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653B1 -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653B1
KR101552653B1 KR1020137034295A KR20137034295A KR101552653B1 KR 101552653 B1 KR101552653 B1 KR 101552653B1 KR 1020137034295 A KR1020137034295 A KR 1020137034295A KR 20137034295 A KR20137034295 A KR 20137034295A KR 101552653 B1 KR101552653 B1 KR 101552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ent
program
display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4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5578A (ko
Inventor
마나부 니시자와
타카시 하야사카
켄사쿠 이시즈카
히로유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15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04N21/44226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on soc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6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a ticker, e.g. scrolling banner for news, stock exchange, weath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실시형태의 정보처리장치는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감상이 적힌 코멘트가 즉시 투고되는 외부의 투고 사이트로부터,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의 코멘트를 취득하는 코멘트 취득부와, 프로그램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화면(110) 밑에 위치하는 라이브 정보 표시영역(450)에 코멘트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코멘트를 표시시키는 코멘트 표시부를 구비한다. 코멘트 표시부는 코멘트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코멘트를, 라이브 정보 표시영역(450)의 제1 레인(522)과 제2 레인(524) 중 어느 하나에서 가로방향으로 스크롤 표시시킨다.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각의 사용자가 단문(이하 "코멘트"나 "트위트(tweet)"라고도 함)을 투고하고, 다른 사용자가 그 코멘트를 열람할 수 있는 웹 사이트(이하 "투고 사이트"라고도 함)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을 시청중인 시청자에 대하여 투고 사이트에 투고된 코멘트를 제시함으로써 참신한 시청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이 지금까지 충분히 제안되지 않았다고 생각하였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의 상기 착상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을 시청중인 시청자에 대하여 참신한 시청 체험을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어느 양태의 정보처리장치는 방송중인 프로그램의 영상정보를 튜너(tuner)로부터 취득하는 영상정보 취득부; 취득된 영상정보에 따라 프로그램의 영상을 소정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는 프로그램 영상 표시부; 프로그램을 시청중인 시청자의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그때그때의 감상이 적힌 코멘트가 즉시 투고되는 외부의 투고 사이트로부터,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의 코멘트를 취득하는 코멘트 취득부; 프로그램의 영상을 표시중인 표시장치에, 프로그램의 표시영역에 대하여 위 혹은 아래에 위치하는 영역을 코멘트 표시영역으로 해서, 코멘트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코멘트를 코멘트 표시영역에 표시시키는 코멘트 표시부;를 구비한다. 코멘트 표시영역은 코멘트를 가로방향으로 스크롤시켜서 표시하는 레인(lane)을 복수개 포함하는 것이며, 코멘트 표시부는 코멘트를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코멘트를 코멘트 표시영역의 복수의 레인 중 어느 하나에서 표시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정보처리방법이다. 이 방법은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으로서, 방송중인 프로그램의 영상정보를 튜너로부터 취득하는 스텝; 취득된 영상정보에 따라 프로그램의 영상을 소정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는 스텝; 프로그램을 시청중인 시청자의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그때그때의 감상이 적힌 코멘트가 즉시 투고되는 외부의 투고 사이트로부터,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의 코멘트를 취득하는 스텝; 프로그램의 영상을 표시중인 표시장치에, 프로그램의 표시영역에 대하여 위 혹은 아래에 위치하는 영역을 코멘트 표시영역으로 해서, 취득된 코멘트를 코멘트 표시영역에 표시시키는 스텝;을 구비한다. 코멘트 표시영역은 코멘트를 가로방향으로 스크롤시켜서 표시하는 레인을 복수개 포함하는 것이며, 코멘트를 표시시키는 스텝은 취득된 코멘트를 코멘트 표시영역의 복수의 레인 중 어느 하나에서 표시시킨다.
한편, 이상의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 본 발명의 표현을 장치, 방법, 시스템, 프로그램,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등의 사이에서 변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에 대하여 참신한 시청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전제 기술의 한 형태의 정보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튜너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보관리 서버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집계결과 보유부에 보유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정보처리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정보처리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프로그램 정보 보유부에 보유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녹화정보 보유부에 보유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포털 화면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대기화면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영상표시화면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영상표시화면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1 프로그램표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2 프로그램표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2 프로그램표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2 프로그램표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2 프로그램표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a)는 제2 프로그램표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b)는 제2 프로그램표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녹화 리스트가 표시된 비디오 화면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정보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1은 도 20의 S20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2는 도 20의 S24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3은 도 20의 S28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4는 정보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5는 변형예에 있어서 제1 프로그램표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제2 전제 기술의 한 형태의 정보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의 정보처리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코멘트 보유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9는 정형(定型) 코멘트 보유부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도 27의 코멘트 처리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1은 도 27의 코멘트 표시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2는 영상표시화면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26의 정보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4는 전체 TL 화면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채널 TL 화면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해시태그(hashtag) TL 화면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도 33에 이어지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8은 트위트 메뉴 화면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코멘트 작성화면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정보화면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실시형태의 트위트 표시화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는 실시형태의 코멘트 보유부의 상세한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3은 실시형태의 코멘트 처리부의 상세한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4는 실시형태의 코멘트 표시부의 상세한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5는 정보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6은 정보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7은 정보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전제 기술)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그 전제가 되는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전제 기술에서는 방영중인 프로그램 혹은 방영된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쾌적성이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보처리기술을 제안한다. 이 정보처리기술은 이하의 네 가지 기술요소를 포함한다.
제1 기술요소의 개요를 설명한다. 지금까지의 전자 프로그램표는 방송국 등이 정한 프로그램의 개요정보를 단순히 제시하는 것으로, 시청자에게 있어 사용 편의성(usability)이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었다. 전제 기술에서는 시청자의 사용 편의성이 뛰어난 전자 프로그램표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전제 기술의 한 형태의 전자 프로그램표는 시청자가 프로그램 정보를 확인할 때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2 기술요소의 개요를 설명한다. 현재, 인터넷과 접속된 환경을 가진 주거가 증가하고 있어, 프로그램 시청자가 보유한 정보가전과 인터넷상의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送受)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제 기술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교환에 기초하여, 단순한 프로그램 개요에 머무르지 않고 시청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시하는 전자 프로그램표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전제 기술의 한 형태의 전자 프로그램표에서는 동일 시간대에 방영되는 복수개 프로그램의 인기순위를 시청자에게 제시한다.
제3 기술요소의 개요를 설명한다. 전제 기술에서는 전자 프로그램표의 표시화면을 포함하는 각종 기능화면으로의 일원적인 입구가 되는 포털 화면에 있어서, 사용 편의성이 뛰어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현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전제 기술의 한 형태의 포털 화면에서는 시청자에게 유용한, 프로그램 시청에 관한 최신정보를 제공한다.
제4 기술요소의 개요를 설명한다. 전제 기술에서는 프로그램 시청중인 시청자에게 유용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전제 기술의 한 형태의 프로그램 시청 화면에서는 그 프로그램에 관한 키워드를 바탕으로 인터넷 검색을 한 결과를 프로그램 영상과 함께 표시시킨다.
도 1은 전제 기술의 한 형태의 정보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정보처리 시스템(100)에서는 복수의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10)과, 정보관리 서버(16)와, 검색 서버(17)가 인터넷(15)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10)은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시청·녹화·재생이나 프로그램표의 표시를 실행하는 시스템이며, 정보처리장치(11), 컨트롤러(12), 튜너(13), 디스플레이(14)를 구비한다. 전제 기술의 한 형태에서는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10)이 "시청자"의 단위가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4)를 시청하고 있는 복수의 사람이 1명의 시청자로 취급되는 경우도 있다.
튜너(13)는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튜너이며,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그 방송신호를 영상정보로 복호한다. 그리고 그 영상정보를 정보처리장치(11)에 송출한다. 또한 튜너(13)는 방송신호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인 EPG 정보를 취득하여 정보처리장치(11)에 송출한다. 한편, 튜너(13)와 정보처리장치(11)는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로 접속되어도 된다.
도 2는 도 1의 튜너(13)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의 블록도에서 도시되는 각 블록은 하드웨어적으로는 컴퓨터의 CPU나 메모리를 비롯한 소자나 기계장치로 실현 가능하고,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컴퓨터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실현되지만, 여기서는 그들의 연계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 블록을 그리고 있다. 따라서 이 기능 블록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튜너(13)는 동축(同軸) 케이블 인터페이스부(200), B-CAS 카드 인터페이스부(202), USB 인터페이스부(204), 신호 처리부(206)를 구비한다("B-CAS"는 등록상표). 동축 케이블 인터페이스부(200)는 안테나와 접속된 동축 케이블과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며,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방송신호를 취득한다. B-CAS 카드 인터페이스부(202)는 B-CAS 카드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며, 방송신호를 복호하기 위한 암호 키를 B-CAS 카드로부터 취득한다.
USB 인터페이스부(204)는 USB 케이블과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며,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식별정보를 정보처리장치(11)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선택된 채널의 영상정보나 EPG 정보를 정보처리장치(11)에 송출한다. 신호 처리부(206)는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신호를 방송신호로부터 추출하고, B-CAS 카드의 암호 키에 따라서 영상정보로 복호한다.
도 1로 돌아가 정보처리장치(11)는 인터넷(15)과 접속된 컴퓨터 단말이며, 컨트롤러(12)를 통해 시청자의 조작을 접수하고 그 조작에 따라서 동작한다. 정보처리장치(11)는 거치형 게임기여도 된다. 정보처리장치(11)에는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서의 프로그램의 라이브 영상을 표시시키고, 녹화하고, 그 녹화 영상을 재생시키는 프로그램 시청 어플리케이션(이하, "프로그램 시청 AP"이라고도 함)이 인스톨되어 있다. 또한 HTML이나 XML 등으로 기술된 구조화 문서의 데이터를 해석하여 표시시키는 웹 브라우저도 인스톨되어 있다.
정보처리장치(11)에 있어서 프로그램 시청 AP이 기동됨으로써, 예를 들면 정보처리장치(11)는 시청자가 선택한 채널의 영상정보를 튜너(13)로부터 취득하여 프로그램 영상을 디스플레이(14)에 표시시킨다. 또한 EPG 정보를 튜너(13)로부터 취득하여 전자 프로그램표를 디스플레이(14)에 표시시킨다. 정보처리장치(11)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한편, 정보처리장치(11)와 디스플레이(14)는 HDMI(등록상표)(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케이블로 접속되어도 된다.
정보관리 서버(16)는 복수의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10) 각각으로부터 취득한 프로그램의 시청상황을 관리하고, 그 시청상황을 복수의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10) 각각에 송신한다. 정보관리 서버(16)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검색 서버(17)는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검색 요구에서 지정된 검색 키와의 합치 정도가 높은 웹페이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그 검색 요구원에 제공한다.
도 3은 도 1의 정보관리 서버(16)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와 마찬가지로 도 3의 기능 블록에 대해서도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예를 들어 도 3의 기능 블록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소정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정보관리 서버(16)의 하드 디스크에 인스톨되어, 정보관리 서버(16)의 메인 메모리에 적절히 읽어내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정보관리 서버(16)는 통신 처리부(20), 집계결과 보유부(22), 각종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부(24)를 구비한다. 데이터 처리부(24)는 시청자수 집계부(26), 녹화 예약수 집계부(28), 지표값 제공부(30)를 포함한다.
통신 처리부(20)는 인터넷(15)을 통해 외부장치와 통신 처리를 실행한다. 데이터 처리부(24)는 통신 처리부(20)를 통해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10)에서의 정보처리장치(11)와 데이터를 송수한다. 집계결과 보유부(22)는 후술하는 시청자수 집계부(26) 및 녹화 예약수 집계부(28)의 집계 처리의 결과 데이터를 보유하는 기억영역이다.
도 4는 집계결과 보유부(22)에 보유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낸다. 프로그램 ID 필드에는 특정 일시에 방영된 프로그램을 고유하게 특정 가능한 프로그램 ID가 설정된다. 이 프로그램 ID는 정기적으로 방영되는 동일 타이틀의 프로그램이더라도 방영 일시가 다를 경우에는 다른 ID가 되고, EPG 정보에 있어서 미리 정해져 있는 것으로 한다. 시청자수 필드에는 프로그램 ID로 특정되는 프로그램을 현재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의 합계수가 설정된다. 전제 기술의 한 형태에서는 연령층 및 성별마다 분류되어 각각의 합계수가 설정된다. 녹화 예약수 필드에는 프로그램 ID로 특정되는 프로그램을 녹화 예약한 시청자의 연령층 및 성별마다의 합계수가 설정된다.
도 3으로 돌아가 시청자수 집계부(26)는 시청자가 현재 시청중인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ID를, 복수의 정보처리장치(11) 각각으로부터 정기적으로 취득하여 집계한다. 전제 기술의 한 형태에서는 프로그램 ID와 함께 시청자의 속성(즉 연령층 및 성별)을 취득하고, 프로그램 ID로 특정되는 프로그램의 시청자수를 시청자의 속성마다 집계하여 집계결과 보유부(22)에 저장한다.
녹화 예약수 집계부(28)는 시청자가 녹화 예약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ID를, 복수의 정보처리장치(11) 각각으로부터 정기적으로 취득하여 집계한다. 전제 기술의 한 형태에서는 프로그램 ID와 함께 시청자의 속성을 취득하고, 프로그램 ID로 특정되는 프로그램의 녹화 예약수를 시청자 속성마다 집계하여 집계결과 보유부(22)에 저장한다.
지표값 제공부(30)는 정보처리 시스템(100)에 있어서 프로그램의 시청상황을 나타내는 지표값을 정보처리장치(11)에 제공한다. 이 지표값에는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의 많고 적음을 나타내는 지표값(이하, "라이브 지표값"이라고도 함)과, 프로그램을 녹화 예약한 시청자의 많고 적음을 나타내는 지표값(이하, "예약 지표값"이라고도 함)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지표값 제공부(30)는 라이브 지표값으로서, 집계결과 보유부(22)에 보유된 연령층 및 성별마다의 시청자수를 정보처리장치(11)에 송신한다. 또 예약 지표값으로서, 집계결과 보유부(22)에 보유된 연령층 및 성별마다의 녹화 예약수를 정보처리장치(11)에 송신한다.
변형예로서, 지표값 제공부(30)는 시청자수 자체 대신에, 시청자수를 소정의 평가 함수에 입력한 결과를 라이브 지표값으로 제공해도 된다. 예를 들면 시청자수 전체에서 차지하는 특정 프로그램의 시청자수, 즉 시청률을 제공해도 된다. 예약 지표값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시청자수 전체에서 차지하는 특정 프로그램의 녹화 예약수, 즉 녹화 예약률을 예약 지표값으로 제공해도 된다.
도 5는 도 1의 정보처리장치(11)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정보처리장치(11)는 CPU(300), GPU(그래픽 프로세서 유닛)(302), 입출력 프로세서(304), 광디스크 재생부(306), 메인 메모리(308), 마스크 ROM(310), 사운드 프로세서(312)를 기본 구성으로 구비한다.
CPU(300)는 게임이나 전자 메일, Web 브라우저용 어플리케이션 등의 각종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신호 처리나 내부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CPU(300)는 CELL 등의 멀티코어 CPU여도 되고, 복수의 이종(異種) 프로세서 코어를 조합한 헤테로지니어스 멀티코어 CPU여도 된다.
GPU(302)는 화상 처리를 실행한다. 입출력 프로세서(304)는 외부와 장치 내부 사이의 인터페이스 처리나 하위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광디스크 재생부(306)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BD나 DVD, CD 등의 광디스크를 재생한다. 메인 메모리(308)는 CPU(300)의 워크 에어리어나 광디스크로부터 읽어내진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로서 기능한다. 마스크 ROM(310)은 주로 CPU(300)나 입출력 프로세서(304)가 실행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사운드 프로세서(312)는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이 정보처리장치(11)는 CD/DVD/BD 프로세서(314), 광디스크 재생 드라이버(316), 메카 컨트롤러(mechanical controller)(318),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34), 카드형 커넥터(예를 들면 PC 카드 슬롯)(320)도 가지고 있다. CD/DVD/BD 프로세서(314)는 광디스크 재생부(306)에 의해 CD/DVD/BD로부터 읽어내져서 RF 앰프(amplifier)(328)로 증폭된 디스크 재생 신호에 대하여, 예를 들면 오류 정정 처리(예를 들면 CIRC(Cross Interleave Reed-Solomon Coding) 처리)나 신장 복호화 처리 등을 실시함으로써 그들 CD/DVD/BD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복원)한다. 광디스크 재생 드라이버(316) 및 메카 컨트롤러(318)는 광디스크 재생부(306)의 스핀들 모터(spindle motor)의 회전 제어, 광 픽업의 포커스/트래킹 제어, 디스크 트레이의 로딩 제어 등을 실행한다.
또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34)는 예를 들면 광디스크 재생부(306)로부터 읽어내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게임의 세이브 데이터를 기억, 혹은 입출력 프로세서(304)를 통해 취득한 사진, 동화상, 음악 등의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카드형 커넥터(320)는 예를 들면 통신 카드나 외장형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36) 등의 접속 포트이다.
이러한 각 부는 주로 버스 라인(322, 324) 등을 통해 각각 상호 접속되어 있다. 한편, CPU(300)와 GPU(302)는 전용 버스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CPU(300)와 입출력 프로세서(304)는 SBUS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프로세서(304)와 CD/DVD/BD 프로세서(314), 마스크 ROM(310), 사운드 프로세서(312), 카드형 커넥터(320),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34)는 SSBUS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CPU(300)는 마스크 ROM(310)에 기억되어 있는 CPU용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정보처리장치(11)의 모든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CPU(300)는 CD, DVD, BD 등의 광디스크로부터 읽어내져서 메인 메모리(308)에 로드한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실행하고, 게임이나 전자 메일의 작성 편집, Web 페이지의 열람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입출력 프로세서(304)는 마스크 ROM(310)에 기억되어 있는 입출력 프로세서용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컨트롤러(12)로부터의 신호나 게임의 설정, 전자 메일의 내용이나 어드레스, Web 사이트의 URL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 카드(326)로부터의 데이터 등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그 밖에, 입출력 프로세서(304)는 USB 접속단자(333)나 네트워크 카드(330), 도시하지 않은 IEEE1394 단자나 PC 카드 슬롯 등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입출력도 제어한다. 예를 들면 USB 접속단자(333)를 통해 튜너(13)와 접속하고, 네트워크 카드(330)를 통해 인터넷(15)과 접속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PC 카드 슬롯을 통해 메모리 카드(326)에 대하여 데이터의 입출력을 실행한다. 컨트롤러(12)나 메모리 카드로부터의 정보는 멀티미디어 슬롯이나 무선 송수신 포트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332)를 통해 교환한다.
예를 들면 무선 송수신 포트는 무선 LAN이나 Bluetooth(등록상표) 등에 의해 게임용 컨트롤러나 BD·DVD 조작용 컨트롤러와 통신을 실행한다. 또한 인터페이스(332)는 HDMI(등록상표) 케이블과의 인터페이스도 가지며, 그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4)에 출력한다.
GPU(302)는 좌표변환 등의 처리를 하는 지오메트리 트랜스퍼 엔진(geometry transfer engine)의 기능과 렌더링 프로세서(rendering processor)의 기능을 가지며, CPU(300)로부터의 묘화(rendering) 지시에 따라서 묘화하고, 묘화된 화상을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 버퍼에 저장한다. 예를 들면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게임과 같이 소위 3차원(3D) 그래픽을 이용하는 것일 경우, 당해 GPU(302)는 지오메트리 연산 처리에 의해 3차원 오브젝트를 구성하기 위한 폴리곤의 좌표 등을 계산한다. 또 렌더링 처리에 의해, 이 3차원 오브젝트를 가상적인 카메라로 촬영함으로써 얻어지는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계산, 즉 투시 변환(3차원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각 폴리곤의 정점을 가상적인 카메라 스크린 상에 투영했을 경우의 좌표값의 계산 등)을 계산한다. 최종적으로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버퍼 상에 써넣는다. 그리고 GPU(302)는 이 작성한 화상에 대응하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사운드 프로세서(312)는 AD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복호 기능, 오디오 신호 재생 기능, 신호 변조 기능 등을 구비하고 있다. ADPCM 복호 기능이란, 당해 사운드 프로세서(312)에 내장 혹은 외장된 도시하지 않은 사운드 버퍼에 기억되어 있는 파형 데이터를 읽어냄으로써 효과음 등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기능이다. 신호 변조 기능이란, 상기 사운드 버퍼에 기억되어 있는 파형 데이터로부터, 악음(樂音;musical sound)이나 효과음 등의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소위 샘플링 음원으로서도 동작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정보처리장치(11)는 예를 들어 전원이 투입되면 마스크 ROM(310)으로부터 CPU(300)용 및 입출력 프로세서(304)용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이 읽어내진다. CPU(300)와 입출력 프로세서(304)는 각각 대응한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로 인해, CPU(300)는 정보처리장치(11)의 각 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입출력 프로세서(304)는 컨트롤러(12)나 메모리 카드(326) 등과의 사이의 신호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CPU(300)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먼저 동작 확인 등의 초기화 처리를 한다. 이어서 광디스크 재생부(306)를 제어하여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게임 등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읽어내 메인 메모리(308)에 로드한 후, 그 게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 게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CPU(300)는 입출력 프로세서(304)를 통해 컨트롤러(12)로부터 접수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GPU(302)나 사운드 프로세서(312)를 제어하고, 화상의 표시나 효과음, 악음의 발생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광디스크에 기록된 영화 등을 재생할 경우, CPU(300)는 입출력 프로세서(304)를 통해 컨트롤러(12)로부터 접수한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커맨드)에 따라서 GPU(302)나 사운드 프로세서(312)를 제어하고, 광디스크로부터 재생된 영화의 영상 표시나 효과음이나 음악 등의 발생을 제어한다.
도 6은 도 1의 정보처리장치(11)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와 마찬가지로, 도 6의 기능 블록에 대해서도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예를 들어 도 6의 기능 블록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소정의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도 5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34)에 인스톨되어, 정보처리장치(11)의 메인 메모리(308)에 적절히 읽어내져서 CPU(300)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즉, 도 6의 기능 블록은 프로그램 시청 AP을 구성하는 각종 모듈을 나타내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정보처리장치(11)는 외부 인터페이스부(40), 데이터 보유부(48), 데이터 처리부(56)를 구비한다. 외부 인터페이스부(40)는 다양한 외부장치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고, 데이터 처리부(56)는 외부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한다. 외부 인터페이스부(40)는 튜너 IF부(41), 통신 처리부(42), 조작 검출부(44), 표시 데이터 출력부(46)를 포함한다.
튜너 IF부(41)는 튜너(13)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고, 튜너(13)로부터 접수한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56)에 송출한다. 통신 처리부(42)는 인터넷(15)을 통해 정보관리 서버(16) 및 검색 서버(17)와의 통신 처리를 실행한다. 조작 검출부(44)는 컨트롤러(12)에 대한 시청자의 조작을 검출하고, 그 조작 내용을 데이터 처리부(56)에 송출한다. 표시 데이터 출력부(46)는 후술하는 표시 처리부(78)로부터 송출된 표시용의 영상·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4)에 송출하여 표시시킨다.
데이터 보유부(48)는 각종 데이터를 보유하는 기억영역이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그 기억 데이터로서 실장되어도 된다. 데이터 보유부(48)는 프로그램 정보 보유부(50), 녹화정보 보유부(52), 썸네일 보유부(54)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정보 보유부(50)는 전자 프로그램표에 표시시켜야 할 복수의 프로그램 각각의 프로그램 정보를 보유한다. 도 7은 프로그램 정보 보유부(50)에 보유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낸다. 프로그램 개요 필드에는 당해 프로그램의 개요정보가 설정된다. 인기순위 필드에는 동일 시간대에 방영되는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각 프로그램의 상대적인 인기순위가 일시적으로 설정된다.
도 6으로 돌아가 녹화정보 보유부(52)는 정보처리장치(11)에서의 프로그램 녹화에 관한 정보인 녹화정보를 보유한다. 도 8은 녹화정보 보유부(52)에 보유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낸다. 녹화 ID 필드에는 정보처리장치(11)에 있어서 녹화 컨텐트를 고유하게 특정 가능한 녹화 ID가 설정된다.
도 6의 녹화 플래그 필드에는 녹화 처리가 실행완료인지 여부, 및 녹화 처리에서 에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녹화 플래그 필드가 "실행완료"인 레코드는 녹화완료 상태를 나타내고, 녹화 플래그 필드가 "미실행"인 레코드는 녹화 예약 상태를 나타낸다. 재생 진행률 필드에는 녹화 컨텐트의 재생 진행 상황, 즉 녹화 컨텐트의 몇%가 재생완료인지를 나타내는 값이 설정된다. 예를 들어 재생 진행률 "0%"인 레코드는 녹화 컨텐트의 재생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컨텐트 데이터 필드에는 녹화 컨텐트 자체의 데이터, 즉 녹화된 프로그램 영상의 데이터가 설정된다.
도 6으로 돌아가 썸네일 보유부(54)는 녹화 컨텐트에 포함되는 일부의 화상이 축소 표시되는 썸네일 화상의 데이터를, 그 녹화 컨텐트의 녹화 ID와 대응시켜서 보유한다. 이 썸네일 화상은 정지화상이어도 되고 동화상이어도 된다.
한편, 데이터 보유부(48)가 각종 데이터를 보유하는 물리적인 기억영역은 정보처리장치(11)에 내장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34)여도 되고, 외장형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36)여도 되고, 메모리 카드(326)여도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데이터 사이즈가 커지는 녹화정보(특히 컨텐트 데이터 필드의 데이터)만 외장형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36)에 보유해도 된다. 어느 데이터를 어느 기억영역에 보유시킬지는 시청자의 조작에 의해 수시로 결정되어도 된다.
데이터 처리부(56)는 각종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 블록이며, 컴퓨터 프로그램의 모듈로서 실장되어도 된다. 데이터 처리부(56)는 프로그램 영상 취득부(58), 프로그램 정보 취득부(60), 속성 취득부(62), 녹화 처리부(64), 재생 처리부(66), 지표값 취득부(68), 인기도 결정부(70), 썸네일 설정부(72), 검색 키 취득부(74), 검색 실행부(76), 표시 처리부(78), 시청상황 통지부(99)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영상 취득부(58)는 튜너(13)로부터 송출된 프로그램의 영상정보를 취득한다. 프로그램 정보 취득부(60)는 튜너(13)로부터 송출된 EPG 정보를 취득하여, 각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프로그램 정보 보유부(50)에 저장한다.
속성 취득부(62)는 시청자에 의해 입력된 시청자 자신의 속성정보, 예를 들면 시청자의 연령이나 성별을 취득한다. 예를 들면 정보처리장치(11)의 설정화면에 대하여 시청자가 입력한 속성정보를 보유하는 소정의 기억영역으로부터 그 속성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녹화 처리부(64)는 시청자에 의해 지시된 프로그램의 녹화 예약 처리 및 녹화 처리를 실행함과 아울러, 녹화정보 보유부(52)의 녹화정보를 적절히 갱신한다. 예를 들어 녹화 예약 처리에서는 녹화 플래그를 "미실행"으로 설정한다. 녹화 처리에서는 녹화 대상 프로그램의 영상 데이터를 컨텐트 데이터 필드에 차례로 기록한다. 또한 녹화 처리가 정상 종료되면 녹화 플래그를 "실행완료"로 설정하고, 녹화 처리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녹화 플래그를 "에러 발생"으로 설정한다.
또한 녹화 처리부(64)는 녹화 대상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중에, 후술하는 인기도 결정부(70)에서 그 프로그램의 인기순위가 소정 순위 이상, 예를 들면 3위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는 그 취지를 녹화 컨텐트에 설정한다. 전제 기술의 한 형태에서는 인기순위가 소정 순위 이상이 되었을 때에 녹화 컨텐트에 챕터를 삽입하는 것으로 한다.
재생 처리부(66)는 시청자에 의해 지시된 녹화 컨텐트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78)에 송출함으로써 그 재생 처리를 실행한다. 그와 함께, 녹화 컨텐트의 재생 상황에 따라 녹화정보 보유부(52)의 녹화정보를 적절히 갱신한다. 예를 들면 녹화 시간에서 차지하는 재생 시간의 비율을 재생 진행률 필드에 설정한다.
한편, 재생 처리부(66)는 시청자의 지시에 따라 녹화 컨텐트의 바탕이 된 프로그램에서 인기가 높았던 장면만 재생해도 된다. 예를 들면 녹화 처리부(64)에 의해 챕터가 삽입된 전후 소정 시간만 재생해도 된다. 또한 후술하는 인기도 결정부(70)에서 결정된 인기순위의 추이 상황이 데이터 보유부(48)에 보유되어도 되고, 재생 처리부(66)는 녹화 컨텐트의 바탕이 된 프로그램의 인기순위가 소정 순위 이상이었던 부분만 재생시켜도 된다.
지표값 취득부(68)는 라이브 지표값 및 예약 지표값을 정보관리 서버(16)로부터 취득한다. 전형적으로는 표시 처리부(78)에서 전자 프로그램표의 표시 처리가 개시되었을 때에 라이브 지표값 및 예약 지표값을 취득한다. 또한 미리 정해진 인터벌 기간의 경과를 검출하면 최신의 라이브 지표값 및 예약 지표값을 새로 취득한다.
인기도 결정부(70)는 라이브 지표값 및/또는 예약 지표값에 따라, 동일 시간대에 방영되는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각각의 상대적인 인기순위를 결정한다. 전제 기술의 한 형태에서는 라이브 지표값과 예약 지표값의 합계값이 클수록 프로그램의 순위를 보다 상위로 결정한다. 한편, 방영전인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라이브 지표값이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예약 지표값에 따라서만 인기순위를 결정한다. 인기도 결정부(70)는 각 프로그램의 인기순위를 결정한 후, 프로그램 정보 보유부(50)의 프로그램 정보에 있어서 인기순위 필드의 데이터를 갱신한다.
인기도 결정부(70)는 인기순위를 결정하는 모집단이 미리 사용자로부터 지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지정된 속성(여기서는 연령층 및 성별)과 대응지어진 라이브 지표값·예약 지표값에 따라서 인기순위를 결정한다. 모집단 지정이 없다면, 전체 속성의 라이브 지표값의 합산값, 전체 속성의 예약 지표값의 합산값에 따라서 인기순위를 결정한다.
한편, 인기도 결정부(70)는 인기순위를 결정하지 않고, 지표값 취득부(68)에 의해 취득된 지표값 자체를 인기 정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출력해도 된다. 이 경우, 지표값 자체가 인기순위와 마찬가지로 취급된다.
썸네일 설정부(72)는 녹화 처리부(64)에서의 녹화 처리가 종료되었음을 검출했을 때, 녹화정보 보유부(52)의 녹화정보를 참조하여, 컨텐트 데이터로서 기록된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을 축소 표시하는 썸네일 화상을 설정한다. 그리고 그 썸네일 화상 데이터를 녹화 ID와 대응지어서 썸네일 보유부(54)에 저장한다.
전제 기술의 한 형태의 썸네일 설정부(72)는 컨텐트 데이터로서 기록된 복수의 화상 중, 녹화 컨텐트의 바탕이 된 프로그램에서 인기가 높았던 장면의 화상으로부터 썸네일 화상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녹화 처리부(64)에 의해 챕터가 삽입된 직전 또는 직후의 화상으로부터 썸네일 화상을 설정해도 된다. 또한 인기도 결정부(70)에서 결정된 인기순위의 추이 상황이 데이터 보유부(48)에 보유되어도 되고, 썸네일 설정부(72)는 녹화 컨텐트의 바탕이 된 프로그램의 인기순위가 가장 높아졌을 때의 화상으로부터 썸네일 화상을 설정해도 된다.
검색 키 취득부(74)는 디스플레이(14)에 영상 표시중인 프로그램의 ID를 프로그램 영상 표시부(84)로부터 취득하고, 그 프로그램 ID에 대응지어진 프로그램 정보를 검색 키로서 프로그램 정보 보유부(50)로부터 취득한다. 영상 표시중인 프로그램은 현재 방영중인 프로그램이어도 되고, 녹화된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또한 검색 키가 되는 프로그램 정보는 프로그램 타이틀이나 출연자명이어도 되고, 개요정보의 문자열로부터 형태소 해석 등에 의해 적절히 추출된 명사구여도 된다.
또 검색 키 취득부(74)는 이러한 키워드를 검색 키로 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정보가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 등, 기타 형식의 데이터를 검색 키로서 취득해도 된다. 바꿔 말하면, 검색 서버(17)가 허용하는 임의 형식의 데이터를 검색 키로서 취득해도 된다. 또 검색 키 취득부(74)는 프로그램 정보의 복수의 요소를 앤드 조건으로 하는 검색 키를 설정해도 된다. 또한 각각의 요소를 순차 검색 키로서 정기적으로 검색 실행부(76)에 송출해도 되고, 복수의 검색 처리를 순차 실행시켜도 된다. 또한 영상 표시중인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가 갱신되었을 경우는 갱신 후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새로운 검색 키를 취득하여, 검색 실행부(76)에 그 새로운 검색 키를 이용한 새로운 검색 처리를 실행시켜도 된다.
검색 실행부(76)는 검색 키 취득부(74)에 의해 취득된 검색 키를 지정한 검색 요구를 검색 서버(17)에 송신한다. 그리고 그 검색 키에 대한 합치 정도와 웹페이지의 URL과의 조합을 검색 결과로서 검색 서버(17)로부터 취득한다. 검색 실행부(76)는 검색 서버(17)에 의해 검색 키에 대한 합치 정도가 가장 높다고 판정된 웹페이지의 데이터를 그 URL에 기초하여 취득한다. 그리고 그 웹페이지의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78)에 송출한다.
표시 처리부(78)는 디스플레이(14)에 표시시키는 동화상이나 정지화상의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출력부(46)에 송출함으로써, 시청자가 원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14)에 표시시킨다. 표시 처리부(78)는 포털 화면 표시부(80), 대기화면 표시부(82), 프로그램 영상 표시부(84), 검색결과 표시부(86), 프로그램표 표시부(88), 비디오 조작 화면 표시부(96)를 포함한다.
포털 화면 표시부(80)는 복수 종류의 시청 화면이나 조작 화면으로의 일원적인 천이원(遷移元)이 되는 포털 화면을 표시시킨다. 이 포털 화면은 복수 종류의 시청 화면이나 조작 화면을 표시시킬 때에 일단은 표시되는 공통된 탑 화면이며, 이들 각종 화면에 대한 공통된 입구가 된다. 한편, 복수 종류의 시청 화면이나 조작 화면에는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서 현재 방영중인 프로그램 영상(이하, 간단히 "라이브 영상"이라고도 함)을 시청하는 텔레비전 화면, 녹화된 프로그램의 재생을 실행하는 비디오 화면, 프로그램 시청 AP에 대한 각종 설정을 실행하는 설정화면 등이 포함된다.
도 9는 포털 화면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낸다. 화면선택 아이콘(102)은 프로그램 시청 AP에서 제공되는 복수 종류의 시청 화면이나 조작 화면을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이며, TV 아이콘(102a)~설정 아이콘(102h)을 포함한다. TV 아이콘(102a)이 선택되면 텔레비전 화면으로 천이(遷移;transition)한다. 프로그램표 아이콘(102b)이 선택되면 전자 프로그램표를 표시하는 EPG 화면으로 천이한다. 랭킹 아이콘(102c)이 선택되면 프로그램의 인기 랭킹을 표시하는 랭킹 화면으로 천이한다.
스케줄 아이콘(102d)이 선택되면 예약 등의 스케줄을 확인하는 스케줄 화면으로 천이한다. 비디오 아이콘(102e)이 선택되면 비디오 화면으로 천이한다. 프로그램 검색 아이콘(102f)이 선택되면 방영중 혹은 방영 예정인 프로그램을 검색하기 위한 프로그램 검색 화면으로 천이한다. 메뉴얼 아이콘(102g)이 선택되면 프로그램 시청 AP의 사용방법에 관한 메뉴얼을 표시하는 메뉴얼 화면으로 천이한다. 설정 아이콘(102h)이 선택되면 설정화면으로 천이한다.
최신정보 팝(104)은 선택 가능한 화면선택 아이콘(102)의 종류에 대응하는 최신정보를 팝업 표시한다. 도 9에서는 TV 아이콘(102a)이 선택 가능 상태에 있고, 그 TV 아이콘(102a)과 대응되어, 현재 방영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다른 시청자의 시청상황을 나타내는 최신정보 팝(104)이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포털 화면 표시부(80)는 현재 방영중인 프로그램 중 인기도 결정부(70)에서 인기순위가 1위로 결정된 프로그램 타이틀을 최신정보 팝(104)에 표시시킨다.
다른 예로서, 포털 화면 표시부(80)는 스케줄 아이콘(102d)과 대응지어서 표시시키는 최신정보 팝(104)에 있어서, 현재의 녹화 예약수나 녹화 예약된 프로그램 타이틀을 표시시킨다. 또한 비디오 아이콘(102e)과 대응지어서 표시시키는 최신정보 팝(104)에 있어서, 현재 하드 디스크의 빈 용량이나 녹화 가능 시간을 표시시킨다.
상황 태그(106)는 녹화 컨텐트에 대한 시청상황, 바꿔 말하면 비디오 조작에 기초한 시청상황을 나타내는 태그이며, 에러 상황 태그(106a), 미시청 태그(106b), 녹화 예약 태그(106c)를 포함한다. 포털 화면 표시부(80)는 녹화 처리부(64)의 녹화 처리에서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 그 취지를 에러 상황 태그(106a)에 표시시킨다. 또한 녹화정보 보유부(52)에 보유된 녹화정보를 참조하여, 녹화완료이면서 재생 진행률 0%인 녹화 컨텐트의 수를 미시청 태그(106b)에 표시시킨다. 또한 마찬가지로 녹화정보를 참조하여, 녹화 처리가 미실행인 녹화 예약수를 녹화 예약 태그(106c)에 표시시킨다.
녹화 썸네일(108)은 녹화완료 컨텐트 각각의 썸네일 화상이며, 1개의 녹화 컨텐트당 1개의 썸네일 화상이 표시된다. 포털 화면 표시부(80)는 썸네일 보유부(54)로부터 표시 대상이 되는 녹화 컨텐트의 썸네일 화상을 취득하여 포털 화면에 설정한다. 녹화 썸네일(108)의 표시 대상이 되는 녹화 컨텐트는 모든 녹화 컨텐트여도 되고, 재생 진행률이 100% 미만인 녹화 컨텐트만이어도 되고, 재생 진행률이 0%인 녹화 컨텐트만이어도 된다.
도 6으로 돌아가 대기화면 표시부(82)는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이 대기화면은 포털 화면에서 소정 시간(예를 들면 30초) 이상, 시청자의 조작이 미검출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이며, 스크린 세이버적인 위치가 부여된 화면이다. 대기화면 표시중에 컨트롤러(12)에 대한 조작이 검출되면, 대기화면 표시부(82)는 대기화면의 표시를 종료시키고, 포털 화면 표시부(80)는 포털 화면을 다시 표시시킨다.
도 10은 대기화면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낸다. 대기화면 표시부(82)는 대기화면에 있어서, 화면선택 아이콘(102)이나 녹화 썸네일(108) 각각이, 위치·각도·크기를 차례로 변경하면서 변동하는 3차원 공간의 이미지를 표시시킨다.
대기화면 표시부(82)는 녹화정보 보유부(52)의 녹화정보를 참조하여, 녹화 컨텐트의 속성에 따라 그 녹화 컨텐트에 대응하는 녹화 썸네일(108)의 변동 양태를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녹화 일시가 현재 일시에 가까운 녹화 컨텐트일수록, 그 녹화 썸네일(108)을 시청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쉽다고 상정되는 양태로 변동 표시시켜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그 녹화 썸네일(108)을 다른 녹화 썸네일(108)보다 크게 표시시켜도 되고, 또한 그 녹화 썸네일(108)을 다른 녹화 썸네일(108)보다 빠르게 변동시켜도 된다.
도 6으로 돌아가 프로그램 영상 표시부(84)는 프로그램의 영상을 디스플레이(14)에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포털 화면에서 TV 아이콘(102a)이 선택되었을 때, 프로그램 영상 취득부(58)에서 취득된 프로그램의 라이브 영상을 표시시킨다. 또한 포털 화면에서 비디오 아이콘(102e)이 선택되고, 그 천이처의 비디오 화면에서 녹화 컨텐트의 재생이 요구되었을 때에, 재생 처리부(66)로부터 접수된 그 녹화 컨텐트의 영상을 표시시킨다.
또한 프로그램 영상 표시부(84)는 프로그램의 영상을 표시한 텔레비전 화면이나 비디오 화면(이하, 총칭하여 "영상표시화면"이라고도 함)에, 시청자로부터 조작을 접수하기 위한 조작 아이콘을 표시시킨다. 도 11은 영상표시화면(110)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동 도면의 조작 아이콘(112)에는 프로그램의 관련 정보를 키로 해서 인터넷 검색을 실행시키기 위한 검색 아이콘(112a)이 포함된다. 검색 아이콘(112a)의 선택은 검색 키 취득부(74) 및 검색 실행부(76)의 처리 개시 트리거가 된다.
도 6으로 돌아가 검색결과 표시부(86)는 검색 결과로서 검색 실행부(76)로부터 접수된 웹페이지의 데이터를 브라우저 화면에 표시시킨다. 이 브라우저 화면은 웹 브라우저의 실행 화면이다.
도 12는 영상표시화면(110)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영상표시화면(110)과, 그 영상표시화면(110)에서 표시중인 프로그램의 정보를 키로 한 검색의 결과가 표시된 브라우저 화면(114)이 디스플레이(14)에 일시에 표시된다. 동 도면에서는 브라우저 화면(114)에서 프로그램 홈 페이지가 표시되어 있다. 한편, 검색결과 표시부(86)는 검색 실행부(76)에서 새로운 검색 처리가 실행되었을 경우, 브라우저 화면(114)의 표시 내용을 갱신하고, 새로운 검색 처리의 결과를 브라우저 화면(114)에 표시시킨다.
도 6으로 돌아가 프로그램표 표시부(88)는 전자 프로그램표의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그램표 표시부(88)는 커서 표시부(90),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를 포함한다. 커서 표시부(90)는 전자 프로그램표에서 시청자가 특정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를 표시시키고, 시청자의 조작에 따라서 그 커서를 이동시킨다. 시청자는 컨트롤러(12)를 조작하여 커서를 이동시킴으로써, 전자 프로그램표에서 1개의 프로그램의 정보가 표시된 영역(이하, "프로그램 프레임"이라고도 함)을 선택한다. 이 프로그램 프레임은 시간축과 채널축으로 형성되는 셀 영역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프로그램 영상 표시부(84)에 의한 프로그램 영상의 표시중에 소정 조작이 접수되었을 때, 프로그램 정보 보유부(50)의 프로그램 정보를 참조하여 그 프로그램 영상에 겹쳐서 제1 프로그램표를 표시시킨다. 이 제1 프로그램표는 복수의 채널에서 현재 방영중인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각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가 배치된 프로그램표이다.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배경이 되는 프로그램 영상을 시청자가 시인(視認) 가능하도록 소정 투과율을 설정하여 제1 프로그램표를 표시시킨다.
전제 기술의 한 형태에서는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현재 방영중인 프로그램의 정보만을 배치한 제1 프로그램표를 표시시킨다. 어느 프로그램 프레임에 표시시킨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다음에 방영되는 프로그램의 정보를 그 프로그램 프레임에 표시시킨다.
도 13은 제1 프로그램표(116)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낸다. 제1 프로그램표(116)에는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프레임(118)이 표시되어 있고, 각 프로그램 프레임(118)에는 채널명과 프로그램 타이틀이 표시된다.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각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참조하여, 인기순위 상위 3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프레임(118)에 인기순위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이하, "인기순위 인디케이터"라고도 함)를 대응시켜서 표시시킨다. 변형예로서 프로그램 프레임(118) 내의 색채나, 프로그램 정보의 문자 폰트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각 프로그램의 인기순위를 시청자에게 시사해도 된다. 한편,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각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정기적(예를 들면 1분간격)으로 참조하여 인기순위 인디케이터의 표시를 갱신한다.
커서 표시부(90)는 프로그램 프레임(118)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120)를 표시시키고, 시청자는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진행 상황 등을 확인하고 싶은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프레임(118)을 커서(120)에 의해 선택한다.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커서(120)에 의해 선택된 프로그램 프레임(118)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하, "임시선택 프로그램"이라고도 함)의 프로그램 개요를 프로그램 정보 보유부(50)로부터 취득하여 프로그램 개요 필드(124)에 스크롤 표시시킨다. 한편, 어느 프로그램 프레임(118)에 있어서 커서(120)가 아래방향으로 이동되었을 경우,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현재 방영중인 프로그램 다음에 방영되는 프로그램의 정보를 그 프로그램 프레임(118)에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임시선택 프로그램의 방영 개시 시각, 방영 종료 시각, 현재 시각에 기초해서 당해 프로그램의 진행 정도를 산출하여 진행도 인디케이터(126)에 표시시킨다. 변형예로서, 제1 프로그램표(116)에 표시한 복수의 프로그램 프레임(118) 각각의 표시 양태를 각 프로그램의 진행 정도에 따라서 변화시킴으로써 각 프로그램의 진행 정도를 시청자에게 시사해도 된다.
또한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임시선택 프로그램의 인기 추이 인디케이터(128)를 표시시킨다.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임시선택 프로그램의 최신 인기순위를 취득했을 때에 그때까지의 인기순위와 비교한 추이 상황(예를 들면 상승·하강·변화 없음 중 어느 하나)을 나타내도록 인기 추이 인디케이터(128)를 설정한다.
제1 프로그램표(116)의 임시선택 프로그램에 대하여 소정의 시청 조작(컨트롤러(12)가 특정 버튼을 누르는 등)을 시청자가 실행했을 경우, 데이터 처리부(56)는 그 임시선택 프로그램이 본(本)선택 프로그램으로 지정된 취지를 검출한다. 그 때 프로그램 영상 표시부(84)는 영상표시화면(110)에 표시시키는 프로그램 영상을 본선택 프로그램의 영상으로 전환한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영상 취득부(58)는 본선택 프로그램의 영상정보를 튜너(13)로부터 취득하고, 프로그램 영상 표시부(84)는 본선택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영상을 디스플레이(14)에 표시시킨다.
한편, 도 1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인기순위 인디케이터를 표시시킨 프로그램이나 임시선택 프로그램 등과 대응시켜, 현재의 인기순위의 근거가 되는 라이브 지표값 및/또는 예약 지표값을 더 표시시켜도 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프로그램의 시청상황이 추상화된 인기순위에 더하여, 시청상황의 실태를 나타내는 데이터 자체를 시청자가 확인할 수 있다.
도 6으로 돌아가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포털 화면에서 프로그램표 아이콘(102b)이 선택되었을 때에, 제2 프로그램표를 디스플레이(14)의 화면 전면(全面)에 표시시킨다. 제2 프로그램표는 복수 시간대에 걸치는 시간축을 세로축으로 하고, 복수 채널에 걸치는 채널축을 가로축으로 해서, 복수의 프로그램 각각의 프로그램 정보가 배치된 전자 프로그램표이다.
도 14는 제2 프로그램표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낸다. 동 도면은 24시간분의 프로그램 정보가 표시된 제2 프로그램표를 나타내고 있다. 채널 표식(130)은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표식 오브젝트이다. 서로 인접하는 채널 사이에는 채널 인터벌(131)이 배치된다. 한편, 동일 시간대에 방영되는 프로그램을 시청자가 파악하기 쉽도록 소정 시간대(예를 들면 3시간)마다 프로그램 프레임의 표시 양태가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프레임에 있어서 색채나 문자 폰트가 변경되어도 된다.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시청자의 조작에 따라 제2 프로그램표에 있어서 프로그램 프레임의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단위시간당 프로그램 프레임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고, 채널당 프로그램 프레임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시킨다. 이에 따라, 각 프로그램 프레임에 표시 가능한 프로그램 정보량이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한다. 예를 들어 제2 프로그램표의 표시 양태로서 "세로축=24시간, 가로축=9채널", "세로축=5시간, 가로축=7채널", "세로축=3시간, 가로축=5채널", "세로축=2시간, 가로축=3채널"의 어느 하나로 전환 가능해도 된다.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제2 프로그램표의 프로그램 프레임의 첫째줄에 "(방영 개시분)프로그램 타이틀"을 표시시키고, 둘째줄 이후에 프로그램 개요를 표시시킨다. "세로축=24시간, 가로축=9채널"의 제2 프로그램표에서는 30분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프레임을 최소 표시단위, 즉 1행으로 표시시킨다. 그로 인해, 30분 미만인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커서(132)의 이동에 맞춰서 그 프로그램 정보를 벌룬(balloon) 표시시킨다.
커서 표시부(90)는 프로그램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132)를 표시시키고, 시청자는 보다 상세한 정보를 알고 싶은 프로그램이나 시청 조작의 대상으로 하고 싶은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프레임을 커서(132)에 의해 선택한다. 이로 인해, 그 프로그램은 임시선택 프로그램으로 지정된다.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임시선택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프레임을 채널축방향으로 확대 표시, 즉 다른 프로그램 프레임보다 크게 표시시킨다. 또한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임시선택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개요를 프로그램 개요 필드(134)에 스크롤 표시시킨다.
도 15도 제2 프로그램표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낸다. 동 도면은 도 14의 임시선택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소정 조작에 의해 본선택 프로그램으로 지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시청자는 녹화 예약 아이콘(138a)이나 프로그램 시청 아이콘(138b) 등의 조작 아이콘(138)을 선택함으로써 본선택 프로그램에 대하여 원하는 시청 조작을 실행한다.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본선택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예를 들면 채널명, 방송국명, 프로그램 타이틀, 방영일시, 시청상황, 프로그램 개요)를 프로그램 상세 윈도우(136)에 표시시킨다. 시청상황 인디케이터(137)는 본선택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 인원수를 나타내며, 구체적으로는 라이브 지표값, 예약 지표값, 또는 그들의 합계값을 나타내도 된다.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본선택 프로그램이 지정되었을 때, 프로그램 상세 윈도우(136)를 제2 프로그램표에 겹쳐서 팝업 표시시키고, 그 배경이 되는 제2 프로그램표를 그때까지보다 저화질로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제2 프로그램표의 화상 데이터에서 고주파 성분을 제외함으로써 제2 프로그램표를 흐리게 해서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제2 프로그램표의 화상 위에 반투명의 오브젝트를 겹쳐서 표시시켜도 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4)가 입체표시 대응의 3D 디스플레이일 경우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커서(132)에 의해 선택된 프로그램 프레임, 즉 임시선택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프레임 화상, 및/또는, 프로그램 상세 윈도우(136)의 화상으로서, 시간적 또는 공간적으로 분할된 시차화상을 표시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시청자가 셔터가 구비된 안경을 장착할 경우에는 시간적으로 분할된 시차화상을 표시시키고, 편광판식 안경을 장착할 경우에는 공간적으로 분할된 시차화상을 표시시켜도 된다. 전형적으로는 임시선택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프레임 및/또는 프로그램 상세 윈도우(136)가 제2 프로그램표보다 앞이 되도록 표시시킨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임시선택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프레임 및/또는 프로그램 상세 윈도우(136)의 시인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한편, 시차화상표시의 유무나 시차화상의 양태는 시청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도 되고, 디스플레이(14)의 종류를 정보처리장치(11)가 검출하고 그 종류에 따라서 동적으로 결정되어도 된다.
도 16도 제2 프로그램표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낸다. 동 도면은 도 15에서 본선택 프로그램에 대한 녹화 예약이 이루어진 후의 제2 프로그램표를 나타내고 있다.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녹화 예약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프레임(140)을 녹화 예약완료된 프로그램인 것을 나타내는 소정 양태로 표시시킨다. 그와 함께, 녹화 예약된 시간대의 채널 인터벌(131)에, 녹화 예약완료된 시간대인 것을 나타내는 녹화 예약 라인(142)을 표시시킨다. 한편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녹화 예약 라인(142)과 동일한 양태로,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라인 오브젝트를 제2 프로그램표에 표시시켜도 된다. 제2 프로그램표에 있어서, 방영이 종료된 프로그램 정보를 계속해서 표시할 경우는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제2 프로그램표의 문자 폰트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윈도우를 제2 프로그램표와 함께 디스플레이(14)에 일시에 표시시킨다. 도 17은 제2 프로그램표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낸다.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설정 윈도우(144)에서 특정 문자 폰트가 시청자에 의해 지정되면, 지정된 문자 폰트를 표시중인 제2 프로그램표에 즉석에서 반영시킨다. 바꿔 말하면, 표시중인 제2 프로그램표를, 지정된 문자 폰트에 의해 프로그램 정보가 기재된 제2 프로그램표로 전환한다. 도 17에서는 문자 사이즈의 변경예를 제시했지만, 문자 서체, 즉 타입 페이스(type face)도 마찬가지로 변경되어도 된다.
또한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제2 프로그램표에서의 커서(132)의 이동에 따라, 제2 프로그램표를 시간축방향 또는 채널축방향으로 스크롤시켜 제2 프로그램표의 표시 내용을 전환한다.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시간축방향으로의 스크롤에 따라 일부가 비표시가 되면서, 또한 방영 종료전인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프레임에 대하여, 그 스크롤 후에도 표시되고 있는 잔여영역에 그 프로그램 프레임에서 표시해야 할 프로그램 정보의 선두부터 표시시킨다. 즉 "방영 개시분+프로그램 타이틀"을 프로그램 개요보다 우선해서 표시시킨다.
도 18(a) 및 도 18(b)는 제2 프로그램표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현재 시각을 17:45로 한다. 도 18(a)는 스크롤 전의 제2 프로그램표이며, 16시~20시의 프로그램표가 표시되어 있다. 한편, 도 18(b)는 스크롤 후의 제2 프로그램표이며, 17시~21시의 프로그램표가 표시되어 있다. 도 18(a)에서 커서(132)가 아래방향으로 이동했을 경우, 도 18(b)로 전환된다.
도 18(b)의 프로그램 프레임(146)·프로그램 프레임(147)·프로그램 프레임(148)은 도 18(a)의 상태에 비해 그 표시영역이 감소되어 있다.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프로그램 프레임(146)의 프로그램이 현재 방영중이기 때문에, 프로그램 프레임(146)의 잔여영역에서 프로그램 정보의 선두부터 가능한 한의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시킨다. 바꿔 말하면, 프로그램 정보의 표시 개시위치를 잔여영역의 선두로 시프트시켜서 표시시킨다.
한편, 프로그램 프레임(147) 및 프로그램 프레임(148)의 프로그램은 방영이 종료되었기 때문에,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그 프로그램 정보들의 표시 개시위치를 변경하지 않는다. 한편,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방영이 종료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방영이 미종료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보다 눈에 띄지 않는 양태(예를 들면 옅은 그레이의 문자색)로 표시시켜도 되고, 당해 양태의 프로그램 프레임에 대해서는 프로그램 정보의 표시 개시위치를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6으로 돌아가 비디오 조작 화면 표시부(96)는 포털 화면에서 비디오 아이콘(102e)이 선택되었을 때, 프로그램의 녹화/재생을 조작하기 위한 비디오 화면을 디스플레이(14)에 표시시킨다. 비디오 조작 화면 표시부(96)는 녹화 리스트 표시부(98)를 포함한다. 녹화 리스트 표시부(98)는 비디오 화면에 있어서, 녹화완료 컨텐트의 정보나 녹화 예약의 일람 정보를 나타내는 녹화 리스트를 표시시킨다.
도 19는 녹화 리스트가 표시된 비디오 화면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녹화 리스트(150)는 녹화한 프로그램의 타이틀, 녹화일시, 스테이터스, 재생 진행률을 일람 표시한다. 스테이터스 필드에는 녹화완료인지, 예약완료인지, 에러가 발생했는지와 같은 녹화 컨텐트의 스테이터스를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된다. 재생 진행률 필드에는 녹화 컨텐트의 재생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 설정된다. 비디오 조작 화면 표시부(96)는 녹화정보 보유부(52)의 녹화정보를 참조하여, 녹화 리스트의 각 필드의 값을 설정한다. 재생 버튼(152)이 시청자에 의해 선택되면, 재생 처리부(66)는 그 재생 버튼(152)에 대응하는 녹화 컨텐트의 재생 처리를 개시한다.
변형예로서, 비디오 화면의 녹화 리스트에는 녹화완료된 컨텐트에 관한 정보만 표시되어도 된다. 이 경우, 녹화 예약 정보는 포털 화면에서 스케줄 아이콘(102d)이 선택되었을 경우의 천이처인 스케줄 화면에서 표시되어도 된다.
도 6으로 돌아가 시청상황 통지부(99)는 프로그램 영상 표시부(84)에 의해 현재 표시중인 프로그램 ID, 바꿔 말하면 시청자가 현재 시청중인 프로그램 ID와 시청자의 속성정보를 대응지은 시청상황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정보관리 서버(16)에 송신한다. 또한 시청상황 통지부(99)는 정기적으로 녹화정보 보유부(52)의 녹화정보를 참조하여, 녹화 예약된 프로그램 ID와 시청자의 속성정보를 대응지은 시청상황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정보관리 서버(16)에 송신한다. 시청상황의 통지 빈도는 시청상황 집계에 요구되는 리얼타임성과, 네트워크 및 시스템 부하를 비교 고려하여 결정되면 되고, 예를 들면 1분 정도여도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동작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 20은 정보처리장치(1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동 도면은 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한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정보처리장치(11)에 있어서 프로그램 시청 AP의 기동 지시가 접수되면, 포털 화면 표시부(80)는 포털 화면을 표시시킨다(S10). 사용자 조작이 검출되지 않고(S12의 N), 그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되었을 경우(S14의 Y), 대기화면 표시부(82)는 대기화면을 표시시키고(S16), S12의 판정 처리가 다시 실행된다. 조작 미검출 상태가 소정 시간 미만이면(S14의 N), 대기화면을 표시시키지 않고 S12로 돌아간다.
포털 화면에서는 각 기능화면을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과 대응지어서 최신정보 팝(104)이 표시되고, 또한 시청상황·동작상황을 나타내는 상황 태그(106)가 표시된다. 이로 인해, 시청자는 각 기능 화면으로 천이하지 않고, 유용한 최신정보를 포털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어 시청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포털 화면 및 대기화면에서 녹화 컨텐트의 썸네일 화상이 표시됨으로 인해, 시청자는 녹화완료된 컨텐트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녹화 이력을 감상하며 즐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화면에서는 썸네일 화상이 변동 표시되기 때문에 일종의 인테리어로서 대기화면을 표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썸네일 화상의 변동 표시 양태가 녹화일시에 따라 변화됨으로 인해, 시청자는 시청할 녹화 컨텐트를 발견 및 결정하기 쉬워진다.
시청자의 조작이 검출되면(S12의 Y), 대기화면 표시부(82)는 대기화면을 표시중이라면 그 표시를 종료시킨다. TV 아이콘(102a)의 선택 조작일 경우(S18의 Y), 후술하는 라이브 영상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S20). TV 아이콘(102a)의 선택 조작이 아니면(S18의 N), S20은 스킵된다. 프로그램표 아이콘(102b)의 선택 조작일 경우(S22의 Y), 후술하는 프로그램표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S24). 프로그램표 아이콘(102b)의 선택 조작이 아니면(S22의 N), S24는 스킵된다. 비디오 아이콘(102e)의 선택 조작일 경우(S26의 Y), 후술하는 비디오 화면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S28). 비디오 아이콘(102e)의 선택 조작이 아니면(S26의 N), S28은 스킵되고 본 도면의 플로우를 종료한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포털 화면에서 다른 화면선택 아이콘(102)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화면의 표시 처리가 실행된다.
도 21은 도 20의 S20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프로그램 영상 취득부(58)는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프로그램의 영상 데이터를 튜너(13)로부터 취득하고, 프로그램 영상 표시부(84)는 그 프로그램의 라이브 영상을 영상표시화면(110)에 표시시킨다(S30). 여기서 프로그램표의 표시 요구가 접수되면(S32의 Y), 지표값 취득부(68)는 라이브 지표값 및 예약 지표값을 정보관리 서버(16)로부터 취득하고(S34), 인기도 결정부(70)는 그 지표값들에 따라서 각 프로그램의 인기순위를 결정한다(S36). 그리고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현재 방영중인 각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와 인기순위를 대응지어서 배치한 제1 프로그램표를 영상표시화면(110)에 겹쳐서 표시시킨다(S38). 프로그램표의 표시 요구가 접수되지 않으면(S32의 N), S34에서 S38은 스킵된다.
도 2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표값 취득부(68)는 정보관리 서버(16)에서의 시청상황 집계 인터벌에 대응하는 순위결정 인터벌(예를 들면 1분)이 경과하면, 최신 지표값을 정보관리 서버(16)로부터 다시 취득한다. 인기도 결정부(70)는 그 최신 지표값에 따라서 각 프로그램의 인기순위를 갱신한다.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갱신 후의 각 프로그램의 인기순위를 제1 프로그램표에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의 라이브 영상과 함께, 순위 인디케이터를 수반하는 제1 프로그램표가 표시됨으로써 시청자는 원하는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중에, 현시점에 인기 있는 프로그램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전제 기술에서는 프로그램의 시청이나 녹화 예약과 같은 객관적인 시청 동작에 기초하여 시청상황이 특정된다. 이로 인해 "좋음, 싫음, 볼 예정"과 같은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의 주관적인 지표에 기초한 경우보다 정밀도가 좋게, 바꿔 말하면 실태에 따른 시청상황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그램표의 조작에 의해 채널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청자는 변동하는 인기순위에 기초해서 흥미 있는 프로그램을 수시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그램표에는 각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이나 인기순위의 추이 상황이 표시되기 때문에, 시청자는 이들을 참고로 해서 시청할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커서로 선택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개요가 프로그램 개요 필드(124)에 스크롤 표시되기 때문에, 원하는 프로그램 개요를 시청자에게 확인시키면서도 제1 프로그램표의 영역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프로그램 영상의 시인성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프로그램 영상 표시중에 검색 요구가 접수되었을 때(S40의 Y), 혹은 명시적인 검색 요구는 없더라도(S40의 N), 표시중인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가 갱신되었을 때(S42의 Y), 검색 키 취득부(74)는 그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검색 키를 취득한다(S44). 검색 실행부(76)는 검색 서버(17)에 대하여 검색 요구를 송신하고 검색 결과를 수신한다(S46). 검색결과 표시부(86)는 검색 결과인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브라우저 화면(114)을, 영상표시화면(110)과 나란히 표시시킨다(S48). 명시적인 검색 요구가 없고, 프로그램관련 정보의 갱신도 없으면(S42의 N), S44~S48은 스킵되고 본 도면의 플로우를 종료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시청중인 프로그램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인터넷 상의 웹 사이트로부터 취득되어 프로그램 영상과 함께 시청자에게 제시된다. 이로 인해, 시청자는 시청중인 프로그램에 대하여, 프로그램표 수준의 정보에 머무르지 않는 다종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검색 키가 자동 추출되기 때문에, 시청자에 의한 검색 키 지정 작업이 불필요해진다. 또 프로그램의 관련 정보가 갱신되면, 브라우저 화면(114)에 표시되는 정보도 차례로 갱신된다. 이로 인해, 시청자는 프로그램 영상을 계속 시청하면서 특단의 조작을 하지 않고, 프로그램의 최신정보에 기초해서 갱신된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2는 도 20의 S24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프로그램 정보 보유부(50)의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프로그램표를 표시시킨다(S50). 커서 표시부(90)는 시청자의 조작에 따라 제2 프로그램표의 복수의 프로그램 프레임 사이에서 커서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킨다. 커서가 이동했을 경우(S52의 Y),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커서로 지정된 프로그램 프레임, 바꿔 말하면 임시선택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프레임을 타채널의 프로그램 프레임보다 확대 표시시킨다(S54).
그 커서의 이동에 따라 프로그램 프레임의 일부가 비표시가 되고(S56의 Y), 그 프로그램 프레임이 방영중인 프로그램의 것일 경우(S58의 Y),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그 프로그램 프레임의 잔여영역에 프로그램 정보의 선두부터 표시시킨다(S60). 그 프로그램 프레임이 방영 종료 후의 프로그램의 것이라면(S58의 N), S60은 스킵된다. 또한 프로그램 프레임의 일부가 비표시가 되지 않는다면(S56의 N), S58 및 S60은 스킵된다. 커서의 이동이 없으면(S52의 N), S54~S60은 스킵된다.
이어서, 제2 프로그램표에서 시청 조작 대상의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바꿔 말하면 본선택 프로그램이 지정되면(S62의 Y),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선택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프로그램 상세 윈도우(136)에 팝업 표시시킨다(S64). 이 때, 프로그램 상세 윈도우(136)에 아울러 조작 아이콘(138)이 표시되고, 또한 배경이 되는 제2 프로그램표는 흐리게 표시된다. 본선택 프로그램에 대하여 녹화 예약이 설정되면(S66의 Y),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녹화 예약의 시간대를 나타내는 녹화 예약 라인(142)을 제2 프로그램표에 설정한다(S68).
녹화 예약이 설정되지 않으면(S66의 N), S68은 스킵된다. 본선택 프로그램의 지정이 없으면(S62의 N), S64~S68은 스킵된다. 문자 폰트의 변경이나 프로그램 프레임의 사이즈 변경 등, 제2 프로그램표의 표시 양태의 변경 지시가 접수되면(S70의 Y),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제2 프로그램표의 양태를 즉시 변경한다(S72). 표시 양태의 변경 지시가 없으면(S70의 N), S72는 스킵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제2 프로그램표에서 커서로 선택된 프로그램 프레임의 영역이 동적으로 확대되어, 선택전보다 많은 프로그램 정보가 표시된다. 이로 인해, 시청자는 프로그램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별도 화면을 표시시키는 등의 조작을 할 필요성이 저감된다. 바꿔 말하면, 프로그램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시청자의 조작이 간략화되어 전자 프로그램표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2 프로그램표와 프로그램 상세 윈도우(136)가 겹쳐서 표시됨으로 인해, 제2 프로그램표에서 시인하고 있던 시간이나 프로그램위치를 시청자의 인상에 남긴 채, 프로그램에 대하여 시청 조작을 실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상세 윈도우(136)의 배경이 되는 제2 프로그램표의 화질을 저하시킴으로써, 프로그램 상세 윈도우(136)의 시인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프로그램표의 표시를 유지한 채, 바꿔 말하면 별도의 설정화면으로 천이하지 않고, 사용자의 지정에 따라 제2 프로그램표의 표시 양태가 수시 변경된다. 이로 인해, 시청자는 표시 양태를 변화시킨 것에 따른 피드백을 즉석에서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인 용이성의 변화 등을 즉석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녹화 예약에 따라서 녹화 예약 라인(142)이 제2 프로그램표에 설정됨으로써, 다수 채널의 존재로 인해 녹화 예약된 프로그램 프레임을 직접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도 시청자는 녹화 예약의 설정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녹화 예약의 중복이나 예기치 않은 덮어쓰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부가 비표시가 된 프로그램 프레임에 대해서는 표시해야 할 프로그램 정보의 선두부터 표시시킴으로써, 그 프로그램 프레임의 잔여영역에 중요한 정보(프로그램 타이틀 등)가 우선해서 표시된다. 프로그램 정보의 도중부터 표시될 경우, 시청자는 애초에 무슨 프로그램인 지를 판별하기 어렵지만, 이처럼 프로그램 정보의 선두부터 표시됨으로 인해 프로그램 내용을 판별하기 쉬워진다. 한편, 방영중인 프로그램 프레임에 대해서만 프로그램 정보가 슬라이드 표시됨으로써, 시청자가 시청 가능한 프로그램에 한정하여 그 프로그램 내용을 판별하기 쉽게 제시할 수 있다.
도 23은 도 20의 S28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비디오 조작 화면 표시부(96)는 비디오 화면을 표시시키고, 녹화 리스트 표시부(98)는 그 비디오 화면에 있어서 녹화 리스트(150)를 표시시킨다(S80). 이 녹화 리스트에서는 재생이 도중에 중단된 녹화 컨텐트는 그 취지를 시사하는 양태로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재생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재생 진행률이 녹화 컨텐트 각각과 대응되어 표시된다. 이로 인해, 시청자는 재생해야 할 녹화 컨텐트를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재생 개시 지시가 접수되면(S82의 Y), 재생 처리부(66)는 녹화 컨텐트의 재생 처리를 개시하고(S84), 녹화 영상의 데이터를 프로그램 영상 표시부(84)에 차례로 송출한다. 프로그램 영상 표시부(84)는 그 녹화 영상을 디스플레이(14)에 표시시킨다(S86). 재생 정지 지시가 접수되지 않으면(S88의 N), S86로 돌아간다. 재생 정지 지시가 접수되면(S88의 Y), 재생 처리부(66)는 녹화 컨텐트의 재생 처리를 정지하고(S90), 그 시점에서의 재생 진행률을 녹화정보 보유부(52)에 저장한다(S92). 재생 개시 지시가 접수되지 않으면(S82의 N), S84~S92는 스킵된다.
도 24는 정보처리장치(1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동 도면은 주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서 실행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미리 정해진 통지 인터벌(예를 들면 1분)이 경과하면(S100의 Y), 시청상황 통지부(99)는 라이브 영상이 표시중인 프로그램 ID 및 녹화 예약완료된 프로그램 ID를 정보관리 서버(16)에 통지한다(S102). 통지 인터벌이 경과하지 않으면(S100의 N), S102는 스킵된다. 녹화 처리부(64)는 녹화정보 보유부(52)의 녹화정보를 참조하여, 예약된 녹화 처리를 실행한다. 즉, 녹화 처리가 미개시이고(S104의 N), 녹화 개시 시각이 되었을 경우(S106의 Y), 녹화 처리부(64)는 녹화 처리를 개시한다(S108). 녹화 개시 시각이 되지 않으면(S106의 N), S108은 스킵된다. 또한 녹화 처리가 개시완료이면(S104의 Y), S106 및 S108은 스킵된다.
녹화 처리가 개시완료이고(S110의 Y), 미리 정해진 순위결정 인터벌(예를 들면 1분)이 경과하면(S112의 Y), 지표값 취득부(68)는 라이브 지표값 및 예약 지표값을 정보관리 서버(16)로부터 취득한다(S114). 인기도 결정부(70)는 그 지표값들에 따라서 각 프로그램의 인기순위를 결정한다(S116). 녹화중인 프로그램이 소정 순위 이상이 되었을 경우(S118의 Y), 녹화 처리부(64)는 녹화 데이터에 챕터를 삽입한다(S120). 녹화중인 프로그램이 소정 순위 이상이 되지 않을 경우(S118의 N), S120은 스킵된다. 순위결정 인터벌이 경과하지 않으면(S112의 N), S114~S120은 스킵된다. 이처럼 녹화 컨텐트에 챕터가 설정됨으로 인해, 시청자는 그 녹화 컨텐트를 재생할 때에 시청자에게 인기 있는 장면을 용이하게 서치·첫머리 찾기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녹화 종료 시각이 되었을 경우(S122의 Y), 녹화 처리부(64)는 녹화 처리를 종료한다(S124). 썸네일 설정부(72)는 인기순위가 소정 순위 이상이 된 시점의 녹화 영상·화상으로부터 썸네일 화상을 설정하여 썸네일 보유부(54)에 저장한다(S126). 녹화 종료 시각이 되지 않으면(S122의 N), S124 및 S126은 스킵된다. 녹화 처리가 미개시이면(S110의 N), S112~S126은 스킵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시청자에게 인기 있는 장면이 썸네일 화상이 되어, 썸네일 화상에 의한 녹화 컨텐트의 식별성이 높아진다.
이상, 전제 기술의 한 형태를 설명하였다. 이 형태는 예시이며, 그들의 각 구성 요소나 각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에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한 그러한 변형예도 전제 기술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이하, 전제 기술의 변형예를 제시한다.
제1 변형예를 설명한다. 상기 전제 기술의 한 형태의 검색 키 취득부(74)는 EPG 정보로서 접수된 프로그램 정보를 검색 키로 하였다. 변형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11)는 문자다중방송(이른바 자막방송)에 있어서 자막정보를 튜너(13)로부터 취득하는 자막정보 취득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검색 키 취득부(74)는 이 자막정보에 포함되는 자막 문자열을 검색 키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자막 문자열을 형태소 해석하고, 그 자막 문자열에 포함되는 명사구를 검색 키로 해도 된다. 또한 자막정보 취득부가 새로운 자막정보를 취득했을 경우, 검색 키 취득부(74)는 그 새로운 자막정보에 포함되는 자막 문자열을 새로운 검색 키로 해서, 검색 실행부(76)에 새로운 검색 처리를 실행시켜도 된다.
제2 변형예를 설명한다. 검색 키 취득부(74)는 지표값 취득부(68)에서 취득된 라이브 지표값이나 예약 지표값, 인기도 결정부(70)에서 결정된 각 프로그램의 인기순위에 따라서 검색 키를 취득해도 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프로그램의 인기가 높아진 시점의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검색 키로 해서 시청자에게 유용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면 어느 프로그램의 영상을 표시하는 중에, 그 프로그램의 라이브 지표값이나 예약 지표값, 혹은 그들의 합계값이 소정 값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그 시점의 프로그램 정보나 자막 문자열로부터 검색 키를 취득해도 된다. 또한 어느 프로그램의 영상을 표시하는 중에, 그 프로그램의 인기순위가 소정 순위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그 시점의 프로그램 정보나 자막 문자열로부터 검색 키를 취득해도 된다. 한편 자막 문자열, 지표값, 인기순위의 이력이 프로그램 ID와 대응되어 데이터 보유부(48)에 보유되어도 되고, 녹화 컨텐트 재생시, 검색 키 취득부(74)는 그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검색 키를 취득해도 된다.
제3 변형예를 설명한다. 상기 전제 기술의 한 형태에서는 제1 프로그램표에 대하여 각 프로그램의 인기순위를 반영한 표시 양태로 하는 것으로 하고, 제2 프로그램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변형예에서는 제2 프로그램표에 대해서도 각 프로그램의 인기순위를 반영한 표시 양태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제2 프로그램표 표시부(94)는 인기도 결정부(70)에 의해 결정된 인기순위에 따라, 제2 프로그램표의 각 프로그램 프레임의 표시 양태(색채나 문자 폰트 등)를 변화시켜도 된다. 또 제1 프로그램표와 마찬가지로, 순위 인디케이터나 지표값 자체의 데이터를 프로그램 프레임과 대응시켜서 표시시켜도 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제2 프로그램표에 있어서 시청 조작의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시청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시청자가 많이 녹화 예약한 프로그램을 시청자에게 시사할 수 있어, 시청자가 녹화 예약할 프로그램을 결정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제4 변형예를 설명한다.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시청자의 속성이나 취향, 프로그램의 관련 정보에 따라 채널마다 프로그램 프레임의 크기, 전형적으로는 채널축방향의 길이를 동적으로 변화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시청자의 연령층이나 성별에 따라, 그 속성을 가지는 시청자가 시청하기 쉬운 경향이 있는 채널일수록 그 프로그램 프레임을 크게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현시점의 인기순위가 높은 채널일수록 그 프로그램 프레임을 크게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1개의 프로그램의 방영이 종료되고, 다음 프로그램의 방영이 미개시인 채널의 프로그램 프레임을, 프로그램의 방영이 계속중인 타채널의 프로그램 프레임보다 작게 표시시켜도 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시청자가 선택하기 쉬울 것으로 상정되는 채널의 프로그램 프레임일수록 그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표시 가능한 프로그램 정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5 변형예를 설명한다. 프로그램 영상 취득부(58)는 인기도 결정부(70)에 의해 결정된 현시점의 인기순위가 소정 순위 이상(전형적으로는 1위)인 프로그램 영상을 튜너(13)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인기순위가 변동되었을 경우, 그 변동에 따라서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채널을 동적으로 전환해도 된다. 프로그램 영상 표시부(84)는 프로그램 영상 취득부(58)에 의해 인기순위의 변동에 따라서 취득된 프로그램 영상을 디스플레이(14)에 표시시킨다. 이 양태에 의하면, 시청자에게 인기가 높은 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선택되어, 디스플레이(14)에는 항상 인기가 높은 프로그램 영상이 표시된다. 이른바, 시청자에 의한 조작이 불필요한 재핑(zapping) 처리가 실현된다.
제6 변형예를 설명한다. 재생 처리부(66)는 녹화 컨텐트를 재생했을 때, 그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프로그램 ID와 함께 정보관리 서버(16)에 통지해도 된다. 정보관리 서버(16)는 그 프로그램 ID의 프로그램을 녹화 예약한 시청자에게서 차지하는, 녹화 컨텐트를 재생한 시청자의 비율을 나타내는 재생 실시율을 프로그램 ID와 대응시켜서 정기적으로 정보처리장치(11)에 송신해도 된다. 그 재생 실시율은 녹화정보 보유부(52)의 녹화정보에 저장된다. 그리고 녹화 리스트 표시부(98)는 녹화 리스트에서의 녹화 컨텐트 각각에 재생 실시율을 더 대응지어서 표시시켜도 된다. 시청자는 각 녹화 컨텐트의 재생 실시율을 참고로 해서, 복수의 녹화 컨텐트 중에서 자신이 시청할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제7 변형예를 설명한다. 녹화 처리부(64)는 시청자에 의한 녹화 조작이 없어도, 인기순위가 소정 순위 이상(전형적으로는 1위)인 라이브 영상을 녹화해도 된다. 이 경우, 녹화 처리부(64)는 인기순위의 변동에 따라, 녹화하는 라이브 영상을 동적으로 변경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인기순위가 높은 프로그램의 라이브 영상이 항상 백그라운드에서 녹화되게 된다. 시청자는 다른 시청자에게 인기가 높았던 프로그램 영상을 나중에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변형예의 양태는 특히 복수의 튜너(13)를 구비하는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10)에서 적합하다. 상기 전제 기술의 한 형태에서는 시청자가 어느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중에, 제1 프로그램표에 의해 다른 프로그램의 인기가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시점에 다른 프로그램으로 전환해도 인기가 높아진 프로그램 영상 자체의 확인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 변형에 의하면, 인기가 높아진 프로그램 영상이 항상 녹화되고 있기 때문에, 시청자는 인기가 높아진 프로그램 영상 자체를 확인하기 쉬워져 시청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제8 변형예를 설명한다. 커서 표시부(90)는 제2 프로그램표에서의 커서 이동에 대하여, 시청자로부터 소정 조작이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녹화 예약완료된 프로그램 프레임을 커서에 의해 순차 선택시켜도 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시청자는 제2 프로그램표에 있어서 녹화 예약완료된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제9 변형예를 설명한다. 상기 전제 기술의 한 형태에서는 각 프로그램의 인기순위는 정보처리장치(11)에서 결정되는 것으로 하였다. 변형예에서는 각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 전체 속성의 인기순위 및 시청자 속성마다의 인기순위는 정보관리 서버(16)에서 결정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정보처리장치(11)의 지표값 취득부(68)는 그 인기순위를 지표값으로 해서 정보관리 서버(16)로부터 취득해도 되고, 인기도 결정부(70)는 취득된 인기순위를 그대로 데이터 처리부(56)에 송출해도 된다.
제10 변형예를 설명한다. 상기 전제 기술의 한 형태에서는 인기순위의 이력이 정보처리장치(11)에 보유되는 것으로 하였다. 변형예에서는 그 인기순위의 바탕이 된 지표값의 이력이 정보관리 서버(16)에 보유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정보관리 서버(16)는 집계이력 보유부를 더 구비하고, 집계이력 보유부는 시청상황의 집계 결과를 일시(日時) 정보와 대응시키고 집계 이력으로서 보유해도 된다. 정보처리장치(11)에 있어서 과거에 방영된 프로그램의 인기순위를 취득해야 할 때(예를 들면 녹화 컨텐트를 재생할 때)에는 정보관리 서버(16)로부터 집계 이력을 취득하여 과거의 인기순위를 결정해도 된다.
제11 변형예를 설명한다. 상기 전제 기술의 한 형태에서는, 프로그램 정보 취득부(60)는 튜너(13)로부터 EPG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하였다. 변형예에서는, 프로그램 정보 취득부(60)는 인터넷(15)을 통해 인터넷(15) 상의 정보제공 서버로부터 EPG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또한 프로그램 정보 취득부(60)는 EPG 정보를 튜너(13)로부터 취득함과 아울러, 그 EPG 정보에 부가하여 전자 프로그램표에 표시해야 할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인터넷(15)을 통해 취득해도 된다.
제12 변형예를 설명한다. 상기 전제 기술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11)의 기능은 튜너(13)에 실장되어도 된다. 이 경우, 튜너(13)는 도 5의 CPU(300), GPU(302), 메인 메모리(308),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34), 네트워크 카드(330), 인터페이스(332) 등을 포함해도 된다. 그리고 도 6에 기재된 각종 기능이 튜너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제13 변형예로서 제1 프로그램표(116)의 표시 양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25는 본 변형예의 제1 프로그램표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낸다. 동 도면의 표시 이미지는 도 13에 대응하고 있으며, 도 13의 구성 요소와 동일 혹은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표시국 인디케이터(160)는 영상표시화면(110)에서 표시중인 방송국을 나타낸다. 제1 프로그램표(116)의 프로그램 프레임(118a), 프로그램 프레임(118b), 프로그램 프레임(118c)(이들을 총칭하여 "프로그램 프레임(118)"이라고도 함) 각각은 시청수 필드(162), 녹화수 필드(164), 시청 증감수 필드(166), 녹화 증감수 필드(168), 진행도 인디케이터(126)를 포함한다.
진행도 인디케이터(126)는 각 방송국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현재 시점에서의 진행 정도를 나타낸다. 시청수 필드(162)는 각 방송국의 프로그램을 시청중인 사용자수를 나타낸다. 녹화수 필드(164)는 각 방송국의 프로그램을 녹화중인 사용자수를 나타낸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청수 필드(162)의 시청 사용자수와, 녹화수 필드(164)의 녹화 사용자수는 정기적(본 변형예에서는 1분마다 경과되는 것으로 함, 이하 동일)으로 갱신된다. 시청 증감수 필드(166)는 갱신전의 시청 사용자수와 갱신후의 시청 사용자수의 차분, 즉 시청 사용자수의 갱신에 따른 증감값을 나타낸다. 녹화 증감수 필드(168)는 녹화 사용자수의 갱신에 따른 증감값을 나타낸다. 시청 증감수 필드(166) 및 녹화 증감수 필드(168)의 값도 시청수 필드(162) 및 녹화수 필드(164)의 갱신에 따라 갱신된다.
이러한 제1 프로그램표(116)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정보관리 서버(16)는 상기 전제 기술의 한 형태에 나타낸 구성에 더하여, 녹화를 실행중인 사용자수를 집계하기 위한 녹화 실행수 집계부를 더 구비한다. 녹화 실행수 집계부는 시청자가 현재 녹화중인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ID를, 복수의 정보처리장치(11) 각각으로부터 정기적으로 취득하여 집계한다. 그렇기 때문에, 정보처리장치(11)의 시청상황 통지부(99)는 녹화 처리부(64)에 의해 녹화중인 프로그램 ID를 정기적으로 정보관리 서버(16)에 송신한다.
정보처리장치(11)의 지표값 취득부(68)는 라이브 지표값으로서, 현재 방영중인 각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수인 시청 사용자수와, 각 프로그램을 녹화하고 있는 사용자수인 녹화 사용자수를 정기적으로 정보관리 서버(16)로부터 취득한다. 인기도 결정부(70)는 지표값 취득부(68)에 의해 취득된 시청 사용자수 및 녹화 사용자수를 그대로 인기의 정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영상표시화면(110)에서 표시중인 프로그램 영상에 겹쳐서 제1 프로그램표(116)와 표시국 인디케이터(160)를 표시시킨다.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시청 사용자수를 시청수 필드(162)에 설정하고, 지난번에 설정한 시청 사용자수와 이번에 설정하는 시청 사용자수의 증감값을 산출하여 시청 증감수 필드(166)에 설정한다. 또한 녹화 사용자수를 녹화수 필드(164)에 설정하고, 지난번에 설정한 녹화 사용자수와 이번에 설정하는 녹화 사용자수의 증감값을 산출하여 녹화 증감수 필드(168)에 설정한다.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시청수 필드(162), 녹화수 필드(164), 시청 증감수 필드(166), 녹화 증감수 필드(168)의 갱신 처리를 지표값 취득부(68)에 의해 새로 라이브 지표값이 취득될 때마다, 즉 1분 경과시마다 반복한다.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시청 사용자수의 증감수가 소정 역치 이상(예를 들면 ±500명 이상)일 경우, 도 25의 프로그램 프레임(118a) 및 프로그램 프레임(118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시청 증감수 필드(166)를 통상보다 강조한 양태로 표시시킨다. 마찬가지로, 녹화 사용자수의 증감수가 소정 역치 이상(예를 들면 ±100명 이상)일 경우, 도 25의 프로그램 프레임(118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녹화 증감수 필드(168)를 통상보다 강조한 양태로 표시시킨다.
한편, 여기서는 프로그램 프레임(118)에 있어서 강조 표시의 기준으로 증감수를 사용했지만,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증감률을 산출하고, 그 증감률이 소정 역치 이상의 변동을 나타내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강조 표시를 해도 된다. 또한 증감수와 증감률의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이 소정 역치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강조 표시를 해도 된다. 또한 증가수와 증가율의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이 소정 역치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강조 표시를 해도 되고, 감소수와 감소율의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이 소정 역치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강조 표시를 해도 된다. 또한 증가와 감소의 어느 한쪽을 조건으로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강조 표시 대신에, 미리 정해진 화상이나 영상을 해당하는 프로그램 프레임(118)에 표시시킴으로써, 시청 사용자수 또는 녹화 사용자수의 대폭적인 증감을 연출적으로 사용자에게 시사해도 된다. 또한 시청 사용자수 및 녹화 사용자수의 증감수 및/또는 증감률은 정보관리 서버(16)에 의해 산출되며, 정보처리장치(11)는 그 증감수 및/또는 증감률을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
또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각 프로그램 프레임(118)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진행도 인디케이터(126)를 설정한다. 바꿔 말하면,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지 않은 프로그램, 혹은 도시하지 않은 커서에 의해 선택하지 않은 프로그램 프레임(118)의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진행도 인디케이터(126)를 설정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미시청 혹은 미선택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각 프로그램의 진행 정도를 부감(俯瞰;overlook)하기 쉬워져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선택하기 쉬워진다.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프로그램 프레임(118)의 다른 표시나 프로그램 영상에 오버레이시켜서 진행도 인디케이터(126)를 표시시켜도 된다. 바꿔 말하면, 다른 표시 오브젝트에 대하여 진행도 인디케이터(126)를 오버레이 표시시켜도 된다.
한편, 프로그램의 진행 정도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표시 양태는 그래프 형식의 진행도 인디케이터(126)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프로그램의 진행 정도에 따라서 프로그램 프레임(118)에 다른 표시 양태(예를 들면 다른 배경색)를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프레임(118)에 있어서 제1 배경색과 제2 배경색의 표시비율을 진행도 인디케이터로 해서 프로그램의 진행 정도에 따라서 차례로 변화시켜도 되고, 프로그램의 진행에 따라 한쪽 배경색의 비율을 점차 크게 해도 된다. 이 경우의 진행도 인디케이터에 대해서도 다른 표시 오브젝트에 대하여 오버레이 표시시켜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사용자가 선택중인 프로그램, 즉 영상표시화면(110)에 표시중인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프레임(118)의 진행도 인디케이터를, 미선택의 다른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진행도 인디케이터와는 다른 양태(예를 들면 다른 색)로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자(自)장치에 있어서 프로그램의 시청상황에 변화가 있었을 경우, 정보관리 서버(16)로부터의 정보 취득을 기다리지 않고, 프로그램 프레임(118)의 시청수 필드(162)를 갱신함으로써 그 변화를 제1 프로그램표(116)에 즉시 반영한다. 구체적으로는 시청중인 프로그램이 다른 프로그램으로 전환되었을 때, 예를 들어 조작 검출부(44)가 프로그램 전환 조작을 검출했을 때,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그때까지 선국(選局)되어 있던 프로그램 프레임(118)의 시청수 필드(162)를 즉시 디크리먼트(decrement)한다. 또 새로 선국된 프로그램 프레임(118)의 시청수 필드(162)를 즉시 인크리먼트(increment)한다.
마찬가지로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자(自)장치에 있어서 프로그램의 녹화 상황에 변화가 있었을 경우, 정보관리 서버(16)로부터의 정보 취득을 기다리지 않고, 프로그램 프레임(118)의 녹화수 필드(164)를 갱신함으로써 그 변화를 제1 프로그램표(116)에 즉시 반영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그램 녹화가 개시되었을 때, 예를 들어 조작 검출부(44)가 녹화 개시 조작을 검출했을 때나 녹화 처리부(64)가 녹화 처리를 개시했을 때,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녹화 대상인 프로그램 프레임(118)의 녹화수 필드(164)를 즉시 인크리먼트한다. 또한 프로그램 녹화가 종료되었을 때, 제1 프로그램표 표시부(92)는 녹화 대상이었던 프로그램 프레임(118)의 녹화수 필드(164)를 즉시 디크리먼트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제1 프로그램표(116)에 각 프로그램의 시청 사용자수 및 녹화 사용자수가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각 프로그램의 인기 정도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쉬워진다. 또한 증감수가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각 프로그램의 인기 추이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쉬워진다. 또한 시청 사용자수나 녹화 사용자수가 대폭 증감한 프로그램, 바꿔 말하면 인기가 급변한 프로그램을 거의 리얼타임으로 파악하기 쉬워진다. 이처럼 단순히 프로그램 영상을 시청할 뿐만 아니라 다른 시청자의 동향을 파악하기 쉽게 함으로써 프로그램 시청의 흥취를 높임과 아울러, 프로그램 선택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기가 상승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그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시청 의욕을 환기하여 시청해야 할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놓치는 것을 회피시키기 쉬워진다.
(제2 전제 기술)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전제 기술의 한 형태의 정보처리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다. 제2 전제 기술의 정보처리 시스템(100)에서는 전제 기술에서 이미 기술한 구성에 더하여,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10)과 투고 사이트 서버(18)가 인터넷(15)을 통해 접속된다.
투고 사이트 서버(18)는 프로그램을 시청중인 시청자의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그때그때의 감상이 적힌 코멘트(전형적으로는 100문자 정도의 단문이며, 이하에서는 "트위트"라고도 함)가, 시청자의 단말로부터 즉시 투고되는 투고 사이트를 인터넷(15) 상에 공개한다. 투고 코멘트에는 다른 코멘트와 그룹화하기 위한 태그이며,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투고 코멘트를 일괄하여 검색하기 위한 검색 키워드가 되는 태그(이하, "해시태그"라고도 함)가 투고자(시청자)에 의해 부가되는 경우가 있다.
투고 사이트 서버(18)는 특정 해시태그를 지정한 코멘트 취득 요구(바꿔 말하면 검색 요구)를 접수하면, 그 해시태그가 부가된 1 이상의 코멘트의 데이터를 검색 요구원의 클라이언트에게 일괄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투고 사이트로는 예를 들면 "Twitter"(상표 혹은 등록상표)를 들 수 있다.
제2 전제 기술의 정보처리장치(11)는 다양한 시청자로부터 투고 사이트 서버(18)에 투고된 코멘트를 취득하여,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제시함으로써 지금까지 없던 시청 체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27은 도 26의 정보처리장치(11)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정보처리장치(11)는 전제 기술에서 이미 기술한 구성에 더하여, 코멘트 보유부(400), 코멘트 처리부(402), 코멘트 표시부(404), 지역정보 표시부(406)를 더 포함한다.
제2 전제 기술에서는 프로그램 정보 취득부(60)에 의해 취득되어 프로그램 정보 보유부(5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정보에, 1개의 프로그램을 고유하게 특정하는 식별정보로서 미리 정해진 서비스 ID 및 이벤트 ID와, 프로그램의 내용이 속하는 장르나 카테고리(예를 들면 뉴스·버라이어티·스포츠 등)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데이터 보유부(48)에는 사용자의 속성정보로서 1 이상의 특정 방송국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시청 지역을 나타내는 정보가 미리 보유되는 것으로 한다.
도 28은 도 27의 코멘트 보유부(400)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코멘트 보유부(400)는 취득 코멘트 보유부(410)와 정형 코멘트 보유부(412)를 포함한다. 취득 코멘트 보유부(4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정보처리장치(11)가 투고 사이트 서버(18)로부터 취득한 코멘트를 보유하는 기억영역이다. 투고 사이트 서버(18)로부터 취득되는 코멘트에는 그 코멘트의 투고 일시가 부가되어 있다.
정형 코멘트 보유부(412)는 투고 사이트 서버(18)에 대한 투고 코멘트의 작성을 지원하기 위한 이미 만들어진 코멘트인 정형 코멘트를 보유하는 기억영역이다. 도 29는 정형 코멘트 보유부(412)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낸다. 정형 코멘트 보유부(412)는 뉴스·버라이어티·스포츠 등, 복수 종류의 프로그램의 장르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정보와, 각 장르에 상응할 것으로 상정되는 정형 코멘트를 대응시켜 보유한다. 이 정형 코멘트는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라서 투고되기 쉬운 전형적인 코멘트라고도 할 수 있다. 동 도면의 정형 코멘트 내의 "프로그램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투고 코멘트 작성시에, 사용자가 시청중인 프로그램의 명칭(예를 들면 "7시 뉴스" 등)으로 동적으로 대체된다.
도 30은 도 27의 코멘트 처리부(402)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코멘트 처리부(402)는 코멘트 취득부(420), 코멘트 투고부(422), 태그 집계부(424)를 포함한다.
코멘트 취득부(4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특정되는 해시태그를 검색 키로 해서 코멘트 취득 요구를 투고 사이트 서버(18)에 송신하고, 그 해시태그가 부가된 1 이상의 코멘트의 데이터를 투고 사이트 서버(18)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코멘트의 데이터를 취득 코멘트 보유부(410)에 저장한다.
코멘트 투고부(422)는 코멘트 작성화면(후술)에서 사용자가 작성한 코멘트의 데이터를 투고 사이트 서버(18)에 송신함으로써 그 코멘트를 투고 사이트 서버(18)에 등록한다. 코멘트 투고부(422)는 사용자가 작성한 코멘트를 투고할 때에, 정보처리장치(11)에 인스톨되어 프로그램 시청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하, "프로그램 시청 소프트"라고도 함)를 나타내는 미리 정해진 해시태그와, 사용자가 시청중인 방송국을 나타내는 미리 정해진 해시태그를 그 코멘트에 부가한다.
한편, 코멘트 취득부(420) 및 코멘트 투고부(422)는 투고 사이트 서버(18)가 공개하는 Web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중 코멘트 취득용 API 및 코멘트 투고용 API를 호출함으로써 상기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태그 집계부(424)는 취득 코멘트 보유부(410)에 보유된 복수의 코멘트를 참조하여, 각 코멘트에 부가된 해시태그의 수를 그 종류마다 집계한다. 바꿔 말하면, 복수의 코멘트에 걸친 각 해시태그의 등장 횟수를 집계한다. 바꿔 말하면, 복수 종류의 해시태그(예를 들면 "#soccer"나 "#kokkai") 각각이 부가된 코멘트의 수를 해시태그의 종류마다 산출한다. 한편, 취득 코멘트 보유부(410)에 보유된 코멘트는 사용자의 조작(화면 선택 조작 등)에 기초하여 투고 사이트 서버(18)로부터 취득된 것이며,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표시 대상이 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 태그 집계부(424)는 집계 시각으로부터 과거 1시간 이내에 투고된(바꿔 말하면, 투고 일시가 집계 시각으로부터 과거 1시간 이내인) 코멘트를 해시태그의 집계 대상으로 한다. 또 태그 집계부(424)는 해시태그의 집계 처리를, 정보화면의 표시 조작이 검출된 것을 트리거로 개시해도 되고, 일정 시간(예를 들면 10분)의 경과를 검출한 것을 트리거로 개시해도 된다.
도 31은 도 27의 코멘트 표시부(404)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코멘트 표시부(404)는 제1 코멘트 표시부(430), 제2 코멘트 표시부(432), 커서 표시부(434), 코멘트 요소 선택부(436), 작성화면 표시부(438), 코멘트 작성 지원부(440), 입력 코멘트 설정부(442), 빈출 태그 표시부(444)를 포함한다.
제1 코멘트 표시부(430)는 모든 트위트 리스트(이하, "TL"이라고 표기함)를 표시하는 전체 TL 화면(후술)을 디스플레이(14)에 표시시킨다. 제2 전제 기술에서 트위트 리스트는 투고 사이트 서버(18)에의 투고 코멘트를 표시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투고 코멘트를 시계열로 배치한 이른바 타임라인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2 코멘트 표시부(432)는 특정 방송국에 관한 코멘트를 표시하는 채널 TL 화면(후술), 및 특정 해시태그에 관한 코멘트를 표시하는 해시태그 TL 화면(후술)을 디스플레이(14)에 표시시킨다.
커서 표시부(434)는 제1 코멘트 표시부(430) 및 제2 코멘트 표시부(432)가 표시한 TL 화면에서 특정 영역(이하, "에어리어"라고도 함)이나 특정 코멘트를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커서를 표시시킨다. 커서 표시부(434)는 컨트롤러(12)의 십자키 중 상하 스위치가 눌러진 것이 조작 검출부(44)에서 검출되었을 경우, 복수의 에어리어나 코멘트에 걸쳐서 커서를 이동시켜도 된다.
코멘트 요소 선택부(436)는 컨트롤러(12)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커서에 의해 포커스된 에어리어나 코멘트에 있어서 특정한 요소 문자열을 선택한다. 이 요소 문자열은 전형적으로는 코멘트 본문과 다른 문자열이며, 예를 들면 웹페이지의 URL이나 해시태그의 문자열이다. 코멘트 요소 선택부(436)는 컨트롤러(12)의 십자키 중 좌우 스위치가 눌러진 것이 조작 검출부(44)에서 검출되었을 경우, 커서에 의한 포커스된 코멘트에 부가된 각각의 해시태그를 순차 선택하여 소정 양태로 강조 표시시켜도 된다.
작성화면 표시부(438)는 코멘트의 투고 조작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트위트 메뉴 화면(후술), 및 투고용 코멘트를 작성하기 위한 코멘트 작성화면(후술)을 디스플레이(14)에 표시시킨다. 작성화면 표시부(438)는 코멘트 작성화면에 있어서 코멘트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키보드(바꿔 말하면 "스크린 키보드")를 표시시킨다.
코멘트 작성 지원부(440)는 프로그램 정보 보유부(50)에 보유된 프로그램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청중인 프로그램의 장르를 특정한다. 그리고 정형 코멘트 보유부(412)에 보유된 프로그램 장르와 정형 코멘트의 대응 관계에 따라, 사용자가 시청중인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른 정형 코멘트를 선택한다.
입력 코멘트 설정부(442)는 코멘트 작성화면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를, 코멘트 작성화면의 코멘트 작성 에어리어에 설정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정형 코멘트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선택된 정형 코멘트를 코멘트 작성 에어리어에 자동으로 설정한다.
빈출 태그 표시부(444)는 사용자에 의해 정보화면(후술)의 표시가 지시되었을 경우, 태그 집계부(424)로 집계된 각 해시태그의 출현 횟수에 대하여 상위 8개의 해시태그(이하, "빈출 태그"라고도 함)를 특정한다. 그리고 빈출 태그 각각을, 복수의 코멘트에 걸친 출현 횟수와 함께 정보화면의 빈출 태그 표시영역에 표시시킨다.
도 27로 돌아가, 지역정보 표시부(406)는 사용자에 의해 정보화면(후술)의 표시가 지시되었을 경우, 각 지역에서 각 방송국의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수인 시청 사용자수를 지표값 취득부(68)로부터 취득한다. 그렇기 때문에, 정보관리 서버(16)의 시청자수 집계부(26)는 사용자가 시청중인 프로그램의 정보를 그 방송국을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정보처리장치(11)로부터 취득하고, 각 지역의 방송국마다 시청 사용자수를 집계한다. 그리고 정보처리장치(11)의 지표값 취득부(68)는 각 지역의 각 방송국의 시청 사용자수를 취득하여 지역정보 표시부(406)에 제공한다. 지역정보 표시부(406)는 각 지역의 각 방송국의 시청 사용자수를 정보화면의 국별 시청상황 표시영역에 표시시킨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32는 영상표시화면(110)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내며, 도 11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전제 기술에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영상 취득부(58)가 복수의 방송국에서 방송중인 복수의 프로그램 중 사용자가 선택한 1개의 프로그램의 영상을 튜너(13)로부터 취득하고, 그 영상정보에 따라 프로그램 영상 표시부(84)가 프로그램 영상을 영상표시화면(110)에 표시시킨다. 여기서, 제2 전제 기술의 조작 아이콘(112)에는 라이브 기능 아이콘(112b)이 포함된다. 영상표시화면(110)에서 사용자에 의해 라이브 기능 아이콘(112b)이 선택되면, 이후의 플로우 차트에서 설명하는 라이브 기능이 개시된다.
도 33은 도 26의 정보처리장치(1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영상표시화면(110)에서 라이브 기능 아이콘(112b)이 선택되면(S130의 Y), 코멘트 취득부(420)는 데이터 보유부(48)에 보유된 사용자의 시청 지역과 대응하는 복수의 방송국 각각의 해시태그를 검색 키로 해서, 코멘트의 취득 요구를 투고 사이트 서버(18)에 송신한다. 그리고 각 방송국의 해시태그가 부가된 코멘트를 투고 사이트 서버(18)로부터 취득하여 취득 코멘트 보유부(410)에 저장한다. 바꿔 말하면, 사용자의 시청 지역에 대응하는 각 방송국에서 방송중인 프로그램에 대하여 다양한 시청자에 의해 투고된 코멘트를 취득한다(S132).
제1 코멘트 표시부(430)는 취득 코멘트 보유부(410)에 저장된 각 방송국의 해시태그가 부가된 코멘트를 취득한다. 그리고 어느 방송국의 해시태그가 부가된 투고 코멘트에 대하여, 그 수가 많을수록 그 방송국의 투고 코멘트의 표시에 있어서 스크롤 속도를 빠른 값으로 결정한다. 바꿔 말하면, 상대적으로 투고 코멘트수가 적은 방송국에 대한 투고 코멘트의 스크롤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투고 코멘트수가 많은 방송국에 대한 투고 코멘트의 스크롤 속도를 빠른 값으로 결정한다(S134). 예를 들어 제1 코멘트 표시부(430)는 0~20건, 20~40건, …, 80건에서 100건이라는 투고 코멘트수의 범위 각각과, 스크롤 속도의 대응 관계를 미리 보유해도 되고, 그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각 방송국에 대한 투고 코멘트의 스크롤 속도를 결정해도 된다. 제1 코멘트 표시부(430)는 각 방송국에 대한 투고 코멘트를 병행해서 스크롤 표시시키는 전체 TL 화면을 표시시킨다(S136).
도 3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코멘트 취득부(420)는 미리 정해진 대기 기간(예를 들면 1분)이 경과된 것을 검출하면, 투고 사이트 서버(18)로부터 각 방송국에 대한 투고 코멘트를 다시 취득한다. 제2 전제 기술에서는 각 방송국에 대한 투고 코멘트를 투고 일시가 새로운 것부터 순서대로 최대 100개 취득하는 것으로 한다. 제1 코멘트 표시부(430)는 코멘트 취득부(420)에서 취득된 코멘트수의 추이에 따라 투고 코멘트의 스크롤 속도를 차례로 변화시킨다. 바꿔 말하면, 코멘트수가 감소하면 스크롤 속도를 저하시키는 한편, 코멘트수가 증가하면 스크롤 속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코멘트 취득부(420)는 미리 정보처리장치(11)에 등록된 투고 사이트의 사용자 계정(user account)을 사용하여, 투고 사이트 서버(18)에서 그 사용자 계정과 대응된 코멘트도 취득한다.
도 34는 전체 TL 화면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낸다. 영상표시화면(110)에서 라이브 기능 아이콘(112b)이 선택되면, 제1 코멘트 표시부(430)는 디스플레이(14)의 표시화면의 일부를 라이브 정보 표시영역(450)으로 한다. 그리고 프로그램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표시화면(110)과 나란히, 라이브 정보 표시영역(450)에 전체 TL 화면(454)을 표시시킨다. 전체 TL 화면(454)에서는 라이브 기능이 실행중인 것을 나타내는 라이브 기능 태그(452)와, 전체 TL 화면(454)인 것을 나타내는 전체 TL 탭(456)이 표시된다.
제1 코멘트 표시부(430)는 국별 코멘트 에어리어(458)에 마련된 각 방송국의 영역에, 각 방송국이 방송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투고 코멘트를 병행해서 표시시킨다. 바꿔 말하면, 어느 방송국이 방송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투고 코멘트는 다른 방송국이 방송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투고 코멘트와는 독립해서 표시시킨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시청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다른 시청자의 리얼타임 코멘트를 사용자에게 차례로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시청중이 아닌 타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의 리얼타임 코멘트도 함께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시청자의 코멘트(트위트)는 프로그램표에 제시된 정보로는 알 수 없는 시청자의 생생한 목소리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시청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코멘트에 더하여 타프로그램에 대한 코멘트를 동시에 확인하여 시청할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동시간대에 시청하고 있는 사람들의 그때그때의 생각을 사용자에게 차례로 제시함으로써, 다른 시청자와의 원만한 관계를 사용자에게 의식시키는 참신한 시청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제1 코멘트 표시부(430)는 국별 코멘트 에어리어(458)의 각 방송국의 영역에, 각 방송국의 프로그램에 대한 투고 코멘트를 그 투고수에 따른 스피드로, 투고 일시가 새로운 것부터 순차 왼쪽으로 스크롤시켜서 표시시킨다. 이로 인해, 코멘트수가 많은 프로그램, 전형적으로는 많은 시청자가 열광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파악시킬 수 있고, 또한 많은 시청자가 열광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또 제1 코멘트 표시부(430)는 투고 코멘트를 표시시킬 때, 각 코멘트에 부가된 해시태그 및 URL 문자열을 표시 대상에서 제외, 바꿔 말하면 비표시로 한다. 예를 들어 취득 코멘트 보유부(410)로부터 코멘트를 취득한 후, 그 코멘트로부터 해시태그 및 URL 문자열을 삭제한 뒤에 그 코멘트를 표시시켜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코멘트 표시부(430)는 코멘트 문자열에 있어서 해시태그의 개시를 나타내는 소정 문자열(예를 들면 "#")을 검출했을 경우, 거기에서부터 해시태그의 종료를 나타내는 소정 문자열(예를 들면 공백문자, 스페이스)까지를 삭제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URL의 개시를 나타내는 소정 문자열(예를 들면 "http://")을 검출했을 경우, 거기에서부터 URL의 종료를 나타내는 소정 문자열(예를 들면 공백문자, 스페이스)까지를 삭제해도 된다.
국별 코멘트 에어리어(458)는 복수의 방송국 영역이 포함되며, 각각의 방송국의 코멘트 표시영역은 상대적으로 작지만, 이 양태에 의하면 각 코멘트의 표시 대상을 그 본문에 한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코멘트를 본질 부분은 유지시키면서 효율적으로 표시시킬 수 있다.
또 제1 코멘트 표시부(430)는 각 방송국이 방송중인 프로그램의 시청자수를 지표값 취득부(68)로부터 취득하고, 각 방송국의 코멘트 표시영역에서 표시시킨다. 또 제1 코멘트 표시부(430)는 영상표시화면(110)에서 표시중인(사용자가 시청중인)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방송국의 영역을 다른 영역과 배경색을 다르게 하는 등, 소정 양태로 강조 표시시켜도 된다. 이로 인해, 현재 시청중인 프로그램을 타프로그램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1 코멘트 표시부(430)는 사용자 코멘트 에어리어(460)에, 사용자 계정과 대응된 코멘트를 스크롤 표시시킨다. 또한 정보 에어리어(462)는 정보화면(후술)으로 이행시킬 때에 선택되는 영역이다. 본 소프트 태그 에어리어(464)는 프로그램 시청 소프트를 나타내는 해시태그가 부가된 코멘트, 즉 프로그램 시청 소프트에 관한 코멘트 표시화면으로 이행시킬 때에 선택되는 영역이다.
커서 표시부(434)는 전체 TL 화면(454)에서, 국별 코멘트 에어리어(458)에서의 어느 한 방송국의 영역, 사용자 코멘트 에어리어(460), 국별 코멘트 에어리어(458), 사용자 코멘트 에어리어(460)를 선택하기 위한 커서를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컨트롤러(12)를 통해 커서를 조작하여 특정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임의의 화면을 표시시킬 수 있다.
도 33으로 돌아가, 전체 TL 화면(454)의 국별 코멘트 에어리어(458)에 있어서 어느 한 방송국의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을 경우(S138의 Y), 코멘트 취득부(4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국(이하, "선택 방송국"이라고도 함)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해시태그를 검색 키로 해서, 코멘트 취득 요구를 투고 사이트 서버(18)에 송신한다. 그리고 선택 방송국의 해시태그가 부가된 코멘트를 투고 사이트 서버(18)로부터 취득하여(S140), 취득 코멘트 보유부(410)에 저장한다(S142).
제2 코멘트 표시부(432)는 취득 코멘트 보유부(410)에 저장된 선택 방송국의 해시태그가 부가된 코멘트를 취득한다. 그리고 각 코멘트를 투고 일시에 따른 순서로 일람 표시시키는 채널 TL 화면을 표시시킨다(S144). 이 채널 TL 화면은 선택 방송국에 관한 이른바 타임라인이다. 일정 시간(예를 들면 1분)이 경과하면(S146의 Y), S140으로 돌아가서 코멘트가 재취득되고, 제2 코멘트 표시부(432)는 채널 TL 화면에서의 트위트 리스트(타임라인)를 갱신한다. 즉, 코멘트 취득부(420)에 의해 새로운 코멘트가 취득되었을 경우, 오래된 코멘트를 비표시로 하는 한편, 그 새로운 코멘트를 채널 TL 화면에 표시시킨다.
도 35는 채널 TL 화면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낸다. 채널 TL 화면(470)에서는 라이브 기능 태그(452)와, 채널 TL 화면(470)인 것을 나타내는 채널 TL 탭(472)이 표시된다. 동 도면의 채널 TL 화면(470)에서는 선택 방송국(그 해시태그는 "TVAA")의 프로그램에 대한 코멘트가 투고 일시의 내림차순으로 일람 표시되어 있다. 또 전체 TL 화면(454)과 달리, 해시태그(474)나 URL 문자열도 그대로 표시된다.
커서 표시부(434)는 채널 TL 화면(470) 표시중에 컨트롤러(12)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검출되었을 경우, 커서(476)를 표시시킨다. 그리고 컨트롤러(12)의 십자키에 대한 상하 조작에 따라, 코멘트 단위로 커서(476)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코멘트 요소 선택부(436)는 컨트롤러(12)의 십자키에 대한 좌우 조작에 따라, 커서(476)에 의해 포커스된 코멘트에 기재된 해시태그(474)나 URL 문자열 각각을 순차 선택 상태로 한다. 어느 해시태그가 선택된 상태로 사용자에 의한 소정 조작(예를 들면 ○버튼의 압하)이 검출되었을 경우, 제2 코멘트 표시부(432)는 그 해시태그에 관한 트위트 리스트를 포함하는 해시태그 TL 화면을 표시시킨다.
도 36은 해시태그 TL 화면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낸다. 해시태그 TL 화면(480)은 특정 해시태그(여기서는 "#soccer")에 관한 타임라인이다. 해시태그 TL 화면(480)에서는 라이브 기능 태그(452)와, 해시태그 TL 화면(480)인 것을 나타내는 해시태그 TL 탭(482)이 표시된다. 동 도면의 해시태그 TL 화면(480)에서는 해시태그 "soccer"가 부가된 코멘트가 투고 일시의 내림차순으로 일람 표시되어 있다. 또한 커서 표시부(434)는 각 코멘트를 선택하기 위한 커서(484)를 표시시킨다.
도 33으로 돌아가, 채널 TL 화면(470)에서 일정 시간 경과전에(S146의 N), 커서(476)의 이동 조작이 검출되었을 경우(S148의 Y), 제2 코멘트 표시부(432)는 채널 TL 화면에서의 타임라인의 갱신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S150). 사용자에 의한 커서 조작에 따라 커서 표시부(434)는 커서(476)를 이동시키고, 제2 코멘트 표시부(432)는 타임라인을 스크롤 표시시킨다(S152). 예를 들어 과거의 투고 코멘트이며, 채널 TL 화면(470)에서 비표시로 한 코멘트가 커서(476)에 의해 선택되었을 경우, 타임라인을 코멘트 단위로 스크롤시켜 커서(476)에 의해 선택된 코멘트를 재표시시킨다.
일정 기간(예를 들면 30초간)이 경과할 때까지 커서(476)의 이동 조작이 검출되지 않으면(S154의 Y), 커서 표시부(434)는 커서(476)를 비표시로 하고, 제2 코멘트 표시부(432)는 채널 TL 화면에서의 타임라인의 갱신을 재개한다(S156). 그 일정 기간 내에 커서(476)의 이동 조작이 검출되면(S154의 N), S152로 돌아간다. 커서(476)의 이동 조작이 애초에 없으면(S148의 N), S150~S156은 스킵된다. 한편, 해시태그 TL 화면의 표시에서도 검색 키가 특정 해시태그가 되는 점을 제외하고 S140~S156과 동일한 동작이 된다.
이처럼 최신 투고 코멘트를 차례로 취득하여 채널 TL 화면(470)을 차례로 갱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신 투고 코멘트를 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커서 조작(코멘트의 선택 조작 등)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는 채널 TL 화면(470)의 갱신을 억제함으로써 채널 TL 화면(470)의 갱신으로 인해 사용자의 조작을 방해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PC의 마우스 등에 비해, 정보처리장치(11)를 조작하는 컨트롤러(12)(예를 들면 게임 컨트롤러)는 선택 조작에 대한 제약이 일반적으로 크고, 채널 TL 화면(470)의 갱신이 사용자의 조작을 방해하는 정도도 크다. 따라서 조작 수단이 마우스 등인 경우에 비해서, 사용자 조작중인 채널 TL 화면(470)의 갱신을 억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7은 도 33에 이어지는 플로우 차트이다. 채널 TL 화면이나 해시태그 TL 화면에서 코멘트의 투고 조작 메뉴(이하, "트위트 메뉴"라고도 함)를 표시시키는 소정 조작(예를 들면 □버튼의 압하)이 검출되면(S158의 Y), 코멘트 작성 지원부(440)는 영상표시화면(110)에서 표시중인 프로그램의 장르를 특정하고, 그 장르와 대응지어진 정형 코멘트를 정형 코멘트 보유부(412)로부터 취득한다(S160). 작성화면 표시부(438)는 코멘트 작성 지원부(440)에 의해 취득된 정형 코멘트를 포함하는 트위트 메뉴 화면을 표시시킨다(S162).
도 38은 트위트 메뉴 화면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낸다. 트위트 메뉴 화면(490)에서는 라이브 기능 태그(452)와, 트위트 메뉴 화면(490)인 것을 나타내는 트위트 메뉴 탭(492)이 표시된다. 동 도면에서는 선택 가능한 트위트 메뉴로서, 신규 트위트, 커서(494)로 지정한 코멘트에 대한 리트위트·인용·회신이 표시되어 있다. 동 도면의 하부에는 프로그램 장르 "스포츠"에 미리 대응지어진 정형 코멘트(496)가 표시된다. 커서 표시부(434)는 트위트 메뉴 화면(490)에 커서(494)를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커서(494)를 조작하여 원하는 조작의 영역 혹은 정형 코멘트의 영역을 선택한다.
도 37로 돌아가, 트위트 메뉴 화면에서 트위트·인용·회신·정형 코멘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을 경우, 작성화면 표시부(438)는 코멘트 작성화면을 표시시킨다(S164). 트위트 메뉴 화면에서 정형 코멘트가 선택되었을 경우(S166의 Y), 입력 코멘트 설정부(442)는 사용자에 의한 코멘트 입력 조작에 앞서, 코멘트 작성화면 내의 코멘트 작성 에어리어에, 선택된 정형 코멘트를 자동적으로 설정한다(S168). 정형 코멘트가 미선택이면(S166의 N), S168은 스킵된다. 코멘트 작성 에어리어에서의 코멘트 입력 요구를 사용자로부터 접수하면, 작성화면 표시부(438)는 각종 키가 배치된 키보드를 나타내는 화상을 코멘트 작성화면 내에 표시시킨다(S170). 그 키보드의 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을 경우, 입력 코멘트 설정부(442)는 그 키에 대응하는 문자를 코멘트 작성 에어리어에 설정한다(S172).
도 39는 코멘트 작성화면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낸다. 코멘트 작성화면(500)에는 코멘트 작성 에어리어(502)와, 코멘트 작성 에어리어(502)에서 작성된 코멘트를 투고 사이트 서버(18)에 투고시키기 위한 투고 버튼(506)이 포함된다. 동 도면의 코멘트 작성 에어리어(502)에는 트위트 메뉴 화면(490)에서 선택된 정형 코멘트 "이것은 열전(exciting game)이다"가 자동 설정되어 있다. 한편, 정형 코멘트에 소정의 치환원(元)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입력 코멘트 설정부(442)는 그 치환원 문자열을 그 문자열에 대응하는 치환처 문자열로 변환한 뒤에 코멘트 작성 에어리어(502)에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정형 코멘트로서 도 29의 "『프로그램명』 재미있다"가 선택되었을 경우, 입력 코멘트 설정부(442)는 그 정형 코멘트를 "『실제 프로그램명(7시 뉴스 등)』 재미있다"로 변환한다.
커서 표시부(434)는 코멘트 작성화면(500)에 커서(504)를 표시시킨다. 사용자가 커서(504)에 의해 코멘트 작성 에어리어(502)를 포커스한 뒤에 소정 버튼(예를 들면 ○버튼)을 누르면, 작성화면 표시부(438)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커서(504)를 조작하여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임의의 키를 선택함으로써, 코멘트 작성 에어리어(502)에 대하여 임의의 문자를 입력한다.
이처럼, 프로그램의 장르와 정형 코멘트의 대응 관계를 미리 보유하고, 사용자가 시청중인 프로그램의 장르에 대응하는 정형 코멘트를 선택함으로써, 복수의 정형 코멘트 중에서 시청중인 프로그램에 어울리는 정형 코멘트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정형 코멘트를 코멘트 작성 에어리어에 자동 설정함으로써, 코멘트 작성에 대한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문자입력 수단으로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할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즉, 문자입력에 있어서 하드웨어 키보드가 아니라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할 경우, 문자입력에 대한 사용자의 부담은 일반적으로 커진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정형문을 선택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해야 할 문자수를 저감하여 사용자의 부담을 크게 경감할 수 있다.
도 37로 돌아가, 코멘트 작성화면(500)에서 투고 버튼(506)이 눌러지면(S174의 Y), 코멘트 투고부(422)는 코멘트 작성 에어리어에 입력된 문자열을 취득한다. 그리고 그 문자열에 대하여, 프로그램 시청 소프트·영상표시화면(110)에 표시중인 프로그램의 방송국·그 프로그램의 서비스 ID·이벤트 ID 각각을 나타내는 해시태그를 부가하여 최종적인 투고 코멘트를 설정한다(S176). 코멘트 투고부(422)는 그 최종적인 투고 코멘트의 데이터를 투고 사이트 서버(18)에 송신하여 등록한다(S178). 투고 버튼의 압하가 미검출이면(S174의 N), S176 및 S178은 스킵된다. 트위트 메뉴의 표시 조작이 미검출이면(S158의 N), S160~S178은 스킵된다. 전체 TL 화면(454)에서 국별 코멘트 에어리어(458)의 어느 방송국도 미선택이면(도 33의 S138의 N), S140~S178은 스킵된다.
이처럼 프로그램을 시청중인 사용자를 대신하여 적절한 해시태그를 자동설정함으로써, 사용자는 코멘트 본문만 입력하면 되어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문자입력 수단이 소프트웨어 키보드일 경우, 한층 더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전체 TL 화면(454)에서 정보 에어리어(462)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을 경우(S180의 Y), 태그 집계부(424)는 취득 코멘트 보유부(410)에 보유된 코멘트 중 과거 1시간 이내에 투고된 코멘트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각 코멘트에 부가된 해시태그를 종류마다 집계하고, 각각의 해시태그의 출현 횟수를 특정한다(S182). 빈출 태그 표시부(444)는 정보화면을 표시시킴과 아울러, 그 정보화면의 일부 영역에, 출현 횟수 상위 8위까지의 빈출 태그를 그 출현 횟수와 함께 표시시킨다(S184). 이와 함께 지역정보 표시부(406)는 정보화면의 일부 영역에, 각 지역의 각 방송국의 시청 사용자수를 표시시킨다(S186). 한편, 태그 집계부(424)에서의 집계 대상 혹은 빈출 태그 표시부(444)에서의 빈출 태그의 선정 대상에서, 각 방송국을 나타내는 소정의 해시태그(예를 들면 도 35의 "#TVAA" 등)는 제외된다.
도 40은 정보화면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낸다. 정보화면(510)에는 라이브 정보 표시영역(450)과, 정보화면(510)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 탭(512)이 표시된다. 빈출 태그 표시부(444)는 빈출 태그 표시영역(514)에 최근 1시간의 빈출 태그 정보를 표시시킨다. 지역정보 표시부(406)는 국별 시청상황 표시영역(516)에, 각 지역의 각 방송국의 시청 사용자수를 표시시킨다. 도 40에서는 각 방송국을 나타내는 해시태그와 대응시켜서 시청 사용자수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각 지역의 시청 사용자수의 합계, 즉 각 지역에 대응하는 방송국의 시청 사용자수 합계도 표시하고 있다. 커서 표시부(434)는 정보화면(510)에 커서(518)를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커서(518)를 조작하여 원하는 빈출 태그 혹은 방송국 태그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해시태그 TL 화면을 표시시킬 수 있다.
도 37로 돌아가, 정보화면(510)에서 빈출 태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S188의 Y), 코멘트 취득부(4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빈출 태그를 검색 키로 해서, 코멘트 취득 요구를 투고 사이트 서버(18)에 송신한다. 그리고 빈출 태그가 부가된 코멘트를 투고 사이트 서버(18)로부터 취득한다(S190). 제2 코멘트 표시부(432)는 코멘트 취득부(420)에 의해 취득된 빈출 태그가 부가된 코멘트를, 투고 일시에 따른 순서로 일람 표시시키는 해시태그 TL 화면을 표시시킨다(S192). 사용자에 의해 빈출 태그가 선택되지 않으면(S188의 N), S190 및 S192는 스킵된다. 전체 TL 화면(454)에서 정보 에어리어(462)가 미선택이면(S180의 N), S182~S192은 스킵된다. 라이브 기능이 애초에 미선택이면(도 33의 S130의 N), S132 이후의 모든 스텝이 스킵된다.
이처럼 사용자 조작에 근거해 취득된 투고 코멘트에서의 빈출 태그가 표시됨으로 인해, 많은 코멘트에 부가된 해시태그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구 시합 중계 프로그램에 대한 투고 코멘트에 대하여, 그 방송국의 해시태그가 부가된 코멘트보다 "soccer" 등의 해시태그가 부가된 코멘트가 많은 경우가 있다. 즉, 사용자에게는 방송국의 해시태그가 부가된 코멘트의 타임라인보다 "soccer" 등의 해시태그가 부가된 코멘트의 타임라인을 표시시키는 것이 유익한 경우가 있다. 빈출 태그를 사용자에게 제시함으로써,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에게 유익한 해시태그의 후보를 제시하여, 사용자가 유익한 타임라인에 도달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해시태그를 집계하는 모집단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투고 사이트 서버(18)로부터 취득된 코멘트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흥미를 가지는 코멘트에 관한 빈출 태그를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상, 제2 전제 기술의 한 형태를 설명하였다. 이 형태는 예시이며, 그들의 각 구성 요소나 각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에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한 그러한 변형예도 제2 전제 기술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이하, 제2 전제 기술의 변형예를 제시한다.
제1 변형예를 설명한다. 상기 제2 전제 기술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채널 TL 화면(470)에서 커서(476)에 대한 조작이 일정 기간 검출되지 않고, 커서 표시부(434)가 커서(476)를 비표시로 했을 경우, 제2 코멘트 표시부(432)는 그 시점에 표시된 타임라인을 코멘트 단위로 서서히 갱신해도 된다. 예를 들어 그 시점에 표시된 타임라인 내에서 가장 오래된 코멘트를 비표시로 함과 아울러, 그 타임라인 내에서 가장 새로운 코멘트보다 투고 일시가 1개 새로운 코멘트를 새롭게 표시 대상으로서 추가해도 된다. 그리고 이 교체를 반복함으로써, 타임라인에 있어서 투고 일시가 새로운 코멘트를 순차 표시시켜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임라인에서 코멘트를 투고 일시의 내림차순으로 배치할 경우에는, 커서가 비표시가 된 시점의 표시 위치부터 서서히 스크롤 업시켜서, 투고 일시가 새로운 코멘트를 순차 표시시켜도 된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택하고 있던 코멘트를 기점으로 해서 새로운 코멘트가 순차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선택하고 있던 코멘트에 관련된 코멘트(예를 들면 회신이나 인용 등의 코멘트)를 사용자가 발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서가 비표시가 되기 전에 선택하고 있던 코멘트를 사용자가 다시 선택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코멘트 표시부(432)는 코멘트 취득부(420)로 정기적으로 취득된 코멘트의 수가 많을수록, 타임라인에서 오래된 코멘트와 새로운 코멘트를 빠르게 교체해도 되고, 타임라인을 빠르게 위로 스크롤시켜도 된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프로그램에 대한 코멘트 투고수가 많은 상태인지 적은 상태인지를 사용자에 직관적으로 파악시키기 쉬워짐과 아울러, 새로운 코멘트를 빠르게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쉬워진다.
제2 변형예를 설명한다. 상기 제2 전제 기술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프로그램 정보 보유부(50)에 보유되는 프로그램 정보에 있어서, 각 프로그램에 대하여 복수의 장르가 할당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와이드쇼 프로그램에 대하여 장르 "뉴스"와 장르 "버라이어티"가 할당되어도 된다. 또한 정형 코멘트 보유부(412)는 복수 장르에 대하여 동일한 정형 코멘트를 대응시켜서 보유해도 된다. 예를 들어 장르 "뉴스"와 장르 "버라이어티" 둘 다에 대하여, 동일한 정형 코멘트 "웃기다"를 대응시켜도 된다. 작성화면 표시부(438)는 복수의 장르가 할당된 프로그램에 대하여 코멘트 작성 지원부(440)가 동일한 정형 코멘트를 복수개 선택했을 경우, 그 중 한쪽 정형 코멘트를 트위트 메뉴 화면(490)에서 비표시로 해도 된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트위트 메뉴 화면(490)에 동일한 정형 코멘트를 복수개 표시시킴으로 인해, 사용자에 의한 정형 코멘트 확인 작업을 쓸데없이 번잡하게 하여 사용자의 부담을 증가시키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실시형태)
실시형태에서는 제2 전제 기술에서 설명한 트위트 표시 기술에 관하여, 프로그램의 쾌적한 시청과 트위트의 확인을 양립시킨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이하 "트위트 표시화면"이라고도 함)를 제안한다.
도 41은 실시형태의 트위트 표시화면(520)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트위트 표시화면(520)은 프로그램 영상의 표시영역인 영상표시화면(110)과, 외부의 투고 사이트에 투고된 트위트의 표시영역이며, 영상표시화면(110) 밑에 마련된 라이브 정보 표시영역(450)을 포함한다. 라이브 정보 표시영역(450)은 트위트를 가로방향으로 스크롤 표시하는 영역으로서, 제1 레인(522)과 제2 레인(524)을 포함한다. 제1 레인(522)과 제2 레인(524)은 서로 독립해서 다른 트위트를 표시한다. 바꿔 말하면, 복수의 트위트가 제1 레인(522)과 제2 레인(524) 중 어느 하나에서 동시 병행적으로 표시된다.
이처럼 라이브 정보 표시영역(450)을 영상표시화면(110) 밑에 마련함으로써, 도 35의 채널 TL 화면이나 도 36의 해시태그 TL 화면보다 프로그램 영상을 크게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트위트를 동시 병행으로 표시하는 레인을 복수개 마련함으로써 트위트의 투고 상황, 예를 들면 어느 기간에 트위트수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 등을 시청자에게 직관적으로 파악시키기 쉬워진다.
한편 실시형태에서는 라이브 정보 표시영역(450)이 영상표시화면(110) 밑에 마련되는 것으로 하지만, 영상표시화면(110) 위에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라이브 정보 표시영역(450)에 트위트 표시를 위한 2개의 레인이 마련되는 것으로 하지만, 3개 이상의 레인이 마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정보처리 시스템(100)을 이용한 실험 등에 의해, 확보해야 할 영상표시화면(110)의 크기와, 동시 병행으로 표시시켜야 할 트위트수의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는 레인수가 적절히 결정되어도 된다.
한편, 도 41의 트위트 표시화면(520)은 도 35의 채널 TL 화면의 표시중, 및 도 36의 해시태그 TL 화면의 표시중에 컨트롤러(12)의 특정 버튼이 눌러진 것을 계기로 해서 표시된다. 채널 TL 화면→트위트 표시화면(520)으로 천이했을 경우, 채널 TL 화면에서의 표시 대상 트위트이며, 특정 채널(방송국)의 해시태그가 부가된 트위트가 라이브 정보 표시영역(450)에 표시된다. 해시태그 TL 화면→트위트 표시화면(520)으로 천이했을 경우, 해시태그 TL 화면에서의 표시 대상 트위트이며, 특정 해시태그가 부가된 트위트가 라이브 정보 표시영역(450)에 표시된다.
도 42는 도 28에 나타낸 코멘트 보유부(400)에 대하여, 실시형태에서의 상세한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전제 기술에서 이미 설명한 기능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취득 코멘트 보유부(410)는 제1 레인 버퍼(414)와 제2 레인 버퍼(416)를 포함한다. 제1 레인 버퍼(414)는 트위트 표시화면(520)의 제1 레인(522)에서 표시시켜야 할 트위트를, 그 표시 개시까지 일시적으로 보유하는 기억영역이다. 제2 레인 버퍼(416)는 트위트 표시화면(520)의 제2 레인(524)에서 표시시켜야 할 트위트를, 그 표시 개시까지 일시적으로 보유하는 기억영역이다.
도 43은 도 30에 나타낸 코멘트 처리부(402)에 대하여, 실시형태에서의 상세한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코멘트 처리부(402)는 코멘트 관리부(426)를 더 포함한다. 이하, 코멘트 취득부(420)와 코멘트 관리부(426)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제로서, 투고 사이트 서버(18)는 검색 API와 스트리밍 API를 외부에 공개하고, 이 API들에 대한 인터넷(15)을 통한 액세스를 허용한다. 검색 API는 특정 해시태그를 지정한 검색 요구를 접수하고, 그 검색 요구로 지정된 해시태그가 부가된 트위트를 검색하고, 검색으로 히트한 트위트를 요구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스트리밍 API는 특정 해시태그를 지정한 스트리밍 요구를 접수하고, 그 해시태그가 설정된 트위트가 투고되었을 때에 그 트위트를 요구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코멘트 취득부(420)는 트위트 표시화면(520)의 표시 요구가 접수되었을 때, 투고 사이트 서버(18)의 검색 API를 통해, 특정 해시태그를 지정한 검색 요구를 투고 사이트 서버(18)에 송신하고, 검색 결과의 트위트를 투고 사이트 서버(18)로부터 취득한다. 그와 함께, 투고 사이트 서버(18)의 스트리밍 API를 통해, 특정 해시태그를 지정한 스트리밍 요구를 투고 사이트 서버(18)에 송신하고, 이후, 투고 사이트 서버(18)로부터 제공되는 트위트를 차례로 취득한다. 이 트위트의 데이터에는 트위트의 본문에 더하여, 투고 사이트 서버(18)에서 트위트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ID와, 투고 사이트 서버(18)에 대한 투고 일시가 포함된다.
검색 요구 및 스트리밍 요구로 지정하는 해시태그는 채널 TL 화면→트위트 표시화면(520)으로 천이했을 경우, 채널 TL 화면에서 지정되어 있던 특정 채널의 해시태그이다. 또한 해시태그 TL 화면→트위트 표시화면(520)으로 천이했을 경우, 해시태그 TL 화면에서 지정되어 있던 특정 해시태그이다.
코멘트 관리부(426)는 코멘트 취득부(420)에 의해 취득된 트위트를, 그 ID, 투고 일시와 함께 제1 레인 버퍼(414) 혹은 제2 레인 버퍼(416)에 저장한다. 제1 레인 버퍼(414)와 제2 레인 버퍼(416) 중 어느 것을 저장처로 할지는 라운드 로빈으로 번갈아 선택해도 된다. 코멘트 관리부(426)는 코멘트 취득부(420)에 의해 취득된 트위트에 대하여, 그 트위트의 ID와 동일 ID의 트위트가 제1 레인 버퍼(414)와 제2 레인 버퍼(416) 중 어느 하나에 저장 완료되었으면, 그 트위트를 버퍼에 저장하지 않고 파기한다.
제1 레인 버퍼(414)와 제2 레인 버퍼(416)는 코멘트 관리부(426)에 의해 저장된 복수의 트위트를 투고 일시의 내림차순으로 정렬시켜서, 투고 일시가 가장 새로운 트위트를 읽어내기 위치의 선두에 보유한다. 바꿔 말하면, 투고 일시가 새로운 트위트일수록 먼저 읽어내지도록 보유한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제1 레인 버퍼(414)에 저장완료된 제1 트위트가 존재하더라도, 제1 트위트가 표시되기 전에, 제1 트위트보다 투고 일시가 새로운 제2 트위트가 제1 레인 버퍼(414)에 저장되었을 경우, 제2 트위트가 먼저 표시되게 된다.
변형예로서, 코멘트 관리부(426)는 코멘트 취득부(420)에 의해 취득된 트위트의 투고 일시와, 그 트위트의 저장처인 제1 레인 버퍼(414) 혹은 제2 레인 버퍼(416)에 저장완료된 트위트의 투고 일시를 비교해도 된다. 그리고 각 버퍼에서 투고 일시가 새로운 트위트일수록 읽어내기 순서가 먼저가 되도록, 코멘트 취득부(420)에 의해 취득된 트위트를 버퍼에 삽입해도 된다.
코멘트 관리부(426)는 제1 레인 버퍼(414) 및 제2 레인 버퍼(416)에 저장된 트위트 중, 투고 일시에서 현재 시각까지의 경과 시간이 2분을 초과한 트위트를 삭제한다. 이로 인해, 투고 일시가 오래된 트위트, 즉 현재 시청자의 감상으로부터 시간적으로 괴리된 트위트이며, 예를 들면 오래된 방송 내용에 대한 트위트의 표시를 억제할 수 있다. 삭제 조건으로서의 경과 시간의 역치는 2분에 한정되지 않고, 시스템 개발자의 지견이나 정보처리 시스템(100)을 이용한 실험 등에 의해 적절히 결정되어도 된다.
도 44는 도 31에 나타낸 코멘트 표시부(404)에 대하여, 실시형태에서의 상세한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코멘트 표시부(404)는 제3 코멘트 표시부(446)와 스크롤 속도 결정부(448)를 더 포함한다. 제3 코멘트 표시부(446)는 코멘트 취득부(420)에 의해 취득된 트위트를 제1 레인(522)과 제2 레인(524) 중 어느 하나에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1 레인 버퍼(414)에서 읽어내기 위치의 선두에 보유된 트위트를 취득하여, 제1 레인(522)의 오른쪽 끝에서 왼쪽 방향으로 스크롤 표시시킨다. 마찬가지로, 제2 레인 버퍼(416)에서 읽어내기 순서의 선두에 보유된 트위트를 취득하여, 제2 레인(524)의 오른쪽 끝에서 왼쪽 방향으로 스크롤 표시시킨다. 스크롤 속도 결정부(448)는 제1 레인(522)과 제2 레인(524) 각각에 표시시킬 트위트의 스크롤 속도를 결정한다.
이하, 제1 레인 버퍼(414)에 보유된 트위트를 제1 레인(522)에 표시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제2 레인 버퍼(416)에 보유된 트위트를 제2 레인(524)에 표시시키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제3 코멘트 표시부(446)는 제1 레인(522)에 대하여 트위트의 문자열 모두가 표시완료인 경우, 혹은 트위트의 문자열 일부가 미표시이긴 하지만 40문자 이상이 표시완료인 경우, 다음 트위트의 표시 개시 타이밍인 것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제3 코멘트 표시부(446)는 표시 데이터 출력부(46)에 대하여, 트위트의 전체 문자열 혹은 40문자 이상을 비디오 RAM에 출력했는지 여부를 조회하고, 다음 트위트의 표시 개시 타이밍인지 여부를 검출해도 된다. 제3 코멘트 표시부(446)는 다음 트위트의 표시 개시 타이밍을 검출하면, 제1 레인 버퍼(414)에서 읽어내기 위치의 선두에 보유된 트위트를 표시 대상 트위트로서 특정한다.
스크롤 속도 결정부(448)는 제1 레인 버퍼(414)에 보유된 트위트(바꿔 말하면 제1 레인(522)에 대한 표시 대기 트위트) 각각의 문자수의 합계값이 클수록 표시 대상 트위트의 스크롤 속도를 빠른 값으로 결정한다. 이것은 제1 레인 버퍼(414)에 보유된 트위트의 수가 많을수록 표시 대상 트위트의 스크롤 속도를 빠른 값으로 결정한다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제1 레인 버퍼(414)에 소정 문자수 이상의 긴 트위트가 보유되어 있을 경우, 표시 대상 트위트의 스크롤 속도를 빠른 값으로 결정한다고도 할 수 있다. 한편, 제1 레인 버퍼(414)에 보유된 트위트 각각의 문자수의 합계값은 제1 레인 버퍼(414)가 미리 산출하여 보유해도 되고, 스크롤 속도 결정부(448)가 스크롤 속도 결정시에 산출해도 된다.
또 스크롤 속도 결정부(448)는 표시 대상 트위트 단체(單體)에 대해서도, 그 문자수가 소정 수(예를 들면 15문자 이상)일 경우, 문자수가 많을수록 스크롤 속도를 빠른 값으로 결정한다.
또 스크롤 속도 결정부(448)는 직전의 스크롤 속도(즉 1개 전의 트위트에 대하여 결정한 스크롤 속도)와, 스크롤 속도 변동의 한도값을 보유한다. 표시 대상 트위트에 대하여 일단 결정한 스크롤 속도가, 직전의 스크롤 속도를 초과하는 동시에 상승폭이 상승 한도값을 초과할 경우, 표시 대상 트위트의 스크롤 속도를 직전의 스크롤 속도+상승 한도값으로 변경한다. 마찬가지로, 표시 대상 트위트에 대하여 일단 결정한 스크롤 속도가, 직전의 스크롤 속도를 밑도는 동시에 저하폭이 저하 한도값을 초과할 경우, 표시 대상 트위트의 스크롤 속도를 직전의 스크롤 속도-저하 한도값으로 변경한다.
제3 코멘트 표시부(446)는 스크롤 속도 결정부(448)에 의해 결정된 스크롤 속도로 표시 대상 트위트를 제1 레인 버퍼(414)에 스크롤 표시시킨다. 예를 들어 제3 코멘트 표시부(446)는 스크롤 속도와 표시 대상 트위트의 문자열을 표시 데이터 출력부(46)에 건네주고, 표시 데이터 출력부(46)는 스크롤 속도에 따른 타이밍으로 트위트 문자열 각각을 순차 비디오 RAM에 순차적으로 써넣어도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정보처리장치(11)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이하의 도 45~도 47의 동작은 트위트 표시화면(520)으로의 이행 조작을 접수한 것을 계기로 해서 병행하여 실행된다.
도 45는 정보처리장치(1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채널 TL 화면 혹은 해시태그 TL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한 트위트 표시화면(520)으로의 이행 조작을 검출하면(S200의 Y), 스트리밍 API를 통한 트위트 취득 처리(S202~S208)와, 검색 API를 통한 트위트 취득 처리(S210~S216)를 병행해서 실행한다. 트위트 표시화면(520)으로의 이행 조작이 미검출이면(S200의 N), 이후의 처리를 스킵하고 본 도면의 플로우를 종료한다.
코멘트 취득부(420)는 스트리밍 요구를 투고 사이트 서버(18)에 송신한다(S202). 투고 사이트 서버(18)로부터 트위트가 통지되면(S204의 Y), 코멘트 관리부(426)는 통지된 트위트를 적절히 취득 코멘트 보유부(410)에 저장한다(S206). 구체적으로는 통지된 트위트 중 제1 레인 버퍼(414) 및 제2 레인 버퍼(416)에 보유되지 않은 트위트, 바꿔 말하면 검색 API를 통한 트위트 취득 처리로 미취득의 트위트를 제1 레인 버퍼(414)와 제2 레인 버퍼(416) 중 어느 하나에 저장한다. 투고 사이트 서버(18)로부터 트위트가 통지되지 않으면(S204의 N), S206을 스킵한다. 별도 화면으로의 이행 조작이 있으면(S208의 Y), 본 도면의 플로우를 종료하고, 별도 화면으로의 이행 조작이 없으면(S208의 N), S204로 돌아간다.
또 코멘트 취득부(420)는 검색 요구를 투고 사이트 서버(18)에 송신하여 검색 결과를 취득한다(S210). 코멘트 관리부(426)는 검색 결과의 트위트를 적절히 취득 코멘트 보유부(410)에 저장한다(S212). 구체적으로는,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트위트 중 제1 레인 버퍼(414) 및 제2 레인 버퍼(416)에 보유되어 있지 않은 트위트, 바꿔 말하면 스트리밍 API를 통한 트위트 취득 처리로 미취득의 트위트를 제1 레인 버퍼(414)와 제2 레인 버퍼(416) 중 어느 하나에 저장한다. 별도 화면으로의 이행 조작이 있으면(S214의 Y), 본 도면의 플로우를 종료한다. 별도 화면으로의 이행 조작이 없고(S214의 N), 미리 정해진 검색 대기 시간(예를 들면 30초)이 경과하면(S216의 Y), S210으로 돌아간다. 검색 대기 시간이 미경과이면(S216의 N), S214로 돌아간다.
도 46도 정보처리장치(1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여기서는 제1 레인 버퍼(414)에 보유된 트위트를 제1 레인(522)에 표시시키는 것으로 하지만, 제2 레인 버퍼(416)에 보유된 트위트를 제2 레인(524)에 표시시키는 동작도 마찬가지이다. 채널 TL 화면 혹은 해시태그 TL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한 트위트 표시화면(520)으로의 이행 조작을 검출하면(S220의 Y), 프로그램 영상 표시부(84)는 그때까지보다 확대된 영상표시화면(110)의 전면(全面)에 프로그램 영상을 표시시킨다(S221). 그리고 S222 이후에서 트위트 표시 처리가 실행된다. 트위트 표시화면(520)으로의 이행 조작이 미검출이면(S220의 N), 이후의 처리를 스킵하고 본 도면의 플로우를 종료한다.
직전 트위트의 문자열 모두를 표시 완료한 경우(S222의 Y), S224를 스킵하고, 제1 레인 버퍼(414)에 미표시 트위트가 보유되어 있으면(S226의 Y), 제3 코멘트 표시부(446)는 투고 일시가 가장 새로운 트위트를 표시 대상 트위트로서 특정한다(S228). 또한 직전 트위트의 일부 문자열이 미표시이더라도(S222의 N), 표시완료된 문자수가 40문자 이상일 경우(S224의 Y), 제1 레인 버퍼(414)에 미표시 트위트가 보유되어 있으면(S226의 Y), 제3 코멘트 표시부(446)는 마찬가지로 표시 대상 트위트를 특정한다(S228).
스크롤 속도 결정부(448)는 제1 레인 버퍼(414)에 보유된 트위트의 데이터량에 따라 표시 대상 트위트의 스크롤 속도를 결정한다(S230). 구체적으로는, 제1 레인 버퍼(414)에 있어서 표시 대기 트위트수나, 각 트위트의 문자수가 많을수록 스크롤 속도를 빠른 값으로 결정한다. 제3 코멘트 표시부(446)는 스크롤 속도 결정부(448)에 의해 결정된 스크롤 속도에 따라서, 제1 레인(522)에서 표시 대상 트위트의 스크롤 표시를 개시시킨다(S232). 제1 레인 버퍼(414)에 미표시 트위트가 보유되어 있지 않으면(S226의 N), S228~S232를 스킵한다. 직전 트위트의 일부 문자열이 미표시이고(S222의 N), 표시완료된 문자열이 40문자 미만이면(S224의 N), S226~S232를 스킵한다. 별도 화면으로의 이행 조작이 있으면(S234의 Y), 본 도면의 플로우를 종료하고, 별도 화면으로의 이행 조작이 없으면(S234의 N), S222로 돌아간다.
도 47도 정보처리장치(1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채널 TL 화면 혹은 해시태그 TL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한 트위트 표시화면(520)으로의 이행 조작을 검출하면(S240의 Y), S242 이후의 트위트 삭제 처리를 실행한다. 트위트 표시화면(520)으로의 이행 조작이 미검출이면(S240의 N), 이후의 처리를 스킵하고 본 도면의 플로우를 종료한다.
코멘트 관리부(426)는 제1 레인 버퍼(414) 및 제2 레인 버퍼(416)에 보유된 미표시 트위트 중 투고 일시로부터 2분이 경과된 오래된 트위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코멘트 관리부(426)는 오래된 트위트를 검출하면(S242의 Y), 그 오래된 트위트를 제1 레인 버퍼(414) 혹은 제2 레인 버퍼(416)로부터 삭제한다(S244). 오래된 트위트가 미검출되면(S242의 N), S244를 스킵한다. 별도 화면으로의 이행 조작이 있으면(S246의 Y), 본 도면의 플로우를 종료하고, 별도 화면으로의 이행 조작이 없으면(S246의 N), S242로 돌아가 오래된 코멘트가 존재하는지 다시 판정한다.
본 실시형태의 정보처리장치(11)는 영상표시화면(110) 밑에 라이브 정보 표시영역(450)을 마련하고, 라이브 정보 표시영역(450)의 2개의 레인에서 독립해서 다른 트위트를 표시시킨다. 이로 인해, 프로그램 영상을 크게 표시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트위트 투고수의 변동 상황을 시청자에게 직관적으로 인식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투고 일시가 새로운 코멘트를 오래된 코멘트보다 우선해서 표시시킴으로써, 시청자의 최신 감상이 기재된 이른바 신선도가 높은 트위트를 시청자에게 제시하기 쉬워진다.
또 정보처리장치(11)는 40문자 이상의 긴 트위트 표시중, 다음에 표시해야 할 트위트가 버퍼에 존재할 경우, 긴 트위트 표시 도중이더라도 40문자를 표시시킨 것을 조건으로 해서 다음 트위트의 표시를 개시한다. 이로 인해, 긴 트위트를 모두 표시시킴으로써 표시 대기 트위트가 오래된 것이 되는 폐해를 회피하고, 새로운 트위트를 그 투고로부터 단시간 내에 시청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대기 트위트의 수가 많은 경우나 문자수가 길 경우에는 트위트의 스크롤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표시 대기 트위트를 효율적으로 시청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 정보처리장치(11)는 검색 API와 스트리밍 API의 적어도 한쪽에서 취득된 트위트를 표시시킨다. 이로 인해, 투고 사이트 서버(18)에 투고된 트위트에 있어서 한쪽 인터페이스에서 취득할 수 없었던 트위트가 있어도, 다른 쪽 인터페이스에서 취득할 수 있었을 경우 트위트 표시화면(520)에서 표시시킬 수 있다. 즉, 투고 사이트 서버(18)로부터의 트위트 취득을, 2종류의 인터페이스로 서로 보완함으로써 트위트 취득에 있어서 누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형태를 바탕으로 설명하였다. 이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그들의 각 구성 요소나 각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에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한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제1 변형예로서, 제3 코멘트 표시부(446)는 라이브 정보 표시영역(450)에서의 트위트 표시 레인의 수를, 트위트의 취득 상황에 따라서 동적으로 변경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투고 사이트 서버(18)로부터 취득되는 트위트수가 소정 단위시간당 소정수 이상이 되었을 경우, 트위트 표시 레인의 수를 3 이상으로 증가시켜도 된다. 혹은 제1 레인 버퍼(414) 및 제2 레인 버퍼(416)에 보유된 트위트수 및/또는 혹은 보유된 트위트의 문자수의 합계가 소정 값 이상이 되었을 경우, 트위트 표시 레인의 수를 3 이상으로 증가시켜도 된다. 제3 코멘트 표시부(446)는 새로운 트위트 표시 레인의 추가에 따라 라이브 정보 표시영역(450)을 그때까지보다 확대시켜도 되고, 한편 프로그램 영상 표시부(84)는 영상표시화면(110)을 그때까지보다 축소시켜도 된다.
이 경우, 코멘트 보유부(400)는 추가 레인용인 제3 레인 버퍼나 제4 레인 버퍼를 구비해도 된다. 코멘트 관리부(426)는 트위트 표시 레인을 증가시키는 것이 결정된 이후, 투고 사이트 서버(18)로부터 취득된 트위트를 추가 레인용 버퍼에 저장해도 된다. 제3 코멘트 표시부(446)는 추가 레인용 버퍼로부터 트위트를 취득하여, 라이브 정보 표시영역(450)에 새롭게 추가된 제3 레인이나 제4 레인에 트위트를 표시시켜도 된다.
제2 변형예로서, 투고 사이트 서버(18)로부터 취득되는 트위트수가 소정 단위시간당 소정수 미만이 되었을 경우, 트위트 표시 레인의 수를 1로 감소시켜도 된다. 혹은 제1 레인 버퍼(414) 및 제2 레인 버퍼(416)에 보유된 트위트수 및/또는 혹은 보유된 트위트의 문자수 합계가 소정 값 이상이 되었을 경우, 트위트 표시 레인의 수를 1로 감소시켜도 된다. 제3 코멘트 표시부(446)는 트위트 표시 레인의 감소에 따라 라이브 정보 표시영역(450)을 그때까지보다 축소시켜도 되고, 한편 프로그램 영상 표시부(84)는 영상표시화면(110)을 그때까지보다 확대시켜도 된다.
이 경우, 코멘트 관리부(426)는 트위트 표시 레인을 감소시키는 것이 결정된 이후, 투고 사이트 서버(18)로부터 취득된 트위트를 제1 레인 버퍼(414)에만 저장해도 된다. 제3 코멘트 표시부(446)는 제1 레인 버퍼(414)와 제2 레인 버퍼(416) 각각으로부터 번갈아 트위트를 취득하고, 취득한 트위트를 제1 레인(522)에만 표시시켜도 된다.
제1 및 제2 변형예에 의하면, 트위트의 증가 상황이나 감소 상황을 시청자에게 한층 직관적으로 파악시킬 수 있다. 또 트위트가 급증했을 경우, 3줄 이상의 레인에서 병행해서 표시시키기 때문에, 트위트를 시청자에게 효율적으로 확인시키면서 트위트의 스크롤 속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트위트수가 적을 때에는 프로그램 영상을 보다 넓은 영역에 표시시킬 수 있다.
제3 변형예를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트위트 표시화면(520)을 표시할 때에, 검색 API와 스트리밍 API 둘 다를 사용해서 트위트를 취득하는 것으로 하였다. 변형예로는 전체 TL 화면·채널 TL 화면·해시태그 TL 화면을 표시할 때에도 검색 API와 스트리밍 API 둘 다를 사용해서 트위트를 취득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의 임의의 조합도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유용하다. 조합에 의해 생기는 새로운 실시형태는 조합되는 실시형태 및 변형예 각각의 효과를 겸비한다.
청구항에 기재된 각 구성 요건이 달성해야 할 기능은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 제시된 각 구성 요소의 단체 혹은 그들의 연계에 의해 실현되는 것도 당업자에게는 이해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키는 정보처리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11 정보처리장치
13 튜너
84 프로그램 영상 표시부
400 코멘트 보유부
404 코멘트 표시부
414 제1 레인 버퍼
416 제2 레인 버퍼
420 코멘트 취득부
426 코멘트 관리부
446 제3 코멘트 표시부
448 스크롤 속도 결정부

Claims (15)

  1. 영상 컨텐츠의 영상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취득하는 영상정보 취득부;
    취득된 영상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의 영상을 소정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는 영상 표시부;
    영상 컨텐츠를 시청중인 시청자의 영상 컨텐츠에 대한 그때그때의 감상이 적힌 코멘트가 즉시 투고되는 투고 사이트로부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시청자의 코멘트를 취득하는 코멘트 취득부;
    상기 영상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중인 표시장치에, 상기 코멘트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코멘트를 표시시키는 코멘트 표시부; 및
    상기 코멘트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코멘트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될 때까지 보유하는 코멘트 보유부;를 구비하고,
    상기 코멘트 표시부는 어느 시점에서 상기 코멘트 취득부가 취득한 제1 코멘트가 미표시 상태로 상기 코멘트 보유부에 보유되어 있을 때에, 상기 시점보다 뒤의 시점에서 상기 코멘트 취득부가 상기 제1 코멘트보다 뒤에 투고된 제2 코멘트를 취득했을 경우, 상기 제1 코멘트보다 먼저 상기 제2 코멘트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멘트 보유부에 보유되어 있는 코멘트로서, 상기 투고 사이트에 투고되고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코멘트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시키지 않은 채 삭제하는 코멘트 관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멘트 표시부는 상기 표시장치의 화면에서 코멘트를 스크롤시켜서 표시시키고, 그 코멘트가 소정 문자수보다 길 경우, 그 코멘트의 표시 도중에 다음 코멘트의 표시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멘트 표시부는 상기 표시장치의 화면에서 코멘트를 스크롤시켜서 표시시키고, 상기 코멘트 보유부에 보유된 코멘트의 문자수가 길수록 코멘트의 스크롤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멘트 표시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중인 상기 표시장치의 코멘트 표시영역에 상기 코멘트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코멘트를 스크롤시켜서 표시시키며, 상기 코멘트 표시영역에 표시시키는 코멘트가 소정 문자수보다 길 경우, 그 코멘트의 표시 도중에 다음 코멘트의 표시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멘트 표시영역은 코멘트를 스크롤시켜서 표시하는 레인을 복수개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코멘트 표시부는 상기 코멘트를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코멘트를, 상기 코멘트 표시영역의 복수의 레인 중 어느 하나에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멘트 표시부는 상기 코멘트 표시영역의 특정한 1개의 레인에서 순차 표시시켜야 할 제1 코멘트와 제2 코멘트가 있고, 상기 제1 코멘트가 소정 문자수보다 길 경우, 상기 1개의 레인에서 상기 제1 코멘트의 표시 도중에, 상기 1개의 레인에서 상기 제2 코멘트의 표시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8.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멘트 표시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중인 표시장치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표시영역에 대하여 위 혹은 아래에 위치하는 영역을 코멘트 표시영역으로 해서, 상기 코멘트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코멘트를 상기 코멘트 표시영역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9.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 취득부는 방송중인 프로그램의 영상정보를 튜너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0.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고 사이트는 외부장치로부터 코멘트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인터페이스와, 상기 투고 사이트로부터 자발적으로 코멘트를 제공시키기 위한 스트리밍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코멘트 취득부는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와 상기 스트리밍 인터페이스 각각을 통해 코멘트를 취득하고,
    상기 코멘트 표시부는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와 상기 스트리밍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한쪽을 통해 취득된 코멘트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멘트 표시부는 상기 투고 사이트에 투고된 1개의 코멘트가,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와 상기 스트리밍 인터페이스 각각을 통해 취득되었을 경우, 어느 한쪽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취득된 상기 1개의 코멘트를 표시시키고, 다른 쪽 인터페이스를 통해 취득된 상기 1개의 코멘트를 비표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2.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으로서,
    영상 컨텐츠의 영상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취득하는 스텝;
    취득된 영상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의 영상을 소정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는 스텝;
    영상 컨텐츠를 시청중인 시청자의 영상 컨텐츠에 대한 그때그때의 감상이 적힌 코멘트가 즉시 투고되는 투고 사이트로부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시청자의 코멘트를 취득하는 스텝;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중인 표시장치에, 상기 취득된 코멘트를 표시시키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코멘트를 취득하는 스텝에서 취득된 코멘트는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될 때까지 소정의 기억영역에 보유되며,
    상기 코멘트를 표시시키는 스텝은 어느 시점에서 취득된 제1 코멘트가 미표시 상태로 상기 기억영역에 보유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1 코멘트보다 뒤에 투고된 제2 코멘트가 상기 시점보다 뒤의 시점에서 취득되었을 경우, 상기 제1 코멘트보다 먼저 상기 제2 코멘트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멘트를 표시시키는 스텝은 상기 영상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중인 상기 표시장치의 코멘트 표시영역에 상기 취득된 코멘트를 스크롤시켜서 표시시키며, 상기 코멘트 표시영역에 표시시키는 코멘트가 소정 문자수보다 길 경우, 그 코멘트의 표시 도중에 다음 코멘트의 표시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14. 영상 컨텐츠의 영상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취득된 영상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의 영상을 소정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는 기능;
    영상 컨텐츠를 시청중인 시청자의 영상 컨텐츠에 대한 그때그때의 감상이 적힌 코멘트가 즉시 투고되는 투고 사이트로부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시청자의 코멘트를 취득하는 기능;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중인 표시장치에, 상기 취득된 코멘트를 표시시키는 기능;을 컴퓨터에 실현시키고,
    상기 코멘트를 취득하는 기능에 의해 취득된 코멘트는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될 때까지 소정의 기억영역에 보유되며,
    상기 코멘트를 표시시키는 기능은 어느 시점에서 취득된 제1 코멘트가 미표시 상태로 상기 기억영역에 보유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1 코멘트보다 뒤에 투고된 제2 코멘트가 상기 시점보다 뒤의 시점에서 취득되었을 경우, 상기 제1 코멘트보다 먼저 상기 제2 코멘트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멘트를 표시시키는 기능은 상기 영상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중인 상기 표시장치의 코멘트 표시영역에 상기 취득된 코멘트를 스크롤시켜서 표시시키며, 상기 코멘트 표시영역에 표시시키는 코멘트가 소정 문자수보다 길 경우, 그 코멘트의 표시 도중에 다음 코멘트의 표시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7034295A 2011-06-29 2012-04-06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 KR101552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44891A JP5052691B1 (ja) 2011-06-29 2011-06-29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JP-P-2011-144891 2011-06-29
PCT/JP2012/002451 WO2013001690A1 (ja) 2011-06-29 2012-04-06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578A KR20140015578A (ko) 2014-02-06
KR101552653B1 true KR101552653B1 (ko) 2015-09-11

Family

ID=47189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295A KR101552653B1 (ko) 2011-06-29 2012-04-06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87627B2 (ko)
EP (2) EP3343909B1 (ko)
JP (1) JP5052691B1 (ko)
KR (1) KR101552653B1 (ko)
CN (1) CN103650521B (ko)
WO (1) WO20130016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2691B1 (ja) * 2011-06-29 2012-10-1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3780741B (zh) * 2012-10-18 2018-03-1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提示网速的方法和移动设备
JP5851051B2 (ja) * 2012-12-04 2016-02-03 株式会社Nttドコモ 情報処理装置、サーバ装置、対話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127858A (ja) * 2012-12-26 2014-07-07 Toshiba Corp 表示装置
JP5708945B2 (ja) * 2013-01-31 2015-04-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WO2014178219A1 (ja) 2013-04-30 2014-11-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122768B2 (ja) 2013-11-19 2017-04-26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703888B2 (en) * 2013-12-18 2017-07-11 Dassault Systemes Americas Corp. Component obsolescence registry
US20150209677A1 (en) * 2014-01-30 2015-07-30 Scott Thomas O'Bri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online comment contest service
CN105338394B (zh) 2014-06-19 2018-11-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字幕数据的处理方法及系统
US9746901B2 (en) * 2014-07-31 2017-08-29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User interface adaptation based on detected user location
USD795916S1 (en) * 2014-08-19 2017-08-29 Google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5407118A (zh) * 2014-09-11 2016-03-1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信息交互方法及装置
USD788788S1 (en) 2014-11-18 2017-06-06 Google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4754420B (zh) * 2015-03-30 2018-04-13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在多媒体文件播放过程中的弹幕交互方法及装置
CN104853253B (zh) * 2015-06-01 2018-09-28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媒体播放中的评论信息输出方法、服务器和终端设备
JP5885115B1 (ja) * 2015-07-01 2016-03-15 昭洋 田篠 プログラム及び情報配信方法
US20170140031A1 (en) * 2015-11-16 2017-05-18 Investcloud Inc Client service pipe configuration
CN105872612A (zh) * 2016-03-30 2016-08-17 宁波元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型网络主播过程中主播与观众互动方法及系统
CN105872620A (zh) * 2016-03-30 2016-08-17 宁波元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网络主播过程中区分权限等级显示方法及系统
CN106028162B (zh) * 2016-05-16 2020-06-12 上海幻电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弹幕动态适配方法
JP6386512B2 (ja) * 2016-10-28 2018-09-0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CN106507133B (zh) * 2016-11-28 2019-07-26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弹幕消息的处理方法、装置、系统及其设备
CN106581994A (zh) * 2016-12-31 2017-04-26 天脉聚源(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比赛信息的方法和装置
CN106993234A (zh) * 2017-03-22 2017-07-28 北京潘达互娱科技有限公司 弹幕显示方法和装置
CN107484025B (zh) * 2017-08-31 2020-04-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弹幕显示方法及移动终端
SG11202106137QA (en) * 2018-12-10 2021-07-29 TipeME Holdings Pty Ltd A system, method and data structure for allowing users to electronically post comments
JP7313189B2 (ja) * 2019-05-20 2023-07-2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方法
CN112118473B (zh) * 2019-06-19 2022-05-17 上海哔哩哔哩科技有限公司 视频弹幕显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6889323B2 (ja) * 2019-07-16 2021-06-18 株式会社 ディー・エヌ・エー ライブ動画を配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425062B2 (en) 2019-09-27 2022-08-23 Snap Inc. Recommended content viewed by friends
US11477143B2 (en) * 2019-09-27 2022-10-18 Snap Inc. Trending content view count
US11343209B2 (en) 2019-09-27 2022-05-24 Snap Inc. Presenting reactions from friends
US11288310B2 (en) 2019-09-27 2022-03-29 Snap Inc. Presenting content items based on previous reactions
US11962547B2 (en) 2019-09-27 2024-04-16 Snap Inc. Content item module arrangements
CN113472960B (zh) * 2020-03-30 2023-12-1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图像读取装置及系统、图像读取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KR102346136B1 (ko) 2020-04-06 2022-01-03 광주과학기술원 유전자와 화합물과 질병의 관련문헌 추출시스템
CN111666403B (zh) * 2020-06-18 2024-02-09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会议纪要处理方法、装置及会议纪要处理设备
CN114615510B (zh) * 2020-12-08 2024-04-02 抖音视界有限公司 直播界面显示方法及设备
WO2022155150A1 (en) * 2021-01-13 2022-07-21 Arris Enterprises Llc Rendering scrolling captions
CN113378096B (zh) * 2021-07-07 2024-03-29 Vidaa(荷兰)国际控股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浏览器残留帧清除方法
CN115190350A (zh) * 2022-07-06 2022-10-14 Vidaa国际控股(荷兰)公司 一种节目直播过程中的讨论方法及显示设备、终端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3981A (ja) 2002-03-20 2003-10-0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コメント入力・表示方法およびシステムと、クライアント装置と、映像コメント入力・表示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JP2004364184A (ja) 2003-06-06 2004-12-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コンテンツ連動型コメント表示方法、コメント表示システム、サーバ装置、コメント表示装置及びコメント表示プログラム
JP2009278425A (ja) 2008-05-15 2009-11-26 Sharp Corp コンテンツ評価入力表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こ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WO2011017311A1 (en) * 2009-08-07 2011-02-10 Thomson Licens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n internet site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8751A (en) * 1991-11-04 1993-11-02 Motorola, Inc. Method of presenting messages for a selective call receiver
JPH08227097A (ja) * 1995-02-21 1996-09-03 Ricoh Co Ltd カメラ装置
US6536041B1 (en) * 1998-06-16 2003-03-18 United Video Properties, Inc. Program guide system with real-time data sources
US6816060B2 (en) * 2000-02-08 2004-11-09 Dorr Robert C Message delivery for appliances and method therefore
US7552460B2 (en) * 2000-05-08 2009-06-23 Microsoft Corporation Modifying an electronic program guide based on viewer statistics
EP1307830A2 (en) * 2000-06-01 2003-05-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tent with bookmarks obtained from an audience's appreciation
JP2003196209A (ja) * 2001-12-28 2003-07-11 Toshiba Corp 携帯通信端末及びメッセージ表示方法
JP4559014B2 (ja) * 2002-02-01 2010-10-06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録画処理装置
EP1500267A4 (en) * 2002-03-29 2006-02-08 Digeo Inc INTERACTIVE TV TICKER WITH PVR-ARTIFICIAL SKILLS
JP3789854B2 (ja) * 2002-06-11 2006-06-28 エヌ・ティ・ティ・コムウェア株式会社 ライブ配信サーバ、及びライブ配信方法
JP3607691B2 (ja) * 2002-07-18 2005-01-05 株式会社東芝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再生方法
JP4201641B2 (ja) * 2003-05-14 2008-12-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メール受信装置
US7996323B2 (en) * 2004-02-27 2011-08-09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service provider to control exposure to non-payment by a service consumer
US7577990B2 (en) * 2004-02-27 2009-08-1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solving disputes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service consumers
KR100617775B1 (ko) * 2004-11-08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에서 중복된 도달 통지 메시지에대한 관리 방법
CN101098329B (zh) * 2006-06-30 2011-05-1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互动点播节目的方法及系统
KR101345662B1 (ko) * 2006-10-26 2014-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가능한 휴대 단말기
US20090060468A1 (en) * 2007-08-31 2009-03-0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ording popular media in an interactive media delivery system
US8200836B2 (en) * 2007-11-16 2012-06-12 Microsoft Corporation Durable exactly once message delivery at scale
EP2109313B1 (en) * 2008-04-09 2016-01-13 Sony Computer Entertainment Europe Limited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JP5243234B2 (ja) * 2008-12-26 2013-07-24 株式会社ドワンゴ 情報通信サーバ、情報通信プログラム、情報通信方法、ユーザ端末および情報通信システム
US9973821B2 (en) * 2009-09-03 2018-05-15 Fox Broadcast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current broadcast of media program and social networking derived information exchange
JP4892601B2 (ja) * 2009-10-30 2012-03-0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チューナー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059089B2 (ja) 2009-12-01 2012-10-24 株式会社ドワンゴ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ユーザ端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メントサーバ
JP2011130279A (ja) * 2009-12-18 2011-06-30 Sony Corp 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提供方法、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JP5277184B2 (ja) * 2010-01-25 2013-08-28 日本放送協会 選択肢生成提示装置及び選択肢生成提示プログラム
JP2012029064A (ja) * 2010-07-23 2012-02-09 Funai Electric Co Ltd 映像装置
JP5052691B1 (ja) * 2011-06-29 2012-10-1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094649B2 (en) * 2011-11-28 2015-07-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apting digital video recording based upon feedback
US20140068689A1 (en) * 2012-08-17 2014-03-06 Flextronics Ap,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ocial media with an intelligent television
WO2014047425A1 (en) * 2012-09-21 2014-03-27 Comment Bubble, Inc. Timestamped commentary system for video content
US9313551B2 (en) * 2013-06-17 2016-04-12 Google Inc. Enhanced program guid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3981A (ja) 2002-03-20 2003-10-0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コメント入力・表示方法およびシステムと、クライアント装置と、映像コメント入力・表示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JP2004364184A (ja) 2003-06-06 2004-12-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コンテンツ連動型コメント表示方法、コメント表示システム、サーバ装置、コメント表示装置及びコメント表示プログラム
JP2009278425A (ja) 2008-05-15 2009-11-26 Sharp Corp コンテンツ評価入力表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こ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WO2011017311A1 (en) * 2009-08-07 2011-02-10 Thomson Licens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n internet si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31332A1 (en) 2014-05-14
EP2731332A4 (en) 2015-05-06
CN103650521A (zh) 2014-03-19
WO2013001690A1 (ja) 2013-01-03
CN103650521B (zh) 2017-05-10
EP3343909A2 (en) 2018-07-04
US20140157149A1 (en) 2014-06-05
KR20140015578A (ko) 2014-02-06
EP3343909B1 (en) 2021-07-14
JP5052691B1 (ja) 2012-10-17
US9787627B2 (en) 2017-10-10
EP3343909A3 (en) 2018-07-25
JP2013012955A (ja) 201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653B1 (ko)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
JP523597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WO2011052200A1 (ja) 情報処理装置、チューナー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4892601B2 (ja) 情報処理装置、チューナー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25066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05534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531816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436570B2 (ja) 情報処理装置、チューナー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95138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03069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15139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265498B2 (ja) 情報処理装置、チューナー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73599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