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620B1 - 참조신호 송신방법, 이동국장치 및 기지국장치 - Google Patents

참조신호 송신방법, 이동국장치 및 기지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620B1
KR101554620B1 KR1020127020804A KR20127020804A KR101554620B1 KR 101554620 B1 KR101554620 B1 KR 101554620B1 KR 1020127020804 A KR1020127020804 A KR 1020127020804A KR 20127020804 A KR20127020804 A KR 20127020804A KR 101554620 B1 KR101554620 B1 KR 101554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rs
transmission
scheduling grant
subframe
pus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7440A (ko
Inventor
요시히사 키시야마
테루오 카와무라
다이스케 니시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20127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SRS의 송신에 이용되는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 기지국장치(eNodeB)로부터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고, 이동국장치(UE)로부터 이 스케줄링 그랜트에 따라 SRS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RS는,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서브프레임과, 동일한 서브프레임, 직전의 서브프레임 또는 소정 수 전의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다.

Description

참조신호 송신방법, 이동국장치 및 기지국장치{REFERENCE SIGNAL TRANSMITTING METHOD,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BASE ST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참조신호 송신방법, 이동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참조신호 송신방법, 이동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주파수 이용효율의 향상, 데이터 레이트의 향상을 목적으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나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를 채용함으로써,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베이스로 한 시스템의 특징을 최대한으로 끌어내는 것이 수행되고 있다. 이 UMTS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더욱 고속의 데이터 레이트, 저지연 등을 목적으로서 롱 텀 에볼루션(LTE:Long Term Evolution)이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참조).
제3 세대의 시스템은, 대개 5MHz의 고정 대역을 이용하여, 하향회선에서 최대 2Mbps 정도의 전송 레이트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LTE 방식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1.4MHz∼20MHz의 가변 대역을 이용하여, 하향회선에서 최대 300Mbps 및 상향회선에서 75Mbps 정도의 전송 레이트를 실현할 수 있다. 또, UMTS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더욱의 광대역화 및 고속화를 목적으로, LTE의 후계의 시스템도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LTE 어드밴스트(LTE-A)). 예를 들면, LTE-A에 있어서는, LTE 사양의 최대 시스템 대역인 20MHz를, 100MHz 정도까지 확장하는 것이 예정되어 있다.
LTE 방식의 시스템(LTE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장치는, 이동국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채널품질 측정용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채널품질을 측정하고, 이동국장치가 데이터 채널 신호(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송신하기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서 지시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채널품질 측정용 SRS는, 상향링크의 무선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의 최종 심볼에 다중되고, 5msec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이동국장치로부터 기지국장치로 송신된다.
특허문헌 1: 3GPP, TR25.912 (V7.1.0), "Feasibility study for Evolved UTRA and UTRAN", Sept. 2006
그러나,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동국장치로부터 상향링크에서 송신하는 데이터 채널 신호(PUSCH)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SRS가 주기적으로 기지국장치로 송신되고 있다. 이 때문에,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유무와는 관계없이 SRS의 송신에 이용되는 무선 리소스가 고정적으로 사용되고,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SRS의 송신에 이용되는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참조신호 송신방법, 이동국장치 및 기지국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참조신호 송신방법은, 기지국장치로부터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는 단계와, 이동국장치로부터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는 SRS의 송신지시에 따라 SRS를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참조신호 송신방법은, 기지국장치로부터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는 단계와, 이동국장치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는 SRS의 송신지시에 따라 SRS를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는 SRS의 송신지시에 따라 이동국장치로부터 SRS가 송신됨으로써, SRS가 다중되는 서브프레임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SRS의 송신에 이용되는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이동국장치는, 기지국장치로부터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는 SRS의 송신지시에 따라 SRS를 소정의 심볼에 다중하는 다중수단과, 상기 다중수단에 의해 다중된 SRS를 상기 기지국장치로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의 통지를 받은 경우에 한해 SRS가 송신됨으로써, SRS가 다중되는 서브프레임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SRS의 송신에 이용되는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는,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생성하는 생성수단과, 상기 생성수단으로 생성한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이동국장치로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송신됨으로써,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SRS의 송신을 지시할 수 있기 때문에, SRS가 다중되는 서브프레임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SRS의 송신에 이용되는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SRS의 송신에 이용되는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참조신호 송신방법, 이동국장치 및 기지국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송신되는 SRS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송신되는 SRS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송신되는 SRS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제4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의 SRS가 다중된 서브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SRS가 다중되는 심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제1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의 SRS가 다중된 서브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SRS가 다중되는 심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SRS가 다중되는 심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SRS가 다중되는 심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SRS가 다중되는 심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3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장치가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6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장치가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9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SRS가 다중되는 심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0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SRS가 다중되는 심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1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송신되는 스케줄링 그랜트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1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송신되는 송신전력정보 및 확장송신전력 제어정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1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송신되는 SRS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변경예에 따른 이동국장치가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변경예에 따른 기지국장치가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은,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의 송신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TE 시스템에 있어서, 채널품질 측정용 SRS는, 상향링크(UL:Uplink)의 무선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n∼#n+9)의 최종 심볼에 다중되고, 5msec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이동국장치(UE)로부터 기지국장치(eNodeB)로 송신된다. 도 1에 있어서는, 서브프레임#n+1, #n+6의 최종 심볼에 SRS가 다중된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한편, 데이터 채널 신호(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서 상향링크(UL) 스케줄링 그랜트의 통지를 받은 후, 4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전송시간간격) 후에 상향링크에서 송신된다. 여기서, 서브프레임은, 오류 정정 부호화(채널 부호화)된 1 데이터·패킷의 송신시간단위이며, 1TTI와 다름없다. 이 때문에, UL 스케줄링 그랜트의 통지를 받으면, 4 서브프레임 후에 PUSCH가 송신된다. 도 1에 있어서는, 하향링크(DL:Downlink)의 무선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m∼#m+9) 중, 서브프레임#m∼#m+2 및 #m+4에서 UL 스케줄링 그랜트가 통지되고, 이들의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따라 상향링크(UL)의 서브프레임#n+4∼#n+6 및 #n+8에서 PUSCH가 송신되는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RS는, 각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는 PUSCH의 유무와는 관계없이 송신됨으로써, 만약에 UL 스케줄링 그랜트의 통지가 없고, PUSCH가 송신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향링크(UL)에서 주기적으로 기지국장치(eNodeB)로 송신되게 된다.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관점에서 생각하면, 기지국장치(eNodeB)에 있어서의 채널품질 측정을 목적으로 하는 SRS는, PUSCH가 송신되는 경우에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PUSCH의 유무와는 관계없이 SRS의 송신에 이용되는 무선 리소스가 고정적으로 사용됨으로써,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어려워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이 PUSCH의 유무와는 관계없이 SRS가 송신됨으로써, 무선 리소스가 쓸데없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 착목하여, 본 발명에 이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SRS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동적으로 SRS의 송신의 유무를 제어함으로써, SRS의 송신에 이용되는 무선 리소스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PUSCH의 송신을 지시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SRS의 송신을 이동국장치(UE)에 지시함으로써, SRS가 다중되는 서브프레임을 동적으로 제어하고, SRS의 송신에 이용되는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은, 기지국장치(eNodeB)로부터 PDCCH에서 통지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이동국장치(UE)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의 유무(송신 온/오프)를 식별하기 위한 1비트(이하, '송신 식별 비트'라고 한다)를 포함시킨다. 이동국장치(UE)에 있어서는, 이 송신 식별 비트에 따라 동적으로 SRS의 송신타이밍을 제어한다. 이로 인해, UL 스케줄링 그랜트의 송신 식별 비트에 따라 SRS가 다중되는 서브프레임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SRS의 송신에 이용되는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은, 기지국장치(eNodeB)에 있어서, 송신 식별 비트에 송신 온을 나타내는 '1'을 할당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를 선택하고, 이 선택한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SRS의 송신의 유무를 이동국장치(UE)에 지시하고, 이동국장치(UE)에 있어서는, 이 송신 식별 비트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와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SRS를 송신한다.
도 2는, 제1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송신되는 SRS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에 있어서는, 기지국장치(eNodeB)에 있어서, 서브프레임#m, #m+4의 UL 스케줄링 그랜트가, SRS의 송신지시(즉, 송신 온의 송신 식별 비트)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로 선택된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의 통지를 받으면, 이동국장치(UE)에 있어서는, 이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따라 4 서브프레임 후의 서브프레임#n+4, #n+8에서 송신하는 PUSCH와 함께 SRS를 기지국장치(eNodeB)로 송신한다.
제1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 SRS는,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와 동일한 서브프레임으로 송신됨으로써, 서브프레임#n+4, #n+8의 최종 심볼에 다중된다. 즉, SRS는, 서브프레임#n+4, #n+8에 할당된 PUSCH 후에 연속하여 다중된다. 기지국장치(eNodeB)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PUSCH에 연속하여 다중되는 SRS에 기초하여 채널품질을 측정하고, 이동국장치(UE)에 있어서의 PUSCH 송신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 때문에, 실제로 PUSCH가 송신되는 타이밍에 있어서의 채널품질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의 채널상태를 반영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지국장치(eNodeB)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는, 선행하여 송신한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와의 간격의 유무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예를 들면, 선행하여 송신한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로부터 일정한 간격(예를 들면, 4TTI)이 경과하고 있는 경우에 다음으로 송신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가,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로 선택된다. 또한,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의 선택방법에 대해서는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후술하는 제2, 제3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은, 기지국장치(eNodeB)에 있어서, 송신 식별 비트에 송신 온을 나타내는 '1'을 할당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를 선택하고, 이 선택한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SRS의 송신의 유무를 이동국장치(UE)에 지시하고, 이동국장치(UE)에 있어서는, 이 송신 식별 비트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의 서브프레임의 직전의 서브프레임에서 SRS를 송신한다.
도 3은, 제2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송신되는 SRS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에 있어서는, 도 2와 마찬가지로, 기지국장치(eNodeB)에 있어서, 서브프레임#m, #m+4의 UL 스케줄링 그랜트가,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로 선택된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의 통지를 받으면, 이동국장치(UE)에 있어서는, 이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따라 PUSCH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n+4, #n+8의 직전의 서브프레임#n+3, #n+7에서 SRS를 기지국장치(eNodeB)로 송신한다.
제2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 SRS는,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의 서브프레임의 직전의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됨으로써, 서브프레임#n+3, #n+7의 최종 심볼에 다중된다. 즉, SRS는, 서브프레임#n+4, #n+8에 할당된 PUSCH 전에 연속하여 다중된다. 기지국장치(eNodeB)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PUSCH에 연속하여 다중되는 SRS에 기초하여 채널품질을 측정하고, 이동국장치(UE)에 있어서의 PUSCH 송신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 때문에, 실제로 PUSCH가 송신되는 타이밍에 있어서의 채널품질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채널상태를 반영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은, 기지국장치(eNodeB)에 있어서, 송신 식별 비트에 송신 온을 나타내는 '1'을 할당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를 선택하고, 이 선택한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SRS의 송신의 유무를 이동국장치(UE)에 지시하고, 이동국장치(UE)에 있어서는, 이 송신 식별 비트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의 서브프레임의 소정 수만큼 전의 서브프레임에서 SRS를 송신한다.
도 4는, 제3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송신되는 SRS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에 있어서는, 도 2, 도 3과 마찬가지로, 기지국장치(eNodeB)에 있어서, 서브프레임#m, #m+4의 UL 스케줄링 그랜트가,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로 선택된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의 통지를 받으면, 이동국장치(UE)에 있어서는, 이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따라 PUSCH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n+4, #n+8의 소정 수(여기서는, 3 서브프레임)만큼 전의 서브프레임#n+1, #n+5에서 SRS를 기지국장치(eNodeB)로 송신한다.
제3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 SRS는,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의 서브프레임의 3 서브프레임 전의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됨으로써, 서브프레임#n+1, #n+5의 최종 심볼에 다중된다. 즉, SRS는, 서브프레임#n+4, #n+8에 할당된 PUSCH에 선행하여 다중된다. 기지국장치(eNodeB)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PUSCH에 선행하여 다중되는 SRS에 기초하여 채널품질을 측정하고, 이동국장치(UE)에 있어서의 PUSCH 송신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 때문에, 실제로 PUSCH가 송신되는 타이밍과 근사한 타이밍에서 채널품질을 측정할 수 있음과 함께, 후속하는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스케줄링의 내용을 반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에 도시하는 구체 예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기지국장치(eNodeB)에 있어서는, 이동국장치(UE)로부터 송신되는, 서브프레임#n+1의 최종 심볼에 다중되는 SRS에 기초하여 채널품질을 측정하고, 그 채널품질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이동국장치(UE)에 있어서의 PUSCH 송신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여기서는, 다음으로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가 할당되는 서브프레임#m+4에 선행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스케줄링의 내용을 서브프레임#m+4의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제3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이동국장치(UE)에 있어서,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의 서브프레임의 소정 수만큼 전의 서브프레임에서 SRS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으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의 서브프레임의 소정 수만큼 후의 서브프레임에서 SRS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SRS의 송신타이밍에 유연성을 갖게 함으로써, 유저 간 간섭의 조정 등이 가능해진다. 제3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서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의 서브프레임의 소정 수만큼 전 또는 후의 서브프레임에서 SRS를 송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은, 기지국장치(eNodeB)에 있어서, 송신 식별 비트에 송신 온을 나타내는 '1'을 할당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를 선택하고, 이 선택한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SRS의 송신의 유무를 이동국장치(UE)에 지시하고, 이동국장치(UE)에 있어서는, 이 송신 식별 비트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의 서브프레임의 소정 수만큼 전의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서, 기준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가장 빠른 SRS 송신 가능한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SRS를 송신한다.
도 5는, 제4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송신되는 SRS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에 있어서는, 도 2, 도 3과 마찬가지로, 기지국장치(eNodeB)에 있어서, 서브프레임#m, #m+4의 UL 스케줄링 그랜트가,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로 선택된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또, 상향링크는, SRS를 송신 가능한 서브프레임(#n+1, #n+4, #n+7)이 한정되어 있다. 알림정보, RRC 제어정보의 송신에 이용되는 서브프레임은 SRS의 송신이 제한되기 때문에, SRS를 송신 가능한 서브프레임은 미리 한정된다. 도 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하향링크의 서브프레임#m에서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고, 거기서부터 4 서브프레임 띄고 서브프레임#n+4에서 PUSCH를 송신한다. 상기 PUSCH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n+4로부터 x 서브프레임(동일 도에서는 x=3)만큼 전으로 되돌아간 서브프레임#n+1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기준의 서브프레임#n+1을 포함하여 가장 빠른 SRS 송신 가능한 서브프레임에서 SRS를 송신한다. 도 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기준의 서브프레임#n+1이 가장 빠른 SRS 송신 가능한 서브프레임이다. 또, 하향링크의 서브프레임#m+4에서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고, 거기서부터 4 서브프레임 띄고 서브프레임#n+8에서 PUSCH를 송신한다. 상기 PUSCH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n+8로부터 3 서브프레임만큼 전으로 되돌아간 서브프레임#n+5를 기준으로 하여, 해당 기준의 서브프레임#n+5를 포함하여 가장 빠른 SRS 송신 가능한 서브프레임에서 SRS를 송신한다. 도 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기준의 서브프레임#n+5는 SRS를 송신 가능한 서브프레임이 아니다. 기준의 서브프레임#n+5로부터 가장 빠른 SRS 송신 가능한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n+7이기 때문에, 서브프레임#n+7에서 SRS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기준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가장 빠른 SRS 송신 가능한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SRS를 송신하는 등의 룰을 적용하면, PUSCH를 보내는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전에 소정 서브프레임 수만큼 되돌아간 서브프레임에서 알림정보, RRC 제어정보를 송신하고 있었다고 해도 SRS와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이들의 제1∼제4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따라 SRS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특정된다(예를 들면, 제1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서는 4 서브프레임 후의 서브프레임). 이 경우에 있어서, SRS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의 특정방법으로서는, 서브프레임의 특정내용을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시키도록 해도 좋으며, 서브프레임의 특정내용을 이동국장치(UE)에 사양에 의해 정해 두고, UL 스케줄링 그랜트의 수신에 따라 해당 사양에 의해 특정하도록 해도 좋다. SRS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을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하는 특정내용에 따라 특정하는 경우에는, 제1∼제4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을 전환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동일 심볼 내에 복수의 이동국장치(UE)로부터의 SRS를 다중하기 위한 리소스 정보(이하, 'SRS 다중용 정보'라고 한다)를, 각 이동국장치(UE)에 RRC 시그널링에서 통지하고 있다. 이 SRS 다중용 정보에는, 예를 들면, SRS를 다중하는 서브프레임이 홀수번째인지 짝수번째인지를 나타내는 위치정보(Comb:1비트), SRS를 부호 다중할 때에 각 이동국장치(UE)에 할당되는 시프트량(cyclic Shift:3비트), SRS를 다중하는 대상이 되는 대역폭(Bandwidth: 2비트), SRS를 다중하는 주파수위치(Frequency position:부정(不定) 비트)가 포함된다.
동적으로 SRS의 송신타이밍을 제어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SRS 다중용 정보를 UL 스케줄링 그랜트(PDCCH)에서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SRS 다중용 정보를 모두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시켜 통지하는 경우에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할당되는 정보량이 증대하고, 기지국장치(eNodeB)에 있어서의 UL 스케줄링 그랜트의 생성 등의 효율이 악화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RRC 시그널링)과 UL 스케줄링 그랜트(PDCCH)를 병용하여 SRS 다중용 정보를 통지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SRS를 다중하는 서브프레임의 위치정보(Comb:1비트) 및 SRS를 다중하는 대상이 되는 대역폭(Bandwidth: 2비트)을 RRC 시그널링으로 통지하는 한편, 각 이동국장치(UE)에 할당되는 시프트량(cyclic Shift:3비트) 및 SRS를 다중하는 주파수위치(Frequency position: 부정 비트)를 UL 스케줄링 그랜트(PDCCH)에서 통지한다. 이 경우에는, UL 스케줄링 그랜트(PDCCH)에 포함되는 SRS 다중용 정보를, RRC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SRS 다중용 정보보다도 빨리 이동국장치(UE)에 통지할 수 있으며, 해당 SRS 다중용 정보를 이용하는 제어를 이동국장치(UE)에서 신속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RRC 시그널링 및 UL 스케줄링 그랜트(PDCCH)에 할당하는 SRS 다중용 정보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또,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과 PDCCH를 병용하여 SRS 다중용 정보를 통지하는 경우, PDCCH에서 보내는 SRS 다중용 정보는 PDCCH에 있어서의 다른 제어 비트를 이용하여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제어 비트를 이용하는 형태에는, SRS 다중용 정보를 다른 제어 비트에 덮어쓰기 하는 것, 다른 제어 비트를 그대로 SRS 다중용 정보로서 이용하는 것의 양방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대역폭(Bandwidth: 2비트)과 주파수위치(Frequency position: 부정 비트)를 통지하고, PDCCH를 이용하여, SRS의 송신지시, 서브프레임의 위치정보(Comb:1비트) 및 시프트량(cyclic Shift:3비트)을 통지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SRS의 송신지시는 PDCCH에 확보한 1비트를 이용한다. 나머지 리소스 정보인 서브프레임의 위치정보(Comb:1비트)와 시프트량(cyclic Shift:3비트)은 다른 제어 비트에 덮어쓰기 한다. 또는 다른 제어 비트를 그대로 사용한다.
도 6에 PDCCH에서 보내지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의 포맷 구성(DCI format 0)이 도시되어 있다. 도 6A는 SRS의 송신지시가 OFF인 경우의 포맷이며, 동일 도 B는 SRS의 송신지시가 ON인 경우의 포맷이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CI format 0은, 선두 1비트가 DCI Format 1 또는 DCI Format 0을 식별하는 플래그이다. 제2 비트가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주파수 호핑의 유무를 나타내는 제어 비트이다. 제3 비트로부터 제9 비트는 유저에 할당한 리소스 블록 위치를 나타내는 리소스 블록 할당정보의 제어 비트이다. 그 후에 할당한 리소스 블록의 MCS 정보 및 리던던시화(化) 버전(RV)의 제어 비트가 배치되고, 신규 데이터인지 재송 데이터인지를 구별하는 식별자(New data indicator)가 1비트 배치된다. 또한, PUSCH의 송신전력 제어 커맨드(TPC), 복조용 레퍼런스 시그널의 사이클릭 시프트(CS for DMRS)의 제어 비트가 배치되고, CQI 리퀘스트가 배치되어 있다. CQI 리퀘스트에 이어 패딩 비트로서 2비트 부가되어 있다. 패팅 비트의 1 비트째를 SRS의 송신지시에 이용하고 있다. 이 제어 비트가 '0'이라면 SRS 송신 OFF이며, '1'이라면 SRS 송신 ON이다.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RS의 송신지시가 ON인 경우, 패딩 비트의 1 비트째에 '1'이 설정된다. 서브프레임의 위치정보(Comb:1비트)는, 주파수 호핑의 유무를 나타내는 제어 비트(제2 비트)에 덮어쓰기 한다. 시프트량(cyclic Shift:3비트)은, 시프트량과 동일 비트 수인 복조용 레퍼런스 시그널의 사이클릭 시프트(CS for DMRS)의 제어 비트를 그대로 사용한다. 바꿔말하면, SRS 다중용 시프트량과 복조용 레퍼런스 시그널의 사이클릭 시프트(CS for DMRS)를 링크시켜 양자를 동일 비트값으로 한다. 이와 같이, PDCCH에서 보내는 SRS 다중용 정보는 PDCCH에 있어서의 다른 제어 비트를 이용하여 통지함으로써, UL 스케줄링 그랜트(DCI format 0)의 비트 수가 증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제4의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 SRS는, 기지국장치(eNodeB)로부터 통지된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따라 특정한 서브프레임의 최종 심볼에 다중된다. 예를 들면, SRS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의 최종 심볼에 다중된다. PUSCH는, 이동국장치(UE)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NRB)에 다중된다.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는, 이동국장치(UE)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NRB)에 있어서의 각 슬롯의 제3 심볼에 다중된다. 또한, 도 7에 있어서는, 제1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의 SRS가 다중된 서브프레임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제1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을 예로 설명하나, 제2, 제3, 제4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제1∼제4의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SRS를 다중할 수 있는 심볼이 서브프레임의 최종 심볼에 한정되어 있음으로써, 예를 들면, 이동국장치(UE)가 재권하는 셀의 단부(端部)에 위치하는 경우는, 송신전력이 부족하여 기지국장치(eNodeB)에서 적절하게 SRS를 수신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5∼제8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최종 심볼과는 다른 복수의 심볼에 SRS를 다중한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의 DMRS에 겹치게 SRS를 다중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SRS가 다중되는 심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5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슬롯의 제3 심볼에 SRS가 다중되고, DMRS와 동시에 기지국장치(eNodeB)로 송신된다. 또한, DMRS에 겹친 SRS의 다중은, 예를 들면, DMRS에 대해 직교하는 부호 등을 이용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5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특정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복수(2개)의 SRS가 다중되어 송신됨으로써, 최종 심볼에만 SRS를 다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지국장치(eNodeB)에서 적절히 SRS를 수신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의 PUSCH에 겹치게 SRS를 다중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SRS가 다중되는 심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6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슬롯의 제3 심볼 이외의 심볼 및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의 최종 심볼을 제외한 모든 심볼에 SRS가 다중되고, PUSCH와 동시에 기지국장치(eNodeB)로 송신된다. 이 경우, SRS는, PUSCH와 비교하여 작은 송신전력으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6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특정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복수(11개)의 SRS가 다중되어 송신됨으로써, 최종 심볼에만 SRS를 다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지국장치(eNodeB)에서 적절히 SRS를 수신하기 쉬워진다. 또, SRS가 PUSCH에 겹치게 다중됨으로써, DMRS에 겹치게 다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지국장치(eNodeB)에 있어서의 채널품질의 측정 정밀도에 영향을 끼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의 DMRS 및 PUSCH에 겹치게 SRS를 다중한다. 즉, 제5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과, 제6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을 조합한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상당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SRS가 다중되는 심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7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의 최종 심볼을 제외한 모든 심볼에 SRS가 다중되고, PUSCH 및 DMRS와 동시에 기지국장치(eNodeB)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제7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특정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복수(13개)의 SRS가 다중되어 송신됨으로써, 최종 심볼에만 SRS를 다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지국장치(eNodeB)에서 적절하게 SRS를 수신하기 쉬워진다. 특히, 서브프레임의 최종 심볼을 제외한 모든 심볼에 SRS가 다중됨으로써, PUSCH만, 혹은, DMRS에만 겹치게 다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지국장치(eNodeB)에서 SRS를 더욱 수신하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8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이동국장치(UE)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과는 다른 리소스 블록에 SRS를 다중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SRS가 다중되는 심볼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8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이동국장치(UE)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NRB)과는 다른 리소스 블록(NRB') 중, 서브프레임의 최종 심볼을 제외한 모든 심볼에 SRS가 다중되고, PUSCH 및 DMRS와 동시에 기지국장치(eNodeB)로 송신된다.
이와 같이 제8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특정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복수(13개)의 SRS가 다중되어 송신됨으로써, 최종 심볼에만 SRS를 다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지국장치(eNodeB)에서 적절하게 SRS를 수신하기 쉬워진다. 또, 이동국장치(UE)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NRB)과는 다른 리소스 블록(NRB')에 SRS가 다중됨으로써, PUSCH에 겹치게 다중하는 경우에 비해 PUSCH에 대한 간섭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들과 같이 SRS를 다중하는 심볼을 동적으로 선택하는 경우, 기지국장치(eNodeB)에 있어서의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복조 정밀도의 관점에서 SRS를 다중하는 심볼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채널 신호에 있어서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단부의 심볼에 있어서의 복조 정밀도가 열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이 복조 정밀도가 열화되는 심볼에, 데이터 채널 신호와는 관계없는 SRS를 다중하는 것이 실시형태로서 바람직하다. 이하, 이와 같이 SRS를 다중하는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9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해당하는 서브프레임 중, PUSCH의 선두 심볼에 SRS를 다중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9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SRS가 다중되는 심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9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의 선두 심볼(제0 심볼) 중, 이동국장치(UE)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NRB)에 SRS가 다중되고, PUSCH와 동시에 기지국장치(eNodeB)로 송신된다.
이와 같이 제9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특정되는 서브프레임 중, PUSCH의 선두 심볼에 SRS가 다중되어 송신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채널 신호(PUSCH)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복조 정밀도가 열화될 수 있는 심볼에 SRS가 다중됨으로써, 데이터 채널 신호의 복조 정밀도의 열화를 억제하면서,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해당하는 서브프레임 중, PUSCH의 선두 심볼에 겹치게 SRS를 다중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0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SRS가 다중되는 심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0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의 선두 심볼(제0 심볼) 중, 이동국장치(UE)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NRB)을 포함하는 광대역의 리소스 블록(NRB'')에 SRS가 다중되고, PUSCH와 동시에 기지국장치(eNodeB)로 송신된다.
이와 같이 제10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특정되는 서브프레임 중, PUSCH의 선두 심볼에 SRS가 다중되어 송신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채널 신호(PUSCH)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제9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채널 신호의 복조 정밀도의 열화를 억제하면서,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제10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이동국장치(UE)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NRB)을 포함하는 광대역의 리소스 블록(NRB'')에 다중된 SRS에 기초하여 채널품질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채널품질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제1∼제10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는 SRS의 송신지시에 따라, 이동국장치(UE)로부터 SRS가 송신된다. 그러나, 제11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UL 스케줄링 그랜트 이외의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는 SRS의 송신지시에 따라, 이동국장치(UE)로부터 SRS가 송신되어도 좋다.
제11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가 마련되고, 해당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는 SRS의 송신지시에 따라, 이동국장치(UE)로부터 SRS가 송신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1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서 이용되는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Aperiodic SRS 그랜트라고도 한다)의 포맷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9A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의 포맷 구성이며, 도 19B는,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의 포맷 구성이다. 도 19A의 UL 스케줄링 그랜트는, 도 6A에 도시하는 SRS의 송신지시가 오프인 경우의 UL 스케줄링 그랜트와 동일한 구성이다. 도 19B에 도시하는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는, 이하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SRS를 송신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이동국장치(UE)에 통지하는 것이다.
도 1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의 제1∼제2 비트의 TxBW(TxBandwidth)는, SRS의 송신 대역폭이다. 제3 비트로부터 제7 비트의 Frequency position은, SRS를 송신하는 주파수위치이다. 제8 비트의 Comb는, SRS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의 위치정보이다. 제9∼제11 비트의 CS(Cyclic shift)는, SRS의 사이클릭 시프트의 시프트량이다. 제12∼제13 비트의 Hopping BW(Bandwidth)는, 주파수 호핑의 대역이다. 제14 비트∼제15 비트의 Duration은, SRS의 송신기간이다. 이상과 같은 SRS를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 정보는, 제1∼제10의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의 정보량의 제약 상, 원칙 RRC 시그널링에서 통지된다. 제11 형태에 따른 참조정보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가 마련되기 때문에, SRS를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 정보를 PDCCH에 의해 이동국장치(UE)로 통지할 수 있다.
또, 도 1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에는, SRS뿐 아니라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제어정보(예를 들면, 후술하는 확장 송신전력 제어정보(Extended TPC)나 송신타이밍 제어정보(TA) 등)를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에는, 후술하는 확장 송신전력 제어정보(Extended TPC)와 송신타이밍 제어정보(TA) 중 어느 것이 포함되어도 좋으며, 쌍방이 포함되어도 좋다.
도 19B의 제16∼제19 비트의 Extended TPC는, SRS 또는/및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전력을 확장된 제어범위에서 제어하기 위한 확장 송신전력 제어정보이다. 도 20은, 확장 송신전력 제어정보(Extended TPC)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0A는, 도 19A의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는 송신전력 제어정보(TPC)의 내용을 나타낸다. 2비트의 송신전력 제어정보(TPC)는, 4단계로 송신전력을 증감한다. 한편, 도 20B는, 도 19B의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는 확장 송신전력 제어정보(Extended TPC)의 내용을 나타낸다. 4비트의 확장 송신전력 제어정보(Extended TPC)는, 16단계로 송신전력을 증감한다. 확장 송신전력 제어정보(Extended TPC)에 의하면, 비트 수가 2비트로부터 4비트로 확정되어 있기 때문에, 송신전력 제어정보(TPC)보다도 큰 제어범위에서 SRS 또는/및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확장 송신전력 제어정보(Extended TPC)는, 4비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3 비트여도, 5비트 이상이어도 좋다.
도 19B의 제20∼제23 비트의 TA(Timing Advance)는, SRS 또는/및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타이밍 제어정보이다. 또한, 송신타이밍 제어정보(TA)는, 통상, 이동국장치(UE)의 초기 액세스 시에 기지국장치(eNodeB)로부터 송신되는 RACH Response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송신타이밍 제어정보(TA)가,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서도 이동국장치(UE)에 통지됨으로써, 이동국장치(UE)는, 초기 액세스 시로부터의 시간 경과에 의해 발생하는 송신타이밍 제어의 오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9B의 제24 비트는, SRS의 송신지시에 이용하는 제어 비트이다.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에 있어서는, SRS의 송신을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는 '1'이 설정된다.
이상과 같이, 도 19B에 도시하는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에는, SRS를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 정보에 더해, SRS뿐 아니라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제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하면, 이동국(UE)이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을 중단한 후에 재개하는 경우에도,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전력 및 송신타이밍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여, 이동국장치(UE)에 있어서의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를 이용한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전력 제어 및 송신타이밍 제어에 대해 후술한다.
도 21은, 제11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송신되는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Aperiodic SRS 그랜트라고도 한다)를 이용한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전력 제어 및 송신타이밍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국장치(UE)로부터 상향링크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채널 신호(PUSCH)가 존재하는 경우,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기지국장치(eNodeB)로부터 UL 스케줄링 그랜트가 송신된다. 이동국장치(UE)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는 송신전력정보(TPC)에 따라 상향링크에서의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도 21에 있어서는, UL 스케줄링 그랜트가, 하향링크의 서브프레임#m∼#m+2에서 이동국장치(UE)로 송신된다. 이동국장치(UE)는, 상기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는 송신전력정보(TPC)에 따라, 서브프레임#n∼#n+2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한편으로, 이동국장치(UE)로부터 상향링크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이 중단된 후에 재개되는 경우에,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전력이나 송신타이밍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eNodeB)는, 이동국장치(UE)가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을 재개하려고 하는 경우, 이동국장치(UE)로부터 수신한 Scheduling Request(미도시)에 따라,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를 이동국장치(UE)로 송신한다. 이동국장치(UE)는,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는 확장 송신제어정보(Extended TPC)나 송신타이밍 정보(TA)에 따라, 상향링크에서의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전력이나 송신타이밍을 제어한다. 도 21에 있어서는,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가, 하향링크의 서브프레임#m+s에서 이동국장치(UE)로 송신된다. 이동국장치(UE)는, 상기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는 확장 송신전력 제어정보(Extended TPC)나 송신타이밍 정보(TA)에 따라, 서브프레임#n+s+3에서 송신이 재개되는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전력이나 송신타이밍을 제어한다. 여기서, 확장 송신제어정보(Extended TPC)나 송신타이밍 정보(TA)는,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 중단 이후에도 정기적으로 혹은 송신지시에 따라 송신되는 SRS에 의해 적절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확장 송신제어정보(Extended TPC)는, 송신전력의 제어범위가 확장되어 있다. 따라서,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국장치(UE)가 데이터 채널 신호(PUSCH) 송신을 중단한 후에 재개하려고 하는 경우라도, 이동국장치(UE)는, 송신전력이나 송신타이밍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장치(UE)는, 하향링크의 서브프레임#m+s에서 송신된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에 SRS의 송신지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상향링크의 서브프레임#n+s에서 SRS를 송신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는, LTE-A 방식의 시스템(LTE-A 시스템)에 대응하는 기지국장치 및 이동국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장치(UE)(10) 및 기지국장치(eNodeB)(20)를 갖는 이동통신시스템(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장치(10) 및 기지국장치(20)를 갖는 이동통신시스템(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이동통신시스템(1)은, 예를 들면, LTE 시스템 또는 SUPER 3G가 포함되는 시스템이다. 또, 이 이동통신시스템(1)은, IMT-Advanced라 불려도 좋고, 4G라 불려도 좋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시스템(1)은, 기지국장치(20)와, 이 기지국장치(20)와 통신하는 복수의 이동국장치(10(101, 102, 103, …, 10n, n은 n>0의 정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지국장치(20)는, 상위국장치(30)와 접속되고, 이 상위국장치(30)는, 코어 네트워크(40)와 접속된다. 이동국장치(10)는,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와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상위국장치(30)에는,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 모빌리티 메니지먼트 엔티티(MM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각 이동국장치(101, 102, 103, …, 10n)는, 동일한 구성, 기능, 상태를 갖기 때문에, 이하에 있어서는, 특단의 단서가 없는 한 이동국장치(10)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또, 설명의 편의상, 기지국장치(20)와 무선 통신하는 것은 이동국장치(10)인 것으로서 설명하나, 보다 일반적으로는 이동국장치도 고정단말장치도 포함하는 유저장치(UL: User Equipment)여도 좋다.
이동통신시스템(1)에 있어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A(직교 주파수분할 다원접속)가,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싱글 캐리어-주파수분할 다원접속) 또는 클러스터화 DFT 확산 OFDM(Clustered DFT-Spread OFDM)이 적용된다. OFDMA는,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 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캐리어에 데이터를 맵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SC-FDMA는, 시스템 대역을 단말마다 하나 또는 연속한 리소스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대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이 서로 다른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단말 간의 간섭을 저감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클러스터화 DFT 확산 OFDM은, 비연속적인 클러스터화된 서브캐리어의 그룹(클러스터)을 1대의 이동국(UE)에 할당하고, 각 클러스터에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OFDM을 적용함으로써, 상향링크의 다원접속을 실현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채널에 대해 설명한다.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이동국장치(10)에서 공유되는 PDSCH와, 하향 L1/L2 제어채널(PDCCH, PCFICH, PHICH)이 이용된다. 이 PD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 즉, 통상의 데이터 신호가 전송된다. 송신 데이터는, 이 유저 데이터에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송신 식별 비트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는, L1/L2 제어채널(PDCCH)에 의해 이동국장치(10)로 통지된다.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이동국장치(10)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PUSCH와, 상향링크의 제어채널인 PUCCH가 이용된다. 이 PU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가 전송된다. 또, PUCCH에 의해,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등이 전송된다.
도 13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장치(10)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LTE 단말도 LTE-A 단말도 하드웨어의 주요부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구별하지 않고 설명한다. 이동국장치(10)는, 송수신 안테나(11)와, 앰프부(12)와, 송수신부(1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4)와, 애플리케이션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송수신 안테나(11)와, 앰프부(12)와, 송수신부(1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4)의 일부에서 수신수단이 구성된다.
하향링크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1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부(12)에서 증폭되고, 송수신부(13)에서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된다. 이 베이스밴드 신호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4)에서 FFT 처리나, 오류 정정 복호,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등이 이루어진다. 이 하향링크의 데이터 중, 하향링크의 유저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부(15)로 전송된다. 애플리케이션부(15)는, 물리 레이어나 MAC 레이어보다 상위의 레이어에 관한 처리 등을 수행한다. 또, 하향링크의 데이터 중, 알림정보도, 애플리케이션부(15)로 전송된다.
한편, 상향링크의 유저 데이터에 대해서는, 애플리케이션부(15)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4)에 있어서는, 재송 제어(H-ARQ(Hybrid ARQ))의 송신처리나, 채널 부호화, DFT 처리, IFFT 처리 등이 수행되어 송수신부(13)로 전송된다. 송수신부(13)에 있어서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4)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 처리가 실시되고, 그 후, 앰프부(12)에서 증폭되어 송수신 안테나(11)로부터 송신된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장치(20)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기지국장치(20)는, 송수신 안테나(21)와, 앰프부(22)와, 송수신부(2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4)와, 호처리부(25)와, 전송로 인터페이스(26)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송수신 안테나(21)와, 앰프부(22)와, 송수신부(2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4)의 일부에서 송신수단이 구성된다.
하향링크에 의해 기지국장치(20)로부터 이동국장치(10)로 송신되는 유저 데이터는, 기지국장치(200)의 상위에 위치하는 상위국장치(30)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26)를 통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4)에 있어서, PDCP 레이어의 처리, 유저 데이터의 분할·결합, RLC(radio link control) 재송 제어의 송신처리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처리, MAC(Medium Access Control) 재송 제어, 예를 들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송신처리, 스케줄링, 전송 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처리, 프리코딩 처리가 수행된다. 또,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신호에 관해서도, 채널 부호화나 역고속 푸리에 변환 등의 송신처리가 수행되고, 송수신부(23)로 전송된다.
송수신부(23)에 있어서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4)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 처리가 실시되고, 그 후, 앰프부(22)에서 증폭되어 송수신 안테나(21)로부터 송신된다.
한편, 상향링크에 의해 이동국장치(10)로부터 기지국장치(20)로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2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부(22)에서 증폭된다. 그리고, 송수신부(23)에서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된 후,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4)에 있어서는, 입력된 베이스밴드 신호에 포함되는 유저 데이터에 대해, FFT 처리, IDFT 처리, 오류 정정 복호, MAC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RLC 레이어, PDCP 레이어의 수신 처리가 이루어지고, 전송로 인터페이스(206)를 통해서 상위국장치(30)로 전송된다.
호처리부(25)는, 통신채널의 설정이나 해방 등의 호처리나, 기지국장치(20)의 상태 관리나, 무선 리소스의 관리를 수행한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장치(10)가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4)의 기능 블록도이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4)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관련하는 구성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통상의 베이스밴드 처리부가 구비하는 구성에 대해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이하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동적으로 송신타이밍이 제어되는 SRS를 'Dynamic SRS'라 부르고, 동적으로 제어되지않고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SRS(즉,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SRS)를 'Semi-static SRS'라 부르는 것으로 한다.
기지국장치(20)로부터 하향링크에서 송신된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는, 스케줄링 그랜트 복조·복호부(140)에 입력되어 복조, 복호된다. 그리고,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의 복조, 복호결과는, 후술하는 데이터 채널 신호 생성부(146), PUSCH 맵핑부(148)에 출력된다. 또한, UL 스케줄링 그랜트에는, 상향링크의 리소스 블록의 할당정보, 이동국장치(10)의 ID, 데이터 사이즈, 변조방식,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정보, DMRS의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도 6A 또는 B에 도시하는 포맷 구성의 UL 스케줄링 그랜트가 복호된다. 이때, SRS의 송신지시가 '0'(OFF)인지 '1'(ON)인지로, 일부의 제어 비트의 해석이 전환된다. SRS의 송신지시가 '0'(OFF)인 경우는, LTE와 동일한 해석으로 제어 비트를 인식한다. 한편, SRS의 송신지시가 '1'(ON)인 경우는, LTE에서 DMRS의 시프트량을 나타내고 제어 비트를, SRS의 시프트량(cyclic Shift: 3비트)을 나타내는 제어 비트로서 해석한다.
UL 스케줄링 그랜트의 복조, 복호의 결과,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Dynamic SRS의 송신지시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취지가 Dynamic SRS 신호 생성부(141)에 통지된다. 또한,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있어서의 Dynamic SRS의 송신지시의 유무는, 상술한 송신 식별 비트의 유무에 의해 판단된다. 또,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SRS 다중용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 SRS 다중용 정보가 Dynamic SRS 맵핑부(142)로 출력된다. 또한, RRC 시그널링에 의해 SRS 다중용 정보가 통지된 경우에는, 이 SRS 다중용 정보도 Dynamic SRS 맵핑부(142)로 출력된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SRS를 송신 가능한 서브프레임 정보가 사전에 RRC 시그널링되고, Dynamic SRS 맵핑부(142)에 부여된다.
한편, Dynamic SRS의 송신지시가 포함되지 않는 UL 스케줄링 그랜트, 즉,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UL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한 경우에는, 그 취지가 Semi-static SRS 신호 생성부(143)로 통지된다. 또, RRC 시그널링에 의해 SRS 다중용 정보가 통지된 경우에는, 이 SRS 다중용 정보가 Semi-static SRS 맵핑부(144)로 출력된다.
Dynamic SRS 신호 생성부(141)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는 송신지시에 따라 Dynamic SRS를 생성한다. Dynamic SRS 맵핑부(142)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통지되는 SRS 다중용 정보 또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통지되는 SRS 다중용 정보에 기초하여, Dynamic SRS 신호 생성부(141)에서 생성된 Dynamic SRS를 무선 리소스로 맵핑한다. 이 Dynamic SRS 맵핑부(142)는, 다중 수단을 구성하는 것이다. Dynamic SRS 맵핑부(142)에 의해 무선 리소스로 맵핑됨으로써, 소정의 심볼에 Dynamic SRS가 다중된다. 그리고, 무선 리소스로 맵핑된 Dynamic SRS는, 역고속 푸리에 변환부(IFFT)(145)로 출력된다.
예를 들면, 제1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따라 Dynamic SRS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와 동일한 서브프레임의 최종 심볼에 Dynamic SRS가 다중된다. 또, 제2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따라 Dynamic SRS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의 서브프레임의 직전의 서브프레임의 최종 심볼에 Dynamic SRS가 다중된다. 또한, 제3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따라 Dynamic SRS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의 서브프레임의 소정 수만큼 전의 서브프레임의 최종 심볼에 Dynamic SRS가 다중된다. 또, 제4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따라 Dynamic SRS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의 서브프레임의 소정 수만큼 전(또는 후)의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여, 그 기준 서브프레임으로부터 가장 빠른 SRS 송신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최종 심볼에 Dynamic SRS가 다중된다. SRS 송신 가능한 서브프레임은, 사전에 RRC 시그널링된다.
또, 제5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따라 Dynamic SRS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의 DMRS에 겹치게 Dynamic SRS가 다중된다. 또한, 제6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따라 Dynamic SRS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의 PUSCH에 겹치게 Dynamic SRS가 다중된다. 또한, 제7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따라 Dynamic SRS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의 PUSCH 및 DMRS에 겹치게 Dynamic SRS가 다중된다. 또한, 제8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따라 Dynamic SRS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이동국장치(10)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과 다른 리소스 블록에 Dynamic SRS가 다중된다. 또한, 제9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따라 Dynamic SRS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의 PUSCH의 선두 심볼에 Dynamic SRS가 다중된다. 또한, 제10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따라 Dynamic SRS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의 PUSCH의 선두 심볼에 겹치게 Dynamic SRS가 다중된다.
Semi-static SRS 신호 생성부(143)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따라 Semi-static SRS를 생성한다. Semi-static SRS 맵핑부(144)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통지되는 SRS 다중용 정보에 기초하여 Semi-static SRS를 맵핑한다. 이 경우, Semi-static SRS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의 통지를 받은 후, 4 서브프레임 후의 서브프레임의 최종 심볼로 맵핑된다. 그리고, 무선 리소스로 맵핑된 Semi-static SRS는, 역고속 푸리에 변환부(IFFT)(145)로 출력된다.
한편, 상위 레이어로부터 지시된 송신 데이터는, 데이터 채널 신호 생성부(146)에 입력된다. 데이터 채널 신호 생성부(146)에 있어서는,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데이터 채널 신호(PUSCH)를 생성한다. 데이터 채널 신호는, 미도시의 채널 부호·변조부에서 채널 부호화되고, 변조된 후, 이산 푸리에 변환부(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147)로 출력된다. 그리고, DFT부(147)에서 이산 푸리에 변환되고, 시계열의 신호로부터 주파수영역의 신호로 변환된 후, PUSCH 맵핑부(148)로 출력된다.
PUSCH 맵핑부(148)에 있어서는,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는 리소스 블록의 할당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맵핑을 수행한다. 그리고, 맵핑이 수행된 데이터 채널 신호(PUSCH)는, 역고속 푸리에 변환부(IFFT)(145)로 출력된다.
IFFT부(145)에 있어서, PUSCH 맵핑부(148)로부터의 데이터 채널 신호와, Semi-static SRS 맵핑부(144)로부터의 Semi-static SRS 또는 Dynamic SRS 맵핑부(142)로부터의 Dynamic SRS는, 역고속 푸리에 변환되어 주파수영역의 신호로부터 시계열의 신호로 변환된 후,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149)로 출력된다.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가부(149)에 있어서는, 시계열의 송신신호에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부가한다.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부가된 송신신호는, 송수신부(13)로 출력된다. 송수신부(13)에 입력된 송신신호는, 앰프부(12), 송수신 안테나(11)를 통해 상향링크에서 기지국장치(20)로 송신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장치(10)에 있어서는, Dynamic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따라 특정한 서브프레임에 Dynamic SRS를 다중하도록 했음으로써, Dynamic SRS가 다중되는 서브프레임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PUSCH의 유무와는 관계없이 SRS가 주기적으로 서브프레임에 다중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Dynamic SRS의 송신에 이용되는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장치(20)가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4)의 기능 블록도이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4)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관련하는 구성만 도시하고 있으나, 통상의 베이스밴드 처리부가 구비하는 구성에 대해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4)에 입력한 수신신호는, 해당 수신신호에 부가된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CP 제거부(240)에서 제거된 후, 고속 푸리에 변환부(FFT)(241)에서 푸리에 변환되고 주파수영역의 신호로 변환된다. 주파수영역의 신호로 변환된 수신신호 중, PUSCH에 관한 수신신호는, PUSCH 디맵핑부(242)로 출력되고, PUSCH 디맵핑부(242)에서 주파수영역에서 디맵핑된다.
PUSCH 디맵핑부(242)에서 디맵핑된 수신신호는, 역이산 푸리에 변환부(IDFT)(245)로 출력된다. 역이산 푸리에 변환부(IDFT)(245)에 있어서는, 이 수신신호에 역이산 푸리에 변환 처리를 실시하여 주파수영역의 신호를 시간영역의 신호로 되돌린다. 그리고, 시간영역의 신호로 된 수신신호가, 데이터 채널 복조·복호부(246)에서, 전송 포맷(부호화율, 변조방식)에 기초하여 복조, 복호되고 수신 데이터가 재생된다.
한편, 고속 푸리에 변환부(241)에서 주파수영역의 정보로 변환된 수신신호 중, Semi-static SRS에 관한 수신신호는, Semi-static SRS 디맵핑부(243)로 출력되고, Dynamic SRS에 관한 수신신호는, Dynamic SRS 디맵핑부(244)로 출력된다. 이 경우, Semi-static SRS에 관한 수신신호는, 통신 대상이 되는 이동국장치(10)가 LTE 단말인 경우에 수신된다. 한편, Dynamic SRS에 관한 수신신호는, 통신 대상이 되는 이동국장치(10)가, 본 발명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이 적용된 LTE-A 단말인 경우에 수신된다.
Semi-static SRS에 관한 수신신호는, Semi-static SRS 디맵핑부(243)에서 주파수영역에서 디맵핑되고, 상향링크 채널품질 측정부(247)로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Dynamic SRS에 관한 수신신호는, Dynamic SRS 디맵핑부(244)에서 주파수영역에서 디맵핑된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SRS를 송신 가능한 서브프레임 정보가 Dynamic SRS 디맵핑부(244)에 부여되고, SRS를 송신 가능한 서브프레임에 다중되어 있는 SRS를 디맵핑한다. 디맵핑된 SRS는 상향링크 채널품질 측정부(247)로 출력된다. 상향링크 채널품질 측정부(247)는, 주파수영역에서 디맵핑된 Semi-static SRS 또는 Dynamic SRS에 관한 수신신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채널품질을 측정한다.
측정된 채널품질정보는, 상향링크 스케줄러(248)로 출력된다. 상향링크 스케줄러(248)에 있어서는, 이 채널품질정보에 기초하여, 이동국장치(10)로부터 PUSCH를 송신하기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상향링크 스케줄러(248)에서 결정된 스케줄링 정보는, 스케줄링 그랜트 신호 생성부(249)로 출력된다.
예를 들면, 제1, 제2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따라 Dynamic SRS가 이동국장치(10)로부터 송신된 경우에는, 상향링크 채널품질 측정부(247)에서 PUSCH에 연속하여 다중되는 Dynamic SRS에 기초하여 채널품질이 측정되고, 그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스케줄러(248)에서 스케줄링이 수행된다. 이 때문에, 실제로 PUSCH가 송신되는 타이밍에 있어서의 채널품질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의 채널상태를 반영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3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따라 Dynamic SRS가 이동국장치(10)로부터 송신된 경우에는, 상향링크 채널품질 측정부(247)에서 PUSCH에 선행하여 다중되는 Dynamic SRS에 기초하여 채널품질이 측정되고, 그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스케줄러(248)에서 스케줄링이 수행된다. 이 때문에, 실제로 PUSCH가 송신되는 타이밍과 근사한 타이밍에서 채널품질을 측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후술하는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스케줄링의 내용을 반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제4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따라 Dynamic SRS가 이동국장치(10)로부터 송신된 경우에는, 알림정보, RRC 제어정보 등과 충돌하지 않는 미리 한정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에서만 SRS가 보내지기 때문에, SRS와 알림정보, RRC 제어정보 등과의 충돌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5∼제8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따라 Dynamic SRS가 이동국장치(10)로부터 송신된 경우에는, 상향링크 채널품질 측정부(247)에서 복수의 심볼에 다중되는 Dynamic SRS에 기초하여 채널품질이 측정되고, 그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스케줄러(248)에서 스케줄링이 수행된다. 이 때문에, 최종 심볼에만 SRS를 다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지국장치(20)에서 적절히 Dynamic SRS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 Dynamic SRS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9, 제10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따라 Dynamic SRS가 이동국장치(10)로부터 송신된 경우에는, 상향링크 채널품질 측정부(247)에서, 데이터 채널 신호가 송신된 경우에는 복조 정밀도가 열화될 수 있는 심볼에 다중되는 Dynamic SRS에 기초하여 채널품질이 측정되고, 그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스케줄러(248)에서 스케줄링이 수행된다. 이 때문에, 데이터 채널 신호의 복조 정밀도의 열화를 억제하면서,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제10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따라 Dynamic SRS가 이동국장치(10)로부터 송신된 경우에는, 이동국장치(10)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NRB)을 포함하는 광대역의 리소스 블록(NRB'')에 다중된 SRS에 기초하여 채널품질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채널품질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케줄링 그랜트 신호 생성부(249)는, 생성수단을 구성하는 것이며, 상향링크 스케줄러(248)로부터 입력된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Dynamic SRS의 송신지시(송신 식별 비트)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 신호를 생성한다. 또, 스케줄링 그랜트 신호 생성부(249)는, 통신 대상이 되는 이동국장치(10)가 LTE 시스템에 대응하는 단말인 경우에는, Dynamic SRS의 송신지시(송신 식별 비트)를 포함하지 않는 UL 스케줄링 그랜트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스케줄링 그랜트 신호 생성부(249)는, SRS 다중용 정보의 일부를 UL 스케줄링 그랜트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도 6A 또는 B에 도시하는 포맷에서 나타내는 UL 스케줄링 그랜트를 생성한다. 스케줄링 그랜트 신호 생성부(249)에 의해 생성된 UL 스케줄링 그랜트 신호는, 송수신부(23), 앰프부(22) 및 송수신 안테나(21)를 통해 하향링크에서 이동국장치(10)로 송신된다. 또한, 이들의 송수신부(23), 앰프부(22) 및 송수신 안테나(21)에 의해 송신수단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장치(20)에 있어서는, Dynamic SRS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를 이동국장치(10)로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Dynamic SRS의 송신을 지시할 수 있기 때문에, Dynamic SRS가 다중되는 서브프레임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SRS의 송신에 이용되는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따라 특정한 서브프레임에 다중된 Dynamic SRS에 기초하여 채널품질을 측정하고, 이동국장치(10)에 있어서의 PUSCH 송신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도록 했음으로써, 실제로 PUSCH가 송신되는 타이밍, 혹은, 이에 가까운 타이밍에 있어서의 채널품질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의 채널상태를 반영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특정한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복수의 심볼에 Dynamic SRS가 다중되는 경우에는, 최종 심볼에만 SRS가 다중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지국장치(20)에서 적절하게 Dynamic SRS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이 Dynamic SRS에 기초하여 채널품질에 대응한 고정밀도의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경예에 대해서, 상술한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변경예는, 제11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송신되는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를 이용한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전력 제어 및 송신타이밍 제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변경예에 있어서는, 동적으로 송신타이밍이 제어되는 SRS를 'Aperiodic SRS'라고 부르고, 동적으로 제어되지 않고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SRS를 'Periodic SRS'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Aperiodic SRS'는 상술한 실시형태의 'Dynamic SRS'와 같아도 좋으며, 'Periodic SRS'는 상술한 실시형태의 'Semi-static SRS'와 같아도 좋다. 또, 본 변경예에 있어서는, 제11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으로 송신되는 SRS용 스케줄링 그랜트를 'Aperiodic SRS 그랜트'라 부르는 것으로 한다.
도 22는, 변경예에 따른 이동국장치(10)가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4)의 기능 블록도이다. 또한, 도 22에 도시하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4)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제11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관련하는 구성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통상의 베이스밴드 처리부가 구비하는 구성에 대해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케줄링 그랜트 복조·복호부(1400)는, 기지국장치(20)로부터 송신된 스케줄링 그랜트를 복조 및 복호한다. 구체적으로는, 스케줄링 그랜트 복조·복호부(1400)는, 복조한 스케줄링 그랜트에 Aperiodic SRS의 송신지시가 포함되는지 여부에 의해 스케줄링 그랜트의 해석방법을 전환한다.
예를 들면, 스케줄링 그랜트 복조·복호부(1400)는, 복조 및 복호된 스케줄링 그랜트에 Aperiodic SRS의 송신지시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즉, 도 1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periodic SRS request'가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이고, 그리고, 선두 비트로 나타내어지는 DCI 포맷이 '0'인 경우, 스케줄링 그랜트를 도 19A에 도시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로서 해석하고, 무선 리소스 할당정보(Resource block assignment and hopping resource allocation)나, 변조·부호화 방식 정보(MCS and RV)나, 재송정보(NDI), 송신전력 제어정보(TPC) 등을 취득한다. 스케줄링 그랜트 복조·복호부(1400)는, 취득한 변조·부호화 방식 정보(MCS and RV)나 재송정보(NDI)를 데이터 채널 신호 생성부(1406)에 입력하고, 무선 리소스 할당정보(Resource block assignment and hopping resource allocation)를 PUSCH 맵핑부(1408)로 입력하고, 송신전력 제어정보(TPC)를 송신전력 제어부(1411)에 입력한다.
한편, 스케줄링 그랜트 복조·복호부(1400)는, 복조 및 복호된 스케줄링 그랜트에 Aperiodic SRS의 송신지시가 포함되는 경우(즉, 도 1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periodic SRS request'가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스케줄링 그랜트를 도 19B에 도시하는 Aperiodic SRS 그랜트로서 해석하고, 송신대역폭(TxBW), 주파수위치(Frequency Position), 서브프레임의 위치정보(Comb), 사이클릭 시프트량(CS), 확장 송신전력 제어정보(Extended TPC), 송신타이밍 제어정보(TA) 등을 취득한다. 스케줄링 그랜트 복조·복호부(1400)는, 사이클릭 시프트량(CS)을 Aperiodic SRS 신호 생성부(1401)로 출력하고, 송신대역폭(TxBW), 주파수위치(Frequency Position), 서브프레임의 위치정보(Comb) 등을 Aperiodic SRS 맵핑부(1402)로 출력하고, 송신타이밍 제어정보(TA)를 송신타이밍 제어부(1410)로 출력하고, 확장 송신전력 제어정보(Extended TPC)를 송신전력 제어부(1411)로 출력한다.
Aperiodic SRS 신호 생성부(1401)는, 스케줄링 그랜트 복조·복호부(1400)로부터 Aperiodic SRS 그랜트에 포함되는 사이클릭 시프트량(CS) 등이 입력된 경우, Aperiodic SRS를 생성한다.
Aperiodic SRS 맵핑부(1402)는, 스케줄링 그랜트 복조·복호부(1400)로부터 입력된 Aperiodic SRS 그랜트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Aperiodic SRS 신호 생성부(1401)에서 생성된 Aperiodic SRS를 무선 리소스로 맵핑한다. Aperiodic SRS 맵핑부(1402)는, 무선 리소스로 맵핑된 Aperiodic SRS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부(1405)로 출력한다.
Periodic SRS 신호 생성부(1403)는, 소정 주기로 Periodic SRS를 생성한다. Periodic SRS 맵핑부(1404)는, Periodic SRS 신호 생성부(1403)에서 생성된 Periodic SRS를 무선 리소스로 맵핑한다. Periodic SRS 맵핑부(1404)는, 무선 리소스로 맵핑된 Periodic SRS를 IFFT부(1405)로 출력한다.
데이터 채널 신호 생성부(1406)는, 스케줄링 그랜트 복조·복호부(1400)로부터 입력된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위 레이어로부터 입력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상향링크의 데이터 채널 신호(PUSCH)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 채널 신호를 이산 푸리에 변환(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1407)로 출력한다.
DFT부(1407)는, 데이터 채널 신호 생성부(1406)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에 대한 이산 푸리에 변환 처리를 수행한다. DFT부(1407)는, 시간영역으로부터 주파수영역으로 변환된 데이터 채널 신호를 PUSCH 맵핑부(1408)로 출력한다.
PUSCH 맵핑부(1408)는, 스케줄링 그랜트 복조·복호부(1400)로부터 입력된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지시된 무선 리소스에, DFT부(1407)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채널 신호를 맵핑한다. PUSCH 맵핑부(1408)는, 무선 리소스로 맵핑된 데이터 채널 신호를 IFFT부(1405)로 출력한다.
IFFT부(1405)는, PUSCH 맵핑부(1408)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채널 신호와, Periodic SRS 맵핑부(1404)로부터 입력된 Periodic SRS와, Aperiodic SRS 맵핑부(1402)로부터 입력된 Aperiodic SRS에 대한 역고속 푸리에 변환 처리를 수행한다. IFFT부(1405)는, 주파수영역으로부터 시간영역으로 변환된 데이터 채널 신호(PUSCH), Periodic SRS 또는 Aperiodic SRS를, 송신신호로서 CP(Cyclic Prefix) 부가부(1409)로 출력한다.
CP 부가부(1409)는, IFFT부(1405)로부터 입력된 시간영역의 송신신호에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부가하고, 송신타이밍 제어부(1410)로 출력한다.
송신타이밍 제어부(1410)는, 송신타이밍 제어정보(TA)에 따라, CP 부가부(1409)로부터 출력된 송신신호의 송신타이밍을 제어한다. 여기서, 송신타이밍 제어정보(TA)는, 송신신호의 송신타이밍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이동국장치(10)의 초기 액세스시에 기지국장치(20)로부터 송신되는 RACH Response에 포함된다. 또, 송신타이밍 제어정보(TA)는, 기지국장치(20)로부터 부정기적으로 송신되는 Aperiodic SRS 그랜트에도 포함된다. 송신타이밍 제어부(1410)는, 스케줄링 그랜트 복조·복호부(1400)로부터 Aperiodic SRS 그랜트에 포함되는 송신타이밍 제어정보(TA)가 입력된 경우, 해당 Aperiodic SRS 그랜트에 포함되는 타이밍 제어정보(TA)에 따라, 송신신호의 송신타이밍을 제어한다.
송신전력 제어부(1411)는, 송신전력 제어정보(TPC) 또는 확장 송신전력 제어정보(Extended TPC)에 따라, 송신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여기서, 송신전력 제어정보(TPC)는, 상술한 바와 같이,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는 2비트의 정보이며, 송신전력을 4단계로 증감시키는 것이다. 또, 확장 송신전력 제어정보(Extended TPC)는, 상술한 바와 같이, Aperiodic SRS 그랜트에 포함되는 4비트의 정보이며, 송신전력을 16단계로 증감시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송신전력 제어부(1411)는, 타이밍 i에 있어서의 송신신호의 송신전력을 다음 식에 따라 제어한다.
Figure 112012063320685-pct00001
여기서, PCMAX는, 최대 송신전력, MPUSCH(i)는, 타이밍 i에 있어서의 송신 대역폭, Po_PUSCH(i)는, 전송 로스를 0으로 한 경우의 타이밍 I에 있어서의 목표 수신전력, α는, 프랙셔널 TPC의 가중 계수, PL은, 전송 로스의 측정값, ΔTF(i)는, MCS(변조·부호화 방식)에 의존하는 타이밍 i에 있어서의 오프셋, f(i)는, 상술한 송신전력 제어정보(TPC) 또는 확장 송신전력 제어정보(Extended TPC)에 의한 타이밍 i에 있어서의 보정값이다.
송신전력 제어부(1411)는, 스케줄링 그랜트 복조·복호부(1400)로부터 UL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는 송신전력 제어정보(TPC)가 입력된 경우, 타이밍 i에 있어서의 보정값 f(i)를 도 2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단계로 증감한다. 한편, 송신전력 제어부(1411)는, 스케줄링 그랜트 복조·복호부(1400)로부터 Aperiodic SRS 그랜트에 포함되는 확장 송신전력 제어정보(Extended TPC)가 입력된 경우, 타이밍 i에 있어서의 보정값 f(i)를 도 2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6단계로 증감한다.
송신전력 제어부(1411)에 있어서 송신전력이 제어된 송신신호는, 도 13의 송수신부(13)에 입력되고, 앰프부(12), 송수신 안테나(11)를 통해 기지국장치(20)로 송신된다.
이와 같이 변경예에 따른 이동국장치(10)에 있어서는,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이 중단된 후에 재개되는 경우에도, 이동국장치(10)는, 기지국장치(20)로부터 송신된 Aperiodic SRS 그랜트에 포함되는 확장 송신전력 제어정보(Extended TPC)에 따라, 해당 소정 시간 경과 후의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전력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국장치(10)는, 기지국장치(20)로부터 송신된 Aperiodic SRS 그랜트에 포함되는 송신타이밍 제어정보(TA)에 따라, 해당 소정 시간 경과 후의 데이터 채널 신호의 송신타이밍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23은, 기지국장치(20)가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4)의 기능 블록도이다. 또한, 도 23에 도시하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4)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제11 형태에 따른 참조신호 송신방법에 관련하는 구성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통상의 베이스밴드 처리부가 구비하는 구성에 대해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CP 제거부(2400)는, 도 14의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4)로부터 입력된 수신신호로부터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제거하고,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부(2401)로 출력한다.
FFT부(2401)는, CP 제거부(2400)로부터 입력된 수신신호에 대한 고속 푸리에 변환 처리를 수행한다. FFT부(2401)는, 시간영역으로부터 주파수영역으로 변환된 수신신호 중, PUSCH에 관한 수신신호를 PUSCH 디맵핑부(2402)로 출력하고, Periodic SRS에 관한 수신신호를 Periodic SRS 디맵핑부(2403)로 출력하고, Aperiodic SRS에 관한 수신신호를 Aperiodic SRS 디맵핑부(2404)로 출력한다.
PUSCH 디맵핑부(2402)는, FFT부(2401)로부터 입력된 PUSCH에 관한 수신신호를 주파수영역에서 디맵핑한다. PUSCH 디맵핑부(2402)는, 디맵핑된 수신신호를 역이산 푸리에 변환(IDFT)부(2405)로 출력한다.
IDFT부(2405)는, PUSCH 디맵핑부(2402)로부터 입력된 수신신호의 역이산 푸리에 변환 처리를 수행한다. IDFT부(2405)는, 주파수영역으로부터 시간영역으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데이터 채널 복조·복호부(2406)로 출력한다.
데이터 채널 복조·복호부(2406)는, IDFT부(2405)로부터 입력된 수신신호에 대해, 전송 포맷(변조방식, 부호화율)에 기초하여 복조 처리 및 복호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복조 처리 및 복호 처리에 의해, 수신 데이터가 재생된다.
Periodic SRS 디맵핑부(2403)는, FFT부(2401)로부터 입력된 Periodic SRS에 관한 수신신호를 주파수영역에서 디맵핑한다. Periodic SRS 디맵핑부(2403)는, 디맵핑된 수신신호를 상향링크 채널품질 측정부(2407)로 출력한다.
Aperiodic SRS 디맵핑부(2404)는, FFT부(2401)로부터 입력된 Aperiodic SRS에 관한 수신신호를 주파수영역에서 디맵핑한다. Aperiodic SRS 디맵핑부(2404)는, 디맵핑된 수신신호를 상향링크 채널품질 측정부(2407)로 출력한다.
상향링크 채널품질 측정부(2407)는, Periodic SRS에 관한 수신신호에 기초하여, 혹은, Aperiodic SRS에 관한 수신신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채널품질을 측정한다. 상향링크 채널품질 측정부(2407)는, 측정한 상향링크의 채널품질을 송신전력·송신타이밍 제어부(2410)로 출력한다.
송신전력·송신타이밍 제어부(2410)는, 상향링크 채널품질 측정부(2407)로부터 입력된 상향링크의 채널품질에 기초하여, 송신전력 제어정보(TPC), 확장 송신전력 제어정보(Extended TPC), 송신타이밍 제어정보(TA)를 생성한다. 송신전력 제어정보(TPC)는, 상향링크의 채널품질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전력을 4단계로 제어하는 것이다. 또, 확장 송신전력 제어정보(Extended TPC)는, 상향링크의 채널품질에 기초하여, Aperiodic SRS나 상향링크의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전력을 송신전력 제어정보(TPC)보다도 확대된 제어범위(예를 들면, 16단계)에서 제어하는 것이며, Aperiodic SRS 그랜트의 송신 트리거가 검출된 경우에 생성된다. Aperiodic SRS 그랜트의 송신 트리거로서는, 예를 들면, 스케줄링 그랜트 신호 생성부(2409)는, 이동국장치(10)로부터의 스케줄링 요구가 전회의 스케줄링 요구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수신된 것(즉, 이동국장치(10)가 중단한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을 재개하려고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송신타이밍 제어정보(TA)는, 상향링크의 채널품질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이며, Aperiodic SRS 그랜트의 송신 트리거가 검출된 경우에 생성된다. 또한, 송신전력·송신타이밍 제어부(2410)는, 송신전력 제어수단과 송신타이밍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상향링크 스케줄러(2408)에 있어서는, 상향링크 채널품질 측정부(2407)에 의해 측정된 상향링크의 채널품질에 기초하여, 이동국장치(10)로부터 PUSCH를 송신하기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상향링크 스케줄러(2408)는, 스케줄링에 의해 결정된 스케줄링 정보와, 송신전력·송신타이밍 제어부(2410)에 의해 결정된 송신전력 제어정보(TPC), 확장 송신전력 제어정보(Extended TPC), 송신타이밍 제어정보(TA)를 스케줄링 그랜트 신호 생성부(2409)로 출력한다.
스케줄링 그랜트 신호 생성부(2409)는, 생성수단을 구성하는 것이며, 상향링크 스케줄러(2408)로부터 입력된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줄링 그랜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스케줄링 그랜트 신호 생성부(2409)는, 이동국장치(10)로부터의 스케줄링 요구에 따라, 도 19A에 도시하는 UL 스케줄링 그랜트를 생성한다. 또, 스케줄링 그랜트 신호부(2409)는, 상술한 바와 같은 Aperiodic SRS 그랜트의 송신 트리거가 검출된 경우, 도 19B에 도시하는 Aperiodic SRS 그랜트를 생성한다. 스케줄링 그랜트 신호 생성부(2409)에 의해 생성된 UL 스케줄링 그랜트 신호 또는 Aperiodic SRS 그랜트 신호는, 송수신부(23), 앰프부(22) 및 송수신 안테나(21)를 통해 하향링크에서 이동국장치(10)로 송신된다. 또한, 이들의 송수신부(23), 앰프부(22) 및 송수신 안테나(21)에 의해 송신수단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변경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에 있어서는, 이동국장치(1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채널 신호(PUSCH)가 존재하지 않는 기간에 있어서도, 이동국장치(10)로부터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Periodic SRS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채널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장치(20)는, 이동국장치(10)로부터의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이 재개되는 타이밍에 보다 가까운 채널상태를 반영하여, 확장 송신전력 제어정보(Extend TPC) 혹은 송신타이밍 제어정보(TA)를 설정할 수 있다. 또, 송신전력의 제어범위가 확대된 확장 송신전력 제어정보(Extended TPC)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국장치(10)에 있어서, 중단된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이 재개되는 경우에도(즉, 전회의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 시와는 상향링크의 채널상태가 크게 다른 경우에도), 데이터 채널 신호(PUSCH)의 송신전력을 넓은 제어범위에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안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본 출원은, 2010년 2월 15일 출원의 특원 2010-030372, 2010년 4월 5일 출원의 특원 2010-087380, 2010년 4월 30일 출원의 특원 2010-105940 및 2010년 6월 21일 출원의 특원 2010-141019에 기초한다. 이들의 내용은 모두 여기서 포함시켜 둔다.

Claims (32)

  1. 기지국장치로부터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는 단계;
    이동국장치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포함되는 SRS의 송신지시에 따라 SRS를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장치는,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PUSCH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소정 서브프레임 수만큼 후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가장 빠른 SRS 송신 가능한 서브프레임에서, SRS를 송신하는 참조신호 송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장치는,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의 서브프레임의 직전의 서브프레임에서 SRS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신호 송신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장치는,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의 서브프레임의 소정 수 전의 서브프레임에서 SRS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신호 송신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는,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와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을 병용하여, 상기 SRS를 다중하기 위한 리소스 정보를 상기 이동국장치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신호 송신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는, 상기 이동국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동국장치로부터의 SRS를 동일 심볼에 다중하기 위한 리소스 정보의 일부를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상기 이동국장치로 통지하는 경우, 상기 리소스 정보의 일부는, 해당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구성하고 있는 다른 제어 비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신호 송신방법.
  6. 기지국장치로부터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PUSCH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소정 서브프레임 수만큼 후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가장 빠른 SRS 송신 가능한 서브프레임에서, SRS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SRS는,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의 서브프레임의 최종 심볼, 또는 상기 PUSCH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소정 서브프레임 수만큼 후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가장 빠른 SRS 송신 가능한 서브프레임의 최종 심볼에 다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SRS는,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의 서브프레임의 직전의 서브프레임의 최종 심볼에 다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장치.
  9.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이동국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지시에 따라 상기 이동국장치로부터 송신된 SRS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SRS는,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PUSCH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소정 서브프레임 수만큼 후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가장 빠른 SRS 송신 가능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이동국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와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을 병용하여, 상기 SRS를 다중하기 위한 리소스 정보를 상기 이동국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1.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의 송신지시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지시에 따라 이동국장치로부터 송신된 SRS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는 기지국장치;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서 송신이 지시되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PUSCH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소정 서브프레임 수만큼 후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가장 빠른 SRS 송신 가능한 서브프레임에서, SRS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이동국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127020804A 2010-02-15 2011-02-15 참조신호 송신방법, 이동국장치 및 기지국장치 KR101554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30372 2010-02-15
JPJP-P-2010-030372 2010-02-15
JPJP-P-2010-087380 2010-04-05
JP2010087380 2010-04-05
JPJP-P-2010-105940 2010-04-30
JP2010105940 2010-04-30
JPJP-P-2010-141019 2010-06-21
JP2010141019A JP5132723B2 (ja) 2010-02-15 2010-06-21 参照信号送信方法、移動局装置及び基地局装置
PCT/JP2011/053079 WO2011099613A1 (ja) 2010-02-15 2011-02-15 参照信号送信方法、移動局装置及び基地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440A KR20120127440A (ko) 2012-11-21
KR101554620B1 true KR101554620B1 (ko) 2015-09-21

Family

ID=44367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804A KR101554620B1 (ko) 2010-02-15 2011-02-15 참조신호 송신방법, 이동국장치 및 기지국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97990B2 (ko)
EP (2) EP3579648B1 (ko)
JP (1) JP5132723B2 (ko)
KR (1) KR101554620B1 (ko)
CN (1) CN102754508B (ko)
AU (1) AU2011215189B2 (ko)
BR (1) BR112012019993A2 (ko)
WO (1) WO20110996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162A2 (ko) * 2011-04-25 2012-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CN102958146B (zh) * 2011-08-17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发射上行信号的方法和终端
US9699812B2 (en) * 2011-08-19 2017-07-04 Sca Ipla Holdings Inc.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infrastructure equipment,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to communicate user data within an uplink random access channel
JP5990815B2 (ja) 2011-11-07 2016-09-14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WO2013109084A1 (en) * 2012-01-18 2013-07-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lural time alignment tim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coordinated multipoint technology
TWI695604B (zh) * 2012-01-24 2020-06-01 美商內數位專利控股公司 無線傳輸/接收單元、在無線傳輸/接收單元中實施的方法以及網路節點
EP2813024A1 (en) * 2012-02-10 2014-12-1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reference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EP2903374A4 (en) * 2012-09-27 2016-06-08 Sharp Kk END DEVICE, COMMUNICATION PROCESS AND INTEGRATED CIRCUIT
US9131368B2 (en) * 2012-11-02 2015-09-08 General Dynamics C4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n increased coverage area to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US9655103B2 (en) * 2012-11-02 2017-05-16 General Dynamics C4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n increased coverage area to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N103856309B (zh) * 2012-12-07 2017-05-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协同小区的探测参考信号资源配置方法及装置
KR102004544B1 (ko) * 2013-02-06 2019-07-26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측정 기준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4105188B (zh) 2013-04-12 2019-10-1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多子帧调度中的上行功率控制方法
US9270435B2 (en) * 2013-05-09 2016-02-2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usage
CN105229952B (zh) * 2013-05-22 2018-02-16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的通信方法和使用该方法的终端
KR20150022476A (ko) 2013-08-23 2015-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4468019B (zh) * 2013-09-13 2018-05-11 华为终端有限公司 信号资源的指示方法和设备
JP6376757B2 (ja) * 2014-01-14 2018-08-22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EP3095281B1 (en) * 2014-01-15 2020-04-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838840B1 (ko) 2014-05-09 2018-03-1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단말기
US10659967B2 (en) 2014-06-10 2020-05-19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usage beacon signal transmissions based on uplink transmissions over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JP2018504027A (ja) 2014-12-16 2018-02-08 富士通株式会社 サウンディング参照信号に基づく下りチャネル推定方法、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US10356801B1 (en) * 2015-02-25 2019-07-16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spectral efficienci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0149255B2 (en) * 2015-05-01 2018-12-04 Qualcomm Incorporated Low latency uplink power control
CN107926023B (zh) * 2015-07-27 2020-12-0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网络设备
US11026142B2 (en) 2016-01-20 2021-06-0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providing uplink-based mobility
CN107135053B (zh) * 2016-02-26 2019-08-16 北京佰才邦技术有限公司 探测参考信号的传输方法、装置及终端
CN109644446A (zh) * 2016-09-28 2019-04-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探测参考信号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09863800A (zh) * 2016-10-31 2019-06-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传输方法、终端设备和接入网设备
US10425205B2 (en) 2016-12-22 2019-09-24 Qualcomm Incorporated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in low latency wireless transmissions
US11553513B2 (en) 2017-02-06 2023-01-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a placement and duration of a transient period of an on/off time mask for uplink transmission
US10862640B2 (en) * 2017-03-24 2020-12-08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transient period configurations for shortened transmission time intervals
US20180368104A1 (en) * 2017-06-14 2018-12-2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Scheduling Grant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8942B2 (ja) * 2007-01-19 2011-11-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BRPI0815365B1 (pt) * 2007-08-14 2020-03-10 Panasonic Corporation Aparelho de comunicação e método de comunicação
JP5046904B2 (ja) 2007-12-13 2012-10-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ユーザ装置及び方法
JP5174554B2 (ja) * 2008-06-23 2013-04-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JP2010028192A (ja) * 2008-07-15 2010-02-04 Panasonic Corp 無線送信装置及び無線送信方法
JP2010030372A (ja) 2008-07-28 2010-02-12 Mitsuba Corp ワイパ装置
JP5689220B2 (ja) 2008-10-01 2015-03-25 太陽誘電株式会社 圧電駆動素子及び圧電駆動装置
JP5396815B2 (ja) 2008-10-29 2014-01-2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重合性化合物、重合性液晶化合物、重合性液晶組成物、液晶性高分子及び光学異方体
JP2010141019A (ja) 2008-12-10 2010-06-24 Toshiba Corp 隔膜式コンサベータを有する油入変圧器
KR101807874B1 (ko) * 2010-03-05 2017-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1139053A2 (en) * 2010-05-01 2011-11-10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component carriers
JP4938123B1 (ja) * 2010-10-04 2012-05-2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79648B1 (en) 2021-04-07
JP2011250386A (ja) 2011-12-08
EP2538738A1 (en) 2012-12-26
JP5132723B2 (ja) 2013-01-30
BR112012019993A2 (pt) 2020-08-18
CN102754508B (zh) 2015-08-26
KR20120127440A (ko) 2012-11-21
US20130039305A1 (en) 2013-02-14
EP3579648A1 (en) 2019-12-11
US8797990B2 (en) 2014-08-05
CN102754508A (zh) 2012-10-24
AU2011215189B2 (en) 2014-12-11
EP2538738A4 (en) 2017-06-21
AU2011215189A1 (en) 2012-09-13
EP3579648A8 (en) 2020-02-19
WO2011099613A1 (ja)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620B1 (ko) 참조신호 송신방법, 이동국장치 및 기지국장치
JP6408143B2 (ja) 超低レイテンシlte制御データ通信
KR101541780B1 (ko) 무선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JP5699136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EP3451732B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s
KR101825570B1 (ko) 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JP2017535131A (ja) 超低レイテンシlteアップリンクフレーム構造
JP5979968B2 (ja) ユーザ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00138948A (ko)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JP5574872B2 (ja)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5269236B2 (ja) 参照信号送信方法、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30182673A1 (en)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5137992B2 (ja) 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9338786B2 (en) Reference signal transmitting method,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JP2012100213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局装置
JP5562932B2 (ja) 移動端末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