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757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757B1
KR101555757B1 KR1020130142196A KR20130142196A KR101555757B1 KR 101555757 B1 KR101555757 B1 KR 101555757B1 KR 1020130142196 A KR1020130142196 A KR 1020130142196A KR 20130142196 A KR20130142196 A KR 20130142196A KR 101555757 B1 KR101555757 B1 KR 101555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otation
washing machine
washing tub
ge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8885A (ko
Inventor
조준식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2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757B1/ko
Priority to US14/137,689 priority patent/US9562311B2/en
Priority to CN201310722074.1A priority patent/CN104652080A/zh
Publication of KR20150058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체 케이스 내에 일반형 세탁조와 드럼형 세탁조를 모두 포함하는 듀얼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일반 세탁조 및 드럼 세탁조를 구비한 듀얼 세탁기로서,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드럼 세탁조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일반 세탁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체 케이스 내에 일반형 세탁조와 드럼형 세탁조를 모두 포함하는 듀얼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때가 묻은 의류를 세제의 유화작용, 회전운동에 따른 세탁수류의 마찰작용, 세탁물과의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이나 침구의 세탁물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을 빠르고 깨끗하게 세탁하는 기계장치이다.
세탁기는 세탁 방식에 따라 밑 부분에 있는 회전날개가 회전하면서 형성되는 물살을 이용하는 펄세이터식(pulsator type, 회전빨래판식), 세탁통 중앙에 회전날개가 달린 세탁봉이 회전해 세탁하는 방식인 아지테이터식(agitator type, 봉세탁식), 드럼을 회전시켜 드럼 내에서 세탁물이 떨어지는 힘을 이용해 세탁하는 방식인 드럼식(drum type, 원통형식)으로 분류된다.
펄세이터식 세탁기와 아지테이터식 세탁기는 짧은 시간 동안 세탁할 수 있어 세척력은 우수하나 세탁물이 엉키고 삶을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한 것이 드럼세탁기이다.
드럼식 세탁기는 전기세탁기의 원리에 덧붙여 드럼의 안쪽에 물, 세제, 빨래를 넣고 회전시켜 빨래가 돌출부에 의해 올라갔다가 떨어지는 힘을 이용하여 세탁을 하게 된다. 이 방식은 옷끼리 서로 마찰이 일어나는 경우가 적어 빨래의 손상이 거의 없고, 옷이 바닥에 부딪힐 때만 물이 필요하기 때문에 물을 적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드럼 세탁 방식은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물이 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을 행하는 방식으로서,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 빠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다.
다만, 드럼식 세탁기는 물의 사용량이 적고 세탁물의 낙하 원리를 이용하여 세탁을 하기 때문에 세탁이 좀 더 잘 되는 잇점이 있으나 통을 뉘어서 돌려야 하는 관계로 모터의 구동력이 강해야 하므로 일반형 세탁기보다 전력 소모가 많다.
일반적으로 세탁기에 빨래를 넣고 세탁을 할 때, 세탁물 간에 염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부분 흰색 계통의 세탁물과 검정색 또는 컬러 계통의 세탁물을 분리시켜서 각 세탁물을 따로 세탁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탁을 하게 되면 한번에 할 수 있는 세탁량을 여러 번에 걸쳐서 세탁을 해야 하고 그에 따라 에너지 소비와 자원 소비를 하게 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일정 세탁물이 모였을 때 세탁을 해야 하므로 세탁을 하는 주기가 길어지게 되어서 세탁물을 보관하는 공간과 그에 따른 악취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아기를 키우는 집의 경우 위생 문제로 아기 옷을 따로 세탁하려는 경향이 커서 아기 빨래를 위해 소형 세탁기를 따로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소형 세탁기를 구매하는데 비용이 들고 소형 세탁기의 설치로 인해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일반형 세탁기와 드럼형 세탁기는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서 소비자 입장에서는 두 방식의 세탁기를 모두 가지고 싶은 생각이 있는데 두 방식의 세탁기를 모두 구매하는 경우 비용 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두 대의 세탁기를 설치하게 되면 공간 낭비도 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하여 세탁해야 할 빨래를 시간을 두고 따로 세탁하지 않고 동시에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복수의 세탁 방식에서 원하는 세탁 방식을 선택하여 선택한 방식으로 세탁을 진행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일반 세탁조 및 드럼 세탁조를 구비한 듀얼 세탁기로서,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드럼 세탁조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일반 세탁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일반 세탁조와 드럼 세탁조를 동작시키기 위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회전 전환부와, 상기 회전 전환부에 의해 회전하는 수직 회전축과, 상기 수직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일반 세탁조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 전환부는 상기 모터에 연결된 중심축에 설치된 링 기어와, 상기 링 기어의 일측에 부착된 제1 기어와,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기어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2 기어와, 상기 링 기어와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한다.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제1 회전 전환부와, 상기 일반 세탁조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제2 회전 전환부와, 상기 제1 회전 전환부의 회전 방향을 상기 제2 회전 전환부의 회전 방향으로 전환하는 제3 회전 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 전환부 내지 제3 회전 전환부는 베벨 기어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 케이스의 상면에 일반 세탁을 위한 제1 제어 패널이 배치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 상부에 드럼 세탁을 위한 제2 제어 패널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 케이스에 일반 세탁 및 드럼 세탁을 위한 하나의 제어 패널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일반형 세탁조와 드럼형 세탁조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세탁물에 따라 세탁 방식을 선택할 수 있고 두 가지 방식의 세탁 방식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흰색 계통의 빨래와 컬러가 있는 빨래를 시간을 두고 차례로 세탁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세탁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세탁에 소모되는 전력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생 문제로 아이 옷 빨래를 위한 전용 세탁기를 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세탁기 구매에 드는 돈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세탁조가 상부에 위치하여 세탁기 입장에서는 무게가 증가한 것이고, 무게 증가에 따라 드럼 세탁 동작 중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일반 세탁조를 상부에 추가할 때 아래 위치한 드럼 세탁조에 사용되는 지지 구조를 채용하게 되어 일반 세탁조에서 필요한 지지 구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일반 세탁조와 드럼 세탁조 사이에 수관을 연결하고 수관에 체크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필요한 경우 체크 밸브를 개방하여 일반 세탁조의 물을 드럼 세탁조에 보낼 수 있어서 세탁 시 물의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세탁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 세탁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일반 세탁조와 드럼 세탁조가 동작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일반 세탁조와 드럼 세탁조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어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일반 세탁조와 드럼 세탁조 사이에 체크 밸브가 추가된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세탁기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세탁기는 본체 케이스의 하부에 드럼 세탁조(1)가 설치되고, 본체 케이스의 상부에 일반 세탁조(3)가 설치되어 있다. 즉, 드럼 세탁조(1)는 종래 드럼 세탁기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며, 일반 세탁조(3)는 드럼 세탁조(1) 상부 방향으로 종래 드럼 세탁기의 상부가 연장된 부분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세탁기는 드럼 세탁 방식에 따른 드럼세탁 제어패널(2)을 본체 케이스의 전면 상부에 구비하고, 일반 세탁 방식에 따른 일반세탁 제어패널(4)을 본체 케이스의 상면에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세탁기는 드럼 세탁조(1) 및 일반 세탁조(3)를 동시에 구비하며, 두 세탁 방식을 제어하는 패널을 각각 채용하고 있어서, 사용자는 각 제어패널을 통해 드럼 세탁 방식과 일반 세탁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세탁하거나 두 가지 방식을 동시에 사용하여 세탁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의 제어패널의 사용하여 하나의 제어패널에서 두 세탁 방식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세탁기의 내부 세탁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의 하부에는 드럼 세탁조(1)가 들어갈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일반 세탁조(3)가 들어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종래 드럼 세탁기의 상부가 연장되어 연장된 부분에 공간이 형성되고 그 상부 공간에 일반 세탁조(3)가 위치함으로써 드럼 세탁기의 부피가 증가할 수 있으나, 드럼 세탁기는 일반 세탁조(3)의 하중에 의해 오히려 안정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세탁기는 일반 세탁조(3)의 무게로 인하여 하부 구조가 바닥에 더욱 지지 되기 때문에 드럼 세탁 시 진동이나 소음이 감소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세탁기의 일반 세탁조와 드럼 세탁조가 동작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세탁기는 하나의 모터로 드럼 세탁조(1)와 일반 세탁조(3)를 모두 동작시키는 구조를 채용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드럼 세탁조(3)는 드럼 세탁조 회전축(12)에 연결되어 있으며 모터(10)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12)이 돌면서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12)에는 모터(10)의 회전축(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회전 전환부(14)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전환부(14)는 베벨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베벨 기어(14)는 링 기어(14-1)와 피니언 기어(14-2)의 한 쌍으로 이루어져, 링 기어(14-1)는 회전축(12)에 연결되고 피니언 기어(14-2)는 수직 회전축(16)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링 기어(14-1)가 회전축(12)을 따라 회전하게 되면 링 기어(14-1)에 맞물려 있는 피니어 기어(14-2)가 회전축(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수직 회전축(16)을 회전시킨다.
수직 회전축(12)의 타단에는 벨트(18) 등의 동력 전달부가 연결되어 수직 회전축(12)이 회전하게 되면, 벨트(18)가 돌아가게 되고 벨트(18)의 다른 부분에 연결된 일반 세탁조 회전축(20)이 회전하면서 일반 세탁조(3)가 동작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세탁기는 벨트 대신에 여러 개의 베벨 기어를 사용하여 하나의 모터로 두 방식의 세탁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즉, 모터(10)의 회전축(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제1 베벨 기어(14)와, 일반 세탁조(3)의 회전축(2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제2 베벨 기어(미도시)와, 제1 베벨 기어(14)의 회전 방향을 제2 베벨 기어의 회전 방향으로 전환하는 제3 베벨 기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베벨 기어는 일반 세탁조(3)의 회전축(20)에 설치되고 제3 베벨 기어는 수직 회전축(16)에 설치되며, 제2 베벨 기어와 제3 베벨 기어 사이에는 또 다른 회전축(미도시)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세탁기는 하나의 모터로 2개의 세탁조를 함께 돌리거나 따로 돌릴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 세탁조의 회전축을 제어하여 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되거나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세탁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일반 세탁조와 드럼 세탁조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어 결합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는 드럼 세탁조만 동작하는 경우의 기어 결합 구조를 나타내고, (b)는 일반 세탁조만 동작하는 경우의 기어 결합 구조를 나타내고, (c)는 드럼 세탁조와 일반 세탁조가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의 기어 결합 구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링 기어(14-1)의 일측에 제1 기어(13-1)가 부착되어, 링 기어(14-1)와 제1 기어(13-1)가 일체로 중심축(15)을 따라 이동하고, 중심축(15)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제2 기어(13-2)가 중심축(15)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중심축(15)의 일측은 모터(10)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제2 기어(13-2)를 통해 회전축(12)과 연결된다. 제2 기어(13-2)는 회전축(12)과 연결되어 제2 기어(13-2)가 회전하면 회전축(12)이 회전하게 된다.
링 기어(14-1)와 제1 기어(13-1)가 중심축(15)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링 기어(14-1)가 피니언 기어(14-2)와 분리되고 제1 기어(13-1)가 제2 기어(13-2)와 결합되면, 모터의 회전력이 제2 기어(13-2)에만 전달되어 회전축(12)에 연결된 드럼 세탁조만 동작하게 된다(도 4의 (a) 참조).
도 4의 (a) 상태에서, 링 기어(14-1)와 제1 기어(13-1)가 중심축(15)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링 기어(14-1)가 피니언 기어(14-2)와 결합되고 제1 기어(13-1)가 제2 기어(13-2)와 분리되면, 모터의 회전력이 링 기어(14-1)를 통해 피니언 기어(14-2)에만 전달되어 일반 세탁조만 동작하게 된다(도 4의 (b) 참조).
도 4의 (b) 상태에서, 제2 기어(13-2)가 중심축(15)과 수평 방향으로 우측으로 이동하면 링 기어(14-1)와 피니언 기어(14-2)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면서 제1 기어(13-1)와 제2 기어(13-2)와 결합되어, 모터의 회전력이 피니어 기어(14-2)와 제2 기어(13-2)에 동시 전달되어 드럼 세탁조와 일반 세탁조가 동시에 동작하게 된다(도 4의 (c) 참조).
또한, 도 4의 (c) 상태에서, 제2 기어(13-2)가 원 위치로 돌아가고 링 기어(14-1)와 제1 기어(13-1)가 중심축(15)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면 다시 도 4의 (a)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기어의 이동에 따라 기어의 결합 구조가 변경되면서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부분이 달라지면서 드럼 세탁조와 일반 세탁조가 각각 동작하거나 동시에 동작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일반 세탁조와 드럼 세탁조 사이에 체크 밸브가 추가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일반 세탁조(3)와 드럼 세탁조(1) 사이에 수관(22)이 연결되고 수관(22)에 체크 밸브(24)가 설치되어 있다.
체크 밸브(24)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온/오프 되어 일반 세탁조(3)의 물이 드럼 세탁조(1)로 흘러 들어가게 하거나 차단되도록 한다. 이러한 체크 밸브(24)를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체크 밸브(24)를 개방함으로써 일반 세탁조(3)의 물이 드럼 세탁조(1)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세탁기 본체 케이스의 하부에 드럼 세탁조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 일반 세탁조가 설치된 형태를 기술하였으나, 드럼 세탁조가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일반 세탁조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본체 케이스 내 세탁조의 설치 위치는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 드럼 세탁조 2: 드럼세탁 제어패널
3: 일반 세탁조 4: 일반세탁 제어패널
10: 모터 12: 드럼 세탁조 회전축
14: 베벨 기어 16: 수직 회전축
18: 벨트 20: 일반 세탁조 회전축
24: 체크 밸브

Claims (12)

  1. 본체 케이스 내에 드럼 세탁조와 일반 세탁조가 구비된 세탁기로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제1 회전 전환부와,
    상기 일반 세탁조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제2 회전 전환부와,
    상기 제1 회전 전환부의 회전 방향을 상기 제2 회전 전환부의 회전 방향으로 전환하는 제3 회전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세탁조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일반 세탁조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전환부 내지 제3 회전 전환부는 베벨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면에 일반 세탁을 위한 제1 제어 패널이 배치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 상부에 드럼 세탁을 위한 제2 제어 패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에 일반 세탁 및 드럼 세탁을 위한 하나의 제어 패널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본체 케이스 내에 드럼 세탁조와 일반 세탁조가 구비된 세탁기로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회전 전환부와,
    상기 회전 전환부에 의해 회전하는 수직 회전축과,
    상기 수직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일반 세탁조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전환부는 상기 모터에 연결된 중심축에 설치된 링 기어와,
    상기 링 기어의 일측에 부착된 제1 기어와,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기어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2 기어와,
    상기 링 기어와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 기어와 상기 제1 기어는 일체로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링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가 분리되면 상기 일반 세탁조만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 기어와 상기 제1 기어는 일체로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가 분리되고 상기 링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가 결합되면 상기 드럼 세탁조만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가 상기 중심축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가 분리되고 상기 링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기어가 이동하여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가 결합되면, 상기 일반 세탁조와 상기 드럼 세탁조가 동시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세탁조와 상기 드럼 세탁조 사이에 수관이 연결되고, 이 수관에 상기 일반 세탁조의 물이 상기 드럼 세탁조로 흐르게 하거나 차단되도록 하는 체크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30142196A 2013-11-21 2013-11-21 세탁기 KR101555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196A KR101555757B1 (ko) 2013-11-21 2013-11-21 세탁기
US14/137,689 US9562311B2 (en) 2013-11-21 2013-12-20 Washing machine having upper and lower wash tubs connected by a rotation conversion unit
CN201310722074.1A CN104652080A (zh) 2013-11-21 2013-12-24 具有双桶的洗衣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196A KR101555757B1 (ko) 2013-11-21 2013-11-21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885A KR20150058885A (ko) 2015-05-29
KR101555757B1 true KR101555757B1 (ko) 2015-09-25

Family

ID=5317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196A KR101555757B1 (ko) 2013-11-21 2013-11-21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62311B2 (ko)
KR (1) KR101555757B1 (ko)
CN (1) CN1046520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886A (ko) *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03947B1 (ko) * 2016-01-05 2023-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98156B1 (ko) 2016-10-10 202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347850B1 (ko) * 2016-12-23 2022-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639680B1 (ko) * 2016-12-23 202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11913161B2 (en) 2016-12-23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KR20180074459A (ko) * 2016-12-23 201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80074484A (ko) * 2016-12-23 201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80076945A (ko) * 2016-12-28 2018-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CN109137382B (zh) * 2017-06-15 2021-12-17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双滚筒洗衣机
KR20190101865A (ko) * 2018-02-23 201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9164155A1 (ko) * 2018-02-23 2019-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604561B1 (ko) 2018-02-23 202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WO2019165945A1 (zh) * 2018-02-27 2019-09-06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三筒洗衣机
CN110592887B (zh) * 2018-06-13 2022-01-18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装置的驱动系统以及衣物处理装置
CN110592888B (zh) * 2018-06-13 2021-09-2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
CN111235825B (zh) * 2018-11-09 2022-06-17 上海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洗涤设备
CN109706686B (zh) * 2018-12-24 2020-05-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分类洗涤洗衣机及洗衣方法
CN110363930A (zh) * 2019-07-26 2019-10-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衣系统及其洗衣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服务器
AU2021201041B2 (en) * 2020-02-19 2023-03-1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40026666A (ko) 2022-08-22 2024-02-29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방 머리 자세와 둥근 어깨 측정 및 중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0529A (en) * 1948-08-09 1951-10-09 Joseph A Dolan Washing machine
US3555701A (en) * 1969-05-15 1971-01-19 Philco Ford Corp Laundry apparatus
JP2934776B2 (ja) 1990-04-20 1999-08-16 イハラケミカル工業株式会社 ピバリン酸ハロメチルエステル類の製造法
CN2451622Y (zh) 2000-12-07 2001-10-03 曾大方 双滚筒洗衣机
KR20040009399A (ko) 2002-07-23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0701329B1 (ko) 2006-05-09 2007-03-29 박민화 세탁기
KR101435796B1 (ko) 2007-06-13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세탁장치
KR101467752B1 (ko) * 2007-11-21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0547142C (zh) 2008-01-18 2009-10-07 胡杰波 一种多功能集成的清洁器具一体机
KR20110019082A (ko) * 2009-08-19 2011-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02114B1 (ko) * 2009-08-24 2015-03-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62311B2 (en) 2017-02-07
CN104652080A (zh) 2015-05-27
US20150135777A1 (en) 2015-05-21
KR20150058885A (ko) 2015-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757B1 (ko) 세탁기
KR101819891B1 (ko)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1386470B1 (ko) 세탁기
EP2980296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a pulsator
JP2006192249A (ja) ドラム洗濯機
CN201339117Y (zh) 双桶式洗衣机
KR20150053063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조립방법
KR20180074458A (ko) 세탁기
KR102071704B1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JP5931384B2 (ja) 洗濯機
EP2248934B1 (en) Pulsator unit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8387422B2 (en) Pulsator wash system
JP2015223318A (ja) 洗濯機
JP6908397B2 (ja) 洗濯機
KR20130125199A (ko) 세탁기
JP2017148090A (ja) ドラム式洗濯機
US20200220343A1 (en) Sliding grommet for a wiring harness in a washing machine appliance
JP2017018467A (ja) 洗濯機
JP2016106943A (ja) 洗濯機
KR20120136801A (ko) 드럼세탁기
EP2966211B1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thereof
KR101715796B1 (ko) 전자동 세탁기
JP7497797B2 (ja) 洗濯機
KR102171248B1 (ko) 세탁기
JP6082647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