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093B1 - 과일주스를 이용한 홍삼 또는 흑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과일주스를 이용한 홍삼 또는 흑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093B1
KR101552093B1 KR1020130086135A KR20130086135A KR101552093B1 KR 101552093 B1 KR101552093 B1 KR 101552093B1 KR 1020130086135 A KR1020130086135 A KR 1020130086135A KR 20130086135 A KR20130086135 A KR 20130086135A KR 101552093 B1 KR101552093 B1 KR 101552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red ginseng
steaming
red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1183A (ko
Inventor
손백신
이미라
김현경
최강주
고리주안
Original Assignee
(주)대덕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덕바이오 filed Critical (주)대덕바이오
Priority to KR1020130086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093B1/ko
Publication of KR20150011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 기간 내에 Rg3의 함량이 높은 홍삼을 Rg3에 대해 입체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홍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숙 전 인삼을 과일주스에 침지하여 전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과일주스를 이용한 홍삼 또는 흑삼의 제조 방법{Preparation Method for Red-Ginseng or Black-Ginseng Using Fruit Juice}
본 발명은 인삼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을 증숙하여 건조하는 것에 의해 제조되는 홍삼 또는 흑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Panax ginseng C.A.Meyer)은 각종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전혀 병이 없는 사람들에게도 힘과 활력을 주는 강장제로서 광범위한 약효를 나타낸다. 또한 장기간 사용하여도 전혀 부작용이 없다고 알려져 있어 한약 중에서도 최고의 약재로 꼽힌다.
밭에서 캔 그 상태로서의 인삼은 수삼이라 하며, 수삼은 70% 내외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저장 또는 유통과정에서 손상되기 쉽기 때문에 가공에 의해 저장성을 향상시킨다. 인삼은 가공방법에 따라 건삼, 백삼, 홍삼, 흑삼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수삼을 껍질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건조한 것을 건삼이라 하며, 수삼의 껍질을 제거한 후 건조한 삼을 백삼이라 한다. 수삼을 증기로 쪄서 건조시키는 증숙 및 건조 단계를 거쳐 얻는 것을 홍삼이라 한다. 흑삼은 홍삼의 특유한 형태로 한번의 증숙과 건조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일반 홍삼과 달리 통상적으로 아홉번 찌고 말리는 구증구포 방법으로 제조된다. 2012년 1월 개정된 인삼산업법 시행규칙에 의하면, 흑삼은 수삼을 증기나 그 밖의 방법으로 쪄서 익혀 말린 것으로서 담흑갈색 또는 흑다갈색을 띠는 것으로, 제조 기준에 의하면 증숙과 건조 과정이 3회 이상 반복된 것을 지칭한다. 하기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홍삼은 일회의 증숙과정 만을 거친 홍삼 뿐 아니라 반복된 증숙 및 건조과정을 거친 흑삼을 포함한 포괄된 용어로 사용한다. 홍삼은 가공에 의해 저장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가열 및 가수분해 과정을 거치면서 수삼에는 존재하지 않는 홍삼 특유의 사포닌이 형성되어 고유한 약리효과를 갖게 된다.
Rg3는 대표적인 홍삼 특유의 사포닌으로 신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자연살상세포, T세포아군등 많은 면역인자의 활동성을 높여줌으로 인해 신체를 건강하게 하고, 질병의 침입을 방어하는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Rg3는 증숙의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여 흑삼에서 그 함량이 더욱 높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29475호, 제0671330호 및 제0729214호에서는 구증구포에 의한 흑삼의 제조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 구증구포 방법으로 제조할 경우에는 50일 이상의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하여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0531429호에서는 구증구포대신 수삼을 140~180℃ 사이의 온도에서 8~12시간 동안 1회 처리하는 가공방법과 이렇게 얻어진 흑삼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인삼을 고온에 장기간 노출시키게 되면 비록 아미노산 및 당류의 갈변에 의해 색이 짙어져 외관상 흑삼과 같은 형태가 되었더라도 극성 사포닌이 분해되어 유효성분의 함량이 감소하여 효능이 저하되며, 가용성 엑스가 다량 용출되어 흑삼의 제조 수율이 크게 감소하고, 탄화로 인한 발암물질이 생성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등록특허 제0910585호에서는 매실발효액을 이용하여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된 발효홍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는 발효에 의해 흡수가 용이한 형태의 사포닌의 함량을 증가시킨 특징이 있으나, 제조에는 건조과정을 제외하고도 13~17일이 소요되어 여전히 제조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한편, 사포닌 Rg3은 탄소 20-위치의 입체구조에 따라 (R)- 또는 (S)-로 존재하는 키랄 화합물이다. 키랄 구조를 갖는 의약품들은 입체구조에 따라 약효가 큰 차이를 나타내는 예가 많이 알려져 있다. 사포닌 Rg3에 대해서도 입체구조에 따른 효능의 차이가 있음이 몇몇 연구에 의해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어, Xiaojie Wei 등(비특허문헌 1)은 20(R)-Rg3가 20(S)-Rg3에 비해 면역 증진 효과가 우수함을, 박 등(비특허문헌 2)은 20(S)-Rg3가 글루코스 자극에 의한 인슐린의 분비를 크게 증가시켜 항 당뇨제로의 가능성을 나타냄에 반해 20(R)-Rg3은 이에 대한 효과가 전혀 없음을 보고하였으며, Tian J. 등(비특허문헌 3)은 20(S)-Rg3가 뇌허혈증에 의해 유도된 뇌손상에 대해 신경보호 효능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제까지 홍삼의 제조 시 생성되는 Rg3의 입체선택성을 고려한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등록특허 제0529475호 등록특허 제0671330호 등록특허 제0729214호 등록특허 제0531429호 등록특허 제0910585호
Xiaojie Wei 등, International Immunology, Vol. 24, No. 7, pp. 465-471. 박 등, Biol Pharm Bull. 2008 Apr; 31(4): 748-51. Tian J. 등, Neurosci Lett. 2005 Feb 10; 374(2): 92-7.
본 발명은 단 기간 내에 Rg3의 함량이 높은 홍삼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경제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홍삼 내의 함유되는 Rg3를 입체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홍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삼을 증숙한 후 건조하여 제조되는 홍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증숙 전 인삼을 과일주스에 침지하여 전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홍삼의 제조 시에 사용되는 인삼으로는 수삼 또는 건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과일주스가 인삼에 효과적으로 흡수되기 위해서는 수분함량이 높은 수삼보다는 건삼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과일주스는 과일을 착즙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시판되는 과일주스를 사용하여도 좋다. 과일주스에 의한 전처리 효과를 위해서는 희석주스를 사용하는 것보다 원액주스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과일의 종류는 Rg3로의 전환 속도에 영향을 주어 사전 실험된 과일의 종류 중 포도주스와 파인애플주스의 효과가 가장 현저하였다. 그러나 과일의 종류에 따라 Rg3의 입체선택성이 영향을 받지는 않았다.
과일주스의 전처리는 바람직하게는 (A) 인삼을 과일주스에 6~36시간 침지하는 단계; (B) (A) 단계에서 침지하였던 인삼을 회수하여 20~70℃에서 12~36시간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과일주스에의 침지 시간이 너무 짧으면 인삼에의 흡수가 충분하지 않아 침지효과가 미약하며 사전 실험에 의하면 침지시간은 6시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였다. 반면, 36시간 이후로는 침지시간을 더 연장하여도 홍삼 제조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으므로 침지시간은 6~36시간 인 것이 바람직하나, 침지시간을 더 연장한다고 하여도 문제가 발행하는 것은 아니다. 과일주스에 침지된 인삼은 1차 건조 후 증숙하는 것이 좋다. 건조온도가 너무 낮으면, 건조에 시간이 많이 걸리며 건조온도가 너무 높으면 건조과정에서 탄화될 수 있으므로 20~70℃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조 시간은 온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증숙온도는 Rg3 생성 속도 및 입체선택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상기 증숙은 80~120℃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숙온도가 너무 낮으면 Rg3 생성 속도가 늦어지며, 증숙온도가 증가할수록 Rg3 생성 속도가 증가하기는 하지만 가용성엑스가 용출되어 유실되는 양 또한 증가하므로 흑삼 제조 수율이 현저하게 감소되므로 증숙 온도는 120℃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숙 시간이 길어질수록 Rg3의 생성량이 증가하며, 시간이 너무 짧은 경우에는 증숙의 효과가 미미하다. 증숙 시간에 있어, 15분~30분 사이 Rg3의 생성이 빠르게 이루어지며, 이후에도 시간을 연장하면 Rg3 함량 역시 증가하지만 1시간 이후에는 증가의 정도가 크지 않기 때문에 공정상의 경제성이나 수율 저하의 우려를 고려하면 증숙은 15~60분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징적인 것은 증숙온도에 따라 생성되는 Rg3의 입체선택성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과일주스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의 경우 증숙온도가 낮더라도 Rg3의 입체선택성이 관측되지 않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증숙온도가 80~100℃인 경우에는 20(S)-Rg3이, 110~120℃인 경우에는 20(R)-Rg3이 선택적으로 형성되었다. 100~110℃의 경우에는 Rg3의 생성속도는 낮은 온도에 비해 높았으나 입체선택성은 두드러지지 않았다. 배경기술에도 기재한 바와 같이 20(S)-Rg3와 20(R)-Rg3는 그 효능이 상이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해 홍삼을 제조하는 경우, 홍삼의 용도에 따라 Rg3의 입체구조를 선택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입체선택성이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에는 Rg3의 생성속도는 향상시키면서, 탄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100~110℃에서 증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증숙은 통상의 홍삼 제조 시와 마찬가지로 1회만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증숙과 건조과정을 여러차례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반복된 증숙과 건조과정을 거치면 종래 기술에 의한 흑삼에 해당하는 홍삼이 얻어진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에 의한 흑삼의 제조가 9회의 증숙에 의해 이루어짐에 반해 4회 이하의 증숙에 의해서도 Rg3의 생성이 충분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증숙은 1~4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증숙과 증숙 사이 증숙된 홍삼의 건조는 통상의 구증구포와 마찬가지로 홍삼 내 수분함량이 15~20중량%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증숙 회수는 증숙 온도와 시간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구증구포에 의한 흑삼의 제조가 많은 기간이 소요되는 것에 반해 본 발명에 의하면 4~6일 정도의 짧은 시간에 Rg3의 성분이 강화된 흑삼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Rg3 함량을 강화하면서도 제조기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공정도 단순화하여 보다 경제적으로 우수한 품질의 홍삼 또는 흑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숙 조건에 따라 20(S)-Rg3 또는 20(R)-Rg3를 입체선택적으로 함유하는 홍삼 또는 흑삼을 제조할 수 있어, 사용 목적에 따라 유효성분을 증가시킨 맞춤형 홍삼 또는 흑삼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홍삼 제조 시 증숙 횟수에 따른 홍삼 내 사포닌 함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HPLC 크로마토그램.
도 2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의한 과일주스 전처리에 따른 홍삼 내 사포닌 함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HPLC 크로마토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의한 증숙 온도에 따른 홍삼 내 사포닌 함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HPLC 크로마토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의한 증숙 시간에 따른 홍삼 내 사포닌 함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HPLC 크로마토그램.
도 5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의한 인삼의 증숙 시간 및 회차에 따른 홍삼의 형태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의한 증숙 횟수에 따른 홍삼 내 사포닌 함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HPLC 크로마토그램.
이하 첨부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비교예 : 구증구포에 의한 홍삼의 제조
실시예에 앞서 통상적인 종래 기술인 구증구포에 의해 홍삼을 제조하고, 제조된 홍삼 중 사포닌의 함량을 정량하였다.
금산군에서 생산된 4년근 수삼은 구입 후 선별 및 수세하고 60℃에서 24시간 건조하였다. 건조된 수삼을 오토클레이브(Jeio-Tech, Seoul, Korea)에 넣고 100℃에서 10시간 동안 1차 증숙한 후, 60℃에서 수분함량이 40~50%(w/w, 이하 수분함량은 모두 중량비를 나타냄)가 되도록 건조하였다. 1차 증숙 후 건조한 홍삼을 80℃에서 6시간 동안 2차 증숙하고 60℃에서 수분함량이 25~30%가 되도록 건조하였다. 이후 건조된 홍삼을 린넨 또는 실크로 묶어준 후 80℃에서 6시간 증숙하고 60℃에서 수분함량이 15~20%가 되도록 건조하는 공정을 7회 반복하였으며, 최종 건조는 수분함량이 14%이하가 되도록 하고 린넨 또는 실크로 묶어준 것을 풀어주었다. 제조된 홍삼은 1차 증숙 및 건조 후에는 홍삼 특유의 붉은 갈색을 나타내었으며, 증숙 회수가 증가할수록 색이 짙어져 구증구포된 홍삼은 검은색은 나타내었다.
제조 홍삼을 분쇄한 분말 1g을 70% ethanol 50ml에 넣어 75°C에서 환류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60 kHz, heat power 330 W; JAC Ultrasonica 2010, KOPO, Korea)을 3회 실시하였다. 추출용액을 한곳에 모은 후 진공농축을 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농축시료에 20ml의 증류수를 넣어 용해시키고, 메탄올과 물로 활성화시킨 SPE Sep-Pak C18 cartridge에 1ml을 넣고 0, 20, 90% MeOH (10ml)로 순차적으로 용출시켰다. 용출액은 50°C에서 질소가스로 건고시킨 후 80% MeOH 용액 1ml로 용해한 후 PTFE syringe filter로 여과하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시료는 Agilent 1100 series HPLC system(Palo Alto, CA,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Discovery C18 컬럼(250×4.6mm, I.d., 5㎛;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0-30 min, isocratic 20% AN(acetonitrile); 30-60 min, 20-45% AN; 60-70 min, 45-62% AN의 구배 프로그램, 유속 1.0㎖/min의 조건에서 10㎕를 주입하여 분석하였으며 204nm에서 검출하였다. 표준품 Rg1, Re, Rf, Rb1, Rg2, Rc, Rb2, Rb3, Rd, 20(S)- and 20(R)-Rg3는 Hongjiu Biotech Co. Ltd. (Jilin, China)로부터 구입하였다.
도 1과 증숙 회수에 따른 홍삼 시료에서 사포닌 함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HPLC 크로마토그램이며, 표 1은 사포닌의 정량 결과(㎎/g)이다. 도 1에서 A는 가공하지 않은 수삼(WG), B는 2차 증숙된 홍삼(S2WG), C는 3차 증숙된 홍삼(S3WG), D는 6차 증숙된 홍삼(SWG), E는 9차 증숙된 홍삼(S9WG)의 분석 결과이다. 도 1 및 표 1로부터 수삼에는 존재하지 않던 Rg3가 증숙을 통한 홍삼의 제조과정에서 형성되며, 3차 증숙된 홍삼에서는 그 함량이 미미하나 증숙회수가 증가할수록 함량이 점점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증숙의 초기에는 20(S)-Rg3와 20(R)-Rg3가 거의 유사한 비율로 생성되나, 구증구포된 흑삼에서는 20(S)-Rg3의 비율이 증가하여 20(S)-Rg3이 20(R)-Rg3에 비해 현저하게 많이 함유되었다.
Figure 112013065896956-pat00001
실시예 : 과일주스를 이용한 홍삼의 제조
1) 과일주스 종류에 따른 홍삼의 제조
금산군에서 생산된 4년근 수삼은 구입 후 선별 및 수세하고 60℃에서 24시간 건조하였다. 건조된 수삼을 시판의 100% 사과주스, 파인애플주스 또는 포도주스에 24시간 상온에서 침지하여 60℃에서 다시 24시간 건조하였다. 건조된 수삼을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구증구포하여 홍삼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과일주스에 침지한 후 4차 증숙하여 얻어진 홍삼을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사포닌 함량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비교예 1의 방법에 의해 4차 증숙된 홍삼의 결과와 함께 도 2와 표 2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13065896956-pat00002
도 2 및 표 2에서 포도주스를 이용한 경우에는 Rg3와 총사포닌 함량이 종래기술의 홍삼에 비해 각각 50% 및 10% 증가하였다. 파인애플주스는 포도주스보다는 효과가 적기는 하였으나 종래기술보다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과일주스를 이용하여 제조한 홍삼에서는 또한 Rg2의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Rg2 역시 수삼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증숙과정에 생성되는 사포닌의 일종으로 암전이 예방, 혈소판 응집 억제, 기억력 감퇴 개선, 주름형성 방지, 미백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2 및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또 하나의 특징은 과일주스를 사용하여 홍삼을 제조한 경우에는 생성되는 Rg3의 입체구조로, 비교예에서는 20(S)-Rg3와 20(R)-Rg3이 대략 1:1로 형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20(S)-Rg3이 특이적으로 생성되었다. 사과주스를 이용한 경우에는 Rg3 및 총사포닌의 함량이 종래 방법에 비해 낮았으나, 20(S)-Rg3가 선택적으로 제조되어 Rg3가 입체선택적으로 함유된 홍삼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2) 증숙 온도에 따른 홍삼의 제조
금산군에서 생산된 4년근 수삼은 구입 후 선별 및 수세하고 60℃에서 24시간 건조하였다. 건조된 수삼을 시판의 100% 포도주스에 24시간 상온에서 침지하여 60℃에서 다시 24시간 건조하였다. 건조된 수삼을 80℃, 100℃ 또는 120℃ 에서 1시간 증숙하고 60℃에서 수분함량이 15~20%가 되도록 건조하는 공정을 3회 반복하고 사포닌의 함량을 분석하여 도 3 및 표 3에 그 결과를 기재하였다.
Figure 112013065896956-pat00003
3과 표 3으로부터 증숙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Rg2와 Rg3의 생성이 촉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더불어, 80℃에서는 20(S)-Rg3이 특이적으로 생성되었으나, 증숙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20(R)-Rg3의 비율이 증가하여 120℃에서는 20(S)-Rg3과 20(R)-Rg3이 거의 동일한 비율로 생성되었다.
3) 증숙 시간 및 횟수에 따른 홍삼의 제조
증숙 시간을 15분, 30분, 45분 또는 60분으로 조절하여 120℃에서 4회 증숙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2)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홍삼을 제조하고, 사포닌 함량을 측정하여 도 4 및 표 4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13065896956-pat00004
도 4 및 표 4에서 Rg3는 15분 증숙 시 0.44mg/g이 생성되었으나, 이후 생성이 급격히 증가하여 30분 증숙 시에는 2.0mg/g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후 Rg3의 생성은 완만하게 증가하여 60분 증숙 시에는 2.54mg/g이 생성되었다. 또한, 증숙 초반에는 20(S)-Rg3가 선택적으로 생성되었으나, 증숙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20(R)-Rg3의 생성량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는 상기 각 조건에서 4회 증숙하여 제조한 홍삼의 각단계의 증숙 처리 후 형태의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로부터 증숙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홍삼의 색이 검게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20℃에서 60분간 4회 증숙한 경우에는 약간의 탄화가 관측되었다.
도 6 및 표 5는 120℃에서 60분간 증숙하여 제조한 홍삼에 대해 증숙 회차에 따른 사포닌 함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크로마토그램 및 분석 데이터로, 증숙 회차가 증가할수록 Rg3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4차 증숙된 홍삼은 Rg3의 함량이 약간 감소하여 탄화에 대한 도 5의 육안확인 결과와 일치하였다.
Figure 112013065896956-pat00005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인삼을 증숙한 후 건조하여 제조되는 홍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인삼의 증숙 전에,
    (A) 인삼을 사과주스, 포도주스 또는 파인애플주스에 6~36시간 침지하는 단계;
    (B) (A) 단계에서 침지하였던 인삼을 회수하여 20~70℃에서 12~36시간 건조하는 단계;
    에 의해 인삼을 전처리하며,
    상기 증숙은 80~100℃에서 15~60분간 이루어져 함유된 Rg3의 입체구조가 20(S)-Rg3 선택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의 제조 방법.
  6. 인삼을 증숙한 후 건조하여 제조되는 홍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인삼의 증숙 전에
    (A) 인삼을 사과주스, 포도주스 또는 파인애플주스에 6~36시간 침지하는 단계;
    (B) (A) 단계에서 침지하였던 인삼을 회수하여 20~70℃에서 12~36시간 건조하는 단계;
    에 의해 인삼을 전처리하며,
    상기 증숙은 110~120℃에서 15~60분간 이루어져 함유된 Rg3의 입체구조가 20(S)-Rg3 선택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의 제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증숙은 1~4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의 제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증숙은 1~4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의 제조 방법.
KR1020130086135A 2013-07-22 2013-07-22 과일주스를 이용한 홍삼 또는 흑삼의 제조 방법 KR101552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135A KR101552093B1 (ko) 2013-07-22 2013-07-22 과일주스를 이용한 홍삼 또는 흑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135A KR101552093B1 (ko) 2013-07-22 2013-07-22 과일주스를 이용한 홍삼 또는 흑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183A KR20150011183A (ko) 2015-01-30
KR101552093B1 true KR101552093B1 (ko) 2015-09-10

Family

ID=52482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135A KR101552093B1 (ko) 2013-07-22 2013-07-22 과일주스를 이용한 홍삼 또는 흑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0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272B1 (ko) * 2018-06-12 2019-09-24 조미리 흑삼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흑삼음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247B1 (ko) 2005-12-23 2007-09-12 한국식품연구원 인삼의 쓴맛이 감소되고 조직감이 향상된 조미 인삼 및이를 포함하는 인삼김치의 제조방법
KR100805852B1 (ko) 2006-12-21 2008-02-21 한국식품연구원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된 인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이용한 홍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247B1 (ko) 2005-12-23 2007-09-12 한국식품연구원 인삼의 쓴맛이 감소되고 조직감이 향상된 조미 인삼 및이를 포함하는 인삼김치의 제조방법
KR100805852B1 (ko) 2006-12-21 2008-02-21 한국식품연구원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된 인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이용한 홍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272B1 (ko) * 2018-06-12 2019-09-24 조미리 흑삼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흑삼음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183A (ko) 2015-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88352A (zh) 一种灵芝保健茶的制作方法
CN102441040A (zh) 一种肉苁蓉苯乙醇总苷的制备方法
KR101341755B1 (ko) 펙티나아제를 이용한 인삼 또는 홍삼의 파낙사디올 사포닌 대사체 강화 분획물 제조방법
CN105816518A (zh) 一种核桃青皮酚类天然抗氧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873558A (zh) 一种高含量人参皂苷的黑参的制备方法
KR20140112777A (ko)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CN102836194B (zh) 一种鼠曲草总黄酮的提取方法
KR101034809B1 (ko)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
CN107568548B (zh) 槐米固体饮料及制备方法
KR101552093B1 (ko) 과일주스를 이용한 홍삼 또는 흑삼의 제조 방법
CN102894241A (zh) 一种高效提高天麻中天麻素含量的加工工艺
CN101406504B (zh) 菊米中黄酮类物质的提取方法
CN102492667A (zh) 一种酶制剂及其用于提取黄柏小檗碱的应用和方法
CN101966225B (zh) 一种益母草膏的制备方法
KR100325778B1 (ko) 파핑처리에 의해 가공된 인삼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KR20090022456A (ko) 홍삼으로부터 아미노당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3585424A (zh) 一种从韭菜籽中提取总黄酮的方法
CN105412167A (zh) 从银杏叶中提取分离银杏黄酮和银杏内酯的方法
KR101283323B1 (ko) 생산성이 향상된 홍삼액의 제조방법
CN104306418A (zh) 一种优化的人参提取工艺
CN108324798A (zh) 一种少花龙葵的加工产品与用途
CN103815399A (zh) 一种青葙牛樟芝营养粉的加工方法
CN108126000A (zh) 新鲜三七中三七总皂苷提取制备方法
KR101921507B1 (ko) 인삼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흑삼 제조방법
CN107712845A (zh) 火棘果提取物在制备提高视觉敏感度保健食品与药品中的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