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755B1 -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5755B1 KR100985755B1 KR20090133592A KR20090133592A KR100985755B1 KR 100985755 B1 KR100985755 B1 KR 100985755B1 KR 20090133592 A KR20090133592 A KR 20090133592A KR 20090133592 A KR20090133592 A KR 20090133592A KR 100985755 B1 KR100985755 B1 KR 1009857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haft
- flow
- unit
- indu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4—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 C02F3/16—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the aerator having a vertical ax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와 바람에 의해 형성된 취송류를 통해 이루어지는 물 흐름을 심층부로 하강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표층의 오염된 물을 심층의 물과 혼합시킴에 따라 표층의 과포화 용존 산소를 심층으로 내려보내 심층부의 용존 산소 부족으로 썩는 부분에 산소를 공급하여 호기 미생물이 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의 기실(12)과, 상기 기실(12)의 외면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하강유도부(11)와, 상기 하강유도부(11)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가이드부(13)로 구성되어 물속에 잠기는 부력장치(10);
상기 부력장치(10)가 물속에서 물의 흐름에 대해 전후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동방지날개부(31)와, 상기 요동방지날개부(31)의 단부에서 그와 일체로 형성되는 파도넘침방지부(33)로 구성되며 상기 부력장치(10)의 상부에 설치된 밸런싱장치(30);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가이드부(13)의 외면에 수직되게 유도판(2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유도판(20)은 장방형의 판상이며, 수직가이드부(13)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부력, 취송류, 이송, 하강, 유도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류와 바람에 의해 형성된 취송류를 통해 이루어지는 물 흐름을 심층부로 하강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표층의 오염된 물을 심층의 물과 혼합시킴에 따라 표층의 과포화 용존 산소를 심층으로 내려보내 심층부의 용존 산소 부족으로 썩는 부분에 산소를 공급하여 호기 미생물이 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지나 바다에 녹조, 적조, 남조가 발생되는 것은 육지에서 오염 물질이 하천이나 강을 따라 저수지 또는 바다로 유입되는 것과 양식장에서 사용하던 잔류 사료나 물고기의 배설물로 인한 부영양화로 조류가 발생되는 것이다.
특히나 바다에서 녹조, 적조, 남조가 발생되는 것은 강물이 오염되어 바다로 유입될 때 바닷물과 강물의 온도차이로 인해 온도가 높은 강물은 물의 상층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층부의 부영양화된 물은 햇빛에 항상 노출되고 표층이 여름철 온도 상승시 가장 먼저 온도가 상승하므로 표층에서 녹조, 남조, 적조가 발생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된 바닷물 표층수 수온이 20℃ 이상일 때 조류가 발생되는데, 녹조, 적조, 남조는 광합성 미생물로 물속의 부영양화 물질과 수온, 햇빛 등의 작용으로 인해 조류가 발생하기 좋은 조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종전에는 부영양화로 인한 조류 발생지역에서 조류를 억제하는 방법으로 황토물을 살포하거나 동을 살포하여 조류(녹조, 적조, 남조)를 바다 심층으로 가라앉게 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방법은 2차 오염을 발생하게 하므로 자연친화적인 방법이 아니었고 그러한 방법을 적용하는 데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서 경제적으로도 큰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오염된 저수지의 정화를 위한 송풍기로 공기중 산소를 물속에 녹여 호기 미생물 대사증식을 하는 방법으로 적용하고 있으나 경제적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도 1은 저수지 등의 취송류가 이동하는 일반적인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저수지에서의 물의 흐름을 보면, 바람(1)에 의해 취송류가 바람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A)으로 이동하다가, 육지 등에 부딪히면서 낮게 하강하여 바람의 반대방향(B)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물의 흐름이 표층(3)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심층(5)으로는 물이 하강하지 못하여서 물의 자연정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즉, 표층수는 온도가 높고 광합성이 용이한 표층부에서만 머무르기 때문에, 녹조, 적조, 남조 등의 조류 발생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표층수를 심층부까지 이동하여 조류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하였고, 그에 대한 연구 결과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7-0067370호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도 2는 상기 선행특허에 따른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행특허에 따른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는, 물속에 잠기며 그 내부는 중공 상태로 형성되는 부력장치(10), 상기 부력장치(1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부력장치(10)의 평형을 유지시켜 주는 밸런싱장치(30), 및 상기 부력장치(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부력장치(10)가 물 표면과 물속에서 균형을 이루며 직립할 수 있도록 하는 균형부재(15)를 포함한다.
상기 부력장치(10)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하강유도부(11)와, 상기 하강유도부(11)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가이드부(13)를 포함한다.
상기 밸런싱장치(30)는 그 내부가 중공으로 물에 떠 있을 수 있도록 제작되며, 상기 부력장치(10)가 물속에서 물의 흐름에 대해 전후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동방지날개부(31)와, 상기 요동방지날개부(31)의 단부에서 그와 일체로 형성되는 파도넘침방지부(33)를 구비한다.
상기 선행특허는 동력이나 인위적인 에너지를 활용하지 않고 자연의 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으로 조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 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특허 10-2007-0067370호를 개량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기한 수직가이드부에 다수의 유도판을 더 형성함으로써 전방 및 측방에서 유입되는 취송류에 대해서도 방향전환을 유도하여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도넘침방지부의 외면에 식별수단을 더 형성함으로써 야간에도 식별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리를 구비하고, 이 고리에 와이어를 걸어서 다수의 취송류 하강유도장치를 연결하여 병렬 결합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그 작업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의 기실과, 상기 기실의 외면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하강유도부와, 상기 하강유도부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가이드부로 구성되어 물속에 잠기는 부력장치; 상기 부력장치가 물속에서 물의 흐름에 대해 전후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동방지날개부와, 상기 요 동방지날개부의 단부에서 그와 일체로 형성되는 파도넘침방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부력장치의 상부에 설치된 밸런싱장치로 구성된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가이드부의 외면에 수직되게 유도판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유도판은 장방형의 판상이며, 수직가이드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판은 그 상단이 하강유도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판은 그 상단이 하강유도부 및 파도넘침방지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동방지날개부의 중앙에는 로프를 끼울 수 있도록 고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리는 "∩"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의 기실과, 상기 기실의 외면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하강유도부와, 상기 하강유도부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가이드부로 구성되어 물속에 잠기는 부력장치; 상기 부력장치가 물속에서 물의 흐름에 대해 전후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동방지날개부와, 상기 요동방지날개부의 단부에서 그와 일체로 형성되는 파도넘침방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부력장치의 상부에 설치된 밸런싱장치로 구성된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장치에 설치되며, 풍력에 의해 물속에 구비된 임펠러를 회전시켜 취송류를 바닷속 하층부로 분출하여 밀어내는 하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하강수단은, 상기 파도넘침방지부를 관통하여 수직되게 설치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하부에 축설된 임펠러; 샤프트 및 임펠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부는 샤프트의 상단에 다수로 형성된 분기축; 상기 분기축의 끝단에 형성된 컵형상의 풍배로 구성되어, 풍력에 의해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부는 샤프트의 상단에 직각으로 설치된 수평축; 상기 수평축의 일단에 형성된 추; 상기 수평축의 타단에 형성되며 일정 면적을 갖는 날개로 구성되어, 풍력에 의해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부는 전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가이드부의 외면에 형성된 유도판에 의해 전방 및 측방에서 유입되는 취송류에 대해서도 방향전환을 유도하여 하강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도넘침방지부의 외면에 형성된 식별수단에 의해 야간의 식별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A1)는,
중공의 기실(12)과, 상기 기실(12)의 외면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하강유도부(11)와, 상기 하강유도부(11)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가이드부(13)로 구성되어 물속에 잠기는 부력장치(10);
상기 부력장치(10)가 물속에서 물의 흐름에 대해 전후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동방지날개부(31)와, 상기 요동방지날개부(31)의 단부에서 그와 일체로 형성되는 파도넘침방지부(33)로 구성되며 상기 부력장치(10)의 상부에 설치된 밸런싱장치(3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수직가이드부(13)의 외면에 수직되게 유도판(20)이 더 형성된다.
기실(12)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태로써 공기가 충진되어 부력을 갖도록 한 것으로, 단면 형상이 역삼각형으로 형성된다.
하강유도부(11)는 기실(12)의 양측면에 형성된 하향 경사면으로써 물의 수평흐름을 수직흐름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하강유도부(11)의 하부에는 수직가이드부(13)가 형성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수직가이드부(13)는 기실(12)의 하단부에서부터 하방을 향해 일정한 길이로 수직 설치된 판재형상이다.
밸런싱장치(30)는 기실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일정한 면적을 갖는 평판부(32)와, 상기 평판부(32)의 양단에 연장 형성된 판상의 요동방지날개부(31)와, 상기 요동방지날개부(31)의 양단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파도넘침방지부(33)로 구성된다.
요동방지날개부(31)는 일정한 면적을 갖는 평판부(32)의 양측에 형성된 평판상이며, 물의 표면에 접하는 부분으로서 물 표면과의 표면장력에 의해 밸런싱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부력장치(10)가 물속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요동방지날개부(31)의 외면에는 야간에 식별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식별수단(40)이 더 부착된다.
상기 식별수단(40)으로는 야광시트, 축광시트, 조명등 중 택일된다.
파도넘침방지부(33)는 요동방지날개부(31)에 대해서 상방으로 경사져서 형성 되는 것으로, 파도가 밸런싱장치(30)의 상부쪽으로 넘쳐서 흐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유도판(20)은 장방형의 판상이며, 수직가이드부(13)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도판(20)은 수직가이드부(13)의 외면에 용접 또는 볼트결합으로 일체 결합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되는 취송류(F)가 유도판(20)에 부딪친 후 하방으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유도판(20)은 그 상단이 하강유도부(11)의 외면에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유도판(20)은 그 상단이 하강유도부(11) 및 파도넘침방지부(33)의 밑면에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요동방지날개부(31)의 중앙에는 와이어(W)를 끼울 수 있도록 고리(50)가 더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리(50)는 "∩"자형의 볼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는 양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으로 밸런싱장치(30)의 평판부(32)에 형성된 통공(미도시)에 양단부가 각기 끼워진 후 기실(12)의 내부로부터 너트(미도시)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50)는 평판부(32)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리(50)에 와이어(W) 또는 체인을 끼워 여러개의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A1)를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를 복수개 연결하여 설치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A1)를 고리(50)에 와이어(W)를 끼워 복수개로 병렬 연결시켜 설치한 후 와이어(W)의 양단부는 선박(900)에 연결한다.
따라서 2척의 선박(900)이 쌍끌이식으로 조류 발생 수면을 서서히 운항하면 녹조 또는 적조가 발생된 표층수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A1)에 의해 심층으로 유입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송류가 화살표(C)의 방향으로 흐르다가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A1)의 하강유도부(11)의 표면에 부딪히면 화살표(D)와 같이 물의 흐름이 바뀌게 되고, 수직가이드부(13)을 거치면서 최종적으로 화살 표(E)와 같이 수직하방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취송류가 본 발명에 따른 하강유도장치(A1)를 통해서 심층부까지 이동하게 되고, 그로 인해 표층의 과포화된 용존산소를 심층부로 전달하여 호기성 미생물이 심층부에서 썩는 물질들을 대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취송류를 계속해서 심층부로 이동시킴으로써 표층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조류발생을 크게 억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이해하기 쉽도록 파도넘침방지부(33) 및 요동방지날개부(31)는 가상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송류가 화살표(F) 방향에서 유입될 경우 유도판(20)에 부딪쳐 방향이 전환되면서 상,하방 및 측방으로 분산된다.
이때 상방으로 분산된 흐름은 요동방지날개부(31) 및 파도넘침방지부(33)에 부딪친 후 다시 하향 흐름으로 전환된다.
또한 측방으로 분산된 흐름은 본 발명에 따른 하강유도장치(A1)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므로 다시 수직가이드부(13)에 부딪친 후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상기 선행기술은 측방에서의 유입되는 취송류 에 대해 방향 전환 기능이 부족하였으나 본 발명은 유도판(20)에 의해 전술한 미비점이 해소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A2)는,
중공의 기실(12)과, 상기 기실(12)의 외면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하강유도부(11)와, 상기 하강유도부(11)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가이드부(13)로 구성되어 물속에 잠기는 부력장치(10); 상기 부력장치(10)가 물속에서 물의 흐름에 대해 전후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동방지날개부(31)와, 상기 요동방지날개부(31)의 단부에서 그와 일체로 형성되는 파도넘침방지부(33)로 구성되며 상기 부력장치(10)의 상부에 설치된 밸런싱장치(30)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가이드부(13)의 외면에 수직되게 유도판(20)이 형성되고,
상기 밸런싱장치(30)에 설치되며, 풍력에 의해 물속에 구비된 임펠러(300)를 회전시켜 취송류를 바닷속 하층부로 분출하여 밀어내는 하강수단(100,2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도판(20)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서 이미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하강수단(100)은, 도 7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도넘침방지부(33)를 관통하여 수직되게 설치된 샤프트(320); 상기 샤프트(320)의 하부에 축설된 임펠러(300); 샤프트(320) 및 임펠러(300)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샤프트(3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동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력부는 샤프트(320)의 상단에 다수로 형성된 분기축(130); 상기 분기축(130)의 끝단에 형성된 컵형상의 풍배(140)로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320)와 분기축(130)은 일체가 되도록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풍배(140)에 가해지는 풍력에 의해 샤프트(320) 및 임펠러(300)가 회전되고, 이에 따른 임펠러(300)의 회전에 의해 적조 및 녹조가 함유된 표층수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심층수로 유입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동력부는 도 7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20)의 상단에 직각으로 설치된 수평축(220); 상기 수평축(220)의 일단에 형성된 추(230); 상기 수평축(220)의 타단에 형성되며 일정 면적을 갖는 날개(240)로 구성된다.
수평축(220)은 샤프트(32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다.
추(230)는 중량을 갖되 일정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날개(240) 및 추(230)에 가해지는 풍력에 의해 샤프트(320)가 회전되고, 이에 종동되어 임펠러(300)가 회전됨으로써 적조 및 녹조가 함유된 표층수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심층수로 유입된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동력부는 전동모터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전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부수적으로 설치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저수지 등의 취송류가 이동하는 일반적인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선행특허에 따른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를 복수개 연결하여 설치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에 대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부력장치 11 : 하강유도부
12 : 기실 13 ; 수직가이드부
20 : 유도판 30 : 밸런싱장치
31 : 요동방지날개부 32 : 평판부
33 : 파도넘침방지부 40 : 식별수단
100,200 : 하강수단 300 : 임펠러
Claims (12)
- 중공의 기실(12)과, 상기 기실(12)의 외면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하강유도부(11)와, 상기 하강유도부(11)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가이드부(13)로 구성되어 물속에 잠기는 부력장치(10);상기 부력장치(10)가 물속에서 물의 흐름에 대해 전후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동방지날개부(31)와, 상기 요동방지날개부(31)의 단부에서 그와 일체로 형성되는 파도넘침방지부(33)로 구성되며 상기 부력장치(10)의 상부에 설치된 밸런싱장치(30);상기 수직가이드부(13)의 외면에 형성되며, 수직가이드부(13)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단이 하강유도부(11)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하강유도부(11) 및 파도넘침방지부(33)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유도판(20);상기 밸런싱장치(30)에 설치되며, 풍력에 의해 물속에 구비된 임펠러(300)를 회전시켜 취송류를 바닷속 하층부로 분출하여 밀어내도록 설치되며, 상기 파도넘침방지부(33)를 관통하여 수직되게 설치된 샤프트(320), 상기 샤프트(320)의 하부에 축설된 임펠러(300), 샤프트(320) 및 임펠러(300)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샤프트(3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동력부로 구성된 하강수단(100,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요동방지날개부(31)의 중앙에는 와이어(W)를 끼울 수 있도록 고리(5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고리(50)는 "∩"자형의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동력부는,상기 샤프트(320)의 상단에 다수로 형성된 분기축(130);상기 분기축(130)의 끝단에 형성된 컵형상의 풍배(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동력부는,상기 샤프트(320)의 상단에 직각으로 설치된 수평축(220);상기 수평축(220)의 일단에 형성된 추(230);상기 수평축(220)의 타단에 형성되며 일정 면적을 갖는 날개(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동력부는전동모터;상기 전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133592A KR100985755B1 (ko) | 2009-12-30 | 2009-12-30 |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133592A KR100985755B1 (ko) | 2009-12-30 | 2009-12-30 |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85755B1 true KR100985755B1 (ko) | 2010-10-06 |
Family
ID=43135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90133592A KR100985755B1 (ko) | 2009-12-30 | 2009-12-30 |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5755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3739B1 (ko) * | 2013-03-13 | 2015-10-2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풍향에 수직방향으로 자가회전하는 에크만 나선 원리를 이용한 정체 수체 구역의 수류 순환 장치 및 수류 순환 방법 |
CN109019904A (zh) * | 2018-10-17 | 2018-12-18 | 倍杰特国际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曝气设备和采用该曝气设备的曝气池 |
KR102042512B1 (ko) * | 2018-07-17 | 2019-11-27 | 전인권 |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 겸용 장치 |
KR102115002B1 (ko) | 2020-02-04 | 2020-05-27 | 주식회사 블로우 | 풍향에 대응하는 수질 정화 장치 |
KR102628366B1 (ko) * | 2022-12-08 | 2024-01-23 | 주식회사 블로우 | 수질 정화 기능이 구비된 부교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7927Y1 (ko) * | 2005-07-20 | 2005-10-10 | 범우건설엔지니어링(주) | 하향수류를 이용한 호소의 수질개선 장치 |
KR100778334B1 (ko) * | 2007-07-05 | 2007-11-28 | 최호상 |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 |
-
2009
- 2009-12-30 KR KR20090133592A patent/KR10098575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7927Y1 (ko) * | 2005-07-20 | 2005-10-10 | 범우건설엔지니어링(주) | 하향수류를 이용한 호소의 수질개선 장치 |
KR100778334B1 (ko) * | 2007-07-05 | 2007-11-28 | 최호상 |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3739B1 (ko) * | 2013-03-13 | 2015-10-2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풍향에 수직방향으로 자가회전하는 에크만 나선 원리를 이용한 정체 수체 구역의 수류 순환 장치 및 수류 순환 방법 |
KR102042512B1 (ko) * | 2018-07-17 | 2019-11-27 | 전인권 |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 겸용 장치 |
CN109019904A (zh) * | 2018-10-17 | 2018-12-18 | 倍杰特国际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曝气设备和采用该曝气设备的曝气池 |
CN109019904B (zh) * | 2018-10-17 | 2021-06-22 | 倍杰特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曝气设备和采用该曝气设备的曝气池 |
KR102115002B1 (ko) | 2020-02-04 | 2020-05-27 | 주식회사 블로우 | 풍향에 대응하는 수질 정화 장치 |
KR102628366B1 (ko) * | 2022-12-08 | 2024-01-23 | 주식회사 블로우 | 수질 정화 기능이 구비된 부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5755B1 (ko) |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 | |
CA2556702C (en) | Tidal turbine installation | |
KR101237132B1 (ko) | 수류 전력 발전 시스템용 핀-링 프로펠러 | |
US8696301B2 (en) | Apparatus for extracting energy from flowing water | |
KR100778334B1 (ko) |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 | |
KR101794207B1 (ko) |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수질 정화 장치 | |
CN105587460B (zh) | 适用于洋流的发电装置 | |
CN112610395B (zh) | 一种桥墩防冲刷防撞水流发电系统 | |
KR101554663B1 (ko) | 저수지의 수질 정화장치 | |
WO2009056003A1 (fr) | Dispositif de génération d'énergie par courant d'eau, de type flottant | |
KR102115002B1 (ko) | 풍향에 대응하는 수질 정화 장치 | |
KR101393721B1 (ko) | 수초섬에 의해 은폐되는 수질정화장치 | |
ES2315481T3 (es) | Evacuacion de fluidos residuales. | |
CN2559684Y (zh) | 水面漂浮物拦截装置 | |
KR101666627B1 (ko) | 수질정화장치 | |
CN203625863U (zh) | 一种水面漂浮物拦截系统 | |
CN104790363A (zh) | 一种卷扬机升降的江河漂浮物自动拦截装置 | |
JP2011196361A (ja) | 水上発電装置 | |
KR100986618B1 (ko) | 태양광을 이용한 이동형 자연친화적 수질정화장치 | |
KR20150003965A (ko) | 태양광 발전과 자립식 수면 교반장치를 이용한 용승류 발생장치 | |
KR101638694B1 (ko) | 부하 승강 유도체 | |
KR102388959B1 (ko) | 다수의 이동형 수질개선장치 제어 및 운영을 위한 딥러닝 시스템 | |
JP2006035021A (ja) | 浮遊型浄水機 | |
CN101198553A (zh) | 悬浮式水质改善装置 | |
KR102628366B1 (ko) | 수질 정화 기능이 구비된 부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