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434B1 - 각파이프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각파이프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434B1
KR102099434B1 KR1020190141396A KR20190141396A KR102099434B1 KR 102099434 B1 KR102099434 B1 KR 102099434B1 KR 1020190141396 A KR1020190141396 A KR 1020190141396A KR 20190141396 A KR20190141396 A KR 20190141396A KR 102099434 B1 KR102099434 B1 KR 102099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jaw
blade
pipe
jaw
movabl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풍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풍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풍산테크
Priority to KR1020190141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1/00Machines or devices for shearing or cutt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2Arrangements for holding, guiding, and/or feeding work during th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12Equipment for indicating where to c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면이 사각인 각파이프를 프레스 공법에 의해 자동으로 절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각파이프 절단 장치는 칼날과; 각파이프를 하부 및 상부에서 파지 고정하고, 내측에 상기 칼날이 통과될 수 있도록 칼날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된 하부죠 및 상부죠와; 상기 칼날을 상기 하부죠 및 상부죠에 의해 파지 고정된 각파이프측으로 가압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각파이프 절단 장치{SQUARE PIPE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면이 사각인 각파이프를 프레스 공법에 의해 자동으로 절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의 절단 작업은 통상 고속으로 회전되는 원형 톱날에 의해 수행된다. 그런데, 이러한 원형 톱날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절단하는 경우, 톱날과 파이프 표면의 지속적인 접촉과 마찰에 의해 큰 소음과 분진, 그리고 열과 불꽃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절단에 소요되는 시간도 매우 오래 걸리기 때문에 작업성과 작업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특히, 각파이프의 경우 편평한 면과 모서리 부분의 강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원형 톱날에 의해 균일하게 절단 작업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903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파이프 절단 작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소음이나 분진, 열 및 불꽃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순간적으로 파이프를 절단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파이프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단면이 사각인 각파이프를 프레스 방식으로 균일하게 절단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각파이프 절단 장치는 칼날과; 각파이프를 하부 및 상부에서 파지 고정하고, 내측에 상기 칼날이 통과될 수 있도록 칼날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된 하부죠 및 상부죠와; 상기 칼날을 상기 하부죠 및 상부죠에 의해 파지 고정된 각파이프측으로 가압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죠와 상부죠는 중앙에 각파이프의 일측 모서리 부분이 삽입 거치되도록 각각 오목한 V자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V자홈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중앙에 각파이프가 삽입 가능한 사각형상의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죠 및 상부죠는 각파이프의 대각 방향으로 비스듬히 배치되며, 상기 칼날은 상기 상부죠의 V자홈에 삽입된 각파이프의 모서리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하부에 상기 칼날이 결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가동블럭과; 상기 가동블럭과 상부죠 사이에 구비되되, 일단부는 상기 상부죠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동블럭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봉과; 일단은 상기 상부죠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동블럭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외주면에 스프링이 결합된 스프링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죠를 하방에서 경사지게 고정 지지하도록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제1베이스와; 상기 상부죠가 경사지게 지지되도록 상부죠와 대향하는 방향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에 상기 상부죠 및 가동블럭의 이동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제2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 톱날을 사용하지 않고 프레스 방식으로 각파이프를 순간적을 절단함으로써 소음이나 분진, 열 및 불꽃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단시간에 파이프를 절단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각파이프를 고정 지지한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가압 절단함에 따라 각파이프를 균일하게 절단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각파이프 절단 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각파이프 절단 장치의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각파이프 절단 장치에 각파이프가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각파이프 절단 장치에 의해 각파이프가 절단되는 순간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파이프 절단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파이프 절단 장치는, 하부죠(10), 상부죠(30), 칼날(70), 가동블럭(80) 및 유압실린더(100)를 포함한다.
하부죠(10) 및 상부죠(30)는 절단하고자 하는 각파이프를 상하에서 파지 고정하는 것이다. 먼저, 하부죠(1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직육면체의 블럭 형태로 구성되되, 상부 중앙에는 각파이프의 일측 모서리 부분이 삽입 거치되도록 오목한 V자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 중앙에는 후술하는 칼날(70)이 상하 방향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칼날가이드홈(1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죠(10)는 V자홈과 칼날가이드홈(12)을 구비하는 하나의 일체형 블럭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조립 및 유지 보수를 위하여 도 1 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2개의 서브블럭이 좌우로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서브블럭들은 대체로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구성되되, 상부 중앙에 각각 V자홈이 형성되고,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그 사이 중앙에 칼날가이드홈(12)이 형성되도록 좌우 양단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두 서브블럭 사이에 형성된 칼날가이드홈(12)을 통해 칼날(70)이 통과될 수 있다.
상기 하부죠(10)는 두 서브블럭이 서로 맞대어져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죠지지판(14)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하부죠지지판(14)은 대체로 편평한 판 형태로 구성되고, 그 상부 표면에 상기 하부죠(10)가 수직으로 고정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부죠지지판(14)에 고정된 하부죠(10)는 하측에서 제1베이스(20)에 의해 경사지게 배치 고정된다. 상기 제1베이스(20)는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지지대로서, 좌우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경사판으로 구성되며, 그 경사면 위에 상기 하부죠지지판(14)이 고정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죠(10)의 상부 V자홈이 상방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한편, 상부죠(30)는 하부죠(10)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되, V자홈의 방향이 하부죠(10)와 반대되도록, 즉, 하부죠(10)와 마주보도록 비스듬히 하방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죠(30) 역시 하부 중앙에 오목한 V자홈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칼날(70)이 통과될 수 있도록 칼날가이드홈(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죠(30) 또한 일체의 단일 블럭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의 서브블럭이 서로 맞대어져 결합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죠(30)의 상단에는 상부죠지지판(34)이 결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상부죠지지판(34)의 중앙에는 칼날(70)이 삽입되어 통과될 수 있도록 중앙에 칼날(70)의 너비 만큼의 길이와 두께를 갖는 장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죠(10)와 상부죠(30)는 V자홈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중앙에 사각형상의 개구가 형성된다. 이 개구를 통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파이프가 삽입된다. 상기 하부죠(10)와 상부죠(30)는 각파이프의 대각 방향으로 비스듬히 배치됨에 따라, 각 V자홈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는 각파이프가 수평 배치되어 삽입될 수 있는 사각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파이프가 컨베이어나 롤러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절단 작업을 위해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죠(10)는 고정되어 있되, 상부죠(30)는 경사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죠(30)가 하방으로 이동시 하부죠(10)와 상부죠(30) 사이의 개구에 거치된 각파이프가 파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죠(30)와 하부죠(10)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각각 내측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홈(16,36)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6,36)에 상부죠(3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죠이동가이드봉(38)이 구비된다. 상기 죠이동가이드봉(38)은 일측이 상기 하부죠(10)의 가이드홈(16)에 끼워진 상태에서 단부가 상기 하부지지판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상부죠(30)의 가이드호에 삽입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죠(30)는 후술하는 유압실린더(1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죠이동가이드봉(38)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부죠(30)의 이동을 위해, 상기 상부죠지지판(34)은 일측에 제1이송플레이트(50)가 결합되고,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50)는 상부죠(30)와 대향하는 방향에 경사면을 갖는 제2베이스(40)에 비스듬히 배치된다. 그리고, 제2베이스(40)의 경사면 사이에는 가이드레일(42)이 형성되고,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50)의 후면에는 가이드블럭(52)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블럭(52)과 가이드레일(42)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50)와 여기에 결합된 상부죠지지판(34) 및 상부죠(30)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42)과 가이드블럭(52)은 LM레일과 LM블럭인 것이 바람직하다.
칼날(70)은 상기 하부죠(10)와 상부죠(30) 사이에 고정 거치된 각파이프를 가압하여 절단하는 것으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두께가 납작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하단부에 뾰족한 첨단부가 형성된 금속 판재로 구성된다. 상기 칼날(70)은 상부죠(30)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죠지지판(34)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죠(30)와 하부죠(10) 내측의 칼날가이드홈(12,3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상부죠(30)와 하부죠(10) 사이에 거치된 각파이프를 가압하여 절단한다. 상기 칼날(70)은 절단이 수월하도록 상기 상부죠(30)의 V자홈에 삽입된 각파이프의 모서리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죠지지판(34)의 상부 중앙에는 칼날보호부(74)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날보호부(74)는 상기 칼날(70)의 좌우 양측에서 칼날(70)을 커버함에 따라 칼날(70)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칼날(70)에 의해 부상을 당하는 것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칼날(70)이 상부죠지지판(34)을 통과하여 상부죠(30) 내측의 칼날가이드홈(32)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칼날(70)과 상부죠(30)의 상하 이동 및 가압 작용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각파이프 절단 장치는 유압실린더(100)와 가동블럭(80)을 더 포함한다.
유압실린더(100)는 유압에 의해 팽창 및 수축함에 따라 상기 칼날(70) 및 상부죠(30)를 이동 및 가압시킨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100)는 제2베이스(40)의 상단부 측에 고정 결합된 실린더브라켓(110)에 의해 지지 결합되되, 실린더로드(100a)가 하방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로드(100a)의 말단에는 가동블럭(80)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블럭(80)은 유압실린더(100)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하강 또는 상승 이동된다. 상기 가동블럭(80)은 일체형의 단일 블럭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조립 및 분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플레이트가 겹쳐진 상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동블럭(80)의 상하 이동시 안정적인 안내를 위하여, 상기 가동블럭(80)에는 제2이송플레이트(90)가 결합되고, 상기 제2이송플레이트(90)의 하부에는 가이드블럭(92)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블럭(92)은 제2베이스(40)의 경사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42)에 결합되어 상기 제2이송플레이트(90) 및 여기에 결합된 가동블럭(80)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동블럭(80)의 하측에는 칼날고정부(72)가 구비된다. 상기 칼날고정부(72)는 상기한 칼날(70)의 상단부를 파지 고정하는 부분으로, 하측으로부터 상기 칼날(70)이 삽입되도록 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칼날(70)이 상기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측방에서 고정핀(73)이 체결됨에 따라 고정 결합된다. 상기 칼날고정부(72)는 단일 블럭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좌우 양측으로 분리 가능한 2개의 블럭이 서로 맞대어져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두 블럭 사이에 칼날(70)이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핀(73)에 의해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유압실린더(100)가 팽창 또는 수축되면 가동블럭(80) 및 여기에 결합된 칼날(70)이 상하로 이동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블럭(80)과 상부죠(30)를 지지하는 상부죠지지판(34) 사이에는 다수의 가이드봉(82)과 스프링가이드(84)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봉(82)은 일단부가 상기 상부죠(30)에 결합된 상부죠지지판(34)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동블럭(80)을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압실린더(100)의 팽창 또는 수축시 가동블럭(80)이 상기 가이드봉(82)을 따라 안내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가동블럭(80)이 가이드봉(82)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동블럭(80) 내부에는 가이드부시(8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프링가이드(84)는 봉 외주면에 스프링이 결합된 것으로, 상기 스프링가이드(84)를 구성하는 봉은 상기 가이드봉(82)과 같이 일단은 상기 상부죠(30)에 결합된 상부죠지지판(34)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동블럭(80)을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압실린더(100)의 팽창 또는 수축시 가동블럭(80)이 상기 가이드봉(82)을 따라 안내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상기 스프링가이드(84)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유압실린더(100)가 팽창하여 가동블럭(80)이 하강하는 경우 스프링이 수축되면서 상부죠지지판(34)과 상부죠(30)를 가압하여 상부죠(30)와 하부죠(10) 사이에 거치된 각파이프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며, 유압실린더(100)가 수축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동블럭(80)이 본래 위치로 복귀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죠(30)의 가압력이 해제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각파이프 절단 장치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는바,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 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각파이프 절단 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파이프의 절단 작업을 위해 절단하고자 하는 각파이프가 하부죠(10)와 상부죠(30)의 V자홈에 의해 형성된 개구에 삽입 거치된다. 상기 각파이프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직접 삽입 거치할 수도 있고, 컨베이어 등과 같은 자동 공급 수단에 의해 연속적으로 자동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현 상태에서는 상부죠(30)와 하부죠(10)가 서로 가압되지 않은 상태로 그것들 사이가 약간 이격된 상태에 있으며, 유압실린더(100)는 수축되어 가동블럭(80)이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블럭(80)의 하측의 칼날고정부(72)에 의해 고정 결합된 칼날(7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죠(30)의 가이드홈(36) 상부 초입에 위치된 상태에 있다. 이때, 상기 칼날(70)의 뾰족한 첨단부는 상기 각파이프의 상부 일측 모서리 부분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유압실린더(100)가 팽창되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로드(100a)에 결합된 가동블럭(80)이 하향 경사지게 비스듬히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동블럭(80)은 가이드봉(8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고, 스프링가이드(84)의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상기 상부죠지지판(34) 및 이에 결합된 상부죠(30)가 하부죠(10)를 향하여 가압 이동됨에 따라 하부죠(10)와 상부죠(30) 사이에 거치된 각파이프가 견고하게 가압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가동블럭(80) 하측의 칼날고정부(72)에 결합된 칼날(70)이 상대적으로 큰 힘으로 가압되어 하향 경사지게 이동되고, 칼날(70)의 첨단부가 각파이프의 상부 일측 모서리 부분을 시작으로 대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파이프를 절단한다. 상기 상부죠(30)와 하부죠(10)가 각파이프의 대각 방향으로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칼날(70)은 각파이프의 상부 일측 모서리 부분 부터 절단하게 되고, 모서리 부분이 칼날(70)과 접촉되는 면적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각파이프의 넓은 면 부터 절단하는 것 보다 더 쉽게 절단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파이프의 모서리 부분부터 절단이 시작되고 칼날(70)이 하강하면서 각파이프 전체가 순차적으로 절단된다.
각파이프의 절단이 완료되면, 유압실린더(100)는 다시 수축되고, 이에 따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블럭(80)이 상승하면서 칼날(70)이 상향 이동됨과 아울러 스프링가이드(84)의 스프링이 복귀되면서 상부죠(30)의 가압력이 해제되어 상부죠(30)와 하부죠(10) 사이가 이격 분리됨에 다라 절단된 각파이프를 분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동작의 반복에 의해 상기 각파이프의 절단 작업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 하부죠 12 : 칼날가이드홈
14 : 하부죠지지판 16 : 가이드홈
20 : 제1베이스 30 : 상부죠
32 : 칼날가이드홈 34 : 상부죠지지판
36 : 가이드홈 38 : 죠이동가이드봉
40 : 제2베이스 42 : 가이드레일
50 : 제1이송플레이트 52 : 가이드블럭
70 : 칼날 72 : 칼날고정부
73 : 고정핀 74 : 칼날보호부
80 : 가동블럭 82 : 가이드봉
83 : 가이드부시 84 : 스프링가이드
90 : 제2이송플레이트 92 : 가이드블럭
100 : 유압실린더 100a : 실린더로드
110 : 실린더브라켓

Claims (5)

  1. 칼날(70)과;
    각파이프를 하부 및 상부에서 파지 고정하고, 내측에 상기 칼날(70)이 통과될 수 있도록 칼날가이드홈(12,32)이 각각 형성된 하부죠(10) 및 상부죠(30)와;
    상기 칼날(70)을 상기 하부죠(10) 및 상부죠(30)에 의해 파지 고정된 각파이프측으로 가압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100)와;
    하부에 상기 칼날(70)이 결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00)의 작동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가동블럭(80)과;
    상기 가동블럭(80)과 상부죠(30) 사이에 구비되되, 일단부는 상기 상부죠(30)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동블럭(80)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봉(82)과;
    일단은 상기 상부죠(30)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동블럭(80)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외주면에 스프링이 결합된 스프링가이드(84)와;
    상기 하부죠(10)를 하방에서 경사지게 고정 지지하도록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제1베이스(20)와;
    상기 상부죠(30)가 경사지게 지지되도록 상부죠(30)와 대향하는 방향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에 상기 상부죠(30) 및 가동블럭(80)의 이동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42)이 구비된 제2베이스(40)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죠(10)와 상부죠(30)는 중앙에 각파이프의 일측 모서리 부분이 삽입 거치되도록 각각 오목한 V자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V자홈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중앙에 각파이프가 삽입 가능한 사각형상의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죠(10) 및 상부죠(30)는 각파이프의 대각 방향으로 비스듬히 배치되며, 상기 칼날(70)은 상기 상부죠(30)의 V자홈에 삽입된 각파이프의 모서리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부죠(10) 및 상부죠(30)는, 각각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구성되되 중앙에 V자홈이 형성되고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그 사이 중앙에 칼날가이드홈(12,32)이 형성되는 서로 다른 2개의 서브블럭이 좌우로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파이프 절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41396A 2019-11-07 2019-11-07 각파이프 절단 장치 KR102099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396A KR102099434B1 (ko) 2019-11-07 2019-11-07 각파이프 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396A KR102099434B1 (ko) 2019-11-07 2019-11-07 각파이프 절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434B1 true KR102099434B1 (ko) 2020-04-09

Family

ID=70276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396A KR102099434B1 (ko) 2019-11-07 2019-11-07 각파이프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4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274B1 (ko) * 2022-10-18 2023-09-14 주식회사 성원하이테크 각파이프 절단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9009U (ko) * 1990-11-22 1992-07-09
JPH071221A (ja) * 1993-03-24 1995-01-06 Amada Metrecs Co Ltd 角パイプの切断方法および同方法に使用する切断金型装置並びに切断用ダイ
JPH0740130A (ja) * 1993-08-03 1995-02-10 Nippon Steel Corp 鋼材熱間剪断における難剪断加工鋼片の剪断方法
KR200229032Y1 (ko) 2000-11-11 2001-07-19 송재소 고속 파이프 절단기
KR20150067849A (ko) * 2013-12-10 2015-06-19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고무호스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9009U (ko) * 1990-11-22 1992-07-09
JPH071221A (ja) * 1993-03-24 1995-01-06 Amada Metrecs Co Ltd 角パイプの切断方法および同方法に使用する切断金型装置並びに切断用ダイ
JPH0740130A (ja) * 1993-08-03 1995-02-10 Nippon Steel Corp 鋼材熱間剪断における難剪断加工鋼片の剪断方法
KR200229032Y1 (ko) 2000-11-11 2001-07-19 송재소 고속 파이프 절단기
KR20150067849A (ko) * 2013-12-10 2015-06-19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고무호스 절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274B1 (ko) * 2022-10-18 2023-09-14 주식회사 성원하이테크 각파이프 절단기
KR20240054863A (ko) * 2022-10-18 2024-04-26 주식회사 성원하이테크 각파이프 절단기
KR102732012B1 (ko) * 2022-10-18 2024-11-20 주식회사 성원테크 각파이프 절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3700B1 (en) Tube cutter
JP2004089315A5 (ko)
KR102099434B1 (ko) 각파이프 절단 장치
US5163663A (en) Vise having pantographic mounting assembly and improved clamping mechanism
KR860002361A (ko) 탄성밴드 절삭 및 분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EP3012053B1 (en) Machine for cutting panels made of wood, plastic or the like
KR101591638B1 (ko) 절단부재 정렬수단이 구비된 작업대
CN212761432U (zh) 一种自动破口管道切割机
JP2011079109A (ja) 帯鋸盤における本体バイス装置
CN211395140U (zh) 超声波分条横切堆叠机
JP3159462B2 (ja) プレス式走行パイプ切断機
CN117324799B (zh) 一种展示架用金属板材激光切割装置
EP3639958A1 (en) Cutting machine to cut panels made of wood or the like
JPH0732291A (ja) ゴム成形体の切断装置およびその切断方法
CN215879456U (zh) 管件双头平面冲弧装置
CN213591601U (zh) 一种打孔压力机的传送装置
CN115229328A (zh) 一种龙门式刨槽与激光切割复合一体机
TWM456275U (zh) 木工機械及其夾具裝置
EP3639994A1 (en) Cutting machine to cut panels made of wood or the like
CN212323039U (zh) 一种电池打钉装置
US5943766A (en) Machine for inserting stringers into pallets
CN114709540B (zh) 可快速安装的电池箱体吊装圆套制造方法及吊装圆套本体
CN215544146U (zh) 一种自动定位的机械加工装置
CN209380098U (zh) 一种新型的激光裁剪板材放置架
CN219926268U (zh) 一种印刷模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