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785B1 -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785B1
KR101555785B1 KR1020140097038A KR20140097038A KR101555785B1 KR 101555785 B1 KR101555785 B1 KR 101555785B1 KR 1020140097038 A KR1020140097038 A KR 1020140097038A KR 20140097038 A KR20140097038 A KR 20140097038A KR 101555785 B1 KR101555785 B1 KR 101555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upling
fixing
hole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연
Original Assignee
김충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연 filed Critical 김충연
Priority to KR1020140097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8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he use of several passengers, e.g.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와 같은 대형차량의 천장에 설치되는 LED TV 또는 PDP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화면의 크기 및 제조사에 따라 다양하게 출시되는 모든 종류의 디스플레이를 거치할 수 있으면서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작업 시 작업자 1인이 쉽게 디스플레이를 천장에 고정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버스 또는 실내의 천장에 결합되며, 양 단부에 돌기가 구비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돌기에 결속되어 고정되되, 디스플레이의 상부 및 하부 또는 측면부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거치대 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Multi fixing device of display for vehicle}
본 발명은 버스와 같은 대형차량의 천장에 설치되는 LED TV 또는 PDP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화면의 크기 및 제조사에 따라 다양하게 출시되는 모든 종류의 디스플레이를 거치할 수 있으면서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작업 시 작업자 1인이 쉽게 디스플레이를 천장에 고정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현대생활에 있어 버스, 승용차 등의 차량은 단순한 운송수단의 개념에서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생활공간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주행성이나 승차감과 같은 차량의 기술적인 사항 못지 않게 중요시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탑승자의 편의성과 안락성을 줄 수 있는 각종 편의장치의 제공이다.
정보화시대인 현대에 이르러 장거리 여행이나 교통정체로 인하여 차량 내에서 머무는 시간이 많아지므로 이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차량 내에 모니터를 설치하여 영화나 TV 프로그램 등을 시청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차량이 점차 늘고 있으며, 점차적으로 화면이 큰 대형 디스플레이를 장착하는 추세로 변하고 있다.
기존 CRT를 대체하기에 이른 LCD나 PDP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급에 따라, 단순히 장식장 탁자에 세워지는 것을 넘어서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 등록실용 제0227372호, 등록실용 제0224719호, 등록실용 제0362224호, 등록실용 제0286371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화면의 크기에 따라 23, 24, 27, 29, 32, 37, 40 ,42, 47, 50 ,55 인치 등의 다양한 크기가 존재하는데, 디스플레이를 장착하기 위한 베사홀(VESA Hole) 간격도 각각 변하게 되므로 이들의 거치대도 그 화면크기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거치대가 존재하여야 했다. 참고로, 베사홀 규격은 홀간간격을 기준으로 100 X 100, 200 X 100, 200 X 200, 400 X 200, 400 X 400mm(가로 x 세로)등으로 표준화되어 있다.
나아가 같은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라고 하더라도, 그 제조사의 모델 변경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세로 및 두께가 서로 상이하므로, 디스플레이 거치대는 화면의 크기 및 제조사의 개수만큼 존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거치대 제조사는 다양한 사이즈(가로, 세로, 두께)로 출시되는 디스플레이의 사이즈에 맞춰 제각각 제작되어야 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소비자는 자신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와 제조사를 정확히 말해야만 그에 맞는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구매가 가능하다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거치대를 사용하다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큰 것으로 교체한 경우에는 기존의 디스플레이 거치대를 버리고 새로운 거치대를 구매해야 하는 부당함도 있었다.
한편,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디스플레이를 버스 또는 실내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무게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부착된 상태로 천장에 부착되므로 최소 작업자가 둘 이상이 필요하고 이로 인하여 작업공수 및 설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022737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022471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036222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028637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버스와 같은 대형차량의 천장에 설치되는 LED TV 또는 PDP TV와 같이 화면의 크기 및 제조사에 따라 다양하게 출시되는 모든 종류의 디스플레이를 거치할 수 있으면서도, 디스플레이를 고정할 시 작업자 1인이 쉽게 디스플레이를 천장에 고정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스 천장에 결합되는 고정부재(200); 및 상기 고정부재(200)에 결합하며,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통공(102)이 형성되는 측면부재(100),와 상기 측면부재(100)의 양단부에 결합하며 중간부분에 디스플레이(400) 후면에 형성되는 베사홀(401)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장공이 형성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거치대 본체(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대 본체(10)는 디스플레이(400)의 상부 및 하부 또는 측면부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200)의 양 단부에는 돌기(20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측면부재(100)의 상부에는 돌기(201)와 결속되기 위한 결합공(10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200)에 조립된 돌기(201)의 내측면에는 너트(204)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재는 하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거나, 다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재가 다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된 경우에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측면부재(100)의 상부에 형성된 통공(102)에 양 단부가 결합되며, 중간부에 디스플레이(400) 후면에 형성되는 베사홀(401)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장공(111)이 형성되는 상부 결합부재(110); 상기 측면부재(100)의 하부에 형성된 통공(102)에 양 단부가 결합되며, 중간부에 디스플레이(400) 후면에 형성되는 베사홀(401)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장공(131)이 형성되는 하부 결합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400)의 상단부 일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지지부재(140); 및 상기 결합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400)의 하단부 일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지지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재와 상부 지지부재(140) 및 결합부재와 하부 지지부재(150)는 각각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대 본체(10)는, 상기 상부 결합부재(110) 및 하부 결합부재(130) 사이에 상기 측면부재(100)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통공(102)에 양 단부가 결합되며, 중간부에 디스플레이(400) 후면에 형성되는 베사홀(401)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장공(121)이 형성되는 중간 결합부재(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지지부재(140)는, 상기 상부 결합부재(110)와 결합되되, 단면이'┌'형으로 형성되고, 상부면에 복수의 체결공(142)이 형성되는 고정부재(141); 상기 고정부재(141)의 상부면과 겹치되, 단면이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42)과 대응되도록 장공(144)이 형성되는 이동부재(143); 및 상기 체결공 및 장공(142, 144)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나사못(1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지지부재(150)는, 상기 하부 결합부재(130)와 결합되되, 단면이'┗'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에 복수의 체결공(152)이 형성되는 고정부재(151); 상기 고정부재(151)의 하부면과 겹치되, 단면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52)과 대응되도록 장공(154)이 형성되는 이동부재(153); 및 상기 체결공 및 장공(152, 154)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나사못(1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지지부재(140)는, 상기 상부 결합부재(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단 전면부를 감싸되, 단면의 형상이 'ㄷ'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141); 상기 고정부재(141)의 후면부에 형성되는 결합공(147); 및 상기 결합공(147)에 나사결합되는 볼트(1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지지부재(150)는, 상기 하부 결합부재(13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단 전면부를 감싸되, 단면의 형상이 'ㄷ'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151); 상기 고정부재(151)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결합공(157); 및 상기 결합공(157)에 나사결합되는 볼트(1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400)의 상단부 일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상부이동지지부재(190-1); 및 상기 결합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400)의 하단부 일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하부이동지지부재(190-2)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이동지지부재(190-1)와 하부이동지지부재(190-2)는 일측에 다수의 장공(19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디스플레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ㄷ'자 형상이며, 상기 장공(191)은 결합부재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172)과 연통되어 고정나사(192)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부재(100)는, 하부 일측에 디스플레이(400)의 크기에 따라 절단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절단홈(10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부재(100)는, 통공(102)이 가로방향으로 둘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공(101)은, 'ㄱ'형상의 직각으로 형성되거나 눈사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부재(100)는, 디스플레이(400)의 양 측면부를 감싸는 측면 지지부재(160) 또는 측면이동지지부재(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 지지부재(160) 또는 측면이동지지부재(180)는 측면부재(100)와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 지지부재(160)는 일단부가 상기 측면부재(100)의 절곡된 부분에 고정되는 고정체(161), 상기 고정체(161)의 타단부에 인출입되며 디스플레이를 고정시키는 인출입부재(162), 및 상기 고정체(161)를 측면부재(100)에 고정하고 인출입부재(162)의 이동을 제한하는 나사못(163), 및 인출입부재(162)와 고정체(161)의 내측부에 삽입된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이동지지부재(180)는 일측에 디스플레이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장공(18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디스플레이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장공(181)은 측면부재(100)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107)과 연통되어 고정나사(182)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는, 배송시에는 돌기(201)가 결합공(101)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부재(200)를 돌기(201)를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고정부재(200)와 거치대 본체(10)가 평행인 상태로 박스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200)의 하부면에는 상기 고정부재(200)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의 하부부재(205)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는 고정부재(200)와 거치대 본체(10)를 결합시키는 수단으로서의 연결부재(200)가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는 상부에는 고리형상의 걸이편(21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또는 측면에는 결합부재 또는 측면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통공(2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200)에는 상기 걸이편(211)이 겹합할 수 있는 결합구(212)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151)에는 디스플레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15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의하면, 첫째, 화면의 크기와 관계없이, 또한 제조사마다 다양한 사이즈(가로, 세로, 두께)로 출시되는 디스플레이의 사이즈에 구애받지 않고 디스플레이를 거치시킬 수 있어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버스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작업자 1인이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공수의 감소 및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작업자가 고정부재를 미리 버스의 천장에 고정한 뒤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측면부재를 걸어서 결속시킬 수 있어 보다 편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측면부재 상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공이 직각으로 형성되므로 디스플레이가 낙하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거치대 설치 전에는 고정부재를 양 측면부재 내측부로 회동시킬 수 있어 설치 전 배송 시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되며, 이로 인해 물품의 대량공급이 가능해 지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디스플레이 거치대를 사용하다가 새로운 디스플레이 장치로 교체할 경우에도 별도로 디스플레이 거치대를 구매할 필요가 없이 기 설치된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상하 좌우 길이 및 두께를 조정해서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 지지부재가 제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상부 지지부재를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하부 지지부재를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a와 6b는 도 1의 측면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고정부재가 양 측면부재의 사이로 회동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상, 하부 지지부재에 의해 큰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상, 하부 지지부재에 의해 작은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3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측면 지지부재만을 이용하여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상부, 중간 및 하부 결합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변형된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변형된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거치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 지지부재가 제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상부 지지부재를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하부 지지부재를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측면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4의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1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1의 고정부재가 양 측면부재의 사이로 회동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상, 하부 지지부재에 의해 큰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상, 하부 지지부재에 의해 작은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13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측면 지지부재만을 이용하여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14는 도 1의 상부, 중간 및 하부 결합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거치대는, 버스 천장에 결합되며, 양 측면 단부에 돌기(201)가 구비되는 고정부재(2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0)는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면, 즉 천장과 밀착되는 표면에는 내측부에서 나사못 또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천장에 고정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나사결합용 홀(202)이 한 개 이상 형성된다.여기서, 상기 나사결합용 홀(202)은 그 형상이나 크기에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모양이나 크기로 설계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0)의 양 측면부 즉 상기 나사결합용 홀(202)의 측방에는 측면공(203)이 형성되어 후술할 측면부재(10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통공(104)과 나사 등에 의해 관통되어 결합된다.
게다가 상기 고정부재(200)의 하부면에는 상기 고정부재(200)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의 하부부재(205)가 나사못 또는 볼트 등에 의해 고정부재(20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부부재(205)는 고정부재(200) 내부에 보이는 천장 고정볼트 등이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돌기(201)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200)의 내측면에 너트(204)가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접합되며, 상기 너트(204)를 통하여 돌기(201)를 조립 또는 고정할 수 있게 된다.(도 1의 'A'부분 참조). 이는 결합시 힘을 많이 받는 부분을 보강하고 아울러 결합의 편리성을 위함이다. 여기서, 돌기(201)는 볼트 구조로서, 상기 고정부재(200)의 내측면에 접합된 너트(204)와 서로 조립 또는 체결 되는 구조로서 손쉽게 분리, 조립이 가능한 구조이다.
한편, 상기 돌기(201)에 결속되어 고정되되, 디스플레이(400)의 상부 및 하부 또는 측면부를 지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거치대 본체(10)가 구비된다.
상기 거치대 본체(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돌기(201)에 결속되기 위해 상단부에 결합공(101)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통공(102)이 형성되고, 평단면의 형상이 'ㄱ'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면부재(100)가 구비된다. 여기서, 도 6처럼 측면부재(100)가 단면이 'ㄱ'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측면부재(100)를 좌우측의 구조 및 형상을 서로 대칭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공(101)의 일측에는 상기한 측면공(203)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결합통공(104)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공(203)과 결합통공(104)은 나사못 또는 볼트 등이 관통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결합통공(104)은 곡률을 가지는 장공으로서, 이는 상기 결합공(101)과 돌기(201)에 의한 결합 외에 더욱 결합력을 높이고 아울러 디스플레이 각도를 시청하기에 편리한 적당한 각도로 조절이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측면부재에는 양 단부가 결합되며 중간부분에 디스플레이(400) 후면에 형성되는 베사홀(401)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장공이 형성되는 결합부재가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의 결합부재는 도 14 및 도 15와 같이 하나의 결합부재(170)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과 같이 다수의 결합부재(110, 120, 130)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의 형태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먼저 설명한다.
여기서, 결합부재가 다수의 결합부재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부 결합부재(110)와 하부 결합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재를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측면부재(100)의 상부 통공(102)에 양 단부가 결합되며, 중간부에 디스플레이(400) 후면에 형성되는 베사홀(401)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장공(111)이 형성되는 상부 결합부재(1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100)의 하부 통공(102)에 양 단부가 결합되며, 중간부에 디스플레이(400) 후면에 형성되는 베사홀(401)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장공(131)이 형성되는 하부 결합부재(130)가 구비된다.
상기한 상부 결합부재(110) 및 하부 결합부재(130)는, 각각의 양 단부가 상기 측면부재(100)의 통공(102)에 나사못 또는 볼트 등에 의하여 결합되며,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의 크기별로 후면에 형성되는 베사홀(401)에 맞춰 적절한 거리를 상하로 조절한 후 볼트 및 나사로 상부 결합부재(110) 및 하부 결합부재(130)에 형성된 복수의 장공(111,131)과 디스플레이(400)의 배면에 형성된 베사홀(401)이 서로 고정 결합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에는 디스플레이(400)의 상부 및 하부 또는 측면부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수단이 적어도 하나 이상 부착된다. 이하에서는 상부 및 하부에 부착되는 경우를 우선적으로 설명한다.
상부 및 하부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400)의 크기가 인치별로 다양하게 바뀌더라도 디스플레이(400)의 중앙 부분 좌우측을 상하로 고정시키기만 하면, 디스플레이(400)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디스플레이(400)의 상하간의 세로 길이만 조정가능하게 하여 디스플레이(400)의 상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디스플레이(400)의 두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고정부재와 이동부재를 이용하여 거리를 조정가능하게 하여 디스플레이(400)의 두께부분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였다.
이하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상부 결합부재(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400)의 상단부 일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재(14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지지부재(14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상부 지지부재(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결합부재(110)와 결합되되, 디스플레이의 상단끝을 감싸도록, 단면이 '┌'형으로 형성되고, 상부면에 복수의 체결공(142)이 형성되는 고정부재(141)와, 상기 고정부재(141)의 상부면과 겹치되, 단면이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42)과 대응되도록 장공(144)이 형성되는 이동부재(143) 및 상기 체결공 및 장공(142, 144)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나사못(14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결합부재(110)와 결합되는 상부 지지부재(140)의 구성품인 고정부재(141)와 이동부재(143)의 단면형상은 '┌'형과 '┓'형으로 간단하게 표현하였으나 그 형상은 각종 디스플레이(400)의 평단면 형상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설계변경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결합부재(130)의 하부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400)의 하단부 일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지지부재(150)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 지지부재(15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하부 지지부재(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결합부재(130)와 결합되되, 디스플레이의 하단끝을 감싸도록 단면이 '┗'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에 복수의 체결공(152)이 형성되는 고정부재(151)와, 상기 고정부재(151)의 하부면과 겹치되, 단면이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52)과 대응되도록 장공(154)이 형성되는 이동부재(153) 및 상기 체결공 및 장공(152, 154)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나사못(15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결합부재(130)와 결합되는 하부 지지부재(150)의 구성품인 고정부재(151)와 이동부재(153)의 단면형상은 '┗'형과 '┛'형으로 간단하게 표현하였으나 그 형상은 각종 디스플레이(400)의 평단면 형상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설계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재(15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15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상당히 크거나 디스플레이 베사홀 규격을 벗어난 특수한 형상의 디스플레이를 장착할 경우에 디스플레이 고정용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400)의 두께에 맞춰 상기 각 이동부재(143, 153)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킨 뒤 디스플레이가 움직이지 않도록 밀착시킨 후, 상기 나사못(145, 155)을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거치대는 다양한 화면크기와 제조사에 따라 달라지는 다양한 두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광범위하게 수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상부 지지부재(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와 이동부재가 결합되는 방식이 아닌 일체형으로 고정부재(141)가 변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면이 'ㄷ'형상으로서, 고정부재(141)의 전단부가 디스플레이의 상단 전면부를 감싸도록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며, 그 후면부에 결합공(147)이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가 고정부재(141)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고정부재(141)의 내측으로 밀어 넣고, 상기 결합공(147)에 볼트(146)를 회전시키게 되면 볼트(146)가 전진되면서 디스플레이는 고정부재(141)의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볼트(146)의 단부와 디스플레이가 접하는 부분에는 디스플레이의 충격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드 등의 완충재가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하부 지지부재(1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와 이동부재가 결합되는 방식이 아닌 일체형으로 고정부재(151)가 변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면이 'ㄷ'형상으로서, 고정부재(151)의 전단부가 디스플레이의 하단 전면부를 감싸도록 상부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며, 그 전면부에 결합공(157)이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가 고정부재(151)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고정부재(151)의 내측으로 밀어 넣고, 상기 결합공(157)에 볼트(156)를 회전시키게 되면 볼트(156)가 전진되면서 디스플레이는 고정부재(151)의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볼트(156)의 단부와 디스플레이가 접하는 부분에는 디스플레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드 등의 완충재가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부재(140) 및 하부 지지부재(150)의 구성품인 고정부재(141,151)의 단면형상은 'ㄷ'형상으로 간단하게 표현하였으나 그 형상은 각종 디스플레이(400)의 단면형상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설계변경 될 수 있다.
아울러, 이 경우에도 고정부재(15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15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상당히 크거나 디스플레이 베사홀 규격을 벗어난 특수한 형상의 디스플레이를 장착할 경우에 디스플레이 고정용으로 사용한다.
한편, 상기 상부 결합부재(110) 및 하부 결합부재(130) 사이에 상기 측면부재(100)의 중간부 통공(102)에 양 단부가 결합되며, 중간부에 디스플레이(400) 후면에 형성되는 베사홀(401)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장공(121)이 형성되는 중간 결합부재(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간 결합부재(120)의 경우 비교적 디스플레이의 사이즈가 클 경우 보강을 위해 보조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채택될 수 있는 구성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재(100)는, 절곡된 부분에 디스플레이(400)의 양 측면부를 감싸면서 이를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의 한 개 이상의 측면 지지부재(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 지지부재(16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단부가 상기 측면부재(100)의 절곡된 부분에 고정되는 고정체(161)와, 상기 고정체(161)의 타단부에 인출입되는 인출입부재(162) 및 상기 고정체(161)를 측면부재(100)에 고정하고, 인출입부재(162)의 이동을 제한하는 나사못(163)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인출입부재(162)와 고정체(161)의 내측부에는 인장스프링이 개재되어 인출입부재(162)가 디스플레이에 밀착되어 이탈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400)의 가로 길이(너비)에 따라 상기 인출입부재(162)를 인출 또는 인입시킨 뒤 상기 나사못(163)을 조여서 인출입부재(162)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161)는 측면 지지부재(160)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도시 및 설명되어 있지만, 분리하지 않고 측면지지부재(160)와 측면부재(10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부 지지부재(140)와 하부 지지부재(1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측면 지지부재(160)의 체결구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하방향으로 조립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각 고정체(148, 158)는 상부 및 하부 결합부재(110, 130)에 각각 결합되고, 디스플레이(400)의 세로 길이(높이)에 따라 각 인출입부재(149, 159)를 인출 또는 인입시킨 뒤 나사못(148a, 158a)을 조여서 인출입부재(149, 159)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인출입부재(149, 159)와 고정체(148, 158)의 내측부에는 인장스프링이 개재되어 인출입부재(149, 159)가 디스플레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밀착되어 이탈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측면 지지부재(160)의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 본체(10)에 상하방향으로 조립하여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400)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결합부재(110) 및 하부 결합부재(130)에 의해서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며,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부재(100)에 각각 구비되는 측면 지지부재(160)에 의해서만도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1에는 상부 결합부재(110)와 하부 결합부재(130), 측면 지지부재(160)가 동시에 도시되어 있지만,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상부 결합부재(110)와 하부 결합부재(130)(도 7 및 도 8 참조) 또는 측면 지지부재(160)(도 9 참조) 중 어느 하나를 필요에 따라 최선의 방법을 선택하여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상부 결합부재(110)와 상부 지지부재(140), 하부 결합부재(130)와 하부 지지부재(150)는 도면에 분리된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분리시키기 않고 일체로도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볼트와 너트, 나사못을 이용하지 않고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시켜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측면부재(100)는, 하부 일측에 디스플레이(400)의 크기에 따라 절단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절단홈(10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400)가 다양한 넓이(인치)로 출시되어 판매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일정한 크기를 기준으로, 예를들어 50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절단홈(103)을 절단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3~40인치 정도의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절단홈(103)을 기준으로 하부를 절단한 후에 사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102)이 가로방향으로 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서 상부 지지부재(140) 및 하부 지지부재(150)를 통하여서도 디스플레이(400)의 고정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 디스플레이(400)의 후면 측에서 측면부재(100)에 중간결합부재(120)를 추가로 결합시켜서 디스플레이(40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부재(100)에 뚫려있는 결합공(101)은, 도 6(a)와 같은 'ㄱ'형상의 직각으로 형성되거나 도 6(b)와 같이 눈사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a)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이는 측면부재(100)에 뚫려 있는 복수의 통공(102)에 결합된 상부, 중간 및 하부 결합부재(110, 120, 130)를 포함하는 거치대본체(10)를 천장에 고정된 고정부재(200)에 결속할 경우, 먼저 측면부재(100)의 상단부에 있는 결합공(101)의 개구부를 통하여 측면부재(100)를 돌기(201)에 끼운 후 위쪽 방향으로 밀어 넣은 상태에서 다시 직각방향으로 또 밀어 넣으면 거치대본체(10)의 자체하중에 의해 돌기(201)에 결합공(101)의 끝부분이 걸려 있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돌기(201)를 이용하여 측면부재(100)를 임시로 고정부재(200)에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중간 및 하부 결합부재(110, 120, 130)가 결합된 측면부재(100)가 고정부재(200)에 임시로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로 낙하되어 떨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임시로 고정부재(200)에 조립된 본체(10)를 디스플레이(400)의 시야각에 맞게 적절하게 앞뒤로 각도를 조절한 후 고정부재의 측면공(203)과 측면부재(100)의 결합통공(104)을 볼트로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200)의 너트(204)에 임시로 고정되었던 돌기(201)도 측면부재(100)의 결합공(101)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돌기(201)의 경우 볼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너트(204)에 조립될 수 있는 조건만 만족한다면 그 형상이나 구조는 다르게 변경될 수 있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버스의 천장에 고정부재(200)만을 고정시키고, 고정부재(200)의 양측에 돌출된 돌기(201)에 본체(10) 상부에 일부가 통공된 상태로 형성된 결합공(101)을 삽입시켜서 고정부재(200)와 본체(10)를 임시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설치작업을 진행해도 되므로, 1인이 혼자서도 쉽게 설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뒷면에 각종 배선작업을 편리하고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400) 각도를 일정한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6(b)와 같은 눈사람 형태의 결합공(101a)도 도 6(a)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결합시에는 큰구멍(101a-1)에 돌기(201)를 끼우면 본체(10)의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돌기(201)가 작은구멍(101a-2)으로 이동하여 결합되는 형태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0)의 경우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시에는 고정부재(200)와 본체(10)가 거의 직각을 이루지만, 설치 전 공급업체가 설치 업자에게 배송될 시에는 도 6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01)와 결합공(101)을 결속시킨 상태(돌기를 조이지 않은 상태)에서 양 측면부재(100)의 사이로 회동시켜서 고정부재(200)와 본체(10)가 평행하게 하여 측면공(203)과 배송용결합공(105)을 일치시키고, 여기에 볼트(106)를 결속시켜서, 고정부재(200)와 본체(10)가 평행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배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서 포장용 박스의 크기가 상당히 작아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포장박스내에 고정부재(200)와 본체(10)가 조립된 상태로 삽입되어 포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포장하여 운송수단에 적재 시 공간 확보가 용이하게 되어 대량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상부, 중간 및 하부 결합부재(110, 120, 130)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 측면부재(100)의 사이에 하나로 형성된 결합부재(17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170)의 표면에는 복수의 장공(171)이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의 베사홀(401)에 맞춰 디스플레이를 결합부재(17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각종 결합부재(110,120,130,17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장공(171)은 그 형상이나 크기의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모양이나 크기로 설계변경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변형된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도 1에서의 측면, 상부 및 하부지지부재(140,150,160)에 대응하는 부분만 그 형태가 변경되었으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5에서의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측면, 상부 및 하부지지부재(140,150,160)에 대응하는 부분이 측면이동지지부재, 상부이동지지부재 및 하부이동지지부재(180, 190-1, 190-2)로 변형된다.
먼저, 측면이동지지부재(180)에 대하여 설명하면, 측면이동지지부재(180)는 평단면이 J자 형상으로서, 일측에는 디스플레이가 거치될 수 있도록 단면형상이 'ㄷ'자 형상이고, 타측에는 다수의 장공(18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181)은 측면부재(100)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107)과 연통되어 고정나사(182)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장공(181)이 통공(107)과 결합하는 부분을 조절함으로서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5에서는 측면이동지지부재의 수직방향의 길이가 길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수직방향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아울러 그 개수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5에서의 두께 조절에 대한 부분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는 상기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여기서, 상기 측면이동지지부재(180)에 형성된 복수의 장공(181)과 측면부재(100)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107)은 그 형성위치를 서로 바꿔서 장공(181)은 측면부재(100)에 형성되고 통공(107)은 측면이동지지부재(180)에 형성되도록 설계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측면이동지지부재(180)의 단면형상은 'ㄷ'형상으로 간단하게 표현하였으나 그 형상은 각종 디스플레이(400)의 단면형상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설계변경 될 수 있다.
상부이동지지부재와 하부이동지지부재(190-1, 190-2)는 상기 측면이동지지부재(18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부이동지지부재와 하부이동지지부재는 평단면이 J자 형상으로서, 일측에는 디스플레이가 거치될 수 있도록 단면형상이자 'ㄷ'형상이고, 타측에는 다수의 장공(19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191)은 결합부재(170)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172)과 연통되어 고정나사(192)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장공(191)이 통공(172)과 결합하는 부분을 조절함으로서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이동지지부재(190-1) 및 하부이동지지부재(190-2)에 형성된 복수의 장공(191)과 결합부재(170)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172)은 그 형성위치를 서로 바꿔서 장공(191)은 결합부재(170)에 형성되고 통공(172)은 상부이동지지부재(190-1) 및 하부이동지지부재(190-2)에 형성되도록 설계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이동지지부재(190-1)와 하부이동지지부재(190-2)의 단면형상은 'ㄷ'형상으로 간단하게 표현하였으나 그 형상은 각종 디스플레이(400)의 단면형상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설계변경 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변형된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은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도 1에서의 고정부재(200)와 거치대 본체(10)가 결합하는 수단인 돌기(201)와 결합공(101)이 임시로 결합되는 구조를 변경하여 볼트로 구성된 돌기(201)를 조립하지 않고 그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연결부재(210)와 결합구(212)가 추가로 설치된 점만 차이가 있다. 이하, 연결부재(210) 및 결합구(212)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연결부재(210)는 상부에 고리형상의 걸이편(211)이 형성되고, 하부 또는 측면에는 상부결합부재(110) 또는 측면부재(100)와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하기 위한 통공(213)이 적어도 한 부분 이상에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고정부재(200)에는 상기 걸이편(211)이 결합할 수 있는 결합구(212)가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고정부재(200)를 차량의 천장에 고정시키고, 연결부재(210)를 측면부재(100) 또는 상부결합부재(110)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나사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연결부재(210)의 걸이편(211)을 결합구(212)에 끼워 넣어 고정부재(200)에 본체(10)가 임시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연결부재(210)와 결합구(212)는 상기된 돌기(201)와 결합공(101)의 역할을 대체하게 되므로, 여기서는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와같이 돌기(201)와 결합공(101)대신에 연결부재(210)와 결합구(212)를 사용하는 구조로 변경할 경우 상기 측면부재(100)의 결합공(101)은, 도 6(a)와 같은 'ㄱ'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도 6(b)와 같이 눈사람 형상으로 형성하지않고 일반적인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원형홀 또는 장공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연결부재(210)가 나사를 이용하여 측면부재(100) 또는 상부결합부재(110)에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연결부재(210)는 측면부재(100) 또는 상부결합부재(110) 중의 어느 하나 이상과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210)는 그 역할을 대신하는 범위 내에서 그 형태 및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측면부재 101 : 결합공
102 : 통공 103 : 절단홈
104 : 결합통공 110 : 상부 결합부재
111 : 장공 120 : 중간 결합부재
121 : 장공 130 : 하부 결합부재
131 : 장공 140 : 상부 지지부재
141 : 고정부재 142 : 체결공
143 : 이동부재 144 : 장공
145 : 나사못 146 : 볼트
147 : 결합공 148 : 고정체
149 : 인출입부재 150 : 하부 지지부재
151 : 고정부재 152 : 체결공
153 : 이동부재 154 : 장공
155 : 나사못 156 : 볼트
157 : 결합공 158 : 고정체
159 : 인출입부재 166 : 볼트
160 : 측면 지지부재 161 : 고정체
162 : 인출입부재 163 : 나사못
170 : 결합부재 171 : 장공
200 : 고정부재 201 : 돌기
202 : 나사결합용 홀 203 : 측면공
204 : 너트 205 : 하부부재
400 : 디스플레이

Claims (29)

  1. 버스 천장에 결합되는 고정부재(200); 및
    상기 고정부재(200)에 결합하며,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통공(102)이 형성되는 측면부재(100),와 상기 측면부재(100)의 양단부에 결합하며 중간부분에 디스플레이(400) 후면에 형성되는 베사홀(401)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장공이 형성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거치대 본체(1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는 하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거나, 다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400)의 상단부 일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지지부재(140); 및
    상기 결합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400)의 하단부 일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지지부재(15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지지부재(150)는,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되되, 단면이'┗'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에 복수의 체결공(152)이 형성되는 고정부재(151);
    상기 고정부재(151)의 하부면과 겹치되, 단면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52)과 대응되도록 장공(154)이 형성되는 이동부재(153); 및
    상기 체결공 및 장공(152, 154)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나사못(1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10)는 디스플레이(400)의 상부 및 하부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0)의 양 단부에는 돌기(20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측면부재(100)의 상부에는 돌기(201)와 결속되기 위한 결합공(10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0)에 조립된 돌기(201)의 내측면에는 너트(204)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가 다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된 경우에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측면부재(100)의 상부에 형성된 통공(102)에 양 단부가 결합되며, 중간부에 디스플레이(400) 후면에 형성되는 베사홀(401)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장공(111)이 형성되는 상부 결합부재(110);
    상기 측면부재(100)의 하부에 형성된 통공(102)에 양 단부가 결합되며, 중간부에 디스플레이(400) 후면에 형성되는 베사홀(401)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장공(131)이 형성되는 하부 결합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와 상부 지지부재(140) 및 결합부재와 하부 지지부재(150)는 각각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10)는,
    상기 상부 결합부재(110) 및 하부 결합부재(130) 사이에 상기 측면부재(100)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통공(102)에 양 단부가 결합되며, 중간부에 디스플레이(400) 후면에 형성되는 베사홀(401)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장공(121)이 형성되는 중간 결합부재(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재(140)는,
    상기 상부 결합부재(110)와 결합되되, 단면이'┌'형으로 형성되고, 상부면에 복수의 체결공(142)이 형성되는 고정부재(141);
    상기 고정부재(141)의 상부면과 겹치되, 단면이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42)과 대응되도록 장공(144)이 형성되는 이동부재(143); 및
    상기 체결공 및 장공(142, 144)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나사못(1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11. 삭제
  12. 제6 항에 있어서,
    상부 지지부재(140)는,
    상기 상부 결합부재(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단 전면부를 감싸되, 단면의 형상이 'ㄷ'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141); 및
    상기 고정부재(141)의 후면부에 형성되는 결합공(1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100)는,
    하부 일측에 디스플레이(400)의 크기에 따라 절단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절단홈(10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100)는,
    통공(102)이 가로방향으로 둘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1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101)은,
    'ㄱ'형상의 직각으로 형성되거나 눈사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100)는,
    디스플레이(400)의 양 측면부를 감싸는 측면 지지부재(160) 또는 측면이동지지부재(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부재(160)는 측면부재(100)와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부재(160)는 일단부가 상기 측면부재(100)의 절곡된 부분에 고정되는 고정체(161), 상기 고정체(161)의 타단부에 인출입되며 디스플레이를 고정시키는 인출입부재(162), 및 상기 고정체(161)를 측면부재(100)에 고정하고 인출입부재(162)의 이동을 제한하는 나사못(1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22. 제21항에 있어서,
    인출입부재(162)와 고정체(161)의 내측부에 삽입된 인장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이동지지부재(180)는 일측에 디스플레이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장공(18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디스플레이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장공(181)은 측면부재(100)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107)과 연통되어 고정나사(182)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는, 배송시에는 돌기(201)가 결합공(101)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부재(200)를 돌기(201)를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고정부재(200)와 거치대 본체(10)가 평행인 상태로 박스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2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0)의 하부면에는 상기 고정부재(200)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의 하부부재(205)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2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는 고정부재(200)와 거치대 본체(10)를 결합시키는 수단으로서의 연결부재(210)가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부에는 고리형상의 걸이편(21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또는 측면에는 결합부재 또는 측면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통공(2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0)에는 상기 걸이편(211)이 겹합할 수 있는 결합구(212)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51)에는 디스플레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15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KR1020140097038A 2014-07-30 2014-07-30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KR101555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038A KR101555785B1 (ko) 2014-07-30 2014-07-30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038A KR101555785B1 (ko) 2014-07-30 2014-07-30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785B1 true KR101555785B1 (ko) 2015-09-24

Family

ID=5424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038A KR101555785B1 (ko) 2014-07-30 2014-07-30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7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827B1 (ko) 2017-03-29 2018-10-01 (주)에이스 힌지텍 모니터용 지지 브래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258Y1 (ko) 2001-05-24 2001-10-15 서영석 버스 거치용 텔레비젼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258Y1 (ko) 2001-05-24 2001-10-15 서영석 버스 거치용 텔레비젼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827B1 (ko) 2017-03-29 2018-10-01 (주)에이스 힌지텍 모니터용 지지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3606B2 (en) Structure for attaching in-vehicle apparatus
US10220797B2 (en) Anti-vibration mount for an in-vehicle video display
KR101555785B1 (ko) 차량용 멀티 디스플레이 거치대
JP2017013557A (ja) バッテリートレー構造
JP2010143403A (ja) 車載無線機用架台
CN203163408U (zh) 用于冰箱的搁架组件及具有其的冰箱
KR101393676B1 (ko) 차량용 부품 거치대
JP3155496U (ja) 消火器の壁掛け装置
US11072267B2 (en) Vehicle seat
JP6254438B2 (ja) 梱包構造体
KR100984541B1 (ko) 차량용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거치대
KR101902827B1 (ko) 모니터용 지지 브래킷
US9241419B2 (en) Bracket and electronic device
JP5510304B2 (ja) 電気器具支持装置
KR200476421Y1 (ko) 차량용 에어탱크 마운팅장치
CN215042310U (zh) 头枕组件、座椅和车辆
JP4909954B2 (ja) 車載スタンド、及び、車載装置
JP4400561B2 (ja) 車載機器の取付け構造及びその取付け方法
KR101292424B1 (ko) 차량용 시트
JP4237548B2 (ja) 車載モニタスタンド、及び、車載モニタ装置
CN202180749U (zh) 一种贮气筒的安装装置
JP6197343B2 (ja) 天井構造
JP3235625U (ja) 車用シートバックトレイブラケット
JP7131095B2 (ja) 収容ケースの取付け構造
KR101337443B1 (ko) 다용도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