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540B1 - 대차 거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대차 거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540B1
KR101556540B1 KR1020130168365A KR20130168365A KR101556540B1 KR 101556540 B1 KR101556540 B1 KR 101556540B1 KR 1020130168365 A KR1020130168365 A KR 1020130168365A KR 20130168365 A KR20130168365 A KR 20130168365A KR 101556540 B1 KR101556540 B1 KR 101556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sset
lien
secured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9999A (ko
Inventor
구민수
오철호
김동주
Original Assignee
구민수
오철호
김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민수, 오철호, 김동주 filed Critical 구민수
Priority to PCT/KR2014/00581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02184A1/ko
Priority to CN201480071564.2A priority patent/CN105900126A/zh
Priority to JP2016543020A priority patent/JP6419192B2/ja
Publication of KR20150019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차 거래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대차 거래 장치는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 간의 대차 거래를 중개하기 위한 것으로서, 계좌로 표시하여 관리 가능한 상기 제 1 사용자 및 상기 제 2 사용자의 자산에 관한 정보 및 담보권 또는 약정의 내용으로서 상기 계좌에 포함된 자산에 대한 처분제한의 설정 여부에 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 2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자산에 대한 차입 요청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 상기 차입 요청은 상기 제 2 사용자가 차입을 요청하는 자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 2 사용자가 대차 거래를 위해 담보로서 제공하는 담보 자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제 1 사용자의 계좌에 포함된 자산의 적어도 일부를 대여 가능 자산으로 설정하고, 상기 대여 가능 자산 중 상기 차입 요청에 대응하는 자산을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대여 처리하는 대여 처리 모듈; 및 상기 제 2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담보 자산에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담보 자산에 대해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담보권 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차 거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BORROWING AND LENDING TRANSACTIONS OF ASSET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대차 거래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담보권을 통해 대차 거래의 안정성과 활용성을 증대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유가증권 대차거래라 함은, 유가증권의 보유기관 또는 개인고객 등의 대여자가 시장 투자 전략의 일환으로 유가증권을 필요로 하는 차입자에게 일정 기간 후 상환을 조건으로 증권을 빌려주는 거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유가증권 대차거래를 통해 유가증권을 중장기 보유하는 투자자는 대차시장에 참여하여 보유주식에 대한 추가적인 수입(예컨대, 대여에 따른 대차수수료)을 취득할 수 있고, 차입자의 입장에서는 필요한 유가증권을 차입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투자전략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유가증권 대차거래는 1970년대 이후, 새로운 금융거래 수단의 하나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즉, 초기의 대차거래는 매매거래의 결제나 공매도에 따른 결제부족분의 충당을 위하여 주로 이용되었으나, 최근의 선물, 옵션, 워런트와 같은 파생상품시장의 발달에 따른 차익거래의 증가로 파생상품시장과 현물시장을 연결하는 윤활유역할을 수행하면서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유가증권의 대차거래는 대여자 및 차입자 상호 간의 이익을 제공할 수 있으나, 차입자가 유가증권의 상환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대여자에게 불측의 손해를 끼칠 위험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대여자에게 대차거래의 안정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를 통해 대차거래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대차 거래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입자가 제공하는 담보 자산에 담보권을 설정하여, 중개자에 의한 담보권의 실행을 허용하게 하여, 대차 거래의 안정성 및 나아가 대차 거래의 활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대차 거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 간의 대차 거래를 중개하는 대차 거래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계좌로 표시하여 관리 가능한 상기 제 1 사용자 및 상기 제 2 사용자의 자산에 관한 정보 및 담보권 또는 약정의 내용으로서 상기 계좌에 포함된 자산에 대한 처분제한의 설정 여부에 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 2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자산에 대한 차입 요청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 상기 차입 요청은 상기 제 2 사용자가 차입을 요청하는 자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 2 사용자가 대차 거래를 위해 담보로서 제공하는 담보 자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제 1 사용자의 계좌에 포함된 자산의 적어도 일부를 대여 가능 자산으로 설정하고, 상기 대여 가능 자산 중 상기 차입 요청에 대응하는 자산을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대여 처리하는 대여 처리 모듈; 및 상기 제 2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담보 자산에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담보 자산에 대해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담보권 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 간의 대차 거래를 중개하는 대차 거래 장치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사용자의 계좌에 포함된 자산의 적어도 일부를 대여 가능 자산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자산에 대한 차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차입 요청은 상기 제 2 사용자가 차입을 요청하는 자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 2 사용자가 대차 거래를 위해 담보로서 제공하는 담보 자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대여 가능 자산 중 상기 차입 요청에 대응하는 자산을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대여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담보 자산에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담보 자산에 대한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담보권 또는 약정의 내용으로서 상기 계좌에 포함된 자산에 대한 처분제한의 설정 여부에 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차 거래 장치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차 거래를 위해 차입자가 제공하는 자산에 담보권을 설정하게 하고, 차입자의 담보 자산에 대한 중개자에 의한 담보권의 실행을 허용하게 하여, 대차 거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담보권이 설정된 자산에 대해서도 차입자에게 대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대차 거래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입자가 제공한 담보 자산에 대한 처분행위를 가능하게 하여, 차입자의 자유로운 재산활동을 허용하되, 이에 일정한 제한을 가하여, 대차 거래의 활용성 및 안정성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 거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부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대차 거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 거래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여풀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 거래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 거래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 거래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 거래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차 거래 시스템을 도시한다.
대차 거래 시스템(100)은 제 1 사용자 단말(110), 제 2 사용자 단말(120) 및 대차 거래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terminal)은 컴퓨터나 컴퓨팅 시스템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표시하는 데 쓰이는 전자 하드웨어 기기로서 지칭될 수 있으며, 서버(server)는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의 요구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이하, 온라인상의 제 1 사용자 단말(110), 제 2 사용자 단말(120) 및 대차 거래 서버(130) 간의 대차 거래 프로세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오프라인상의 대차 거래 시스템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오프라인상의 대차 거래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단말, 서버 등이 도시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이 아니라 사용자 서버가 이용될 수 있고, 대차 거래 서버와 통신 가능한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으로 사용자 단말을 대체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간이함을 위해 도 1에서 도시되는 제 1 사용자 단말(110), 제 2 사용자 단말(120), 대차 거래 서버(130)를 대상으로 하여 본 발명의 기술 및 사상을 설명한다.
제 1 사용자 단말(110) 및 제 2 사용자 단말(120)은 자산의 계좌(예를 들어, 증권 계좌, 은행 계좌 등)에 자산을 예치하는 자산 소유자인 사용자의 단말을 의미한다. 여기서 예치되는 자산은 계좌로 표시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일체의 자산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자산은 유가증권(예를 들어, 주식, 채권, 수익증권, ELS 등), 예수금, 파생 상품(예를 들어, 선물 옵션 등), 적금, 예금성 자산, ELF 등 각종 금융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산은 별도의 등기절차 또는 등록절차로 직접 관리되는 자산으로서, 등기/등록된 순위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권리로서 계좌로 관리할 수 있는 자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자산은 계약성 자산과 비계약성 자산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계약성 자산은 당사자 간의 계약(예를 들어, 소비대차계약 등)에 기초하여 형성된 자산으로서 일정한 조건, 기간 등에 기초하여 상호 간의 정산의무가 존재한다. 자산에는 예를 들어, 선물 계약, 옵션 계약, 예금, 적금, 예수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계약성 자산은 자산에 해당하지 않는 자산으로서, 당사자 간의 정산 의무가 존재하지 않는다. 비계약성 자산에는 예를 들어, 주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 1 사용자 단말(110) 및 제 2 사용자 단말(120)은 대차 거래의 당사자로서, 구체적으로, 제 1 사용자는 대차 거래의 대여자에 해당하며, 제 2 사용자는 대차 거래의 차입자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 간의 직접적인 대차 거래가 이루어지되 대차 거래 서버(130)가 이러한 대차 거래를 관리하거나,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 간의 직접적인 대차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각 사용자는 대차 거래 서버(130)의 거래를 통해 전체적인 대차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대차 거래 서버(130)는 대차 거래의 중개자(또는 관리자)가 직, 간접적으로 운용하는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중개자는 사용자의 자산을 직, 간접적으로 점유하며, 사용자의 자산에 대한 관리 권한을 갖는 개인이나 기관, 예를 들어, 증권사, 은행, 저축은행, 파이낸셜, 보험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차 거래 서버(130)는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 간의 대차거래를 중개하기 위해, 각각의 사용자와 대차거래를 위한 약정체결을 맺는데, 실시예에 따라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 간의 직접적인 대차 거래가 이루어지되 대차 거래 서버(130)가 이러한 대차 거래를 관리하거나,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 간의 직접적인 대차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각 사용자는 대차 거래 서버(130)의 거래를 통해 전체적인 대차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차 거래 서버(130)는 제 1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대여 가능 자산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 2 사용자의 차입 요청에 따라 대여 가능 자산으로 설정된 자산을 제 2 사용자에게 대여해줄 수 있다. 이러한 대차 거래를 통해, 제 1 사용자는 자산의 대여를 통한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제 2 사용자는 소정의 수수료 등을 지급하는 대신에 자산을 대여받을 수 있으며, 중개자는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 간의 대차거래를 중개함으로써 소정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대차 거래에 관한 권리의 기준일 도래 시, 제 2 사용자는 대여받은 자산을 제 1 사용자에게 상환함으로써 대차 거래를 종료시켜야 하나, 제 2 사용자가 예를 들어, 자산 부족 등의 이유로 이러한 상환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 2 사용자는 대차 거래의 담보로서, 자신의 자산(즉, 담보 자산)을 제공할 수 있으며, 대차 거래 서버(130)는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대해 담보권을 설정함으로써, 대차 거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설정되는 담보권은 제 1 사용자 이외에 대차 거래의 중개자와 연관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 1 사용자 및 중개자를 공동 담보권자로 하여 담보권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사용자가 상환을 완료하지 못하면, 대차 거래 서버(130)는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대해 공동 담보권자 중 1인으로서 담보권을 실행하여, 담보 자산을 제 1 사용자에게 분배하게 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중개자를 담보권자(즉, 단독 담보권자)로 하여 담보권(즉, 단독담보권)이 설정되고, 중개자의 담보권에 대해 다시 제 1 사용자를 담보권자로 하여 담보권(즉, 전질권)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사용자가 상환을 완료하지 못하면, 대차 거래 서버(130)는 담보권자로서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을 실행하여, 담보 자산을 제 1 사용자에게 분배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대차 거래 서버(130)는, 사용자 간의 대차 거래를 중개하되, 사용자가 제공하는 담보 자산에 대해 단독 담보권자 또는 공동 담보권자로서 담보권을 설정하여, 공동 담보권자 또는 전질권자인 제 1 사용자에게 담보 자산이 분배될 수 있도록, 대차 거래 서버(130)에 의한 담보 자산의 실행(또는 처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대차 거래의 유동성 및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으나, 대차 거래 시스템(100)은 공증기관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증기관 서버는 공증의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관이 직, 간접적으로 운영하는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공증의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관은 예를 들어, 법무법인, 법무법인(유한), 법무조합, 공증인가 받은 법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자산에는 담보권이 설정될 수 있으며, 대차 거래의 중개자는 사용자의 자산을 점유 및/또는 관리하는 이해관계인으로서, 자산에 대한 담보권 설정을 용인하거나 적극적으로 담보권 설정에 대해 승낙하게 될 당사자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대차 거래의 중개자는 담보권 설정의 승낙권한을 갖는 이해관계인으로서 담보권 설정 승낙에 관한 내용에 대해 확정일자 등록을 요청할 수 있으며, 또한, 담보권 설정의 통지권한을 갖는 사용자로부터 담보권 설정 사실의 통지권한을 위임 받아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에 대해 확정일자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공증기관 서버는 대차 거래 서버(130)로부터 담보권 설정 사실을 수신하여, 담보권 설정 승낙 또는 담보권 설정 통지에 의한 담보권의 대항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사용자가 제공한 담보 자산에 설정되는 담보권은 처분제한이 설정되어 제 2 사용자에 의한 처분이 제한되나, 당사자들(즉, 제 1 사용자, 제 2 사용자 및 중개자)의 협약(또는 약정)에 의해 제 2 사용자의 처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협약은 본 발명에서, 처분제한 관리협약으로 지칭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보권이 설정된 자산에는 원칙적으로 어떠한 처분행위도 허용되지 않는다. 담보권자의 지위를 보장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산에 본 발명에 따른 처분제한 관리협약이 설정된 경우에는, 제 2 사용자에 의한 자산의 처분이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보권이 설정된 유가증권이 매도되면, 유가증권은 소멸하고, 매도체결금액 및 매도체결금액이 현금화된 예수금이 발생하게 되는데, 처분제한 관리협약에 따라 상기 매도체결금액 및 예수금에 담보권의 효력이 발생하여, 매도체결금액에 의한 유가증권 매수, 및 예수금의 출금, 이체, 예수금에 의한 유가증권 매수가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처분제한 관리협약은 담보권이 설정된 자산에 대한 제 2 사용자의 처분을 가능하게 하되, 상기 처분에 일정한 제한을 가함으로써 제 1 사용자(및 중개자)의 담보권자의 지위를 보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부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대차 거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용어 및 도면부호로 지칭한다.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며, 두 실시예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기술한다.
제 3 사용자 단말(140)은 제 1 사용자의 자산에 설정되는 담보권의 담보권자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단말을 의미한다. 즉, 제 1 사용자의 계좌에 포함된 자산 중 적어도 일부가 제 3 사용자로 담보권자로 하여 담보권이 설정된 담보 자산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담보 자산에 대해서도 제 1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대여 가능 자산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제 3 사용자의 담보권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대차 거래 서버(130)는 담보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을 해지하고 제 2 사용자에게 대여하는 대신에, 제 2 사용자가 제공하는 담보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에 제 3 사용자를 연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차 거래 서버(130)는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대해 제 1 사용자 및 중개자를 공동 담보권자로 하여 담보권을 설정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담보권 중 제 1 사용자의 담보권 부분에 대해 제 3 사용자를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즉, 전질권)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사용자가 상환을 완료하지 못하면, 대차 거래 서버(130)는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설정된 제 1 사용자의 담보권의 공동 담보권자 중 1인으로서 담보권을 실행하여, 담보 자산을 제 1 사용자 및 제 3 사용자에게 분배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차 거래 서버(130)는 담보권의 실행으로 인해,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 중 적어도 일부가 제 1 사용자에게만 분배되는 경우, 제 1 사용자가 분배받은 자산에 대해 제 3 사용자를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을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 3 사용자는 전질권자로서 제 1 사용자의 담보권에 대한 전질권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차 거래 서버(130)는 제 3 사용자의 전질권의 실행을 제 2 사용자가 제공한 담보 자산에 반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사용자가 제공한 담보 자산에 대한 제 1 사용자의 담보권을 삭제하고, 제 3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와 더불어 공동 담보권자가 되도록 담보권을 재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사용자와의 대차 거래에는 어떠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제 2 사용자가 상환해야 할 자산에 대한 제 3 사용자의 지위를 안전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에서는, 제 1 사용자 단말(110), 제 2 사용자 단말(120), 대차 거래 서버(130) 또는 제 3 사용자 단말(140)은 각각이 별개의 컴포넌트로 도시되나,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둘이 하나의 컴포넌트로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차 거래 서버(130)와 제 3 사용자 단말(140)은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되나,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구성으로 통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 거래 장치를 도시한다.
대차 거래 장치(300)는 제 1 사용자(즉, 대여자) 및 제 2 사용자(즉, 차입자) 간의 대차 거래를 중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대차 거래의 중개자(또는 관리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버, 단말 등의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대차 거래 장치(300)는 인터페이스 모듈(310); 대여 처리 모듈(320); 담보권 관리 모듈(330);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 및 확정일자 등록 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사용자, 대차 거래 장치(300)의 관리자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제 1 사용자로부터 제 1 사용자의 계좌에 포함된 자산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대여 신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여 신청은 제 1 사용자가 대여하고자 하는 자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산에 관한 정보는 제 1 사용자가 대여하기 원하는 자산을 특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자산이 소정의 유가증권인 경우, 유가증권의 종목 및 수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사용자가 대여하고자 하는 자산이 제 3 사용자를 담보권자로 하여 담보권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자산에 관한 정보는 담보권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담보권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담보권자인 제 3 사용자에 관한 정보, 대차 거래에 관한 제 3 사용자의 동의 여부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제 2 사용자로부터 차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입 요청은 제 2 사용자가 차입을 요청하는 자산에 관한 정보 및 제 2 사용자가 대차 거래를 위해 담보로서 제공하는 담보 자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산에 관한 정보는 제 2 사용자가 차입하기 원하는 자산을 특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자산이 소정의 유가증권인 경우, 유가증권의 종목 및 수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제 2 사용자에게 담보 자산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담보 자산 요청 신호는 대차 거래를 유효하게 유지하기 위해 제 2 사용자로 하여금 (예를 들어, 추가적으로) 담보 자산을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이다. 이와 같은 담보 자산 요청 신호의 전송은 예를 들어, 대여 처리 모듈(320)에 의해 담보 자산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대차 거래를 종료시키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제 3 사용자로부터 담보권 실행 신호(또는 전질권 실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담보권 실행 신호는 제 1 사용의 담보권에 대한 제 3 사용자의 담보권(즉, 전질권)을 실행하기 위한 신호로서, 실행의 대상이 되는 담보권, 담보권 실행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실행에 동의하는 담보권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담보권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담보권을 다른 담보권으로부터 고유하게 특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담보물, 담보권자, 피담보채무(또는 담보채권)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담보권 실행 신호는 담보권 실행의 사유 또는 근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모듈(310)에 의한 담보권 실행 신호의 수신은 미수대금(또는 미수금)의 발생, 마진콜의 발생 등의 사유로 인해, 담보권을 실행해야 하는 경우(즉, 반대매매가 필요한 경우), 대차 거래 장치(300) 내부에서 생성된 담보권 실행 신호의 수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제 2 사용자로부터 담보 자산 처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담보 자산 처분 신호는 담보 자산을 처분하여 담보 자산으로부터 신규 담보 자산을 생성하게 하는 신호로서, 예를 들어, 유가증권의 매도신호, 예수금을 이용한 유가증권 매수신호, 계약의 청산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담보 자산 처분 신호는 처분의 대상이 되는 자산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 처분 조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처분 조건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유가증권의 매도 경우, 유가증권의 매도 가격, 매도 수량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담보 자산 처분 신호에 의한 처분은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의 전부뿐만 아니라, 일부에 대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310)에 의한 상기 수신은 사용자 단말, 관리자 단말 등으로부터 이루어지거나, 유선 또는 영업점 방문 등을 통해 관리행위에 관한 의사를 접수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은 대차 거래 장치(300)의 관리자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
대여 처리 모듈(320)은 제 1 사용자의 대여 신청에 따라 제 1 사용자의 계좌에 포함된 자산의 적어도 일부를 대여 가능 자산으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사용자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따라서 대여 처리 모듈(320)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사용자의 자산으로 대여풀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대여풀은 제 1 사용자 즉, 대여자와 중개자(또는 대차 거래 장치(300)의 관리자)와의 대차거래 약정 체결에 의해 대여가 가능하게 된 대여가능 자산의 총집합을 의미한다.
또한, 대여 처리 모듈(320)은 제 2 사용자의 차입 요청에 따라, 대여 가능 자산 중 차입 요청에 대응하는 자산을 제 2 사용자에게 대여 처리할 수 있다. 대여 가능 자산에 담보권이 설정된 경우, 대여 처리 모듈(320)은, 담보권 관리 모듈(330)에 의해 대여 가능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이 해제된 이후에, 대여 가능 자산을 제 2 사용자에게 대체함으로써 대여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대여 처리 모듈(320)은 대여 처리 이후에, 대여 처리된 자산의 대차 거래에 관한 권리의 기준일 도래 시, 제 2 사용자의 계좌에 포함된 자산 중 대차 거래로 인해 상환해야 하는 자산을 제 1 사용자에게 대체함으로써 상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대여 처리 모듈(320)은, 제 2 사용자가 제공한 담보 자산의 가액과 제 2 사용자가 차입을 요청하는 자산의 가액을 비교하여, 제 2 사용자의 차입 요청의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가 담보로서 제공하는 담보 자산의 가액이 차입을 요청하는 자산에 대해 소정의 비율 이상인 경우, 대여 처리 모듈(320)은 제 2 사용자의 차입 요청이 적법하다고 판단하고 대여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이러한 판단의 결과, 차입 요청이 적법하지 않으면, 실시예에 따라, 대여 처리 모듈(320)은 제 2 사용자의 차입 요청 전체를 거절하거나, 담보 자산에 의해 적법한 것으로 인정되는 차입 요청의 일부만이 적법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해 대여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대여 처리 모듈(320)은, 제 2 사용자가 제공한 담보 자산의 가액과 제 2 사용자에게 대여 처리된 대여 자산의 가액을 비교하여, 담보 자산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대여 처리 모듈(320)에 의한 이러한 판단은 주기적 및/또는 비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 2 사용자가 담보로 제공하는 담보 자산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 가치 또는 가액이 변동될 수 있다는 점을 반영한 것으로서, 대여 처리 모듈(320)은 담보 자산의 가액이 대여 자산에 대해 소정의 비율 이상인 경우, 담보 자산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여, 대차 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담보 자산의 가액이 대여 자산에 대해 소정의 비율 이상이 아닌 경우, 대여 처리 모듈(320)은 담보 자산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대차 거래를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차 거래의 종료는 대여 자산의 반환 및/또는 담보권의 실행을 수반할 수 있다. 즉, 대여 처리 모듈(320)은 대차 거래의 종료를 위해 제 2 사용자로부터 제 1 사용자로 대여 자산을 반환할 수 있다. 이때, 대여 자산의 적어도 일부의 반환이 이행되지 않으면,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제 1 사용자를 위하여 담보권을 실행하여, 담보 자산이 제 1 사용자에게 분배되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대차 거래의 종료는 인터페이스 모듈(310)에 의한 담보 자산 요청 신호의 전송을 추가적으로 수반할 수 있다. 즉, 대여 처리 모듈(320)에 의해 담보 자산이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제 2 사용자에게 담보 자산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것을 알리는 담보 자산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신호의 전송에 응답하여 제 2 사용자로부터 담보 자산을 수신하면, 대여 처리 모듈(320)은 담보 자산의 유효성을 다시 판단할 수 있다.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에서 사용자의 자산에 대해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처분행위를 제한하거나,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처분행위를 허용할 수 있다. 담보권 관리 모듈(330)의 이러한 처분제한의 설정 및 설정해제는 담보권의 설정 및 해지를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제 2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제 2 사용자가 대차 거래를 위해 제공하는 담보 자산에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담보 자산에 대한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되는 담보권은 i)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대해 제 1 사용자 및 대차 거래의 중개자를 공동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이거나, ii)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대해 중개자를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 및 중개자의 담보권에 대해 한 제 1 사용자를 담보권자(즉, 전질권자)로 하는 담보권(즉, 전질권)일 수 있다.
또한,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제 2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이는 i) 대여 처리 모듈(320)에 의해 대차 거래의 상환 완료 시,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대한 담보권의 해지를 반영하는 것이거나, ii) 처분제한 관리협약에 따라, 담보 자산에 대해 일시적으로 처분제한을 해제하기 위함이다.
처분제한 관리협약에 따라, 담보 자산에 대해 처분제한을 해제하는 경우,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담보 자산에 대한 처분행위를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분행위는 예를 들어, 증권 거래소, 청산소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처분행위는 주문 유효 시간 동안 수행되는데, 여기서 주문 유효 시간은 거래소에 요청한 매수 또는 매도주문이 효력을 가지는 시간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이러한 주문 유효 시간은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처분제한 관리협약에 따라, 담보 자산에 대해 처분제한을 해제하기 전에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처분제한 관리협약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은 담보권 관리 모듈(330)이 제 2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처분제한 관리협약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대여 처리 모듈(320)에 의해 상환해야 하는 자산 중 적어도 일부가 상환되지 아니하는 경우, 담보 자산에 대한 공동 담보권자 또는 단독 담보권자로서, 공동 담보권자 또는 전질권자인 제 1 사용자에게 담보 자산이 분배될 수 있도록 담보권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제 2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하고, 담보 자산 중 적어도 일부를 제 1 사용자에게 분배함으로써 담보권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분배는 담보 자산 중 적어도 일부를 제 1 사용자에게 직접 대체하거나, 담보 자산 중 적어도 일부를 매도하여 발생하는 예수금을 제 1 사용자에게 이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제 1 사용자에게 분배되는 자산은 제 2 사용자의 미상환액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대여 가능 자산으로 설정된 제 1 사용자의 자산이 제 3 사용자를 담보권자로 하여 담보권이 설정된 담보 자산인 경우,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제 1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제 1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이후 처분제한이 해제된 대여 가능 자산에 대한 대여 처리 모듈(320)의 대여 처리를 위함이다. 또한,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제 2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대해 제 1 사용자 및 대차거래의 중개자를 공동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고, 제 2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상기 설정된 담보권 중 제 1 사용자의 담보권에 대해 제 3 사용자를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할 수 있다. 이 경우,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대여 처리 모듈(320)에 의해 상환해야 하는 자산 중 적어도 일부가 상환되지 아니하는 경우, 제 1 사용자를 위하여 담보권을 실행할 수 있다. 담보권의 실행은, 담보권 관리 모듈(330)이 제 2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하고, 담보 자산 중 적어도 일부를 제 1 사용자 및 제 3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분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반대로, 대여 처리 모듈(320)에 의해 상환해야 하는 자산이 모두 상환되는 경우,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제 1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제 1 사용자에게 상환(또는 대체)된 자산에 대해 제 3 사용자를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제 3 사용자로부터 담보권 실행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제 2 사용자가 제공한 담보 자산에 대한 담보권을 재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제 2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제 1 사용자를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에 관한 내용을 삭제하고, 제 3 사용자 및 중개자를 공동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할 수 있다. 즉, 제 3 사용자는 전질권의 실행을 통해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대해 제 1 사용자가 갖는 공동 담보권자로서의 지위를 획득하여, 중개자와 함께 공동 담보권자가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담보권을 재설정하기 전에, 담보권 실행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제 3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담보권 실행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담보권을 재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은 소정의 유효성 판단 기준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유효성의 판단 기준은 당사자 간의 약정 또는 협약에 의해 임의로 결정되거나, 법률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담보권의 관리행위의 성격이나 종류에 따라 상이한 판단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담보권 실행 신호에 포함된 담보권 실행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실행에 동의하는 담보권자에 관한 정보가 유효한지에 따라 담보권 설정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담보권 실행을 요청하거나 담보권 실행에 동의하는 담보권자에 관한 정보가 유효한지는 로그인-인증, 인증서, 전자서명 등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인증 방법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인터페이스 모듈(310)에 의해 수신된 담보권 실행 신호가 대차 거레 장치(300)의 관리자로부터 수신되거나 대차 거래 장치(200) 내부에서 생성된 경우, 담보권 실행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는 사용자의 자산, 자산에 대해 처분 제한 여부에 관한 속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는 고객 계좌부에 대응하며, 따라서 담보 자산 중 비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에 관한 정보는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에 반영됨으로써 담보권의 대항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하기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하며,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확정일자 등록 모듈(350)은 사용자의 계약성 자산에 담보권이 설정된 경우, 담보권의 대항력을 획득하기 위해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받을 수 있다. 확정일자 등록 모듈(350)의 이러한 동작은 주기적 및/또는 비주기적으로 수행될 있으며, 예를 들어, 담보권이 설정되거나, 담보권의 내용이 갱신될 때마다 수행되거나, 소정의 시점에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정일자 등록 모듈(350)은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 받기 위해 담보권 설정 승낙에 관한 내용 및 상기 내용에 대한 확정일자 등록 요청을 공증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담보권 설정 승낙에 관한 내용은 담보권의 내용 및 담보권 설정 승낙의 의사표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완성된 문서의 형태, 또는 개별적인 법적 구성요소의 조합의 형태일 수 있다. 확정일자 등록 모듈(350)의 확정일자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공증기관에 의해 확정일자가 등록되면, 담보권 설정 승낙에 의한 담보권의 대항력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확정일자 등록 모듈(350)은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 받기 위해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 및 상기 내용에 대한 확정일자 등록 요청을 공증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은 담보권의 내용, 담보권 설정 통지의 의사표시 및 담보권 설정 사실의 통지권한 위임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고, 완성된 문서의 형태, 또는 개별적인 법적 구성요소의 조합의 형태일 수 있다. 확정일자 등록 모듈(350)의 확정일자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공증기관은 확정일자를 등록한 후, 대차 거래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대차 거래 장치(300)가 공증기관으로부터 확정일자가 등록된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을 수신하면, 담보권 설정 통지에 의한 담보권의 대항력이 발생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되는, 인터페이스 모듈(310); 대여 처리 모듈(320); 담보권 관리 모듈(330);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 및 확정일자 등록 모듈(350)은 복수의 물리적인 장치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물리적인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모듈(310); 대여 처리 모듈(320); 담보권 관리 모듈(330);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 및 확정일자 등록 모듈(350) 각각은 소프트웨어(software)를 이용하거나 펌웨어(firmware)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예시를 도시한다.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는 사용자의 자산, 자산에 대해 처분 제한 여부에 관한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는 대차 거래 장치(300) 또는 대차 거래 장치(300)의 관리자 등에 의해 생성 또는 수정될 수 있다.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자산은 사용자가 보유한, 계좌로 표시하여 관리 가능한 자산을 의미하며, 자산에 관한 정보는 자산의 종목, 수량, 가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산에 담보권이 설정되는 경우, 자산에 관한 정보는 담보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담보권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담보권을 다른 담보권으로부터 고유하게 특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담보물, 담보권자, 피담보채무, 담보물에 설정된 처분제한의 설정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산의 처분 제한 여부에 관한 속성정보는 자산을 대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처분행위 각각에 대한 허용 여부에 관한 속성정보를 의미한다. 자산의 처분 제한 여부에 관한 속성정보는 예를 들어, 유가증권에 대한 매도제한, 출고제한, 대체제한의 설정 여부에 관한 속성정보; 매도체결금액에 대한 유가증권 매수제한의 설정 여부에 관한 속성정보; 예수금에 대한 출금제한, 이체제한, 유가증권 매수제한의 설정 여부에 관한 속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는 당사자 간의 약정, 관련 법률(예를 들어,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11조 등) 등에 기초하는 전산화된 고객 계좌부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담보권이 설정되는 사용자의 자산이 비계약성 자산인 경우, 자산에 대한 담보권 등의 권리현황을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에 전산-기록함으로써 담보권의 대항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대차 거래 장치(300)는 관리자, 사용자, 공증기관 등으로부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된 각종 정보 중 일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대차 거래 장치(300)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물 계약에 대해 담보권이 설정 또는 해지된 경우, 담보권 설정 또는 해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에서 선물 계약에 처분제한을 설정하거나 선물 계약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함으로써, 담보권의 설정 또는 해지를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에 반영할 수 있다.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 내의 종래 자산으로부터 신규 자산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발생은 종래 자산에 부가적인 신규 자산의 발생 및 종래 자산에 대안적인 신규 자산의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종래의 유가증권이 감자, 증자 및 주식의 분할, 병합, 소각 등으로 인해 소멸하고, 신규 유가증권 또는 현금(즉, 신규 예수금)이 발생하거나, 유가증권을 매도함으로써 현금(즉, 신규 예수금)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종래의 유가증권으로부터 주식배당에 의해 배당주식(즉, 신규 유가증권) 또는 현금배당에 의해 배당금(즉, 신규 예수금)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종래의 예수금으로부터 이자수익이 발생하거나, 종래 예수금을 이용하여 다른 자산을 매수함으로써, 신규 자산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자산을 매도하거나, 자산을 청산함으로써, 현금(즉, 신규 예수금)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신규 자산은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되며, 종래의 자산의 속성정보를 상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자산에 처분제한이 설정되어 있었다면, 종래의 자산으로부터 발생한 신규 예수금에 대해서도 처분제한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설정을 통해 신규 자산에 대해 종래와 동일한 처분제한의 효력이 미치게 하여, 담보권의 효력이 상속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신규 자산의 발생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 내의 종래 자산으로부터 신규 자산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유가증권과 관련하여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는 유가증권에 대한 매도제한, 출고제한, 대체제한, 처분제한 관리협약의 설정 여부에 관한 속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가증권 A는 일반적인 유가증권으로서 어떠한 제한도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유가증권 A에 대한 매도, 출고 및 대체가 모두 허용될 수 있다. 처음 유가증권이 입고되며, 유가증권 A와 같이, 어떠한 제한 없이, 매도, 출고 및 대체가 모두 허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상태는 예를 들어, 디폴트 상태로 지칭될 수 있다. 유가증권 B는 사용자A를 담보권자로 하여 담보권이 설정된 유가증권으로서, 처분제한, 출고제한 및 대체제한이 설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유가증권 B에 대한 처분은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는 매도체결금액에 대한 유가증권 매수제한의 설정 여부에 관한 속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매도체결금액은 유가증권의 매도 체결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서, 현금화되기 전의 금액을 의미한다. 현금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매도체결금액에 대해서는 출금 및 이체가 허용되지 않으며, 다만 상기 매도체결금액을 이용한 유가증권의 매수만이 허용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매도체결금액 A는 일반적인 매도체결금액으로서 어떠한 제한도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매도체결금액 A를 이용한 유가증권 매수가 허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처음 매도체결금액이 발생하면, 매도체결금액 A와 같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는 예를 들어, 디폴트 상태로 지칭될 수 있다. 매도체결금액 B는 사용자A를 담보권자로 하여 담보권이 설정된 유가증권이 매도됨으로써 발생한 매도체결금액으로서, 유가증권 매수제한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매도체결금액 B를 이용한 유가증권 매수는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는 예수금에 대한 출금제한, 이체제한, 유가증권 매수제한의 설정 여부에 관한 속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예수금은 사용자의 계좌에 포함된 현금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입금 또는 이체된 현금뿐만 아니라 매도체결금액이 현금화된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수금에 대해서는 출금, 이체, 상기 예수금을 이용한 유가증권의 매수가 원칙적으로 허용 가능하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수금 A는 일반적인 예수금으로써, 어떠한 제한도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예수금의 출금 및 이체, 예수금을 이용한 유가증권의 매수가 허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처음 예수금이 발생하면, 예수금 A와 같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는 예를 들어, 디폴트 상태로 지칭될 수 있다. 예수금 B는 대출기관 A를 담보권자로 하여 담보권이 설정된 예수금으로서, 예수금의 출금제한, 이체제한 및 예수금을 이용한 매수제한이 설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예수금 B에 대한 처분은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예수금은 매도체결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으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는 대여 가능한 것으로 설정된 자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는 도 4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에 도시되는 각각의 자산에 별도의 정보 또는 태그를 추가함으로써 구현되거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 내에 포함되는 별도의 대여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별도의 대여풀의 구현은 도 5와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하며,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적금, 예금성 자산, ELF 등 계좌에 의해 관리 또는 거래 가능한 일체의 자산이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여풀의 예시를 도시한다.
대여풀(345)은 대여자와 중개자(또는 대차 거래 장치(300)의 관리자)와의 대차거래 약정 체결에 의해 대여가 가능하게 된 대여가능 자산의 총집합을 의미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총 100,000주, 200,000주, 70,000주 및 50,000주의 제 1 유가증권 내지 제 4 유가증권이 대여 가능 자산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유가증권 내지 제 4 유가증권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사용자(대여자)의 대여 신청에 의해 대여 가능 자산으로 설정된 것이다. 이 중에서 80,000주의 제 1 유가증권, 100,000주의 제 2 유가증권 및 30,000주의 제 4 유가증권이 적어도 하나의 제 2 사용자(차입자)에 의해 대여 처리되었으며, 그 결과, 20,000주의 제 1 유가증권, 100,000주의 제 2 유가증권, 70,000주의 제 3 유가증권 및 20,000주의 제 4 유가증권이 현재 대여 가능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대여풀(345)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 거래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방법(600)은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 간의 대차 거래를 중개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기서 제 1 사용자는 대여자에 해당하고, 제 2 사용자는 차입자에 해당할 수 있다.
S610 단계에서, 대여 처리 모듈(320)은 제 1 사용자의 계좌에 포함된 자산의 적어도 일부를 대여 가능 자산으로 설정할 수 있다. S610 단계는 인터페이스 모듈(310)에 의해 자산의 자산을 대여하기를 원하는 제 1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사용자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따라서 S610 단계에서, 대여 처리 모듈(320)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사용자의 자산으로 대여풀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대여풀은 대여자와 중개자(또는 대차 거래 장치(300)의 관리자)와의 대차거래 약정 체결에 의해 대여가 가능하게 된 대여가능 자산의 총집합을 의미한다.
S62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제 2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자산에 대한 차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차입 요청은 제 2 사용자가 차입을 요청하는 자산에 관한 정보 및 제 2 사용자가 대차 거래를 위해 담보로서 제공하는 담보 자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산에 관한 정보는 제 2 사용자가 대여하기 원하거나 담보로서 제공하고자 하는 자산을 특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자산이 소정의 유가증권인 경우, 유가증권의 종목 및 수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630 단계에서, 대여 처리 모듈(320)은 대여 가능 자산 중 차입 요청에 대응하는 자산을 제 2 사용자에게 대여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대여 처리는 제 2 사용자의 차입 요청에 따른 대차 거래가 체결되어 제 2 사용자에게 대여될 자산이 제 2 사용자와 연계된 계좌로 입고 또는 차입되기 위해 필요한 일련의 정보처리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630 단계는, 대여 처리 모듈(320)이 제 1 사용자가 제공하여 대여 가능 자산으로 설정된 자산 중 제 2 사용자가 차입 요청한 자산에 해당하는 자산을 제 2 사용자에게 대여 처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대여 가능 자산에 따라, 제 2 사용자가 차입을 요청한 자산 모두 또는 적어도 일부에 대해 대차 거래가 체결되거나, 대차 거래가 체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S640 단계에서,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대해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할 수 있다. S640 단계는, 제 2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되는 담보권은 i)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대해 제 1 사용자 및 대차 거래의 중개자를 공동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이거나, ii)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대해 중개자를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 및 중개자의 담보권에 대해 제 1 사용자를 담보권자(즉, 전질권자)로 하는 담보권(즉, 전질권)일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제 2 사용자에 의한 임의 처분을 제한하여 담보 가치를 실현함과 동시에,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는 고객 계좌부에 대응한다는 점에서 S640 단계에서 담보 자산 중 비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에 관한 정보는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에 포함됨으로써 담보권의 대항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와 함께 대차 거래의 중개자가 공동 담보권자 또는 단독 담보권자가 됨으로써, 중개자는 공동 담보권자 또는 전질권자인 제 1 사용자에게 담보 자산이 분배될 수 있도록, 유효 적절하게 담보권을 실행하여, 대차 거래에 따른 제 1 사용자의 리스크를 방지할 수 있다.
S650 단계에서, 대여 처리 모듈(320)은 대차 거래에 관한 권리의 기준일 도래 시, 제 2 사용자의 계좌에 포함된 자산 중 대차 거래로 인해 상환해야 하는 자산을 제 1 사용자에게 대체할 수 있다. S650 단계에서 제 2 사용자의 자산을 제 1 사용자에게 대체함으로써, 대차 거래에 따른 상환을 수행하여 대차 거래를 종료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S650 단계는 대여 처리 모듈(320)이 대체를 수행하기 전에, 적어도 기준일까지 차입자의 상환 또는 대여자의 취득에 관한 대차거래의 배정명세를 확정하고, 인터페이스 모듈(310)이 이를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650 단계에서 상환해야 하는 자산 중 적어도 일부가 상환되지 아니하는 경우,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S640 단계에 의해 설정된 담보권을 실행할 수 있다(S660 단계). S660 단계는, 담보권 관리 모듈(330)이 제 2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하고,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 중 적어도 일부를 제 1 사용자에게 분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분배는 담보 자산 중 적어도 일부를 제 1 사용자에게 직접 대체하거나, 담보 자산 중 적어도 일부를 매도하여 발생하는 예수금을 제 1 사용자에게 이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사용자에게 분배되는 자산은 제 2 사용자의 미상환액에 대응할 수 있다.
반대로, S650 단계를 통해 상환이 완료되면,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S640 단계에 의해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의 해지를 반영할 수 있다(S670 단계). 상기 해지는 제 2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담보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방법(600)의 단계들의 수행이 반드시 전술한 순서대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구현에 따라서는 임의적으로 변경 가능함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S630 단계는 S640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담보 자산이 계약성 자산인 경우, 확정일자 등록 모듈(350)이 담보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의 대항력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확정일자를 등록 받는 단계는, 담보권 설정 승낙에 관한 내용 및 상기 내용에 대한 확정일자 등록 요청을 공증기관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담보권 설정 승낙에 관한 내용은 담보권의 내용 및 담보권 설정 승낙의 의사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확정일자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공증기관에 의해 확정일자가 등록되면, 담보권 설정 승낙에 의한 상기 담보권의 대항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확정일자를 등록 받는 단계는, 담보권 설정 통지에 의한 담보권의 대항력이 발생시키기 위해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 및 상기 내용에 대한 확정일자 등록 요청을 공증기관에 전송하는 단계; 및 공증기관으로부터 확정일자가 등록된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은 담보권의 내용, 담보권 설정 통지의 의사표시 및 담보권 설정 사실의 통지권한 위임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담보권 설정에 있어, 사용자는 담보권 설정의 통지권한을 갖게 되며, 대차 거래의 중개자는 이해관계인으로서, 사용자로부터 담보권 설정의 사실을 통지 받는 것이 원칙이나, 본 발명의 중개자는 담보권 설정의 통지권한을 갖는 사용자로부터 담보권 설정 사실의 통지권한을 위임 받는 바, 적법하게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에 대해 확정일자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공증기관은 확정일자를 등록한 후, 대차 거래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대차 거래 장치(300)가 공증기관으로부터 확정일자가 등록된 담보권 설정 통지에 관한 내용을 수신하면, 담보권 설정 통지에 의한 담보권의 대항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여 처리 모듈(320)은 제 2 사용자가 제공한 담보 자산의 가액과 제 2 사용자가 차입을 요청하는 자산의 가액을 비교하여, 제 2 사용자의 차입 요청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가 담보로서 제공하는 담보 자산의 가액이 차입을 요청하는 자산에 대해 소정의 비율 이상인 경우, 대여 처리 모듈(320)은 제 2 사용자의 차입 요청이 적법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에게 대여 가능한 자산은 제 2 사용자가 제공하는 담보물의 가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상기 판단의 결과, 차입 요청이 적법하지 않으면, 실시예에 따라, 제 2 사용자의 차입 요청 전체가 거절되거나, 담보 자산에 의해 적법한 것으로 인정되는 차입 요청의 일부만이 적법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여 처리 모듈(320)은 제 2 사용자가 제공한 담보 자산의 가액과 제 2 사용자가 대여한 대여 자산의 가액을 비교하여, 담보 자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가 담보로 제공하는 담보 자산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 가치 또는 가액이 변동될 수 있다는 점을 반영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담보 자산의 이러한 가액 변동을 주시적/비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담보 자산의 가액이 대여 자산에 대해 소정의 비율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담보 자산의 가액이 대여 자산에 대해 소정의 비율 이상인 경우, 대여 처리 모듈(320)은 담보 자산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여, 대차 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담보 자산의 가액이 대여 자산에 대해 소정의 비율 이상이 아닌 경우, 대여 처리 모듈(320)은 담보 자산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대차 거래를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차 거래의 종료는 대여 자산의 반환 및/또는 담보권의 실행을 수반할 수 있다. 즉, 대여 처리 모듈(320)은 대차 거래의 종료를 위해 제 2 사용자로부터 제 1 사용자로 대여 자산을 반환할 수 있다. 이때, 대여 자산의 적어도 일부의 반환이 이행되지 않으면,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제 1 사용자를 위하여 담보권을 실행하여, 담보 자산이 제 1 사용자에게 분배되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대차 거래의 종료는 인터페이스 모듈(310)에 의한 담보 자산 요청 신호의 전송을 추가적으로 수반할 수 있다. 즉, 대여 처리 모듈(320)에 의해 담보 자산이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제 2 사용자에게 담보 자산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것을 알리는 담보 자산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신호의 전송에 응답하여 제 2 사용자로부터 담보 자산을 수신하면, 대여 처리 모듈(320)은 담보 자산의 유효성을 다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 거래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방법(700)의 S710 단계 내지 S770 단계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600) 중 S610 단계 내지 S660 단계와 마찬가지로 설명된다.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S710 단계에서, 제 1 사용자의 계좌에 포함된 자산 중 적어도 일부가 제 3 사용자로 담보권자로 하여 담보권이 설정된 제 2 담보 자산일 수 있다. 대여 처리 모듈(320)은 이러한 제 2 담보 자산에 대해서도 제 1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대여 가능 자산으로 설정할 수 있다.
S730 단계에서, 대여 처리 모듈(320)은 대여 가능 자산으로 설정된 제 2 담보 자산 중 차입 요청에 대응하는 자산을 제 2 사용자에게 대여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730 단계는, 담보권 관리 모듈(330)이 제 1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제 2 담보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하고, 대여 처리 모듈(320)이 처분제한이 해제된 제 2 담보 자산을 제 2 사용자에게 대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S740 단계에서,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740 단계는, 담보권 관리 모듈(330)이 제 2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처분제한을 설정하고, 제 2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담보 자산에 대해 제 1 사용자 및 중개자를 공동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상기 설정된 담보권 중 제 1 사용자의 담보권 부분에 대해 제 3 사용자를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즉, 전질권)의 설정을 반영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즉, 제 1 사용자가 대여 가능 자산으로 제공하는 제 2 담보 자산의 담보권자인 제 3 사용자의 담보권 보장을 위해, 제 1 사용자가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대해 갖는 담보권에 대해 다시 제 3 사용자를 담보권자로 하여 담보권을 설정하는 것이다. 특히,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는 고객 계좌부에 대응한다는 점에서, 담보 자산 중 비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에 관한 정보는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에 포함됨으로써 담보권의 대항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대차 거래에 관한 권리의 기준일 도래 시, 대여 처리 모듈(320)은 제 2 사용자의 계좌에 포함된 자산 중 대차 거래로 인해 상환해야 하는 자산을 제 1 사용자에게 대체할 수 있다(S750 단계).
S750 단계에서, 상환해야 하는 자산 중 적어도 일부가 상환되지 아니하는 경우,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S740에서 의해 설정된 담보권을 실행할 수 있다(S760 단계). S760 단계는, 담보권 관리 모듈(330)이 제 2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하고,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 중 적어도 일부를 제 1 사용자 및 제 3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분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분배는 담보 자산 중 적어도 일부를 직접 대체하거나, 담보 자산 중 적어도 일부를 매도하여 발생하는 예수금을 이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배되는 자산은 제 2 사용자의 미상환액에 대응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 중 적어도 일부가 제 1 사용자에게만 분배되는 경우,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제 1 사용자가 분배 받은 자산에 대해 제 3 사용자를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의 추가적인 설정을 반영할 수 있다.
반대로, S750 단계를 통해 상환이 완료되면,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의 해지를 반영할 수 있다(S770 단계). 상기 해지는 제 2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담보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계속해서,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제 1 사용자에게 대체된 자산에 대해 제 3 사용자를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할 수 있다(S780 단계). 이와 같은 담보권의 설정의 반영은 제 1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상기 자산에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제 1 사용자의 자산이 대여 처리 되기 전에, 상기 자산에 대해 제 3 사용자가 담보권을 가졌다는 점에서 제 3 사용자의 담보권을 회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 거래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방법(800)은 도 7에서 도시되는 방법(700) 중 S740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S830 단계 내지 S860 단계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S750 단계 내지 S780 단계와 마찬가지로 설명된다.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S740 단계 이후에, 인터페이스 모듈(310)이 제 3 사용자로부터 담보권 실행 신호(또는 전질권 실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810 단계).
계속해서,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제 2 사용자가 제공한 담보 자산에 대한 담보권의 재설정을 반영할 수 있다(S820 단계). 구체적으로,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제 2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제 1 사용자를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에 관한 내용을 삭제하고, 제 3 사용자 및 중개자를 공동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할 수 있다. 즉, 제 3 사용자는 전질권의 실행을 통해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대해 제 1 사용자가 갖는 공동 담보권자로서의 지위를 획득하여, 중개자와 함께 공동 담보권자가 될 수 있다.
S840 단계에서, 상환해야 하는 자산 중 적어도 일부가 상환되지 아니하는 경우,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S820 단계에 의해 설정된 담보권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담보권의 실행에 의해 제 1 사용자 및 제 3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분배되는 자산은 제 2 사용자의 미상환액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 3 사용자에게 우선적으로 분배된 후에, 제 1 사용자에게 분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810 단계 이후에, 방법(800)은 담보권 관리 모듈(330)이 담보권 실행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담보권 실행 신호가 유효한 경우에만, S82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 3 사용자가 전질권을 실행하더라도, 이는 제 2 사용자와의 대차 거래에는 어떠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제 2 사용자가 상환해야 할 자산에 대한 제 3 사용자의 지위를 안정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 거래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방법(900)은 방법(600, 700, 800)에서 제 2 사용자가 제공한 담보 자산에 담보권을 설정하는 단계(S640, S740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S91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제 2 사용자로부터 담보 자산 처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담보 자산 처분 신호는 담보 자산을 처분하여 담보 자산으로부터 신규 담보 자산을 생성하게 하는 신호로서, 예를 들어, 유가증권의 매도신호, 예수금을 이용한 유가증권 매수신호, 계약의 청산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담보 자산 처분 신호는 처분의 대상이 되는 자산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 처분 조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처분 조건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유가증권의 매도 경우, 유가증권의 매도 가격, 매도 수량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920 단계에서,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제 2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자산에 담보권을 원인으로 하여 처분제한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일체의 처분행위가 허용되지 않으나, 본 발명에 따라 처분제한 관리협약이 설정된 경우에는,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S920 단계는 담보 자산에 설정된 일체의 처분제한이 모두 해제되거나, 처분행위 중 일부만이 해제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가증권에 대한 처분제한의 해제는 유가증권에 대한 매도제한만을 해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S930 단계에서, 담보 자산에 대한 처분제한이 해제되면,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담보 자산 처분 신호에 따라 담보 자산에 대한 처분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S940 단계에서, 담보권 관리 모듈(330)은 처분행위에 의해 발생하는 신규 담보 자산에 대해 처분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S940 단계는 담보권 관리 모듈(330)이 제 2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신규 담보 자산에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종래 담보 자산으로부터 신규 담보 자산으로의 담보권의 상속을 반영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900)은 S910 단계 이후에, 담보 자산 처분 신호에 의해 특정되는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처분제한 관리협약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처분제한 관리협약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S920 단계 내지 S940 단계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판단 결과,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처분제한 관리협약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방법(900)은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사용자가 대차 거래를 담보하기 위해 담보 자산을 제공하더라도, 본 발명의 처분제한 관리협약에 따라, 담보 자산에 대한 제 2 사용자의 처분을 가능하게 하되, 상기 처분에 일정한 제한을 가함으로써 제 1 사용자(및 중개자)의 담보권자의 지위를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차 거래 장치(300)의 동작 방법(600, 700, 800, 900)은, 도 6,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거래 장치(300)의 동작 방법(600, 700, 800, 900)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대차 거래 시스템 110 제 1 사용자 단말
120 제 2 사용자 단말 130 대차 거래 서버
140 제 3 사용자 단말 300 대차 거래 장치
310 인터페이스 모듈 320 대여 처리 모듈
330 담보권관리 모듈 340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
345 대여풀 350 확정일자 등록 모듈

Claims (37)

  1.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 각각과 대차 거래를 수행하는 중개자에 의해 운영되는 대차 거래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사용자의 계좌에 포함된 자산의 적어도 일부를 대여 가능 자산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자산에 대한 차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차입 요청은 상기 제 2 사용자가 차입을 요청하는 자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 2 사용자가 대차 거래를 위해 담보로서 제공하는 담보 자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대여 가능 자산 중 상기 차입 요청에 대응하는 자산을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대여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담보 자산에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담보 자산에 대한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담보권 또는 약정의 내용으로서 상기 계좌에 포함된 자산에 대한 처분제한의 설정 여부에 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담보 자산에 대한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담보 자산에 대한 상기 제 1 사용자 및 상기 중개자를 공동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담보 자산에 대해 상기 중개자를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고, 상기 중개자의 담보권에 대해 상기 제 1 사용자를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고객 계좌부에 대응하며, 상기 담보 자산 중 비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에 관한 정보는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됨으로써, 담보권의 대항력을 발생시키는, 동작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 자산이 계약성 자산인 경우, 상기 담보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의 대항력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 처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자산의 대차 거래에 관한 권리의 기준일 도래 시, 상기 제 2 사용자의 계좌에 포함된 자산 중 상기 대차 거래로 인해 상환해야 하는 자산을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환이 완료되면, 상기 제 2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담보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이 해지를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환해야 하는 자산 중 적어도 일부가 대체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담보 자산에 대한 공동 담보권자 또는 단독 담보권자로서 담보권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권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담보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하고, 상기 담보 자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분배함으로써 수행되는, 동작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용자가 제공한 상기 담보 자산의 가액과 상기 제 2 사용자가 차입을 요청하는 자산의 가액을 비교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차입 요청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용자가 제공한 상기 담보 자산의 가액과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대여 처리된 대여 자산의 가액을 비교하여, 상기 담보 자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용자로부터 담보 자산 처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담보 자산 처분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처분제한이 해제된 담보 자산에 대한 처분행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처분행위에 의해 발생하는 신규 담보자산에 대해 처분제한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 가능 자산으로 설정된 상기 제 1 사용자의 자산이 제 3 사용자를 담보권자로 하여 담보권이 설정된 제 2 담보 자산인 경우, 상기 대여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담보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하고, 상기 제 2 담보 자산을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대체함으로써 수행되는, 동작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 자산에 대한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담보 자산에 대해 상기 제 1 사용자 및 대차거래의 중개자를 공동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설정된 담보권 중 상기 제 1 사용자의 담보권에 대해 상기 제 3 사용자를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 처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자산의 대차 거래에 관한 권리의 기준일 도래 시, 상기 제 2 사용자의 계좌에 포함된 자산 중 상기 대차 거래로 인해 상환해야 하는 자산을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대체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대체된 자산에 대한 상기 제 3 사용자를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환이 완료되면,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담보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의 해지를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환해야 하는 자산 중 적어도 일부가 대체되지 아니하는 경우, 공동 담보권자로서 담보권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권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담보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하고, 상기 담보 자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1 사용자 및 상기 제 3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분배함으로써 수행되는, 동작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사용자로부터 담보권 실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담보권 실행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가 제공한 담보 자산에 대해 상기 제 3 사용자 및 상기 중개자를 공동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의 재설정을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9.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0.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 각각과 대차 거래를 수행하는 중개자에 의해 운영되는 대차 거래 장치로서,
    계좌로 표시하여 관리 가능한 상기 제 1 사용자 및 상기 제 2 사용자의 자산에 관한 정보 및 담보권 또는 약정의 내용으로서 상기 계좌에 포함된 자산에 대한 처분제한의 설정 여부에 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 2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자산에 대한 차입 요청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 상기 차입 요청은 상기 제 2 사용자가 차입을 요청하는 자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 2 사용자가 대차 거래를 위해 담보로서 제공하는 담보 자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제 1 사용자의 계좌에 포함된 자산의 적어도 일부를 대여 가능 자산으로 설정하고, 상기 대여 가능 자산 중 상기 차입 요청에 대응하는 자산을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대여 처리하는 대여 처리 모듈; 및
    상기 제 2 사용자의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담보 자산에 처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담보 자산에 대해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담보권 관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담보권 관리 모듈은,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담보 자산에 대한 상기 제 1 사용자 및 상기 중개자를 공동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거나;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담보 자산에 대한 상기 중개자를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고, 상기 중개자의 담보권에 대한 상기 제 1 사용자를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대차 거래 장치.
  21. 삭제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고객 계좌부에 대응하며, 상기 담보 자산 중 비계약성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에 관한 정보는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됨으로써 담보권의 대항력을 발생시키는, 대차 거래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 자산이 계약성 자산인 경우, 상기 담보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의 대항력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담보권에 대해 확정일자를 등록 받는 확정일자 등록 모듈을 더 포함하는, 대차 거래 장치.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 처리 모듈은 상기 대여 처리 이후에, 상기 자산의 대차 거래에 관한 권리의 기준일 도래 시, 상기 제 2 사용자의 계좌에 포함된 자산 중 상기 대차 거래로 인해 상환해야 하는 자산을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대체하는, 대차 거래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권 관리 모듈은, 상기 대여 처리 모듈에 의해 상기 상환이 완료되면,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담보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의 해지를 반영하는, 대차 거래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권 관리 모듈은, 상기 대여 처리 모듈에 의해 상기 상환해야 하는 자산 중 적어도 일부가 대체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담보 자산에 대한 공동 담보권자 또는 단독 담보권자로서 담보권을 실행하는, 대차 거래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권 관리 모듈은,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담보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하고, 상기 담보 자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분배함으로써 상기 담보권을 실행하는, 대차 거래 장치.
  28.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 처리 모듈은, 상기 제 2 사용자가 제공한 상기 담보 자산의 가액과 상기 제 2 사용자가 차입을 요청하는 자산의 가액을 비교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차입 요청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대차 거래 장치.
  29.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 처리 모듈은, 상기 제 2 사용자가 제공한 상기 담보 자산의 가액과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대여 처리된 대여 자산의 가액을 비교하여, 상기 담보 자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대차 거래 장치.
  30.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제 2 사용자로부터 담보 자산 처분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담보권 관리 모듈은, 상기 담보 자산 처분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담보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하고, 상기 처분제한이 해제된 담보 자산에 대한 처분행위를 수행하며,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처분행위에 의해 발생하는 신규 담보자산에 대해 처분제한을 설정하는, 대차 거래 장치.
  3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 가능 자산으로 설정된 상기 제 1 사용자의 자산이 제 3 사용자를 담보권자로 하여 담보권이 설정된 제 2 담보 자산인 경우, 상기 담보권 관리 모듈은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담보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하고, 상기 대여 처리 모듈은, 상기 제 2 담보 자산을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대체함으로써 상기 대여 처리를 수행하는, 대차 거래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권 관리 모듈은,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담보 자산에 대해 상기 제 1 사용자 및 대차거래의 중개자를 공동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고,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설정된 담보권 중 상기 제 1 사용자의 담보권에 대해 상기 제 3 사용자를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대차 거래 장치.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 처리 모듈은, 상기 대여 처리 이후에, 상기 자산의 대차 거래에 관한 권리의 기준일 도래 시, 상기 제 2 사용자의 계좌에 포함된 자산 중 상기 대차 거래로 인해 상환해야 하는 자산을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대체하고,
    상기 담보권 관리 모듈은,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대체된 자산에 대해 상기 제 3 사용자를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의 설정을 반영하는, 대차 거래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권 관리 모듈은, 상기 대여 처리 모듈에 의해 상기 상환이 완료되면,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담보 자산에 설정된 담보권의 해지를 반영하는, 대차 거래 장치.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권 관리 모듈은, 상기 대여 처리 모듈에 의해 상기 상환해야 하는 자산 중 적어도 일부가 대체되지 아니하는 경우, 공동 담보권자로서 담보권을 실행하는, 대차 거래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권 관리 모듈은,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담보 자산에 설정된 처분제한을 해제하고, 상기 담보 자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1 사용자 및 상기 제 3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분배함으로써 상기 담보권을 실행하는, 대차 거래 장치.
  37.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제 3 사용자로부터 담보권 실행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담보권 설정 모듈은, 상기 담보권 실행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기 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가 제공한 담보 자산에 대해 상기 제 3 사용자 및 상기 중개자를 공동 담보권자로 하는 담보권의 재설정을 반영하는, 대차 거래 장치.
KR1020130168365A 2013-08-14 2013-12-31 대차 거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56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5814 WO2015102184A1 (ko) 2013-12-31 2014-06-30 대차 거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201480071564.2A CN105900126A (zh) 2013-12-31 2014-06-30 证券借贷装置及其运作方法
JP2016543020A JP6419192B2 (ja) 2013-12-31 2014-06-30 貸借取引き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6908 2013-08-14
KR1020130096908 2013-08-14
KR20130096909 2013-08-14
KR1020130096909 2013-08-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999A KR20150019999A (ko) 2015-02-25
KR101556540B1 true KR101556540B1 (ko) 2015-10-02

Family

ID=52578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365A KR101556540B1 (ko) 2013-08-14 2013-12-31 대차 거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5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493B1 (ko) * 2015-04-15 2017-07-27 이태진 소셜 정보 기반의 대출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77767B1 (ko) * 2017-08-07 2019-05-13 엔에이치투자증권주식회사 대출 대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1086096A1 (ko) * 2019-10-30 2021-05-06 주식회사 트루테크놀로지스 유가증권의 공매도를 지원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999A (ko)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1645B2 (ja) デジタル暗号化された証券プラットフォーム、ならびに、そ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10827023A (zh) 根据资产标记化的当事人之间的资产交易系统及方法
KR20200094531A (ko)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865251B2 (ja) トークン発行信託システム
KR102343615B1 (ko) 예술 작품 거래와 정보 관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US118540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orders and immutable blockchain ledger for all customer trading activity with settlement into the broker dealer ecosystem
KR20200106767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식재산권거래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Batiz-Benet et al. The SAFT project: Toward a compliant token sale framework
KR101556540B1 (ko) 대차 거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08687A (ko)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및 운영방법
JP2015506521A (ja) 有価証券の取引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50109313A (ko) 자산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1519097B1 (ko)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190051366A (ko) 분산원장을 이용하여 유가증권 공매도를 지원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1696356B1 (ko) 담보물건을 활용한 대차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77767B1 (ko) 대출 대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22948A (ko)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JP6434627B2 (ja) 資産管理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101730531B1 (ko) 유가증권 거래 방법 및 장치
KR101563589B1 (ko) 계약성 자산에 대한 담보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1759607B1 (ko) 자산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JP6419192B2 (ja) 貸借取引き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KR101977743B1 (ko) 스톡 옵션을 위한 대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93058B1 (ko) 도메인-디지털 자산 연동 기반 저작권 과금 및 수익 분배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16323A (ko) 위탁 운용자산의 대차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