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422Y1 -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422Y1
KR200478422Y1 KR2020140005262U KR20140005262U KR200478422Y1 KR 200478422 Y1 KR200478422 Y1 KR 200478422Y1 KR 2020140005262 U KR2020140005262 U KR 2020140005262U KR 20140005262 U KR20140005262 U KR 20140005262U KR 200478422 Y1 KR200478422 Y1 KR 200478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fc
fixing
fixing member
componen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동우
유성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140005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4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4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내에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FFC_ Flexible Flat Cable)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FFC의 일 면이 접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일 면에 설치되며, 상기 FFC을 관통하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본 고안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차량 내의 구성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와이어하네스가 설치된다. 이때, 차량에는 상기 다수의 와이어하네스가 정확하게 설치되어 차량 내의 구성품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 고정부재를 차량에 설치하여 와이어하네스를 고정한다.
그런데,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는 와이어하네스의 두께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는 원형의 와이어하네스를 고정하기 때문에 얇은 판 형태의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FFC_ Flexible Flat Cable)를 고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10)은 원형의 와이어 하네스(미도시)를 고정하는 고정부(12)와, 상기 고정부(12)를 차량에 고정시키는 차체고정부(1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2)는 와이어 하네스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고정부(12)는 원형의 와이어 하네스의 둘레를 감싸며 고정하도록 판상의 케이블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고정부(12)는 원형의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기 위하여 적합하게 형성된 부품이기 때문에, 판형상의 FFC는 상기 고정부(12)에 용이하게 고정되지 않을 뿐 아니라, 차량에 FFC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FFC를 고정부재(10)에 고정한 후에도 FFC의 고정을 유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차량 내에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FFC_ Flexible Flat Cable)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는, 상기 FFC의 일 면이 접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일 면에 설치되며, 상기 FFC을 관통하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고안은 차량에 FFC를 설치 및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FFC를 관통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관통된 FFC가 밀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는 FFC의 부도체 영역을 관통하기 때문에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클립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FFC를 파손 없이 고정장치에 설치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장치가 구성품에 설치될 때, 상기 지지부재가 FFC와 구성품을 밀착시킨다. 이로 인하여 FFC가 구성품에 들뜨지 않고, FFC가 설치되는 설치 위치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장치의 고정부재의 단부에 돌부를 형성하여, 지지부재에 밀착된 FFC와 구성품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FFC의 전기적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장치의 고정부재의 일 단에 첨단과 구성품에 삽입되는 고정부재의 삽입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경사진 걸림부를 형성한다. 상기 첨단은 고정부재가 FFC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고정부재가 구성품에 삽입, 설치될 때, 고정부재의 삽입 방향의 역 방향으로 고정부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고정장치와 차량의 구성품과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고정장치와 FFC의 체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고안의 특정 상세들이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고안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고안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고정장치와 차량의 구성품과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고정장치와 FFC의 체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설명에 앞서, 본 고안에서 설명되는 FFC(Flexible Flat Cable_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은 차량의 전방 범퍼, 후방 범퍼(리어 범퍼_Rear Bumper) 등에 적용된다. 이러한 전방 범퍼 및 후방 범퍼를 차량의 구성품(20)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FFC는 차량의 범퍼 이외의 다양한 부위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00)는 차량(미도시)에 FFC(50)을 설치 및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FFC(50)의 일 면이 접하는 지지부재(120) 및 상기 지지부재(120)의 일 면(122)에 설치되며, FFC(50)를 관통하는 복수의 고정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FFC(50)의 단변(短邊)(S)을 따라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120)가 FFC(50)의 단변(S)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장치(100)는 FFC(50)의 장변(長邊)(L)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고정장치(100)에 설치된 FFC(50)를 핸들링(Handling)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고정장치(100)가 설치되어야 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재(120)를 FFC(50)의 장변(L)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하여 FFC(50)의 장변(L)을 충분히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20)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왜냐하면, FFC(50)가 지지부재(120)의 일 면(122)과 면접하여 FFC(50)를 고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지부재(120)가 판형으로 형성되면서 FFC(50)를 파손하지 않고 구성품(20)에 완전 밀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지지부재(120)는 FFC(50)와 밀착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지지부재(120)의 재질에 의하여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부재(140)는 지지부재(120)의 일 면(122)에 FFC(50)의 단변(S)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며, FFC(50)의 부도체(54) 영역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고정부재(140)는 한 쌍이 FFC(50)의 단변(S)의 방향을 따라 FFC(50)의 부도체(54)에 대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120)의 일 면에 설치된다. 이로 인하여, 고정부재(140)는 FFC(50)의 부도체(54) 영역만을 관통하기 때문에 FFC(50)의 도체(52) 영역을 파손하지 않고, FFC(50)를 관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140)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면, 고정부재(140)의 일 단에 형성되고, 구성품(20)에 삽입되어 고정부재(140)가 구성품(20)에 체결되도록 하는 첨단(142)을 포함한다. 상기 첨단(142)은 고정부재(140)가 보다 쉽게 FFC(50)를 관통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고정부재(140)가 구성품(20)에 삽입될 때, 상기 구성품(20)에 고정부재(140)의 삽입이 용이하게 한다.
상기 FFC(50)는 고정부재(140)가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56)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홀(56)은 고정부재(140)가 FFC(50)를 과도한 힘으로 관통하여 FFC(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고정부재(140)가 FFC(50)를 정확한 위치에서 관통되게 한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고정부재(140)는 FFC(50)의 타 면과 인접한 고정부재(140)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돌부(146)와, 상기 첨단(142)과 인접한 고정부재(140)의 일 단에 형성되며, 상기 구성품(20)에 삽입된 첨단(142)이 고정부재(140)의 삽입방향의 역 방향으로 상기 첨단(142)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돌부(146)는, 첨단(142)이 구성품(20)에 삽입, 설치되면 FFC(50)과 구성품(20) 사이에서 FFC(50)과 구성품(20)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한다. 즉, 돌부(146)는 고정장치(100)에 관통된 FFC(50)가 지지부재(120)의 일 면(122)에 접하고, 첨단(142)이 구성품(20)에 삽입되면서 고정장치(100)가 구성품(20)에 설치될 때, 상기 구성품(20)과 FFC(50) 사이에 위치한다. 이로 인하여 FFC(50)와 구성품(20) 사이에 상기 돌부(146)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돌부(146)에 의하여 FFC(50)의 회로와 구성품(20)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 쇼트가 발생하거나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부(146)는 지지부재(120)의 일 면(122)에서 이격된다. 왜냐하면, 지지부재(120)의 일 면(122)에는 후술할 접촉방지패드(160)가 설치되기 때문이다. 상기 접촉방지패드(160)에 대해 살펴보면, 접촉방지패드(160)는 지지부재(120)의 일 면(122)에 설치되어 지지부재(120)의 일 면(122)과 FFC(50)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접촉방지패드(160)는 FFC(50)가 지지부재(120)의 일 면(122)에 들뜨지 않고 완전히 밀착되게 한다. 이러한 접촉방지패드(160)는 고무, 실리콘 또는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접촉방지패드(160)의 재질에 의해 본 고안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돌부(146)는 고정부재(140)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르게는 별도로 성형한 후 고정부재(140)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촉방지패드(160)는 고정장치(100)를 형성할 때, 고정장치(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지지부재(120) 및 고정부재(140)와 별도로 형성되어, FFC(50)가 고정장치(100)에 설치되기 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접촉방지패드(160)는 지지부재(1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140)의 첨단(142)이 관통되는 복수의 홀(162)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걸림부(144)는 일 단은 고정부재(140)에 고정되고, 타 단은 고정부재(140)에서 분리되며, 상기 타 단에서 일 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44)는 고정부재(140)의 첨단(142)이 구성품(20)에 체결되면 첨단(142)이 구성품(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로, 걸림부(144)가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첨단(142)이 구성품(20)에 삽입, 체결되면, 구성품(20)의 내의 갈고리 역할을 하여 첨단(142)이 구성품(20)에 체결되는 방향의 역 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FFC(50)의 관통홀(56)은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FFC(50)가 지지부재(120)의 일 면(122)에 접하기 위해서는 돌부(146)를 통과해야 한다. 상기 과정에서 관통홀(56)의 크기가 돌부(146)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관통홀(56)이 용이하게 돌부(146)를 관통하게 되는데, 관통홀(56)이 돌부(146)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관통홀(56)을 관통한 돌부(146)가 역으로 빠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FFC(50)의 관통홀(56)을 타원형으로 형성한다. 예시적으로 관통홀(56)의 제1 직경(d₁)을 돌부(146)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관통홀(56)의 제2 직경(d₂)을 돌부(146)의 직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관통홀(56)을 타원형을 형성하기 때문에 돌부(146)가 관통홀(56)의 제1 직경(d₁)을 통해 통과할 수 있으며, FFC(50)가 지지부재(120)의 일 면(122)에 면접하면, 관통홀(56)의 제2 직경(d₂)에 돌부(146)가 걸려 FFC(50)의 관통홀(56)이 돌부(146)를 역으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40)는 상기 FFC(50)의 관통홀(56)을 경사지게 관통한다. 왜냐하면, 관통홀(56)의 제2 직경(d₂)이 돌부(146)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돌부(146)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돌부(146)의 직경보다 큰 제1 직경(d₁)을 따라 돌부(146)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FFC(50)는 관통홀(56)의 제1 직경(d₁)이 돌부(146)를 관통하도록 경사지게 고정부재(140)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차량에 FFC(50)를 설치 및 고정하는 고정장치(100)가 FFC(50)를 관통하는 고정부재(140)와 상기 고정부재(140)에 관통된 FFC(50)가 밀착되는 지지부재(12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140)는 FFC(50)의 부도체(54) 영역을 관통하기 때문에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클립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FFC(50)를 파손 없이 고정장치(100)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장치(100)가 구성품(20)에 설치될 때, 상기 지지부재(120)가 FFC(50)와 구성품(20)을 밀착시킨다. 이로 인하여 FFC(50)가 구성품(20)에 들뜨지 않고, FFC(50)가 설치되는 설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장치(100)의 고정부재(140)의 단부에 돌부(146)를 형성하여, 지지부재(120)에 밀착된 FFC(50)와 구성품(20)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FFC(50)의 전기적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장치(100)의 고정부재(140)의 일 단에 첨단(142)과 구성품(20)에 삽입되는 고정부재(140)의 삽입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경사진 걸림부(144)를 형성한다. 상기 첨단(142)은 고정부재(140)가 FFC(50)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144)는 고정부재(140)가 구성품(20)에 삽입, 설치될 때, 고정부재(140)의 삽입 방향의 역 방향으로 고정부재(14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50: FFC 56: 관통홀
100: 고정장치 120: 지지부재
140: 고정부재 142: 첨단
144: 걸림부 146: 돌부
160: 접촉방지패드

Claims (9)

  1. 차량 내에 FFC(FFC_ Flexible Flat Cable)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FFC의 일 면이 접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일 면에 설치되며, 상기 FFC을 관통하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일 단에 형성되며, 상기 차량 내의 구성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구성품에 체결되도록 하는 첨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FFC의 타 면과 인접한 상기 고정부재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돌부와,
    상기 첨단과 인접한 상기 고정부재의 일 단에 형성되며, 상기 구성품에 삽입된 상기 첨단이 삽입 방향의 역 방향으로 첨단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FFC는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타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 면에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일 단은 상기 고정부재의 일 단에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고정부재에서 분리되며, 상기 걸림부의 타 단에서 상기 걸림부의 일 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 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일 면과 상기 FFC의 일 면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는 접촉방지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접촉방지패드는, 고무, 실리콘 또는 실리콘 고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KR2020140005262U 2014-07-14 2014-07-14 고정장치 KR200478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262U KR200478422Y1 (ko) 2014-07-14 2014-07-14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262U KR200478422Y1 (ko) 2014-07-14 2014-07-14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422Y1 true KR200478422Y1 (ko) 2015-10-06

Family

ID=5434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262U KR200478422Y1 (ko) 2014-07-14 2014-07-14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4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3774B2 (en) * 2018-06-26 2022-03-1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Wire harness with short-long sides overlapping flat wir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6120A (ja) 1997-09-19 2001-05-08 リアー オートモーティブ ディアボー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配線ハーネスアセンブリ
JP2004297883A (ja) 2003-03-26 2004-10-21 Yazaki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クランプおよびフラットケーブルの支持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6120A (ja) 1997-09-19 2001-05-08 リアー オートモーティブ ディアボー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配線ハーネスアセンブリ
JP2004297883A (ja) 2003-03-26 2004-10-21 Yazaki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クランプおよびフラットケーブルの支持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3774B2 (en) * 2018-06-26 2022-03-1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Wire harness with short-long sides overlapping flat wi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13599A1 (en) Connector
US6333855B2 (en) Device for the spaced mounting of a printed circuit board on an electrically conducting carrier
CA2885948C (en) Integral grounding hub
KR200478422Y1 (ko) 고정장치
ATE545175T1 (de) Anordnung zur mehrfachverbindung bei einer elektrischen vorrichtung
US20040248455A1 (en) Retainer clip for ribbon cable connectors
KR200473365Y1 (ko) 밴드케이블
US9768551B2 (en) Plug-type connector
BR102015018570B1 (pt) Módulo de soquete para um dispositivo eletrocirúrgico; dispositivo eletrocirúrgico, e, conjunto com um módulo de soquete e uma ferramenta de remoção
KR101820143B1 (ko) 배선장치
JP4023685B2 (ja) 固定具
JP2010251229A (ja) 電子機器
KR200388148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KR20150146243A (ko)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
KR20160000451U (ko) 전기배선관 커넥터
JP2016054076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クランプ
US9379530B2 (en) Grommet with spreader mounting feature
KR100637696B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KR20160004861A (ko) 전자부품 장착장치
JP2016143819A5 (ko)
US9608376B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KR101830436B1 (ko) 배선장치
JP3174229U (ja) 結束用バンドの固定具の着脱機構
KR101830435B1 (ko) 배선장치
JP3515515B2 (ja) 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