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285B1 - 고정클립 - Google Patents

고정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285B1
KR101557285B1 KR1020140095641A KR20140095641A KR101557285B1 KR 101557285 B1 KR101557285 B1 KR 101557285B1 KR 1020140095641 A KR1020140095641 A KR 1020140095641A KR 20140095641 A KR20140095641 A KR 20140095641A KR 101557285 B1 KR101557285 B1 KR 101557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fc
hole
support portion
fix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이호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40095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FFC(FLEXIBLE FLAT CABLE)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클립으로써, 상기 FFC의 일 면이 접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FFC의 일 면이 접하며, 상기 제1 지지부에 거치된 상기 FFC의 경로를 수직하게 전환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일 단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를 상기 차량에 고정시키는 차량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정클립{Fixing Clip}
본 발명은 고정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FFC(Flexible Flat Cable)를 고정하며, FFC의 설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고정클립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차량 내의 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와이어하네스가 설치된다. 이때, 차량에는 상기 다수의 와이어하네스가 정확하게 설치되어 차량 내의 전장품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 고정부재를 차량에 설치하여 와이어하네스를 고정한다.
그런데,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는 와이어하네스의 두께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는 원형의 와이어하네스를 고정하기 위한 부품으로, 얇은 판 형태의 FFC(Flexible Flat Cable_연성 평면 케이블)를 고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FFC를 설치하는 설치 위치에 따라 FFC의 경로를 전환해야 하는데 판형으로 형성된 FFC의 특성상 FFC를 접어 경로를 전환해야 한다. 따라서, 접힘에 따른 FFC의 파손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FFC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FFC의 설치 경로 변경이 용이한 고정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차량에 FFC(FLEXIBLE FLAT CABLE)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클립은 상기 FFC의 일 면이 접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FFC의 일 면이 접하며, 상기 제1 지지부에 거치된 상기 FFC의 경로를 수직하게 전환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일 단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를 상기 차량에 고정시키는 차량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차체에 설치되며 FFC를 고정하는 고정클립의 제1 및 제2 지지부를 수직하게 배치한다. 이때,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에는 제1 및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FFC의 일 단은 제1 관통홀에 삽입된 후 제2 관통홀을 통해 배출된다. 이로 인하여 FFC의 경로가 수직하게 변경되어 FFC가 파손 없이 경로가 변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FFC를 지지 및 고정하며 수직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지지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관통홀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 사이에는 경로전환부가 설치된다. 상기 FFC는 경로전환부를 감싸면서 제1 및 제2 관통홀에 삽입 및 배출된다. 이로 인하여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FFC의 경로가 수직하게 변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FFC가 고정클립의 경로전환부를 감싸며 제1 및 제2 지지부의 제1 및 제2 관통홀에 삽입 및 배출되는 과정에서 경로전환부는 FFC의 상면 상에 위치한다. 이로 인하여 FFC는 경로전환부에 의해 상태가 고정되므로 추가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클립에 FFC를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정클립에 FFC가 설치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고정클립에 FFC가 설치되는 조립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고정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정클립에 FFC가 설치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고정클립에 FFC가 설치되는 조립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100)은 차량(미도시)에 FFC(FLEXIBLE FLAT CABLE)(50)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클립(100)은 FFC(50)의 일 면이 접하는 제1 지지부(120)와, 상기 FFC(50)의 일 면이 접하며, 제1 지지부(120)에 거치된 FFC(50)의 경로를 가로지르도록 제1 지지부(120)의 일 단에 설치되는 제2 지지부(140) 및 상기 제1 지지부(120) 및 제2 지지부(140)를 차량에 고정시키는 차량고정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부(120)는 FFC(50)의 기 설정된 이전 경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전 경로의 FFC(50)의 일 면인 하면이 접하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120)는 FFC(50)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FFC(50)의 폭과 동일 또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140)는 제1 지지부(120)의 일 단에 설치되되, 제1 지지부(120)를 따라 설치되는 FFC(50)의 경로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은 제2 지지부(140)가 제1 지지부(120)에 수직하게 설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제2 지지부(140)의 설치 위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각각 성형된 후, 일 단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가 일체로 형성된 예를 들기로 한다. 이와 같이 제1 지지부(120)의 일 단에 제2 지지부(140)를 수직하게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FFC(50)의 경로가 수직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는 동일한 재질을 이용하여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작업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차량고정부(180)는 제1 지지부(120) 또는 제2 지지부(140) 중 어느 하나의 지지부 하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부(120)의 하부에 설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차량고정부(180)는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가 차량에 용이하게 설치되며, 차량에 설치된 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고정부(180)는 란스구조, 트리구조 및 방수부재가 설치된 란스 구조 등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고정부(180)는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에서 분리 가능하다. 이와 같이 차량고정부(180)가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에서 분리되면 어느 하나의 지지부가 파손되거나 차량고정부(180)가 파손되어도 교체가 필요한 부재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고정클립(100)의 교체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제1 지지부(120)는 제1 지지부(120)의 일 단에 편향되게 형성되며, FFC(50) 의 일 단이 삽입되는 제1 관통홀(124)을 포함하며, 제2 지지부(140)는 제1 관통홀(124)과 인접한 제1 지지부(120)의 일 단에 형성되며, 제1 관통홀(124)을 관통한 FFC(50)의 일 단이 배출되는 제2 관통홀(144)을 포함한다.
즉, 제1 지지부(120)의 제1 관통홀(124)과 제2 지지부(140)의 제2 관통홀(144)은 연통되고, 제1 관통홀(124)과 제2 관통홀(144) 사이에는 제1 관통홀(124)에 삽입된 FFC(50)가 감싸며 제2 관통홀(144)로 배출되도록 경로전환부(160)가 설치된다.
상기 경로전환부(160)제1 및 제2 관통홀(124, 144)을 구획하고, FFC(50)를 타 면인 상면을 지지하여 제1 및 제2 관통홀(124, 144)에서 FFC(50)가 고정되게 한다. 즉, FFC(50)의 일 단은 제1 관통홀(124)에 삽입되고, 제1 관통홀(124)에 삽입된 FFC(50)의 상면은 경로전환부(160)을 감싸며 제2 관통홀(144)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경로전환부(160)는 FFC(50)가 과도하게 꺾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원기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로전환부(160)의 형상에 의해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경로전환부(160)를 감싸며 제1 및 제2 관통홀(124, 144)에 삽입 및 배출되는 FFC(50)의 위치가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경로전환부(160)를 감싸며 설치되고, 제1 관통홀(124)과 인접한 제1 지지부(120)의 홀측면 모서리(122)와 제2 관통홀(144)과 인접한 제2 지지부(140)의 홀측면 모서리(142)에 접하는 FFC(50)를 고정하는 락킹부재(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락킹부재(170)는 FFC(50)가 제1 및 제2 관통홀(124, 144)에 삽입 및 배출되면 FFC(50)의 상면 상에 위치하여 FFC(50)를 가압한다. 이로 인하여 FFC(50)는 상기 락킹부재(1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락킹부재(170)는 경로전환부(160)를 감싸며 FFC(50)의 상면 상에 위치하는 곡면부(172)와, 제1 관통홀(124)과 인접한 제1 지지부(120)의 홀측면 모서리(122)와 제2 관통홀(144)과 인접한 제2 지지부(140)의 홀측면 모서리(142)보다 FFC(50) 상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FFC(50)의 상면을 가압 고정하는 가압부(174)를 포함한다.
상기 곡면부(172)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FFC(50)의 상면을 곡면으로 가압한다. 이로 인하여 FFC(50)가 급격하게 경로가 전환되어 전기적 파손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74)는 제1 관통홀(124)과 인접한 제1 지지부(120)의 홀측면 모서리(122) 상의 이전 경로의 FFC(50)와 제2 관통홀(144)과 인접한 제2 지지부(140)의 홀측면 모서리(142) 상의 경로가 전환된 FFC(50) 상에 설치되어 고정클립(100)에 설치된 FFC(50)를 고정시킨다. 이를 위하여 가압부(174)는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압부(174)의 형상은 발명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클립(100)에 설치된 FFC(50)를 고정하기 위하여 락킹부재(170)는 플라스틱, 실리콘 등과 같이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FFC(50)의 도체 배열과 동일 배열로 전도성 재질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관통홀(124)과 인접한 제1 지지부(120)의 홀측면 모서리(122)는 제1 관통홀(124)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 관통홀(144)과 인접한 제2 지지부(140)의 홀측면 모서리(142)는 제2 관통홀(144)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왜냐하면, FFC(50)를 제1 관통홀(124)에 삽입할 때, 제1 관통홀(124)과 연결된 제1 지지부(120)의 홀측면 모서리(122)에 FFC(50)이 걸려 FFC(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FFC(50)가 제2 관통홀(144)에서 배출될 때, 제2 관통홀(144)과 연결된 제2 지지부(140)의 홀측면 모서리(142)에 FFC(50)이 걸려 FFC(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시 도 1 및 2를 참고하면, 제1 지지부(120)와 제1 지지부(120)에 접하는 FFC(50)를 고정하며, 제2 지지부(140)와 제2 지지부(140)에 접하는 FFC(50)를 고정하는 고정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90)는 제1 지지부(120)와 제1 지지부(120)에 접하는 FFC(50)를 동시에 감싸고, 제2 지지부(140)와 제2 지지부(140)에 접하는 FFC(50)를 동시에 감싸는 테이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에 설치된 FFC(50)가 경로를 이탈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부(190)로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와 FFC(50)를 고정함으로써, FFC(50)가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고정부(190)가 설치되는 테이핑 면의 너비(d₁)는 테이핑 면과 인접한 제1 지지부(120)와 제2 지지부(140)의 너비(d₂)보다 작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20)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테이핑 면의 너비(d₁)는 제1 지지부(120)의 너비(d₂)보다 작게 형성된다. 왜냐하면, 고정부(190)가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와 FFC(50)를 감싸는 과정에서 테이핑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부(190)가 설치되는 테이핑 면의 너비(d₁)를 상기 테이핑 면과 인접한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의 너비(d₂)보다 작게 형성하여 테이핑이 다수 이루어져도 테이핑의 두께가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의 너비(d₂)와 같거나 작기 때문에 테이핑 두께가 차체 주변 장치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90)는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 상면에 기 설치되는 양면테이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190)가 양면테이프일 경우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와 FFC(50)를 감싸 테이핑하는 과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FFC(50)를 고정클립(100)에 설치하는 시간을 줄여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는 도 1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고정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설명에 앞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도면의 부호와 동일한 구성과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구성의 부호가 동일할 경우 동일 구성이라고 가정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5를 살펴보면,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100)은 가로지르게 설치된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는 FFC(50) 의 일 단이 삽입되는 제1 관통홀(124)과, 제1 관통홀(124)을 관통한 FFC(50)의 일 단이 배출되는 제2 관통홀(14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지지부(120)와 제2 지지부(140)의 일 단은 제1 관통홀(124)과 제2 관통홀(144)에 의해 관통되지 않는다. 즉, 제1 지지부(120)의 일 단과 제1 관통홀(124) 사이에는 제1 간극(150a)이 형성되고, 제2 지지부(140)의 일 단과 제2 관통홀(144) 사이에는 제2 간극(150b)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간극(150a, 150b)은 FFC(50)가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에서 이탈되지 않게 한다.
즉, FFC(50)의 일 단은 제1 관통홀(124)에 삽입되고, 제1 관통홀(124)에 삽입된 FFC(50)의 상면은 제1 및 제2 간극(150a, 150b)의 후방면에 접하면서 FFC(50)의 일 단은 제2 관통홀(144)을 통해 배출된다. 이로 인하여 FFC(50)와 제1 및 제2 간극(150a, 150b)은 꼬인 상태가 되면서 FFC(50)는 경로가 수직하게 변경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에 고정되게 한다.
상기 제1 관통홀(124)과 인접한 제1 지지부(120)의 홀측면 모서리(122)는 제1 관통홀(124)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 관통홀(144)과 인접한 제2 지지부(140)의 홀측면 모서리(142)는 제2 관통홀(144)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왜냐하면, FFC(50)를 제1 관통홀(124)에 삽입할 때, 제1 관통홀(124)과 연결된 제1 지지부(120)의 홀측면 모서리(122)에 FFC(50)의 타 면인 상면이 걸려 FFC(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6을 참고하면 고정클립(100)은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 상에 돌출되며, FFC(50)를 관통하여 FFC(50)를 고정하는 돌부(130)를 더 포함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의 상면에는 돌부(13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부(130)는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 상에 FFC(50)가 설치될 때, FFC(50)의 비도체(52_도 1 참고) 부분을 관통하여 FFC(50)를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체에 설치되는 FFC(50)의 경로를 수직하게 전환하기 위하여 FFC(50)를 고정하는 고정클립(100)의 제1 지지부(120) 및 제2 지지부(140)는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1 지지부(120)와 제2 지지부(140)에는 제1 및 제2 관통홀(124, 144)이 형성되어 FFC(50)의 일 단은 제1 관통홀(124)에 삽입된 후 제2 관통홀(144)을 통해 배출된다. 이로 인하여 FFC(50)의 경로는 수직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지지부(120, 140)의 제1 및 제2 관통홀(124, 144)은 연통되고, 제1 및 제2 관통홀(124, 144) 사이에는 경로전환부(160)가 설치된다. 상기 FFC(50)는 경로전환부(160)를 감싸면서 제1 및 제2 관통홀(124, 144)에 삽입 및 배출된다. 이때, 경로전환부(160)는 FFC(50)의 상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경로전환부(160)를 감싸며 설치되는 FFC(50)를 고정함과 동시에 FFC(50)의 경로를 수직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50: FFC 100: 고정클립
120: 제1 지지부 122: 제1 지지부의 홀측면 모서리
124: 제1 관통홀 140: 제2 지지부
142: 제2 지지부의 홀측면 모서리 144: 제2 관통홀
160: 경로전환부 170: 락킹부재
180: 차체고정부 190: 고정부

Claims (10)

  1. 차량에 FFC(FLEXIBLE FLAT CABLE)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클립에 있어서,
    상기 FFC의 일 면이 접하는 제1 지지부;
    상기 FFC의 일 면이 접하며, 상기 제1 지지부에 거치된 상기 FFC의 경로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일 단에 설치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를 상기 차량에 고정시키는 차량고정부; 를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일 단에 편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FFC의 일 단이 삽입되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관통홀과 인접한 상기 제2 지지부의 일 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FFC의 일 단이 배출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과 인접한 상기 제1 지지부의 홀측면 모서리는 상기 제1 관통홀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홀과 인접한 상기 제2 지지부의 홀측면 모서리는 상기 제2 관통홀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5.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은 연통되고,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 사이에는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FFC가 접하며 상기 제2 관통홀로 배출되도록 경로전환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경로전환부를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설치되고, 상기 제1 관통홀과 인접한 상기 제1 지지부의 홀측면 모서리와 상기 제2 관통홀과 인접한 상기 제2 지지부의 홀측면 모서리 상에 접하는 상기 FFC를 고정하는 락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경로전환부를 감싸며, 상기 FFC의 타 면 상에 위치하는 곡면부와,
    상기 제1 관통홀과 인접한 상기 제1 지지부의 홀측면 모서리 및 상기 제2 관통홀과 인접한 상기 제2 지지부의 홀측면 모서리 보다 상기 FFC 상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FFC 상면을 가압, 고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에 접하는 상기 FFC를 고정하며,
    상기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 접하는 상기 FFC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에 접하는 상기 FFC를 동시에 감싸고, 상기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 접하는 상기 FFC를 동시에 감싸는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 상에 돌출되며 상기 FFC를 관통하여 상기 FFC를 고정하는 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KR1020140095641A 2014-07-28 2014-07-28 고정클립 KR101557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641A KR101557285B1 (ko) 2014-07-28 2014-07-28 고정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641A KR101557285B1 (ko) 2014-07-28 2014-07-28 고정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285B1 true KR101557285B1 (ko) 2015-10-05

Family

ID=54344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641A KR101557285B1 (ko) 2014-07-28 2014-07-28 고정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2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329Y1 (ko) 2002-11-18 2003-02-26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일자클립
KR100588750B1 (ko) 2005-06-30 2006-11-2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JP2007159272A (ja) 2005-12-05 2007-06-2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へのクランプ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329Y1 (ko) 2002-11-18 2003-02-26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일자클립
KR100588750B1 (ko) 2005-06-30 2006-11-2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JP2007159272A (ja) 2005-12-05 2007-06-2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へのクランプ取付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8390B2 (en) Electric junction box
EP2432091A1 (en) Bracket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box
KR100731443B1 (ko) 체결 성능이 강화된 전기 커넥터
US9806440B2 (en) Terminal block
CN214280757U (zh) 缆线槽和保护导体组件
EP3474383A1 (en) Din rail installing portion structure of electrical appliance and socket
KR101557285B1 (ko) 고정클립
KR20070051211A (ko) 정션박스의 커넥터어셈블리
KR200483902Y1 (ko) 정션박스
KR101830430B1 (ko) 차량용 정션박스
KR101830434B1 (ko) 차량용 정션박스
US20130309890A1 (en) Connector holding structure
KR101070399B1 (ko) 커넥터 설치장치
KR200478422Y1 (ko) 고정장치
KR200473364Y1 (ko) 그로멧
KR101151902B1 (ko) 프로텍터 고정장치
KR101830432B1 (ko) 차량용 정션박스
KR200441887Y1 (ko) 박스의 와이어 고정구조
KR101830429B1 (ko) 차량용 정션박스
KR101830433B1 (ko) 차량용 정션박스
KR101830431B1 (ko) 차량용 정션박스
KR101159732B1 (ko) 이동형 끝단 지그 어셈블리
KR100955051B1 (ko) 벌브홀더
JP2009010003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固定具、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KR101608363B1 (ko) 조인트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