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663B1 - 저수지의 수질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저수지의 수질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663B1
KR101554663B1 KR1020130072228A KR20130072228A KR101554663B1 KR 101554663 B1 KR101554663 B1 KR 101554663B1 KR 1020130072228 A KR1020130072228 A KR 1020130072228A KR 20130072228 A KR20130072228 A KR 20130072228A KR 101554663 B1 KR101554663 B1 KR 101554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water
pair
guide bars
a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170A (ko
Inventor
최훈호
Original Assignee
최훈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훈호 filed Critical 최훈호
Priority to KR1020130072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663B1/ko
Publication of KR20150000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4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심지에서의 환경조성을 위해 인위적으로 축조된 호수 등의 비교적 물흐름이 적은 저수지에 대기 중의 공기를 저수 수중에 기포상태로 공급하여 용존산소량을 높이어서 수질을 보존시키게 하는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물흐름이 적은 저수지에 대기 중의 공기를 저수 수중에 기포상태로 공급하여 용존산소량을 높이어서 수질을 보존시키게 하는 수차형의 폭기수단을 이용한 정화장치로서, 저수지의 바닥에 구비되는 기반시설물을 이용해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 쌍의 승강가이드바와, 한 쌍의 승강가이드바를 타고 오르고 내리는 승강대에 일체로 부구체 및 부구체에 상기 수차형의 폭기수단을 탑재하여서, 저수지 내에서 고정형으로 설치되어 수류를 일으키게 함과 동시에 수위에 따라 오르고 내리도록 한 저수지의 수질 정화하게 된다.

Description

저수지의 수질 정화장치{purification device in reservoir}
본 발명은 도심지에서의 환경조성을 위해 인위적으로 축조된 호수 등의 비교적 물흐름이 적은 저수지에 대기 중의 공기를 저수 수중에 기포상태로 공급하여 용존산소량을 높이어서 수질을 보존시키게 하는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형으로 설치되어 수류를 일으키게 함과 동시에 수위에 따라 오르고 내리도록 한 저수지의 수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심지의 환경조성을 위해 인위적으로 축조된 호수 등 수질이 오염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필요가 있는 저수지에서는 주로 폭기 시스템을 설치하여 수중에 공기를 공급하여 용존산소량을 높이어 수질이 보존되게 하고 있다.
그러한 수질 보존을 위한 폭기 시스템은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폭기 시스템은 근래에와서는 수면에 부상되어 이동하면서 산소와 공기를 동시에 수중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기포 발생을 극대화하여 용존산소량을 더욱 높여 수질 개선에 효과적이면서도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정화용 폭기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부상방식의 폭기 시스템은 상기에서와 같이 수면상에서 부상되어 이동형으로 설치되는, 즉 폭기수단의 모터 축과 연결된 회전축의 회전으로 인해 회전축에 장착된 제1,2프로펠러가 회전되면서 제1프로펠러는 제2공기배출로를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와 충돌하여 수중에 기포를 발생시켜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게 함과동시, 축관의 외부에 구비된 제1프로펠러의 추진력으로 인해 수면상에서 이동하면서 소정의 폭기과정을 이루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이동형의 부상 폭기 시스템에서는 저수의 흐름이 거의 없어 정체로 인한 녹조현상 일어나는 등 여러 이상현상이 발생하여 수질관리에 많은 문제점이 따르고 있는 것이다.
국내 등록특허 10-1219540호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기반시설물을 이용해 부상형으로 이루는 수차방식 폭기수단을 고정형으로 설치하여 저수 수위에 따라 오르고 내리면서 폭기와 수류를 발생시키게 함으로서, 저수의 정체로 인한 수질변화를 방지하고 용존산소량을 더욱 높여 수질 개선에 효과적이면서도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저수지의 수질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심지에서의 환경조성을 위해 인위적으로 축조된 호수 등의 비교적 물흐름이 적은 저수지에 대기 중의 공기를 저수 수중에 기포상태로 공급하여 용존산소량을 높이어서 수질을 보존시키게 하는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물흐름이 적은 저수지에 대기 중의 공기를 저수 수중에 기포상태로 공급하여 용존산소량을 높이어서 수질을 보존시키게 하는 수차형의 폭기수단을 이용한 정화장치로서, 저수지의 바닥에 구비되는 기반시설물을 이용해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 쌍의 승강가이드바와, 한 쌍의 승강가이드바를 타고 오르고 내리는 승강대에 일체로 부구체 및 부구체에 상기 수차형의 폭기수단을 탑재하여서, 저수지 내에서 고정형으로 설치되어 수류를 일으키게 함과 동시에 수위에 따라 오르고 내리도록한 저수지의 수질 정화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수지의 수질 정화장치에 의하면, 기반시설물을 이용해 부상형으로 이루는 수차방식 폭기수단을 고정형으로 설치하여 저수 수위에 따라 오르고 내리면서 폭기와 수류를 발생시키게 함으로서, 지속적인 수류를 일으키어 저수의 정체로 인한 수질변화를 방지하고 용존산소량을 더욱 높여 수질 개선에 효과적이면서도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저수지의 수질 정화장치를 보여 주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저수지의 수질 정화장치가 저수지 수위에 따라 하강되는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저수지의 수질 정화장치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물흐름이 적은 저수지에서 대기 중의 공기를 저수 수중에 기포상태로 공급하여 용존산소량을 높이어서 수질을 보존시키게 하는 수차형의 폭기수단을 이용한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저수지의 바닥에 매설식으로 설치되는 형강을 이용하여 이룬 기반시설물(10)을 이용해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 쌍의 승강가이드바들(20)을 갖는다.
이러한 한 쌍의 승강가이드바(20)은 중공의 관형상으로 이룬 몸체가 상ㆍ하로 양분되어 중첩적으로 상부(20a)와 하부(20b)로 이루어서, 상부(20a)가 하부(20b)에 끼워져 오르고 내리면서 승강가이드바들(20)의 높낮이가 조절될 것이다. 이때 승강가이드바(20)의 상부(20a)와 하부(20b)는 통상의 턱걸림방식을 이용한 결속구조에 의해 단부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하였다.
또 이러한 한 쌍의 승강가이드바들(20)에는 승강가이드바들(20)과 교차방향인 수평방향에서 2개1조로 병렬 배치되어 그 승강가이드바(20)를 타고 오르고 내리는 승강대(3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은 승강대(30)에는 저수지의 수표면에서 부상되는 중공의 박스형으로 이루는 부구체(40)가 일체로 구비된다.
그리고 부구체(40)는 그 부구체(40)의 양 측으로 통상에서의 수차형 폭기수단(50)을 탑재시키고 있다.
한편 폭기수단(50)은 부구체(40)에 내장되는 모터(52)와, 그 모터(52)와 동력전달축(53)으로 연결되어 구동하는 수차들(54)로 구성된다.
또 승강가이드바(20)의 상부(20a)는 부구체(40)의 상면에서 일정길이 연장설되는 받침요소(42)에 의해 떠받치어 있다. 이러한 받침요소(42)의 떠받침은 부구체(40)와 승강가이드바(20)의 상부(20a)가 함께 연동되게 한 것이다.
도 3에를 참조하여 본 발명 저수지의 수질 정화장치가 수위변화에 따라 하강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저수지의 수위가 하강하면 정화장치의 부구체(40)가 화살표와 같이 하강함과 동시, 승강가이드바(20)의 상부(20a)도 하부(20b)를 타고 하강하여 정화장치의 승강가이드바(20)가 저수지의 수위에 따라 높낮이가 적절하게 조절되면서 저수지의 수질 보존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기반시설물
20 :승강가이드바 20a :상부 20b :하부
30 :승강대
40 :부구체
50 :폭기수단 52 :모터 54 :수차

Claims (2)

  1. 물흐름이 적은 저수지에서 대기 중의 공기를 저수 수중에 기포상태로 공급하여 용존산소량을 높이어서 수질을 보존시키게 하는 수차형의 폭기수단을 이용한 정화장치로서,
    상기 저수지의 바닥에 구비되는 기반시설물을 이용해 수직으로 입설되고, 상ㆍ하부로 양분되어 저수지의 수위에 따라 상부가 하부를 오르고 내리면서 그 길이가 자유로이 신축되게 함과 아울러 상부와 하부는 턱걸림방식을 이용한 결속구조에 의해 단부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 한 쌍의 승강가이드바들;
    상기 한 쌍의 승강가이드바와 교차방향인 수평방향에서 2개1조로 병렬 배치되어 한 쌍의 승강가이드바를 타고 오르고 내리는 승강대에 일체로 구비되어 수표면에서 부상되도록 중공의 박스형을 이루는 부구체;
    상기 부구체의 상면에서 일정길이 연장설되어 승강가이드바 상부를 떠받치면서 부구체와 승강가이드바 상부의 승강작동과 함께 수평을 유지하면서 연동되도록 하는 받침요소; 및
    상기 부구체의 양측으로 부구체에 내장된 모터와 동력전달축으로 연결되어 구동하는 수차들로 구성된 상기 수차형의 폭기수단을 탑재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지의 수질 정화장치.
  2. 삭제
KR1020130072228A 2013-06-24 2013-06-24 저수지의 수질 정화장치 KR101554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228A KR101554663B1 (ko) 2013-06-24 2013-06-24 저수지의 수질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228A KR101554663B1 (ko) 2013-06-24 2013-06-24 저수지의 수질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170A KR20150000170A (ko) 2015-01-02
KR101554663B1 true KR101554663B1 (ko) 2015-09-21

Family

ID=52474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228A KR101554663B1 (ko) 2013-06-24 2013-06-24 저수지의 수질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6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304B1 (ko) 2019-11-25 2020-03-13 윤성현 하이브리드형 양수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질개선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76511A (zh) * 2016-04-26 2016-07-20 江苏荆溪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可提升式曝气装置
CN108458899A (zh) * 2018-03-02 2018-08-28 中山市知科应用科技研究有限公司 一种城市管道水质监测取水装置
CN109019839B (zh) * 2018-08-29 2021-11-19 广州市环境保护工程设计院有限公司 升降曝气增氧系统
CN109553201A (zh) * 2019-01-08 2019-04-02 陆鑫 一种用于污水净化的曝气装置及其方法
CN116495876B (zh) * 2023-07-03 2023-09-05 山东省环境保护科学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016Y1 (ko) * 2000-05-23 2000-11-01 김백기 저수지 수질 개선 장치
JP2003181268A (ja) * 2001-12-20 2003-07-02 Tsurumi Mfg Co Ltd 汚水処理槽内の攪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016Y1 (ko) * 2000-05-23 2000-11-01 김백기 저수지 수질 개선 장치
JP2003181268A (ja) * 2001-12-20 2003-07-02 Tsurumi Mfg Co Ltd 汚水処理槽内の攪拌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304B1 (ko) 2019-11-25 2020-03-13 윤성현 하이브리드형 양수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질개선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170A (ko) 2015-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663B1 (ko) 저수지의 수질 정화장치
ES2731156T3 (es) Ensamblaje de turbina eólica flotante, así como un método para el amarre de tal ensamblaje de turbina eólica flotante
KR101660695B1 (ko) 에너지 생산을 위한 부유식 정박시설
KR101410372B1 (ko)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
KR101642949B1 (ko) 해상 부유식 발전장치
JP5690116B2 (ja) 水流発電設備
JP2010532255A (ja) 水質浄化用吹送流下降誘導装置
KR100985755B1 (ko)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
KR200479366Y1 (ko)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
KR101640901B1 (ko) 해상 풍력발전기 거치이동장치 및 그를 구비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KR101606398B1 (ko)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수질 개선장치
KR20100107550A (ko)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
CN108128402B (zh) 一种减少水流阻力的船底结构
KR20130047241A (ko) 리프트형 선박 진수장치
CN211642532U (zh) 水上漂浮装置
CN106240780B (zh) 可调高度的船外机挂架
KR101638694B1 (ko) 부하 승강 유도체
WO2011108383A1 (ja) 液体浮力を利用した揚水式発電装置
CN103241653A (zh) 一种塔吊电缆随升装置
KR20150003965A (ko) 태양광 발전과 자립식 수면 교반장치를 이용한 용승류 발생장치
KR101064748B1 (ko) 부양식 분수대
CN211032949U (zh) 防风浪漂浮装置
CN105958932A (zh) 一种球形浮筒的漂浮式太阳能电站安装架
NO20200755A1 (en) Fish farming system
CN106544996A (zh) 一种海洋服务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