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989B1 - 세대 단말의 오동작을 자동 복구할 수 있는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세대 단말의 오동작을 자동 복구할 수 있는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989B1
KR101553989B1 KR1020130137113A KR20130137113A KR101553989B1 KR 101553989 B1 KR101553989 B1 KR 101553989B1 KR 1020130137113 A KR1020130137113 A KR 1020130137113A KR 20130137113 A KR20130137113 A KR 20130137113A KR 101553989 B1 KR101553989 B1 KR 101553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hold
reset
signal
terminal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4547A (ko
Inventor
조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빌
Priority to KR1020130137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989B1/ko
Publication of KR20150054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은 상기 공동 주택에 포함되는 세대에 대해 구비되고 고유의 식별자로 식별되는 다수의 세대 단말; 상기 다수의 세대 단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공동 주택으로의 출입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세대 단말 중 상기 출입 요청에 대응되는 세대 단말에서의 응답을 수신하는 공동 단말; 및 상기 다수의 세대 단말과 상기 공동 단말 사이의 상기 출입 요청 및 상기 출입 요청에 대한 응답의 송신 또는 수신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세대 단말은 각각, 상기 중앙 제어부와 상기 제어 신호 및 상기 응답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어 신호가 자신의 식별자에 대해 발생한 경우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회로;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제1 구간 동안 활성화되는지에 따라, 상기 제어 회로의 오동작을 판단하여, 상기 제어 회로의 리셋을 제어하는 리셋 신호를 출력하는 리셋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대 단말의 오동작을 자동 복구할 수 있는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Apartment house access control system for automatically restoring of misoperation of apartment unit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본 개시는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출입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임의의 세대 단말이 오동작하더라도 출입 제어 시스템의 동작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동 주택의 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출입 제어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은 공동 현관에 설치되는 공동 비디오 폰(공동 현관기) 및 각 세대마다 구비되는 세대용 비디오 폰을 포함한다. 그리고, 공동 비디오 폰과 세대용 비디오 폰 사이의 신호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기가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에 더 포함된다.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은, 하나의 중앙 포트(단말)에 다수의 포트(단말)들이 연결될 수 있고 통신 속도(응답 속도)가 빠르도록 중앙 단말과 다수의 단말들 사이의 통신이 빠르고 간단한 방식으로 수행되어야, 설치 또는 사용 등에 편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최적화된 통신 규약으로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다. 반면, 하나의 중앙 단말에 연결되는 다수의 단말 중 임의의 단말이 오작동하는 경우, 이로 인해, 시스템 전체가 오작동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본 개시는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임의의 세대 단말이 오동작하더라도 출입 제어 시스템의 동작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은 상기 공동 주택에 포함되는 세대에 대해 구비되고 고유의 식별자로 식별되는 다수의 세대 단말; 상기 다수의 세대 단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공동 주택으로의 출입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세대 단말 중 상기 출입 요청에 대응되는 세대 단말에서의 응답을 수신하는 공동 단말; 및 상기 다수의 세대 단말과 상기 공동 단말 사이의 상기 출입 요청 및 상기 출입 요청에 대한 응답의 송신 또는 수신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세대 단말은 각각, 상기 중앙 제어부와 상기 제어 신호 및 상기 응답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어 신호가 자신의 식별자에 대해 발생한 경우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응답을 출력하는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회로;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제1 구간 동안 활성화되는지에 따라, 상기 제어 회로의 오동작을 판단하여, 상기 제어 회로의 리셋을 제어하는 리셋 신호를 출력하는 리셋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임의의 세대 단말이 오동작하더라도 출입 제어 시스템의 동작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임의의 세대 단말의 고장을 빠르게 또는 간단하게 찾아낼 수 있어,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의 유지 및 관리에 용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의 동작 오류를 최소화하고,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공동 주택의 입주자들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중앙 제어부와 다수의 세대 단말 사이의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세대 단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의 제1 리셋 제어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제1 세대 단말을 좀더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제1 세대 단말을 좀더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개시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100)은 다수의 세대 단말(REM1, TEM2, …, TEMn), 공동 단말(CTEM) 및 중앙 제어부(CCU)를 포함한다. 다수의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은 공동 주택에 입주한 각 세대에 대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은 공동 주택의 세대의 각 거실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다수의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은 각각, 비디오 폰(미도시)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은 고유의 식별자로 식별된다. 예를 들어, 제1 세대 단말(TEM1)에 대하여는 제1 식별자가 설정되고, 제1 세대 단말(TEM2)에 대하여는 제2 식별자가 설정될 수 있다.
공동 단말(CTEM)은 다수의 세대 단말(REM1, TEM2, …, TEMn)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공동 주택으로의 출입 요청을 수신하여, 다수의 세대 단말(REM1, TEM2, …, TEMn) 중 출입 요청에 대응되는 세대 단말에서의 응답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공동 주택으로의 출입 요청은 방문객이 임의의 세대에 대한 호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동 주택으로의 101호에 대한 출입 요청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동 주택의 101호에 대응되는 세대 단말이 제1 세대 단말(TEM1)인 경우, 해당 출입 요청은 제1 세대 단말(TEM1)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공동 주택의 101호의 입주자는 출입 요청을 제1 세대 단말(TEM1)의 비디오 폰의 음성 입출력부(미도시)의 출력 또는 모니터(미도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인지하여, 제1 세대 단말(TEM1)의 비디오 폰에 부착될 수 있는 버튼(미도시)을 누르거나 비디오 폰의 모니터의 임의의 부분을 터치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예에서, 공동 주택의 101호의 입주자는 출입 요청을 제1 세대 단말(TEM1)의 비디오 폰의 음성 입출력부를 통해 공동 단말(CTEM)로 음성을 전달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각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에서 발생되는 응답은 발생된 세대 단말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CCU)는 공동 단말(CTEM)과, 공동 단말(CTEM)을 공유하는 다수의 세대 단말(REM1, TEM2, …, TEMn)과의 출입 요청 또는 응답의 송신 또는 수신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공동 단말(CTEM)로 제1 세대 단말(TEM1)로의 출입 요청이 수신되면, 중앙 제어부(CCU)는 제1 세대 단말(TEM1)로 출입 요청이 발생한 것에 대한 정보를 제어 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부(CCU)는 제1 세대 단말(TEM1)로부터 발생되는, 출입 요청에 대한 응답에 대한 정보를 제어 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중앙 제어부(CCU)로부터 각 세대 단말(REM1, TEM2, …, TEMn)로 전송되는 제어 신호는 각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대 단말(TEM1)에 대해 발생된 출입 요청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때에, 제어 신호는 제1 세대 단말(TEM1)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제어부(CCU)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RS485 인터페이스로 다수의 세대 단말(REM1, TEM2, …, TEMn)과 제어 신호의 전송 및 응답의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 제어부(CCU) 및 다수의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은 각각, 송신부(Tx) 및 수신부(Rx)를 포함하고, 중앙 제어부(CCU)와 각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은 두 개의 전송 라인(LIN+, LIN-)으로 1:n 연결된다. 각 송신부(Tx)와 수신부(Rx)는 두 개의 전송 라인(LIN+, LIN-)으로 각각 연결되고, 송수신 제어 신호(XCON)에 의해 송신부(Tx) 및 수신부(Rx) 중 하나만이 활성화되어, 임의의 시점에서 송신 및 수신 중 하나의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CCU) 및 다수의 세대 단말(REM1, TEM2, …, TEMn) 사이의 두 개의 전송 라인(LIN+, LIN-)은 종단 저항(TR)으로 연결될 수 있다. 종단 저항(TR)은 두 개의 전송 라인(LIN+, LIN-)의 임피던스에 대응되는 저항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전송 선로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중앙 제어부(CCU)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는 세대 단말(TEMn) 쪽에 종단 저항을 더 구비하여, 전송 선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송신 데이터(TDTA) 및 수신 데이터(RDTA)의 전압 값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2의 세대 단말(TEM#)은 도 1의 각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일 수 있고, 도 1의 각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의 통신부(CMU1, CMU2, …, CMUn)의 일부일 수 있다.
RS485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앙 제어부(CCU)와 다수의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이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수 Mbps로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빠른 통신 속도에 의해, 출입 요청에 대해 빠른 응답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100)에 의하면, 입주자 및 방문객의 사용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RS485 인터페이스를 사용함으로써, 통신 가능한 거리가 길어지고, 예를 들어, 100 kbps 정도의 속도에서 1.2 km까지 통신이 가능하여, 공동 주택이 초고층화 되는 상황에서 유용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100)에서, 중앙 제어부(CCU)는 제어 신호를 다수의 세대 단말(REM1, TEM2, …, TEMn)로 전송함에 있어, 다수의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에 대해 순차적으로 폴링(polling)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제어부(CCU)는 제1 세대 단말(TEM1), 제2 세대 단말(TEM2)에 대해 순차적으로 폴링하고 같은 방식으로 제n 세대 단말(TEMn)까지 폴링한 후 다시 제1 세대 단말(TEM1)로 순환할 수 있다. 이를 계속 순환하며 반복하는 중에 특정 세대 단말에 제어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중앙 제어부(CCU)는 해당 세대 단말의 식별자를 저장한 후, 해당 세대 단말 이후부터 순차적으로 폴링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대해, 각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은 응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은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가 자신에 고유한 식별자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후술되는 각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에 포함되는 제어 회로(sMCU1, sMCU2, …, sMCUn)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다수의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은 각각, 통신부(CMU1, CMU2, …, CMUn), 제어 회로(sMCU1, sMCU2, …, sMCUn) 및 리셋 제어부(RSU1, RSU2, ..., RSUn)를 포함한다. 각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의 통신부(CMU1, CMU2, …, CMUn)는 중앙 제어부(CCU)와 제어 신호 및 응답을 송신 또는 수신한다. 각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의 제어 회로(sMCU1, sMCU2, …, sMCUn)는 제어 신호가 자신의 식별자에 대해 발생한 경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이 출력되도록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한다. 각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의 제어 회로(sMCU1, sMCU2, …, sMCUn)는 마이크로 컨트롤로 유닛(Micro Controller Unit)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각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의 리셋 제어부(RSU1, RSU2, …, RSUn)는 인에이블 신호가 제1 구간 동안 활성화되는지에 따라, 제어 회로의 오동작을 판단하여, 제어 회로의 리셋을 제어하는 리셋 신호를 출력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100)에 의하면, 임의의 세대 단말의 제어 회로의 오동작을 용이하게 검출하고, 리셋을 통해 용이하게 오동작을 제거함으로써, RS485 인터페이스 및 폴링 방식으로 통신하는 출입 제어 시스템에서, 다수의 세대 단말(REM1, TEM2, …, TEMn) 중 임의의 세대 단말이 오작동 되는 경우, 전체 출입 제어 시스템이 동작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각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에 포함되는 통신부(CMU1, CMU2, …, CMUn), 제어 회로(sMCU1, sMCU2, …, sMCUn) 및 리셋 제어부(RSU1, RSU2, …, RSUn)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세대 단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다수의 세대 단말(REM1, TEM2, …, TEMn) 중 제1 세대 단말(TEM1)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만, 도 1의 다수의 세대 단말(REM1, TEM2, …, TEMn) 중 제1 세대 단말(TEM1) 이외의 세대 단말(TEM2, …, TEMn)도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 세대 단말(TEM1)과 동일한 구조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려 둔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세대 단말(TEM1)은 제1 통신부(CMU1), 제1 제어 회로(sMCU1) 및 제1 리셋 제어부(RSU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CMU1)는 두 개의 전송 라인(LIN+, LIN-)을 통해, 중앙 제어부(CCU)와 제어 신호 또는 응답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제1 통신부(CMU1)는 제1 통신부(CMU1)로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 데이터(RDTA)로 도시하고, 제1 통신부(CMU1)로부터 출력되는 응답을 송신 데이터(TDTA)로 도시하였다.
제1 제어 회로(sMCU1)는 제1 통신부(CMU1)로 수신되는 수신 데이터(RDTA)가 제1 세대 단말(TEM1)에 대한 제어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제어 회로(sMCU1)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의 판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회로(sMCU1)는 저항에 저장된 자신의 식별자와 수신 데이터(RDTA)에 포함된 식별자를 비교하여, 상기의 판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어 회로(sMCU1)는 저항에 저장된 자신의 식별자와 수신 데이터(RDTA)에 포함된 식별자가 동일한 경우, 수신 데이터(RDTA)를 처리하여 송신 데이터(TDTA)로 생성하고, 인에이블 신호(EN)를 제1 통신부(CMU1)에 전송하여, 제1 통신부(CMU1)가 송신 데이터(TDTA)를 두 개의 전송 라인(LIN+, LIN-)을 통해, 중앙 제어부(CCU)에 응답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런데, 제1 세대 단말(TEM1) 또는 제1 제어 회로(sMCU1)는 상기와 같이 동작하지 못하고 오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세대 단말(TEM1)의 인에이블 신호(EN)를 논리 하이(H)로 지속하여 유지될 수 있다. 그런데, 전술된 바와 같이 폴링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제1 세대 단말(TEM1)의 인에이블 신호(EN)를 논리 하이로 지속되면, 두 개의 전송 라인(LIN+, LIN-)을 통해 다수의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이 중앙 제어부(CCU)에 병렬로 연결되고 멀티-드롭(multi-drop) 방식으로 1:n 통신하므로, 제1 세대 단말(TEM1)에 의해 두 개의 전송 라인(LIN+, LIN-)이 점유되므로, 다음 세대 단말(예를 들어, 제2 세대 단말(TEM2))로 폴링이 되지 못하여, 전체 출입 제어 시스템(100)이 오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제어 시스템(100)은 인에이블 신호(EN)의 임의의 시간 이상으로 활성화되는지에 따라 제1 세대 단말(TEM1)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오동작 하는 경우 제1 세대 단말(TEM1)의 제1 제어 회로(sMCU1)를 리셋(reset)시키는 제1 리셋 제어부(RSU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리셋 제어부(RSU1)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의 제1 리셋 제어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리셋 제어부(RSU1)는, 수신되는 인에이블 신호(EN)에 응답하여 제1 세대 단말(TEM1)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XRST)로 출력하는 판단부(DTU) 및 판단 결과(XRST)가 제1 세대 단말(TEM1)이 오동작 함을 나타내는 경우 펄스를 생성하여 리셋 신호(RST)를 출력하는 펄스 발생부(PGU)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리셋 제어부(RSU1)는, 수신되는 인에이블 신호(EN)에 응답하여 제1 세대 단말(TEM1)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XRST)로 출력하는 판단부(DTU) 및 판단 결과(XRST)가 제1 세대 단말(TEM1)이 오동작 함을 나타내는 경우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발생부(PGU) 및 펄스 발생부(PGU)의 출력을 반전시켜 리셋 신호(/RST)를 생성하는 반전부(IVU)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의 리셋 신호(RST) 및 도 5의 리셋 신호(/RST)는 논리 레벨이 상이하나, 후술되는 제1 제어 회로(sMCU1)를 리셋시키는 기능이 동일하여, 동일하게 리셋 신호로 명명하였음을 알려둔다.
도 4 및 도 5의 제1 리셋 제어부(RSU1)에 대한 실시예 중 리셋 신호(RST)가 전달되는 제1 제어 회로(sMCU1)가 논리 로우에서 리셋되는지에 따라 선택되어 출입 제어 시스템(100)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리셋 신호(RST)가 논리 하이(H)로 생성되고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리셋 신호(/RST)가 논리 로우(L)로 생성되는 경우, 제1 제어 회로(sMCU1)가 논리 하이(H)에서 리셋되도록 설계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리셋 제어부(RSU1)가 채택될 수 있다. 또는, 상기의 예에서, 제1 제어 회로(sMCU1)가 논리 로우(L)에서 리셋되도록 설계하고자 하는 경우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리셋 제어부(RSU1)가 채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제어 회로(sMCU1)가 논리 로우(L)에서 리셋되고, 제1 리셋 제어부(RSU1)가 도 5와 같이 구비되어 논리 로우(L)의 리셋 신호(RST)를 생성하는 예에 한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반대의 경우도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음은 명확하다.
도 6은 도 3의 제1 세대 단말을 좀더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두 개의 전송 라인(LIN+, LIN-)을 통해 수신 데이터(RDTA)가 전송될 수 있다. 두 개의 전송 라인(LIN+, LIN-)은 트랜시버(transceiver, TRA)와 연결될 수 있다. 트랜시버(TRA)는 도 3의 제1 통신부(CMU1)에 포함될 수 있다.
트랜시버(TRA)는 저전력 RS485 트랜시버로 SN75HVD3082E 등의 제품과 같이, 두 개의 전송 라인(LIN+, LIN-)이 연결되는 단자 B 및 A, 각각 전원 전압과 접지 전압이 연결되는 단자 VCC 및 VSS, 두 개의 전송 라인(LIN+, LIN-)을 통해 수신된 수신 데이터(RDTA)를 제1 제어 회로(sMCU1)로 출력하는 단자 RO, 제1 제어 회로(sMCU1)로부터 송신 데이터(TDTA)를 수신하는 단자 DI, 인에이블 신호(EN)가 수신되는 단자 DE, 단자 RO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단자 /R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6의 제1 리셋 제어부(RSU1)는 도 5와 같을 수 있다.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판단부(DTU)는 인에이블 신호(EN)에 의해 게이팅(gating) 되고 제1 구동 전압(VDD1)과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TRN1), 제1 트랜지스터(TRN1)의 턴-온에 의해 인가되는 제1 구동 전압(VDD1)을 지연시켜 출력하는 다이오드 및 RC 지연부(DLU), 및 다이오드 및 RC 지연부(DLU)의 출력에 의해 게이팅 되고 제2 구동 전압(VDD2)과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판단 결과(XRST)를 출력하는 제2 트랜지스터(TRN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RN1) 및 제2 트랜지스터(TRN2)는 NPN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1 구동 전압(VDD1) 및 제2 구동 전압(VDD2)은 동일한 전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 전압(VDD1) 및 제2 구동 전압(VDD2)은 제1 제어 회로(sMCU1)의 동작 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세대 단말(TEM1)이 정상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논리 하이(H)의 인에이블 신호(EN)는 제1 구간(T1) 이내에서 논리 로우(L)로 천이된다. 이 경우, 판단 결과(XRST)는 예를 들어, 논리 로우(L)로 생성되고, 제1 제어 회로(sMCU1)는 리셋 되지 아니한다. 제1 구간(T1)은 도 1의 각 세대 단말에 대해 할당된 구간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제1 구간(T1)은 제어 신호가 제1 세대 단말(TEM1)에 전송된 후, 제2 세대 단말(TEM1)에 전송될 때까지의 시간에 대응될 수 있다.
반면, 도 7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세대 단말(TEM1)이 오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논리 하이(H)의 인에이블 신호(EN)는 제1 구간(T1) 이내에서 논리 로우(L)로 천이되지 아니한다. 판단부(DTU)는 인에이블 신호(EN)가 제1 구간(T1) 이상으로 활성화되는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1 트랜지스터(TRN1)가 제1 구간(T1) 이상 턴-온되는 경우(도 7의 (b)의 A), 즉 인에이블 신호(EN)가 제1 구간(T1) 이상으로 활성화되는 경우, 제2 트랜지스터(TRN2)은 제2 구동 전압(VDD2)에 대응되는 논리 레벨로, 판단 결과(XRST)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1 트랜지스터(TRN1)가 턴-온되면 제1 구동 전압(VDD1)이 다이오드 및 RC 지연부(DLU)로 인가되고, 다이오드 및 RC 지연부(DLU)는 제1 구간(T1)에 대응되는 지연을 수행하여, 제1 구간(T1) 이후까지 제2 트랜지스터(TRN2)로 제1 구동 전압(VDD1)에 대응되는 논리 레벨(논리 하이(H))이 인가되면, 제2 트랜지스터(TRN2)는 제2 구동 전압(VDD2)에 대응되는 논리 레벨로, 판단 결과(논리 하이(H))를 출력할 수 있다.
펄스 발생부(PGU)는 판단 결과(XRST)를 수신하여 충전되고, 충전된 전하에 대응되는 전압(도 7의 (b)의 C)을 전달하는 커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다. 반전부(IVU)는 커패시터(C1)의 출력을 수신하여 반전(도 7의 (b)의 D)시켜 논리 로우(L)의 리셋 신호(/RST)로 출력하는 인버터(IVT)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전된 인에이블 신호(EN), 즉 인에이블 신호(EN)가 제1 구간(T1) 이상으로 활성화되는 경우, 제1 리셋 제어부(RSU1)는 제1 제어 회로(sMCU1)가 오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구간(T1)은 중앙 제어부(CCU)와 제1 세대 단말(TEM1) 사이의 통신에 적응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제어부(CCU)가 제어 신호를 제1 세대 단말(TEM1)에 전송하고 제1 세대 단말(TEM1)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이 중앙 제어부(CCU)로 전송되는데 시간에 대해 설정된 시간보다 임의의 시간만큼 길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셋 신호(/RST)는 제1 제어 회로(sMCU1)가 오동작 하는 때에, 논리 로우(L)로 제1 제어 회로(sMCU1)에 전달되고, 논리 로우(L)의 리셋 신호(RST)에 응답하여 제1 제어 회로(sMCU1)는 리셋 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리셋 신호(/RST)가 인에이블 신호(EN)의 라이징 에지(rising edge)에서 시간 T2가 경과된 후에 제어 회로에 인가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이때, 시간 T2는 전술된 RC 지연부의 RC 값에 의한다. 제1 제어 회로(sMCU1)의 리셋에 의해, 인에이블 신호(EN)는 비활성화 상태로 되어, 오동작이 정정될 수 있다.
반면, 인에이블 신호(EN)가 제1 구간(T1) 이내에서 비활성화되는 경우, 즉 제1 세대 단말(TEM1)이 정상 동작하는 경우, 송신 데이터(TDTA)가 송신되고 난 후, 인에이블 신호(EN)를 비활성화된다. 이에 따라, 제1 리셋 제어부(RSU1)의 판단부(DTU)에서 판단 결과(XRST)는 논리 하이(H)에 미치지 못하는 전압 레벨로 생성되고, 판단 결과(XRST)에 대응되는 리셋 신호(/RST)도 정상적인 논리 레벨에 미치지 못하는 전압 레벨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논리 로우(L)의 리셋 신호(/RST)가 생성되지 아니하므로, 제1 제어 회로(sMCU1)는 리셋되지 아니한다.
도 8은 도 6의 제1 세대 단말을 좀더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6의 RC 딜레이(RC)가 저항 R2 및 커패시터 C2가 병렬 연결되어 구현될 수 있고, 펄스 발생부(PGU)와 반전부(IVU) 사이에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가 구비되며, 임의의 배선에 신호의 전압 레벨을 유지하기 위한 저항 R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8의 저항 R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 6의 인버터 전압 VCC는 제1 제어 회로(sMCU1)의 구동 전압과 동일한 5V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트랜시버(TRA)의 단자 DI로 송신 데이터(TDTA)가 인에이블 신호(EN)가 비활성화되면 송신 데이터(TDTA)가 두 개의 전송 라인(LIN+, LIN-)과 트랜시버(TRA) 사이에서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항과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보호 회로(PCT)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호 회로(PCT)의 저항 R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각각, 전원 전압과 접지 전압이 연결되는 트랜시버(TRA)의 단자 VCC 및 VSS 사이에 바이패스 커패시터(Cbp)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호 회로(PCT), 바이패스 커패시터(Cbp) 및 트랜시버는 도 3의 제1 통신부(CMU1)에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중앙 제어부(CCU)와 공동 단말(CTEM) 사이에도 전술된 통신 방식으로 출입 요청 또는 응답에 대응되는 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중앙 제어부(CCU)는 공동 주택의 공동 현관의 열림과 닫힘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미도시)에 대해, 각 세대 단말(REM1, TEM2, …, TEMn)의 응답에 대응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 요청에 대해 입주자가 출입을 허용하는 신호를 발생시켰을 때, 중앙 제어부(CCU)를 이를 수신하여 제어 장치가 공동 현관을 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에 의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출입 제어 시스템
REM1, TEM2, …, TEMn: 세대 단말
CTEM: 공통 단말
CCU: 중앙 제어부

Claims (7)

  1.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동 주택에 포함되는 세대에 대해 구비되고 고유의 식별자로 식별되는 n(n은 2 이상의 정수)개의 세대 단말;
    상기 공동 주택으로의 출입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n개의 세대 단말 중 상기 출입 요청에 대응되는 세대 단말에서의 응답을 수신하는 공동 단말; 및
    두 개의 전송 라인을 통해 상기 n개의 세대 단말과 1:n으로 연결되며, 상기 n개의 세대 단말과 상기 공동 단말 사이의 상기 출입 요청 및 상기 출입 요청에 대한 응답의 송신 또는 수신을 제어하고 상기 n개의 세대 단말에 대해 순차적으로 폴링(polling)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n개의 세대 단말은 각각,
    상기 두 개의 전송 라인을 통해 상기 제어 신호 및 상기 응답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어 신호가 자신의 식별자에 대해 발생한 경우,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응답을 출력하도록,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회로;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제1 구간 동안 지속적으로 활성화되는지에 따라, 상기 제어 회로의 오동작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 회로의 리셋을 제어하는 리셋 신호를 출력하는 리셋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셋 제어부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구간 동안 턴-온 되고 제1 구동 전압과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턴-온에 의해 인가되는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지연시켜 출력하는 다이오드 및 RC 지연부; 및
    상기 다이오드 및 RC 지연부의 출력에 의해 게이팅 되고 제2 구동 전압과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제2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n개의 세대 단말 중 제1 세대 단말의 제어 회로의 리셋에 응답하여, 상기 두 개의 전송 라인을 통해, 상기 n개의 세대 단말 중 제2 세대 단말로 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가 포함되는 상기 세대 단말의 오동작을 나타내는 경우 펄스를 생성하여 상기 리셋 신호로 출력하는 펄스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가 포함되는 상기 세대 단말의 오동작을 나타내는 경우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발생부; 및
    상기 펄스 발생부의 출력을 반전시켜 상기 리셋 신호를 생성하는 반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발생부는,
    상기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충전되고, 충전된 전하에 대응되는 전압을 상기 반전부로 전달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논리 로우의 상기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리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은 RS485 인터페이스로 상기 n개의 세대 단말과 상기 제어 신호의 전송 및 상기 응답의 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
KR1020130137113A 2013-11-12 2013-11-12 세대 단말의 오동작을 자동 복구할 수 있는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553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113A KR101553989B1 (ko) 2013-11-12 2013-11-12 세대 단말의 오동작을 자동 복구할 수 있는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113A KR101553989B1 (ko) 2013-11-12 2013-11-12 세대 단말의 오동작을 자동 복구할 수 있는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547A KR20150054547A (ko) 2015-05-20
KR101553989B1 true KR101553989B1 (ko) 2015-09-17

Family

ID=53390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113A KR101553989B1 (ko) 2013-11-12 2013-11-12 세대 단말의 오동작을 자동 복구할 수 있는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9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8423A (ja) * 1999-03-29 2000-10-06 Aiphone Co Ltd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8423A (ja) * 1999-03-29 2000-10-06 Aiphone Co Ltd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547A (ko)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4553A (en) Method for powering elements connected in a two-wire bus network transmitting both power supply and data information pulses
US7965099B2 (en) Bus modem for building and industrial electrical systems
US7668572B2 (en) System and method of polarity reversal for reload detection
JP2016517581A (ja) 通信バス用フォールトトレラントループ
US10397668B2 (en) Wakeup sequence for two-wire daisy chain communication system
EP3512160B1 (en) Power supplying method, device and system
JPS59500159A (ja) 衝突検出を行う多点デ−タ通信システム
CN103959707A (zh) 以太网供电装置及重设远程装置的配置的方法
CN103384184A (zh) 发送器电路及其运行控制方法
US11232922B2 (en) Power supply circuit, relay device and power over ethernet system
US20210377101A1 (en) Broadband watchdog
US201501496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iasing a bus
KR101553989B1 (ko) 세대 단말의 오동작을 자동 복구할 수 있는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JPS62193435A (ja) 直列デ−タ伝送回路装置
CN102637346B (zh) 报警系统
KR101014815B1 (ko) 복수의 도어 카메라 단말기를 비디오폰 단말기로 인터페이스하는 멀티 인터페이스 장치
CN106292326A (zh) 家居设备控制方法及家居设备控制系统
CN109992547B (zh) 主从设备地址分配系统及方法
US11822502B2 (en) Bus-capable device arrangement having a switchable terminating resistor
JP6471956B2 (ja) 自動火災報知システムの子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動火災報知システム
ES2836281T3 (es) Participante para un sistema de comunicaciones digital y sistema de comunicaciones correspondiente
JP3164851B2 (ja) 空気調和機のアドレス設定装置
JP2003283503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及び機器アダプタ
US9774184B2 (en) Power supply device, power supply managing device, method for detecting connection position of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JP693413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