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699B1 - 스프레이 용기 - Google Patents

스프레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699B1
KR101557699B1 KR1020140066913A KR20140066913A KR101557699B1 KR 101557699 B1 KR101557699 B1 KR 101557699B1 KR 1020140066913 A KR1020140066913 A KR 1020140066913A KR 20140066913 A KR20140066913 A KR 20140066913A KR 101557699 B1 KR101557699 B1 KR 101557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fluid
stem
lower member
inflow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혁
윤우찬
구자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웅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웅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웅제약
Priority to KR1020140066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6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 B05B11/062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
    • B05B11/065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 the particulate material being separated from a main storage in discrete quantities delivered one at a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속 분사 방식의 스프레이 용기에 관한 것으로, 뿌릴 때 내용물이 한번만 그리고 일정량만 나오는 단속 분사 방식의 스프레이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연속 분사 방식과 단속 분사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분사 방식 선택형 스프레이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프레이 용기{Spray container}
본 발명은 단속 분사 방식의 스프레이 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속 분사 방식 및 연속 분사 방식 겸용 스프레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시중에 판매되는 선블록 및 미스트 등의 스프레이 용기는 연속 분사의 기능만을 갖추고 있는데, 이러한 연속 분사 방식의 경우 내용물(내부에 충전된 유체)이 연속적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뿌릴 때 숨을 참기가 곤란하고, 또한 필요 이상으로 다량 분사되면서 낭비가 심할 수 있다.
따라서, 뿌릴 때 내용물이 한번만 그리고 일정량만 나와서 숨을 참는 시간 및 내용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단속 분사형 펌프를 구비하는 단속 분사 방식의 스프레이 용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소비자 선호도 조사 결과에서도, 단속 분사형 스프레이 용기에 대한 필요성이 조사되었다.
또한, 단속 분사형 스프레이 용기만을 따로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연속 분사형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두 가지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분사 방식 선택형(연속 분사 및 단속 분사 겸용) 스프레이 용기를 개발함으로써, 소비자의 수요를 다양하게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속 분사 방식의 스프레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연속 분사 방식과 단속 분사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분사 방식 선택형 스프레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속 분사 방식의 스프레이 용기로서; 유체가 충전되기 위한 제1공간부를 갖는 케이스; 제1공간부와 연통하는 유입 유로, 및 상기 유입 유로의 상부에 위치하고 유입 유로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유입 유로를 통해 이동된 유체가 저장되기 위한 제2공간부를 각각 갖는 스템 하우징; 스템 하우징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유입 유로와 제2공간부에 위치하는 하부 부재 및 제2공간부와 연통 가능한 유체 유입 홀을 갖는 상부 부재를 구비하는 스템; 상부 부재와 연결되어 상부 부재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 조립체를 구비하는 캡; 및 캡과 스템 하우징 사이에 마련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캡과 스템 하우징의 간격에 기초하여, 하부 부재가 유입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스프레이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스템은 최대 외경을 갖는 중앙 부재를 기준으로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로 구분되고, 하부 부재는 유입 유로의 직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1하부 부재 및 상기 제1하부 부재의 상부에 연장되고 유입 유로의 직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제2하부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캡을 누르기 전에는, 제1하부 부재와 제2하부 부재의 경계가 제2공간부에 위치하고, 케이스 내부의 유체는 제1하부 부재와 유입 유로 사이의 간극을 통해 유입되어 제2공간부까지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캡을 누르면, 스템이 하부로 이동하고, 제2하부 부재가 유입 유로를 밀폐함으로써, 유체의 추가 유입이 방지되면서, 제2공간부에 충전된 유체만 용기 외부로 단속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성부재는 상부 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캡을 눌렀을 때에는 압축되고, 캡의 누른 상태를 해제할 경우 캡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부 부재는 유체 유입 홀과 연통하는 제3공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체 유입 홀은 캡을 누르기 전에는 스템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여 유체의 분사를 방지하고, 캡을 누르면 제2공간부에 위치하여 제2공간부에 유입된 유체가 유체 유입 홀 및 제3공간부를 통해 용기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용기는 캡과 스템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 부재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 분사 방식 및 단속 분사 방식 겸용 스프레이 용기로서; 유체가 충전되기 위한 제1공간부를 갖는 케이스;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주면에 깊이가 서로 다른 제1가이드 홈과 제2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숄더; 제1공간부와 연통하는 유입 유로, 및 상기 유입 유로의 상부에 위치하고 유입 유로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유입 유로를 통해 이동된 유체가 저장되기 위한 제2공간부를 각각 갖는 스템 하우징; 스템 하우징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유입 유로와 제2공간부에 위치하는 하부 부재 및 제2공간부와 연통 가능한 유체 유입 홀을 갖는 상부 부재를 구비하는 스템; 상부 부재와 연결되어 상부 부재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 조립체를 구비하고,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숄더의 두 가이드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한 분사 조절 레버를 구비하는 캡; 및 캡과 스템 하우징 사이에 마련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캡과 스템 하우징의 간격에 기초하여, 하부 부재가 유입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스프레이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겸용 스프레이 용기에서, 제1가이드 홈의 깊이는 제2가이드 홈보다 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겸용 스프레이 용기에서, 캡을 누르기 전에는, 제1하부 부재와 제2하부 부재의 경계가 제2공간부에 위치하고, 케이스 내부의 유체는 제1하부 부재와 유입 유로 사이의 간극을 통해 유입되어 제2공간부까지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겸용 스프레이 용기에서, 단속 분사를 위해, 캡의 분사 조절 레버를 숄더의 제1가이드 홈에 위치시키고 캡을 누르면, 스템이 하부로 이동하고, 제2하부 부재가 유입 유로를 밀폐함으로써, 유체의 추가 유입이 방지되면서, 제2공간부에 충전된 유체만 용기 외부로 단속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겸용 스프레이 용기에서, 연속 분사를 위해, 캡의 분사 조절 레버를 숄더의 제2가이드 홈에 위치시키고 캡을 누르면, 스템이 하부로 이동하고, 제1하부 부재와 제2하부 부재의 경계가 여전히 제2공간부에 위치함으로써, 유체는 제1하부 부재와 유입 유로 사이의 간극을 통해 제2공간부에 연속적으로 유입되면서 용기 외부로 연속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단속 분사 방식의 스프레이 용기는 뿌릴 때 내용물이 한번만 그리고 일정량만 나와서 숨을 참는 시간 및 내용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단속 분사 방식 및 연속 분사 방식 겸용 스프레이 용기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소비자)가 연속 분사 방식과 단속 분사 방식을 선택할 수 있어서, 소비자의 수요를 다양하게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용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용기의 연속 분사 모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용기의 연속 분사 모드에서 캡을 누르기 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점선 원으로 표시한 부위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용기의 연속 분사 모드에서 캡을 누른 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점선 원으로 표시한 부위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용기의 단속 분사 모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용기의 단속 분사 모드에서 캡을 누르기 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용기의 단속 분사 모드에서 캡을 누른 후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점선 원으로 표시한 부위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속 분사 방식의 스프레이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속 분사 방식 및 연속 분사 방식 겸용 스프레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30%가 단속 분사 방식을 선호하였고, 70%가 연속 분사 방식을 선호하였다. 단속 분사 방식을 선호하는 이유는, 첫째 뿌릴 때 숨을 참는데 한번만 나오면 편할 것 같다는 것이고, 둘째 낭비가 적어 좋을 것 같다는 것이었다. 연속 분사 방식을 선호하는 이유는, 첫째 단속 분사 방식의 경우 얼굴 등에 충분히 분사될 것 같지 않다는 것이고, 둘째 원하는 만큼 충분히 뿌릴 수 있다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소비자 선호도 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단속 분사 방식의 스프레이 용기를 개발하였고, 또한 단속 분사 방식 및 연속 분사 방식 겸용 스프레이 용기도 개발하였다.
이하, 첨부 도면을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들은 대부분 단속 분사 방식 및 연속 분사 방식 겸용 스프레이 용기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겸용 스프레이 용기 위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단속 분사 방식만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캡의 분사 조절 레버와 숄더의 가이드 홈을 생략하고 제작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용기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용기는 캡(cap)(10), 숄더(shoulder)(20), 케이스(case)(30), 패킹(packing) 부재(40), 탄성 부재(50), 스템(stem)(60), 스템 하우징(stem housing)(70), 숄더 하우징(shoulder housing)(8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30)는 유리,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케이스(30)의 형태도 원통, 다면체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다른 부품들도 다양한 소재와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케이스(30)의 내부에는 유체가 충전된다. 케이스(30)는 유체가 충전되기 위한 제1공간부를 갖는다. 제1공간부는 케이스(30)의 내부공간을 의미할 수 있고, 별도로 마련된 공간을 의미할 수도 있다. 유체는 기체, 기체와 액체 혼합물, 기체와 액체 및 고체 혼합물, 액체, 또는 액체와 고체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유체는 압축된 상태로 충전될 수 있다. 유체의 성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 등을 참고하면, 케이스(30)의 상부에는 숄더 하우징(80)이 설치될 수 있다. 숄더 하우징(80)은 케이스(30)의 상단에 안착되어 케이스(30) 내부의 유체를 밀봉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또한 하우징으로서 숄더(2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케이스(30)와 숄더 하우징(80)은 접착, 용접, 나사 결합, 끼움 결합 등 다양한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숄더 하우징(80)은 도면에 직선 구간과 곡선 구간을 포함하는 다소 복잡한 형상과 구조를 가지나, 숄더 하우징(80)의 형상과 구조는 도면에 예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숄더 하우징(80)의 상부에는 숄더(20)가 설치될 수 있다. 숄더(20)는 하부 쪽으로는 숄더 하우징(80)에 안착되면서, 상부 쪽으로는 캡(10)을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숄더(20)와 숄더 하우징(80)은 접착, 용접, 나사 결합, 끼움 결합 등 다양한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숄더(20)는 도면에 직선 구간과 곡선 구간을 포함하는 다소 복잡한 형상과 구조를 가지나, 숄더(20)의 형상과 구조는 도면에 예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단속 분사 방식 및 연속 분사 방식 겸용 스프레이 용기의 경우, 숄더(20)는 내주면에 깊이가 서로 다른 제1가이드 홈(21)과 제2가이드 홈(2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가이드 홈(21)과 제2가이드 홈(22)의 수는 각각 하나일 수 있고, 또한 복수 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1가이드 홈(21)과 제2가이드 홈(22) 사이의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1가이드 홈(21)은 단속 분사를 위한 홈일 수 있고, 제2가이드 홈(22)은 연속 분사를 위한 홈일 수 있으며,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제1가이드 홈(21)이 단속 분사용 홈일 경우, 도 9 등에 예시된 제1가이드 홈(21)의 깊이(d2)는 도 4 등에 예시된 제2가이드 홈(22)의 깊이(d1)보다 깊을 수 있다. 즉, d2>d1의 관계가 성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가이드 홈(21)의 깊이(d2)는 제2가이드 홈(22)의 깊이(d1)보다 예를 들어 0.1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mm만큼 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이드 홈(21)의 깊이(d2)는 5 mm로 설정할 수 있고, 제2가이드 홈(22)의 깊이(d1)는 4 mm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숄더(20)의 상부에는 캡(10)이 설치될 수 있다. 캡(10)은 탄성부재(50)에 의해 숄더(20)의 상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캡(10)은 누름 버튼 형태의 뚜껑일 수 있다. 캡(10)은 노즐(11) 및 노즐 조립체(13)를 구비하며, 캡(10)을 누르면 케이스(30) 내부에 충전된 유체가 노즐 조립체(13)를 통해 용기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노즐 조립체(13)는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노즐 조립체(13)의 일단에는 노즐(11)이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캡(10)의 외경은 숄더(20)의 내경과 동일하여 캡(10)과 숄더(20)는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단속 분사 방식 및 연속 분사 방식 겸용 스프레이 용기의 경우, 캡(10)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숄더(20)의 두 가이드 홈(21, 22)에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한 분사 조절 레버(12)를 구비할 수 있다. 분사 조절 레버(12)는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 조절 레버(12)의 폭은 가이드 홈(21, 22)의 폭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분사 방식을 선택하기 위해, 캡(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속 분사 모드에서는 캡(10)을 회전시켜 분사 조절 레버(12)를 제1가이드 홈(21)에 위치시킬 수 있고, 연속 분사 모드에서는 캡(10)을 회전시켜 분사 조절 레버(12)를 제2가이드 홈(22)에 위치시킬 수 있다.
숄더 하우징(80)의 하부에는 스템 하우징(70)이 케이스(3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스템 하우징(70)은 스템(60)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스템(60)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유체의 흐름과 분사를 개폐하거나 조절할 수 있는 일종의 밸브 또는 펌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템 하우징(70)은 숄더 하우징(80) 또는 숄더(20)와 접착, 용접, 나사 결합, 끼움 결합 등 다양한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스템 하우징(70)은 숄더 하우징(80) 또는 숄더(20)에 고정되어서 움직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템 하우징(70)은 고정되고, 스템(60)이 스템 하우징(70)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다.
스템 하우징(70)은 상하 길이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된 원통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스템 하우징(70)의 형상 및 구조는 다면체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스템 하우징(70)은 스템(6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상부 하우징(71), 상부 하우징(71)의 하부에 연장되고 상부 하우징(71)의 내경보다 작으면서 제2하부 부재(65)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하부 하우징(72)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71)과 하부 하우징(72)은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제작되나, 별도로 제작된 후 접착, 용접, 나사 결합, 끼움 결합 등 다양한 형태로 체결될 수도 있다.
도 4 등을 참고하면, 상부 하우징(71)은 스템(60)의 외경보다 훨씬 큰 내경을 가짐으로써, 내부에 큰 제2공간부(73)를 구비할 수 있다. 제2공간부(73)는 상부 하우징(71)의 내부공간을 의미할 수 있고, 별도로 마련된 공간을 의미할 수도 있다. 제2공간부(73)는 원통형, 다면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상하방향으로 직경이 다르거나 변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단속 분사의 경우, 상부 하우징(71)의 제2공간부(73)에 충전된 유체만 용기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공간부(73)의 부피를 조절함으로써 단속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71)의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 하우징(71)의 상부는 개방되거나 밀폐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71)의 상부가 개방될 경우, 패킹 부재(40) 또는 숄더 하우징(80) 등과 밀착되면서 밀봉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72)의 상부와 하부는 모두 개방될 수 있으며, 하부 하우징(72)의 내부에는 유입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 유로는 하부 하우징(72)의 내부공간을 의미할 수 있고, 별도로 마련된 공간을 의미할 수도 있다. 유입 유로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다면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하방향으로 직경이 다르거나 변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유입 유로는 제2공간부(73)보다 직경이 작을 수 있다. 케이스(30) 내부에 충전된 유체는 하부 하우징(72)의 개방된 하부로부터 유입되어 유입 유로를 통해 상부 하우징(71)으로 흐를 수 있다. 하부 하우징(72)은 단차를 통해 상부 하우징(71)과 구별될 수 있다. 단차는 수직 구간에서 급격하게 바로 수평 구간으로 전환되는 일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부 하우징(71)의 하단부터 하부 하우징(72)의 상단까지 일정한 각도로 경사를 이루면서 서서히 전환되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72)의 내경, 즉 유입 유로의 직경은 스템(60)의 제2하부 부재(65)의 외경과 동일하여 단속 분사가 가능해질 수 있다.
스템(60)은 고정된 스템 하우징(70)에 수용되어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밸브 또는 펌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템(60)은 상부가 캡(10)에 결합하고, 하부는 스템 하우징(70)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스템(60)은 숄더 하우징(80)과 패킹 부재(40)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2 등을 참고하면, 스템(60)은 상하 길이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된 원통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스템(60)의 형상 및 구조는 다면체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스템(60)에 형성된 단차는 일자 형태 또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템(60)의 각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제작되나, 별도로 제작된 후 접착, 용접, 나사 결합, 끼움 결합 등 다양한 형태로 체결될 수도 있다.
스템(60)은 최대 외경을 갖는 중앙 부재(63)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템(60)은 노즐 조립체(13)에 결합하는 제1상부 부재(61), 제1상부 부재(61)와 중앙 부재(63) 사이에 형성되며 제1상부 부재(61)보다는 크고 중앙 부재(63)보다는 작은 외경을 갖는 제2상부 부재(62), 중앙 부재(63)의 하부에 연장되고 중앙 부재(63)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3하부 부재(64), 제3하부 부재(64)의 하부에 연장되고 제3하부 부재(64)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2하부 부재(65), 제2하부 부재(65)의 하부에 연장되고 제2하부 부재(65)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1하부 부재(66)를 구비할 수 있다.
제3하부 부재(64)는 필요에 따라 생략 가능하며, 즉 제3하부 부재(64)와 제2하부 부재(65)는 단차 없이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제2하부 부재(65)가 중앙 부재(63)의 하부에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상부 부재(61) 내지 제2상부 부재(62)의 일부까지 캡(10)의 노즐 조립체(13)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노즐 조립체(13)의 하부 내주면에는 제1상부 부재(61)의 외경 및 제2상부 부재(62)의 외경에 맞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스템(60)의 하부는 밀폐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스템(60)의 상부는 개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상부 부재(61)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고, 제2상부 부재(62)는 유체 유입 홀(67)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1상부 부재(61)와 제2상부 부재(62)는 제3공간부(68)를 구비할 수 있다. 제3공간부(68)는 제1상부 부재(61)와 제2상부 부재(62)의 내부공간을 의미할 수 있고, 별도로 마련된 공간을 의미할 수도 있다. 제3공간부(68)는 원통형, 다면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상하방향으로 직경이 다르거나 변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스템 하우징(70)에 충전된 유체는 유체 유입 홀(67)을 통해 제3공간부(68)에 유입된 후, 캡(10)의 노즐 조립체(13)를 거쳐 노즐(11)에서 용기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제3하부 부재(64)의 길이와 제2하부 부재(65)의 길이는 상부 하우징(71) 또는 제2공간부(73)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아서, 캡(10)을 누르기 전에는, 제3하부 부재(64) 및 제2하부 부재(65)는 모두 상부 하우징(71)에 위치할 수 있다. 제1하부 부재(66)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길어서, 캡(10)을 누르기 전에도, 제1하부 부재(66)의 하부는 하부 하우징(72)의 유입 유로에 위치할 수 있다. 제1하부 부재(66)의 외경은 하부 하우징(72)의 내경, 즉 유입 유로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제1하부 부재(66) 및 하부 하우징(72)의 유입 유로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이 간극을 통해 케이스(30) 내부에 충전된 유체가 하부 하우징(72)의 유입 유로를 거쳐 상부 하우징(71)의 제2공간부(73)까지 충전될 수 있다.
패킹부재(40)는 숄더 하우징(80)과 스템 하우징(7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패킹부재(40)는 숄더 하우징(80)과 스템 하우징(70) 및 스템(60) 사이를 밀봉함으로써, 케이스(30) 및 스템 하우징(70)에 충전된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템(60)은 숄더 하우징(80)과 패킹 부재(40)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므로, 숄더 하우징(80)과 패킹 부재(40)는 제2상부 부재(62)의 외경과 동일한 관통 홀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체의 누출이 방지되면서 스템(60)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중앙 부재(63)는 캡(10)을 누르기 전에는 패킹 부재(40)의 하면과 밀착되면서 걸릴 수 있다.
탄성부재(50)는 제2상부 부재(62)를 감싸면서 설치되거나, 제2상부 부재(62)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캡(10)과 숄더 하우징(8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50)는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50)가 노즐 조립체(13)에 걸리도록, 탄성부재(50)의 외경은 노즐 조립체(13)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50)의 내경은 제2상부 부재(62)의 외경과 거의 같거나 조금 클 수 있다. 캡(10)을 아래로 눌렀을 때 탄성부재(50)는 노즐 조립체(13)의 하단과 숄더 하우징(80)의 상단에 걸려서 압축되고, 캡(50)의 누른 상태를 해제할 경우 탄성부재(50)가 복원되면서 캡(10)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용기의 연속 분사 모드에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연속 분사 모드에서 캡을 누르기 전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점선 원으로 표시한 부위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연속 분사 모드에서 캡을 누른 후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점선 원으로 표시한 부위의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7을 참고하여 연속 분사 모드를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겸용 스프레이 용기에서, 연속 분사를 위해, 먼저 캡(10)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캡(10)의 분사 조절 레버(12)를 숄더(20)의 제2가이드 홈(22)에 위치시킨다.
제1가이드 홈(21)과 제2가이드 홈(22)의 깊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캡(10)의 분사 조절 레버(12)가 어느 홈에 위치하는가에 따라 스템(60)이 눌러지는 깊이가 달라서, 스템 하우징(70)을 통해 올라오는 유체를 막아주거나 열어줄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캡(10)을 누르기 전에는, 스템(60)의 제2하부 부재(65)는 스템 하우징(70)의 상부 하우징(71) 또는 제2공간부(73)에 위치하고, 즉 제2하부 부재(65)와 제1하부 부재(66)의 경계는 스템 하우징(70)의 상부 하우징(71) 또는 제2공간부(73)에 위치할 수 있다. 제2하부 부재(65)와 제1하부 부재(66)의 경계는 두 부재 사이에 경사진 단차 구간이 형성될 경우, 단차 구간의 전체 또는 어느 한 지점(단차 구간의 상단, 중앙 또는 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케이스(30) 내부의 유체는 스템(60)의 제1하부 부재(66)와 하부 하우징(72)의 유입 유로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 유입되어 상부 하우징(71)의 제2공간부(73)까지 충전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2상부 부재(62)에 형성된 유체 유입 홀(67)은 캡(10)을 누르기 전에는, 스템 하우징(70)의 상부에 위치하여 유체의 분사를 방지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71)과 숄더 하우징(80) 사이에는 패킹부재(40)가 설치되고, 중앙 부재(63)는 패킹부재(40)에 밀착될 수 있다. 스템(60)의 홀(67)이 패킹부재(40) 등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상부 하우징(71)의 제2공간부(73)에 충전된 유체는 용기 외부로 누출되거나 분사되지 않는다.
도 6을 참고하면, 도 4의 상태에서 캡(10)을 누를 경우, 캡(10)과 결합되어 있는 스템(60)도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숄더(20)의 제2가이드 홈(22)의 깊이(d1)가 예를 들어 4 mm일 경우, 캡(10)을 누르면 캡(10)과 스템(60)은 4 mm만큼만 내려가고, 제2가이드 홈(22)에 걸려서 더 이상 내려가지 못한다. 이때, 노즐 조립체(13)와 숄더 하우징(80)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캡(10)과 스템(60)이 내려와도, 스템(60)의 제2하부 부재(65)는 여전히 스템 하우징(70)의 상부 하우징(71) 또는 제2공간부(73)에 위치하고, 즉 제2하부 부재(65)와 제1하부 부재(66)의 경계는 여전히 스템 하우징(70)의 상부 하우징(71) 또는 제2공간부(73)에 위치함으로써, 스템(60)과 스템 하우징(70) 사이에는 f로 표시된 간극이 여전히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체는 상기 간극(f)을 통해 연속적으로 상부 하우징(71)의 제2공간부(73)로 유입되면서 용기 외부로 연속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한편, 스템(60)이 내려오면, 유체 유입 홀(67)이 상부 하우징(71) 또는 제2공간부(73)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 하우징(71)의 제2공간부(73)로 유입된 유체가 유입 홀(67)을 통해 스템(60)의 제3공간부(68)를 거쳐 용기 외부로 연속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연속 분사 모드에서는, 캡(10)을 누르고 있으면, 분사가 지속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용기의 단속 분사 모드에서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단속 분사 모드에서 캡을 누르기 전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단속 분사 모드에서 캡을 누른 후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점선 원으로 표시한 부위의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11을 참고하여 단속 분사 모드를 설명한다.
도 8을 참고하면, 겸용 스프레이 용기에서, 단속 분사를 위해, 먼저 캡(10)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캡(10)의 분사 조절 레버(12)를 숄더(20)의 제1가이드 홈(21)에 위치시킨다.
도 9를 참고하면, 연속 분사 모드와 마찬가지로, 캡(10)을 누르기 전에는, 스템(60)의 제2하부 부재(65)는 스템 하우징(70)의 상부 하우징(71) 또는 제2공간부(73)에 위치하고, 즉 제2하부 부재(65)와 제1하부 부재(66)의 경계는 스템 하우징(70)의 상부 하우징(71) 또는 제2공간부(73)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30) 내부의 유체는 스템(60)의 제1하부 부재(66)와 하부 하우징(72)의 유입 유로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 유입되어 상부 하우징(71)의 제2공간부(73)까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연속 분사 모드와 마찬가지로, 제2상부 부재(62)에 형성된 유체 유입 홀(67)은 캡(10)을 누르기 전에는, 스템 하우징(70)의 상부에 위치하여 유체의 분사를 방지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71)과 숄더 하우징(80) 사이에는 패킹부재(40)가 설치되고, 중앙 부재(63)는 패킹부재(40)에 밀착될 수 있다. 스템(60)의 홀(67)이 패킹부재(40) 등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상부 하우징(71)의 제2공간부(73)에 충전된 유체는 용기 외부로 누출되거나 분사되지 않는다.
도 10을 참고하면, 도 9의 상태에서 캡(10)을 누를 경우, 캡(10)과 결합되어 있는 스템(60)도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숄더(20)의 제1가이드 홈(21)의 깊이(d2)는 제2가이드 홈(22)의 깊이(d1)보다 깊어서, 캡(10)은 연속 분사의 경우에서보다 더 밑으로 내려갈 수 있다. 제1가이드 홈(21)의 깊이(d2)가 예를 들어 5 mm일 경우, 캡(10)을 누르면 캡(10)과 스템(60)은 5 mm만큼 내려갈 수 있다. 이때, 캡(10)이 더 밑으로 내려와서 노즐 조립체(13)와 숄더 하우징(80)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단속 분사를 위해, 캡(10)의 분사 조절 레버(12)를 숄더(20)의 제1가이드 홈(21)에 위치시키고 캡(10)을 누르면, 스템(60)이 하부로 이동하고, 제2하부 부재(65)의 적어도 일부가 스템 하우징(70)의 하부 하우징(72)까지 내려오면서, 제2하부 부재(65)가 하부 하우징(72)의 유입 유로를 막아 밀폐함으로써, 제2공간부(73)에 유체가 추가로 유입되지 않고, 상부 하우징(71)의 제2공간부(73)에 충전된 유체만 용기 외부로 단속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단속 분사 모드에서는, 캡(10)을 누르고 있어도, 일정량만 분사될 수 있다. 단속 분사량은 제2공간부(73)의 부피를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10: 캡 11: 노즐
12: 분사 조절 레버 13: 노즐 조립체
20: 숄더 21: 제1가이드 홈
22: 제2가이드 홈 30: 케이스
40: 패킹 부재 50: 탄성 부재
60: 스템 61: 제1상부 부재
62: 제2상부 부재 63: 중앙 부재
64: 제3하부 부재 65: 제2하부 부재
66: 제1하부 부재 67: 유체 유입 홀
68: 제3공간부 70: 스템 하우징
71: 상부 하우징 72: 하부 하우징
73: 제2공간부 80: 숄더 하우징

Claims (18)

  1. 유체가 충전되기 위한 제1공간부를 갖는 케이스;
    제1공간부와 연통하는 유입 유로, 및 상기 유입 유로의 상부에 위치하고 유입 유로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유입 유로를 통해 이동된 유체가 저장되기 위한 제2공간부를 각각 갖는 스템 하우징;
    스템 하우징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유입 유로와 제2공간부에 위치하는 하부 부재 및 제2공간부와 연통 가능한 유체 유입 홀을 갖는 상부 부재를 구비하는 스템;
    상부 부재와 연결되어 상부 부재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 조립체를 구비하는 캡; 및
    캡과 스템 하우징 사이에 마련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캡과 스템 하우징의 간격에 기초하여, 하부 부재가 유입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스템은 최대 외경을 갖는 중앙 부재를 기준으로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로 구분되며, 하부 부재는 유입 유로의 직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1하부 부재 및 상기 제1하부 부재의 상부에 연장되고 유입 유로의 직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제2하부 부재를 구비하며,
    캡을 누르기 전에는, 제1하부 부재와 제2하부 부재의 경계가 제2공간부에 위치하고, 케이스 내부의 유체는 제1하부 부재와 유입 유로 사이의 간극을 통해 유입되어 제2공간부까지 충전되며,
    캡을 누르면, 스템이 하부로 이동하고, 제2하부 부재가 유입 유로를 밀폐함으로써, 유체의 추가 유입이 방지되면서, 제2공간부에 충전된 유체만 용기 외부로 단속적으로 분사되며,
    탄성부재는 상부 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캡을 눌렀을 때에는 압축되며, 캡의 누른 상태를 해제할 경우 캡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고,
    상부 부재는 유체 유입 홀과 연통하는 제3공간부를 구비하며,
    유체 유입 홀은 캡을 누르기 전에는 스템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여 유체의 분사를 방지하고, 캡을 누르면 제2공간부에 위치하여 제2공간부에 유입된 유체가 유체 유입 홀 및 제3공간부를 통해 용기 외부로 분사되며,
    캡과 스템 하우징 사이에 패킹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유체가 충전되기 위한 제1공간부를 갖는 케이스;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주면에 깊이가 서로 다른 제1가이드 홈과 제2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숄더;
    제1공간부와 연통하는 유입 유로, 및 상기 유입 유로의 상부에 위치하고 유입 유로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유입 유로를 통해 이동된 유체가 저장되기 위한 제2공간부를 각각 갖는 스템 하우징;
    스템 하우징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유입 유로와 제2공간부에 위치하는 하부 부재 및 제2공간부와 연통 가능한 유체 유입 홀을 갖는 상부 부재를 구비하는 스템;
    상부 부재와 연결되어 상부 부재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 조립체를 구비하고,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숄더의 두 가이드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한 분사 조절 레버를 구비하는 캡; 및
    캡과 스템 하우징 사이에 마련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캡과 스템 하우징의 간격에 기초하여, 하부 부재가 유입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제1가이드 홈의 깊이는 제2가이드 홈보다 깊으며,
    스템은 최대 외경을 갖는 중앙 부재를 기준으로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로 구분되고, 하부 부재는 유입 유로의 직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1하부 부재 및 상기 제1하부 부재의 상부에 연장되고 유입 유로의 직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제2하부 부재를 구비하며,
    캡을 누르기 전에는, 제1하부 부재와 제2하부 부재의 경계가 제2공간부에 위치하고, 케이스 내부의 유체는 제1하부 부재와 유입 유로 사이의 간극을 통해 유입되어 제2공간부까지 충전되며,
    캡의 분사 조절 레버를 숄더의 제1가이드 홈에 위치시키고 캡을 누르면, 스템이 하부로 이동하고, 제2하부 부재가 유입 유로를 밀폐함으로써, 유체의 추가 유입이 방지되면서, 제2공간부에 충전된 유체만 용기 외부로 단속적으로 분사되며,
    캡의 분사 조절 레버를 숄더의 제2가이드 홈에 위치시키고 캡을 누르면, 스템이 하부로 이동하고, 제1하부 부재와 제2하부 부재의 경계가 여전히 제2공간부에 위치함으로써, 유체는 제1하부 부재와 유입 유로 사이의 간극을 통해 제2공간부에 연속적으로 유입되면서 용기 외부로 연속적으로 분사되며,
    탄성부재는 상부 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캡을 눌렀을 때에는 압축되며, 캡의 누른 상태를 해제할 경우 캡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고,
    상부 부재는 유체 유입 홀과 연통하는 제3공간부를 구비하며,
    유체 유입 홀은 캡을 누르기 전에는 스템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여 유체의 분사를 방지하고, 캡을 누르면 제2공간부에 위치하여 제2공간부에 유입된 유체가 유체 유입 홀 및 제3공간부를 통해 용기 외부로 분사되며,
    캡과 스템 하우징 사이에 패킹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용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40066913A 2014-06-02 2014-06-02 스프레이 용기 KR101557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913A KR101557699B1 (ko) 2014-06-02 2014-06-02 스프레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913A KR101557699B1 (ko) 2014-06-02 2014-06-02 스프레이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699B1 true KR101557699B1 (ko) 2015-10-07

Family

ID=54344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913A KR101557699B1 (ko) 2014-06-02 2014-06-02 스프레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6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9170B1 (ko) 2016-01-25 2017-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타입 스위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230128844A (ko) 2022-02-28 2023-09-05 오진록 밸런스 분무장치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1226A (ja) 2008-01-07 2009-07-23 Maruichi Valve Co Ltd 定量噴射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1226A (ja) 2008-01-07 2009-07-23 Maruichi Valve Co Ltd 定量噴射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9170B1 (ko) 2016-01-25 2017-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타입 스위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230128844A (ko) 2022-02-28 2023-09-05 오진록 밸런스 분무장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74704B (zh) 可填充装置
US8678241B2 (en) Foam spray head assembly
JP6144209B2 (ja) ポンプ式吐出容器
JP2008535651A (ja) 流体を容器から計量配分するための投与ヘッド
JP2016510290A (ja) 計量バルブ
KR101557699B1 (ko) 스프레이 용기
KR101565769B1 (ko) 토출부고정형 용기
KR20090003240U (ko) 수동식 이중 분사장치
KR200477737Y1 (ko) 내용물 누출 방지 노즐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JPWO2020017648A1 (ja) キャップ
KR101812944B1 (ko)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1663206B1 (ko) 디스펜서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JP2018149266A (ja) 化粧容器
KR102295465B1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CN111819006B (zh) 孔口及包括其的喷雾容器
JP2002264978A (ja) 定量バルブ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エアゾール式噴射器
US9573752B2 (en) Liquid container apparatus
US8297483B2 (en) Liquid dispenser
JP2003299991A (ja) 定量弁付噴射ボタン
JP5467603B2 (ja) 倒立型エアゾール用バルブと、該バルブを用いた容器
KR102374962B1 (ko) 미스트 분사기용 용기하우징
KR100553663B1 (ko) 에어로졸 용기용 캡
US10850915B2 (en) Valve holding device
JP2005040477A (ja) 包装済点眼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