)에 의해 해제 위치로부터 제동 또는 잠금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무브먼트의 뚜르비옹.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요소(34)는 상기 회전 캐리지(6)에 연결된 안내부에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유지되는, 무브먼트의 뚜르비옹.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요소(34)는 상기 안내부와 관련하여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링(42)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무브먼트의 뚜르비옹.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링(42)은 상기 밸런스(12)의 방향에서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무브먼트의 뚜르비옹.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링(42)은 상기 링(42)과의 베어링 위치로 도입될 수 있는 방사상으로 이동 가능한 제 1 액츄에이터(70)의 시작 경사부(74)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제 1 시작 경사부(44)를 상기 밸런스(12)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그 외부 둘레 상에 갖는, 무브먼트의 뚜르비옹.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잉 뚜르비옹으로서 구성되는, 무브먼트의 뚜르비옹.
  15. 제 14 항에 따른 뚜르비옹(10)을 갖는 시계.
KR1020140045912A 2013-04-18 2014-04-17 뚜르비옹 KR101558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64243.1A EP2793087B1 (de) 2013-04-18 2013-04-18 Tourbillon
EP13164243.1 2013-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315A KR20140125315A (ko) 2014-10-28
KR101558086B1 true KR101558086B1 (ko) 2015-10-06

Family

ID=4814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912A KR101558086B1 (ko) 2013-04-18 2014-04-17 뚜르비옹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39639B2 (ko)
EP (1) EP2793087B1 (ko)
JP (1) JP5722487B2 (ko)
KR (1) KR101558086B1 (ko)
CN (1) CN104111600B (ko)
HK (1) HK1199504A1 (ko)
RU (1) RU2559347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8887B2 (en) * 2015-03-09 2017-02-14 Seiko Instruments Inc. Operation stabilizing mechanism, movement, and mechanical timepiece
EP3136186B1 (de) * 2015-08-31 2018-11-28 Glashütter Uhrenbetrieb GmbH Mechanisches uhrwerk mit einem einstellbaren tourbillon
EP3136187B1 (de) * 2015-08-31 2018-02-28 Glashütter Uhrenbetrieb GmbH Mechanisches uhrwerk mit einem tourbillon
CN105527818B (zh) * 2016-01-29 2018-02-16 深圳市天洲计时科技有限公司 一种飞行陀飞轮机芯中秒齿轴和旋转体部分的连接结构
CH712973B1 (de) * 2016-09-23 2023-12-29 Bucherer Ag Tourbillon und Uhr mit Tourbillon.
EP3396470B1 (fr) * 2017-04-24 2020-01-01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Dispositif de freinage mecanique pour mobile horloger
EP3588200B1 (en) * 2018-06-29 2021-10-06 Glashütter Uhrenbetrieb GmbH Tourbillion with zero reset mechanism
EP3599515B1 (fr) * 2018-07-24 2022-07-06 Harry Winston SA Mecanisme d'entrainement d'horlogerie
EP3599517B1 (fr) * 2018-07-24 2021-03-10 Harry Winston SA Tourbillon ou carrousel rétrogradé d'horlogerie
EP3599516B1 (fr) * 2018-07-24 2024-04-03 Harry Winston SA Tourbillon ou carrousel retrograde d'horlogerie
EP3770693B1 (fr) * 2019-07-23 2022-08-31 Omega SA Mecanisme stop-cage d'horlogerie a roue d'arret
EP3770694B1 (fr) * 2019-07-23 2021-12-08 Omega SA Stop-cage d'horlogerie comportant deux elements elastiques d'arret
EP3770695B1 (fr) * 2019-07-23 2022-01-12 Omega SA Stop-cage d'horlogerie a lame d'arrêt de cage
EP3770696B1 (fr) * 2019-07-23 2021-12-01 Omega SA Stop-cage d'horlogerie a doigt elevateur et doigt d'arret
CN112305894B (zh) * 2020-10-28 2022-04-26 深圳市格雅表业有限公司 一种机械钟表机芯中的陀飞轮
EP4006649A1 (fr) * 2020-11-27 2022-06-01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Dispositif de fixation de réglage d'ébat de balancier
CN117280285A (zh) * 2021-05-04 2023-12-22 Eta瑞士钟表制造股份有限公司 用于维持或限制钟表部件的间隙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0190A (ja) 2004-07-13 2006-02-02 Montres Breguet Sa トゥールビヨンを具備した時計において時間設定している間ムーブメントを停止する装置
JP2007178431A (ja) 2005-12-28 2007-07-12 Eta Sa Manufacture Horlogere Suisse 回転部品又は輪列の振動を調整する装置を有する機械式時計
JP2010223958A (ja) 2009-03-23 2010-10-07 Montres Breguet Sa 衝撃保護措置を有するツールビオン付き時計のムーブメント
WO2012140112A1 (fr) 2011-04-14 2012-10-18 Complitime Sa Mouvement de piece d'horlogeri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326A (en) * 1886-11-09 Stop-watch
US458348A (en) * 1891-08-25 Ferdinand bourquin
US428717A (en) * 1890-05-27 Stop-clock
US689495A (en) * 1900-11-03 1901-12-24 Edward H Johnson Stop-watch.
DE69839116T2 (de) * 1998-07-16 2009-02-05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Uhr mit Tourbillon
DE10160287A1 (de) 2001-12-07 2003-06-26 Lange Uhren Gmbh Tourbillon
DE50115494D1 (de) * 2001-12-15 2010-07-08 Richemont Int Sa Konstantkraftvorrichtung
CH701725B1 (fr) * 2006-09-25 2011-03-15 Franck Mueller Watchland S A Tourbillon pour pièce d'horlogerie.
CH702707B1 (fr) * 2007-04-05 2011-08-31 Complitime Sa Mouvement de pièce d'horlogerie à tourbillon.
CN201402376Y (zh) 2009-04-10 2010-02-10 天津海鸥表业集团有限公司 陀飞轮的止动机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0190A (ja) 2004-07-13 2006-02-02 Montres Breguet Sa トゥールビヨンを具備した時計において時間設定している間ムーブメントを停止する装置
JP2007178431A (ja) 2005-12-28 2007-07-12 Eta Sa Manufacture Horlogere Suisse 回転部品又は輪列の振動を調整する装置を有する機械式時計
JP2010223958A (ja) 2009-03-23 2010-10-07 Montres Breguet Sa 衝撃保護措置を有するツールビオン付き時計のムーブメント
WO2012140112A1 (fr) 2011-04-14 2012-10-18 Complitime Sa Mouvement de piece d'horloger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11600A (zh) 2014-10-22
CN104111600B (zh) 2017-04-12
HK1199504A1 (en) 2015-07-03
JP5722487B2 (ja) 2015-05-20
US8939639B2 (en) 2015-01-27
JP2014211438A (ja) 2014-11-13
US20140313865A1 (en) 2014-10-23
EP2793087B1 (de) 2016-06-01
RU2559347C1 (ru) 2015-08-10
KR20140125315A (ko) 2014-10-28
EP2793087A1 (de)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086B1 (ko) 뚜르비옹
US9897972B2 (en) Mechanical clockwork movement with an adjustable tourbillon
JP6014729B2 (ja) 時計用制動ホイールアセンブリ
JP4443477B2 (ja) トゥールビヨンを具備した時計において時間設定している間ムーブメントを停止する装置
US10481557B2 (en) Tourbillon and watch with tourbillon
EP3612898B1 (fr) Mécanisme horloger
JP6650922B2 (ja) ヒゲゼンマイを組み立ておよび調整するための装置
CH705238B1 (fr) Balancier à réglage d'inertie pour mouvement d'horlogerie.
JP2009128361A (ja) 時計用ムーブメント
US7527424B2 (en) Anti-trip device for timepiece escapement
JP5580484B2 (ja) 周縁ガイドを有する時計のホイールセット
JP2009198502A (ja) 時計用自動巻上げ機構
EP2520985A1 (fr) Mécanisme d'indication
JP2016102788A (ja) ヒゲゼンマイ固定システム
JP7407287B2 (ja) 時計器の表示機構
US20220269220A1 (en) Device for temporarily stopping the operation of a mechanical watch
CN112987537B (zh) 报时机构、表和调速器
JP2022091716A (ja) 固定配置された時計
EP3770695B1 (fr) Stop-cage d'horlogerie a lame d'arrêt de cage
US20220413437A1 (en) Oscillator for a timepiece movement and timepiece comprising such an oscillator
JP6591883B2 (ja) 定力ばね調整機構、定力装置、および機械式時計
JP7071831B2 (ja) 巻上力伝達機構、ムーブメント、及び機械式時計
JP5399735B2 (ja) 機械式時計用の調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