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720B1 - 싱크대용 건조기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건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6720B1 KR101556720B1 KR1020130103188A KR20130103188A KR101556720B1 KR 101556720 B1 KR101556720 B1 KR 101556720B1 KR 1020130103188 A KR1020130103188 A KR 1020130103188A KR 20130103188 A KR20130103188 A KR 20130103188A KR 101556720 B1 KR101556720 B1 KR 1015567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nk
- dryer
- present
- protrusions
- cra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6—Separate partition walls, lids, protecting borders, or the like, for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거지 후의 식기, 주방용품 또는 세정을 마친 음식물을 올려놓아 건조할 수 있는 싱크대용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나 음식물이 올려지는 바닥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일측이 기울어지게 형성되어서 통풍과 배수가 쉽게 이루어져 자연적으로 건조가 빠르게 일어나고, 다양한 크기의 싱크대 개수대에도 무리 없이 거치 될 수 있는 싱크대용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싱크대용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싱크대에 건조기를 거치하고 설거지를 마친 식기나 세정을 마친 음식물을 올려두어 건조할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보통 식기나 주방용품은 사용 후 표면에 묻은 음식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싱크대를 이용해 설거지를 한다. 설거지를 한 후의 식기, 주방용품에는 물기가 묻어있고, 이것들을 건조하기 위해 싱크대의 일측에 마련된 건조기에 식기, 주방용품을 올려두어 공기 중에서 자연적으로 건조하는 것이 보통의 방법으로 이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6755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서 제안되고 있다.
상기 인용발명은 베이스 받침부재와 받침부재 상에 그릇의 자연건조를 위해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홈이 형성된 거치부재가 위치하고, 베이스 받침부재로부터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컵받침부재를 포함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인용발명은 싱크대의 개수대 인근의 선반 상에 설치되는데, 보통 싱크대는 조리작업과 설거지 등 다양한 작업이 수시로 이뤄지는 공간으로, 설거지를 마쳐 건조중인 식기, 주방용품으로 물이나 오염물이 튀면서 식기나 주방용품을 오염시키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더구나 건조를 위해 거치된 식기들로부터 흘러나온 물기가 받침에 모이고, 이 받침을 인출해 수집한 물을 버려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저수 용량 이상으로 물이 고이게 되면 싱크대 선반으로 물이 넘치게 되기 때문에 수시로 저수공간에 대한 청소와 관리에 신경 써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외 건조기의 형태를 살펴보면, 망 형태의 바구니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망 형태의 바구니는 식기, 야채 또는 과일류로부터 흘러나온 물기가 그대로 바닥에 흘러나와 주변을 적시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쟁반을 구비해야하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함이 있으며, 다른 방편으로는 바구니를 싱크대의 개수대 안으로 옮겨두고 식기, 음식물로부터 흘러나온 물이 싱크대의 배수구로 흘러가도록 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역시 개수대과 배수구의 위생상태에 따라 바구니에 담긴 식기나 음식물이 오염될 염려가 있는 것이다.
더구나 싱크대에 구비된 건조를 위한 선반은 싱크대 상판과 함께 일체로 프레스 성형 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위치와 형상 및 기능적 구조 성형에 큰 제약이 있으며, 건조중 흘러내리는 수분을 유도 배출하기 위하여 선반의 바닥면의 기울기를 성형하거나 선반에 돌기를 형성하는 등의 가공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일상 생활중 설거지를 마친 식기와 주방용품을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건조기가 없어 그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된다.
본 발명은 설거지를 마친 식기나 주방용품 등에 남아있는 물기가 원활하게 건조되면서 흘러내린 물기가 잘 배출될 수 있으며, 싱크대 개수대에 용이하게 거치해 이용할 수 있는 싱크대용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건조기는, 싱크대 개수대에 걸쳐지는 거치대와 일체로 형성되고 식기나 음식물이 놓이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놓인 물건의 통풍과 배수가 원활하도록 돌출 형성된 다수 개의 돌기, 그리고 상기 거치대에 다양한 크기의 개수대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면에 형성된 탄성고정부재로 이루어지며.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수분이 경사를 따라 배출되도록 상기 바닥면을 일정 기울기로 기울어지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은 하중 지지를 위해 저면에 보강부재(150)가 장착되고, 상기 돌기는 조리기구가 수평으로 얹혀질 수 있도록 상기 바닥면의 하향 기울기를 따라 두께가 증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건조기는, 수분이 원활하게 배출되고, 식기가 바닥면과 이격되면서 빨리 건조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개수대에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싱크대 건조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싱크대 건조기가 싱크대에 장착되는 상태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싱크대 건조기가 싱크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싱크대 건조기에 조리기구가 얹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싱크대 건조기의 각 측 단면을 알아보기 위한 단면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싱크대 건조기를 A-A 선에서 절개한 절개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싱크대 건조기를 B-B 선에서 절개한 절개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싱크대 건조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싱크대 건조기가 싱크대에 장착되는 상태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싱크대 건조기가 싱크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싱크대 건조기에 조리기구가 얹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싱크대 건조기의 각 측 단면을 알아보기 위한 단면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싱크대 건조기를 A-A 선에서 절개한 절개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싱크대 건조기를 B-B 선에서 절개한 절개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주방의 싱크대에서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거치고 바닥면에서 배수 가능하게 구성되는 싱크대용 건조기에서 상기 바닥면에 대칭으로 형성된 'ㄱ' 자 형상의 거치대와, 상기 바닥면 상에 구비되며 자연건조를 위해 식기가 얹혀지는 다수의 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거치대는 외측면에 탄성고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면은 자연배수가 가능하도록 개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서 상기 돌기에 올려진 식기로부터 흘러내린 물기가 경사면을 따라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건조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건조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건조기(10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와 같이 대량생산과 형상가공이 용이한 재질들을 선택해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건조기(100)는 싱크대의 개수대(200)에 걸쳐지는 'ㄱ' 자 형상의 거치대(130)가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130)와 일체로 형성되어서 식기나 주방용품이 거치되는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에 놓인 식기나 주방용품의 통풍과 배수가 원활하도록 바닥면(1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120) 그리고 다양한 크기와 너비로 형성된 싱크대 개수대(200)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대(130)의 외측면에 형성된 탄성고정부재(140)를 포함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면(110)을 사각판형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바닥면(110)은 사각형 이외에 다각형이나 원형으로도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거치대(130)는 싱크대의 개수대의 턱에 걸쳐질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와 높이를 갖는 'ㄱ' 자 형상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대(130)가 형성되지 않은 면으로 물기가 배출되게 구성되는 한편, 상기 돌기(120)는 상기 바닥면(110) 상에서 종 또는 횡 방향으로 돌출된 바(Bar) 형태일 수 있으나 바둑알, 다각형 칩(Chip), 캐릭터나 로고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주방용품이 놓여졌을 때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신속하게 건조가 될 수 있도록 돌기(120)의 높이를 결정해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싱크대 건조기(100)의 배면 사시도이다. 상기 바닥면(110)은 저면에 'ㄴ' 자 형상의 테두리(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테두리에 걸리면서 상기 바닥면(110)의 저면에 고정되는 보강부재(150)(150)를 포함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바닥면(110)에 가해지는 식기 또는 주방용품의 하중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50)(150)는 바(bar) 형태 또는 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바닥면(110)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싱크대 건조기(100)가 싱크대(200)에 장착되는 상태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싱크대의 개수대(200)는 각 싱크대 제조사마다 그리고 모델별, 사용처 환경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너비, 모양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조기(100)는 다양한 크기와 너비, 형태를 가진 싱크대 개수대에서도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대(13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는 것 이외에도, 외측면에 구비되는 반원형태의 판 스프링 구조의 탄성고정부재(140)를 더 포함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부재(140)는 싱크대용 건조기(100)가 싱크대의 개수대(200)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싱크대의 개수대(200)의 측면에 의해 가압 되면서 고정되고, 그 결과로 상기 거치대(130)의 길이가 부족해 개수대에 걸쳐지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상기 탄성고정부재(140)에 의해 싱크대 개수대(2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대(1300에 의해 걸쳐진 경우보다 강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고정부재(140)는 도 3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상기 거치대(130)보다 돌출 정도를 더 키워 상기 거치대(130)의 길이로 거치 될 수 없는 개수대에서도 싱크대요 건조기(100)가 끼워져 고정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싱크대 건조기(100)가 싱크대 개수대(200)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싱크대 건조기(100)가 싱크대 개수대(200)에 끼워져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싱크대 건조기(100)는 싱크대 개수대(200)에 거치 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나, 개수대 이외 싱크대에 구비된 선반이나 바닥에 놓여져 사용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1의 싱크대 건조기(100)에 조리기구(300)가 얹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거지를 마친 상기 조리기구(300)가 바닥면(110)으로부터 돌출된 돌기(120) 위에 얹혀진 상태가 되면서, 조리기구(300) 표면에 묻어있던 물기가 바닥면(110)을 따라 흘러 배출되고, 상기 돌기(120)에 의해 들려진 조리기구(300)는 바닥면까지 공기가 소통되면서 자연건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120)는 상기 조리기구(300)의 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이 최소가 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반원이나 삼각형, 아치(Arch), 핀(pin) 형태로 구성되어보다 원활하게 자연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싱크대 건조기의 각 측에서의 단면을 알아보기 위한 단면선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1의 싱크대 건조기를 A-A 선에서 절개한 상태에서의 절개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싱크대 건조기를 B-B 선에서 절개한 상태에서의 절개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싱크대 건조기(100)는 바닥면(110)이 배수가 가능하면서 개수대 방향으로 하향 기울어지게 형성되어서 식기나 주방기구에서 흘러내린 물기가 기울어진 바닥면(110)을 따라 흘러 배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내용에 따르면 상기 바닥면(110)은 도 7에서는 좌측으로, 도 8에서는 앞으로 기울어진 상태로서, 도 7에서는 물기가 바닥면(110)을 따라 우측에서 좌측으로 흐르게 되고, 도 8에서는 물기가 바닥면(110)을 따라 뒤에서 앞으로 흐르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기(120)가 상기 바닥면(110)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의 돌기(120)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두께가 증가하게 형성되며, 도 8에서는 상기 바닥면(110)의 기울기를 따라 상기 돌기(120)의 두께가 증가하게 형성되면서 서로 다른 두께를 갖게 된 돌기(120a, 120b, 120c)들이 배치된다. 상기 돌기(120)는 상기 바닥면(110)의 기울기를 따라 두께가 증가하게 형성되되, 상기 돌기(120)에 주방기구를 얹혔을 때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 돌기(120a, 120b, 120c)의 두께의 최고점은 상기 바닥면(110)의 기울기가 시작된 지점에서 최초로 형성된 돌기(120c)의 최고점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각 돌기(120a, 120b, 120c)의 최고점이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돌기(120a, 120b, 120c)의 너비와 크기 및 각 돌기들 사이의 골 깊이와 배치 형태는 거치된 식기의 원활한 공기 순환과 배수 그리고 식기를 거치하는 방법과 수, 형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싱크대용 건조기(100)는 싱크대 개수대(200)에 거치 되어서 설거지를 마친 식기나 주방용품을 거치해 자연건조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싱크대 개수대에도 장착될 수 있는 한편, 식기나 주방용품으로부터 흘러나온 물기가 빠르게 배출되어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본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건조기 110: 바닥면
120: 돌기 130: 거치대
140: 탄성고정부재 150: 보강부재
200: 싱크대 300: 조리기구
120: 돌기 130: 거치대
140: 탄성고정부재 150: 보강부재
200: 싱크대 300: 조리기구
Claims (3)
- 싱크대 개수대에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거치 되고 바닥면으로 배수 가능하게 구성되는 싱크대용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10)은 대칭으로 형성된 'ㄱ'자 형상의 거치대(130)와, 상기 바닥면(110) 상에 구비되며 자연건조를 위해 식기가 올려지는 다수의 돌기(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면(110)은 한쪽 모서리를 향해 우측에서 좌측으로, 뒤에서 앞으로 기울어지게 기울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120)는 상기 바닥면(110)의 기울기에 대응해 두께가 증가하게 형성되는 한편, 모든 돌기(120)의 상단면이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기(120)에 얹혀진 식기가 수평으로 놓일 수 있게 되고,
상기 거치대(130)는 저면에 보강부재(150)와 외측면에 탄성고정부재(140)가 구비되어 싱크대 개수대(200) 사이 공간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거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건조기.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3188A KR101556720B1 (ko) | 2013-08-29 | 2013-08-29 | 싱크대용 건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3188A KR101556720B1 (ko) | 2013-08-29 | 2013-08-29 | 싱크대용 건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5434A KR20150025434A (ko) | 2015-03-10 |
KR101556720B1 true KR101556720B1 (ko) | 2015-10-02 |
Family
ID=53021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03188A KR101556720B1 (ko) | 2013-08-29 | 2013-08-29 | 싱크대용 건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6720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4176Y1 (ko) * | 2002-04-12 | 2002-07-31 | 고려특수화학주식회사 | 씽크대용 다용도 개수대 |
-
2013
- 2013-08-29 KR KR1020130103188A patent/KR10155672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4176Y1 (ko) * | 2002-04-12 | 2002-07-31 | 고려특수화학주식회사 | 씽크대용 다용도 개수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5434A (ko) | 2015-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07453B2 (en) | Combination dish drying mat and rack | |
US7325695B2 (en) | Dish rack with water drainage mechanism | |
US8074813B2 (en) | Dish rack with adjustable spout and removable drip tray | |
US9427135B2 (en) | Sink dish drainer set | |
US20080185352A1 (en) | Stemware Drying Rack | |
US20070131629A1 (en) | Drying storage rack | |
EP2191764A1 (en) | Dishwasher basket with a cup support | |
US20200237182A1 (en) | Drying appliance | |
KR101023619B1 (ko) | 식기 건조대 | |
US20100065517A1 (en) | Dish drainer | |
US7025216B2 (en) | Cap for household appliances | |
KR200473078Y1 (ko) | 식기건조대 | |
KR200464755Y1 (ko) |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 |
KR101556720B1 (ko) | 싱크대용 건조기 | |
KR20110099350A (ko) | 식기 건조대, 식기 건조대 사용방법 | |
JP2015160027A (ja) | 食器洗い機 | |
JP2006326244A (ja) | 流し台用水切り具 | |
KR101935489B1 (ko) | 식기 건조판 | |
KR20150002676U (ko) | 식기건조대 | |
KR102063939B1 (ko) | 건조 행거 및 이를 가진 식기 건조대 | |
KR200474776Y1 (ko) | 식기 건조대 | |
KR200284176Y1 (ko) | 씽크대용 다용도 개수대 | |
CN220832964U (zh) | 洗碗篮组件和具有其的厨房电器 | |
CN215899597U (zh) | 置物架、承载篮和家用电器 | |
JP2013215437A (ja) | 濾し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