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073B1 - 걸레 청소기 - Google Patents

걸레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073B1
KR101557073B1 KR1020150038559A KR20150038559A KR101557073B1 KR 101557073 B1 KR101557073 B1 KR 101557073B1 KR 1020150038559 A KR1020150038559 A KR 1020150038559A KR 20150038559 A KR20150038559 A KR 20150038559A KR 101557073 B1 KR101557073 B1 KR 101557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p
unit
driv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욱
Original Assignee
김용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욱 filed Critical 김용욱
Priority to KR1020150038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073B1/ko
Priority to PCT/KR2016/002831 priority patent/WO20161532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1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8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282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having rotary tool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베이스 본체, 베이스 본체에 무한궤도로 주행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레벨트, 베이스 본체에 설치되어 걸레벨트를 지지하여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걸레 지지유닛, 걸레 지지유닛에 지지된 걸레벨트를 주행 구동시키기 위한 벨트 구동부, 걸레 지지유닛에 지지된 걸레벨트의 텐션을 조절하여 걸레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 텐션 조절부, 베이스 본체에 연결되어 걸레벨트의 주행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베이스 본체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부 및, 스탠드부의 상단에 연결되되며, 전원스위치가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청소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걸레 청소기{Dustcloth cleaner}
본 발명은 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추진하면서 걸레 청소를 할 수 있는 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경우 온돌문화 및 거실문화가 발달되어 있어서 걸레를 이용하여 거실과 방바닥 등을 청소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기존의 걸레를 이용한 청소방법이 어렵다는 이유로, 대표적인 걸레청소기로서 스팀청소기가 널리 보급된 바 있다. 이러한 스팀청소기는 청소기의 하부에 걸레를 부착하고, 그 걸레로 스팀을 분사하여 고온 스팀에 의해 젖은 걸레를 이용하여 청소면을 청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스팀청소기의 경우, 스팀에 의해 젖은 걸레와 청소면 사이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청소기를 이동하면서 물걸레 청소하기 위해서는 큰 힘이 필요하며, 따라서 물걸레 청소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주부들에게는 매우 힘든 청소작업일 수밖에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2777호(물걸레 청소기)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롤러 사이에 걸레부를 연결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롤러의 정방향 또는 정방향 회전에 의해 걸레부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주행하면서 청소면을 걸레질하여 청소하게 되는데, 이 경우 걸레부가 주행하면서 청소면을 청소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걸레부와 청소면과의 충분한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걸레부의 주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청소기를 밀거나 잡아당겨야 하므로 역시 청소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렇지 않고, 청소기에 당기거나 미는 힘을 가하지 않을 경우, 걸레부의 주행력에 의해 그대로 청소기가 이동하게 되므로 청소면에 대해 청소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2777호(물걸레 청소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걸레의 주행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청소기를 자동으로 주행시켜 줌으로써 청소면의 청소기능을 향상시키고 힘을 들이지 않고 편안하게 청소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걸레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걸레 청소기는, 베이스 본체; 상기 베이스 본체에 무한궤도로 주행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레벨트; 상기 베이스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걸레벨트를 지지하여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걸레 지지유닛; 상기 걸레 지지유닛에 지지된 걸레벨트를 주행 구동시키기 위한 벨트 구동부; 상기 걸레 지지유닛에 지지된 걸레벨트의 텐션을 조절하여 걸레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 텐션 조절부; 상기 베이스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걸레벨트의 주행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상기 베이스 본체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부; 상기 스탠드부의 상단에 소정 거리 왕복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본체를 미는 동작과 당기는 동작시, 상기 손잡이의 상기 스탠드부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방향을 각각 감지하여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방향을 전진, 후진 및 중립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방향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본체는, 양측으로 개방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캠축; 및 상기 캠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하우징에 상기 스탠드부와 상기 구동유닛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레 지지유닛은, 상기 걸레벨트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롤러; 상기 지지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하우징 양측에 서로 대칭되며, 서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롤러 구동부는, 상기 롤러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벨트 구동모터; 상기 벨트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며, 상기 모터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지지롤러 내측에 접촉되는 구동 기어; 및 상기 지지롤러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에 기어 연결되는 랙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텐션 조절부는, 상기 캠축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하우징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동부재;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롤러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하우징의 회전시 상기 한 쌍의 가동부재는 상기 캠축의 캠부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서로 접근 및 이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2하우징에 결합되는 원통형이 결합하우징과, 상기 결합하우징의 양단에서 걸레 청소기의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하우징을 가지는 지지하우징; 상기 한 쌍의 연장하우징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롤러유닛; 및 상기 지지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유닛을 회전구동시키는 롤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방향 결정부는,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의 이동시 상기 스탠드부 단부의 삽입결합부에 간섭되어 스위칭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손잡이의 이동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스위칭신호를 발생시키는 방향 설정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스탠드부의 스탠드 자세시 상기 스탠드부에 접촉되어 상기 걸레 구동부 및 상기 롤러구동유닛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에 설치되는 안전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삭제
본 발명의 걸레 청소기에 따르면, 걸레를 벨트타입으로 설치하여 주행시키면서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으며, 이때 청소기 본체를 롤러구동유닛을 이용하여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청소할 수 있게 되어 걸레 청소시 힘을 들이지 않고 편안하게 청소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손잡이를 잡고 미는 경우에는 청소기가 전진방향으로 구동되어 이동되고,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후진방향으로 구동되어 이동되므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편안하게 걸레 청소를 할 수 있다.
또한, 걸레 벨트와 롤러구동유닛이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쉽게 교체 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레 청소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베이스 본체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베이스 본체를 발췌하여 보인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걸레 지지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텐션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은 구동유닛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스탠드부와 구동유닛의 결합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구동유닛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롤러구동유닛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롤러 구동부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걸레 청소기의 측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스탠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방향 결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레 청소기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레 청소기(100)는, 베이스 본체(110)와, 베이스 본체(110)에서 무한궤도로 주행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레벨트(120)와, 걸레벨트(120)를 지지하여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걸레 지지유닛(130)과, 걸레 지지유닛(130)에 지지된 걸레벨트(120)를 주행 구동시키기 위한 벨트 구동부(140), 상기 걸레 지지유닛(130)에 지지된 걸레벨트(120)의 텐션을 조절하여 걸레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 텐션 조절부(150), 상기 베이스 본체(110)에 연결되어 상기 걸레벨트(120)의 주행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160), 상기 베이스 본체(1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부(170)와, 스탠드부(170)의 상단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손잡이(180), 상기 손잡이(18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구동유닛(160)의 구동방향이 결정되도록 하는 방향 설정부(190)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본체(110)는 제1하우징(111)과, 제1하우징(1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캠축(113)과, 상기 캠축(113)에 연결되며 제1하우징(111)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2하우징(115)을 구비한다. 제1하우징(111)은 상판 및 하판을 가지며, 양측으로는 개방된 구조로서,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중앙부부에 캠축(113)이 가로질러 장착된다. 캠축(113)은 제1하우징(111)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제1하우징(11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2하우징(115)과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제2하우징(115)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캠축(113)의 양단부에는 원통형으로서 제1하우징(11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부(113a)가 마련되며, 지지축부(113a) 사이에는 비원형상의 캠부(113b)가 마련된다. 그리고 캠축(113)은 제1하우징(111)의 외부로 연장되어 제2하우징(115)에 연결된다.
제2하우징(115)은 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탠드부(170)와 구동유닛(160)이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제2하우징(115)은 그 내부에 구동유닛(160)이 양단으로 관통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양단으로 관통 형성된 통 구조를 가진다.
또한, 제2하우징(115)과 구동유닛(160) 사이에 스탠드부(17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스탠드부(170)의 회동을 가이드하고 외부로 돌출되도록 제2하우징(115)의 중앙부분에는 스탠드 가이드슬릿(115a)이 형성된다.
상기 걸레벨트(120)는 걸레 지지유닛(130)에 지지되어 무한궤도를 주행하면서 청소면을 닦아서 청소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걸레벨트(120)는 내측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외측은 면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재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기 걸레 지지유닛(130)은 걸레벨트(120)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롤러(131)와, 지지롤러(13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하우징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지지프레임(133)을 구비한다.
지지롤러(131)는 한 쌍이 제1하우징(111)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지지롤러(131)는 벨트 구동부(140)에 의해 회전구동되도록 롤러 지지프레임(13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하우징(111)의 양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롤러 지지프레임(133)은 제1하우징(111)의 개방된 측면으로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제1하우징(111)의 내외로 소정 거리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롤러 지지프레임(133)에는 왕복 이동을 가이드 하는 장공(133a)이 복수 형성되며, 장공(133a)에 대응되도록 제1하우징(111)에는 가이드돌기가 설치된다. 또한, 롤러 지지프레임(133)의 외측에는 지지롤러(13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 지지축(133b)이 설치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롤러 지지유닛(130)은 한 쌍의 지지롤러(131)에 걸레벨트(120)가 지지된 상태에서 주행 가능하며, 한 쌍의 롤러 지지프레임(133)의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정도에 따라서 걸레벨트(120)의 텐션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롤러 구동부(140)는 모터 하우징(141)과, 벨트 구동모터(143)와, 구동 기어(145) 및 지지롤러(131)의 내측에 형성되는 랙기어부(147)를 구비한다.
모터하우징(141)은 한 쌍의 롤러 지지축(133b)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벨트 구동모터(143)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배터리(149) 및 구동기어(145) 까지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갖는 것이 좋다.
구동모터(143)는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 가능하며, 전원스위치(210 ; 손잡이 부분에 설치됨)에서의 온 작동 상태에서, 상기 방향 설정부(190)에서의 신호에 따라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된다. 구동모터(143)의 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145)는 모터하우징(141)에 형성된 개구부(142a)를 통해 모터 하우징(141)의 외측으로 일부분 노출되며, 노출된 부분은 지지롤러(131)의 내주에 형성된 랙기어부(147)에 기어 연결된다. 즉, 지지롤러(131)는 모터 하우징(141)의 외부를 감싸서 수용하도록 빈 원통 구조를 가지며,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구동기어(145)에 기어 연결되는 랙기어부(147)가 형성된다. 따라서, 구동기어(145)의 회전력이 랙기어부(147)를 통해 지지롤러(131)로 전달되어, 지지롤러(131)를 회전구동시킬 수 있게 도며, 결국 걸레벨트(120)를 무한궤도상에서 주행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텐션 조절부(150)는 제1하우징(111)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동부재(151)와, 가동부재(151)와 롤러 지지프레임(133)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53)를 구비한다.
가동부재(151)는 캠축(113)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대칭되게 한 쌍이 설치되며, 일측은 캠부(113b)에 접촉되고, 타측에는 탄성부재(153)가 접촉 지지가 된다. 가동부재(151)는 제1하우징(111)이 회전시 캠부(114b)의 외측면 즉, 비원형의 캠면을 따라 회전하게 되면서 서로 접근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탄성부재(153)에 발생하는 증가시키거나 약화시킨다. 가동부재(151)에는 복수의 장공(151a)이 형성되고, 제1하우징(111)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11b)에 끼워져 왕복이동시 가이드된다.
탄성부재(153)는 가동부재(151)와 롤러 지지프레임(133) 사이에 설치되어, 롤러 지지프레임(133)을 가동부재(15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한다. 이러한 탄성부재(153)에 의해 지지롤러(131)에 지지되는 걸레벨트(120)에 텐션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제1하우징(111)이 도 6과 같은 수평상태에서는 가동부재(151)가 캠부(113b)의 장폭측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탄성부재(153) 쪽으로 더 밀려서 탄성부재(153)를 최대한 탄성 가압함으로써, 걸레벨트(120)에 최대한의 텐션이 작용하도록 하여 걸레벨트(120)가 지지롤러(131)에서 분리되지 않고 충분한 마찰력을 갖고 주행이동 될 수 있다.
한편, 제1하우징(111)을 도 7과 같이 90도 각도 회전시키면, 가동부재(151)가 캠부(113b)의 단폭 측에 접촉됨으로써 한 쌍의 가동부재(151)가 서로 최대한 접근하게 되고, 탄성부재(153)에 대한 외력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지지롤러(131)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약화될 수 있고, 결국 지지롤러(131)에 지지되는 걸레벨트(120)에 작용하는 텐션이 느슨하게 되어 걸레벨트(120)를 용이하게 교체작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유닛(160)은 지지하우징(161)과, 구동롤러유닛(163), 롤러 구동부(165)를 구비한다.
지지하우징(161)은 제2하우징(115)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원통형의 결합하우징(161a)과, 결합하우징(161a)의 양단에서 걸레 청소기의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 하우징(161b)을 가진다. 결합하우징(161a)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제2하우징(115)의 내부에 결합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결합하우징(161a)의 중앙부분에는 스탠드부(170)의 회동 결합부(171)가 결합되며, 회동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홈(161c)이 환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하우징(161a)의 내부에는 후술할 롤러 구동모터()가 수용되어 설치된다. 물론, 구동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함께 수용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하우징(161b)은 결합하우징(161a)의 양단에서 후방 측으로 절곡 연장되며 내부에 공간을 가진다. 이러한 연결하우징(161b)은 결합하우징(161a)과 일체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지지하우징(161)을 상부 및 하부로 구분하여 제작한 뒤, 서로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결하우징(161b)은 한 쌍이 서로 마주하여 대칭되게 배치되며, 각각이 단부에 구동롤러유닛(163)의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된다.
상기 구동롤러유닛(163)은 외주에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외피(61)가 결합된 구동롤러 몸체(62)와, 연결하우징(161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지지축(63,64), 상기 구동롤러 몸체(62)의 양단부 각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및 제2지지축(63,64)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롤러축 부재(65) 및 한 쌍의 롤러축 부재(65)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66)를 구비한다.
구동롤러 몸체(62)는 양단으로 개방된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양단부 측에 로킹슬릿(62a)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지지축(63,64)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연결하우징(161b)의 내부에 베어링(6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일단부에 상기 롤러축 부재(65)가 삽입 결합되는 비원형의 축결합홈(63a,64a)을 가진다. 제1 및 제2지지축(63,64) 중에서 어느 하나(64)는 후술할 동력전달벨트(166c)가 결합되는 종동기어부(166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롤러축 부재(65)는 구동롤러 몸체(62)의 양단부측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서로 접근 및 이격되게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롤러축 부재(65)는 구동롤러 몸체(62)의 내측에 접촉 결합되어 지지하는 원통결합부(65a)와, 원통 결합부(65a)의 일단의 회전중심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지지축(63,64) 각각에 결합되는 결합축(65b)과, 결합축(65b)에 대응되게 원통 결합부(65a)의 타단측 회전중심에서 돌출되어 연장된 중심축(65c)을 가진다. 원통 결합부(65a)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탄력적으로 변형되며, 상기 구동롤러 몸체(62)에 형성된 로킹슬릿(62a)에 로킹 결합되는 탄성후크(65d)가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후크(65d)가 로킹슬릿(62a)에 탄력적으로 로킹결합되면, 롤러축 부재(65)를 구동롤러 몸체(62)의 내측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고,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로킹슬릿(62a)에 의해 탄성후크(65d)가 축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므로, 구동롤러 몸체(62)의 외측에서 롤러축 부재(65)를 구동롤러 몸체(62) 내측으로 밀어넣으면, 상기 탄성부재(66)가 압축되면서 이동되어 결합축(65b)이 제1 및 제2지지축(63,64)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동롤러유닛(163)을 분리한 뒤, 구동롤러 몸체(62) 외측의 외피(61)가 마모되면 새것으로 용이하게 교체하여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분재(66)는 한 쌍의 롤러축 부재(65)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 이격되도록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결합축(65b)이 제1 및 제2지지축(63,64)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롤러 구동부(165)로부터 동력을 확실하게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롤러 구동부(165)는 지지하우징(161) 내부에 설치되는 롤러 구동모터(165a)와, 롤러 구동모터(165a)의 동력을 상기 구동롤러유닛(163)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65b)를 구비한다. 롤러 구동모터(165a)는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 가능하며, 상기 방향설정부(190)에서의 스위칭신호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이 제어된다. 이러한 롤러 구동모터(165a)는 결합하우징(161a)의 내부에 수용되어 설치되며, 그 롤러 구동모터(165a)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65c)도 결합하우징(161a)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동력전달부(165b)는 롤러 구동모터(165a)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166a)와, 상기 제2지지축(64)에 설치되는 종동기어부(166b) 및 동력전달벨트(166c)를 구비한다. 동력전달벨트(166c)는 타이밍벨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하우징(161b)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기어(166a)와 종동기어부(166b) 사이를 주행하면서 동력을 전달한다. 종동기어부(166b)는 제2지지축(64)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 될 수도 있다.
상기 스탠드부(170)는 베이스 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결합부(171)와, 회동 결합부(171)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스탠드 몸체(173)를 구비한다. 회동결합부(171)는 앞서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서, 제2하우징(115)과 지지하우징 즉, 결합하우징(161a)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탠드 몸체(173)는 회동 결합부(171)에서 상부로 소정거리로 연결된다. 이러한 스탠드 몸체(173)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내지 제3연결파이프(173a,173b,173c)가 서로 연결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연결파이프(173a)는 회동결합부(171)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2연결파이프(173b)는 하단이 제1연결파이프(173a)와 결합되고, 상단은 제3연결파이프(173c)의 하단과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연결파이프(173c)의 상단에는 손잡이(180)가 소정 거리 왕복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3연결파이프(173c)와 제2연결파이프(173b)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회동동작을 허용하거나 방지하는 후크버튼(174)과, 복귀 스프링(175)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재(174)는 상단이 제3연결파이프(173c)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하단측에 제2 및 제3연결파이프(173b,173c)에 형성된 로킹홈에 로킹결합되는 걸림후크가 형성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175)은 후크버튼(174)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 가압하여, 도 16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후크버튼(174)이 눌린 상태에서는 도 17과 같이 압축되며 후크버튼(174)의 후크가 로킹홈에서 분리되어 제3연결파이프(173c)를 각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탠드부(170) 전체를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지면에 대해 각도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 후 세워놓은 상태에서 스탠드부(170)가 자연스럽게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탠드 후크돌기(176)가 회동결합부(171)의 외측에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 본체(110)의 내측에는 후크돌기(176)가 로킹결합되는 로킹홈을 가지는 로킹부재(177)가 설치된다.
또한, 도 15와 같이, 스탠드부(170)가 세워진 상태에서는 청소기의 구동이 멈추도록 하기 위한 안전스위치(178)가 스탠드부(170)의 회동결합부(171)에 대응되도록 베이스 본체(110)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 14의 상태에서 도 15의 자세로 스탠드부(170)가 세워지면, 후크돌기(176)가 로킹부재(177)에 끼워져 고정되고, 회동결합부(171)가 안전스위치(178)를 간섭하여 전원이 강제로 차단되도로 하여 걸레벨트(120)와 구동롤러유닛(162)의 회전이 멈추도록 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180)는 스탠드부(170)의 상단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스탠드부(170)의 상단에 소정 거리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스탠드부(170)에는 전원스위치(210)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스탠드부(170)의 상단에는 손잡이(180)의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부(176a)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80)의 내측으로 삽입결합되는 삽입결합부(176b)가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결합부(176a)에는 장공(176c)이 형성되고, 손잡이(180)에는 장공(176c)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181)가 형성된다. 따라서, 손잡이(180)를 스탠드부(170)에 대해 전진 및 후진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방향 결정부(190)는 상기 전원스위치(210)가 스위칭 온 된 상태에서, 구동유닛(160) 즉, 구동롤러유닛(163)의 정방향(전진방향) 구동 또는 역방향(후진방향) 구동 또는 중립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방향 결정부(190)는 손잡이(180)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방향 설정스위치(191)를 구비한다. 방향 설정스위치(191)는 그 접촉부(191a)가 삽입결합부(176a)의 단부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손잡이(180)를 밀면 손잡이(180)가 도 18과 같이, 스탠드부(170) 내부로 완전히 진입되도록 이동되고, 방향 설정스위치(191)의 접촉부(191a)는 삽입결합부(176a)의 단부에 접촉 가압되어 스위칭됨으로써, 전진모드로 결정되어 구동롤러유닛(163)이 정방향으로 구동제어된다. 즉, 사용자가 손잡이(180)를 잡고 청소기를 미는 경우, 미는 힘에 의해 손잡이(180)가 스탠드부(170) 내부로 밀려 들어가면서 방향 설정스위치(191)가 전진모드로 결정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180)를 잡고 밀면서 청소작업을 하면, 구동롤러유닛(163)에 의해 청소기가 전진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미는 힘만으로도 청소기를 이동시켜가면서 걸레 청소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손잡이(180)를 밀거나 잡아당기지 않는 경우에는 도 19와 같이, 손잡이(180)가 중립위치에 위치하고, 이 경우 삽입결합부(176a)에 접촉부(191a)가 절반정도 접촉되어 눌린 상태로서, 이 경우에는 중립모드로 결정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구동롤러유닛(163)이 중립상태가 되어, 구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청소기는 전진 또는 후진되지 않고 정지상태로 유지된다.
반대로, 도 20과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180)를 잡아당기게 되면, 접촉부(191a)가 삽입결합부(176a)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후진모드로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구동롤러유닛(163)이 후진구동됨으로써, 청소기가 후진이동될 수 있도록 구동되어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후진하면서 청소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레 청소기(100)는, 전원스위치(210)를 켠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180)를 잡고 밀거나 당기게 되면, 걸레 벨트(120)는 주행운동하면서 청소면을 청소하게 되고, 롤러 구동유닛(160)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면서 청소기가 전진 또는 후진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는 달이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걸레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걸레 벨트(120)의 교체 및 장착작업은 물론, 롤러구동유닛(160)의 분리 및 장착이 가능하고 용이하므로, 걸레 벨트(120)와 롤러구동유닛(160)를 편리하게 교체작업할 수 있어 청소작업이 보다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걸레 청소기 110..베이스 본체
120..걸레벨트 130..걸레 지지유닛
140..벨트 구동부 150..텐션 조절부
160..구동유닛 170..스탠드부
180..손잡이 190..방향 설정부

Claims (8)

  1. 베이스 본체;
    상기 베이스 본체에 무한궤도로 주행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레벨트;
    상기 베이스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걸레벨트를 지지하여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걸레 지지유닛;
    상기 걸레 지지유닛에 지지된 걸레벨트를 주행 구동시키기 위한 벨트 구동부;
    상기 걸레 지지유닛에 지지된 걸레벨트의 텐션을 조절하여 걸레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 텐션 조절부;
    상기 베이스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걸레벨트의 주행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상기 베이스 본체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부;
    상기 스탠드부의 상단에 소정 거리 왕복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본체를 미는 동작과 당기는 동작시, 상기 손잡이의 상기 스탠드부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방향을 각각 감지하여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방향을 전진, 후진 및 중립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방향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는,
    양측으로 개방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캠축; 및
    상기 캠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하우징에 상기 스탠드부와 상기 구동유닛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결정부는,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의 이동시 상기 스탠드부 단부의 삽입결합부에 간섭되어 스위칭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손잡이의 이동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스위칭신호를 발생시키는 방향 설정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 청소기.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2하우징에 결합되는 원통형이 결합하우징과, 상기 결합하우징의 양단에서 걸레 청소기의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하우징을 가지는 지지하우징;
    상기 한 쌍의 연장하우징에 회전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롤러유닛; 및
    상기 지지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유닛을 회전구동시키는 롤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 청소기.
  7. 삭제
  8. 삭제
KR1020150038559A 2015-03-20 2015-03-20 걸레 청소기 KR101557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559A KR101557073B1 (ko) 2015-03-20 2015-03-20 걸레 청소기
PCT/KR2016/002831 WO2016153243A1 (ko) 2015-03-20 2016-03-21 걸레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559A KR101557073B1 (ko) 2015-03-20 2015-03-20 걸레 청소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372A Division KR101635591B1 (ko) 2015-06-04 2015-06-04 걸레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073B1 true KR101557073B1 (ko) 2015-10-05

Family

ID=5434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559A KR101557073B1 (ko) 2015-03-20 2015-03-20 걸레 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57073B1 (ko)
WO (1) WO201615324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863A (ko) * 2017-01-11 2018-07-19 김용욱 청소기
CN114631755A (zh) * 2022-03-17 2022-06-17 深圳甲壳虫智能有限公司 一种履带式清洁件支架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272B1 (ko) * 2017-09-29 2019-07-04 주식회사 아너스 회전식 걸레 청소기
TWI702027B (zh) * 2019-06-18 2020-08-21 丁明哲 拖把
WO2023050776A1 (zh) * 2021-09-30 2023-04-06 深圳市杉川机器人有限公司 一种地刷及洗地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863B1 (ko) 2005-04-28 2007-01-1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자동추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9294A (ja) * 2000-03-23 2001-10-02 Sharp Corp 電気掃除機
KR20040100189A (ko) * 2003-05-21 2004-12-02 김정태 벨트식걸레.
KR20070118578A (ko) * 2007-12-07 2007-12-17 이바도 위성 방식의 청소로봇 시스템
KR101522177B1 (ko) * 2013-08-22 2015-05-28 경성오토비스 주식회사 청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863B1 (ko) 2005-04-28 2007-01-1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자동추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863A (ko) * 2017-01-11 2018-07-19 김용욱 청소기
CN114631755A (zh) * 2022-03-17 2022-06-17 深圳甲壳虫智能有限公司 一种履带式清洁件支架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53243A1 (ko)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073B1 (ko) 걸레 청소기
US20030204923A1 (en) Cleaning implement
CN110567830B (zh) 一种纺织布料耐磨度检测装置
CN114468851A (zh) 清洁设备
KR20210002902U (ko) 로봇 청소기용 클리닝 장치
KR101635591B1 (ko) 걸레 청소기
KR101183116B1 (ko) 유리창 청소기구
KR20140033983A (ko) 안정하게 탈부착되는 고무 블레이드를 구비한 유리창 청소기구
EP1455629B1 (en) Cleaning implement
JP4578300B2 (ja) 清掃部材保持具
KR101803892B1 (ko) 걸레장착드럼 착탈형 수직회전식 물걸레청소기
KR101506191B1 (ko) 청소기
CN114504281A (zh) 清洁系统及其清洁模块拆装组件
US11350805B2 (en) Window cleaning tool
CN110840338A (zh) 清洁组件及清洁机器人
KR20180102897A (ko) 청소기
KR101773068B1 (ko) 카트리지타입 걸레가 구비된 밀대 청소기
CN111012248A (zh) 清洁组件及清洁机器人
CN217471893U (zh) 一种拖把
JP2006280424A (ja) 電気掃除機
CN219109320U (zh) 一种清洁装置
CN218165161U (zh) 一种使用方便的清洁装置
CN217959975U (zh) 清洁设备
CN219661394U (zh) 一种鞋拔子
CN213787215U (zh) 具有新型结构的清洁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