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460B1 - 배수관 연결구용 이물질 제거 캡 - Google Patents

배수관 연결구용 이물질 제거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460B1
KR101554460B1 KR1020140051641A KR20140051641A KR101554460B1 KR 101554460 B1 KR101554460 B1 KR 101554460B1 KR 1020140051641 A KR1020140051641 A KR 1020140051641A KR 20140051641 A KR20140051641 A KR 20140051641A KR 101554460 B1 KR101554460 B1 KR 101554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drain pipe
mortar
drai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추길
Original Assignee
통일에스앤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통일에스앤에스(주) filed Critical 통일에스앤에스(주)
Priority to KR1020140051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관 연결구용 이물질 제거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에서 발생한 하수 및 오수를 배수관을 통하여 배출함에 있어서, 배수관을 연결하는 배수관 연결구의 주변에 콘크리트 기초공사와 방수액을 바르는 공사의 진행 중에 발생하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배수관 연결구의 내벽에 흡착되지 않도록 배수관 연결구의 내벽을 보호하여 작업 종료 후 청소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관 연결구용 이물질 제거 캡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측의 배관 연결구에 배수관이 연결되며 몸체의 상측으로 결합돌기를 형성하는 배수관 연결구의 외측으로 콘크리트 기초와 몰타르 및 타일을 시공하는 바닥 공사에서 발생하는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이 상기 배수관 연결구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결합돌기를 감싸는 고정돌기에서 몸체의 내경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호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보호 몸체의 하측에서 배수구의 내경에 위치하는 배수구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바닥 공사에서 유입되는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이 상기 배수관 연결구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설치하는 이물질 제거 캡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캡은, 배수구 결합돌기의 상측으로 이물질 걸림턱을 형성하여 보호 몸체의 내부에 이물질 침사공간이 형성되어 유입되는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을 모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수관 연결구용 이물질 제거 캡{Water pipe connection pieces connection cap foreign body removal}
본 발명은 배수관 연결구용 이물질 제거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에서 발생한 하수 및 오수를 배수관을 통하여 배출함에 있어서, 배수관을 연결하는 배수관 연결구의 주변에 콘크리트 기초공사와 방수액을 바르는 공사의 진행 중에 발생하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배수관 연결구의 내벽에 흡착되지 않도록 배수관 연결구의 내벽을 보호하여 작업 종료 후 청소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관 연결구용 이물질 제거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층을 갖도록 건설하는 건물의 바닥에서 세면실이나 화장실 및 베란다 등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관(31)을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배수관 연결구(20)를 머저 설치한 후 콘크리트 기초(30)를 타설하여 바닥 높이를 맞추고, 콘크리트 기초(30)가 양생된 후 방수를 위한 몰타르 (32) 작업을 실시한 다음 그 상부에 타일(32)을 부착하는 작업을 실시하는 순서로 바닥 공사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배수관 연결구(20)에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 등이 유입되기 쉬워서 이러한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 등이 유입된 후 그대로 내부에 흡착되므로 바닥 공사를 진행한 후에는 배수관 연결구의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해야 하지만, 바닥 공가 진행 후 곧바로 청소가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유입된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 등이 배수관 연결구의 내벽에 흡착되어 제거가 매우 어렵고,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정상적인 배수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되는 결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57145호(2001. 11. 30. 등록)의 "세면욕조실 배수관장치의 임시 커버"와,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66009호(2002. 02. 14. 등록)의 "배수관 임시커버"는 배수관 연결구의 상측을 모두 폐쇄시키도록 덮어 보호하는 임시 커버를 사용하게 되어 바닥 공사기 발생하는 다양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였으나, 이물질 뿐만 아니라 배수가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게 되지만, 배수를 수행할 수 없는 결점이 있으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한 결점이 있었고,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배수관 연결구의 내부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스펀지를 삽입하여 유입되는 이물질 등을 스펀지가 흡수하도록 하였으나, 스펀지의 흡수능력에 한계가 있으므로 스펀지를 설치한 경우에도 이물질이 내부에 남아 있어 청소를 어렵게 하는 결점이 발생하는 것이었다.
문헌 1.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57145호(2001. 11. 30. 등록) 문헌 2.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66009호(2002. 02. 14.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0377636호(2003. 03. 13.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1275067호(2013. 06. 10.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배수관을 연결하는 배수관 연결구의 상측에 결합하며, 몸체의 형태를 따라 형성된 이물질 제거 캡을 결합하여 바닥 공사를 수행하면서 발생하는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 등이 배관 연결구에 흡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최대한 얇게 형성되어 가격이 저렴하며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이물질을 모을 수 있는 이물질 침사 공간이 제공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측의 배관 연결구에 배수관이 연결되며 몸체의 상측으로 결합돌기를 형성하는 배수관 연결구의 외측으로 콘크리트 기초와 몰타르 및 타일을 시공하는 바닥 공사에서 발생하는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이 상기 배수관 연결구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결합돌기를 감싸는 고정돌기에서 몸체의 내경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호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보호 몸체의 하측에서 배수구의 내경에 위치하는 배수구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바닥 공사에서 유입되는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이 상기 배수관 연결구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설치하는 이물질 제거 캡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캡은, 배수구 결합돌기의 상측으로 이물질 걸림턱을 형성하여 보호 몸체의 내부에 이물질 침사공간이 형성되어 유입되는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을 모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은 배수관을 연결하는 배수관 연결구의 상측에 결합하며, 몸체의 형태를 따라 형성된 이물질 제거 캡을 배수관 열결구에 결합하여 바닥 공사를 수행하면서 발생하는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 등이 배관 연결구의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흡착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바닥 공사를 종료한 후 이물질 제거 캡을 분리하는 것으로 청소의 완료 및 깨끗한 배수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이와 합성수지 등으로 최대한 얇게 형성되어 가격이 저렴하며, 일회용으로 사용하며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내부에 이물질을 모을 수 있는 이물질 침사 공간을 제공하여 유입되는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 등이 상기 이물질 침사 공간에 모아져 배수관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물질 등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배수관 연결구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 캡을 배수관 연결구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 캡에 대한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도 2에 대한 "A"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도 2에 대한 "B"부분의 확대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상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 캡을 배수관 연결구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 캡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하측으로 배수구(26)가 형성된 배관 연결구(25)에 배수관(31)이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상측에서 외경으로 마감돌기(22)가 돌출되고, 상기 마감돌기(22)의 안쪽으로 결합돌기(23)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23)의 하측으로 한번 꺾여지며 턱이 형성되고, 상기 턱에서 하측으로 수직방향이 되도록 형성하여 배수구(26)로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몸체(21)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21)의 외경에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을 따라서 보강돌기(24)가 형성되는 배수관 연결구(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관 연결구(20)는 원형이나 타원형(볼텍스), 배수구(26)가 중심에서 한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된 "B"형, 2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장공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배수관 연결구(20)의 외경에는 콘크리트 기초(30)가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기초(30)의 상측에 방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몰타르(32)를 도포한 후 타링(33)을 고정하여 바닥 공사를 마감하는 것이다.
상기 배수관 연결구(20)에는 이물질 제거 캡(10)을 씌워 유입되는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 등이 몸체(21)의 내경에 흡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물질 제거 캡(10)은 재질을 종이와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 PVC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투명 또는 불투명이 되도록 하되;
상기 결합돌기(23)를 감싸는 고정돌기(1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21)의 내경 형태를 따라 보호 몸체(11)가 형성되며 배수구(26)의 내경에 위치하는 배수구 결합돌기(15)가 형성되고, 전체적인 두께는 0.1∼0.5mm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 제거 캡(10)은 재활용 합성수지를 사용하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합성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배수구 결합돌기(15)의 상측에는 이물질 걸림턱(14)이 돌출되어 내부에 이물질 침사공간(13)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보호 몸체(11)의 내경에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18)가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보호 몸체(11)는 일정한 간격에서 세로 방향에 보강대(16)와 같이 호상 또는 절곡하여 보강되도록 하며, 일정한 간격에서 가로 방향이나 원형으로 가로 보강대(17)를 더 형성하여 보강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도 2에 대한 "A"부분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물질 제거 캡(10)은 결합돌기(23)의 내경에서 상측을 감싸며 외경에서 하측에 이르도록 돌출되어 결합돌기(23)의 전체면을 감싸도록 고정돌기(12)를 형성하여 유입되는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 등이 배수관 연결구(20)로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돌기(12)는 결합돌기(23)의 외경부분을 일부 감싸도록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도 2에 대한 "B"부분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배관 연결구(25)의 배수구(26) 내경에 위치하는 배수구 결합돌기(15)의 상측으로 이물질 걸림턱(14)이 10∼50mm가 돌출되어 몸체(21)의 하측에 유입되는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 등이 모여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이물질 침사공간(13)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배수관 연결구용 이물질 제거 캡은, 바닥 공사를 작업하기 위하여 배수관 연결구(20)의 하측에서 배관 연결구(25)에 배수관(31)을 수직으로 결합하여 배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치한 후 몸체(21)의 상측에서 이물질 제거 캡(10)을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이물질 제거 캡(10)의 고정돌기(12)는 상측의 결합돌기(23) 전체면을 감싸며 설치되고, 하측의 배수구 결합돌기(15)는 배수구(26)의 내경에서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배수관 연결구(20)에 이물질 제거 캡(10)을 결합한 후에는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기초(30)를 타설하고, 콘크리트 기초(30)의 양생이 종료되면 상측으로 몰타르(32)를 공급하여 방수공사를 수행한 후 상기 몰타르(32)의 상측에 타일(33)을 작업하는 공정으로 바닥 공사를 마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바닥 공사를 수행하는 동안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 등이 발생하여 이물질 제거 캡(10)의 몸체(21) 내부로 유입되려 하면 고정돌기(12)를 타고 보호 몸체(11)의 내부로 유입된 후, 하측의 이물질 걸림턱(14)을 통하여 이물질 침사공간(13)에 모여 배수구 결합돌기(15)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바닥 공사가 마무리되면 보호 몸체(11)의 내경에 형성한 손잡이(18)를 잡고 상측으로 들어올려 배수관 연결구(20)로부터 이물질 제거 캡(10)을 분리한다.
그러면 배수관 연결구(20)는 바닥 작업을 하는 동안 발생한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 등이 이물질 제거 캡(10)을 통하여 모두 제거되므로 몸체(21)의 내경은 작업하기 이전의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청소를 하는 불편을 해소하게 되며 이물질의 흡착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물질 제거 캡(10)의 고정돌기(12)가 결합돌기(23)를 감싸고 있으므로 유입되는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 등이 배수관 연결구(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물질 제거 캡(10)은 세로방향의 보강대(16)와 가로방향의 가로 보강대(17)를 형성하여 매우 얇은 경우에도 소정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이물질 제거 캡(10)은 재질은 표면이 방수처리된 종이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PVC 중 어느 하나로 성형하는 것이며, 합성수지의 경우 사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합성수지는 재활용 수지를 사용하여 원가를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배수관 연결구의 몸체 내경 전체면에서 감싸지면 상측의 결합돌기를 고정돌기가 감싸도록 결합한 후 배수구와 결합하는 배수구 결합돌기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이물질 걸림턱을 통하여 내부에 이물질 침사공간을 형성하여 유입되는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 등을 모아 처리하며 배수관 연결구의 오염을 방지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이물질 제거 캡 11 : 보호 몸체
12 : 고정돌기 13 : 이물질 침사공간
14 : 이물질 걸림턱 15 : 배수구 결합돌기
16 : 보강대 17 : 가로 보강대
18 : 손잡이 20 : 배수관 연결구
21 : 몸체 22 : 마감돌기
23 : 결합돌기 24 : 보강돌기
25 : 배관 연결구 26 : 배수구
30 : 콘크리트 기초 31 : 배수관
32 : 몰타르 33 : 타일

Claims (4)

  1. 하측의 배관 연결구(25)에 배수관(31)이 연결되며 몸체(21)의 상측으로 결합돌기(23)를 형성하는 배수관 연결구(20)의 외측으로 콘크리트 기초(30)와 몰타르(32) 및 타일(33)을 시공하는 바닥 공사에서 발생하는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이 상기 배수관 연결구(20)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결합돌기(23)를 감싸는 고정돌기(12)에서 몸체(21)의 내경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호 몸체(11)를 형성하고, 상기 보호 몸체(11)의 하측에서 배수구(26)의 내경에 위치하는 배수구 결합돌기(15)를 형성하여 바닥 공사에서 유입되는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이 상기 배수관 연결구(20)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설치하는 이물질 제거 캡(10)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캡(10)은, 배수구 결합돌기(15)의 상측으로 이물질 걸림턱(14)을 형성하여 보호 몸체(11)의 내부에 이물질 침사공간(13)이 형성되어 유입되는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을 모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구용 이물질 제거 캡.
  2. 삭제
  3. 삭제
  4. 하측의 배관 연결구(25)에 배수관(31)이 연결되며 몸체(21)의 상측으로 결합돌기(23)를 형성하는 배수관 연결구(20)의 외측으로 콘크리트 기초(30)와 몰타르(32) 및 타일(33)을 시공하는 바닥 공사에서 발생하는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이 상기 배수관 연결구(20)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결합돌기(23)를 감싸는 고정돌기(12)에서 몸체(21)의 내경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호 몸체(11)를 형성하고, 상기 보호 몸체(11)의 하측에서 배수구(26)의 내경에 위치하는 배수구 결합돌기(15)를 형성하여 바닥 공사에서 유입되는 콘크리트와 몰타르 및 이물질이 상기 배수관 연결구(20)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설치하는 이물질 제거 캡(10)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캡(10)은, 이물질 침사공간(13)을 형성하는 보호 몸체(11)의 전체적인 두께는 0.1∼0.5mm가 되도록 하고, 돌출된 이물질 걸림턱(14)의 내부에 형성된 이물질 침사공간(13)에 원형으로 가로 보강대(17)를 형성하며, 상기 보호 몸체(11)의 내경에 배수관 연결구(20)로부터 이물질 제거 캡(10)을 분리하는 손잡이(18)가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구용 이물질 제거 캡.
KR1020140051641A 2014-04-29 2014-04-29 배수관 연결구용 이물질 제거 캡 KR101554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641A KR101554460B1 (ko) 2014-04-29 2014-04-29 배수관 연결구용 이물질 제거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641A KR101554460B1 (ko) 2014-04-29 2014-04-29 배수관 연결구용 이물질 제거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460B1 true KR101554460B1 (ko) 2015-09-21

Family

ID=5424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641A KR101554460B1 (ko) 2014-04-29 2014-04-29 배수관 연결구용 이물질 제거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4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047B1 (ko) 2021-03-22 2021-11-17 (주) 대전통일 배수관 연결용 배수트랩의 이물질 제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047B1 (ko) 2021-03-22 2021-11-17 (주) 대전통일 배수관 연결용 배수트랩의 이물질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06669T3 (es) Edificacion de una construccion con drenaje y su metodo.
US20120180818A1 (en) Subterranean chamber waterproofing system
KR101830498B1 (ko) 조립식 욕실 바닥
KR101554460B1 (ko) 배수관 연결구용 이물질 제거 캡
KR101565457B1 (ko) 바닥면 누수 유도박스
KR102327047B1 (ko) 배수관 연결용 배수트랩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219076B1 (ko)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및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
US10435875B2 (en) Debris trap
KR100899798B1 (ko) 오수받이장치
KR200334325Y1 (ko)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용 임시커버
CN103882918B (zh) 超高层建筑施工时楼层积水的排水方法及装置
CN202831102U (zh) 卫生间沉箱用框架及卫生间沉箱
KR200480115Y1 (ko)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JP6883814B2 (ja) 排水設備改修工法、排水設備構築方法、および排水設備
KR20060029830A (ko) 배수트렌치 시공방법 및 그 구조
CN211286209U (zh) 下沉式卫生间底层回填结构
JP4454760B2 (ja) 土間コンクリートの排水管装置および排水管施工方法
KR20090003212U (ko) 다목적 기능성 블록
JP2014202015A (ja) 笠木施工用部材および笠木施工方法
KR200372042Y1 (ko) 배수트렌치 구조
JP3032536U (ja) コンクリート床開口部用仮止栓
KR102498039B1 (ko)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
CN207296028U (zh) 应用于室内空间中的防水系统
KR100874309B1 (ko) 배수조 고정용 캡
CN206625327U (zh) 一种防积水渗透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