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862B1 - 고무호스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고무호스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862B1
KR101551862B1 KR1020130152990A KR20130152990A KR101551862B1 KR 101551862 B1 KR101551862 B1 KR 101551862B1 KR 1020130152990 A KR1020130152990 A KR 1020130152990A KR 20130152990 A KR20130152990 A KR 20130152990A KR 101551862 B1 KR101551862 B1 KR 101551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rubber hose
unit
hos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7849A (ko
Inventor
이명식
박형근
박재완
김명진
이용재
문기석
조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to KR1020130152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862B1/ko
Publication of KR20150067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호스를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절단함과 동시에 버려지는 고무 스크랩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고무호스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절단되는 고무호스가 안착되는 호스안착홈이 형성된 호스안착유닛; 상기 고무호스를 절단하기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블레이드를 갖는 블레이드유닛; 상기 블레이드유닛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로드를 갖는 이송유닛; 상기 블레이드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프레임; 그리고, 상기 고무호스의 절단시 상기 고무호스를 잡아주는 홀더유닛을 포함하는 고무호스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무호스 절단장치 {Apparatus for cutting rubber hose}
본 발명은 고무호스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무호스를 안정적으로 절단할 수 있고, 절단으로 인하여 버려지는 고무스크랩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고무호스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호스는 자동차, 선박, 또는 산업설비에서 사용되는 엔진, 공압설비, 유압설비 등에서 유체의 이동통로로서 주로 사용된다.
상기 고무호스는 고장력의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층의 외부 및/또는 내부 표면에 고무층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압출기에서 직선형으로 압출된다.
여기서, 상기 고무호스는 사용되는 요구조건에 따라 특정의 굴곡진 형상으로 가공되어야 한다.
상기 고무호스를 특정의 굴곡진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압출된 직선형의 고무호스를 삽입할 수 있는 길이만큼 가절단 하여 굴곡진 맨드릴 금형에 끼운 후 가류(加硫) 가마에 넣고 고온, 고압상태에서 가류함으로써 상기 맨드릴 금형이 가지는 굴곡진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짐과 동시에 탄성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고무호스가 단위 맨드릴에 끼워진 상태로 가류가마에서 가류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고무 호스의 수축으로 인해 고무 호스의 길이가 최초 재단한 가절단 길이보다 짧아진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 가류공정시의 수축을 감안하여 상기 가류공전 전의 고무호스 길이를 정상제품의 길이보다 길게 재단 및 가절단한 후 가류 공정 후 요구되는 정상 제품의 길이에 맞춰 재절단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런데, 이 경우 가류 과정에서의 수축으로 인해 요구되는 정상 제품의 길이보다 짧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당량의 여분이 고무 호스의 양단에 마련되도록 재단할 경우, 가류 공정 이후 잘라 버려지는 고무 스크랩의 양이 많아짐에 따른 자재의 낭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안착블럭 상에 상기 고무호스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상기 고무호스를 절단하였다.
그런데, 가류 공정 이후 버려지는 양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여분으로 남겨지는 부분의 길이를 최소화 할 경우, 가류시 수축에 의하여 요구되는 정상 제품의 규격에 맞지 않게 되거나, 고무 호스의 끝단 부분과 블레이드에 의한 절단 지점 사이의 길이가 짧아져 블레이드의 압력에 의해 고무 호스가 밀려나가 요구되는 정상 제품의 규격에 맞지 않게 되거나 절단면이 정확하게 수직으로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실제, 종래의 절단 장치의 경우 절단되는 고무스크랩의 길이가, 예를 들면 RAD 25mm 이하나 일반 저압용(VAC, 연료 등) 150mm 이하의 고무 스크랩이 생성되도록 절단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무호스를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절단함과 동시에 버려지는 고무 스크랩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고무호스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단되는 고무호스가 안착되는 호스안착홈이 형성된 호스안착유닛; 상기 고무호스를 절단하기 위하여 상기 고무호스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블레이드를 갖는 블레이드유닛; 상기 블레이드유닛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로드를 갖는 이송유닛; 상기 블레이드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프레임; 그리고, 상기 고무 호스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무호스의 상부면에 압력을 가해 상기 고무호스의 절단시 상기 고무호스를 잡아주는 홀더유닛을 포함하는 고무호스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이송로드가 관통하는 상부블럭과, 상기 고무호스의 절단시 상기 고무호스를 잡아주는 홀더부재와, 일단은 상기 홀더부재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블럭과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이송로드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연결부재의 안내를 따라 상기 상부블럭과 상기 홀더부재 사이를 이동하는 하부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배치되어 상기 하부블럭의 하강시 상기 홀더부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부재의 하면은 상기 고무호스의 외측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유닛은 상기 블레이드를 양측면에서 잡아주기 위한 제1 블레이드 프레임 및 제2 블레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1 블레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 블레이드 프레임의 상부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블럭과 결합되어 있는 블레이드 상부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레이드 프레임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승강안내홈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호스안착유닛에는 상기 블레이드가 수용되는 블레이드 수용홈과, 상기 제1 블레이드 프레임 및 제2 블레이드 프레임이 수용되는 프레임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수용홈은 상기 호스안착홈의 종단면과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호스안착홈보다 더 깊게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고무호스의 절단면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제1 홀더부재 및 제2 홀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홀더부재와 상기 상부블럭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홀더부재와 상기 상부블럭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호스 절단장치는 홀더유닛을 설치하여 고무호스를 잡아준 상태에서 해당 고무호스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고무호스를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홀더유닛이 고무호스의 끝단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고무호스의 끝단과 가까운 영역에서 안정적으로 절단됨으로 인하여 절단되어 버려지는 고무스크랩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호스 절단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고무호스 절단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고무호스 절단장치에 고무호스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고무호스 절단장치에 구비된 홀더유닛이 고무호스가 절단되기 전에 상기 고무호스를 잡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고무호스 절단장치에 구비된 블레이드유닛이 고무호스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무호스 절단장치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고무호스 절단장치는 호스안착유닛(20), 블레이드유닛(100), 이송유닛(30), 지지프레임(10) 및 홀더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호스안착유닛(20)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부영역과 결합되는 호스안착블럭(21)을 포함한다.
상기 호스안착블럭(21)에는 절단하고자 하는 고무호스(1)가 안착되는 호스안착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호스안착홈(23)의 하부영역은 상기 고무호스(1)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고무호스(1)를 수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호스안착블럭(21)에는 상기 블레이드유닛의 블레이드(110)가 수용되는 블레이드 수용홈(27)과, 상기 블레이드유닛의 제1 블레이드 프레임(121) 및 제2 블레이드 프레임(123)이 수용되는 프레임 수용홈(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 수용홈(27)은 상기 블레이드(110)가 수용될 정도의 폭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 수용홈(25)은 상기 제1 블레이드 프레임(121) 및 상기 제2 블레이드 프레임(123)이 수용될 정도의 폭을 가지므로 상기 프레임 수용홈(25)이 상기 블레이드 수용홈(27)보다 넓은 폭을 가지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 수용홈(27)은 상기 호스안착홈(23)의 종단면과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호스안착홈(23)보다 더 깊게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블레이드(110)가 상기 블레이드 수용홈(27)에 수용되면서 상기 고무호스(1)의 단면을 끝까지 안정적으로 절단하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유닛(100)은 상기 고무호스(1)를 절단하기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블레이드(110)와, 상기 블레이드(110)를 양측면에서 잡아주기 위한 제1 블레이드 프레임(121) 및 제2 블레이드 프레임(123)과, 상기 제1 블레이드 프레임(121) 및 상기 제2 블레이드 프레임(123)의 상부와 결합되는 블레이드 상부프레임(125)을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 상부프레임(125)이 상기 이송유닛(30)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1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레이드 상부프레임(125)은 상기 홀더유닛의 하부블럭(230)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하부블럭(230)은 상기 이송유닛의 이송로드(31)와 결합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이송로드(31)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하부블럭(230)이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유닛(100)도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블레이드 프레임(121)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승강안내홈(11a)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125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유닛(100)이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상기 가이드돌기(125a)가 상기 승강안내홈(11a)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블레이드유닛(100)은 좌우방향의 흔들림없이 상하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기 호스안착유닛(20), 상기 블레이드유닛(100) 및 상기 이송유닛(30)과 결합되어 상기 고무호스 절단장치의 구성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블레이드유닛(10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기 호스안착블럭(21)과 결합되는 수직프레임(11)과,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상단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이송로드(31)를 지지하는 수평프레임(13)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일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25a)와 대응되면서 상기 블레이드유닛(100)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승강안내홈(11a)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유닛(30)은 상기 블레이드유닛(10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홀더유닛의 하부블럭(23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송유닛(30)은 공압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송로드(31)와, 상기 이송로드(31)의 끝단에서 상기 하부블럭(230)과 결합되는 결합부재(33)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이송유닛은 유압 또는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홀더유닛(200)은 상기 블레이드유닛(100)과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고무호스(1)의 절단시 상기 고무호스(1)를 잡아주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고무호스(1)의 절단시 상기 고무호스(1)를 잡아주는 홀더부재(240), 상기 홀더부재(24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홀더부재(240)와 체결되는 상부블럭(210), 상기 상부블럭(210)과 상기 홀더부재(240)를 체결하기 위한 연결부재(220), 상기 홀더부재(240)와 상기 상부블럭(210)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블럭(230), 상기 연결부재(220)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25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블럭(230)은 상기 이송로드(31)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 상부프레임(125)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부블럭(210)에는 상기 이송로드(31)가 관통하는 관통홀(21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이송로드(31)는 상기 상부블럭(210)을 관통하면서 상기 하부블럭(230)과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220)의 하단부는 상기 홀더부재(240)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220)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블럭(210)과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상부블럭(210)과 상기 홀더부재(240)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일체로 이동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재(220)는 볼트와 너트를 구성되며, 상기 볼트는 상기 홀더부재(24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너트는 상기 상부블럭(210)의 상면에서 상기 상부블럭(210)을 관통한 상기 볼트의 끝단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20)는 상기 하부블럭(230)을 관통하면서 설치되므로, 상기 하부블럭(230)은 상기 이송로드(31)의 이동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되, 상부방향으로는 상기 상부블럭(210)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고, 하부방향으로는 상기 홀더부재(240)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된다.
즉, 상기 하부블럭(230)은 상기 이송로드(31)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연결부재(220)의 안내를 따라 상기 상부블럭(210)과 상기 홀더부재(240)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250)는 상기 연결부재(220)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배치되어 상기 하부블럭(230)의 하강시 상기 홀더부재(24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250)로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이송로드(31)가 하강할 때 상기 하부블럭(230)이 하강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상부블럭(210) 및 상기 홀더부재(240)도 자중에 의하여 하강한다.
이때, 상기 하부블럭(230)이 하강하면서 상기 탄성부재(250)를 가압하면, 상기 탄성부재(250)는 상기 홀더부재(240)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홀더부재(240)가 상기 고무호스(1)의 외측면에 접촉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부재(240)는 상기 고무호스(1)를 잡아줌과 동시에 일시적으로 멈추게 된다.
그러나, 상기 이송로드(31)가 지속적으로 하강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블럭(230)이 하강하게 되고, 상기 하부블럭(230)의 하강에 의하여 가압되는 상기 탄성부재(250)가 상기 홀더부재(240)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홀더부재(240)는 상기 고무호스(1)를 더욱 안정적으로 잡아주게 된다.
물론, 상기 블레이드유닛(100)은 상기 하부블럭(230)의 이동과 함께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무호스(1)를 절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홀더부재(240)는 상기 고무호스(1)의 절단면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제1 홀더부재(241) 및 제2 홀더부재(243)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부재(240)의 하면은 상기 고무호스(1)의 외측면과 대응되도록 원호의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110)가 상기 고무호스를 절단하기 전 상태에서 상기 홀더부재(240)의 하면은 상기 블레이드(110)의 하면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홀더유닛(200)과 상기 블레이드유닛(100)의 하강시 상기 홀더부재(240)의 하면이 상기 고무호스(1)의 외측면에 먼저 접촉하면서 상기 고무호스를 안정적으로 잡아주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홀더부재(240)가 상기 고무호스(1)의 절단면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상기 고무호스(1)를 안정적으로 잡아준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110)가 상기 고무호스(1)를 절단하게 됨으로써 상기 고무호스(1)를 수직방향으로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고무호스(1)의 절단시 버려지는 고무스크랩의 길이가 작더라도 상기 홀더부재(240)가 절단되는 상기 고무스크랩을 안정적으로 잡아준 상태에서 상기 고무호스(1)를 절단할 수 있게 되므로 절단되어 버려지는 고무스크랩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220)는 상기 제1 홀더부재(241)와 상기 상부블럭(210)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221)와, 상기 제2 홀더부재(243)와 상기 상부블럭(210)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250)는 상기 제1 연결부재(221)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1 탄성부재(251)와, 상기 제2 연결부재(223)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2 탄성부재(253)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고무호스 성형장치가 복수 개 구비된 고무호스 성형시스템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무호스 성형시스템은 호스안착유닛(20), 블레이드유닛(100), 이송유닛(30), 지지프레임(10) 및 홀더유닛(200)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1 고무호스 성형장치와, 상기 제1 고무호스 성형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2 고무호스 성형장치와, 상기 제1 고무호스 성형장치와 상기 제2 고무호스 성형장치를 연결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무호스의 일측 끝단은 상기 제1 고무호스 성형장치에 의하여 절단되고, 동시에 상기 고무호스의 타측 끝단은 상기 제2 고무호스 성형장치에 의하여 절단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고무호스의 양측 끝단을 상기 제1 고무호스 성형장치 및 상기 제2 고무호스 성형장치로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고무호스의 중앙 연결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고무호스가 절단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지지프레임 11: 수직프레임
13: 수평프레임 20: 호스안착유닛
21: 호스안착블럭 23: 호스안착홈
25: 프레임 수용홈 27: 블레이드 수용홈
30: 이송유닛 31: 이송로드
100: 블레이드유닛 110: 블레이드
121: 제1 블레이드 프레임 123: 제2 블레이드 프레임
125: 블레이드 상부프레임 200: 홀더유닛
210: 상부블럭 220: 연결부재
230: 하부블럭 240: 홀더부재
250: 탄성부재

Claims (7)

  1. 절단되는 고무호스가 안착되는 호스안착홈이 형성된 호스안착유닛;
    상기 고무호스를 절단하기 위하여 상기 고무 호스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블레이드를 갖는 블레이드유닛;
    상기 블레이드유닛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로드를 갖는 이송유닛;
    상기 블레이드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프레임; 그리고,
    상기 고무 호스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여 상기 고무호스의 상부면에 압력을 가해 상기 고무 호스 절단 시 상기 고무호스를 잡아주는 홀더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이송로드가 관통하는 상부블럭과, 상기 고무호스의 절단시 상기 고무호스를 잡아주는 홀더부재와, 일단은 상기 홀더부재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블럭과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이송로드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연결부재의 안내를 따라 상기 상부블럭과 상기 홀더부재 사이를 이동하는 하부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호스 절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닛은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배치되어 상기 하부블럭의 하강시 상기 홀더부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호스 절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의 하면은 상기 고무호스의 외측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원호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호스 절단장치.
  5.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유닛은 상기 블레이드를 양측면에서 잡아주기 위한 제1 블레이드 프레임 및 제2 블레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1 블레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 블레이드 프레임의 상부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블럭과 결합되어 있는 블레이드 상부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레이드 프레임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승강안내홈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호스 절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안착유닛에는 상기 블레이드가 수용되는 블레이드 수용홈과, 상기 제1 블레이드 프레임 및 제2 블레이드 프레임이 수용되는 프레임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수용홈은 상기 호스안착홈의 종단면과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호스안착홈보다 더 깊게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호스 절단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고무호스의 절단면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제1 홀더부재 및 제2 홀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홀더부재와 상기 상부블럭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홀더부재와 상기 상부블럭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호스 절단장치.
KR1020130152990A 2013-12-10 2013-12-10 고무호스 절단장치 KR101551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990A KR101551862B1 (ko) 2013-12-10 2013-12-10 고무호스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990A KR101551862B1 (ko) 2013-12-10 2013-12-10 고무호스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849A KR20150067849A (ko) 2015-06-19
KR101551862B1 true KR101551862B1 (ko) 2015-09-10

Family

ID=53515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990A KR101551862B1 (ko) 2013-12-10 2013-12-10 고무호스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585A (ko) * 2017-08-14 2019-02-25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고무 호스 절단 및 마킹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127B1 (ko) * 2016-12-22 2019-03-13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웨더스트립 절단장치
CN106863378B (zh) * 2017-03-28 2019-08-09 合肥和安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双联胶管切割装置
KR102099434B1 (ko) * 2019-11-07 2020-04-09 주식회사 풍산테크 각파이프 절단 장치
KR20240002343A (ko) 2022-06-29 2024-01-05 신동호 숙성을 겸한 떡찜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4682A (ja) 2002-11-28 2004-06-24 Kane Kogyo Kk ゴム管切断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4682A (ja) 2002-11-28 2004-06-24 Kane Kogyo Kk ゴム管切断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585A (ko) * 2017-08-14 2019-02-25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고무 호스 절단 및 마킹 장치
KR101985708B1 (ko) * 2017-08-14 2019-09-04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고무 호스 절단 및 마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849A (ko) 201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862B1 (ko) 고무호스 절단장치
KR101850887B1 (ko) 고무호스 절단장치
US8636491B2 (en) Tire vulcanizer
KR102050758B1 (ko) 금형 성형제품의 게이트 자동커팅장치
CN205767310U (zh) 一种带金属镶件的塑件辅助加工设备
CN110899056B (zh) 点胶系统
JP5498530B2 (ja) トランスファー成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ゴム製品の製造方法
CN211806791U (zh) 一种上浮动模框压砖模具
TW202009260A (zh) 環形體的成型裝置及成型方法
CN105313167A (zh) 裁断机刀模自动装卸装置
CN210254020U (zh) 一种网络变压器引脚剪切装置
KR20160074247A (ko) 핫스탬핑 부품 제조용 금형장치
KR10197805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자동 보수장치
CN211517698U (zh) 一种切割精度高的橡胶切块装置
CN110355925B (zh) 发泡顶部压紧定位装置、发泡方法及热水器
KR101230839B1 (ko) 리니어 로봇
CN108774648B (zh) 一种带卷料切断的皮料分片送料机构
CN105500607A (zh) 模具镶块自动脱落装置
CN218837955U (zh) 一种具有侧切结构的模具
KR101647686B1 (ko) 완충재 절단기
CN110901106A (zh) 一种手动分切预浸料装置
WO2015087152A1 (e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hollow body
CN210415592U (zh) 一种助力式易拆装lft模头装置
CN217454036U (zh) 塑料扎带加工用分切装置
CN210190309U (zh) 一种具有装卸功能的平板硫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