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982B1 -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982B1
KR101556982B1 KR1020130167871A KR20130167871A KR101556982B1 KR 101556982 B1 KR101556982 B1 KR 101556982B1 KR 1020130167871 A KR1020130167871 A KR 1020130167871A KR 20130167871 A KR20130167871 A KR 20130167871A KR 101556982 B1 KR101556982 B1 KR 101556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welding tip
cylinder
ti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8483A (ko
Inventor
조용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30167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982B1/ko
Publication of KR20150078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는 상, 하부 용접건을 갖는 스폿 용접기가 구비된 작업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용접건 또는 상기 하부 용접건에 장착되어 마모된 용접팁을 탈거시키는 용접팁 탈거유닛; 상기 용접팁 탈거유닛의 후방에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각 용접건의 선단에 장착될 새로운 상기 용접팁을 공급하는 용접팁 공급유닛; 및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용접팁을 공급받아 상기 상부 용접건 또는 상기 하부 용접건의 선단에 상기 용접팁을 장착하는 용접팁 장착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WELDING TIP CHANGE APPARATUS FOR SPOT WELDING}
본 발명은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폿 용접기의 상, 하부 용접건에 장착된 용접팁의 마모 시에 마모된 용접팁을 제거하면서 새로운 용접팁을 자동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 조립공정 중, 2장의 패널을 용착시키는 방법으로는 스폿 저항 용접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스폿 저항 용접은 패널 표면에 압력을 가하면서 통전을 통하여 전기저항을 형성해서 용접열을 발생시켜 용접하는 전기 저항 용접이다.
상기 스폿 저항 용접은 통상적으로 용접용 로봇에 의해 실시되고 있고, 상기 용접용 로봇의 선단부에는 스폿 용접건이 구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스폿 용접건은 고정 전극로드(1; 즉, 홀더) 및 가동 전극로드(3; 즉, 샹크)와, 상기 고정 전극로드(1) 및 가동 전극로드(3)의 각 단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각각의 용접팁(5)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전극로드(3)를 구동하기 위한 가압력을 생성하도록 용접건 구동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용접팁(5)은 상기 고정 전극로드(1)와 가동 전극로드(3)의 선단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장착되며, 그 선단부의 직경은 예를 들면 6mm이고, 다른 부위는 16mm 정도의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스폿 용접건은 용접되어야 할 2자의 패널(10)을 상기 고정 전극로드(1)와 가동 전극로드(3) 사이에 끼워서 용접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동 전극로드(1)와 고정 전극로드(3) 사이에 패널(10)을 끼워서 반복적으로 용접을 실시하게 되면, 상기 용접팁(5)의 선단부가 압력과 열에 의해 마모되고, 마모가 허용 한계치 이상으로 진행되면 용접 불량이 발생되므로 주기적으로 용접팁(5)을 교체해 주어야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용접팁(5)을 교체할 경우, 작업자가 파이프 렌치 및 망치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교체하고 있으므로, 교체 시간이 길어져서 생산성이 저하되고, 교체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작업라인으로 들어가 로봇에 장착된 스폿 용접건에서 용접팁을 교환하는 바, 작업자가 위험요소에 많이 노출되며, 망치를 사용해 용접팁(5)을 교체하여 장착할 경우, 용접팁에서 부분파손이 발생되거나 상, 하부 용접건의 위치가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폿 용접기의 상, 하부 용접건에 장착된 용접팁의 마모 시에 상, 하부 용접건의 용접팁을 자동으로 교체함으로써, 용접팁 교체 및 정렬에 따른 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교체 공정의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는 상, 하부 용접건을 갖는 스폿 용접기가 구비된 작업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용접건 또는 상기 하부 용접건에 장착되어 마모된 용접팁을 탈거시키는 용접팁 탈거유닛; 상기 용접팁 탈거유닛의 후방에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각 용접건의 선단에 장착될 새로운 상기 용접팁을 공급하는 용접팁 공급유닛; 및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용접팁을 공급받아 상기 상부 용접건 또는 상기 하부 용접건의 선단에 상기 용접팁을 장착하는 용접팁 장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용접팁 탈거유닛은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일단부가 돌출되게 장착되며, 돌출된 일단부에 탈거홀이 형성되는 탈거 플레이트; 상기 탈거홀에 대응하여 상기 탈거 플레이트의 일단부 상면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에 대응하여 상기 탈거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탈거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클램핑 블록; 및 상기 탈거 플레이트의 타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클램핑 블록에 작동로드가 연결되는 클램핑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탈거홀에 대응하는 일측면에 상기 용접팁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홈은 상기 고정블록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단면의 형상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면에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지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블록은 상기 지지홈에 대응하는 일면에 높이방향을 따라 클램핑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홈은 단면의 형상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면에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클램핑 돌기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실린더는 그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 또는 그 작동압을 유압으로 하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은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후방에 장착되는 작동 실린더; 상기 작동 실린더의 작동로드에 후면이 장착되는 연결 블록; 상기 연결 블록의 상부에 장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상기 용접팁이 구비되는 공급 하우징; 및 상기 공급 하우징의 후방에서 작동로드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관통홀 내부에 구비된 상기 용접팁을 상기 공급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급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실린더는 그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 또는 그 작동압을 유압으로 하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급 하우징은 상기 용접팁 장착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 실린더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용접팁 장착유닛의 상부를 향하여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은 내부에 적재된 다수개의 새로운 상기 용접팁을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으로 하나씩 투입하는 용접팁 피딩유닛이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용접팁 피딩유닛은 일단이 개구되어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의 일측에 장착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용접팁이 적재되는 적재 하우징; 및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로드가 상기 적재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적재 하우징의 타단에 장착되고, 상기 적재 하우징의 내부에 적재된 다수개의 상기 용접팁을 하나씩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으로 투입하는 피딩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적재 하우징은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상면에 덮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상기 적재 하우징의 상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피딩 실린더는 그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 또는 그 작동압을 유압으로 하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접팁 장착유닛은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전방에 배치되는 승하강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 상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하부에 작동로드가 연결되는 승하강 실린더; 회전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상면에 장착되는 회전 실린더; 상기 회전 실린더의 회전로드에 장착되는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일면에 장착되며,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용접팁을 고정하는 용접팁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실린더는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 또는, 작동압을 유압으로 하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접팁 고정수단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일면에 장착되는 고정 실린더; 상기 고정 실린더의 상부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고정 실린더에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고정 실린더의 중심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슬라이딩 로드; 및 상기 슬라이딩 로드에 장착되어 상기 용접팁의 외주면을 고정하는 클램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로드는 상기 고정 실린더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주면 둘레를 따라 90°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실린더는 작동압 공급 여부에 따라 각각의 상기 슬라이딩 로드를 중심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키거나, 외주면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4축 핑거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 실린더는 그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 또는 그 작동압을 유압으로 하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는 상기 승하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한 상승 또는 하강 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가이드 수단을 통해 승하강 이동이 가이드 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 상기 장착 브라켓에 장착되는 가이드 블록; 및 상기 가이드 블록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단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가이드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로드는 상기 가이드 블록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원형의 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에 의하면, 스폿 용접기의 상, 하부 용접건에 장착된 용접팁의 마모 시에 상, 하부 용접건의 용접팁을 자동으로 교체함으로써, 용접팁 교체 및 정렬에 따른 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교체 공정의 자동화를 도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용접팁 교체불량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용접건에 교체되는 용접팁을 용접팁 공급유닛을 통해 자동으로 공급함으로써, 새로운 용접팁을 공급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종래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용접팁 교체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자가 위험요소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해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해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용접팁에서 부분파손이 발생되거나 스폿 용접기의 상, 하부 용접건의 위치가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용접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하나의 용접팁 교환장치로 상, 하부 용접건에 장착된 용접팁의 교체가 가능함에 따라, 종래 수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노무 비용 등의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폿 용접건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에 적용되는 용접팁 탈거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에 적용되는 용접팁 공급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에 적용되는 용접팁 공급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에 적용되는 용접팁 장착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에 적용되는 용접팁 장착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기용 용접팁 교환장치(100)는 스폿 용접기(101)의 상, 하부 용접건(103, 105)에 장착된 용접팁(107)의 마모 시에 상, 하부 용접건(103, 105)의 용접팁(107)을 자동으로 교체함으로써, 용접팁 교체 및 정렬에 따른 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교체 공정의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10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 장착 플레이트(115), 용접팁 탈거유닛(120), 용접팁 공급유닛(130), 및 용접팁 장착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상, 하부 용접건(103, 105)을 가지며, 미도시된 로봇의 거동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폿 용접기(107)가 구비된 작업장에 설치된다.
상기 장착 플레이트(115)는 사각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용접팁 탈거유닛(120)은 상기 장착 플레이트(115)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용접건(103) 또는 상기 하부 용접건(105)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이 완료되어 마모된 용접팁(107)을 클램핑 하여 탈거시키는 것으로,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에 적용되는 용접팁 탈거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용접팁 탈거유닛(120)은 탈거 플레이트(121), 고정블록(123), 클램핑 블록(125), 및 클램핑 실린더(1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탈거 플레이트(121)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115)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일단부가 돌출되게 장착되며, 돌출된 일단부에 탈거홀(12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블록(123)은 상기 탈거홀(122)에 대응하여 상기 탈거 플레이트(121)의 일단부 상면에 고정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블록(123)은 상기 탈거홀(122)에 대응하는 일측면에 상기 용접팁(107)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홈(124)은 상기 고정블록(123)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단면의 형상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면에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지지돌기(127)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 블록(125)은 상기 고정블록(123)에 대응하여 상기 탈거홀(122)을 사이에 두고, 상기 탈거 플레이트(121)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클램핑 블록(125)은 상기 지지홈(124)에 대응하는 일면에 높이방향을 따라 클램핑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클램핑 홈(126)은 단면의 형상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면에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클램핑 돌기(128)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 실린더(129)는 상기 탈거 플레이트(121)의 타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클램핑 블록(125)에 작동로드가 연결되어 작동압 공급 여부에 따라 고정블록(123)을 향하여 클램핑 블록(125)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 실린더(129)는 그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공압을 대신할 수 있는 유압의 적용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용접팁 탈거유닛(120)은 상기 클램핑 실린더(129)가 후진 작동을 하여 상기 고정블록(123)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용접팁(107)의 교체가 요구되는 상부 용접건(103), 또는 하부 용접건(105)이 탈거홀(122)의 상부, 또는 하부에 삽입되면, 클램핑 실린더(129)가 작동하여 클램핑 블록(125)을 고정블록(123) 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용접팁(107)은 일측이 고정블록(123)의 지지홈(124)에 지지된 상태로, 타측이 클램핑 블록(125)의 클램핑 홈(126)을 통해 클램핑 된다.
여기서, 상기 각 지지돌기(127)와 각 클램핑 돌기(128)는 상기 지지홈(124)과 클램핑 홈(126) 사이에 위치되는 용접팁(107)을 보다 안정적으로 클램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각 용접건(103, 105)이 로봇의 거동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면, 용접팁(107)이 각 용접건(103, 105)으로부터 탈거된다. 그리고 마모된 용접팁(107)의 탈거가 완료되면, 클램핑 실린더(129)가 후진 작동을 하여 용접팁(107)의 클램핑을 해제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용접팁(107)은 클램핑 블록(125)의 클램핑이 해제됨과 동시에, 자중에 의해 상기 탈거홀(122)을 통해 작업장의 바닥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작업장에는 상기 탈거홀(122)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탈거홀(122)로부터 배출되는 마모된 용접팁(107)을 수거하기 위한 용접팁 수거함이 구비되어 작업장의 바닥에 마모된 용접팁(107)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130)은 상기 용접팁 탈거유닛(120)의 후방에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115)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각 용접건(103, 105)의 선단에 장착될 새로운 상기 용접팁(107)을 공급하는 것으로, 첨부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에 적용되는 용접팁 공급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에 적용되는 용접팁 공급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130)은 작동 실린더(131), 연결 블록(133), 공급 하우징(135), 및 공급 실린더(1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작동 실린더(131)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115)의 후방에 장착된다.
이러한 작동 실린더(131)는 그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공압을 대신할 수 있는 유압이 적용된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 블록(133)은 상기 작동 실린더(131)의 작동로드에 후면이 장착되며, 이러한 연결 블록(133)의 상부에는 상기 공급 하우징(135)이 장착된다.
상기 공급 하우징(135)은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용접팁(107)이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홀(136)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36)의 내부에 상기 용접팁(107)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 하우징(135)은 상기 용접팁 장착유닛(15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 실린더(131)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용접팁 장착유닛(150)의 상부를 향하여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 실린더(137)는 상기 공급 하우징(135)의 후방에서 작동로드가 상기 관통홀(136)에 삽입된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관통홀(136) 내부에 구비된 상기 용접팁(107)을 상기 공급 하우징(135)의 전방 외부에 선택적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 실린더(137)는 그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공압을 대신할 수 있는 유압의 적용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130)에는 내부에 적재된 다수개의 새로운 상기 용접팁(107)을 상기 공급 하우징(135)으로 하나씩 투입하기 위한 용접팁 피딩유닛(140)이 상기 공급 하우징(135)의 일측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용접팁 피딩유닛(140)은 적재 하우징(141)과 피딩 실린더(143)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적재 하우징(141)은 일단이 개구되어 상기 공급 하우징(135)의 일측에서 상기 관통홀(136)과 연통되게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각 용접건(103, 105)에 새롭게 장착될 미사용 상태의 용접팁(107)이 다수개 적재된다.
여기서, 상기 적재 하우징(141)은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상면에 덮개(143)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143)는 상기 적재 하우징(141)의 상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덮개(143)는 상기 적재 하우징(141)의 내부에 적재되었던 용접팁(107)이 모두 소진될 경우, 작업자가 덮개(143)의 타단을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적재 하우징(141)의 내부를 개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미사용 상태의 용접팁(107)을 적재 하우징(141)의 내부에 적재한 후, 적재가 완료되면, 다시 덮개(143)를 닫음으로써, 적재된 용접팁(107)의 외부노출 및 적재 하우징(14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딩 실린더(145)는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로드가 상기 적재 하우징(141)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적재 하우징(141)의 타단에 장착되고, 상기 적재 하우징(141)의 내부에 적재된 다수개의 상기 용접팁(107)을 선택적으로 하나씩 상기 공급 하우징(135)의 관통홀(136) 내부에 투입하게 된다.
이러한 피딩 실린더(145)는 그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공압을 대신할 수 있는 유압의 적용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용접팁 피딩유닛(140)은 상기 공급 하우징(135)의 관통홀(136) 내부로 적재 하우징(141)에 적재된 미사용 상태의 용접팁(107)을 피딩 실린더(145)의 선택적인 작동을 통해 투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130)은, 도 5의 (S1)과 같이, 용접팁 장착유닛(150)에 용접팁(107)을 공급하지 않을 경우, 상기 용접팁 피딩유닛(140)이 작동하여 적재 하우징(141)에 적재된 미사용 상태의 용접팁(107)을 관통홀(136) 내부로 투입하여 피딩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130)은 각 용접건(103, 105)에 새롭게 장착될 용접팁(107)을 용접팁 피딩유닛(140)으로부터 관통홀(136) 내부로 공급받아 상기 용접팁 장착유닛(150)의 후방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접팁 장착유닛(150)으로 용접팁을 공급해야 할 경우, 도 5의 (S2)와 같이, 작동 실린더(130)가 전진 작동을 하여 공급 하우징(135)을 용접팁 장착유닛(150)의 상부에 위치시키게 된다.
그런 후,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130)은 공급 실린더(137)의 작동을 통해 관통홀(136) 내부에 구비된 새로운 용접팁(107)을 관통홀(136)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용접팁 장착유닛(150)으로 각 용접건(103, 105)에 새롭게 장착될 용접팁(107)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용접팁 장착유닛(150)은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130)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130)으로부터 상기 용접팁(107)을 공급받아 상기 상부 용접건(103) 또는 상기 하부 용접건(105)의 선단에 미사용 상태의 새로운 용접팁(107)을 장착하는 것으로, 첨부한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에 적용되는 용접팁 장착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에 적용되는 용접팁 장착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용접팁 장착유닛(150)은 승하강 플레이트(151), 승하강 실린더(153), 회전 실린더(155), 회전 플레이트(157), 및 용접팁 고정수단(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51)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115)의 전방에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115)와는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하강 실린더(153)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방 상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53)의 하부에 작동로드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 실린더(153)는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공압을 대신할 수 있는 유압의 적용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회전 실린더(155)는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51)의 전방을 향해 위치되는 회전로드(156)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130)의 공급 하우징(135)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이러한 회전 실린더(155)는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공압을 대신할 수 있는 유압이 적용된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압 또는 유압의 공급 여부에 따라 회전로드(156)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157)는 상기 회전 실린더(155)의 회전로드(156)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 실린더(155)의 작동 여부에 따라 회전로드(156)와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용접팁 고정수단(160)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157)의 일면에 장착되며,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13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용접팁(107)을 고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용접팁 고정수단(160)은 고정 실린더(161), 슬라이딩 로드(163), 및 클램퍼(1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고정 실린더(161)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157)의 일면에 장착된다.
상기 고정 실린더(161)에는 상기 슬라이딩 로드(163)가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로드(163)는 상기 고정 실린더(161)의 상부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고정 실린더(161)에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고정 실린더(161)의 중심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로드(163)는 상기 고정 실린더(161)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주면 둘레를 따라 90°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4개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로드(163)에는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130)으로부터 공급된 미사용 상태의 용접팁(107)이 고정 실린더(161)의 중심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용접팁(107)의 외주면 둘레를 고정하는 상기 클램퍼(165)가 장착된다.
즉, 상기 고정 실린더(161)는 중심을 기준으로 외주면 둘레를 따라 90°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슬라이딩 로드(163)가 배치되어 상기 클램퍼(165)가 각각 장착된다.
이러한 고정 실린더(161)는 작동압 공급 여부에 따라 각각의 상기 슬라이딩 로드(163)를 중심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키거나, 외주면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4축 핑거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공압을 대신할 수 있는 유압이 적용된 유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핑거 실린더는 작동압의 공급 여부에 따라 중심을 기준으로 슬라이딩 로드가 중심의 외측을 향하여 벌어지거나, 중심을 향하여 모아지도록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으로서, 이는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에 해당하므로, 이하 그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용접팁 장착유닛(150)은, 도 7의(S10)과 같이,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130)으로부터 용접팁 고정수단(160)에 용접팁(107)이 공급되어 상기 고정 실린더(161)의 중심에 위치되면, 고정 실린더(161)가 작동하여 각각의 슬라이딩 로드(163)를 중심을 향하여 모아지도록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각 슬라이딩 로드(163)에 장착된 클램퍼(165)를 통해 용접팁(107)의 외주면을 안정적으로 클램핑 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용접팁 장착유닛(150)은 상부 용접건(103)에 용접팁을 장착 할 경우에는 용접팁 고정수단(160)을 통해 클램핑 된 용접팁(107)이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회전 플레이트(157)에 용접팁 고정수단(160)이 장착된 초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 상기 용접팁 장착유닛(150)은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 용접건(105)에 용접팁(107)을 장착할 경우, 도 7의 (S20)과 같이, 상기 회전 실린더(155)의 작동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157)가 180°회전되어 상기 용접팁 고정수단(160)을 통해 클램핑된 용접팁(107)이 작업장 바닥을 향하도록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용접팁 장착유닛(150)은 상기 용접팁 고정수단(160)을 통해 클램핑되어 고정된 용접팁(107)을 상기 승하강 실린더(153)의 선택적인 작동에 따라 용접팁(107)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정위치된 상부 용접건(103) 또는 하부 용접건(105)을 향하여 상승 또는 하강됨으로써, 용접팁(107)을 각 용접건(103, 105)의 선단에 장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51)는 상기 승하강 실린더(153)의 작동에 의한 상승 또는 하강 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가이드 수단(170)을 통해 승하강 이동이 가이드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수단(170)은 상기 승하강 실린더(153)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 프레임(110)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171)과, 상기 장착 브라켓(171)에 장착되는 가이드 블록(173)과, 상기 가이드 블록(173)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단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51)에 장착되는 가이드 로드(1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로드(175)는 상기 가이드 블록(173)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홀(174)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원형의 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51)는 상기 승하강 실린더(153)의 전, 후진 왕복 작동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방에서 상승 또는 하강될 경우, 양측단 하부에 장착된 가이드 로드(175)가 가이드 블록(173)의 슬라이딩 홀(174)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승하강 플레이트(151)의 이동을 가이드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승하강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상부 용접건(103) 또는 하부 용접건(105)에 장착된 용접팁(107)의 마모가 많이 진행되어 교체가 요구될 경우, 스폿 용접기(101)가 미도시된 로봇의 거동에 의해 용접팁 교환장치(100)의 용접팁 탈거유닛(120)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용접건(105)의 용접팁(107)을 탈거할 경우, 상기 하부 용접건(105)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탈거 플레이트(121)의 탈거홀(122) 하부로 삽입된다.
이 때, 용접팁 탈거유닛(120)은 상기 클램핑 실린더(129)가 후진 작동을 하여 클램핑 블록(125)을 고정블록(123)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 후, 하부 용접건(105)의 용접팁(107)이 탈거홀(122)의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되어 고정블록(123)과 클램핑 블록(125)의 사이에 정위치되면, 클램핑 실린더(129)가 전진 작동하여 클램핑 블록(125)을 고정블록(123) 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용접팁(107)은 일측이 고정블록(123)의 지지홈(124)에 지지된 상태로, 타측이 클램핑 블록(125)의 클램핑 홈(126)을 통해 클램핑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홈(124)과 클램핑 홈(126)에 형성된 각 지지돌기(127)와 각 클램핑 돌기(128)는 상기 지지홈(124)과 클램핑 홈(126) 사이에 위치되는 용접팁(107)을 보다 안정적으로 클램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 용접건(105)이 로봇의 거동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면, 용접팁(107)이 하부 용접건(105)으로부터 탈거된다.
그리고 마모된 용접팁(107)의 탈거가 완료되면, 클램핑 실린더(129)가 후진 작동을 하여 용접팁(107)의 클램핑을 해제함으로써, 마모된 용접팁(107)이 탈거홀(122)의 하부에서 작업장에 구비되는 용접팁 수거함으로 배출되어 버려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용접건(103)에 장착된 용접팁(107)을 탈거할 경우, 용접팁 탈거유닛(120)의 작동은 하부 용접건(105)에서 용접팁(107)을 탈거하는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나, 상부 용접건(103)이 탈거홀(122)의 상부에서 하부로 투입되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
한편, 상기 상, 하부 용접건(103, 105)에 교체될 미사용 상태의 새로운 용접팁(107)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용접팁 피딩유닛(140)으로부터 용접팁 공급유닛(130)으로 피딩되며, 공급 하우징(135)의 관통홀(136) 내부 구비된 상태로, 작동 실린더(131)의 작동에 의해 용접팁 고정수단(160)의 고정 실린더(161) 상부로 이동된다.
그런 후, 교체 장착될 용접팁(107)은 공급 실린더(137)의 작동에 의해 관통홀(136)의 내부에서 배출되고, 고정 실린더(161)의 상부로 투입된 상태에서, 고정 실린더(161)의 작동에 의해 각 클램퍼(165)가 외주면 둘레를 클램핑 함에 따라, 용접팁 고정수단(16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용접팁 고정수단(160)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마모된 용접팁(107)의 탈거가 완료된 하부 용접건(105)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 실린더(155)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플레이트(157)와 함께 회전된다.
이 때, 상기 하부 용접건(105)은 로봇의 거동에 의해 용접팁 고정수단(160)에 클램핑된 미사용 상태의 교체 장착될 용접팁(107)으로부터 하부로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정위치된다.
상기 하부 용접건(105)의 정위치가 완료되면,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 실린더(153)가 후진 작동을 하여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51)를 하강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용접팁 고정수단(160)이 하강되면서 클램핑된 용접팁을 상기 하부 용접건(105)의 선단에 장착하게 된다.
상기 하부 용접건(105)에 새로운 용접팁(107)의 교체 장착이 완료되면, 용접팁 고정수단(160)의 고정 실린더(161)가 작동하여 슬라이딩 로드(163)를 통해 각 클램퍼를 이동시켜 용접팁(107)의 클램핑을 해제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 실린더(153)가 전진 작동을 하여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5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51)가 원위치로 복귀되면, 회전 실린더(155)의 작동에 의해 용접팁 고정수단(160)이 원위치로 180°회전되고, 필요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팁 공급유닛(130)으로부터 용접팁(107)을 공급받아 다시 클램핑하게 된다.
반면, 상부 용접건(103)에 용접팁(107)을 교체 할 경우에는, 전술한 도 7의 (S1)과 같은 상태에서, 용접팁 고정수단(160)에 클램핑된 용접팁(107)의 상부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상부 용접건(103)이 정위치되면,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 실린더가 전진 작동을 하여 승하강 플레이트(131)를 상승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용접팁 고정수단(160)에 클램핑된 용접팁(107)은 상부 용접건(103)의 선단을 향하여 상승되어 상부 용접건(105)의 선단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부 용접건(103)에 용접팁(107)의 교체 장착이 완료되면, 용접팁 고정수단(160)의 작동을 통해 용접팁(107)의 클램핑 해제 후, 승하강 실린더(153)가 작동하여 용접팁 장착유닛(150)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팁 교환장치(100)는 스폿 용접기(101)의 상, 하부 용접건(103, 105)에 장착된 용접팁(107)이 마모되어 교체가 요구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마모된 용접팁(107)을 탈거하고, 미사용 상태의 새로운 용접팁(107)을 자동으로 교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100)를 적용하면, 스폿 용접기(101)의 상, 하부 용접건(103, 105)에 장착된 용접팁(107)의 마모 시에 상, 하부 용접건(103, 105)의 용접팁(107)을 자동으로 교체함으로써, 용접팁 교체 및 정렬에 따른 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교체 공정의 자동화를 도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용접팁 교체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용접건(103, 105)에 교체되는 용접팁(107)을 용접팁 공급유닛(130)을 통해 자동으로 공급함으로써, 새로운 용접팁(107)을 공급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용접팁 교체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자가 위험요소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해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해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용접팁(107)에서 부분파손이 발생되거나 스폿 용접기(101)의 상, 하부 용접건(103, 105)의 위치가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용접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용접팁 교환장치(100)로 상, 하부 용접건(103, 105)에 장착된 용접팁(107)의 교체가 가능함에 따라, 종래 수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노무 비용 등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용접팁 교환장치 101 : 스폿 용접기
103 : 상부 용접건 105 : 하부 용접건
107 : 용접팁 110 : 베이스 프레임
115 : 장착 플레이트 120 : 용접팁 탈거유닛
121 : 탈거 플레이트 122 : 탈거홀
123 : 고정블록 124 : 지지홈
125 : 클램핑 블록 126 : 클램핑 홈
127 : 지지돌기 128 : 클램핑 돌기
129 : 클램핑 실린더 130 : 용접팁 공급유닛
131 : 작동 실린더 133 : 연결 블록
135 : 공급 하우징 136 : 관통홀
137 : 공급 실린더 140 : 용접팁 피딩유닛
141 : 적재 하우징 143 : 덮개
145 : 피딩 실린더 150 : 용접팁 장착유닛
151 : 승하강 플레이트 153 : 승하강 실린더
155 : 회전 실린더 156 : 회전로드
157 : 회전 플레이트 160 : 용접팁 고정수단
161 : 고정 실린더 163 : 슬라이딩 로드
165 : 클램퍼 170 : 가이드 수단
171 : 장착 브라켓 173 : 가이드 블록
174 : 슬라이딩 홀

Claims (24)

  1. 상, 하부 용접건을 갖는 스폿 용접기가 구비된 작업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용접건 또는 상기 하부 용접건에 장착되어 마모된 용접팁을 탈거시키는 용접팁 탈거유닛;
    상기 용접팁 탈거유닛의 후방에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각 용접건의 선단에 장착될 새로운 상기 용접팁을 공급하는 용접팁 공급유닛; 및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용접팁을 공급받아 상기 상부 용접건 또는 상기 하부 용접건의 선단에 상기 용접팁을 장착하는 용접팁 장착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용접팁 탈거유닛은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일단부가 돌출되게 장착되며, 돌출된 일단부에 탈거홀이 형성되는 탈거 플레이트;
    상기 탈거홀에 대응하여 상기 탈거 플레이트의 일단부 상면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에 대응하여 상기 탈거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탈거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클램핑 블록; 및
    상기 탈거 플레이트의 타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클램핑 블록에 작동로드가 연결되는 클램핑 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탈거홀에 대응하는 일측면에 상기 용접팁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은
    상기 고정블록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단면의 형상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면에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블록은
    상기 지지홈에 대응하는 일면에 높이방향을 따라 클램핑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홈은
    단면의 형상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면에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클램핑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실린더는
    그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 또는 그 작동압을 유압으로 하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은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후방에 장착되는 작동 실린더;
    상기 작동 실린더의 작동로드에 후면이 장착되는 연결 블록;
    상기 연결 블록의 상부에 장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상기 용접팁이 구비되는 공급 하우징; 및
    상기 공급 하우징의 후방에서 작동로드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관통홀 내부에 구비된 상기 용접팁을 상기 공급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급 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실린더는
    그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 또는 그 작동압을 유압으로 하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하우징은
    상기 용접팁 장착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 실린더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용접팁 장착유닛의 상부를 향하여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은
    내부에 적재된 다수개의 새로운 상기 용접팁을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으로 하나씩 투입하는 용접팁 피딩유닛이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용접팁 피딩유닛은
    일단이 개구되어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의 일측에 장착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용접팁이 적재되는 적재 하우징; 및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로드가 상기 적재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적재 하우징의 타단에 장착되고, 상기 적재 하우징의 내부에 적재된 다수개의 상기 용접팁을 하나씩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으로 투입하는 피딩 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하우징은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상면에 덮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적재 하우징의 상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실린더는
    그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 또는 그 작동압을 유압으로 하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팁 장착유닛은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전방에 배치되는 승하강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 상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하부에 작동로드가 연결되는 승하강 실린더;
    회전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상면에 장착되는 회전 실린더;
    상기 회전 실린더의 회전로드에 장착되는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일면에 장착되며, 상기 용접팁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용접팁을 고정하는 용접팁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실린더는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 또는, 작동압을 유압으로 하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팁 고정수단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일면에 장착되는 고정 실린더;
    상기 고정 실린더의 상부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고정 실린더에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고정 실린더의 중심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슬라이딩 로드; 및
    상기 슬라이딩 로드에 장착되어 상기 용접팁의 외주면을 고정하는 클램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로드는
    상기 고정 실린더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주면 둘레를 따라 90°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실린더는
    작동압 공급 여부에 따라 각각의 상기 슬라이딩 로드를 중심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키거나, 외주면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4축 핑거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실린더는
    그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 또는 그 작동압을 유압으로 하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는
    상기 승하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한 상승 또는 하강 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가이드 수단을 통해 승하강 이동이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
    상기 장착 브라켓에 장착되는 가이드 블록; 및
    상기 가이드 블록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단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가이드 로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로드는
    상기 가이드 블록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원형의 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KR1020130167871A 2013-12-30 2013-12-30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KR101556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871A KR101556982B1 (ko) 2013-12-30 2013-12-30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871A KR101556982B1 (ko) 2013-12-30 2013-12-30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483A KR20150078483A (ko) 2015-07-08
KR101556982B1 true KR101556982B1 (ko) 2015-10-05

Family

ID=5379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871A KR101556982B1 (ko) 2013-12-30 2013-12-30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9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698B1 (ko) * 2015-11-11 2016-05-26 최광술 용접팁 공급장치
KR102602722B1 (ko) * 2021-12-29 2023-11-15 송영환 팁 공급용 카트리지
CN116944785B (zh) * 2023-09-18 2024-02-02 山东中昊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拱形防护门多功能辅助焊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2201A (ja) 2008-04-25 2009-11-12 Seiji Ishikawa 電極チップの取外し装置及び電極チップの交換装置、並びに電極チップの取外しシステム及び電極チップの交換システム
KR101216192B1 (ko) * 2012-07-31 2012-12-28 이승해 스폿 용접 건의 용접 팁 교환장치
KR101310291B1 (ko) 2013-02-13 2013-09-24 이승해 용접 팁 교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2201A (ja) 2008-04-25 2009-11-12 Seiji Ishikawa 電極チップの取外し装置及び電極チップの交換装置、並びに電極チップの取外しシステム及び電極チップの交換システム
KR101216192B1 (ko) * 2012-07-31 2012-12-28 이승해 스폿 용접 건의 용접 팁 교환장치
KR101310291B1 (ko) 2013-02-13 2013-09-24 이승해 용접 팁 교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483A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192B1 (ko) 스폿 용접 건의 용접 팁 교환장치
KR101909442B1 (ko) 지그장치
CN201960256U (zh) 金属薄板对接自动焊接设备
KR101556982B1 (ko)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KR101331424B1 (ko)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KR101572075B1 (ko)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KR101550966B1 (ko) 자동차용 도어프레임 코너용접장치
KR101556983B1 (ko)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KR101658843B1 (ko) 스폿 용접용 용접팁 탈거장치
CN105689877A (zh) 一种燃气燃烧器的点焊机械手
KR20150078783A (ko)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KR101649118B1 (ko)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KR101692981B1 (ko) 용접기용 전극팁 교환장치
CN210476024U (zh) 一种钢结构焊接夹持装置
CN213053209U (zh) 五金弹片碰焊机
CN109926828B (zh) 一种用于加工直角型鱼尾板的生产线
CN208289049U (zh) 一种设有夹持装置的钻床
CN112975234A (zh) 一种球锁的焊接夹具
KR20170013709A (ko) 팁 탈거 및 확인이 용이한 용접 팁 자동 교환장치
KR101569839B1 (ko) 용접 팁 교환 장치
CN219632981U (zh) 刀盘护罩焊接用定位工装的压紧夹具
CN219632982U (zh) 刀盘护罩焊接用定位工装
KR101472981B1 (ko) 용접기의 용접팁 교환장치
JP5942192B2 (ja) 抵抗溶接機用電極
CN212946131U (zh) 一种自动螺钉焊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