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978B1 -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978B1
KR101557978B1 KR1020150012837A KR20150012837A KR101557978B1 KR 101557978 B1 KR101557978 B1 KR 101557978B1 KR 1020150012837 A KR1020150012837 A KR 1020150012837A KR 20150012837 A KR20150012837 A KR 20150012837A KR 101557978 B1 KR101557978 B1 KR 101557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line
bus
auxiliary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두환
Original Assignee
(주)선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진이엔지 filed Critical (주)선진이엔지
Priority to KR1020150012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2Cable lay-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주모선과 제2주모선 사이에 설치되고 선로용 단로기 및 차단기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보조모선; 상기 제1주모선과 상기 제2주모선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선로용 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가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보조모선; 상기 제1주모선과 상기 제2주모선 사이에 설치되상기 선로용 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가 설치되는 예비모선; 복수 개의 상기 제1보조모선 또는 복수 개의 상기 제2보조모선과 상기 차단기 사이에 설치되는 몰드모선; 상기 제1보조모선 또는 상기 제2보조모선과 상기 몰드모선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제1후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보조모선 또는 상기 제2보조모선에 설치되는 제1연결블록; 상기 제1후크부가 삽입되도록 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몰드모선에 설치되는 제2연결블록; 상기 제2연결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제1후크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착탈부; 및 상기 제2연결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몰드모선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 {JOINTER FOR BUS BAR IN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OF ELECTRIC POWER}
본 발명은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변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모선의 연결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모선의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전기는 원격으로의 송전, 또는 특정 지역에서의 소비를 위한 변전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송전전기를 전송하는 송전케이블은 변전반으로 인입된다.
송전케이블은 지중은 물론 지상의 가공으로 배치될 수 있고, 가공 송전케이블의 경우에는 지상에 위치한 변전소의 변전반으로 인입된다. 따라서, 송전케이블을 해당 변전반으로 안내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그런데, 변전반의 위치적인 특성 또는 송전케이블과 변전반 간의 탈부착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송전케이블을 직접 변전반에 연결하는 것보다 변전반으로부터 인출된 변전반라인을 매개로 연결하는 것이 유리하다.
결국, 송전케이블과 변전반라인을 작업자가 전기적/물리적으로 쉽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둘레면을 따라 일정범위로 절개 형성된 이동홈을 갖는 관 형상의 하우징과, 이동홈을 따라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구형의 연결구가 하우징 외면에 돌출된 행거와, 전면이 개구된 이동홈을 형성한 도전성 재질의 통전대와, 이동홈의 내면과 긴밀히 접하면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도전성 재질의 이동자와, 이동홈에 내설되어 이동자를 탄발 지지하는 탄발체와, 통전대를 감싸면서 절연하고, 말단 둘레면에는 회전식 걸림홈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인입전선의 통전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음단자가 삽입되면서 이동자와 접하도록 안내하는 인입홈과, 인입홈을 중심으로 나란히 절개되어서 이음단자의 둘레를 이격되게 감싸는 차단대가 삽입되는 홈이 각각 형성된 수용관과, 회전식 걸림홈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려서 수용관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는 돌기를 형성하고, 수용관의 말단 둘레를 감싸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져서, 하우징에 내설되는 다수의 소켓과, 말단에 뿔대 형상으로 배치된 탄성 재질의 걸림체를 구비하면서, 내측 빈공간에 고화물질이 수용된 튜브를 내삽한 송전케이블의 강심이 삽입되는 관 형상을 이루고, 내면에는 강심 삽입시 걸림체를 가압해 튜브를 터뜨려서 고화물질을 확산시켜, 탄성에 의해 복원된 걸림체를 걸어 고정하는 턱이 돌출 형성되어서, 하우징에 내설되는 결속관과, 연결구를 이동가능하게 감싸 고정하는 링거를 구비하면서 지상에 고정되는 지지대와, 이동홈에 끼워진 행거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이동홈에 끼워져서, 행거의 이동을 완충 지지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변전용 커넥터가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4469호(2009년 12월 30일 공고, 발명의 명칭 : 변전용 특고압 인입전선 커넥터)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는, 전선, 케이블 또는 모선을 연결한 후에 전선, 케이블 또는 모선을 분리하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전선, 케이블 또는 모선의 교체작업이 진행될 때에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없으며, 새로운 전선, 케이블 또는 모선을 연결하여 설치할 때에 새로운 커넥터가 요구되므로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송변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모선의 연결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모선의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1주모선과 제2주모선 사이에 설치되고 선로용 단로기 및 차단기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보조모선; 상기 제1주모선과 상기 제2주모선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선로용 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가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보조모선; 상기 제1주모선과 상기 제2주모선 사이에 설치되상기 선로용 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가 설치되는 예비모선; 복수 개의 상기 제1보조모선 또는 복수 개의 상기 제2보조모선과 상기 차단기 사이에 설치되는 몰드모선; 상기 제1보조모선 또는 상기 제2보조모선과 상기 몰드모선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제1후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보조모선 또는 상기 제2보조모선에 설치되는 제1연결블록; 상기 제1후크부가 삽입되도록 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몰드모선에 설치되는 제2연결블록; 상기 제2연결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제1후크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착탈부; 및 상기 제2연결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몰드모선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착탈부는, 상기 제2연결블록의 내부 공간에 제1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후크부와 걸림결합되도록 후크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힌지부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되는 작동부를 구비하는 제1걸림부재; 상기 제2연결블록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조작홈부 측으로 제1관통홀부를 통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부 측으로 연장되는 제1가압돌기가 구비되며 제1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조작홈부 측으로 가압되는 제1조작부재; 및 상기 제2연결블록의 내벽과 상기 제1걸림부재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후크부와 상기 제1걸림부재 사이의 걸림결합을 유지시키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착탈부는, 상기 제2연결블록으로부터 상기 몰드모선이 설치되는 직선형 부싱 또는 굴곡형 부싱 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경사부 및 작동홈부가 구비되는 출몰블록; 제2힌지부에 의해 상기 작동홈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직선형 부싱 또는 상기 굴곡형 부싱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경사부가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 상기 작동홈부 내벽과 상기 제2걸림부재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걸림부재와 상기 직선형 부싱 또는 상기 굴곡형 부싱 사이의 걸림결합을 유지시키는 제3탄성부재; 상기 제2연결블록으로부터 상기 조작홈부 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경사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삽입경사부를 구비하는 제2조작부재; 상기 제2연결블록 내벽과 상기 출몰블록 사이에 개재되는 제4탄성부재; 및 상기 제2조작부재의 제2제한돌기와 상기 제2연결블록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걸림부재를 상기 조작홈부 측으로 가압하는 제5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는, 제1주모선과 제2주모선을 연결하는 제1보조모선, 제2보조모선 및 예비모선이 구비되므로 복수 개의 보조모선 및 예비모선이 파손되는 경우에 다른 보조모선 또는 예비모선에 의해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므로 정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는, 주모선과 보조모선 또는 보조모선과 차단기의 몰드모선 사이에 제1착탈부 및 제2착탈부를 구비하는 연결부가 설치되므로 모선을 설치하거나 분리할 때에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연결작업 또는 분리작업을 행할 수 있어 모선의 설치작업 또는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의 주모선과 보조모선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의 보조모선과 차단기 사이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의 직선형 부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의 굴곡형 부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의 몰드모선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의 연결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의 주모선과 보조모선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의 보조모선과 차단기 사이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의 직선형 부싱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의 굴곡형 부싱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의 몰드모선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의 연결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는, 제1주모선(16)과 제2주모선(17) 사이에 설치되고 선로용 단로기(1, 2, 3) 및 차단기(4, 5, 6)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보조모선(13)과, 제1주모선(16)과 제2주모선(17) 사이에 설치되고 선로용 단로기(1, 2, 3) 및 차단기(4, 5, 6)가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보조모선(15)과, 제1주모선(16)과 제2주모선(17) 사이에 설치되는 선로용 단로기(1, 2, 3) 및 차단기(4, 5, 6)가 설치되는 예비모선(14)과, 복수 개의 제1보조모선(13) 또는 복수 개의 제2보조모선(15)과 차단기(4, 5, 6) 사이에 설치되는 몰드모선(47)과, 제1보조모선(13) 또는 제2보조모선(15)과 몰드모선(47)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부(1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가스절연 개폐장치와, 복수의 가스절연 개폐장치 사이의 전력을 송전하는 송전선을 가지는 송전선로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송전선은 제1보조모선(13)과 제2보조모선(15)과 예비모선(14)을 구비하며, 예비모선(14)과 제1보조모선(13) 및 제2보조모선(15)은 전환용 단로기(9, 10)를 거쳐 제1주모선(16) 및 제2주모선(17)과 접속한다.
제1보조모선(13) 및 제2보조모선(15)은 각각 선로용 단로기(1, 2, 3), 차단기(4, 5, 6), 모선 단로기(7, 8)를 거쳐 제1주모선(16) 및 제2주모선(17)에 접속되고, 예비모선(14)은 선로용 단로기(1, 2, 3), 차단기(4, 5, 6), 전환용 단로기(9, 10)를 거쳐 제1보조모선(13)과 제2보조모선(15)의 차단기(4, 5, 6)와 모선 단로기(7, 8) 사이의 분기모선에 접속된다.
제1보조모선(13) 또는 제2보조모선(15)에 사고가 발생되면, 사고가 발생된 모선을 차단시키고, 예비모선(14)을 제1주모선(16) 및 제2주모선(17)에 접속하여 정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1보조모선(13) 또는 제2보조모선(15) 중 통전상태에 있는 모선과 예비모선(14)을 정기적으로 전환시켜 예비모선(14)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제1보조모선(13) 또는 제2보조모선(15)과 차단기(4, 5, 6) 사이에는 삼각 모선부(34)가 설치되어 복수 개의 모선이 서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보조모선이 3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중앙에 설치되는 보조모선에 직선형 부싱(33)이 설치되고, 직선형 부싱(33) 양측에 간격을 유지하며 한 쌍의 굴곡형 부싱(32, 32')이 설치되어 3개의 보조모선이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차단기(4, 5, 6)와 연결되도록 한다.
굴곡형 부싱(32, 32')은 내부에 관통홀(36)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일측에는 인입구(37)가 일직선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타측 방향은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의 외주면은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인출구(38)가 형성되어 인입구(37)와 통공된다.
또한, 일직선상으로 이루어진 원통의 외부 둘레에는 체결공(56)이 형성된 플랜지(39)가 일체로 형성되어 외함 내부에 위치한 격판 및 차단기(4, 5, 6) 등에 피스로 체결하여 고정하고, 외주면 둘레에는 주름돌기(40)가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누설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한다.
직선형 부싱(33)은 내부에 관통홀(36)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일측에는 인입구(37)와 타측 외주면은 원뿔형상에 인출구(38)가 형성되며, 외부 둘레에는 체결공(56)이 형성된 플랜지(39)와 주름돌기(4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직선형 부싱(33)을 사이에 두고 좌, 우에 간격을 형성하고 굴곡형 부싱(32, 32')을 일렬로 배열한 삼각 모선부(34)를 제공한다.
삼각 모선부(34)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차단기반(44)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내부에 설치된 차단기(4, 5, 6)에 3개의 모선(35)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중앙에는 직선형 부싱(33)과, 직선형 부싱(33)의 양측에는 간격을 형성하고, 굴곡형 부싱(32, 32')이 일렬로 위치한 상태에서 직선형 부싱(33)의 인입구(37)와 굴곡형 부싱(32, 32')의 인입구(37)는 동일선상으로 위치한다.
또한, 직선형 부싱(33)의 인출구(38)는 인입구(37)와 동일하게 일직선상으로 위치하나, 굴곡형 부싱(32, 32')은 일방향으로 절곡된 상태이기 때문에 하부 또는 상부방향으로 인출구(38)가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굴곡형 부싱(32, 32')은 인출구(38)의 방향은 직선형 부싱(33)의 인출구(38)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하면 인출구(38)의 위치가 삼각형 모양을 형성한다.
따라서 직선형 부싱(33)의 인출구(38)는 상부에 위치하고, 굴곡형 부싱(32, 32')의 인출구(38)는 하부에 위치하여 삼각형 모양을 형성한 상태에서 근접되어도 인출구(38)의 대지간 200㎜ 이상의 절연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외함의 축소제작이 가능하다.
직선형 부싱(33)과 굴곡형 부싱(32, 32')의 인출구(38)와 인입구(37)의 지름이 서로 다르다.
또한, 인출구(38)와 인입구(37)는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36)에 의해 통공된 상태이며 인입구(37)의 내부에는 원통형상의 절연체(53)가 삽입된 상태에서 몰드모선(47)이 삽입되어 인출구(38)로 인출되어 모선(35)과 연결부(1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굴곡형 부싱(32, 32')의 전기적 접속상태는 좌, 우 양측에 굴곡형 부싱(32, 32')이 한 쌍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내부 관통홀(36)에는 인입구(37)를 통해 몰드모선(47)이 삽입되어 인출구(38)에서 모선 접속재(51)에 의해 절연 피복층(48)이 감싸진 모선(35)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의 연결부(100)는, 제1후크부(114)를 구비하고 제1보조모선(13) 또는 제2보조모선(15)에 설치되는 제1연결블록(110)과, 제1후크부(114)가 삽입되도록 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몰드모선(47)에 설치되는 제2연결블록(120)과, 제2연결블록(120)에 구비되고 제1후크부(114)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착탈부(130)와, 제2연결블록(120)에 구비되고 몰드모선(47)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착탈부(15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보조모선과 몰드모선(47)을 결할 때에 제1연결블록(110)의 안착홈부(112)에 보조모선의 피복층(13b)이 안착되도록 제1연결블록(110)에 보조모선을 삽입한다.
여기서, 보조모선은 가스절연 송전선일 수 있으며, 이때는 피복층(13b)이 아닌 가스절연 송전선의 외면에 형성되는 연결돌출부가 안착홈부(112)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직선형 부싱(33) 또는 굴곡형 부싱(32, 32')의 단부를 제2연결블록(120)에 삽입하면 제2착탈부(150)의 작동에 의해 제2연결블록(120)과 직선형 부싱(33) 또는 굴곡형 부싱(32, 32')이 원터치 방식으로 서로 결합된다.
이후에, 제1연결블록(110)과 제2연결블록(120)을 연결시키면 제1후크부(114)가 제2연결블록(120)에 삽입되면서 제1착탈부(130)의 작동에 의해 제1후크부(114)와 제1걸림부재(132)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면서 보조모선과 몰드모선(47)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1착탈부(130)는, 제2연결블록(120)의 내부 공간에 제1힌지부(132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후크부(114)와 걸림결합되도록 후크 모양으로 형성되며 제1힌지부(132a)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되는 작동부(132b)를 구비하는 제1걸림부재(132)와, 제2연결블록(12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조작홈부(122) 측으로 제1관통홀부(122a)를 통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부(132b) 측으로 연장되는 제1가압돌기(134a)가 구비되며 제1탄성부재(134c)에 의해 조작홈부(122) 측으로 가압되는 제1조작부재(134)와, 제2연결블록(120)의 내벽과 제1걸림부재(132) 사이에 개재되고 제1후크부(114)와 제1걸림부재(132) 사이의 걸림결합을 유지시키는 제2탄성부재(136)를 포함한다.
제1연결블록(110)과 제2연결블록(120)을 서로 연결시키면 제1후크부(114)가 제2연결블록(120)의 홀부로 삽입되면서 제1걸림부재(132)를 가압하므로 제2탄성부재(136)가 압축되면서 제1걸림부재(132)가 회전되고 제2탄성부재(136)의 복원력에 의해 제1후크부(114)와 제1걸림부재(132)가 걸림결합된다.
이후에, 보조모선 또는 몰드모선(47)의 교체작을 행할 때에는 작업자가 제1조작부재(134)를 제1연결블록(110) 측으로 가압하면 제1탄성부재(134c)가 압축되면서 제1가압돌기(134a)가 작동부(132b)를 밀어 제1걸림부재(132)를 회전시키므로 제1후크부(114)와 제1걸림부재(132)의 연결을 해제하여 제1연결블록(110)과 제2연결블록(120) 사이의 분리작업을 손쉽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제2착탈부(150)는, 제2연결블록(120)으로부터 몰드모선(47)이 설치되는 직선형 부싱(33) 또는 굴곡형 부싱(32, 32') 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경사부(152b) 및 작동홈부(152a)가 구비되는 출몰블록(152)과, 제2힌지부(154a)에 의해 작동홈부(152a)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직선형 부싱(33) 또는 굴곡형 부싱(32, 32')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경사부(154b)가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154)와, 작동홈부(152a) 내벽과 제2걸림부재(154) 사이에 개재되고 제2걸림부재(154)와 직선형 부싱(33) 또는 굴곡형 부싱(32, 32') 사이의 걸림결합을 유지시키는 제3탄성부재(156)와, 제2연결블록(120)으로부터 조작홈부(122) 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경사부(152b)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삽입경사부(157a)를 구비하는 제2조작부재(157)와, 제2연결블록(120) 내벽과 출몰블록(152) 사이에 개재되는 제4탄성부재(157c)와, 제2조작부재(157)의 제2제한돌기와 제2연결블록(120)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어 제2걸림부재(154)를 조작홈부(122) 측으로 가압하는 제5탄성부재(158)를 포함한다.
따라서 부싱과 제2연결블록(120)을 연결할 때에 부싱의 단부를 제2연결블록(120) 내부로 삽입하면 가압경사부(154b)에 부싱의 단부에 접촉되면서 제2걸림부재(154)를 회전시키므로 부싱의 단부가 용이하게 삽입되고, 부싱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3탄성부재(156)의 복원력에 의해 제2걸림부재(154)가 돌출되면서 부싱의 턱부와 제2걸림부재(154)가 걸림결합되면서 부싱과 제2연결블록(120)의 결합을 이루게 된다.
제2연결블록(120)으로부터 부싱을 분리할 때에는 작업자가 제2조작부재(157)를 부싱 측으로 가압하면 제5탄성부재(158)가 압축되면서 제2조작부재(157)가 출몰블록(152) 측으로 이동되므로 삽입경사부(157a)가 작동경사부(152b)를 상측으로 밀어 출몰블록(152)이 제2연결블록(120)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제2걸림부재(154)와 부싱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어 작업자는 부싱과 제2연결블록(120)의 분리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송변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모선의 연결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모선의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체결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2, 3 : 선로용 단로기 4, 5, 6 : 차단기
7, 8 : 모선 단로기 9, 10 : 전환용 단로기
13 : 제1보조모선 13a : 피복층
13b : 전도부 14 : 예비모선
15 : 제2보조모선 16 : 제1주모선
17 : 제2주모선 32, 32' : 굴곡형 부싱
33 : 직선형 부싱 34 : 삼각 모선부
37 : 인입구 38 : 인출구
39 : 플랜지 40 : 주름돌기
47 : 몰드모선 51 : 모선 접속재
53 : 절연체 56 : 체결공
100 : 연결부 110 : 제1연결블록
120 : 제2연결블록 130 : 제1착탈부
150 : 제2착탈부

Claims (3)

  1. 제1주모선과 제2주모선 사이에 설치되고 선로용 단로기 및 차단기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보조모선;
    상기 제1주모선과 상기 제2주모선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선로용 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가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보조모선;
    상기 제1주모선과 상기 제2주모선 사이에 설치되상기 선로용 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가 설치되는 예비모선;
    복수 개의 상기 제1보조모선 또는 복수 개의 상기 제2보조모선과 상기 차단기 사이에 설치되는 몰드모선;
    상기 제1보조모선 또는 상기 제2보조모선과 상기 몰드모선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제1후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보조모선 또는 상기 제2보조모선에 설치되는 제1연결블록;
    상기 제1후크부가 삽입되도록 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몰드모선에 설치되는 제2연결블록;
    상기 제2연결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제1후크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착탈부; 및
    상기 제2연결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몰드모선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탈부는,
    상기 제2연결블록의 내부 공간에 제1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후크부와 걸림결합되도록 후크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힌지부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되는 작동부를 구비하는 제1걸림부재;
    상기 제2연결블록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조작홈부 측으로 제1관통홀부를 통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부 측으로 연장되는 제1가압돌기가 구비되며 제1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조작홈부 측으로 가압되는 제1조작부재; 및
    상기 제2연결블록의 내벽과 상기 제1걸림부재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후크부와 상기 제1걸림부재 사이의 걸림결합을 유지시키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착탈부는,
    상기 제2연결블록으로부터 상기 몰드모선이 설치되는 직선형 부싱 또는 굴곡형 부싱 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경사부 및 작동홈부가 구비되는 출몰블록;
    제2힌지부에 의해 상기 작동홈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직선형 부싱 또는 상기 굴곡형 부싱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경사부가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
    상기 작동홈부 내벽과 상기 제2걸림부재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걸림부재와 상기 직선형 부싱 또는 상기 굴곡형 부싱 사이의 걸림결합을 유지시키는 제3탄성부재;
    상기 제2연결블록으로부터 상기 조작홈부 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경사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삽입경사부를 구비하는 제2조작부재;
    상기 제2연결블록 내벽과 상기 출몰블록 사이에 개재되는 제4탄성부재; 및
    상기 제2조작부재의 제2제한돌기와 상기 제2연결블록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걸림부재를 상기 조작홈부 측으로 가압하는 제5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
KR1020150012837A 2015-01-27 2015-01-27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 KR101557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837A KR101557978B1 (ko) 2015-01-27 2015-01-27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837A KR101557978B1 (ko) 2015-01-27 2015-01-27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978B1 true KR101557978B1 (ko) 2015-10-07

Family

ID=54344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837A KR101557978B1 (ko) 2015-01-27 2015-01-27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9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91475A (zh) * 2024-01-02 2024-03-12 武汉恒际自动化控制有限公司 一种开关柜端子排调节装置及调节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8150B2 (ja) 1993-05-18 1999-10-25 東京電力株式会社 母線接続装置
JP2010011963A (ja) 2008-07-02 2010-01-21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継手及びこれを備える内視鏡装置
KR101333569B1 (ko) 2012-07-12 2013-11-28 주식회사 베스텍 삼각모선부를 이용한 고ㆍ저압 배전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8150B2 (ja) 1993-05-18 1999-10-25 東京電力株式会社 母線接続装置
JP2010011963A (ja) 2008-07-02 2010-01-21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継手及びこれを備える内視鏡装置
KR101333569B1 (ko) 2012-07-12 2013-11-28 주식회사 베스텍 삼각모선부를 이용한 고ㆍ저압 배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91475A (zh) * 2024-01-02 2024-03-12 武汉恒际自动化控制有限公司 一种开关柜端子排调节装置及调节方法
CN117691475B (zh) * 2024-01-02 2024-06-07 武汉恒际自动化控制有限公司 一种开关柜端子排调节装置及调节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614598A2 (pt) aparelho, sistema e métodos para interrupção de carga visìvel de montagem atrás do quadro
CN101540247A (zh) 用于低压开关设备的适配器装置
KR101123909B1 (ko) 지중전선과 인입전선 간 배전을 위한 실외배전반
US9057742B2 (en) Functional measuring group for a medium-voltage distribution substation
CN101197227B (zh) 适配器及其低压自动空气断路器
US6565394B2 (en) Clamping mechanism for a jumper cable assembly for use with a horn bypass within an electrical meter center
KR101050539B1 (ko) 지중배전선과 배전반의 접속용 어댑터
JP2019067631A (ja) 配線ダクト、プラグ装置及び配電システム
KR101557978B1 (ko) 송변전용 모선 체결장치
CN103944099B (zh) 预制舱式gis组合电器及预制舱式变电站
AU2013201093B2 (en) Medium-voltage distribution substation
EP3731356B1 (en) Gas-insulated open/close device
KR101640016B1 (ko)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KR101497340B1 (ko)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KR100882790B1 (ko)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집게형 접속장치
KR101905441B1 (ko) 지상변압기 교체용 엘보인서트 및 그 엘보인서트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AU2013201094B2 (en) Connector for connections by flat interface and medium-voltage substation comprising same
CN202434941U (zh) 一种高压大电流干燥压缩空气绝缘金属封闭开关设备
KR100857253B1 (ko) 지중용 고체절연 개폐기 및 차단기용 분리형 상연결접속장치
KR100928933B1 (ko) 고체 절연 부하개폐기 및 고체 절연 부하개폐기용전압변성기 접속장치
KR101485148B1 (ko) 특고압 변전설비의 인입선 커넥터
CN213602370U (zh) 一种节能母线槽
JP2023018191A (ja) 仮送電ケーブル接続装置
KR102507995B1 (ko)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AU2013201083A1 (en) Gas outlet device for a medium-voltage functional unit and distribution substation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